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82B1 -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82B1
KR101139082B1 KR1020067005829A KR20067005829A KR101139082B1 KR 101139082 B1 KR101139082 B1 KR 101139082B1 KR 1020067005829 A KR1020067005829 A KR 1020067005829A KR 20067005829 A KR20067005829 A KR 20067005829A KR 101139082 B1 KR101139082 B1 KR 10113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unit
information
dosage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419A (ko
Inventor
아끼오 우찌야마
히로노부 다끼자와
히데따께 세가와
히로나오 가와노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82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01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89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310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7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8720B2/ja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Abstract

이 캡슐 투약 시스템은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한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외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통신부를 갖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을 입력하는 조건 입력부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얻은 정보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갖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약제 방출부를 제어한다.
케이싱, 투약용 캡슐, 약제 유지부, 약제 방출부, 조건 입력부, 정보 취득부

Description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 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CAPSULE DOSING SYSTEM, DOSING METHOD USING CAPSULE DO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APSULE DOSING SYSTEM}
본 발명은, 생체 내의 표재 질환(superficial disorder) 등의 환부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 내의 표재 질환 등의 목적 부위에,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 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4년 5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4-157590호, 2003년 9월 2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3-338260호, 및 2003년 10월 2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3-368918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환자에 대하여 약제의 과잉 투여, 부작용을 억제하여, 보다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약품을 투여하는 수단으로서, 약제 송달 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약제 송달 시스템은 의약품의 생물활성, 부작용, 환부에의 표적 지향 (targeting), 약제의 방출 제어(control release), 약제의 흡수 개선, 약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대사활성 등을 조정하여, 생체 내의 표재 질환에 대하여 필요한 양의 약제를 필요한 시간만큼 작용시켜, 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약제 송달 시스템은 질환 종류에 따라서 이용되는 기술이 다른 것이며, 예컨대 환부인 표재 질환이 악성 종양인 경우에는 표적 지향, 방출 제어 등의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표재 질환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X선 CT 장치, MRI 장치(자기 공명 촬상 장치), 핵의학 장치(감마 카메라, SPECT나 PET), 초음파 진단 장치, 내시경 장치 등의 각종 진단 장치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의사 등이 환부를 특정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상술한 표재 질환이나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 의료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공되어 있으며, 예컨대 생체 내의 각부를 무작위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나, 생체 내에서 샘플 등을 채취하는 것이나, 약제를 방출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로서, 체내의 원하는 위치(대장)에서 발포제를 꺼내어 생체 내의 관강 부분을 확장한 후, 촬상을 하는 캡슐 내시경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8424호 공보(단락 번호 0006 내지 0049 단락, 도1 내지 도5) 참조의 것].
상기 캡슐 내시경은, 한쪽의 단부면 측에 투명 또한 반구형의 투명 부재를 갖고, 다른 쪽의 단부면 측에 반구형의 메쉬 부재를 갖는 캡슐 형상으로 형성된 캡 슐 프레임을 갖는다.
또한, 캡슐 프레임의 내부이며 투명 부재의 안쪽에는, 생체 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LED 및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 광학계를 갖는다.
또한, 캡슐 프레임에는 외표면으로 노출되도록 pH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pH 센서로 검출된 pH값은 제어 처리 회로로 이송되어, pH값의 변화로부터 대장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송신 안테나로부터 체외를 향해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촬상 광학계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도, 소정 처리된 후, 송신 안테나로부터 체외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쉬 부재의 안쪽에는 초음파의 조사에 의해 파괴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에는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발포제가 내장되어 있다.
이 캡슐 내시경에 의해 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환자는 우선 캡슐 내시경을 삼켜 체내에 투입한다. 투입된 캡슐 내시경은, pH 센서로 체내의 pH값을 검출하면서 소화 기관을 이동한다. 여기서, 대장에 달하면, 제어 처리 회로는 pH 센서에 의해 검출된 pH값의 변화에 의해 대장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송신 안테나로부터 체외로 그 취지를 알린다. 이 송신된 신호를, 체외에서 의료 스태프 등이 수신하면, 의료 스태프 등은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체내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한다. 초음파가 조사되면, 마이크로 캡슐이 파괴되기 때문에 내부의 발포제가 메쉬 부재로부터 대장 내로 방출된다.
그리고 발포제는, 대장 내의 수분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하여, 대장 내를 확장한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에서 확장된 대장 내를 광범위에 걸쳐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술한 캡슐 내시경은 체내의 원하는 위치(대장)에서 마이크로 캡슐로부터 발포제를 방출한다고 하는 상술한 표적 지향, 방출 제어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캡슐형 의료 장치는 간편하게 환자의 체내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약제 송달 시스템 중 하나의 수단으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캡슐 내시경은, 간편하게 체내를 검사할 수 있지만, 상기 캡슐 내시경에 의해 취득한 생체 정보, 예컨대 생체 샘플이나 촬상 화상 등을 기초로 하여, 생체 내의 어떤 위치에 환부가 존재하고 있는지, 혹은 상기 환부에 대하여 투약이 필요한지 여부 등의 진단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X선 CT 장치 등의 실적이 있는 진단 장치를 이용하여 의사 등이 생체 내를 진단하는 동시에 환부의 특정을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생체 내의 환부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진단하였다고 해도, 상기 진단 결과를 캡슐 내시경에 반영시키기 어렵고, 진단 장치 및 캡슐 내시경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상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캡슐 내시경은, 생체 내의 소정 위치인 대장에 달했을 때에 생체 밖으로 그 취지의 신호를 보내어, 상기 신호를 받아 생체 밖에서 보내져 온 초음파에 의해 발포제를 대장 내로 방출하므로, 소정 위치에 달하고 나서 발포제를 방출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한 것이었다. 이 캡슐 내시경에 있어서는, 발포제를 방출하는 피대상물이 길이를 갖는 대장이므로, 대장에 달하고 나 서 발포제를 방출하는 시간의 영향을 엄격히 고려하지 않아도 좋지만, 예컨대 생체 내의 표재 질환 부근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재 질환을 발견하고 나서 반응할 때까지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작동했을 때에는 원하는 범위를 너무 통과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발포제 대신에 약제를 채용했다고 해도, 생체 내의 표재 질환에 대하여 직접 투약을 하기 위해서는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적이 있는 진단 장치 등에 의한 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생체 내의 표재 질환 등의 원하는 부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 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캡슐 투약 시스템이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한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외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를 갖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을 입력하는 조건 입력부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얻은 정보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약제 방출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어되는 캡슐 투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외부 장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케이싱 내에,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관찰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관찰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통신부가 상기 비교부의 비교 판단 결과를 받아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를 향해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관찰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생체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외부 통신부가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비교부가 상기 외부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투약한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를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외부 통신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가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생체 내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고,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생체 내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여,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접촉한 생체의 경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가 자기의 위치 정보 및 환부의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또한 상기 센서가 측정한 생체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슐 투약 시스템이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장치가 특정된 상기 환부의 위치에 마커를 실시하는 마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상기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마커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방출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마커 수단이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부에 상기 마커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마커 수단이 생체 밖으로부터 생체 내를 향해 지향성을 갖고 상기 생체 내를 투과하는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를 상기 환부에 조사하는 조사 장치이며,
상기 마커 검출부가 상기 초음파 또는 상기 전자기파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의 정보로부터 관강 내의 주행 거리를 구하는 주행 거리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정보 취득부가 이동 거리 검출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건 입력부가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간략화, 혹은 근사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 정보를 취득하는 경체(經體)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에, 생체 내 부위와 체외 부위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체외 마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의 투시상을 취득하는 투시상 취득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시상 취득 장치가 X선 관찰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시상 취득 장치가 PET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층상 취득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층상 취득 장치가 복수의 단층상으로부터 생체 내의 3차원 화상을 취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층상 취득 장치가 CT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층상 취득 장치가 MRI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층상 취득 장치가 초음파 단층 관측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내로 삽입하는 체내 삽입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삽입부에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체내 지표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체내에 지표가 되는 지표 액체를 토출 혹은 국부 주입하는 지표 액체 유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표 액체가 색소 혹은 형광 색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표 액체가 방사성체 혹은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표가 생체 체강 내 조직에 대하여 반사율의 차이가 있는 지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내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시경 장치에, 상기 체내 삽입부의 체내에의 삽입 길이를 검출하는 삽입량 검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시경 장치에,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체내 지표 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지표가 금속제의 클립 혹은 스텐트(stent)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삽입부가 생체 내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한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에,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한 생체 내강벽의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케이싱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관찰용 계측 수단과, 상기 관찰용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기록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방출부를 구비한 투약용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 케이싱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투약용 계측 수단과, 상기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케이싱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관찰용 계측 수단과, 상기 관찰용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외부 장치를 향해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갖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수신된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방출부를 구비하는 투약용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케이싱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투약용 계측 수단과, 상기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케이싱에, 자기의 위치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는 위치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위치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방출부를 구비하는 투약용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케이싱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투약용 계측 수단과, 상기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에,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관찰용 계측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로서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생체 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로서 생체 내의 출혈을 검출하는 혈액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에,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체내 지표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상기 지표를 체내에 간헐적으로 남기고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상기 지표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토출 혹은 국부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상기 지표를 일정 거리 간격으로 토출 혹은 국부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체강 내에 남긴 지표를 검출하는 지표 검출 수단과, 상기 지표 검출 수단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약제 방출부를 제어하는 방출 제어 장치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상기 체내 지표 장치의 동작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통신부를 갖고, 상기 외부 통신부에서 외부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슐 투약 시스템이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의 케이싱 내에,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된 상기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상기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방출 제어 장치와; 약제 방출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검출하는 지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표 검출 수단이 생체 내에 실시된 복수의 마킹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방출 제어 장치가 상기 특정한 마킹을 상기 마킹의 수로서 미리 기억하는 메모리를 갖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마킹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수와 일치했을 때에 상기 방출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슐 투약 시스템이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의 케이싱과;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상기 체내 지표 장치로 체강 내에 남긴 상기 지표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장치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상기 마킹 수단으로 생체 내에 남긴 지표 정보를 관련시키는 정보 처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슐 투약 시스템이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 방법이며,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부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조건 입력부를 거쳐서 외부 장치에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을 입력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 입력된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과,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비교부에 있어서 비교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외부 장치의 외부 통신부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통신부를 거쳐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로 송신하고; 약제 유지부로 유지한 약제를 약제 방출부로부터 방출시키는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에 구비되는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체외로부터 생체 내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에 구비되는 체내 삽입부를 체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체내 삽입부에 구비되는 체내 지표 장치에 의해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서, 체내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내시경 장치를 사용하여 생체 내에 지표를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서, 체내 삽입부를 갖는 생체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한 캡슐형 의료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생체 내의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생체 내에서의 투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투약 위치 근방에 지표를 남기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수단과, 약제 유지부와, 약제 방출부와, 방출 제어 장치를 갖는 투약용 캡슐을 체강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방출부의 제어를 하는 단계를 갖는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생체 내의 정보를 얻는 단계와; 지표를 생체 내에 남기는 단계와; 생체 내의 정보를 얻는 단계에서 얻은 생체 정보와, 지표를 생체 내에 남기는 단계를 행한 것을 관련지어 생체 정보로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투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수단과, 약제 유지부와, 약제 방출부와, 방출 제어 장치를 갖는 투약용 캡슐에 투약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투약용 캡슐을 체강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투약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방출부의 제어를 하는 단계를 갖는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경구 투입된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생체 내를 이동하면서 통신부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한다. 한편, 정보 취득부는 생체로부터 각종 정보의 취득을 한다. 여기서, 비교부는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정보와, 조건 입력부에 의해 외부 장치에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 조건을 비교하여, 예컨대 취득된 정보와 입력된 조건이 일치했을 때에, 투약이 필요한 환부의 위치에 캡슐형 의료 장치가 도달하였다고 판단을 한다. 이것을 받아 외부 장치는, 캡슐형 의료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여,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를 방출시킨다. 이에 의해,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위치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원하는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조건 입력부에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외부 장치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투약이 필요한 부위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체외 장치에 3차원 마커를 부착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체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5는 캡슐 투약 시스템의 특정 장치에 의해 환부의 특정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6은 투약용 캡슐을 경구 투입하여 환부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체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0은 투약용 캡슐을 경구 투입하여 환부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의 특정 장치에 의한 환부의 위치 정보 및 변환 후의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도1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6은 도15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의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5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구성 물품인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도이다.
도18은 도17에 나타내는 퍼스널 컴퓨터의 관찰 정보 수신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19는 도15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20은 도19에 나타내는 투약용 캡슐의 단면도이다.
도21a, 도21b는 도19에 나타내는 투약용 캡슐의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22는 캡슐형 의료 장치에 의해 체내에 마킹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은 10번째의 마킹과 11번째의 마킹 사이에 환부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는 투약용 캡슐이 10번째의 마킹(특정한 마킹)을 검출하여, 약제를 꺼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는 일정한 이동 거리 간격으로 마킹을 실시하는 경우에 부착하는 것이며, 도16에 나타내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케이싱 내에 부착하는 관찰용 계측 수단의 하나의 구성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7은 도26에 나타내는 투약용 캡슐의 계측부의 구성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9는 도28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관찰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0은 도28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체외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32는 도3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3은 도3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35는 도34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관찰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6은 도35에 나타내는 관찰용 캡슐의 관찰용 계측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37은 도34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8은 관찰용 캡슐을 경구 투입하여,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거리를 특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9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부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40은 도39의 흐름도의 계속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7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2는 도41에 나타내는 투약용 캡슐이 소화관 내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8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4는 도43에 나타내는 삽입부(102)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마커 수단에 의해 소화관 내강 벽에 클립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5는 도43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6은 다른 마커 검출부(형광 센서)를 갖는 투약용 캡슐이 소화관 내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7은 마커 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체외로부터 체내의 환부를 향해 초음파 또는 적외선 레이저 등의 전자기파를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8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49는 도48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0a 및 도50b는 도48에 나타내는 캡슐형 의료 장치에서 사용하는 처치구를 이용하여, 체강 내에 내시경용 클립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8 실시 형태의 다른 하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52는 도51에 나타내는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관찰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3은 특정 장치의 다른 일례인 PET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54는 도53에 나타내는 PET 장치의 방사선 검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5는 도53에 나타내는 PET 장치를 사용할 때에 경구 투입하는 투약용 캡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6은 특정 장치의 다른 일례인 3차원 CT 장치를 사용할 때에, 환부의 3차원 화상을 얻기 위한 서페이스 렌더링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7은 투약용 캡슐에 마킹제 혹은 물약 토출용의 주사 바늘을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1)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10)과, 체외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투약용 캡슐(10)은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된 후에 생체 내에서의 자기의 위치 정보를 체외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12)를 갖는다. 체외 유닛(30)은 투약이 필요한 환부(X)(도3 참조)와,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투약 위치 특정 장치)(31)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 장치(31)로서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이하, X선 CT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또, 특정 장치(31)로서는 본 실시 형태의 X선 CT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MRI, PET, X선 관찰 장치, 초음파 관측 장치 등의 여러 가지 의료 진단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투약용 캡슐(1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의 케이싱(11) 내부에, 정보 송신부(12)와, 약제 A를 유지하는 리저버(약제 유지부)(13)와, 리저버(13)로 유지된 약제 A를 방출하는 방출부(약제 방출부)(14)와, 체외 유닛(30)으로부터 송신된 방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5)와, 수신부(15)가 방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방출부(14)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6)와, 이들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통신부(12) 및 수신부(15)는 통신부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싱(1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 측의 내부에는, 벽부(11a)와 케이싱(11)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리저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리저버(13)에는, 체액 도입 관로(21)와, 약제 방출 관로(23)가 접속되어 있다. 체액 도입 관로(21)는 케이싱(11)의 외표면에 개방하는 체액 도입구(20)를 갖고, 약제 방출 관로(23)는 케이싱(11)의 외표면에 개방하는 약제 방출구(22)를 갖는다. 체액 도입구(20) 및 약제 방출구(22)는 케이싱(11)의 일단부 측의 주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체액 도입 관로(21)에는, 관로에 대하여 접근 이격함으로써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약제 방출 관로(23)에 도, 마찬가지의 개폐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체액 도입구(20), 체액 도입 관로(21), 약제 방출구(22), 약제 방출 관로(23), 및 양 개폐 밸브(24, 25)는 상기한 방출부(14)를 구성하고 있다.
리저버(13)의 내부에는, 약제 A에 부가하여 수분에 닿으면 반응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발포제 등의 팽창성 약제 B가 수납되어 있다. 약제 A는 약제 방출 관로(23) 측에 수납되고, 팽창성 약제 B는 약제 A에 인접하도록, 체액 도입 관로(21) 측에 수납되어 있다. 약제 A는 개폐 밸브(24, 25)를 개방하여, 케이싱(11)의 외부로부터 리저버(13)의 내부에 체액(F)을 도입하여 팽창성 약제 B와 반응시켜, 팽창성 약제 B를 팽창시켜 리저버(13) 내부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케이싱(11)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 리저버(13)의 내부에 약제 A를 수납할 때에는, 처음에 팽창성 약제 B를 넣고, 그 후 약제 A를 약제 방출구(22)로부터 도입하여 팽창성 약제 B를 체액 도입구(20)로부터 넘치게 함으로써, 리저버(13)의 내부에 약제 A를 고밀도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6)는 방출 신호를 받아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킨다. 또, 양 개폐 밸브(24, 25)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양 관로(21, 23)를 폐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정보 송신부(12)는 투약용 캡슐(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체외로 송신한다.
특정 장치(3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32)와, 검출기(33)와, 퍼스 널 컴퓨터(이하, PC)(34)를 구비하고 있다. 침대(32)는 환자(P)를 태운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검출기(33)는 침대(32)를 타고 이동하는 환자(P)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조사한 X선을 검출하여 환자(P)의 단층상 등의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또, 검출기(33)는 환자(P)의 단층상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3차원상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PC(34)는 검출기(33)에 의해 취득된 화상 정보에 대해 화상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하는 동시에, 침대(32)의 이동 및 검출기(33)의 작동 등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PC(34)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34a)를 갖는다. 의사 등은, 표시 모니터(34a)에 표시된 화상에 의거하여 진단하여, 환부(X)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외 유닛(30)은,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체외에 장착되는 체외 장치(외부 장치)(35)를 구비하고 있다. 체외 장치(35)는 벨트(35a) 등에 부착되어 있고, 이 벨트(35a)를 환자(P)에게 장착함으로써 환자(P)의 체외에 장착된다. 체외 장치(35)의 외부에는, 착탈 가능한 3차원 마커(40)가 부착된다[또, 3차원 마커(40)는 체외 장치(35)의 내부에 배치해도 좋음]. 3차원 마커(40)는 3개의 축 부재, 즉 Z축 부재(41), X축 부재(42), 및 Y축 부재(43)와, 4개의 구형상 부재(44, 45, 46, 47)를 갖는다. 4개의 구형상 부재(44, 45, 46, 47)는 X선 비 투과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각각 지름의 크기가 다르다.
Z축 부재(41)는 환자(P)를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Z축 부재(41)의 대략 중앙에는 구형상 부재(44)가 마련되고, Z축 부재(41)의 선단부에는 구형상 부 재(44)보다도 지름이 작은 구형상 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구형상 부재(44)에는 Z축 부재(41)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X축 부재(42)가 접속되어 있다. X축 부재(42)의 선단부에는, 구형상 부재(45)보다도 지름이 작은 구형상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형상 부재(44)에는 Z축 부재(41) 및 X축 부재(42) 중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Y축 부재(43)가 접속되어 있다. Y축 부재(43)의 선단부에는, 구형상 부재(46)보다도 지름이 작은 구형상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3차원 마커(40)는 특정 장치(31)를 사용하여 환부(X)를 특정할 때에 체외 장치(35)에 부착된다. 의사 등은, 특정 장치(31)를 사용하여 환부(X)를 특정한 후, 환부(X)와 3차원 마커(40)의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와의 상관 위치에 의거하여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마커(40)는 체외 장치(35)에 투약용 캡슐(10)의 방출부(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건을 입력하는 조건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환부(X)의 위치 특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체외 장치(35)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외 수신부(50)와, 판단부(51)와, 체외 송신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체외 수신부(50)는 투약용 캡슐(10)의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한다. 판단부(51)는 체외 수신부(50)가 수신한 전파의 수신 방향 및 전파 레벨, 및 특정 장치(31)에 의해 특정된 환부(X)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용 캡슐(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체외 송신부(52)는, 투약용 캡슐(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투약용 캡슐(10)을 향해 방출 신호 를 송신한다.
체외 수신부(50) 및 체외 송신부(52)는, 투약용 캡슐(10)과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를 구성하고 있다. 판단부(51)는 조건 입력부으로부터 입력된 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에, 취득한 정보와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된 조건을 비교하는 비교부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체외 장치(35)는 특정 장치(31)에 의해 특정된 환부(X)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53)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53)에는, PC(34)에 의해 환부(X)의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판단부(51)는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술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1)을 사용하여, 환자(P)의 체내 환부(X)에 약제 A를 투여하는 작업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의료 기관 등에서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등의 지시에 따라 체외 장치(35)를 장착한다(S1). 다음에, 체외 장치(35)에 3차원 마커(40)를 부착하고(S2), 침대(32) 위에 눕는다. 의사 등은, PC(34)를 사용하여 침대(32)를 검출기(33) 내에 넣도록 이동시키는 동시에, 검출기(33)를 작동시켜 환자(P)의 X선 촬영을 한다. 이때, 적어도 다른 2 방향으로부터 X선 촬영을 한다(S3). 바람직하게는, CT 스캐닝을 하여 3차원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촬영한다. 또한, 이 3차원 화상으로부터, 상기 2 방향으로부터의 X선 투과상과 동등한 화상을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촬영 후, 의사 등은 검출기(33)에 의해 촬영한 화상 정보를 PC(34)에 도입하여(S4), 화상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한 후에, 그 화상을 표 시 모니터(34a)에 표시시킨다.
이때, 표시 모니터(34a)에 표시된 화상에는 3차원 마커(40)의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고, 그 지름의 차이에 의해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가 인식된다(S5).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가 인식되었다면,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의 중심 위치, 중심간 거리에 의거하여 환자(P)의 어떤 방향으로부터 촬영하였는지가 산출된다(S6). 의사 등은, 표시 모니터(34)에 표시된 화상에 의거하여 체내의 진단을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를 특정한다(S7).
환부(X)의 특정 후, 의사 등은 상기 환부(X)의 위치 특정을 한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2 방향으로부터 촬영을 행하고 있으므로, 각 구형상 부재(44, 45, 46, 47)와 상기 환부(X)와의 상관 관계에 의해 3차원 마커(40)를 기준으로 한 환부(X)의 위치가 특정된다(S8). 또한, 3차원 마커(40)와 체외 장치(35)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체외 장치(35)에 대한 환부(X)의 위치가 특정된다(S9).
의사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환부(X)와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한 후, 환부(X)의 위치 정보를, PC(34)를 사용하여 체외 장치(35)의 메모리(53)에 입력하여 기록한다(S10). 즉, 체외 장치(35)에 방출부(14)를 동작시키는 조건의 입력을 한다. 한편, 환자(P)는 특정 장치(31)에 의한 X선 촬영이 종료된 후, 3차원 마커(40)를 체외 장치(35)로부터 떼어내는 동시에, 투약용 캡슐(10)을 의사 등으로부터 입수하여 경구 투입한다(S11). 또, 투약용 캡슐(10)의 입수 후, 환자(P)는 의료 기관을 벗어나도 상관없다.
환자(P)는 투약용 캡슐(10)을 경구 투입할 때, 투약용 캡슐(10)의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켜고, 투약용 캡슐(10)을 작동 상태로 한다. 투약용 캡슐(10)을 작동 상태로 하면, 전지(17)로부터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이 공급된다. 투약용 캡슐(10)은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체외로 전파를 송신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에서 수신되어, 판단부(51)로 보내어진다. 판단부(51)는 송신되어 온 전파의 수신 방향 및 수신 레벨 등에 의해, 체외 장치(35)에 대한 투약용 캡슐(10)의 위치를 산출한다(S12). 또한, 판단부(51)는 산출된 투약용 캡슐(1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의 위치 정보로부터 투약용 캡슐(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 여기서,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10)의 위치 정보와 환부(X)의 위치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체내를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한다. 즉, 판단부(51)는 방출 신호를 거쳐서 방출부(14)의 제어를 한다.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방출 신호는 투약용 캡슐(10)의 수신부(15)에서 수신되어, 제어부(16)로 보내어진다. 제어부(16)는 방출 신호를 받아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켜, 체액 도입 관로(21) 및 약제 방출 관로(23)를 개방한다. 체액 도입 관로(21) 및 약제 방출 관로(23)가 열리면, 체액(F)이 체액 도입구(20)로부터 체액 도입 관로(21)를 통해 리저버(13)의 내부에 유입하여, 팽창성 약제 B로 스며든다. 체액(F)이 스며듦으로써 팽창성 약제 B가 팽창하여, 그 팽창 압력에 의해 약제 A가 리저버(13)로부터 밀어내어지고, 약제 A가 약제 방출 관로(23)를 통해 약제 방출구(22)로부터 케이싱(11)의 외부로 방출된다(S14). 이에 의해, 특정 장치(31)에 의해 특정된 환부(X)의 위치로 약제 A가 방출되므로, 환부(X)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할 수 있다.
특정 장치(31)가 복수의 환부(X)를 특정한 경우에는 각각의 환부(X)의 위치를 메모리(53)에 기록해 두고, 모든 환부(X)의 위치에 약제 A를 투여한다. 이 경우에는,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10)이 모든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모든 환부(X)의 위치에서 투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작동을 정지한다(S15). 그 후, 투약용 캡슐(10)은 배출되어 회수된다(S16).
상술한 캡슐 투약 시스템(1)에 따르면, 체외 유닛(30)이 특정 장치(31)로서 채용한 X선 CT 장치에 의해 환부(X)와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한다. 환부(X)와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한 후, 판단부(51)는 체외 수신부(50)가 수신한 투약용 캡슐(10)의 위치 정보와, 특정 장치(31)에 의해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용 캡슐(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투약용 캡슐(10)은 판단부(51)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부(X)의 위치로 약제 A를 방출한다. 즉, 특정 장치(31)로서 채용한 X선 CT 장치로 특정한 환부(X)의 위치 정보를, 투약용 캡슐(10)에 반영시킬 수 있어, 환부(X)의 위치로 약제 A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환부(X)에 대하여 확실하면서도 또한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를,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판단부(51)가 투약용 캡슐(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투약용 캡슐(10)에 방출 신호를 송신하여 투약을 행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판단부(51)가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1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체외 장치(35)로부터 투약용 캡슐(110)에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하고, 투약용 캡슐(110)에 생체 정보를 취득시켜, 그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투약용 캡슐(110)에 방출 신호를 송신하여 투약을 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101)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110)과 체외 유닛(130)을 구비하고 있다.
투약용 캡슐(110)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내부에, 체내의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관찰 장치(관찰부)(61)를 구비하고 있다. 관찰 장치(61)는 대물 렌즈(62)와, CMOS 이미저(imager) 등의 촬상 소자(63)와, LED(64)를 갖는다. 대물 렌즈(62)는 케이싱(11)의 일단부 측에 마련된 투명 커버(11b)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63)는 대물 렌즈(62)의 결상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LED(64)는 대물 렌즈(62)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어, 조명광을 조사하여 대물 렌즈(62)의 시야 범위를 조명한다.
투약용 캡슐(110)에 구비되는 수신부(15)는 방출 신호 외에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하게 투약용 캡슐(110)에 구비되는 제어부(16)는, 수신부(15)가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관찰 장치(61)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하게 투약용 캡슐(110)에 구비되는 정보 송신부(12)는 관찰 장치(61)가 취득한 생체 정보(촬상 화상)를 생체 밖[체외 장치(35)]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체외 유닛(130)의 체외 장치(35)에 구비되는 체외 송신부(52)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단부(51)의 판단 결과, 즉 투약용 캡슐(1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하게 체외 장치(35)에 구비되는 체외 수신부(50)는, 위치 정보 외에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하게 체외 장치(35)에 구비되는 판단부(51)는, 체외 수신부(50)가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투약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투약용 캡슐(110)을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체외 송신부(52)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판단부(51)는 투약의 판단 시, 이송되어 오는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를 평가하여, 예컨대 적색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그 부위가 투약이 필요한 출혈 부위[환부(X)]라고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101)을 사용하여,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약제 A를 투여하는 작업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의사 등은 특정 장치(31)를 사용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와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한 후, 환부(X)의 위치 정보를 PC(34)를 사용하여 체외 장치(35) 의 메모리(53)에 입력하여 기록한다. 그 후, 환자(P)는 투약용 캡슐(110)을 경구 투입한다(S20).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110)은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체외로 전파를 송신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로 수신되어, 판단부(51)로 이송된다. 판단부(51)는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송신되어 온 전파의 수신 방향 및 수신 레벨 등에 의해, 체외 장치(35)에 대한 투약용 캡슐(110)의 위치 산출을 한다(S21). 다음에, 판단부(51)는 산출된 투약용 캡슐(11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의 위치 정보로부터 투약용 캡슐(7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110)의 위치 정보와 환부(X)의 위치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체내를 향해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한다.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생체 정보 취득 신호는, 투약용 캡슐(110)의 수신부(15)에서 수신되어, 제어부(16)로 이송된다. 제어부(16)는 이것을 받아 관찰 장치(71)를 작동시켜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S23). 관찰 장치(61)는 LED(64)에 의해 대물 렌즈(62)의 시야 범위에 조명광을 조사하여, 대물 렌즈(62) 및 촬상 소자(63)에 의해 환부(X) 부근을 촬상한다. 또한 관찰 장치(61)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는,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체외로 송신된다(S24).
송신된 생체 정보는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에서 수신되어, 판단부(51)로 이송된다. 판단부(51)는 이송되어 오는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X)를 인식한다(S25). 그리고, 예컨대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적색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검출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그 부위가 투약이 필요한 환부(X)라고 판단한다(S26).
판단부(51)는 투약이 필요한 환부(X)라고 판단하면,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체내를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한다.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방출 신호는 투약용 캡슐(110)의 수신부(15)에 수신되어, 제어부(16)로 이송된다. 제어부(16)는 방출 신호를 받아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켜, 약제 A를 방출한다(S27).
특정 장치(31)가 복수의 환부(X)를 특정한 경우에는, 각각의 환부(X)의 위치를 메모리(53)에 기록해 두고, 모든 환부(X)의 위치에 약제 A를 투여한다. 이 경우,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10)이 모든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모든 환부(X)의 위치에서 투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작동을 정지한다(S28). 그 후, 투약용 캡슐(110)은 배출되어 회수된다(S29).
상술한 캡슐 투약 시스템(1)에 따르면, 투약용 캡슐(110)이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한 후, 판단부(51)가 환부(X)의 위치에 있어서 관찰 장치(61)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하기 때문에, 훨씬 정확하게 환부(X)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또한, 관찰 장치(61)는 상시 작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환부(X)의 위치에 달하여 체외 장치(35)로부터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작동하므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찰 장치(61)에 의해 생체 정보의 취득을 할 수 있으므로, 투약에 의한 경과 관찰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찰부로서 생체 내를 촬상하는 관찰 장치(61)를 채용했지만, 관찰부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pH나 혈액 등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채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판단부는 취득한 pH값이나 혈액 중의 성분 등을 기초로 하여 환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를,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체외 유닛(30)의 특정 장치(31)로서 X선 CT 장치를 채용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체외 유닛(230)의 특정 장치(투약 위치 특정 장치)(231)로서 내시경 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201)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210)과, 특정 장치(231)로서 내시경 장치를 갖는 체외 유닛(230)을 구비하고 있다.
투약용 캡슐(210)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촬상부)(71)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장치(71)는 대물 렌즈(72)와, CMOS 이미저 등의 촬상 소자(73)와, LED(74)를 갖는다. 대물 렌즈(72)는 케이싱(11)의 일단부 측에 마련된 투명 커버(11b)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73)는 대물 렌즈(72)의 결상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LED(74)는 대물 렌즈(72)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고, 조명광을 조사하여 대물 렌즈(72)의 시야 범위를 조명한다. 또한, 촬상 장치(71)는 촬상한 화상 정보를 정보 송신부(12)로 보낸다.
투약용 캡슐(210)에 구비되는 정보 송신부(12)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체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 촬영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과 대응시켜 자기의 위치 정보를 특정하는 동시에, 촬상한 화상 정보를 체외로 송신한다.
특정 장치(23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 본체(75)에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76)와, 화상 취득 장치(77)와, 조작부(78)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취득 장치(77)는 내시경 장치 본체(75)의 체강 내에 삽입되는 일단부(단부 1)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78)는 내시경 장치 본체(75)의 화상 취득 장치(77)가 마련된 일단부(단부 1)와는 반대측의 타단부(단부 2)에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 장치 본체(75)는, 광원 장치(79) 및 화상 프로세서 장치(80)에 접속되어 있다. 광원 장치(79)에서 발생한 광은, 내시경 장치 본체(75)의 내부에 삽입 관통된 도시하지 않은 광섬유를 통해 내시경 장치 본체(75)의 일단부까지 전송되어, 조명광으로서 체강 내로 방사된다. 내시경 장치 본체(75)의 일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소자(CCD)가 설치되어 있다. CCD에서 취득된 신호는 내시경 장치 본체(75) 내부에 마련된 배선 재료를 전파하고, 화상 프로세서 장치(80)로 전송된다. 화상 프로세서 장치(80)에서는 촬상 소자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체강 내의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은, 표시 모니터(81)에 표시된다.
환자(P)의 입에는, 마우스피스(82)가 장착된다. 마우스피스(82)에는 삽입부(76)의 체강 내에의 삽입량을 검출하는 삽입량 검출 장치(82a)가 부착되어 있다. 삽입량 검출 장치(82a)의 출력은 퍼스널 컴퓨터(이후, PC라 줄여 기록)(83)로도 전송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PC(83)로도 전송된다. PC(83)에서는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삽입량 검출 장치(82a)의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도13에서 나타내는 항목에 대표되는 화상 처리 등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201)을 사용하여,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약제 A를 투여하는 작업을 도11,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의료 기관 등에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S30). 의사 등은, 특정 장치(231)를 사용하여 얻게 된 화상을 바탕으로 진단을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를 특정한다(S31). 환부(X)를 특정하는 작업으로서는, PC(83)를 사용하여 화상의 확인을 하고, 환부(X)가 찍혀 있는 화상 데이터에 플래그를 부가함으로써 기록을 남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환부(X)를 특정한 후, 의사 등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환부(X)의 화상 데이터를 PC(83)를 사용하여 변환한다(S32). 이 변환 내용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의사 등은 변환된 데이터를 PC(83)를 사용하여 체외 장치(35)의 메모리(53)에 입력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환자(P)는 체외 장치(35)를 장착하는(S33) 동시에, 투약용 캡슐(210)을 경구 투입한다(S34). 투약용 캡슐(210)은 경구 투입될 때,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켬으로써 전지(17)로부터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이 공급되어, 정보 송신부 (12)의 타이머 기능이 작동하는 동시에 촬상 장치(71)가 작동한다.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210)은, 촬상 장치(71)에 의해 체내를 촬상하면서 이동한다.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정보 송신부(12)로 이송된다. 정보 송신부(12)는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그 시점에서 촬영된 화상을 1세트의 정보로서 체외 장치(35)로 송신한다.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는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를 수신하여, 판단부(51)로 송신한다. 판단부(51)는 S32에서 행한 PC(83)에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하여, 메모리(53)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PC(83)에서 변환한 데이터와 비교한다(S35).
비교한 결과가, 동일 혹은 매우 가깝다고 판단되는 경우, 판단부(51)는 촬영된 부분이 투약 부위(환부 X)라고 판단하여,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체내를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한다(S36).
체외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방출 신호는 투약용 캡슐(210)의 수신부(15)에서 수신되어, 제어부(16)로 이송된다. 제어부(16)는 방출 신호를 받아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켜, 약제 A를 방출한다(S37).
특정 장치(내시경 장치)(231)가 복수의 환부(X)를 특정한 경우,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210)이 모든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8). 그리고 모든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작동을 정지한다. 그 후, 투약용 캡슐(210)은 배출되어 회수된다.
상술한 캡슐 투약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장치(231)로서 채용한 내시경 장치 에 의해 정확하게 환부(X)의 정보를 얻어, 그 정보와 투약용 캡슐(210)에 의해 얻은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환부(X)를 특정하므로, 확실한 투약을 하는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치(231)에 의해 얻은 화상을 그대로 비교에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변환한 데이터, 즉 간략화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교함으로써, 비교 연산의 총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쉽게 데이터의 비교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도13에 나타낸 데이터의 변환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13은 좌측이 특정 장치(231)로서 채용한 내시경 장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상, 및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삽입부(76)의 삽입 길이 정보이다. 삽입 길이 정보에는, 예컨대 삽입부(76)의 체강 내에의 삽입 길이 데이터 등이 나타내어져 있다. 표의 오른쪽은, 데이터 변환 후의 데이터가 나타내어져 있다.
우선, 제1 예로서 표의 (1) 및 (2)에 대해 설명한다.
(1) 및 (2)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에 의해 얻게 된 화상과, 내시경 장치의 삽입부(76)의 체강 내로의 삽입 길이를 관련지어 변환을 하고, 변환 후의 데이터를 메모리(53)에 기록하고 있다.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변환 후의 데이터는 내시경의 체강 내에의 삽입량으로부터 선택한 환부(X)의 위치 및 화상 데이터이다. [(2)의 경우는, 단순화된 화상의 패턴임].
여기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투약용 캡슐(210)을 경구 투입한 후, 환부(X)에 도달하기까지의 추정 도달 시간 정보라도 좋다. 또한, 변환은 하지 않고 내시경 장치의 삽입부(76)의 삽입량을 기록해 두어도 좋다.
투약용 캡슐(210)에서는, 정보 송신부(12)에 마련된 타이머 기능에 의해, 일 정 시간 간격으로 환자(P)의 체강 내 소화관의 촬영을 한다.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데이터 압축 변환 등 무선 송신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어, 정보 송신부(12)로부터 체외로 송신된다. 송신된 데이터는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에 수신된다.
체외 수신부(50)에 수신된 데이터는 판단부(51)로 이송된다.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210)로 촬영된 화상을, 메모리(53)에 기록된 데이터와 마찬가지의 포맷[(2)의 경우는 단순화된 화상 패턴]으로 변환한다.
또한, 촬영된 화상의 이력[현재 촬영되고 있는 부위(소장, 대장 등)와, 그 부위에 투약용 캡슐(210)이 존재하고 있는 시간]으로부터 현재의 투약용 캡슐(210)의 위치를 추정한다. 여기에서의 변환은, 도달 시간과 도달 추정 시간을 비교하는 형식이라도 좋고, 삽입부(76)의 삽입량과 투약용 캡슐(210)의 삽입 거리를 비교하는 형식이라도 좋다.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의 위치 정보와, 판단부(51)에서 추정된 위치 정보가 가까운 경우에는,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의 화상[(2)의 경우는 화상 패턴]과, 판단부(51)로 투약용 캡슐(2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화상[(2)의 경우는 화상 패턴]과의 비교를 한다. 비교에는, 상관 함수를 구하는 처리를 한다. 상관 함수를 구하는 처리에는, 다른 화상 처리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구해진 상관 함수가, 어떤 설정된 임계치보다 커진 경우에는, 판단부(51)는 현재의 위치가 환부(X)의 근방이라 판단하여, 체외 송신부(52)로부터 방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를 한다.
다음에, (3)의 경우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로 관찰 시에 삽입 길이와 촬영된 화상의 평균 휘도의 변화와 화상 데이터가, 변환 후의 데이터로서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내시경 장치에 조광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화상의 평균 휘도가 아닌, 조광량 변화를 기록해도 된다.
투약용 캡슐(210)로 촬영된 화상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화상의 평균 휘도를 판단부(51)로 구하여, 평균 휘도를 수시로 메모리(53)에 기록함으로써, 투약용 캡슐(210)의 진행에 따른 평균 휘도 변화를 구할 수 있다. 메모리(53)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X)에 도달하기까지의 평균 휘도의 변화 곡선과, 투약용 캡슐(210)에 의해 얻게 된 화상으로부터의 평균 휘도 변화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가까운 경우에는, 투약용 캡슐(210)의 현재의 위치가 환부(X)의 근방이라 평가한다. 그 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1) 및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평균 휘도 등의 변화 곡선은 B 스플라인 곡선이나 N 베지어 곡선 등에 의해 근사/간략화해도 된다.
또한, (4)의 경우에 있어서는, (3)의 경우의 평균 휘도 변화 대신에, 컬러 균형의 변화를 활용한다.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 장치(231)로서 내시경 장치를 채용했지만, 삽입 길이를 바탕으로 투약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내시경을 사용한 방법뿐만 아니라, X선 관찰 장치, CT, MRI, 초음파 관측 장치 등을 이용하여 관공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4 실시 형태를, 도15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301)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체내(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310)과, 의료 장치(320)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장치(320)는 체강 내의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을 얻는 관찰계(생체 정보 취득 수단)(321)와, 체강 내에 마킹(지표)(M)을 남기는 토출 기구(마킹 수단)(322)를 갖는다.
의료 장치(320)는,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의료 장치(제2 캡슐형 의료 장치)(323)와, 퍼스널 컴퓨터(이하 PC)(수신 장치)(324)를 구비하고 있다. 캡슐형 의료 장치(323)는 캡슐형으로 형성된 케이싱(외장부)(11)의 내부에 관찰계(321)와, 토출 기구(322)와, 무선 송신 수단(전달 수단, 정보 전달부)(323a)을 갖는다. 무선 송신 수단(323a)은 관찰계(321)에 의해 취득한 생체 정보 및 토출 기구(322)의 동작 정보를 케이싱(323b)의 외부로 전달한다. PC(324)는, 무선 송신 수단(323a)에 의해 케이싱(323b)의 외부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는 관찰 정보 수신기(325)를 갖는다.
캡슐형 의료 장치(323)의 케이싱(323b)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일단부 측에 투명 커버(323c)가 설치되어 있다. 투명 커버(323c)의 안쪽에는, 체내의 각부를 촬상하는 대물 렌즈(326)가 배치되어 있다. 대물 렌즈(326)의 결상 위치에는, 예컨대 CMOS 이미저나 CCD 등의 촬상 소자(327)가 배치되어 있다. 대물 렌즈(326)의 주위에는, 조명광을 조사하여 대물 렌즈(326)의 시야 범위를 조명하는 LED(328)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이들 대물 렌즈(326), 촬상 소자(327) 및 LED(328)는 관찰계(321)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싱(323b)의 일부에는 미소한 토출구(329)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329)의 안쪽에는 염료, 자성체, 방사선체 등의 마킹제(W)를 수납하는 리저버(330)가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330)의 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그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는 피에조 소자(331)가 설치되어 있다. 피에조 소자(331)에 작동 신호 등을 보내면, 피에조 소자(331)가 신장하여 리저버(330)를 압박하고, 마킹제(W)를 토출구(329)로부터 케이싱(323b)의 외부를 향해 토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체 내에 검정 점과 같은 마킹(M)이 실시된다. 토출구(329), 리저버(330) 및 피에조 소자(331)는 토출 기구(322)를 구성하고 있다. 또, 마킹제(W)는 생체 내에 마킹(M)으로서 실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없어져 버린다. 예컨대, 소장에 있어서 마킹(M)을 실시한 경우, 마킹(M)은 조직의 대사에 의해 장 조직과 함께 관벽으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케이싱(323b)의 내부에는 제어 처리부(332)와, 제어 처리부(332)에서 처리한 생체 정보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333)와, 상술한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34)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 처리부(332)는 관찰계(321) 및 토출 기구(322)를 제어하는 동시에, 관찰계(321)에서 취득한 생체 정보를 소정 처리한다.
제어 처리부(332)는 체내에 투입된 후, 피에조 소자(331)에 작동 신호를 보내어, 체내를 이동하고 있는 사이에, 정기적, 예컨대 5분에 1회마다 마킹(M)을 체내에 실시하도록 토출 기구(322)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동시 에 관찰계(321)를 제어하여, 체내를 예컨대 1초에 2회마다 무작위적으로 촬상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처리부(332)는 관찰계(321)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소정 처리하는 동시에, 생체 정보를 피에조 소자(331)를 작동시킨 타이밍과 관련지어 메모리(333)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체내에 실시한 마킹(M)의 위치와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메모리(333)에 기억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슐형 의료 장치(323)는 환자(P)의 체내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된 후, PC(324)에 메모리(333) 내에 기억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의사는 PC(324)에 입력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단을 할 수 있다.
즉, PC(324)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의료 장치(323)와 무선 통신을 행하여, 생체 정보를 얻는 관찰 정보 수신기(325)를 구비하고 있다. 관찰 정보 수신기(325)는, PC(324)와 케이블(335)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내부에 수납하는 용기(336)를 설치하는 용기 설치부(337)와, 용기(336)에 수납된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338)과, 무선 수신 수단(339)을 구비하고 있다.
전력 공급 수단(338)은, 예컨대 용기 설치부(337)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코일(338a)과, 코일(338a)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드라이버(338b)와, 드라이버(338b)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337a)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337a)는 용기 설치부(337)의 바닥면에 배치된 설치 검지 스위치(337b)에 접속되어 있고, 용기(336)가 용기 설치부(337)에 배치된 것을 설치 검지 스위치(337b)가 검 지했을 때에 작동한다. 즉, 용기(336)를 용기 설치부(337)에 설치했을 때에, 드라이버(338b)로부터 코일(338a)로 교류 전원이 흐른다.
또한, 무선 수신 수단(339)은 캡슐형 의료 장치(32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케이블(335)을 거쳐서 PC(324)에 전달한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의료 장치(323)는 케이싱(323b) 내에 관찰 정보 수신기(325)의 무선 수신 수단(339)에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수단(323a) 및 전력 공급 수단(338)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수단(340)을 구비하고 있다.
전력 수신 수단(340)은 수신용 코일(340a)과 AC-DC 컨버터(340b)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 수신 수단(340)은 전력 공급 수단(338)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으면, 무선 송신 수단(313) 및 메모리(333)에 전력을 분배하여, 메모리(333)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무선 송신 수단(313)으로부터 무선 수신 수단(339)으로 보낸다. 무선 수신 수단(339)으로 보내어진 생체 정보는 PC(324)로 이송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PC(324)에, 메모리(333) 내에 기억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투약용 캡슐(310)을 도19 및 도20에 나타낸다. 도19는 투약용 캡슐(31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20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투약용 캡슐(310)은, 환자(P)의 체내(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의 케이싱(외장부)(341)의 내부에, 약제 A를 유지하는 리저버(약제 유지부)(342)와, 리저버(342)에 유지된 약제 A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약제 방출부)(343)과, 방출 수단(342)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방출 제어 수단)(344)와, 체내에 실시된 약제 방출 위치를 나타내는 마킹(M)을 검출하는 센서(검출 수단, 지표 검출 수단)(345)와, 이들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46)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34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 측의 내부에는, 벽부(341a)와 케이싱(341)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리저버(342)가 설치되어 있다. 리저버(342)의 주위이며 케이싱(341)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약제구(347)가 케이싱(341)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약제구(347)에는, 도시하지 않은 얇은 막이 형성되어 있고, 리저버(342) 내에 유지된 약제 A가 약제구(347)로부터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저버(342) 내에는 히터(348)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348)는 순간적인 가열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켜, 그 압력으로 약제구(347)의 얇은 막을 파괴하여, 약제 A를 약제구(347)로부터 방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이들 약제구(347) 및 히터(348)는 방출 수단(342)을 구성하고 있다.
센서(345)는 케이싱(341)의 타단부 측의 외표면이며, 케이싱(341)의 축 주위에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생체 내를 이동 중에 마킹(M)을 검출하여 제어부(344)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센서(345)는 도21a,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등으로 구성된 발광 소자(345a)와, 광 디텍터(345b)와, 프리즘(345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마킹(M)이 검은 점이라고 하여 센서(345)를 설명한다. 발광 소자(345a)에서 발한 광은, 프리즘(345c)에서 반사되어, 케이싱(341)에 형성된 창(341b)을 통과해 생체에 조사된다. 조사된 광은, 생체에서 반사되어, 창(341b) 및 프리즘(345c)을 투과하여 광 디텍터(345b)에 입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광 디텍 터(345b)는 입사된 광의 레벨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검은 점으로 되어 있지 않은 조직의 위치에서 센서(345)를 동작시킨 경우에는 조사된 광은 생체 조직에서 반사되어, 광 디텍터(345c)에 의해 반사광이 검출된다.
한편, 검은 점으로 된 조직의 위치에서 센서(345)를 동작시킨 경우에는, 생체 조직이 검은 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은 생체 조직으로 흡수되어(또는, 검은 점으로 되어 있지 않은 조직에 비하여 반사율이 대폭으로 낮아짐), 광 디텍터(345c)에서는 반사광보다 약한 광을 검출한다.
또한, 광 디텍터(345c)는 입사된 광의 레벨에 대응한 전압 출력을 제어부(344)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344)는 상기 전압 출력이 검은 점이 실시된 조직으로부터의 신호나, 검은 점으로 되어 있지 않은 조직으로부터의 신호화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344)가 검은 점이 실시된 조직으로부터의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344)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를 1 진행시킨다. 이에 의해, 마킹(M)의 카운트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은 점을 채용했지만, 검출이 가능하면 어떠한 색소를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예로서는, 메틸렌블루 등의 내시경 검사에 사용되는 색소가 있다. 또한, 그때에는 광 디텍터(345c)의 검출 파장 영역을 가장 적합해지도록 선택하면 좋다. 또한, 마킹(M)으로서는 형광 발생 재료를 함유하는 약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형광을 여기하는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소자(345a)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형광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광 디텍터(345c)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마킹(M)으로서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함유하는 약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센서(345)로서 신틸레이터 등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마킹(M)으로서는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약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 자성체 그 자체를 약제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센서(345)로서 자기 센서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마킹(M)으로서는 금속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344)는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특정한 마킹(M)을, 마킹(M)의 수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344a)를 갖고 있고, 센서(345)에 의해 검출된 마킹(M)을 카운트하여, 메모리(344a)에 기억되어 있는 수와 일치했을 때에 히터(348)를 작동시켜 가열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어부(344)는 센서(345)에 의해 검출된 마킹(M)이 특정한 마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301), 투약용 캡슐(310) 및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지시 하에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삼켜 경구 투입한다. 이때, 캡슐형 의료 장치(323)는 투입 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켜지도록 되어 있고, 전지(334)로부터 전력 공급된 제어 처리부(332)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경구 투입된 캡슐형 의료 장치(323)는, 도22에 도시 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체내를 이동하는 사이에, 제어 처리부(332)가 토출 기구(322)를 작동시켜, 체내의 소화 기관에 대하여, 예컨대 5분에 한 번마다 마킹(M)을 실시한다. 즉, 제어 처리부(332)는 피에조 소자(331)에 작동 신호 등을 보내어 신장시킨다. 이에 의해, 리저버(330)가 압박되어 토출구(329)로부터 마킹제(W)가 토출되므로, 소화 기관에 마킹(M)이 실시된다. 또한, 동시에 제어 처리부(332)는 관찰계(321)를 작동시켜, 체내 각부를, 예컨대 1초에 2회마다 촬상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 처리부(332)는 관찰계(321)에서 취득된 생체 정보와 마킹(M)의 위치를 관련지어, 순차적으로 메모리(333)에 기억한다.
그리고 캡슐형 의료 장치(323)의 배설(排泄)에 의해 체내의 관찰이 종료된 후,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회수한다. 회수 후, 메모리(333)에 기억되어 있는 마킹(M)의 위치에 관련지어진 생체 정보를, 도17에 나타내는 PC(324)에 입력한다.
즉, 환자(P)의 체내로부터 배출된 관찰용 캡슐(10)을 회수한 후, 용기(336)에 수납한다. 용기(336)에 수납함으로써, 그 후 조작하는 사람이 불결한 감정을 갖는 일없이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336)를 용기 설치부(337)에 설치하면, 설치 검지 스위치(337b)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337a)가 온이 되어, 전력 공급 수단(338) 및 무선 수신 수단(339)이 구동된다. 전력 공급 수단(338)이 동작하면,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향해 전력을 공급한다. 캡슐형 의료 장치(323)의 전력 수신 수단(340)은, 이 공급된 전력을 받아 무선 송신 수단(313) 및 메모리(333)로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 전력을 받아 무선 송신 수단(313)은, 메모리(333)에 축적된 생체 정보를 관찰 정보 수신기(325)를 향해 무선 송신한다. 그 리고 무선 송신 수단(36)은, 송신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케이블(335)을 거쳐서 PC(324)에 전달한다.
PC(324)에서 받은 생체 정보는, 조작자가 확인하여 투약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생체 정보는 마킹(M)의 위치(개수)와 관련지어 보존되어 있으므로, 투약 위치를 결정하면, 즉시 마킹(M)의 몇 개째에서 투약을 시작하면 좋을지 판단할 수 있다. 마킹(M)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은 조작자라도 좋지만, PC(324)가 자동적으로 마킹(M)의 개수를 인식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310)에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송신 수단(313)은 전자기파를 사용한 통신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해도 좋고, 예컨대 캡슐형 의료 장치(323) 및 용기(336)를, 적외선 투과형의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용기(336)를 용기 설치부(337)에 설치했을 때에, 관찰 정보 수신기(325)에 마련된 적외선 센서와,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마련된 적외선 발광 소자가 대향하도록 배치하면, 적외선 통신으로 생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의사 등의 조작자는 PC(324)에 입력된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체내에 이상이 없는지 진단을 한다. 그 결과, 촬상 화상에 병변 등을 발견한 경우에는, 병변 등으로부터 투약이 필요한 표재 질환 등의 환부(X)를 특정한다. 환부(X)를 특정한 후, 의사는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킹(M)을 특정한다. 즉, 생체 정보와 마킹(M)의 위치가 관련되어 이송되어 오므로, 환부(X)를 특정한 생체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에 관련된 마킹(M)의 특정을 할 수 있다. 즉, 특 정한 마킹(M)을, 몇 번째의 마킹(M)이라고 하는 마킹(M)의 수로 특정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부(X)의 위치가 10번째의 마킹(M)과 11번째의 마킹(M)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마킹(M)을 10번째의 마킹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의사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310)을 PC(324)에 접속된 통신기(346)에 장착하여, PC(324)로부터 메모리(344a)에 특정한 마킹(M)의 정보를 설정치로서 입력한다. 즉, 10번째의 마킹(M)이 특정한 마킹(M)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PC(324)로부터 통신기(346)를 거쳐서, 통신기(346)에 장착된 투약용 캡슐(310)로 송신한다. 입력 후, 환자(P)는 의사 등으로부터 투약용 캡슐(310)을 입수한다. 또, 환자(P)는 투약용 캡슐(310)의 입수 후, 의료 기관 등을 벗어나도 상관없다.
그 후, 환자(P)는 결정된 투약 시간을 따라서, 투약용 캡슐(310)을 삼켜 경구 투입한다.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310)은, 체내를 이동하는 동안에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의해 실시된 마킹(M)을 센서(345)가 검출한다. 센서(345)는 관강의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344)에 의해 마킹(M)의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344)는 마킹(M)의 정보와, 메모리(344a)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마킹(M)의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즉, 제어부(344)는 이송되어 오는 마킹(M)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특정한 마킹(M)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특정한 마킹이 10번째의 마킹(M)이라고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최초에 검출된 마킹(M)은, 특정한 마킹(M)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또한, 다음에 이송되어 오는 마킹 (M)은 카운트 수에 의해 2번째의 마킹(M)이므로, 특정한 마킹(M)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투약용 캡슐(310)은 각 마킹(M)을 검출하면서 생체 내를 이동한다.
여기서, 투약용 캡슐(310)이 10번째의 마킹(M)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부(344)는 카운트 수에 의해 이송되어 온 마킹(M)이 10번째의 마킹(M), 즉 특정한 마킹(M)이라고 판단하여 히터(348)를 작동시킨다. 히터(348)는 제어부(344)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의 압력에 의해 약제구(347)의 얇은 막을 파괴한다.
약제구(347)의 얇은 막이 찢어지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저버(342) 내의 약제 A가 약제구(347)로부터 케이싱(341) 외부로 방출된다. 즉, 특정한 마킹(M)은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환부(X)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캡슐 투약 시스템(301), 투약용 캡슐(310) 및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따르면,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경구 투입함으로써, 체강 내에 마킹(M)을 남기면서 생체 정보의 취득을 행할 수 있고, 무선 송신 수단(313)을 거쳐서 PC(324)에서 생체 정보와 마킹(M)의 정보와의 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들의 정보로부터, 체내의 환부(X)를 마킹(M)에 의해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그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310)에 의해, 투약을 하는 특정한 마킹(M)의 위치에서 약제 A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강 내의 원하는 부위(환부)에, 쉽게 또한 직접적 으로 근접할 수 있는 동시에,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환부(X)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마킹(M)을 검출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투약을 하기 전에 환부(X)를 통과하는 일 없이, 환부(X)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생체 내의 특징이 있는 형상이나 색 등의 부위가 아닌,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의해 실시된 마킹으로 하고 있으므로, 보다 명확한 지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345)가, 확실하면서도 또한 고정밀도로 마킹(특정한 마킹)의 검출을 하기 때문에, 투약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장치(320)를 캡슐형 의료 장치(323)에 의해 구성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환자(P)에게 경구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4)는 센서(345)에 의해 검출된 마킹의 수를 카운트하여, 메모리(344a)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수와 일치했을 때에, 현재 검출한 마킹(M)이 특정한 마킹이라 판단하여 약제 A의 방출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44)는 특정한 마킹(M)을 단순한 마킹(M)의 카운트에 의해 판단하기 때문에, 복잡한 판단 회로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검출 실수가 저감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형 의료 장치(323)를 체내로부터 배출하고 나서 회수하여 메모리(333)에 축적된 생체 정보를 취출하였지만, 생체 관찰 중에 수시 무선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캡슐 외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마킹(M)을 실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일정 시간 간격이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예컨대, 체내에서의 일정 이동 거리 간격으로 마킹(M)을 실시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323b) 내에 관찰용 계측 수단(이동량 검출 수단)(347)을 마련하면 좋다. 관찰용 계측 수단(347)은 체내의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 정보인 표면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348)과, 정보 취득 수단(348)에 의해 취득한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34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보 취득 수단(348)은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 광(L)을 조사하는 LED(350)와,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L)의 화상, 즉 표면 화상을 판독하는 광학 센서(351)를 갖는다. LED(350)는 케이싱(323b)의 축 방향으로 광(L)을 조사하도록 예컨대, 수평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사된 광(L)은 반사 미러(352a, 352b)에 의해 조사 방향이 변경되어,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을 향해 비스듬히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광학 센서(351)는 반사한 광(L)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광학적으로 광(L)을 투과할 수 있도록, 정보 취득 수단(348) 근방의 케이싱(323b)에는, 투명 커버(323c)를 설치하면 좋다.
화상 처리부(349)는 광학 센서(351)로 판독한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 화상을, 예컨대 매초 1500 내지 6000회의 고속으로 촬영(스캔)하는 동시에, 촬영한 각 화상의 색이나 형상 등의 특징에 착안하여, 이들의 경시적 변화로부터 이동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산출한 이동 거리를 제어 처리부(332)에 알리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 처리부(3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내의 일정 이동 거리마다 토출 기구(322)를 작동시켜, 마킹(M)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이동 거리로 마킹(M)을 실시함으로써 마킹(M) 끼리가 지나치게 접근하는 일 없이, 체강 내에 마킹(M)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323b) 내에 위치 센서를 마련하여, 위치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일정 간격마다 마킹(M)을 실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위치 센서에는, 예컨대 NDI사의 AUROR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를, 도26 및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410)은,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에, 촬상 장치(71)에 부가하여 체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부(420)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부(420)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의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421)와, 화상 취득부(421)에 의해 취득한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주행 거리 산출 수단) 화상 처리부(425)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취득부(421)는 화상 처리부(425)와,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는 LED(422)와,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의 화상, 즉 표면 화상을 판독하는 광학 센서(423)를 갖는다. LED(422)는 케이싱(11)의 축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의 축 방향을 향해 조사된 광은, 반사 미러(424a, 424b)에 의해 조사 방향이 변경되어,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을 향해 비스듬히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광학 센서(423)는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화상 취득부(421) 근방의 케이싱(11)에는, 광학적으로 광을 투과하도록 투명 커버(11c)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425)는 광학 센서(423)로 판독한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 화상을, 예컨대 매초 1500 내지 6000회의 고속으로 촬영하는 동시에, 촬영한 각 화상의 패턴 변화로부터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425)는 산출한 이동량을 정보 송신부(12)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송신부(12)는, 계측부(420)에 의해 계측된 이동량과,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대응시켜 체외를 향해 송신한다. 송신된 데이터는, 체외 장치(35)의 체외 수신부(50)에서 수신되어, 판단부(51)로 이송된다. 판단부(51)에서는, 수시 이송되어 오는 이동량을 적산함으로써, 투약용 캡슐(410)의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이동 거리를 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투약용 캡슐(410)을 경구 투입함으로써, 체외 장치(35)의 판단부(51)가 환부(X)의 위치 정보, 즉 삽입부(76)의 삽입 길이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와, 투약용 캡슐(410)의 위치 정보, 즉 계측부(420)에 의해 계측된 이동량으로부터 판단부(51)에 의해 구해진 이동 거리에 대응한 촬상 장치(71)에 의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비교하여, 양 정보가 매우 유사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투약용 캡슐(410)이 환부(X)의 위치 근방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특정 장치(231)로서 채용한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X)의 화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관련지어 기록하고, 또한 투약용 캡슐(410)의 이동 거리와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기록함으로써, 양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쉽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투약용 캡슐(410)에 의한 투약 위치에 대하여 환부(X)의 정보를 쉽게 반영시킬 수 있어,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X)에서 투약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계측부(420)를 마련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투약용 캡슐(410)의 이동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약제 A의 방출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도28 내지 도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 예에서는,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구 투입되는 관찰용 캡슐(430) 및 투약용 캡슐(440) 외에, 체외에 배치되는 체외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관찰용 캡슐(430)은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송신 수단)(431)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 안테나(431)는 케이싱(11) 내에, 관찰 수단(432)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와 관찰용 계측 수단(433)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를 관련지어 체외 유닛(450)을 향해 송신한다. 즉, 제어부(434)는 관찰 수단(432)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소정 처리하는 동시에, 그 생체 정보와 화상 처리부에서 이송되어 온 이동 거리를 관련지어 송신 안테나(431)로부터 송신한다.
체외 유닛(450)은 도28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체외에 장착가능한 본체(451)에, 투약용 캡슐(70)의 송신 안테나(431)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수신 수단)(452)와, 수신 안테나(45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와 환부(X)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부(특정 수단)(45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451)는, 환자(P)의 벨트 등에 장착함으로써 체외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신 안테나(452)는, 예컨대 본체(451)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신한 정보를 특정부(453)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정부(453)는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으로부터, 예컨대 적색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투약이 필요한 출혈 부위[환부(X)]로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정부(453)는 환부(X)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수신 안테나(452)를 거쳐서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에 관련지어진 이동 거리로부터 환자(P)의 입으로부터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체외 유닛(450)의 특정부(453)로 특정된 이동 거리는 투약용 캡슐(440)의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환자(P)에게 경구 투입된 관찰용 캡슐(430)은, 체내를 이동할 때, 관찰 수단(432)에 의해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관찰용 계측 수단(433)에 의해 체내의 이동 거리의 계측을 한다. 또한, 제어부(434)는 생체 정보와 이동 거리를 관련지어 송신 안테나(431)로부터 체외 유닛(450)을 향해 송신한다.
체외 유닛(450)의 수신 안테나(452)는, 송신 안테나(431)로부터 송신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특정부(453)로 보낸다. 특정부(453)는 이송되어 온 촬상 화상으로부터 적색만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투약이 필요한 환부(X)를 특정하는 동시에, 환부(X)의 특정 후, 환자(P)의 입으로부터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한다.
이어서, 투약용 캡슐(440)의 메모리에 특정부(453)로 특정된 이동 거리를 기억시킨다. 입력 후, 환자(P)는 관찰용 캡슐(430)을 경구 투입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 또는 관찰용 캡슐(430)의 배설 등에 의해, 관찰용 캡슐(430)에 의한 관찰이 종료된 후, 결정된 투약 시간에 따라서, 투약용 캡슐(440)을 경구 투입한다. 이 투약용 캡슐(440)의 경구 투입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 즉 환부(X)의 위치에서 약제 A의 방출을 행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X)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특히, 체외 유닛(450)이 환부(X)의 특정 및 환부(X)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하기 때문에, 관찰용 캡슐(430)을 용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6 실시 형태를, 도31 내지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501)은,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510)과, 특정 장치(231)로서의 내시경 장치를 갖는 체외 유닛(520)을 구비하고 있다.
투약용 캡슐(510)은,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장치(231)에 의해 특정된 환부(X)의 정보를 기록하는 캡슐 내 메모리(메모리)(511)와, 체내에서의 투약용 캡슐(510) 자신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부(검출부)(512)와, 체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71)와, 투약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캡슐 내 판단부(판단부)(513)와, 타이머 회로(514)와, 체외와 통신을 행하는 캡슐 내 메모리(511)에 기입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캡슐 내 수신부(5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정 장치(231)로서의 내시경 장치에 접속된 PC(83)에는,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내 무선 송신부(516)가 설치되어 있고, 캡슐 내 수신부(515)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71) 및 이동량 검출부(512)는 타이머 회로(514)의 클록 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동작한다. 촬상 장치(71)에서 얻게 된 화상 정보, 이동량 검출부(512)에서 얻게 된 이동량 정보는 캡슐 내 판단부(513)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시경 장치에서 얻게 된 환부(X)에 관한 정보는, PC(83)에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환 처리가 행해져, 그 상태에서 캡슐 내 수신부(515)로 송신되어 캡슐 내 메모리(511)에 기록된다.
이동량 검출부(512)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부(517) 및 적산부(518)로 구성되어 있고, 짧은 시간 간격에서의 이동량을 계측부(517)로 구하고, 그 이동량을 적산부(518)로 적산함으로써, 투약용 캡슐(110)의 체강 내에서의 모든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501)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정 장치(231)에 의해, 투약이 필요한 환부(X) 및 환부(X)의 위치 특정을 하는 동시에, 환부(X)의 정보의 데이터 변환을 한 후, 투약용 캡슐(510)의 캡슐 내 메모리(511)에, PC 내 무선 송신부(516)와 캡슐 내 수신부(515) 사이의 데이터 전송 등에 의해 기록한다(S50).
그 후, 환자(P)는 투약용 캡슐(510)을 경구 투입한다(S51). 또한, 투약용 캡슐(510)은 경구 투입될 때,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켜는 것에 의해, 전지(17)로부터 각 구성 물품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타이머 회로(514)의 동작 타이밍에 의거하여 투약용 캡슐(510)의 동작이 시작된다.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510)은 촬상 장치(71)에 의해 체내를 촬상하면서 이동한다(S52). 이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은, 캡슐 내 판단부(513)로 이송된다. 이동량 검출부(512)는, 이동량 정보를 캡슐 내 판단부(513)로 보낸다. 캡슐 내 판단부(513)는 이송되어 온 자기[투약용 캡슐(510) 자신]의 이동량 정보를 소정 처리하고, 그 이동량 정보와 캡슐 내 메모리(511)에 기록되어 있는 변환된 환부(X)의 촬상 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환부(X)의 근방에 투약용 캡슐(510)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3). 예컨대, 판단부(133)는 특정 장치(231)의 화상 취득 장치(77) 및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유사해, 투약용 캡슐 (510)의 이동량과 내시경 장치(100)의 삽입량이 가까운 경우나, 화상 취득 장치(77) 및 촬상 장치(7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휘도의 경시적 변화 또는 색 균형의 경시적 변화가 유사한 경우에는, 환부(X)의 근방에 투약용 캡슐(510)이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그 취지를 제어부(16)로 보낸다. 제어부(16)는 이것을 받아 양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켜 약제 A의 방출을 한다(S54).
또, 특정 장치(231)가 복수의 환부(X)를 특정한 경우에는, 캡슐 내 판단부(513)는 모든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실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5). 판단한 결과, 모든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작동을 정지한다. 그 후, 투약용 캡슐(510)은 배출되어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510)의 내부에서 약제 A의 방출 제어를 하기 때문에, 환자(P)는 체외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효과에 부가하여 환자(P)의 자유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량 검출부(512) 대신에 촬상 장치(71)에서 취득한 화상을 복수 비교하여, 프레임 간의 투약용 캡슐(510)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그것을 적산함으로써, 투약용 캡슐(510)의 모든 이동량을 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도34 내지 도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 예의 캡슐 투약 시스템은,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체내(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생체 정보 취득용의 관찰용 캡슐(제1 캡슐)(530)과, 투약용의 투약용 캡슐(제2 캡슐)(540)을 구비하고 있다.
관찰용 캡슐(530)은,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의 케이싱(11) 내에 체내 각부를 촬상함으로써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관찰 수단(취득 수단)(532)과, 체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관찰용 계측 수단(533)과, 관찰용 계측 수단(533)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와 관찰 수단(532)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기록하는 메모리(534)와, 메모리(534)에 기록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와 환부(X)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부(535)를 갖는다.
케이싱(1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일단부 측에 투명 커버(1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투명 커버(11a)의 안쪽에는, 대물 렌즈(536)가 배치되어 있고, 대물 렌즈(536)의 결상 위치에는 CMOS 이미저 등의 촬상 소자(5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대물 렌즈(536) 및 촬상 소자(537)는, 체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538)을 구성하고 있다. 또, 대물 렌즈(21)의 주위에는 조명광을 조사하여 대물 렌즈(536)의 시야 범위를 조명하는 LED(조명 수단)(539)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이들 촬상 수단(538) 및 LED(539)는 관찰 수단(532)을 구성하고 있다.
관찰용 계측 수단(533)은,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의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 정보인 표면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540)과, 정보 취득 수단(540)에 의해 취득한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산출 수단)(541)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취득 수단(540)은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에 광(L)을 조사하는 LED(542)와,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L)의 화상, 즉 표면 화상을 판독하는 광학 센서(543)를 갖는다.
LED(542)는 케이싱(11)의 축 방향에 광(L)을 조사하도록 수평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의 축 방향을 향해 조사된 광(L)은 반사 미러(544a, 544b)에 의해 조사 방향이 변경되어,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을 향해 비스듬히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광학 센서(543)는 반사된 광(L)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정보 취득 수단(540) 근방의 표면 케이싱(11)에는 광학적으로 광(L)을 투과하도록 투명 커버(11a)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541)는 광학 센서(543)로 판독한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 화상을, 예컨대 매초 1500 내지 6000회의 고속으로 촬영(스캔)하는 동시에, 촬영한 각 화상의 색이나 형상 등의 특징에 주목하여, 이들의 경시적 변화로부터 이동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541)는 산출한 이동 거리를 제어부(545)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545)는, 체내에 투입된 후, LED(542)로 신호를 보내어 작동시키는 동시에, 관찰 수단(532)을 제어하여 체내를, 예컨대 1초에 2회마다 무작위적으로 촬상하여 생체 정보를 소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545)는 관찰 수단(532)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소정 처리하는 동시에, 그 생체 정보와 화상 처리부(541)로부터 이송되어 온 이동 거리를 관련지어 메모리(534)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특정부(535)는, 메모리(534)에 기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로부터, 예컨대 적색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그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투약이 필요한 출혈 부위[환부(X)]로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정부(535)는 특정한 환부(X)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메모리(534)에 기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관련지어진 이동 거리로부터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 내에는,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546)가 내장되어 있다.
투약용 캡슐(550)은,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의 케이싱(551) 내에, 약제 A를 유지하는 리저버(약제 유지부)(552)와, 리저버(552)에 유지된 약제 A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553)과, 체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투약용 계측 수단(554)과, 투약용 계측 수단(554)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가 관찰용 캡슐(530)의 특정부(535)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판단 수단)(555)와, 판단부(555)가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방출 수단(553)을 작동시키는 제어부(제어 수단)(556)와, 관찰용 캡슐(530)의 특정부(535)로 특정된 이동 거리를 기억하는 메모리(557)와,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55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55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 측의 내부에는 벽부(551a)와 케이싱(551)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리저버(552)가 설치되어 있다. 리저버(552)에는 케이싱(551)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액 도입구(559)를 갖는 체액 도입 관로(552a)와, 케이싱(551)의 외표면에 형성된 약제 방출구(560)를 갖는 약제 공급 관로(552b)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체액 도입구(559) 및 약제 방출구(560)는 케이싱(551)의 일단부 측에 축 주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관로(552a, 552b)에는 각각 관로(552a, 552b)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한 개폐 밸브(561, 5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저버(552) 내에는 약제 A에 부가하여, 수분에 닿으면 반응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발포제 등의 팽창성 약제 B가, 체액 도입 관로(552a) 측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약제 A는 팽창성 약제 B에 인접하여 약제 공급 관로(552b) 측에 수납되어 있다. 즉, 개폐 밸브(561, 562)를 작동시킴으로써, 케이싱(551) 외부로부터 리저버(552) 내에 체액(F)을 도입하여 팽창성 약제 B를 팽창시켜, 그 압력에 의해 약제 A를 케이싱(551)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들 체액 도입 관로(552a), 체액 도입구(559), 약제 공급 관로(552b), 약제 방출구(560) 및 양 개폐 밸브(561, 562)는 방출 수단(553)을 구성하고 있다.
또, 리저버(552) 내에 약제 A를 수납시킬 때, 최초로 팽창성 약제 B를 충전하고, 그 후 팽창성 약제 B가 체액 도입구(559)로부터 넘치도록 약제 A를 약제 방출구(560)로부터 도입함으로써, 리저버(552) 내에 약제 A를 높은 밀도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투약용 계측 수단(554)은, 도36에 나타내는 관찰용 계측 수단(533)과 마찬가지로, 정보 취득 수단(540) 및 화상 처리부(541)를 갖는다. 또한, 화상 처리부(541)는 산출한 이동 거리를 판단부(555)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판단부(555)는 이송되어 온 이동 거리를, 메모리(557)에 기록되어 있는 특정한 이동 거리와 비교하여, 그 특정한 이동 거리와 일치했을 때에, 그 취지를 제어부(556)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받아 제어부(556)는, 양 개폐 밸브(561, 562)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양 개폐 밸브(561, 562)는 양 관로(552a, 552b)를 폐색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도38 내지 도4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 등에서 관찰용 캡슐(530)을 입수하여, 관찰용 캡슐(530)을 경구 투입한다(S61). 이때, 관찰용 캡슐(530)은 투입 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켜지게 되어 있어, 전지(31)로부터 각 구성 물품에 전력이 공급된다. 경구 투입된 관찰용 캡슐(530)은, 환자(P)의 체내를 이동하는 사이에, 관찰 수단(532)을 작동시켜 체내 각부를, 예컨대 1초에 2회마다 촬상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S62).
또한, 제어부(545)는 관찰용 계측 수단(533)을 작동시켜,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한다. 즉, 제어부(545)는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542)로 신호를 보내어, 광(L)을 조사시킨다. 조사된 광(L)은 반사 미러(544a, 544b)에서 반사되어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조사된다.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L)은, 광학 센서(543)로 입사한다. 광학 센서(543)는 입사되어 온 광(L)의 화상, 즉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 화상의 판독을 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541)가, 이 표면 화상을 매초 1500 내지 6000회의 고속으로 촬영을 하는 동시에 화상 해석 등의 소정 처리를 하여, 표면 화상 중에서, 예 컨대 조직의 요철 형상 등(소장에 있어서는 융모 조직)의 특징에 주목하여 경시적인 각 화상의 비교를 한다. 화상 처리부(541)는, 각 화상의 경시적 변화에 의해, 이동 방향이나 이동 거리의 산출을 행하는 동시에 제어부(545)에 알린다. 즉, 관찰용 계측 수단(533)은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 화상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체내 이동 거리의 계측을 행하고 있다(S63).
제어부(13)는 화상 처리부(541)로부터 이송되어 온 이동 거리와, 관찰 수단(532)으로 취득된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메모리(534)에 차례로 기록한다(S64). 그러면, 특정부(535)가 메모리(534)에 기록된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으로부터, 적색만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투약이 필요한 출혈 부위[환부(X)]로 특정한다(S65). 또한, 환부(X)의 특정 후, 특정부(535)는 환부(X)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메모리(534)에 기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관련지어진 이동 거리로부터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의 입으로부터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한다(S66).
이어서, 환자(P)로부터 배설된 관찰용 캡슐(530)을 회수하여, 특정부(535)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를 입수하여 투약용 캡슐(550)의 메모리(557)에 기억시킨다(S67). 그 후, 환자(P)는 결정된 투약 시간 등에 따라서 투약용 캡슐(550)을 경구 투입한다(S68). 또, 투약용 캡슐(550)도 관찰용 캡슐(530)과 마찬가지로, 투입 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온이 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지(558)로부터 각 구성 물품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환자(P)는 의사 등으로부터 투약용 캡슐(550)을 입수한 후, 의료 기관 등을 벗어나도 상관없다.
한편,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550)은 투약용 계측 수단(554)에 의해 이동 거리의 계측을 하면서 체내 이동을 한다(S69). 이때, 화상 처리부(541)는 계측한 이동 거리를 판단부(555)로 보내고 있다. 그러면, 판단부(555)는 이송되어 오는 이동 거리가 메모리(557)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 여기에서, 판단부(555)는 투약용 계측 수단(554)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거리가 특정한 거리에 일치한 경우에는,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제어부(556)에 그 취지를 알린다(S71).
제어부(556)는 이것을 받아 양 개폐 밸브(561, 562)를 작동시켜, 체액 도입 관로(552a) 및 약제 공급 관로(552b)를 개방 상태로 한다(S72). 그러면, 체액(F)이 체액 도입구(559) 및 체액 도입 관로(552a)를 거쳐서 리저버(552) 내로 들어가, 팽창성 약제 B에 스며들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팽창성 약제 B는 체액(F)의 수분에 반응하여 팽창하기 시작한다(S73). 팽창성 약제 B가 팽창하면, 그 압력에 의해 약제 A가 리저버(552)로부터 약제 공급 관로(552b) 및 약제 방출구(560)를 거쳐서 케이싱(551) 외부로 밀어내어지도록 하여 방출된다(S74).
즉,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이동 거리에서 약제 A의 방출을 하기 때문에, 환부(X)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S75).
상술한 캡슐 투약 시스템에 따르면, 관찰용 캡슐(530)을 경구 투입함으로써, 관찰용 계측 수단(533)에 의해 체내의 이동 거리의 계측을 하면서 관찰 수단(532)에 의해 생체 정보의 취득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진단부(15)에 의해 투약이 필요한 환부(X)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할 수 있다. 그 후, 투약용 캡슐(550)을 경구 투입함으로써, 투약용 계측 수단(554)에 의해 측정한 이동 거리가 특정부(535)에서 특정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부(555)가 판단하여, 그 위치에서 약제 A를 방출할 수 있다. 즉,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이동 거리에서 약제 A의 방출을 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X)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환부(X)를 지나치게 통과하는 일없이, 정확하게 약제 A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투약용 캡슐(550) 자신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판단을 위한 별개의 외부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외부 장치 등의 통신 등에 의한 시간적 손실이 없어, 이동 거리의 측정으로부터 약제 A의 방출에 걸리는 시간이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환부(X)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약제 A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관찰용 캡슐(530) 및 투약용 캡슐(550)은, 각각 관찰용 계측 수단(533) 및 투약용 계측 수단(554)에 의해, 소화관 내강 벽(W)의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체내의 이동 거리의 계측을 쉽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어, 환부(X)에 대한 투약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7 실시 형태를, 도41 및 도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610)에서는, 캡슐 내 판단부 (611)가, 다시 생체 내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판단을 한다. 투약용 캡슐(610)은,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측면에, 체내를 이동할 때에 접촉한 생체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센서(센서)(612)를 구비하고 있다. 경도 센서(612)는, 예컨대 진동형 접촉 센서이며, 케이싱(11)의 외표면이며 케이싱(11)의 축 주위에 복수 마련되어 있고,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관 내강 벽의 경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치를 캡슐 내 판단부(611)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투약용 캡슐(610)을 경구 투입하면,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도 센서(612)가 소화관 내강의 경도를 측정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또한, 캡슐 내 판단부(611)는 이동량 검출부(132)로부터 이송되어 온 투약용 캡슐(610) 자신의 이동량 정보, 촬상 장치(71)로 촬영된 화상 정보로부터, 캡슐 내 메모리(131)에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처리에 의해 생성하여, 비교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투약용 캡슐(610)이 환부(X)의 근방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화관 내강의 경도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조직 등은 정상 조직에 비교하여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어, 대상 부위 단단함을 검출함으로써, 환부(X)에 대한 투약의 필요 여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투약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효과 외에, 생체 조직의 경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투약 부위의 동일 결정뿐만 아니라, 투약의 필요 여부까지도 판단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투약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8 실시 형태를, 도43 내지 도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701)에서는, 특정 장치(231)에 의해 실시된 클립(C)에 의한 마커(M)를, 투약용 캡슐(710)에 마련된 촬상 장치(71)의 화상으로부터 검출하여, 투약용 캡슐(710)이 투약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 투약 시스템(701)은,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캡슐형 의료 장치)(710)과, 특정 장치(231)를 갖는 체외 유닛(720)을 구비하고 있다.
특정 장치(231)로서 채용된 내시경 장치는, 도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된 환부(X)의 근방에 금속으로 된 클립(C)을 부착하는 클리핑 장치(마커 수단)(1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리핑 장치(721)로 환부(X)의 근방에 부착된 클립(C)을 마커(M)로서 사용한다.
내시경 장치 본체(75)에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76)에 설치되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일단부(단부 1)에 개구부를 갖고, 반대인 타단부(단부 2)로부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클리핑 장치(721)을 비롯한 내시경 처치구를 삽입 관통하여, 일단부(단부 1)측에서 내시경적 처치를 할 수 있도록, 감자 채널(722)이 설치되어 있다.
클리핑 장치(721)는 감자 채널(722)에 삽입 관통되는 삽입부(721a)와, 클립 (C)을 유지하는 클립 유지부(721b)와, 클립 유지부(721b)로부터 클립(C)을 방출하여, 생체 조직을 물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립 방출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약용 캡슐(710)은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에, 클립(C)을 검출하는 금속 센서(마킹 검출 수단, 마커 검출부)(7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금속 센서(723)는, 케이싱(11)의 외표면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의 축 주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 센서(723)는 마커(M)를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6)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701)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특정 장치(231)에 의해, 의사 등은 투약이 필요한 환부(X)의 특정을 한 후, 클리핑 장치(721)를 감자 채널(722) 내에 삽입하여, 환부(X)의 위치, 혹은 그 근방에 클립(C)을 부착한다. 또, 이때, 클립(C)은 환부(X)에 직접 실시하는 것은 아니고, 도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부(X)에 대하여 항문 측에 실시하면 좋다.
그 후, 체내에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710)은 생체 내를 이동하고 있는 사이에, 환부(X)의 위치에 도달하면 금속 센서(723)가 클립(C)을 검지하여, 그 취지를 제어부(16)에 알린다. 제어부(16)는 이것을 받아 양 개폐 밸브(24, 25)를 작동시켜 약제 A의 방출을 한다.
이에 의해, 특정 장치(231)로서의 내시경 장치로 특정한 환부(X)의 위치에서 약제 A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환부(X)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센서(723)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환부(X)의 위치 검출을 할 수 있으므 로, 투약용 캡슐(710)의 구성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한 환부(X)의 위치를, 투약용 캡슐(710)에서의 투약 동작에 쉽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마커(M)로서 클립(C)을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화관을 안쪽에서 압박하도록 넓어지는 금속제의 스텐트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마커 검출부로서 금속 센서(723)를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립(C)의 금속 반사를 화상에 의해 검지하는 화상 센서라도 상관없다. 또한, 마커(M)로서 상기 스텐트 이외에, 환부(X) 부근에 예컨대, 동위 원소나 형광제나 자성유체 등을 주사해도 좋고, 색소 살포 등을 행해도 상관없다. 이들의 경우에는, 마커 검출부를, 방사선을 검지하는 방사선 센서나, 형광을 화상으로 검지하는 화상 센서나, 자성유체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나, 색소의 색이나 휘도를 화상으로 검지하는 화상 센서 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 장치(231)로서 내시경 장치를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부(X)에 집적하는 성질을 갖는 형광약제를 체외로부터 주사하여,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광약제를 투약용 캡슐 내에 마련된 형광 센서 등으로 검출하면 좋고, 검출되었을 때에 투약을 하도록 하면 좋다. 특히, 환부(X)가 암 등인 경우에는 적합하다.
또한, 마커 수단을,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외로부터 체내를 향해 지향성을 갖고 체내를 투과하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레이저 등의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조사 장치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투약용 캡슐(710)의 마커 검출부를, 초 음파 또는 전자기파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상기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는, 지향성을 갖고 있으므로 정확하게 환부(X)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환부(X)에 대하여 확실하게 투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 예를 도48 및 도4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 예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는, 내시경 장치(의료 장치)(730)에 의해 환부(X)를 특정하는 동시에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마킹(M)을 실시하고, 그 특정한 마킹(M)을 검출했을 때에 투약을 한다. 또, 본 변형 예에 있어서, 특정한 마킹(M)은 자성체의 성질을 갖는 것이다. 이 마킹(M)에 대해서는, 자성체 약제 외에, 내시경으로 행하는 처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클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은,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730) 및 경구 투입되는 투약용 캡슐(70)을 구비하고 있다.
내시경 장치(730)는 체내에 삽입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 삽입부(731)를 갖는다.
내시경 삽입부(731)는, 선단부에 체내를 관찰하는 도시하지 않은 관찰 수단(생체 정보 취득 수단)을 갖는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731) 내에는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기단부 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처치구 삽입 구멍에 걸쳐 삽입 관통하도록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처치구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처치구 채널 내에 상기 자성체의 마킹(M)을 체강 내에 실시하는 처치구(마킹 수단)(732)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투약용 캡슐(70)은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341) 내에 리저 버(342), 방출 수단(343), 제어부(344), 전지(345), 및 특정한 마킹(M)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검출 수단)(3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344)는 자기 센서(345)가, 특정한 마킹(M)을 검출했을 때에 방출 수단(343)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 예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내시경 검사를 수진하여, 체내에 이상이 없는지 진단을 받는다. 즉, 내시경 장치(730)의 내시경 삽입부(731)를 체내에 삽입하여, 관찰계에 의해 체내를 관찰한다. 이 내시경 검사에 의해, 소화 기관에 표재 질환 등의 환부(X)가 발견된 경우에는, 의사는 처치구(732)를 처치구 채널 내에 삽입하여, 환부(X)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성체인 특정한 마킹(M)을 소화 기관 내에 실시한다. 이 내시경 검사 후, 환자(P)는 의사로부터 투약용 캡슐(70)을 입수한다. 또, 환자(P)는 투약용 캡슐(70)을 입수한 후, 의료 기관 등을 벗어나도 상관없다.
이어서, 환자(P)는 투약용 캡슐(70)을 삼켜 경구 투입한다.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70)은 자기 센서(345)에 의해 소화 기관 내를 관찰하면서 이동한다. 여기서, 특정한 마킹(M)에 도달하면, 자기 센서(345)가 자성체인 특정한 마킹(M)에 반응하여 그 위치를 검출한다. 특정한 마킹(M)을 검출하면, 자기 센서(345)는 그 취지를 제어부(344)로 보낸다. 제어부(344)는 자기 센서(34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히터(348)를 작동시킨다. 히터(348)는 제어부(344)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순 간적으로 가열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그 거품의 압력에 의해 약제구(347)의 얇은 막을 파열한다. 이에 의해, 리저버(342) 내의 약제 A가 약제구(347)로부터 케이싱(341)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환부(X)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체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특정 마킹(M)을 검출한 것과 동시에 약제 A의 방출을 할 수 있으므로, 검출로부터 방출에 이르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한 마킹 A의 근방에서 약제의 방출을 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로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345)를 이용하였지만, 상기 클립을 사용한 경우에서는, 도50a 및 도5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치구(732)로서, 체강 내에 내시경용 클립을 실시할 수 있는 클립 장착용 처치구를 채용하면 좋다. 또한, 투약용 캡슐(70)에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설치하여, 발광 소자에서 발한 광의 반사율의 변화를 검출해도 된다(클립은, 금속으로 되어 있으므로, 클립이 있으면 반사광량이 증대함). 또한, 수광 소자는 CMOS 화상 센서나 CCD 등의 이미지 센서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화상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마킹(M)(클립)을 검출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가 센서로부터 이송되어 온 마킹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특정한 마킹인지의 여부를 판단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생체 내에 마킹을 실시할 때에, 다른 형상, 크기나 색 등의 마킹 을 실시하여, 이 형상, 크기나 색 등의 차이로 특정한 마킹을 판단해도 상관없다.
또한, 환부에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특정한 마킹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생체 내의 특징이 있는 형상이나 색 등의 부위를 지표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히터를 이용하여 약제를 꺼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에 의해 방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캡슐형 의료 장치의 토출 기구와 같이 피에조 소자를 이용하여 약제를 방출시키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침투압을 구동력으로 하여 약제를 방출시켜도 좋고, 친수성 고분자 등이 흡수되어 팽윤할 때에 발생하는 팽윤압을 이용하여 약제를 방출시키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특정한 마킹을 하나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부가 여러 부위인 경우에는, 각각의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마킹을 검출했을 때에, 투약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환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의 마킹을 특정한 마킹으로 하고, 최초의 특정한 마킹으로 투약을 시작하여, 다음 마킹으로 투약을 정지하도록 설정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약제를 효율적으로 환부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어, 복수의 환부가 있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또한, 투약용 캡슐에 복수의 리저버를 마련하여, 각 리저버에 다른 종류의 약제를 수납시켜, 환부에 따른 투약을 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약용 캡슐은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자성체인 특정한 마킹을 검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시경 검사 등에 의해 특정한 형상이나 색 등의 특정한 마킹을 실시하여, 그 특정한 마킹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체내의 각부를 촬상한 촬상 화상을 생체 정보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H값이나 압력이나 체액 등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촬상부 대신에 각 생체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촬상부는 환자의 체내를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단속적 또한 무작위로 촬영하는 것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비디오 등과 같이 체내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비디오 등에 의해 체내를 촬영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체내 정보를 검출하여 체외 장치로 데이터 송신 가능한 것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헤모글로빈 센서를 내장한 출혈 검사용 캡슐이나, pH값, 압력치, 온도, 미생물량, 효소 및 유전자 이상 등의 체내 정보를 단속적으로 장시간 취득하는 체내 정보 검사용 캡슐이나, 초음파 화상 등의 단속적으로 취득하는 초음파 캡슐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다른 하나의 변형 예를, 도51 및 도5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 예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서는, 관찰용 캡슐(830)의 이동 거리를 체외 유닛(820)이 계측한다. 즉, 도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구 투입되는 관찰용 캡슐(830) 및 투약용 캡슐(810)과, 생체 밖에 배치되는 체외 유닛(820)을 구비하고 있다.
관찰용 캡슐(830)은 도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에, 관찰 수단(12)에 의해 취득한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를 체외 유닛(820)을 향해 송신하는 송 신 안테나(송신 수단)(831)와, 자기의 위치 정보를 체외로 송신하는 자석(위치 송신 수단)(832)을 갖는다. 즉, 제어부(545)는 관찰 수단(532)으로부터 취득한 생체 정보를 소정 처리하는 동시에, 송신 안테나(831)로부터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석(832)은 자력, 즉 위치 정보를 체외로 발함으로써(송신), 체외에 자기 위치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체외 유닛(820)은 도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를 싣는 침대 등의 진찰대(821)에 부착되어 자석(832)이 발하는 자력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위치 검출 수단)(822)와, 관찰용 캡슐(830)의 송신 안테나(831)로부터 송신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수신 수단)(823)와, 수신 안테나(823)에 의해 수신된 생체 정보와 자기 센서(822)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인 자력을 기초로 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X)와 환부(X)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는 특정부(특정 수단)(824)를 갖는다.
또한, 체외 유닛(820)은 체외 자석(825)과 표시 모니터(826a)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826)를 갖고 있고, PC(826)에 자기 센서(822) 및 수신 안테나(823)가 접속되는 동시에, PC(826) 내에 특정부(824)가 내장되어 있다.
체외 자석(825)은 진찰대(821) 상의 환자(P)에 대하여, 예컨대 환자(P)의 허리뼈 등의 비교적 골격이 표면 가까이에 있는 부위에 고정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기 센서(822)는 복수 배치되어 있고, 관찰용 캡슐(830)의 자석(832) 및 체외 자석(825)의 자력을 검출하는 동시에, 양 자석(832, 832)의 차이분으로부터 관찰용 캡슐(830)의 3차원적인 위치를 산출하여 특정부(824)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수신 안테나(823)는 수신한 생체 정보를 특정부(824)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 하고 있다. 특정부(824)는,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으로부터 적색만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투약이 필요한 환부(X)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정부(824)는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표시 모니터(826a)에 표시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특정부(824)는 환부(X)를 특정한 후, 환부(X)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자기 센서(822)로부터 이송되어 온 관찰용 캡슐(830)의 위치로부터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모니터(826a)에 표시되는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의사 등이 환부(X)를 진단하고 특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특정부(824)로 특정된 이동 거리는, 투약용 캡슐(810)의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의해, 환자(P)의 체내의 환부(X)에 대하여 약제 A를 투약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환자(P)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 하에, 진찰대(821) 상에서 체외 자석(825)을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환자(P)는 관찰용 캡슐(830)을 경구 투입한다. 경구 투입된 관찰용 캡슐(830)은 제어부(30)가 관찰 수단(12)으로부터 취득한 생체 정보를 송신 안테나(831)로부터 체외 유닛(820)을 향해 송신한다.
이 송신된 생체 정보는, 체외 유닛(820)의 수신 안테나(823)에 의해 수신되어 특정부(824)로 이송된다. 특정부(824)는 이송되어 온 촬상 화상인 생체 정보로부터, 적색만을 검출하는 동시에 그 검출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그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투약이 필요한 환부(X)를 특정한다.
한편, 자기 센서(822)는 관찰용 캡슐(830)이 경구 투입되어, 이동하고 있는 동안의 자석(832)이 발하는 자력 및 고정 위치되어 있는 체외 자석(825)의 자력을 검출한다. 자기 센서(822)는, 이 양 자석(832, 120)의 차이분을 검출함으로써, 관찰용 캡슐(830)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계측하고 있다. 그리고 계측한 관찰용 캡슐(830)의 위치를 특정부(824)로 보내고 있다. 특정부(824)는 자기 센서(822)로부터 이송되어 온 위치 정보와, 특정한 환부(X)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로부터 투약이 필요한 환부(X)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한다.
이어서, 투약용 캡슐(810)의 메모리에 특정부(824)로 특정된 이동 거리를 기억시킨다. 입력 후, 환자(P)는 투약용 캡슐(810)을 경구 투입한다. 이 투약용 캡슐(810)의 경구 투입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 즉 환부(X)의 위치에서 약제 A의 방출을 행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X)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특히, 체외 유닛(820)이 관찰용 캡슐(830)의 위치 검출을 하는 동시에 이동 거리의 특정을 행하므로, 관찰용 캡슐(830)을 보다 용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한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1, 제2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를 X선 CT 장치로 한 예가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환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초음파 진단 장치, 내시경 장치 등이라도 좋으며, 또한 도53에 나타내는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장치 (900) 등의 핵의학 진단 장치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상기 PET 장치(900)는, 환자(P)의 혈류에 방사선 물질(방사선 동위 원소, 이하 RI)를 주입하여, 주입된 RI에서 방사된 방사선을 검출하고, 영상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RI는 종양 등의 환부(X)에 모이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RI의 위치 검출에 의해 환부(X)의 특정 및 상기 환부(X)의 위치 검출을 할 수 있다.
이 PET 장치(900)는 도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P) 등의 피검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방사선 검출기(90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사선 검출기(901)는 대향면에 각각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방사선 검출 소자(902)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방사선 검출 소자(902)는 검출한 방사선을, 도54에 나타내는 방사선 검출 회로(903)를 거쳐서, 도53에 나타내는 동시 검출 회로(904)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동시 검출 회로(904)는 양 방사선 검출기(901)에 있어서, 동시에 감마선의 입사선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어, 동시에 감마선이 입사한 경우에는 에너지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재구축 장치(90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재구축 장치(905)는, 이송되어 온 에너지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 각각의 방사선 검출기(901)로부터 출력된 에너지 신호가 나타내는 값이, 감마선의 에너지치로서 기준치, 예컨대 511 keV 근방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어, 어떠한 에너지 신호도 상기 기준치 근방인 경우에는, 각각의 어드레스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의 재구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화상은 모니터(906)에 표시된다.
또, PET 장치(900)에는 대략 180도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강도(약 511 keV)의 방사선을 대략 동시에 방출하는 RI가 사용된다. 그리고 PET 장치(900)는, 방출된 방사선이 동시라고 판단된 경우에, 이 2개의 방사선이 각각 입사된 방사선 검출기(901)의 검출 위치를 이은 직선 상에 RI가 존재하는 것으로서, 화상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각의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위치를 이은 직선 상에 RI가 분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PET 장치(900)를 특정 장치로서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약용 캡슐(910)의 케이싱(11) 내에, 상기 RI를 내장하면 좋다.
이 PET 장치(900)를 이용하여 환부(X)에 대하여 투약을 하는 경우에는, 투약용 캡슐(910)을 경구 투입하면, 모니터(906)에 환부(X)의 위치와, 투약용 캡슐(910)의 위치가 RI 위치 표시라는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투약용 캡슐(910)의 이동(예컨대, 연동 운동)을 모니터(906)로 확인해 두고, 환부(X)의 위치와 겹쳐졌을 때, 또는 근방의 위치에 왔을 때에, 체외 장치(35)로부터 방출 신호를 송신하여 투약용 캡슐(910)에 약제 A의 방출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치로서 3차원 CT 장치나 MRI 장치 등의 진단기기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들의 진단기기는, 예컨대 도56에 나타내는 서페이스 렌더링법, 즉 환자(P)의 연속한 CT 화상에 대해, 2치화 처리를 행하여 복셀(voxel)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후 투영면에서의 거리를 나타내는 Z 버퍼를 작성하는 동시에 광의 반사를 고려하여 차광을 행함으로써 3차원의 표면 화상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이 3차원 화상은 조직 내측도 외측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3차원의 표면 화상의 구축 후, 의사 등 또는 퍼스널 컴퓨터는 모니터 등에 표시된 3차원의 표면 화상에 의거하여 환부(X)의 특정을 하는 동시에, 환부(X)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한다. 또, 복수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위치를 구해도 상관없다.
환부(X) 및 상기 환부(X)의 위치의 특정 후, 환부(X)의 위치 정보를 체외 장치(35)의 메모리(53)에 다운로드하여 기록한다. 그 후, 체외 장치(35)의 판단부(51)가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91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위치 정보와, 메모리(53)에 기록된 환부(X)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환부(X)의 위치 정보 근방에 왔을 때에, 방출 신호를 송신하여 투약용 캡슐(910)에 약제 A의 방출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판단부(51)는 투약용 캡슐(91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위치 정보가 환부(X)의 위치 정보로부터 멀어진 경우에는, 투약용 캡슐(910)에 약제 A의 방출을 중지하는 커맨드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환부(X)가 복수 특정된 경우에는 환부(X)의 위치에 근접할 때마다 상술한 것이 반복된다.
또한, 특정 장치는 헬리컬 CT나 초음파 관측 장치 등의 단층상을 얻을 수 있는 진단 장치이면 응용 가능하다.
또한,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투약용 캡슐로부터 전파를 송신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체외 유닛이 투약용 캡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다. 예컨대, 투약용 캡슐 내에 자석 등을 구비하여, 체외 유닛이 자력의 강도에 의해 투약용 캡슐의 위치를 검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투약용 캡슐 내의 자석에 부가하여 환자 등에 고정용 자석을 배치하여 양 자석이 발하는 자력의 차이분을 측정함으로써, 투약용 캡슐의 위치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환자는 투약용 캡슐과 통신을 하기 때문에,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유닛을 장착해도 된다. 이때, 각 안테나의 위치는 미리 설정된 장소에 점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투약용 캡슐로부터 송신된 전파의 강도를 각 안테나마다 취득할 수 있으므로, 체외 장치가 투약용 캡슐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인식할 수 있다. 또, 투약용 캡슐과 체외 장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하는 시스템이므로, 체외 장치에 접속된 각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 전파 강도를 투약용 캡슐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강도의 차이로부터 위치를 산출하는 시스템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판단부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적색을 검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적색 이외의 다른 색(청색, 녹색, 형광, 적외선 등)에 주목하는 동시에, 이들 색의 검출량을 임계치와 비교해도 상관없다. 또한, 색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이것에 의거하여 진단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정 장치, 즉 내시경 장치가 환부의 위치 정보를 삽입 길이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 혹은 이동 거리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없다.
또한, 투약용 캡슐의 메모리에 3차원 정보를 기록하여, 투약용 캡슐 자신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계측부에 의해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표면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촬상부가 계측부를 겸해도 상관없다. 즉,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을 촬상하고, 이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해도 상관없다. 특히, 소화관의 중심선을 구하는 화상 처리를 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 로패스 필터 처리를 함으로써 매끄러운 소화관의 주행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약용 캡슐은 팽창성 약제를 이용하여 약제를 방출시켰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저버 내에 유지되어 있는 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체내의 각부를 촬상한 촬상 화상을 생체 정보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디오 등과 같이 체내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비디오 등에 의해 체내를 촬영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체내 정보를 검출하여 체외 장치에 데이터 송신 가능한 것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헤모글로빈 센서를 내장한 출혈 검사용 캡슐이나, pH값, 미생물량 및 유전자 이상 등의 체내 정보를 단속적으로 장시간 취득하는 체내 정보 검사용 캡슐이나, 초음파 화상 등을 단속적으로 취득하는 초음파 캡슐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찰용 캡슐 및 투약용 캡슐은, 각각 LED에 의해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광학 센서로 표면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했지만, LED 등을 항상 구성 요소로 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관찰 수단이 관찰용 계측 수단을 겸하더라도 상관없다. 즉, 대물 렌즈로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을 촬상하고, 이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찰용 계측 수단 및 투약용 계측 수단은, 표면 정보의 경시적 변화에 의해 이동 거리를 산출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내의 이동 거리를 계측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또한, 관찰용 캡슐과 마찬가지로 투약용 캡슐 내에 있어서도 관찰 수단을 내장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동 거리의 측정과 체내의 촬상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환부에 대한 투약의 정확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찰 수단에 투약용 계측 수단의 기능을 겸용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관찰 수단에 의해 촬상한 체내의 촬상 화상을 생체 정보로 했지만, 촬상 화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체내의 pH값을 검출하는 센서나, 출혈을 검출하는 혈액 센서 등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체내에서의 출혈의 유무, 양이나 혈액 성분 등의 혈액 정보를 생체 정보로 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센서와 상기 관찰 수단을 조합한 취득 수단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체내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투약용 캡슐은 팽창성 약제를 이용하여 약제를 방출시켰지만, 이에 한 정되지 않으며 리저버 내에 유지되어 있는 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특정부는 생체 정보인 촬상 화상으로부터 적색을 검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한 요소법 등의 수법의 활용이나 적색 이외의 다른 색(청색, 녹색, 형광, 적외선 등)에 주목하는 동시에, 이들 색의 검출량을 임계치와 비교해도 상관없다. 또한, 색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환부를 특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5 실시 형태 및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체외 유닛의 특정부는 생체 정보를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투약이 필요한 환부를 특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사의 판단에 의해 환부를 특정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진단을 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이동 거리를 1개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부가 복수 부위인 경우에는, 각각의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고, 각 위치에서 투약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투약용 캡슐에 복수의 리저버를 마련하여, 각 리저버에 다른 종류의 약제를 수납시켜, 환부에 따른 투약을 해도 좋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찰용 캡슐이 자석을 내장하고, 위치 정보로서 자력을 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파를 송신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체외 유닛으로 전파를 수신하는 동시에, 전파 강도에 의거하여 관찰용 캡슐의 위치를 산출하면 좋다.
또한, 관찰용 캡슐 또는 투약용 캡슐 내에 가속도 센서를 내장하여, 통신에 의해 체외 유닛을 향해 위치 정보로서 가속도 정보를 송신하고, 체외 유닛이 이것 을 수신하는 동시에 체외에 배치된 체외 가속도 센서와의 차이분에 의해 체내에서의 가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가속도를 2회 적분함으로써, 체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체내의 각부를 촬상한 촬상 화상을 생체 정보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디오 등과 같이 체내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비디오 등에 의해 체내를 촬영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체내 정보를 검출하여 체외 장치에 데이터 송신 가능한 것이면 상관없다. 예컨대, 헤모글로빈 센서를 내장한 출혈 검사용 캡슐이나, pH값, 미생물량 및 유전자 이상 등의 체내 정보를 단속적으로 장시간 취득하는 체내 정보 검사용 캡슐이나, 초음파 화상 등을 단속적으로 취득하는 초음파 캡슐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검은 점에 의한 마킹 수단 혹은 투약 수단을 채용하고 있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체를 토출하는 방법으로서 투약용 캡슐에 가늘고 짧은 주사 바늘(국부 주입 수단)을 설치하여, 주사 바늘을 소화관 벽에 찔러 마킹제 혹은 물약을 투여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투약용 캡슐이 원하는 부위에 도달하였다면, 도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10) 내에 매설된 복수의 미소한 주사 바늘(1001)이 케이싱(11)의 외표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관벽의 점막을 찔러, 마킹제 혹은 물약을 토출한다. 주사 바늘(1001)의 돌출에는, 압전 작동기나 도전성 고분자 작동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바늘(101)에 초음파 진동자를 마련하여, 이것을 진동시키면서 주사 바늘(1001)을 돌출시키면, 주사 바늘 (1001)이 점막에 의해 찌르기 쉬워진다. 또한, 주사 바늘(1001)은 동시에 전부를 움직이는 것은 아니고, 1개씩 단독으로 움직여도 좋다. 이에 의해, 마킹제를 소화관벽에 의해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약제를 환부에 의해 확실하게 투여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경구 투입된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생체 내를 이동하면서 통신부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한다. 한편, 정보 취득부는 생체로부터 각종 정보의 취득을 한다. 여기서, 비교부는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정보와, 조건 입력부에 의해 외부 장치에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 조건을 비교하여, 예컨대 취득된 정보와 입력된 조건이 일치했을 때에, 투약이 필요한 환부의 위치에 캡슐형 의료 장치가 도달하였다고 판단을 한다. 이것을 받아 외부 장치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여,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를 방출시킨다.
이에 의해,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원하는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조건 입력부에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외부 장치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투약이 필요한 부위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CT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X선 관찰 장치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MRI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PET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초음파 단층 관측 장치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를 캡슐형 의료 장치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부터의 정보가 간략하기 때문에, 비교부는 비교 연산의 총량을 작게 억제한 상태에서 비교를 행할 수 있어, 쉽게 데이터의 비교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마킹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마킹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으므로, 환부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관강 내의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할 수 있으므로, 환부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 따르면,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원하는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용 캡슐에 있어서는,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된 후, 검출 수단이 지표를 찾으면서 생체 내를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 중에 검출 수단이 특징이 있는 형상, 색이나 마킹 등의 지표를 검출하면, 그 취지를 방출 제어 수단으로 보낸다. 방출 제어 수단은, 이 검출 수단의 출력을 받아 방출 수단을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생체 내로 방출시킨다. 즉, 환부의 위치를 가리키는 지표의 위치에서 약제의 방출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내의 원하는 부위(환부)에,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근접할 수 있는 동시에, 다시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환부의 위치를 가리키는 지표를 검출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투약 전에 환부를 통과하는 일 없이, 환부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는,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된 후, 생체 정보 취득 수단이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마킹 수단이 체강 내에 지표를 남기면서 생체 내를 이동한다. 또한, 전달 수단이 생체 정보와 지표를 케이싱의 외부에 대하여 전달한다. 이 전달된 생체 정보와 지표로부터 생체 내의 원하는 부위를 지표에 의해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원하는 부위에 대하여 직접적인 근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컨대 내시경 장치 등의 의료 장치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체강 내의 생 체 정보의 취득을 하는 동시에, 취득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마킹 수단에 의해 환부 등의 원하는 부위에 지표를 남긴다. 그 후, 경구 투입된 캡슐형 의료 장치는 지표 검출 수단에 의해 체강 내에 남겨진 지표를 검출하면서 체강 내를 이동한다. 그리고 지표 검출 수단이 지표를 검출하면, 이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가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 수납부 내의 약제를 방출시킨다.
이와 같이, 원하는 부위에,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근접할 수 있는 동시에 다시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검출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투약 전에 환부를 통과하는 일없이, 환부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2 캡슐형 의료 장치를 경구 투입함으로써, 정보 전달부가 생체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마킹 수단의 동작 정보를 외장부의 외부에 대하여 전달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전달된 생체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이들의 정보로부터 체강 내의 원하는 부위를 지표로서 검출한다. 그 후, 경구 투입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의해, 지표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지표 위치에서 약제의 방출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 장치를 제2 캡슐형 의료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간편하게 환자 등에 경구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예컨대 내시경 장치 등에 의해, 생체 내를 촬상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얻는 동시에, 얻게 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 위치의 결정을 한다. 또한, 투약 위치의 결정 후, 상기 투약 위치 근방에 지표를 남 긴다. 이어서, 투약용 캡슐을, 예컨대 경구 투입함으로써 체강 내에 삽입한다. 삽입된 투약용 캡슐은, 체강 내를 이동할 때에 투약 위치 근방에 부여된 지표의 검출을 한다. 그리고 지표를 검출했을 때에, 약제 방출 제어부가 약제 방출부를 작동하도록 제어를 한다. 이와 같이, 지표를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서, 약제 방출부의 작동 타이밍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예컨대 투약용 캡슐과는 별도의 캡슐을 생체 내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지표를 남기면서 생체 내를 이동시킨다. 또한, 동시에 생체 정보와 지표를 부여한 타이밍을 관련지어 기록을 한다. 또한, 생체 정보로부터 투약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투약 위치를 투약용 캡슐로 지정한 후, 투약용 캡슐을, 예컨대 경구 투입함으로써 체강 내에 삽입한다. 삽입된 투약용 캡슐은, 체강 내를 이동할 때에 지표를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지표로부터 투약 위치의 검출을 한다. 그리고 투약 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약제 방출 제어부가 약제 방출부를 작동하도록 제어를 한다. 이와 같이, 투약 위치를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서, 약제 방출부의 작동 타이밍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용 캡슐에 따르면, 생체 내를 이동 중에, 검출 수단이 특징이 있는 형상, 색이나 마킹 등의 지표를 검출하면, 방출 제어 수단이 방출 수단을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생체 내로 방출시킨다. 따라서 생체 내의 원하는 부위(환부)에,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시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검출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투약 전에 환부를 통과하는 일 없이, 환부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관찰용 캡슐이 환자 등의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어 상기 생체 내를 이동할 때, 취득 수단에 의해 촬상 화상 등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관찰용 계측 수단에 의해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이동 거리의 측정을 한다. 이때, 취득된 생체 정보는 이동 거리에 관련되어 메모리에 차례로 기록된다. 특정 수단은 메모리에 기록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컨대 생체 내의 촬상 화상의 적색의 양이 임계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출혈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라고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환부에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에 관련된 이동 거리로부터 투약이 필요한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한다.
이동 거리의 특정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이동 거리를 측정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여기서, 판단 수단은 계측된 이동 거리와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하면 그 취지를 제어 수단에 알린다. 이것을 받아, 제어 수단은 방출 수단을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방출한다.
이에 의해,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특히, 환부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투약을 행하므로, 환부를 지나치게 통과하는 일없이 정확(직접적)하게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또, 투약용 캡슐 자신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를 판단하여 투약을 행하므로, 판단을 위한 별개의 외부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외부 장치 등과의 통신에 의한 시간적 손실이 없어, 이동 거리의 측정으로부터 약제의 방출에 걸리는 시간이 단시간이면 끝나기 때문에, 환부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관찰용 캡슐이 환자 등의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어 상기 생체 내를 이동할 때, 취득 수단에 의해 촬상 화상 등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관찰용 계측 수단에 의해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이동 거리의 측정을 한다. 이때, 취득된 생체 정보는 이동 거리에 관련되어 송신 수단에 의해 체외 유닛을 향해 송신을 한다.
송신된 정보는, 체외 유닛의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동시에 특정 수단으로 이송된다. 상기 특정 수단은, 수신 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컨대 생체 내의 촬상 화상의 적색의 양이 임계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출혈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라고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환부가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수신 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에 관련지어진 이동 거리로부터 투약이 필요한 환부까지의 이동 거리를 특정한다.
이동 거리의 특정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이동 거리를 측정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여기서, 판단 수단은 계측된 이동 거리와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되면 그 취지를 제어 수단에 알린다. 이것을 받아, 제어 수단은 방출 수단을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방출한다.
이에 의해,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확실하면서도 또한 직 접적으로 환부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특히, 체외 유닛이 진단 및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하기 때문에, 관찰용 캡슐을 용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관찰용 캡슐이 환자 등의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어 상기 생체 내를 이동할 때, 취득 수단에 의해 촬상 화상 등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송신 수단에 의해 체외 유닛을 향해 송신을 한다. 또한, 위치 송신 수단에 의해 자력이나 전파 등의 위치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여 자기의 위치를 알린다.
체외 유닛의 위치 검출 수단은, 위치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투약용 캡슐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경구 투입되고 나서 생체 내를 이동하는 사이의 위치 검출을 행하고 있다. 한편,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생체 정보는, 체외 유닛의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어 특정 수단으로 이송된다. 상기 특정 수단은, 수신 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컨대 생체 내의 촬상 화상의 적색의 양이 임계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출혈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부라고 특정하는 동시에,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투약용 캡슐의 위치에 의거하여, 환부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한다.
이동 거리의 특정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투약용 계측 수단에 의해 이동 거리를 측정하면서 체내를 이동한다. 여기서, 판단 수단은 계측된 이동 거리와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특정된 이동 거리라고 판단하 면 그 취지를 제어 수단에 알린다. 이것을 받아, 제어 수단은 방출 수단을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방출한다.
이에 의해,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확실하면서도 또한 직접적으로 환부에 대하여 투약할 수 있다. 특히, 체외 유닛이 관찰용 캡슐의 위치 검출을 하는 동시에 이동 거리의 특정을 하기 때문에, 관찰용 캡슐을 보다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어, 한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 취득 수단이, 예컨대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을 단속적으로 촬상하여 상기 표면의 요철 형상 등의 표면 정보의 취득을 한다. 그리고 산출 수단이 취득된 표면 정보, 즉 요철 형상의 경시적 변화에 의거하여 이동 거리의 산출을 한다. 이와 같이, 소화관 내강 벽의 표면 정보에 주목함으로써, 쉽게 또한 확실하게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어, 환부에 대한 투약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조명 수단에 의해 생체를 조명함으로써, 촬상 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생체 내의 촬상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 수단으로 얻게 된 촬상 화상을 생체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혈액 센서에 의해 취득된 생체 내의 혈액의 유무, 양이나 성분 등의 혈액 정보를 생체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 따르면, 환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이동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에, 약제의 방출을 할 수 있으므로,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 로 투약을 할 수 있다. 이때, 환부를 검출하고 나서 투약을 하는 것이 아닌, 이동 거리에 의거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환부를 지나치게 통과하는 일없이 정확하게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특히, 투약용 캡슐 자신이, 특정된 이동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투약을 하기 때문에, 이동 거리의 계측으로부터 약제 방출에 걸리는 시간이 단시간에 끝나, 환부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투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부기항 1]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어 자기의 위치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갖는 투약용 캡슐과,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를 갖는 체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체외 유닛이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체외 수신부와, 상기 체외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한 상기 환부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상기 환부의 위치에 상기 투약용 캡슐이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투약용 캡슐을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하는 체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캡슐형의 케이싱 내에,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된 약제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방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방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X선 CT 장치나 내시경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생체 내를 진단하여, 생체 내의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한다. 특정 후,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정보 송신부가 전파 등의 송신에 의해 자기의 위치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면서 생체 내를 이동한다. 이 위치 정보는, 체외 유닛의 체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판단부로 이송된다. 상기 판단부는 이송되어 온 위치 정보와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투약용 캡슐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을 한다. 이 판단에 의해, 체외 송신부가 투약용 캡슐을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생체 내를 이동하고 있는 투약용 캡슐은 수신부가 방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가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로 유지되어 있는 약제를 케이싱 외부로 방출한다.
이에 의해, 특정 장치로 특정한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의 진단에 실적이 있는 X선 CT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투약용 캡슐에 반영시키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2]
부기항 1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관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외 송신부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받아 상기 투약용 캡슐을 향해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관찰부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상기 관찰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생체 정보를 생체 밖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체외 수신부가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체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투약한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투약용 캡슐을 향해 상기 방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체외 송신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체외 유닛의 판단부가 투약용 캡슐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체외 송신부에 의해 투약용 캡슐을 향해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송신한다. 생체 내를 이동하고 있는 투약용 캡슐은 수신부에 의해 이 생체 정보 취득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가 관찰부를 작동시킨다. 이것을 받아 관찰부는, 환부 위치의 촬상 화상, pH값, 혈액 성분 등의 생체 정보의 취득을 한다. 이 취득된 생체 정보는 정보 송신부에 의해 생체 밖으로 송신된다. 또한, 송신된 생체 정보는 체외 유닛의 체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판단부로 이송된다. 상기 판단부는 이송되어 온 생체 정보를, 예컨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투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체외 송신부에 의해 투약용 캡슐을 향해 방출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투약용 캡슐은 약제의 방출을 한다.
이와 같이, 환부의 위치에 달한 후, 또한 상기 위치에서의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하기 때문에,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환부인지를 확실하게 판단하여 투약할 수 있다. 따라서, 투약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기항 3]
부기항 1 또는 2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사이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고,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의 특정을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치는 생체 내에서의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의 위치 특정을 한다.
또한,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촬상부에 의해 생체 내를 촬상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는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동시에 생체 밖으로 송신한다. 또, 화상 정보에는 휘도나 색 균형 등도 포함된다. 즉,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는, 예컨대 촬상 화상이나 휘도나 색 균형의 경시적 변화 등이다.
또한, 체외 유닛의 판단부는 환부의 위치 정보, 즉 삽입부의 삽입 길이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와,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 즉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비교하여, 양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투약용 캡슐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삽입 길이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특정하고, 또한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를 경과 시간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특정함으로써, 양 정보를 비교하기 쉽고,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4]
부기항 1 또는 2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생체 내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고,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의 특정을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치는 생체 내에서의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의 위치 특정을 한다.
또한,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계측부에 의해 생체 내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면서 이동을 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는 계측부에 의해 계측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동시에 생체 밖으로 송신한다.
또한, 체외 유닛의 판단부는 환부의 위치 정보, 즉 삽입부의 삽입 길이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와,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 즉 이동 거리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비교하여, 양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투약용 캡슐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삽입 길이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결정하고, 또한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를 이동 거 리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결정함으로써, 양 정보를 비교하기 쉽고,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5]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투약용 캡슐과,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캡슐형의 케이싱 내에,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된 약제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상기 환부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와, 생체 내에서의 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환부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X선 CT 장치나 내시경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생체 내를 진단하여, 생체 내의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한다. 특정 후, 환부의 위치 정보를 투약용 캡슐의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검출부에 의해 자기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예컨대 생체 내를 촬상하거나, pH값의 변화를 검출하거나 하면서 생체 내를 이동한다. 또한, 판단부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자기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환부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여기서,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로 유지되어 있는 약제를 케이싱 외부로 방출한다.
이에 의해, 특정 장치로 특정한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하므로,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이때, 환부의 진단에 실적이 있는 X선 CT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가 투약용 캡슐에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약용 캡슐 자신이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있으므로, 자기의 위치 검출로부터 약제 방출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6]
부기항 5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고,
상기 검출부가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특정 장치가 화상 취득 장치로 생체 내를 촬상하면서 삽입부의 삽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의 특정을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치는 생체 내에서의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의 위치 특정을 한다.
또한,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촬상부에 의해 생체 내를 촬상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검출부는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와, 환부의 위치 정보, 즉 삽입부의 삽입 길이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비교하여, 양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또, 화상 정보에는 휘도나 색 균형 등도 포함된다. 즉,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는, 예컨대 촬상 화상이나 휘도나 색 균형의 경시적 변화 등이다.
이와 같이,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삽입 길이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결정하고, 또한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를, 경과 시간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결정함으로써, 양 정보를 비교하여 쉽고,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7]
부기항 5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 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생체 내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특정 장치가 화상 취득 장치로 생체 내를 촬상하면서 삽입부의 삽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의 특정을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치는 생체 내에서의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부의 위치 특정을 한다.
또한,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계측부에 의해 생체 내에서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검출부는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이동 거리와, 이에 대응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와, 환부의 위치 정보, 즉 삽입부의 삽입 길이에 대응한 화상 정보의 변화를 비교하여, 양 정보가 일치했을 때에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삽입 길이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특정하고, 또한 투약용 캡슐의 위치 정보를 이동 거리에 대응시킨 화상 정보로 특정함으로써, 양 정보를 비교하여 쉽고, 내시경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특정된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8]
부기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약용 캡슐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접촉한 생체의 경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환부의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또한 측정한 생체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센서가, 예컨대 소화관 내의 경도의 측정을 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판단부가, 자기의 위치 정보 및 환부의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경도를 임계치와 비교하거나, 경도의 변화 정도 등을 기초로 하여 환부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하거나 한다. 따라서 더욱 정확하게 환부에 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부기항 9]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투약용 캡슐과,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장치가 특정된 상기 환부의 위치에 마커를 실시하는 마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약용 캡슐이 캡슐형의 케이싱 내에,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된 약제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검출부와, 상기 마커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마커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X선 CT 장치나 내시경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생체 내를 진단하고, 생체 내의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한다. 특정 후, 마커 수단이 생체 내 또는 생체 밖으로부터 환부의 위치에 마커를 실시한다. 그 후, 경구 투입된 투약용 캡슐은 생체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마커 검출부가 마커 수단에 의해 실시된 마커를 검출하면, 제어부가 방출부를 작동시켜 약제 유지부로 유지되어 있는 약제를 케이싱 외부로 방출한다.
이에 의해, 특정 장치로 특정한 환부의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특히, 환부의 진단에 실적이 있는 X선 CT 장치 등의 특정 장치에 의해 특정된 환부의 위치 정보를, 마커를 거쳐서 투약용 캡슐에 반영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투약을 할 수 있다. 또한, 마커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환부의 위치 검출을 할 수 있으므로, 투약용 캡슐을 쉽게 구성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부기항 10]
부기항 9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이며,
상기 마커 수단이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부에 상기 마커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삽입부의 선단부를 이용하여 환부의 위치에, 예컨대 클립을 부착하거나, 형광제를 부착시키거나, 색소 살포를 실시하거나 하여 마커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생체 내를 이동하는 투약용 캡슐은,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마커를 검출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11]
부기항 9에 기재된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커 수단이 생체 밖으로부터 생체 내를 향해 지향성을 갖고 상기 생체 내를 투과하는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를 상기 환부에 조사하는 조사 장치이며,
상기 마커 검출부가 상기 초음파 또는 상기 전자기파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는, 조사 장치가 특정한 환부의 위치를 향해 생체 밖에서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를 조사한다. 이때, 초음파 또는 전자기파는 지향성을 갖고 생체 내를 투과하기 때문에, 생체 밖에서 정확하게 환부에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생체 내를 이동하는 투약용 캡슐은 쉽게 또한 직접적으로 마커를 검출할 수 있어, 확실하게 환부의 위치에서 투약을 할 수 있다.
[부기항 12]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의 케이싱 내에,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된 상기 약제를 방출하는 방출 수단과,
상기 방출 수단을 동작시키는 방출 제어 수단과,
약제 방출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출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방출 제어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용 캡슐.
[부기항 13]
부기항 12에 기재된 투약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생체 내에 실시된 특정한 마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용 캡슐.
[부기항 14]
부기항 13에 기재된 투약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생체 내에 실시된 복수의 마킹을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방출 제어 수단이 상기 특정한 마킹을 상기 마킹의 수로서 미리 기억하는 메모리를 갖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마킹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수와 일치했을 때에 상기 방출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용 캡슐.
[부기항 15]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의 케이싱과,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정보 취득 수단과,
체강 내에 지표를 남기는 마킹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상기 마킹 수단으로 체강 내에 남긴 상기 지표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16]
부기항 15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상기 마킹 수단으로 생체 내에 남긴 지표 정보를 관련시키는 정보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17]
부기항 16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18]
부기항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킹 수단이 간헐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19]
부기항 15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자성체 재료, 형광 약제, 색소, 방사성 동위체 또는 금속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20]
체강 내의 생체 정보를 얻는 생체 정보 취득 수단과 체강 내에 지표를 남기는 마킹 수단을 갖는 의료 장치와,
캡슐형의 외장부와, 상기 의료 장치가 체강 내에 남긴 지표를 검출하는 지표 검출 수단과, 약제 수납부와, 상기 약제 수납부 내의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상기 지표 검출 수단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약제 방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1]
부기항 20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치가 내시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2]
부기항 21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킹 수단이 내시경용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부기항 23]
부기항 20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치가 캡슐형의 외장부에,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마킹 수단과,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수단으로 검출한 생체 정보와 상기 마킹 수단의 동작 정보를 상기 외장부의 외부로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를 갖는 제2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정보 전달부에서 상기 외장부의 외부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4]
부기항 23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형 의료 장치가 상기 생체 정보 취득 수단으로 검출한 생체 정보와, 상기 마킹 수단의 동작 정보를 관련지어 보존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정보 전달부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외장부의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5]
부기항 23 또는 24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부가 적외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6]
부기항 23 또는 24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부가 전자기파에 의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7]
부기항 23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형 의료 장치가 간헐적으로 지표를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8]
부기항 20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킹 수단이 간헐적으로 지표를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29]
부기항 28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킹 수단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표를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0]
부기항 28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 얻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마킹 수단이 지표를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1]
부기항 28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형 의료 장치가 이동량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마킹 수단이 지표를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2]
부기항 28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생체 체강 내 조직에 대하여 반사율이 낮은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3]
부기항 28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생체 체강 내 조직에 대하여 반사율이 높은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4]
부기항 28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자성체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5]
부기항 28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표가 형광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시스템.
[부기항 36]
생체 내를 관찰하는 단계와,
생체 내에서의 투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투약 위치 근방에 지표를 남기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수단과, 약제 수납부와, 약제 방출부와, 약제 방출 제어부를 갖는 투약용 캡슐을 체강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방출부의 제어를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부기항 37]
생체 내를 관찰하는 단계와,
지표를 생체 내에 남기는 단계와,
생체 내를 관찰하는 단계에서 얻은 생체 정보와, 지표를 생체 내에 남기는 단계를 행한 것을 관련지어 생체 정보로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투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수단과, 약제 수납부와, 약제 방출부와, 약제 방출 제어 수단을 갖는 투약용 캡슐에 투약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투약용 캡슐을 체강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지표를 검출하는 단계와,
투약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방출부의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캡슐 투약 시스템이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한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외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를 갖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을 입력하는 조건 입력부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얻은 정보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어, 상기 약제 방출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캡슐 투약 시스템에 따르면,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위치에서 약제를 방출할 수 있어, 원하는 환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투약을 할 수 있다.

Claims (59)

  1. 캡슐 투약 시스템이며,
    약제 유지부와, 상기 약제 유지부로 유지한 약제를 방출하는 약제 방출부와, 외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와, 체내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관찰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와;
    환자의 체외로부터의 관찰에 기초하여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외부 통신부를 갖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동작시키는 조건인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조건 입력부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얻은 위치 정보와, 상기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한 조건인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일치한 경우에,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관찰부로 환자의 촬상을 하고, 얻어진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투약이 필요한 환자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가 투약이 필요한 환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약제 방출부로부터의 방출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캡슐 투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외부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고,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가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선단부에 체내를 촬상하는 화상 취득 장치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이고, 상기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해 촬상한 촬상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부를 특정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부를 생체 내에 삽입하는 동안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길이와 이에 대응한 화상 취득 장치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고,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이에 대응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생체 내를 이동할 때에 접촉한 생체의 경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가 자기의 위치 정보 및 환부의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또한 상기 센서가 측정한 생체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와, 투약이 필요한 환부와 상기 환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장치가 특정된 상기 환부의 위치에 마커를 실시하는 마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상기 정보 취득부가 상기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마커를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약제 방출부를 작동시키는 방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가 생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이고,
    상기 마커 수단이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부에 상기 마커 를 실시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의 정보로부터 관강 내의 주행 거리를 구하는 주행 거리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정보 취득부가 이동 거리 검출 수단인 캡슐 투약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조건 입력부는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비교 연산의 총량이 감소하도록 간략화, 혹은 근사화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 정보를 취득하는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하는 캡슐 투약 시스템.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의 투시상을 취득하는 투시상 취득 장치인 캡슐 투약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체외 생체 내 정보 취득 장치가 체외로부터 생체 내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층상 취득 장치인 캡슐 투약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에, 투약이 필요한 부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내로 삽입하는 체내 삽입부를 갖는 캡슐 투약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부에는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체내 지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지표 장치가 체내에 지표가 되는 지표 액체를 토출 혹은 국부 주입하는 지표 액체 유치(留置) 장치인 캡슐 투약 시스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위치 특정 장치가 체내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 장치인 캡슐 투약 시스템.
  32. 삭제
  33. 삭제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부가 생체 내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한 생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인 캡슐 투약 시스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내 정보 취득용 캡슐형 의료 장치에는, 체내에 지표를 남기고 오는 체내 지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캡슐 투약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지표 장치는 상기 지표를 체내에 간헐적으로 남기고 오는 캡슐 투약 시스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KR1020067005829A 2003-09-29 2004-09-28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13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8260A JP4520126B2 (ja) 2003-09-29 2003-09-29 カプセル型医療装置システム
JPJP-P-2003-00338260 2003-09-29
JP2003368918A JP2005131012A (ja) 2003-10-29 2003-10-29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
JPJP-P-2003-00368918 2003-10-29
JPJP-P-2004-00157590 2004-05-27
JP2004157590A JP4868720B2 (ja) 2004-05-27 2004-05-27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
PCT/JP2004/014557 WO2005030114A1 (ja) 2003-09-29 2004-09-28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を用いる投薬方法、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419A KR20060096419A (ko) 2006-09-11
KR101139082B1 true KR101139082B1 (ko) 2012-04-30

Family

ID=3439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829A KR101139082B1 (ko) 2003-09-29 2004-09-28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21356B2 (ko)
EP (1) EP1669052A4 (ko)
KR (1) KR101139082B1 (ko)
WO (1) WO2005030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0889B2 (en) 2004-11-10 2012-01-24 Olympus Corporation Body-insertable apparatus
KR100890102B1 (ko) * 2004-12-27 2009-03-24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의료 화상 처리 장치 및 의료 화상 처리 방법
EP1830710A4 (en) * 2004-12-30 2009-08-19 Given Imaging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 VIVO OPTICAL ANALYSIS
DE102005032373A1 (de) * 2005-07-08 2006-12-07 Siemens Ag Medizinisches System
US9047746B1 (en) 2005-07-20 2015-06-02 Neil Euliano Electronic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A2616010C (en) * 2005-07-20 2013-11-05 Neil R. Euliano Medication compli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WO2007057838A1 (en) * 2005-11-18 2007-05-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cell or tissue in a body
CN101325909B (zh) * 2005-12-07 2012-07-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胃肠筛查
JP4402648B2 (ja) * 2005-12-16 2010-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
WO2007074445A2 (en) * 2005-12-29 2007-07-05 Given Imaging Ltd. System and method of in-vivo magnetic position determination
DE102006014885A1 (de) * 2006-03-30 2007-10-18 Siemens Ag Endoskopische Vorrichtung mit Biochip-Sensor
JP4716922B2 (ja) * 2006-05-23 2011-07-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薬剤導入システム
CN101472640B (zh) * 2006-06-23 2012-12-1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药物输送系统
CN101516249B (zh) * 2006-09-12 2011-06-15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胶囊型内窥镜系统、被检体内信息获取装置以及胶囊型内窥镜
WO2008059728A1 (fr) * 2006-11-17 2008-05-2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Dispositif de type capsule pour administrer un médicament
CA2672602C (en) 2006-12-18 2014-05-20 Electronic Dietary Foods Inc. Device for delivery of a substance
DE102006060421B4 (de) * 2006-12-20 2016-12-22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s System zur bildgestützten Diagnose oder Therapie des Körpers eines Patienten sowie von dem System durchgeführtes Verfahren
WO2008149674A1 (ja) * 2007-06-05 2008-12-11 Olympus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00329520A2 (en) * 2007-11-08 2010-12-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Image and Tissue Characteristic Data
US9131847B2 (en) * 2007-11-08 2015-09-15 Olympu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living tissue
US9017248B2 (en) * 2007-11-08 2015-04-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Capsule bloo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006823B (zh) * 2008-02-22 2014-06-18 H·M·皮内多 检测医学状况和疾病的装置
KR100939708B1 (ko) * 2008-03-17 2010-02-01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JP2009226066A (ja) * 2008-03-24 2009-10-08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5336749B2 (ja) * 2008-03-24 2013-11-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とその作動方法
CN102006822B (zh) * 2008-04-18 2015-01-21 西门子公司 胶囊内窥镜
EP2238885B1 (en) * 2008-06-04 2016-08-31 Olympus Corporation Capsule medical apparatus
EP2326360A2 (en) * 2008-08-22 2011-06-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having a coating for electromagnetically-controlled release of therapeutic agents
JP2010102196A (ja) * 2008-10-24 2010-05-06 Olympus Corp 顕微鏡画像の自動調整方法、顕微鏡システム
WO2010094651A1 (de) * 2009-02-17 2010-08-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troskop
CN102316786A (zh) 2009-02-17 2012-01-11 西门子公司 胶囊内窥镜
WO2011016428A1 (ja) 2009-08-07 2011-02-1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システム
EP2347791A4 (en) * 2009-08-19 2012-05-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SYSTEM AND MEDICAL TAX PROCEDURE
US8605165B2 (en) 2010-10-06 2013-12-10 Ai Cure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onitoring of medication adherence
US8125449B2 (en) * 2009-12-16 2012-02-28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N.D. Movable touchpad with high sensitivity
US8922633B1 (en) * 2010-09-27 2014-12-30 Given Imaging Ltd. Detection of gastrointestinal sections and transition of an in-vivo device there between
EP2599429B1 (en) * 2011-03-15 2015-11-18 Olympus Corporation Medical apparatus
US8579800B2 (en) * 2011-03-22 2013-11-12 Fabian Emura Systematic chromoendoscopy and chromocolonoscopy as a novel systematic method to examine organs with endoscopic techniques
WO2013145814A1 (ja) 2012-03-27 2013-10-03 ソニー株式会社 医療システム
US10264972B2 (en) * 2012-05-21 2019-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ensing drugs from a companion diagnostic linked smart pill
JP6217632B2 (ja) 2012-06-26 2017-10-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記憶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US9215997B2 (en) * 2012-11-16 2015-12-22 L. Zane Shuck In vivo technology system for human gut research, diagnostics and treatment
WO2014123130A1 (en) * 2013-02-05 2014-08-14 Olympus Corporation Robotic-assisted surg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21561B1 (en) 2013-12-17 2019-12-31 Etectrx, Inc. Electronic compli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DE112014007039T8 (de) * 2014-11-20 2017-09-07 Olympus Corporation Kapselendoskopsystem, Kapselendoskop, drahtloses Kommunikationsverfahren des Kapselendoskops und Programm
GB2554354B (en) 2016-09-21 2021-06-02 Vibrant Ltd Systems for adaptive treatment of disorde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CN106618455A (zh) * 2016-11-28 2017-05-10 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定点施药功能的胶囊内窥镜系统
US10888277B1 (en) 2017-01-30 2021-01-12 Vibrant Ltd Method for treating diarrhea and reducing Bristol stool scores using a vibrating ingestible capsule
US10905378B1 (en) 2017-01-30 2021-02-02 Vibrant Ltd Method for treating gastroparesis using a vibrating ingestible capsule
IL301683A (en) 2017-05-17 2023-05-01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Self-healing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11541015B2 (en) 2017-05-17 2023-01-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lf-righting systems, methods, and related components
KR101979772B1 (ko) * 2017-07-12 2019-05-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KR20190046530A (ko) * 2017-10-26 2019-05-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캡슐내시경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US11504024B2 (en) 2018-03-30 2022-11-22 Vibrant Ltd. Gastrointestinal treatment system including a vibrating caps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638678B1 (en) 2018-04-09 2023-05-02 Vibrant Ltd. Vibrating capsule system and treatment method
US10537720B2 (en) 2018-04-09 2020-01-21 Vibrant Ltd. Method of enhancing absorption of ingested medicaments for treatment of parkinsonism
US11510590B1 (en) 2018-05-07 2022-11-29 Vibran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AU2019269636A1 (en) 2018-05-17 2020-11-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for electrical stimulation
WO2019226745A1 (en) * 2018-05-22 2019-11-28 Velis Christopher J P Therapy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miniaturized intra-body controllable medical devices
CA3114225A1 (en) 2018-09-25 2020-04-02 Miraki Innovation Think Tank, Llc In-vivo robotic imaging, sensing and deployment devices and methods for medical scaffolds
CN113272001B (zh) 2019-01-03 2024-04-05 维布兰特公司 用于将可摄入药物递送至使用者的胃肠道中的装置和方法
GB201900780D0 (en) 2019-01-21 2019-03-06 Vibrant Ltd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
US11771829B2 (en) 2019-02-01 2023-10-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injection
GB201901470D0 (en) 2019-02-04 2019-03-27 Vibrant Ltd Vibrating capsule for gastrointestinal treat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541216B2 (en) 2019-11-21 2023-01-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for manufacturing tissue interfacing components
CN112450857A (zh) * 2020-11-30 2021-03-09 成都柏睿泰生物科技有限公司 微型肠胃检查、酸碱度定位和靶向定量施药的智能胶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424A (ja) * 2001-07-30 2003-02-12 Olympus Optical Co Ltd カプセル内視鏡
JP2003524448A (ja) * 1998-10-22 2003-08-19 ギブン・イメージング・リミテツド 標的部位に装置を送り出す方法
JP7085133B2 (ja) * 2017-11-29 2022-06-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022A (ja) 1981-11-09 1983-05-1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JPH0785133B2 (ja) 1984-04-13 1995-09-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2835051B2 (ja) 1988-07-06 1998-12-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カプセル
US5279607A (en) * 1991-05-30 1994-01-18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elemetry capsule and process
JPH05168680A (ja) 1991-12-03 1993-07-02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用カプセル装置
US5318557A (en) * 1992-07-13 1994-06-07 Elan Medical Technologies Limited Medication administering device
JP3279409B2 (ja) 1993-10-18 2002-04-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カプセル装置
JPH07311834A (ja) 1994-05-19 1995-11-28 Toshiba Medical Eng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補助具
JPH08131403A (ja) 1994-11-09 1996-05-28 Toshiba Medical Eng Co Ltd 医用画像処理装置
JP3691625B2 (ja) 1997-03-24 2005-09-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磁気共鳴観測装置
US8636648B2 (en) * 1999-03-01 2014-01-28 West View Research, Llc Endoscopic smart probe
US20020099310A1 (en) * 2001-01-22 2002-07-25 V-Target Ltd. Gastrointestinal-tract sensor
US6929636B1 (en) * 2000-11-08 2005-08-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nal drug dispenser capsule medical device
EP1359845B1 (en) 2001-01-22 2012-11-14 Spectrum Dynamics LLC Ingestible device
JP2002360508A (ja) 2001-06-08 2002-12-17 Olympus Optical Co Ltd 消化管検査装置
US7160258B2 (en) 2001-06-26 2007-01-09 Entrack, Inc. Capsule and method for treating or diagnosing the intestinal tract
WO2003028224A2 (en) * 2001-09-24 2003-04-03 Given Imag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in vivo
JP2002186672A (ja) 2001-09-28 2002-07-02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用カプセル装置
JP2004041709A (ja) 2002-05-16 2004-02-12 Olympus Corp カプセル医療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448A (ja) * 1998-10-22 2003-08-19 ギブン・イメージング・リミテツド 標的部位に装置を送り出す方法
JP2003038424A (ja) * 2001-07-30 2003-02-12 Olympus Optical Co Ltd カプセル内視鏡
JP7085133B2 (ja) * 2017-11-29 2022-06-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9052A1 (en) 2006-06-14
EP1669052A4 (en) 2012-01-25
US20050148847A1 (en) 2005-07-07
US8021356B2 (en) 2011-09-20
WO2005030114A1 (ja) 2005-04-07
KR20060096419A (ko) 200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82B1 (ko)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4520126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システム
JP4733918B2 (ja)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
JP4868720B2 (ja)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
US10064544B2 (en) Endoscopic capsule and endoscopic system
JP2005334331A5 (ko)
JP4643089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US996829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psule endoscopy of the esophagus
JP4578740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4723048B2 (ja) 検査装置及び医療制御方法
JP2004041709A (ja) カプセル医療装置
US2010026802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psule endoscopy of the esophagus
JP2004521680A (ja) 摂取可能な装置
JP5275217B2 (ja) 生体内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3116781A (ja) カプセル型医療機器
Cummins Smart pills for gastrointestinal diagnostics and therapy
JP2008526295A (ja) 生体内検査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081360A1 (en) Capsule phototherapy
CN102843954A (zh) 医学诊断设备以及对人体或动物体内受关注区域进行标识和/或治疗的方法
JP2005131012A (ja)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
CN106419942B (zh) 一种用于消化道隆起性病变筛查的胶囊内镜及其应用
CN106377221A (zh) 一种用于消化道病变筛查的射线扫描式胶囊内镜及其应用
CN102525473A (zh) 具有红外线热扫描和多普勒超声功能的胶囊小肠镜系统
CN113349709A (zh) 一种胃肠道肿瘤诊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