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96B1 -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396B1
KR101653396B1 KR1020150068253A KR20150068253A KR101653396B1 KR 101653396 B1 KR101653396 B1 KR 101653396B1 KR 1020150068253 A KR1020150068253 A KR 1020150068253A KR 20150068253 A KR20150068253 A KR 20150068253A KR 101653396 B1 KR101653396 B1 KR 10165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disposed
lif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빈
Original Assignee
화신강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강업(주) filed Critical 화신강업(주)
Priority to KR102015006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67Controlling degree of tailboard or sideboard movement in dependence upon degree of tipping movement, e.g. by linkage or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은 측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면은 상기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의 개방 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바닥면을 회동시켜 상기 바닥면의 경사도를 높이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수용부의 하측에 수용부를 회동 시켜 수용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물의 하역 시 화물의 크기 및 소재 특성에 따라 수용부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완벽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Container for carrying bulk cargo}
본 발명은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벌크 화물(bulk cargo)은 자갈, 석탄, 곡물 등 분상(粉狀) 또는 입상(粒狀)의 화물로서 포장을 하지 않고 그대로 화차 또는 선박에 실어 운반하는 화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벌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벌크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의 내부를 특정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적재함 내부에 수용된 화물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재함 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실제 부피가 큰 벌크 화물에만 실용성이 있을 뿐,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거나, 점성을 가잔 벌크 화물일 경우, 적재함의 중앙부에는 여전히 벌크 화물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다시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여 적재함 내부에 남아있는 벌크 화물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70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그 하측에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적용하여 화물의 하역 시 적재함 내부에 잔여물이 남지 않고, 완벽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은 측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면은 상기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의 개방 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바닥면을 회동시켜 상기 바닥면의 경사도를 높이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 그리고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부가 설치되도록 'ㄷ'형상의 구조빔이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사이드(side)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front)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에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rear)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부,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폐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의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기 제1 개폐부의 회동 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구조빔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시에만 작동되는 제1 회동부, 그리고 상기 제1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 시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빔의 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이 회동되기 전 상기 제2 회동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 훅(locking hook), 그리고 상기 회동축 및 상기 록킹 훅과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일 측에는 파지 가능한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조작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록킹 훅과 결합되는 직선부, 그리고 상기 직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직선부의 축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포크터널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훅의 일 측에는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훅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결합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훅의 일 측 및 상기 록킹 훅의 타 측 사이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수용되는 회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공간이 형성된 상기 록킹 훅의 내면에는 상기 제2 회동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제1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부가 회동되기 전, 일면은 상기 제2 개폐부에 접하여 상기 제2 개폐부를 지지하고, 타면은 상기 제1 회동부에 지지되는 지지커버, 그리고 상기 지지커버의 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수용부에 접하여 상기 수용부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도어부, 그리고 상기 도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개폐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면을 구비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 측이 개구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회동 적재부, 그리고 상기 회동 적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적재부를 지지하고, 상측에는 상기 회동 적재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경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은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 상기 프레임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제한부, 그리고 상기 제1 제한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팅부가 상승되기 전에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에는 상기 개폐부에 접하는 제2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각 회동 적재부에 접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회동 적재부의 저면에는 상기 리프팅부가 이동 가능한 등판레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는 양 측 단부에 상기 등판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가 구비되는 상부암, 양 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서 상대 운동하는 하부암, 그리고 교차 배치되어 상기 상부암과 상기 하부암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하부암의 양 측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 롤러가 서로 근접해지도록 상기 하부암이 상대 운동할 경우, 상기 상부암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교차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암은 일 측에 배치된 제1 이동암, 상기 제1 이동암에 연결되어 타 측에 배치된 제2 이동암, 그리고 상기 제1 이동암과 상기 제2 이동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암과 상기 제2 이동암을 이동시키는 유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수용부의 하측에 수용부를 회동 시켜 수용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물의 하역 시 화물의 크기 및 소재 특성에 따라 수용부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완벽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개폐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제1 개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제1 회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회동축을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록킹 훅을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회동축이 복수 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제2 회동부가 회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리프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의 리프팅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이하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이라 함)은 트레일러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측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면(1511a)은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닥면(1511a)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1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구조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a)을 형성하고,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에는 수용공간(11a)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공(113a)이 형성되는 프레임부(11), 프레임부(11)에 설치되어 배출공(113a)을 개폐하는 개폐부(13), 그리고 바닥면(1511a)을 구비하여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프레임부(1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프팅부(20)의 상승 시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수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1)의 상부에는 수용부(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에는 내측에 개폐부(13)가 설치되도록 'ㄷ'형상의 구조빔(111a)이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11), 지지 프레임(111)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하측에는 배출공(113a)이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113), 지지 프레임(111)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프레임(115), 그리고 프런트 프레임(115)에 대칭되도록 지지 프레임(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11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의 프레임부(11)는 지지 프레임(111)을 기준으로 지지 프레임(111)의 둘레에 각각 네 개의 프레임이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11a)을 형성하고, 몸체부(10)의 폭 방향으로 대칭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13)을 통하여 화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개폐부(13)는 2중 도어(doo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13)는 지지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부(131),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113)에 설치되어 제1 개폐부(131)에 지지된 상태로 수용부(15)의 입구(151a)를 차단시키고, 제1 개폐부(131)의 회동 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제2 개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개폐부(13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개폐부(131)는 구조빔(111a)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시에만 작동되는 제1 회동부(1311), 그리고 제1 회동부(13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회동부(1311)의 회동 시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어 제2 개폐부(133)로부터 이격되는 제2 회동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부(13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1)에 결합되어 구조빔(111a)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축(13111), 회동축(13111)에 결합되어 회동축(13111)과 함께 회동되고, 일 측에는 제2 회동부(131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축(13111)이 회동되기 전 제2 회동부(1313)를 지지하여 제2 개폐부(133)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 훅(13113), 그리고 회동축(13111) 및 록킹 훅(13113)과 함께 회동되도록 회동축(13111)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11)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일 측에는 파지 가능한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조작핸들(13115)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13111)은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이 지게차(FORKLIFT TRUCK)에 의해 견인될 경우, 지게차의 포크에 간섭되지 않도록 특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포크터널(T)을 형성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3111)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111) 및 록킹 훅(13113)과 결합되는 직선부(13111a), 그리고 직선부(13111a)로부터 연장되며 직선부(13111a)의 축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포크터널(T)을 형성하는 절곡부(13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131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1)의 길이방향 측으로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록킹 훅(13113)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축(13111) 및 제2 회동부(1313)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록킹 훅(13113)의 일 측에는 회동축(13111)이 결합되는 제1 관통공(13113a)이 형성되고, 록킹 훅(13113)의 타 측에는 제2 회동부(1313)가 결합되는 제2 관통공(13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록킹 훅(13113)의 일 측 및 록킹 훅(13113)의 타 측 사이에는 제2 회동부(1313)가 수용되는 회동공간(13113c)이 형성되는데, 이 때 회동공간(13113c)이 형성된 록킹 훅(13113)의 내면에는 제2 회동부(1313)의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회동부(1313)는 지지커버(13131) 및 보강부재(13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회동부(1313)는 제1 회동부(13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회동부(1311)가 회동되기 전, 일면은 제2 개폐부(133)에 접하여 제2 개폐부(133)을 지지하고, 타면은 제1 회동부(1311)에 지지되는 지지커버(13131), 그리고 지지커버(13131)의 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13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회동부(1313)는 제1 회동부(1311)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도 10의 (a))에서는 후술할 제2 개폐부(133) 및 록킹 훅(13113)의 지지면에 일면 및 타면이 각각 지지되고, 제1 회동부(1311)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도 10의 (b))에서는 타면은 록킹 훅(13113)의 지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제1 회동부(1311)와 함께 회동된다. 마지막으로, 제2 회동부(1313)는 제1 회동부(1311)가 최대 각도로 회전된 상태(도 10의 (c))에서는 자체 하중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회동되어 제2 개폐부(133)로부터 완전히 이격된다.
한편, 제2 개폐부(13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5)에 접하여 수용부(15)의 입구(151a)를 폐쇄시키는 도어부(1331), 그리고 도어부(1331)로부터 연장되어 제1 개폐부(131)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부(15)는 지지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회동 적재부(151) 및 회동 적재부(151)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용부(15)는 바닥면(1511a)을 구비한 바닥판(1511) 및 바닥판(151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 측이 개구되는 측판(1513)을 포함하고, 프레임부(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회동 적재부(151), 그리고 회동 적재부(151)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동 적재부(151)를 지지하고, 상측에는 회동 적재부(151)의 저면에 대응되는 경사면(1531)이 형성되어 바닥면(1511a)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경사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판(1513)의 단부는 회동 적재부(151)의 회동 시 프레임부(11) 및 개폐부(13)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적재부(151)의 측판(1513)은 리프팅부(20)의 상승 시, 즉 회동 적재부(151)의 회동 시 프레임부(11)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제한부(1513a), 그리고 제1 제한부(1513a)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리프팅부(20)가 상승되기 전에는 바닥면(1511a)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리프팅부(20)의 상승 시에는 개폐부(13)에 접하는 제2 제한부(151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판(1513)의 단부에는 프레임부(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각 회동 적재부(151)에 접하는 걸림부재(151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사 지지부(153)에 지지되는 회동 적재부(151)의 저면에는 리프팅부(20)가 이동 가능한 등판레일(15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은 몸체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측면의 개방 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10)의 바닥면(1511a)을 회동시켜 바닥면(1511a)의 경사도를 높이는 리프팅부(20)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리프팅부(20)는 양 측 단부에 등판레일(1517)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211)가 구비되는 상부암(21), 양 측 단부에 프레임부(11)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7)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231)가 구비되고, 가이드레일(27) 내에서 상대 운동하는 하부암(23), 그리고 교차 배치되어 상부암(21)과 하부암(23)을 서로 연결하고, 하부암(23)의 양 측 단부에 구비된 제2 롤러(231)가 서로 근접해지도록 하부암(23)이 상대운동 할 경우, 상부암(21)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교차암(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암(23)은 일 측에 배치된 제1 이동암(233), 제1 이동암(233)에 연결되어 타 측에 배치된 제2 이동암(235), 그리고 제1 이동암(233)과 제2 이동암(235)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동암(233)과 제2 이동암(235)을 이동시키는 유압장치(23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1)의 내측에는 프레임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간(11a)을 구획하는 격벽(119)이 설치되고, 수용부(15) 및 리프팅부(20)는 프레임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의 화물 배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의 화물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1)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용부(15)에 수용된 화물(C)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제2 개폐부(133)가 제1 개폐부(131)에 지지되어 수용부(15)의 개구된 일 측에 접하여 수용부(15)의 입구(151a)를 폐쇄한다. 이 때, 수용부(15)의 바닥면(1511a)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수용부(15)에 수용된 화물(C)은 상대적으로 위치가 낮은 수용부(15)의 입구(151a) 측으로 밀집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수용부(15)의 입구(151a)를 개방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개폐부(131)의 조작핸들(13115)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핸들(13115)과 함께 회동되는 록킹 훅(13113)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동부(1313)가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어 제2 개폐부(133)로부터 이격되고, 제2 개폐부(133)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개폐부(133)를 지지하던 제2 회동부(1313)가 제2 개폐부(133)로부터 이격되어 제2 개폐부(133)의 구속을 해제함에 따라, 입구(151a) 측에 밀집되어있던 화물(C)이 회동 가능한 상태에 놓인 제2 개폐부(133)를 밀어내며 수용부(15)의 바닥면(1511a) 및 제2 회동부(1313)의 일면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2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2 개폐부(133)가 회동 가능한 상태, 즉 수용부(15)의 입구(151a)가 개방되면, 하부암(23)의 유압장치(237)가 작동되어 제1 이동암(233)과 제2 이동암(235)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이동암(233)과 제2 이동암(235)이 상대운동 함에 따라, 일 측이 제1 이동암(233)과 제2 이동암(235)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차 배치되고, 각 타 측이 상부암(2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교차암(25)이 회동되며 상부암(21)을 상승시킨다.
이를 통해, 회동 적재부(151)의 등판레일(1517)에 접해있는 상부암(21)의 제1 롤러(211)가 등판레일(1517)을 따라 이동하며, 회동 적재부(151)에 수직으로 힘을 전달하고, 지지 프레임(111)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힘을 전달받은 회동 적재부(151)는 외측으로 회동되어 수용부(15)의 바닥면(1511a)의 경사를 더 높이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5)의 내측에 잔존하는 화물(C)이 더 높아진 경사에 의해 미끄러지듯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5)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수용부(15)의 하측에 수용부(15)를 회동 시켜 수용부(15)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부(20)를 구비함으로써, 화물의 하역 시 화물의 크기 및 소재 특성에 따라 수용부(15)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완벽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0. 몸체부
11. 프레임부 11a. 수용공간
111. 지지 프레임 111a. 구조빔
113. 사이드 프레임 113a. 배출공
115. 프런트 프레임 117. 리어 프레임
119. 격벽
13. 개폐부
131. 제1 개폐부
1311. 제1 회동부
13111. 회동축
13111a. 직선부 13111b. 절곡부
13113. 록킹 훅
13113a. 제1 관통공 13113b. 제2 관통공
13113c. 회동공간 13113d. 지지면
13115. 조작핸들
1313. 제2 회동부
13131. 지지커버 13133. 보강부재
133. 제2 개폐부
1331. 도어부 1333. 지지부
15. 수용부
151. 회동 적재부 151a. 입구
1511. 바닥판 1511a. 바닥면
1513. 측판
1513a. 제1 제한부 1513b. 제2 제한부
1515. 걸림부재 1517. 등판레일
153. 경사 지지부
1531. 경사면
20. 리프팅부
21. 상부암
211. 제1 롤러
23. 하부암
231. 제2 롤러 233. 제1 이동암
235. 제2 이동암 237. 유압장치
25. 교차암
27. 가이드레일
T. 포크터널
C. 화물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측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면은 상기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의 개방 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바닥면을 회동시켜 상기 바닥면의 경사도를 높이는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 그리고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측부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부가 설치되도록 'ㄷ'형상의 구조빔이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사이드(side)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front)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에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rear)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부,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폐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의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기 제1 개폐부의 회동 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구조빔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시에만 작동되는 제1 회동부, 그리고
    상기 제1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 시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개폐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회동부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빔의 내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이 회동되기 전 상기 제2 회동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2 개폐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 훅(locking hook), 그리고
    상기 회동축 및 상기 록킹 훅과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일 측에는 파지 가능한 요철형상을 형성하는 조작핸들
    을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7. 제6항에서,
    상기 회동축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록킹 훅과 결합되는 직선부, 그리고
    상기 직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직선부의 축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포크터널을 형성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8. 제6항에서,
    상기 록킹 훅의 일 측에는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훅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결합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훅의 일 측 및 상기 록킹 훅의 타 측 사이에는 상기 제2 회동부가 수용되는 회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공간이 형성된 상기 록킹 훅의 내면에는 상기 제2 회동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9. 제5항에서,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제1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부가 회동되기 전, 일면은 상기 제2 개폐부에 접하여 상기 제2 개폐부를 지지하고, 타면은 상기 제1 회동부에 지지되는 지지커버, 그리고
    상기 지지커버의 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0. 삭제
  11. 측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면은 상기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의 개방 시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바닥면을 회동시켜 상기 바닥면의 경사도를 높이는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 그리고
    상기 바닥면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면을 구비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 측이 개구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회동 적재부, 그리고
    상기 회동 적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적재부를 지지하고, 상측에는 상기 회동 적재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경사 지지부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2. 제11항에서,
    상기 측판은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 상기 프레임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제한부, 그리고
    상기 제1 제한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팅부가 상승되기 전에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부의 상승 시에는 상기 개폐부에 접하는 제2 제한부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3. 제11항에서,
    상기 측판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각 회동 적재부에 접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4. 제11항에서,
    상기 경사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회동 적재부의 저면에는
    상기 리프팅부가 이동 가능한 등판레일이 더 구비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5. 제14항에서,
    상기 리프팅부는
    양 측 단부에 상기 등판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롤러가 구비되는 상부암,
    양 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서 상대 운동하는 하부암, 그리고
    교차 배치되어 상기 상부암과 상기 하부암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하부암의 양 측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 롤러가 서로 근접해지도록 상기 하부암이 상대 운동할 경우, 상기 상부암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교차암
    을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6. 제15항에서,
    상기 하부암은
    일 측에 배치된 제1 이동암,
    상기 제1 이동암에 연결되어 타 측에 배치된 제2 이동암, 그리고
    상기 제1 이동암과 상기 제2 이동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암과 상기 제2 이동암을 이동시키는 유압장치
    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17. 삭제
KR1020150068253A 2015-05-15 2015-05-15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KR10165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253A KR101653396B1 (ko) 2015-05-15 2015-05-15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253A KR101653396B1 (ko) 2015-05-15 2015-05-15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396B1 true KR101653396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253A KR101653396B1 (ko) 2015-05-15 2015-05-15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949A (zh) * 2018-04-04 2018-07-20 邯郸市肥乡区远达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内翻自卸式仓栅半挂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98B1 (ko) 2011-02-01 2013-0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98B1 (ko) 2011-02-01 2013-0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949A (zh) * 2018-04-04 2018-07-20 邯郸市肥乡区远达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内翻自卸式仓栅半挂车
CN108297949B (zh) * 2018-04-04 2024-03-26 邯郸市肥乡区远达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内翻自卸式仓栅半挂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0327C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US8545161B2 (en) Unloading vehicle and combination of an unloading vehicle with a container
US3576265A (en) Material collection system
KR101653396B1 (ko)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CN115556836A (zh) 车辆装载箱的舱壁结构
KR101485290B1 (ko) 자동 덤프장치
US3648868A (en) Container transporting vehicle
KR101398421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NZ539940A (en) Mobile pallet with various locking means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EP0562688B1 (en) Device for unloading a container for parcel goods, more particularly for postal parcels
CN111201188B (zh) 集装箱及集装箱的卸载方法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KR101627666B1 (ko) 호퍼형 화차
JP4190824B2 (ja) 空荷箱の搭載方法
JP6763734B2 (ja) 貨物自動車
JP2752572B2 (ja) 塵芥積込制御装置
CN213650645U (zh) Iso标准集装箱
US20240043998A1 (en) Atomic layer deposition reac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atomic layer deposition reactor arrangement
RU2710960C1 (ru) Самосвал с поворот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подъё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для опрокидывания кузова на левый, правый и задний борта
JP3028930B2 (ja) 貨物自動車の積載物移送装置
JP3428770B2 (ja) 荷物棚
JP3115802U (ja) 粉粒体の移送投入ボックスとこれを備えた移送投入装置
CN114312528A (zh) 配送用车辆
JP2000255733A (ja) 輸送体用ローラ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