KR101971630B1 -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630B1
KR101971630B1 KR1020170102162A KR20170102162A KR101971630B1 KR 101971630 B1 KR101971630 B1 KR 101971630B1 KR 1020170102162 A KR1020170102162 A KR 1020170102162A KR 20170102162 A KR20170102162 A KR 20170102162A KR 101971630 B1 KR101971630 B1 KR 10197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cargo
lor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380A (ko
Inventor
임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
Priority to KR102017010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소에 그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는 대차를 안전하게 보관함은 물론이고, 대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화물차의 화물칸 저부 일측에 설치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 및 테이블 저부의 이송롤러를 구비한 대차가 출몰할 수 있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부면 네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면서 화물칸 저부의 복잡한 시설물을 피해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가변고정편이 상단부에 설치되어진 고정레그와; 상기 함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대차가 슬라이드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함체의 개구된 전방 양측에 힌지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호 접촉되는 각 단부에 자물쇠와 같은 하나의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게 고정공이 구비되어진 두 개의 도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하에 고정편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 측방에 대차의 상하부를 안정되게 압박할 수 있게 탄성편이 연장 형성되어진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Storage box of transport device for vans}
본 발명은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소에 그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는 대차를 안전하게 보관함은 물론이고, 대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화물을 화물차에 적재시키기 위한 상차 작업 및 목적지에 도달 후 화물 하차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화물을 적재된 공간에서 주차된 화물차량까지 이송한 다음, 이를 다시 화물차량으로 상차시키는 한편, 목적지에 도달한 후에는 이를 화물차량으로부터 하차여 지정된 적재장소로 운반하는 작업시 이송될 화물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그 작업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대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화물이 적재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가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일측에 손잡이가 설치되어진 대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즉, 운반자가 대차의 테이블 위에 화물을 적당히 적재한 후 상기 화물을 밀거나 끌면서 화물차량 또는 목적지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대차를 화물차의 후방 화물칸에 아무런 고정장치 없이 올려놓기 때문에 운전중 상기 대차가 유동하여 화물칸에 충돌함으로써 대차가 파손되거나 유동이 심한 경우에는 대차가 화물칸 밖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물칸의 측벽부에 걸이수단을 설치한 후 이에 대차를 걸기 때문에 운전중 충격에 의해 대차가 탈거되거나 주차한 상태에서는 걸이수단에 걸린 대차를 도난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화물차의 화물칸 저부에 도어가 부설된 함체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대차를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를 자물쇠와 같은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합으로써 운전 중 충격으로 인하여 대차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대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차의 화물칸 저부 일측에 설치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 및 테이블 저부의 이송롤러를 구비한 대차가 출몰할 수 있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부면 네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면서 화물칸 저부의 복잡한 시설물을 피해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가변고정편이 상단부에 설치되어진 고정레그와; 상기 함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대차가 슬라이드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함체의 개구된 전방 양측에 힌지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호 접촉되는 각 단부에 자물쇠와 같은 하나의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게 고정공이 구비되어진 두 개의 도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하에 고정편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방에 대차의 상하부를 안정되게 압박할 수 있게 탄성편이 연장 형성되어진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함체의 내부 후방벽과 도어의 내측면에 대차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쿠션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물차의 화물칸 저부 일측에 함체를 설치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 및 테이블 저부의 이송롤러를 구비한 대차가 안정되게 출몰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그 개구된 전방에 자물쇠와 같은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게 고정공이 구비되어진 두 개의 도어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함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대차가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안내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운전 중 충격으로 인하여 대차가 유동하거나 화물차의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함체의 내부 상하에 탄성편을 구비한 탄성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 후방벽과 도어의 내측면에 쿠션부재를 설치하여 대차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또 다른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대차 설치 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대차 설치 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또 다른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대차 설치 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보관장치의 대차 설치 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차(10)는 도 1과 같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11), 및 테이블(11) 저부의 이송롤러(12)로 구성된다.
먼저, 화물차의 화물칸(300) 저부 일측에 대차보관장치(1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대차보관장치(100)의 함체(110)는 대차(10)가 출입할 수 이는 사각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함체(110)의 상부면 네모서리부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소정 길이의 고정레그(130)(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함체(11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지는 고정레그(140)는 그 상단부에 화물칸(30)의 측벽부와 대응되는 수직편부(1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편부(141)에는 나사(미도시)로서 체결되는 나사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부(141)는 화물칸(300)의 측벽부에 용접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지는 고정레그(130)는 그 상단부에 가변고정편(131)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변고정편(131)의 일측에는 나사(134)가 체결되는 힌지공(132)이 형성되어 고정레그(130)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즉, 나사(134)가 결합된 가변고정편(131)는 고정레그(13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칸(300) 저부의 복잡한 시설물을 피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고정편(131)의 일측에는 나사공(133)이 형성되어 화물칸(300) 저부의 소망하는 위치에 체결되는데, 이때 나사를 대신하여 가변고정편(131)를 용접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함체(110)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안내가이드(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안내가이드(120)는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가이드(120)의 상하의 폭은 대차(10)의 테이블(11)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통상 대차(1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1개를 더 여분으로 구비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120)는 두 개의 대차(10)가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안내가이드(120)를 함체(110) 내부에 상하 두개를 설치하여 대차(10)를 각각 슬라이드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함체(110)의 개구된 전방 양측에는 힌지(151)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게 양방향 도어(150)(150')가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두 도어(150)(150')의 상호 접촉되는 각 단부에는 이와 직각되게 고정브라켓(152)(152')이 거의 면접되게 형성되며, 두 고정브라켓(152)(152')에는 자물쇠와 같은 하나의 잠금수단이 관통한 상태에서 잠금이 될 수 있게 고정공(153)이 대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110)의 내부 상하에는 안내가이드(120)에 슬라이드 삽입된 대차(10)가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탄성수단(190)이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수단(190)은 그 일측으로 함체(110)와 나사(193)로서 고정되는 고정편(19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91)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방으로는 대차(10)의 테이블(11) 상하부를 안정되게 압박할 수 있게 호형상의 곡면을 가진 탄성편(192)이 연장 형성되어진다.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탄성편(192)의 단부가 대차(10) 삽입시 이의 테이블(11)의 접촉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함체(110)의 내부 후방벽과 도어(150)(150')의 내측면에는 대차(10)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쿠션부재(160)(180)를 설치한다.
즉, 상기 쿠션부재(160)(180)는 운행중 대차(10)가 수평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수단(190)은 운행중 대차(10)가 수직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대차보관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차의 화물칸(300)에 대차(10)를 보관할 수 있는 대차보관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보관장치(100)의 함체(110)의 상부면 네모서리부에 구비되어진 고정레그(130)(140)들 중 함체(11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진 두 고정레그(130)를 화물칸(300)의 저면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두 고정레그(130)가 설치되는 지점에 각종 시설물이 있을 경우에는 두 고정레그(1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진 가변고정편(131을 시설물이 없는 화물칸(300)의 저부 지점으로 적당히 회동하여 화물칸(300)의 저면부에 밀착시킨 다음, 가변고정편(131 일측의 나사공(133)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의 전방부에 구비되어진 고정레그(140)의 상단부에는 수직편부(14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편부(141)를 화물칸(30)의 측벽부에 대응시킨 후 수직편부(141) 일측의 나사공(142)에 나사를 체결하거나, 상기 수직편부(141)를 화물칸(300)의 측벽부에 용접고정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칸(30)의 측부에 대차보관장치(100)가 설치되어지면, 도 2 및 도 3, 도 4와 같이 상기 대차보관장치(100)의 함체(110)에 대차(1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대차(10)는 함체(110) 내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진 안내가이드(120)를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되며, 이때 안내가이드(120)는 두 개의 대차(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10)가 안내가이드(120)를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면, 도 5와 같이 대차(10)의 테이블(11)면이 함체(110)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진 탄성수단(190)의 탄성편(192)과 대응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편(192)이 탄압되면서 대차(10)의 테이블(11)을 일정하게 압박함으로 운행중 외부의 충격에도 대차(10)가 요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차(10)를 안내가이드(120)를 따라 끝까지 슬라이드 삽입하게 되면, 대차(10)의 일단부가 함체(110)의 내부 후방벽에 설치되어진 쿠션부재(180)와와 접촉하여 대차(10)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다.
그런 다음, 상기 함체(110) 전방의 도어(150)(150')를 닫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150)(1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진 쿠션부재(160)가 대차(10)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도어(150)(150')가 닫히면 상기 양방향 도어(150)(150')의 단부에 형성되어진 고정브라켓(152)(152')이 근접됨과 동시에 이들에게 형성되어진 고정공(153)이 일치하게 되는데, 이때 거의 상기 두 고정공(153)에 잠금수단을 관통하여 잠금으로써 대차(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대차 100:대차보관장치
110:함체 120:안내가이드
130:고정레그 131:가변고정편
132:힌지공 140:고정레그
141:수직편부 150:150':도어
152,152'고정브라켓 153:고정공
160,180:쿠션부재 190:탄성수단
191:고정편 192:탄성편

Claims (2)

  1. 화물차의 화물칸 저부 일측에 설치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 및 테이블 저부의 이송롤러를 구비한 대차가 출몰할 수 있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부면 네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면서 화물칸 저부의 복잡한 시설물을 피해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편부 및 가변고정편이 상단부에 설치되어진 고정레그와;
    상기 함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대차가 슬라이드되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함체의 개구된 전방 양측에 힌지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호 접촉되는 각 단부에 자물쇠와 같은 하나의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게 고정공이 구비되어진 두 개의 도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하에 고정편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방에 대차의 상하부를 안정되게 압박할 수 있게 탄성편이 연장 형성되어진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 후방벽과 도어의 내측면에 대차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쿠션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KR1020170102162A 2017-08-10 2017-08-10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KR101971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162A KR101971630B1 (ko) 2017-08-10 2017-08-10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162A KR101971630B1 (ko) 2017-08-10 2017-08-10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80A KR20190017380A (ko) 2019-02-20
KR101971630B1 true KR101971630B1 (ko) 2019-04-23

Family

ID=6556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162A KR101971630B1 (ko) 2017-08-10 2017-08-10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6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19B1 (ko) 2013-04-24 2014-08-01 (주)태형 화물차량용 툴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584A (ko) * 2014-02-14 2015-08-25 김봉구 충격흡수적재함
KR20160124357A (ko) * 2015-04-17 2016-10-27 이재권 트럭 적재함용 공구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19B1 (ko) 2013-04-24 2014-08-01 (주)태형 화물차량용 툴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80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470A (en) Pickup truck tailgate mounted cargo apparatus
US20020180231A1 (en) Extendable cargo deck for pickup trucks
US11235921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US5868449A (en) Auxiliary tailboard assembly for drop-down tailgate
US10464492B1 (en) Tonneau with cargo management basket
KR101142245B1 (ko)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KR101971630B1 (ko)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EP2743207A1 (en) Iso standard-compliant container
US20120097689A1 (en) Storage system
US11312425B2 (en) Hinged and sectioned drop-in flatbed side rails
US10632934B2 (en) Tonneau with integrated toolbox
KR20140131114A (ko) 밀폐형 암롤 박스의 슬라이드 해치
KR101573788B1 (ko) 수화물 운반용 대차
US5706964A (en) Reusable corner and bulkhead system for bulk cargo container
JP5402227B2 (ja) 航空機用コンテナ
KR101550440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US10744925B1 (en) Truck bed load organizer
US20090060700A1 (en) Pallet storage
KR101663218B1 (ko) 난간대가 구비된 카고트럭용 적재함
KR101622592B1 (ko) 저소음형 롤러 트랙
US7878575B1 (en) Trailer with sliding safety door
US2835210A (en) Apparatus for securing cargo against shifting and damage
GB2558962A (en) Vehicle transportation apparatus
AU2011101694A4 (en) Adjustable cargo barrier system
JPH08175274A (ja) 貨物自動車の箱型荷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