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413B1 -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 Google Patents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413B1
KR101140413B1 KR1020090132116A KR20090132116A KR101140413B1 KR 101140413 B1 KR101140413 B1 KR 101140413B1 KR 1020090132116 A KR1020090132116 A KR 1020090132116A KR 20090132116 A KR20090132116 A KR 20090132116A KR 101140413 B1 KR101140413 B1 KR 10114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sheet
film
carrier film
coating lay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621A (ko
Inventor
윤종욱
이정우
서상원
서정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4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시트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우수한 표면 거칠기 특성으로 박막 그린시트 성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핀홀성 불량과 불균일 코팅에 의해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의 박리시 발생되는 뜯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이접착 코팅층과 상기 이접착 코팅층 상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로 적어도 1회 도포된 실리콘 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으로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되, SR ≤ 30 nm (식 1), 여기서, “SR”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린시트, 표면 거칠기, 캐리어 필름

Description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For Green Sheet}
본 발명은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시트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우수한 표면 거칠기 특성으로 박막 그린시트 성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핀홀성 불량과 불균일 코팅에 의해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의 박리시 발생되는 뜯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LCC(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휴대폰, LCD TV등 전자제품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범용 핵심부품으로 해당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사용되는 그린시트를 가공함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기재로 하는 실리콘 이형필름이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의해 세라믹 적층 콘덴서 역시 소형화 및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린시트의 두께도 점점 박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그린시트의 박막화를 위해서는 세라믹 슬러리의 고형분 및 점도가 보다 낮아지는 등의 특성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얇게 코팅하여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세라믹 슬러리가 낮은 고형분으로 박막 코팅이 요구되면서, 캐리어 필름의 표면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세라믹 슬러리 코팅 후 핀홀 형태의 결점이 발생되어 MLCC가공 후 결점 부위에서 전류의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된다. 또한, 세라믹 슬러리의 불균일 코팅에 의해 그린시트 박리시 시트가 뜯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 그린시트 성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핀홀성 불량과 불균일 코팅에 의해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의 박리시 발생되는 뜯김 현상을 제거하고자 이접착 코팅 및 실리콘 코팅 공정을 거쳐 표면 거칠기 특성이 우수한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이접착 코팅층과 상기 이접착 코팅층 상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로 적어도 1회 도포된 실리콘 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으로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되,
SR ≤ 30 nm (식 1)
여기서, “SR”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하기 식 2를 더 만족하되,
MP ≤ 0.4㎛ (식 2)
여기서, “MP”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 돌기의 최대 높이의 값(Rma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하기 식 3을 더 만족하되,
RF ≤ 15 mN/30mm (식 3)
여기서, “RF”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에 그린시트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시트와 상기 실리콘 이형 코팅층 표면과의 박리력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접착 코팅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접착 코팅층의 피막 두께는 0.05 ~ 0.5 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및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린시트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 우수한 표면 거칠기 특성으로 박막 그린시트 성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핀홀성 불량과 불균일 코팅에 의해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의 박리시 발생되는 뜯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이접착 코팅층과 상기 이접착 코팅층 상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로 적어도 1회 도포된 실리콘 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으로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되,
SR ≤ 30 nm (식 1)
여기서, “SR”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하기 식 2를 더 만족하되,
MP ≤ 0.4㎛ (식 2)
여기서, “MP”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 돌기의 최대 높이의 값(Rma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그린시트가 박막화되면서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이 30 nm 이하이며, 표면 돌기의 최대 높이(Rmax)가 0.4㎛ 이하인 것이 요구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이 접착층을 도입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이 30 nm를 초과하면 그린시트 가공시 그린시트의 두께 불균일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실리콘 이형 코팅층 표면 돌기의 최대 높이(Rmax)가 0.4㎛를 초과하면 그린시트 가공시 그린시트 상에 핀홀성 불량이 발생되어 MLCC에 전기 단락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은 하기 식 3을 더 만족하되,
RF ≤ 15 mN/30mm (식 3)
여기서, “RF”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에 그린시트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시트와 상기 실리콘 이형 코팅층 표면과의 박리력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서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간의 박리력은15 mN/30mm 이하인 것이 요구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상기 이접착층을 도입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거칠기를 완화시켜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 간의 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리어 필름과 그린시트와의 박리력이 15 mN/30mm을 초과하면 그린시트와 캐리어 필름 박리시 그린시트 피막이 뜯겨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류의 제한이 없으나, 종래에 실리콘 이형코팅의 기재필름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기재는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트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 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는 동시에 생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일축 또는 이축 배향 필름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롤(Roll)간 주행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입자들을 함유한다. 첨가되는 입자는 우수한 미끄러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면 종류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 산화 실리콘, 탄산 칼슘, 황산 칼슘, 인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탄산 바륨, 카올린, 산화 알류미늄, 산화 티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에는 특 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상, 괴상, 봉상, 판상 입자 중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경도, 비중 및 색상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을 병행 사용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 5 ㎛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 ㎛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1㎛ 미만일 경우는 입자간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분산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평균 입경이 5 ㎛를 초과하면 필름의 표면 거칠기 특성이 나빠져 후 가공시 코팅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입자 함유량은 0.01 ~ 5 중량%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 범위이다. 함유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미끄러짐 특성이 나빠져 롤 간의 주행 특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함유량이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필름의 표면 평활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의 상기 이접착 코팅층(이접착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며, 다음 [화학식 1]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알콕시 실란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XRSiZ3
여기서, X는 에폭시(epoxy)기를 가지는 작용기, R은 메틸렌(methylene), 에틸렌(ethylene), 프로필렌(propylene)기 등과 같은 알킬렌기, Z는 메톡 시(methoxy), 에톡시(ethoxy)기 등과 같은 가수분해성을 갖는 작용기, 알킬기 등의 유기 작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란 커플링제의 알콕시 실란(alkoxy silane)은 예를 들면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glycidoxy propyl trimethoxy silane), γ-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 디메톡시 실란(glycidoxy propyl methyl dimethoxy silane), γ-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 디에톡시 실란(glycidoxy propyl methyl diethoxy silan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메타크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 알킬렌 글리콜, 폴리 알킬렌 이민, 셀룰로오스계, 폴리 우레탄, 및 에폭시계,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은 코팅 건조 후 피막 두께는 0.05 ~ 0.5 g/m2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 0.3 g/m2 범위이다. 피막 두께가 0.05 g/m2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거칠기를 완화 시켜주지 못하여 그린시트 가공시 핀홀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피막 두께가 0.5 g/m2을 초과하면 이접착층의 레벨링성이 나빠져 그린시트의 두께 균일도가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은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다이 코팅 등, 종래 공지의 코팅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중 코팅하는 방법인 인-라인 코팅 법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후 코팅하는 방법인 오프-라인 코팅 법으로도 실시 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및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구성 중 상기 알케닐폴리실록산은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에 특별히 한정하여 사용하지는 않는다. 상기 알케닐폴리실록산은 분자 내에 알케닐기를 함유하며, 알케닐기가 분자 중의 어느 부분에 존재하여도 좋으며, 최소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구조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이라도 좋으며, 직쇄와 분지가 함께 있는 구조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구성 중 경화제로는 부가형, 축합형, 자외선 경화형 등 어느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에 특별히 한정하여 사용하지는 않는다. 상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어느 쪽이라도 좋으며, 이들의 혼합물도 좋다. 또한 점도나 분자량도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알케닐폴리실록산과의 상용성이 양호하여야 하며, 사용량은 상기 알케닐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하이드로전기가 1.0 내지 2.0개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케닐 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 1개에 대하여 실리콘 원자에 결합한 수소원자가 1.0개 미만인 경우 양호한 경화성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0개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후 의 탄성이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전체 고형분0.5 ~ 3 중량%가 되도록 용매에 희석한 후 상기 이접착층 상에 코팅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본 발명의 고형분을 분산시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종류의 제한은 없다.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 균일한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아 그린시트 성형 후 캐리어 필름과의 박리시 그린시트의 뜯김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실리콘 코팅층의 레벨링 불균일로 그린시트의 두께 균일도가 나빠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이접착 코팅 필름의 제조>
제조예 1: 이접착 코팅필름 A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된 면에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 실란 커플링제 100중량부를 용제로 물을 사용하여 고형분 1.0 중량%로 조제한 이접착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피막 두께 0.05 g/m2의 이접착 코팅 필름 A1를 얻었다.
제조예 2: 이접착 코팅필름 A2
제조예 1에 있어서, 고형분 3.0 중량%로 조제한 이접착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피막 두께 0.15 g/m2 의 이접착 코팅 필름 A2를 얻었다.
제조예 3: 이접착 코팅필름 A3
제조예 1에 있어서, 고형분 6.0 중량%로 조제한 이접착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피막 두께 0.3 g/m2 의 이접착 코팅 필름 A3를 얻었다.
제조예 4: 이접착 코팅필름 A4
제조예 1에 있어서, 고형분 10.0 중량%로 조제한 이접착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피막 두께 0.5 g/m2 의 이접착 코팅 필름 A4를 얻었다.
제조예 5: 이접착 코팅필름 A5
제조예 1에 있어서, 고형분 15.0 중량%로 조제한 이접착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피막 두께 0.7 g/m2 의 이접착 코팅 필름 A5를 얻었다.
[실시예1]
이접착 코팅필름 A1의 코팅층에 알케닐폴리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전폴리실록산 5 중량부, 백금 킬레이트 촉매 50 ppm을 톨루엔(Toluene)과 MEK 1:1 용액에 희석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 중량%인 실리콘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여 10 미크론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80 ℃ 열풍 건조기에서 20초간 열처리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이접착 코팅필름 A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이접착 코팅필름 A3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4]
이접착 코팅필름 A4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1]
어떠한 처리도 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이접착 코팅필름 A5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실리콘 이형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이 0.3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4]
실리콘 이형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이 5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한 물성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실험예 1; 표면 거칠기 측정]
3차원 표면 조도 측정기(KOSAKA社: 모델명SE3500K31)을 사용하여 선단반경 5㎛, 침압 30 mg, 측정 길이 0.5 mm, CUTOFF치 0.25 mm 조건으로 분석하여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값과 표면돌기의 최대 높이(Rmax)와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그린시트 박리력 측정]
<세라믹 조성물 제조>
세라믹 분체(티탄산바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폴리비닐 부타랄 수지) 5중량부를 톨루엔과 MEK 1:1 혼합 용매 10 중량부에 희석한다.
<그린시트 제조>
상기 세라믹 조성물을 시료 필름의 이형코팅 면에 WET 두께 10㎛ 수준으로 코팅 및 건조하여 그린시트를 제조한다.
<박리력 분석 시료 준비>
그린시트/시료필름 합지 샘플을 30 mm x 150mm 크기로 준비한다.
- 측정 기기: chem-instrument AR-1000
- 측정 방법: 180° 박리각도, 박리속도 12 in/분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mN/30mm 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산출
[표 1]
구분 중심선 조도
(nm)
돌기 최대 높이
(㎛)
박리력
(mN/30mm)
실시예 1 26 0.32 12
실시예 2 24 0.26 11
실시예 3 18 0.31 11
실시예 4 15 0.28 10
비교예 1 39 0.59 18
비교예 2 35 0.39 16
비교예 3 28 0.37 31
비교예 4 37 0.39 18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는 우수한 표면 거칠기 특성으로 그린시트에 대한 박리 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 거칠기 특성이 불량한 비교예 1, 2, 4와 이형조성물 함량이 부족한 비교예 3의 경우 그린시트에 대한 박리 안정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이접착 코팅층과 상기 이접착 코팅층 상에 실리콘 이형 조성물로 적어도 1회 도포된 실리콘 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으로서,
    하기 식 1, 2, 3을 만족하되,
    SR ≤ 30 nm (식 1)
    MP ≤ 0.4㎛ (식 2)
    RF ≤ 15 mN/30mm (식 3)
    여기서, “SR”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Ra), “MP”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 돌기의 최대 높이의 값(Rmax), “RF”는 상기 실리콘 이형코팅층 표면에 그린시트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시트와 상기 실리콘 이형 코팅층 표면과의 박리력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 코팅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 코팅층의 피막 두께는 0.05 ~ 0.5 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형 조성물은 알케닐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및 백금킬레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1020090132116A 2009-12-28 2009-12-28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10114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116A KR101140413B1 (ko) 2009-12-28 2009-12-28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116A KR101140413B1 (ko) 2009-12-28 2009-12-28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621A KR20110075621A (ko) 2011-07-06
KR101140413B1 true KR101140413B1 (ko) 2012-05-03

Family

ID=449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116A KR101140413B1 (ko) 2009-12-28 2009-12-28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82B1 (ko) 2018-01-02 2018-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8047B2 (ja) * 2014-02-28 2017-10-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剥離フィルム、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グリーン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139A (ko) * 1998-05-11 1999-12-27 구기사와 도시로 그린시트성형용이형필름
JP2006289670A (ja) * 2005-04-07 2006-10-26 Toray Advanced Film Co Ltd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139A (ko) * 1998-05-11 1999-12-27 구기사와 도시로 그린시트성형용이형필름
JP2006289670A (ja) * 2005-04-07 2006-10-26 Toray Advanced Film Co Ltd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82B1 (ko) 2018-01-02 2018-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62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9329B2 (ja) 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CN113924343B (zh) 离型膜
JP476571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80232B2 (ja)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1661A (ja) 離型フィルム
TWI577550B (zh) Demoulding film
KR101140413B1 (ko)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101200556B1 (ko)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JP5346679B2 (ja) 離型フィルム
JP5346640B2 (ja) 離型フィルム
JP5319328B2 (ja) 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6820904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7677682A (zh) 离型膜
JP5689579B2 (ja) 離型フィルムロール
JP5378703B2 (ja) 離型フィルム
KR101522942B1 (ko) 세라믹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102187268B1 (ko) 이형필름 및 상기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20120045213A (ko) 그린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KR101459722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제조용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9184339A (ja) 離型フィルム
JP2003238706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132281B1 (ko) 그린시트 성형용 이형필름
JP4391858B2 (ja)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KR101880182B1 (ko) 이형필름
CN114683646B (zh) 聚酯离型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