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894B1 -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 Google Patents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894B1
KR101138894B1 KR1020107001146A KR20107001146A KR101138894B1 KR 101138894 B1 KR101138894 B1 KR 101138894B1 KR 1020107001146 A KR1020107001146 A KR 1020107001146A KR 20107001146 A KR20107001146 A KR 20107001146A KR 101138894 B1 KR101138894 B1 KR 10113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mponent
container
fluid
bl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646A (ko
Inventor
마사요시 오모리
세이신 다나카
야스노리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2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6Blood plasma; Blood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게 혈청을 조제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제공한다. 적어도 혈액유래의 응고 인자를 포함하는 액성 성분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2)와, 혈액 저장부(2)에 저장된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3)와,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로, 혈액 저장부(2)는, 가요성을 가진 통 모양의 혈액저장용기(21)와, 혈액저장용기(21)에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로(27)와,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28)를 가지고, 성분 수용부(3)는,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도출된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37)를 가지고, 연결부(4)는, 성분 도출로(28)와 성분 도입로(37)를 연결한다.

Description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ORING BLOOD COMPONENTS}
본 발명은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생 의료분야에서는 대상자에게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분화시킨 후 대상자에게 이식함으로써 대상자의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줄기세포는 여러 조직이나 기관으로 분화되는 다분화능을 가지며, 재생 의료의 열쇠를 쥔 세포로서 주목 받고 있다.
줄기세포의 체외배양증식은 배지에 혈청을 첨가하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간을 치료할 목적인 경우, 인간 이외의 동물을 유래로 한 혈청을 이용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피해야 하며, 인간 유래, 특히 대상자 본인에게서 채취한 혈액으로 조제한 혈청을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혈액검사에 비해, 재생 의료 분야에서의 줄기세포 배양은 비교적 많은 혈청이 필요하다. 더욱이,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혈청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폐쇄계에서 무균적으로 혈청을 분리, 수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여러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은 먼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와, 이 혈액 저장부에 무균적이며 기밀(氣密)하게 연결된 성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과 접촉하여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개체를 갖추고, 이 혈액응고 촉진개체가 혈청을 무균적으로 제조하는 것인 혈청조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제3788479호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혈청조제장치는 혈청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혈청조제장치는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혈액을 적혈구 등의 혈구성분을 포함하는 혈병과 액성 성분인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로 분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때, 혈청 등이 미생물 등에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혈액 저장부와 그에 무균적으로 연결되는 성분 수용부를 포함하는 혈청조제장치 전체를 원심분리기에 넣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혈청조제장치는 혈액 저장부 및 성분 수용부가 모두 폴리염화비닐제의 시트를 2장 서로 겹쳐서 그 주연부를 용착하여 백 모양으로 형성된 가요성 봉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봉지체를 가진 혈청조제장치 전체를 원심분리기에 넣기 위해서는 이들 복수의 봉지체의 자세를 유지하여 제어하는 전용의 보호 백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혈청조제장치 전체가 커져 비교적 대형의 원심분리기가 필요하여 반드시 범용성이 높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혈액 저장부가 가요성을 가진 봉지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혈액 저장부의 자세 유지가 곤란하고, 혈액성분의 분리 후에 분리된 혈청과 침전된 혈구 성분과의 계면이 흐트러지기 쉬웠다. 게다가, 혈액 저장부가 가요성을 가진 봉지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혈액 저장부의 내용량을 확인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혈청을 조제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게 혈청을 조제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와, 이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와, 이 혈액 저장부와 이 성분 수용부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로, 상기 혈액 저장부는 가요성을 가진 통 모양의 혈액저장용기와, 이 혈액저장용기에 상기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로와, 상기 혈액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도출로를 갖고,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혈액저장용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성분 도입로를 연결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단하게 혈청을 조제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하여 혈액성분의 분리수용을 수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에 있어서의 저장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에 있어서의 활성화 촉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에 있어서의 원심공정에 있어서, 혈액성분 분리수용용기를 원심 홀더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에 있어서의 혈액성분의 분리공정에 있어서,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에 있어서의 혈액성분의 분리공정에 있어서,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제 1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2)와, 이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3)와, 이 혈액 저장부(2)와 이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혈액"이란, 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와 액체성분인 혈장(혈청)으로 이루어지는 전혈 및 이들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예를 들면, 성분헌혈로 채취된 혈액)를 말한다. 또한, "혈청"이란, 채취한 혈액을 방치하면 유동성이 저하되고, 그 후에 빨간 응고 덩어리(혈병)로부터 분리되는 담황색 액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혈청"이란, 혈병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점에서 생성 방법이 일반적인 혈청과는 다르지만, 거기에 포함되는 응고인자나 증식인자가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혈청과 동등한 세포배양에 유용한 혈액 중의 액성 성분을 말한다.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이란 "혈구 이외의 혈액성분" 혹은 "혈구 이외의 혈액성분에 항응고제 등의 약제를 첨가한 혼합액"을 말한다.
혈액 저장부(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액저장용기(21)와, 혈액저장용기(21)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용기(22)와, 혈액저장용기(21) 및 제 1 수용용기(22)에 접속되는 제 1 캡(23)을 포함한다.
혈액저장용기(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측면이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의 지름방향의 단면은 타원형상을 가진다.
혈액저장용기(21)의 측면은 혈액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되는 유동체를 눈으로확인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수지, 합성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혈액저장용기(2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되고, 제 1 캡(23)에 끼워 맞춰져 밀폐된다. 혈액저장용기(2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바텀 캡(210)이 끼워 맞춰져 접착제로 접합된다.
바텀 캡(210)은 통 모양의 끼움부(211)와, 이 끼움부에 연속하는 바닥부(212)를 포함한다. 끼움부(211)의 지름방향의 단면은 타원형상이고, 그 외경은 혈액저장용기(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바텀 캡(210)은 끼움부(211)가 혈액저장용기(21)의 하단부에 끼워 맞춰진다. 바닥부(212)는 그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점 줄어든 후, 저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제 1 수용용기(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액저장용기(21)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혈액저장용기(21)보다 한결 크게 구성된다. 제 1 수용용기(2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 되고, 제 1 캡(23)에 끼워 맞춰져 밀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 1 수용용기(2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은 제 1 수용용기(22)의 지름이 아래쪽을 향해 점점 줄어든 후, 저면이 평탄한 원뿔대를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수용용기(22)는 혈액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되는 유동체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용용기(22)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PET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경질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경질 합성수지란, 후술하는 유체의 주입에 따른 용기의 내부공간의 압력변동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가진 합성 수지를 말한다.
제 1 수용용기(2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 홈을 가진 커버 캡(미도시)과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캡을 제 1 수용용기(2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후술하는 제 1 캡(23)이 혈액 분리수용조작 중에 제 1 수용용기(22)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캡(23)은 평면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이 제 1 수용용기(2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도 2 참조). 제 1 캡(23)은 그 일면인 하면에, 제 1 수용용기(22)에 접속 가능한 제 1 접속부(24)와, 제 1 접속부(24)의 내측에 혈액저장용기(21)와 접속 가능한 제 2 접속부(25)를 가진다. 제 1 접속부(24) 및 제 2 접속부(25)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 1 접속부(24)는 그 외경이 제 1 수용용기(2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 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제 1 수용용기(22)의 개구 근방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접속부(25)는 그 외경이 혈액저장용기(2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 2 접속부(25)의 외주면에 혈액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액저장용기(21) 및 이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용기(22)는 양자 모두 제 1 캡(23)에 끼워 맞춰져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수용용기(22)는 제 1 캡(23)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밀폐된다. 또한, 이에 따라 혈액저장용기(21)의 외측과 제 1 수용용기(22)의 내측 사이에는 혈액저장용기(21)의 내부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26)이 형성된다.
제 1 접속부(24)의 외주면과 제 1 수용용기(22)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는 압력조정공간(26)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미도시)가 개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압력조정공간(26)의 보다 확실한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밀폐 부재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환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 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씌울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소재로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 2 접속부(25)의 외주면과 혈액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혈액 저장부(2)에는 혈액저장용기(21)에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로(27)와,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동체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캡(23)에 설치된다. 유동체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제 1 캡(23)에, 그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또한, 제 1 캡(23)의 하면의 혈액저장용기(21)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해 점차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그 정상부에 관통 구멍인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라면, 혈액저장용기(21) 내에서 분리된 혈청을 성분수용용기(31)로 도출할 때에 혈청을 낭비 없이 도출할 수 있다.
유동체 도입로(27)에는 채혈 튜브(5)가 접속되어, 대상자에게서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 및 유동체 도입로(27)를 거쳐서 무균적으로 혈액 저장부(2)(혈액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된다. 유동체 도입로(27)와 채혈 튜브(5)는 제 1 캡(23)의 유동체 도입로(27)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 돌기부(231)에 채혈 튜브(5)의 단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접속된다.
혈액저장용기(21)에는 유동체와 접촉하여 이 유동체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개체(6)가 수용된다. 혈액응고 촉진개체(6)는 피브린이나 혈소판 등의 혈액응고인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함유되고, 혈액에 대하여 불용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응고 촉진개체(6)가 혈액에 대하여 불용해성을 가짐으로써, 수득된 혈청에 불순물이 혼재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조제할 경우, 혈소판 및 혈액응고인자 등의 피활성화 인자의 활성화를 도모한 후 원심분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적혈구의 파괴(용혈)나 혈액 저장부의 파손을 억제한다는 면에서, 혈액응고 촉진개체(6)의 외관형상을 거의 구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피활성화 인자를 신속하게 활성화시키는 관점에서, 혈액응고 촉진개체(6)의 표면을 이산화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규소 화합물로는, 유리,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혈액응고 촉진개체(6)로서 대략 구형의 유리 가공체를 이용한다.
혈액저장용기(21) 내의 혈액응고 촉진개체(6)는, 혈액저장용기(21)에 저장 가능한 혈액량에 대하여 0.1 ~ 25 mm2/ml 정도로 그 표면적을 설정해 두는 것이 활성화의 촉진 및 용혈의 억제라는 양면에서 바람직하다.
혈액 저장부(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 구멍(29)을 포함한다. 또한, 주입 구멍(29)은, 주입 구멍(29)에 연결되어 압력조정공간(26)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구멍(29)은 제 1 캡(2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주입 구멍(29)은 제 1 캡(23)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며, 제 1 캡(23)의 제 2 접속부의 외측이면서 제 1 접속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주입 구멍(29)에는 유체주입튜브(291)의 일단이 접속되고, 유체주입튜브(291)의 타단에 주입 수단이 접속된다. 주입 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 수단에 의해 주입 구멍(29)으로부터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된다. 이 때, 압력조정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는 제 1 수용용기(22)는 가요성을 갖지 않으므로, 가요성을 가진 혈액저장용기(21)가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그러져 변형된다. 또한,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됨으로써 찌그러져 변형된 혈액저장용기(21)는, 가압된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이나 감압에 의해 혈액저장용기(21)를 변형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혈청 등의 성분을 성분 수용부(3)로 도출하거나 채혈하는 것을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압력조정공간(26)에 주입되는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도 있고, 물 등의 액체일 수도 있다. 또한, 유체로서 겔상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체로서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을 이용할 경우, 주입시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체적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성분 수용부(3)로 도출하는 혈청 등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결부(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4)는 연결 튜브(41)로 구성되고, 제 1 캡(23)에 형성된 성분 도출로(28)와 후술하는 제 2 캡(33)에 형성된 성분 도입로(37)를 연결한다. 연결 튜브(41)와 성분 도출로(28)는, 제 1 캡(23)의 성분 도출로(28)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2 돌기부(232)에 연결 튜브(41)의 일단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접속된다.
성분 수용부(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분수용용기(31)와, 성분수용용기(31)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용기(32)와, 성분수용용기(31) 및 제 2 수용용기(32)에 접합되는 제 2 캡(33)을 포함한다.
성분수용용기(31)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측면이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다.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는, 상술한 혈액저장용기(21)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수용용기(3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되고, 제 2 캡(33)에 접속되어 밀폐된다. 성분수용용기(3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성분수용용기(31)에 수용된 혈액성분을 채취하는 성분 채취구(34)가 형성된다.
성분 채취구(34)는 성분수용용기(31)의 저면의 일부에 박막형상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성분 채취구(34)가 형성된 영역에는 성분수용용기(31)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중공의 원통부(341)가 형성된다. 성분수용용기(31) 내에 수용된 혈액성분은 성분 채취구(34)를 주사 바늘 등의 천자구(穿刺具)로 파단 천자함으로써 채취할 수 있다. 이 때, 성분 채취구(34)가 형성된 영역에는 중공의 원통부(341)가 형성되므로, 천자구를 확실하게 성분 채취구(34)에 천자할 수 있다.
성분수용용기(31)의 저면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해 점차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그 정점부에 성분 채취구(3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라면, 성분수용용기(31) 내의 혈청을 채취할 때에, 채취하는 혈청을 낭비 없이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성분수용용기(31)의 바닥부에 설치된 성분 채취구(34)의 위치와,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바닥부의 위치 간의 거리가, 상기 천자구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라면, 천자구를 성분수용용기(31)의 성분 채취구(34)에 천자한 상태로 제 2 수용용기(32)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천자구에 적절히 연통할 수 있는 개폐 기구를 가지고 있으면, 성분수용용기(31) 내의 혈청을 원하는 대로 채취?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수용용기(32)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성분수용용기(31)보다도 한결 크게 구성된다. 제 2 수용용기(3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되고, 제 2 캡(33)에 끼워 맞춰져 밀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 2 수용용기(3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은, 제 1 수용용기(22)의 지름이 아래쪽을 향해 점차 줄어든 후, 저면이 평평한 원뿔대를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수용용기(32)는 상술한 제 1 수용용기(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그 형상 및 크기도 제 1 수용용기(22)와 동일하다.
제 2 수용용기(3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도 제 1 수용용기(22)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 홈을 가진 커버 캡(미도시)과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캡(33)은 제 1 캡(23)과 마찬가지로 평면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이 제 2 수용용기(3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 2 캡(33)은 그 일면인 하면에, 제 2 수용용기(32)에 접속 가능한 제 3 접속부(35)와, 제 3 접속부(35)의 내측에 성분수용용기(31)와 접속 가능한 제 4 접속부(36)를 가진다. 제 3 접속부(35) 및 제 4 접속부(36)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 3 접속부(35)는 그 외경이 제 2 수용용기(3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 3 접속부(35)의 외주면에 제 2 수용용기(32)의 개구 근방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4 접속부(36)는 그 외경이 성분수용용기(3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 4 접속부(36)의 외주면에 성분수용용기(31)의 개구 근방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캡(33)에는 후술하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제 2 주입 구멍(29a)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주입 구멍(29a)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분수용용기(31) 및 이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용기(32)는 양자 모두 제 2 캡(33)에 끼워 맞춰져 구성된다. 그리고, 성분수용용기(31)는 제 2 캡(33)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밀폐되고, 제 2 수용용기(32)도 제 2 캡(33)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밀폐된다.
성분 수용부(3)는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도출된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37)를 가진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분 도입로(3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캡(33)에 설치된다. 성분 도입로(37)는 제 2 캡(33)에,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성분 도입로(37)에는 연결 튜브(41)가 접속되고,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도출된 혈청 등은 무균적으로 성분 수용부(3)(성분수용용기(31)) 내에 수용된다. 성분 도입로(37)와 연결 튜브(41)는 제 2 캡(33)의 성분 도입로(37)가 형성된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3 돌기부(331)에 연결 튜브(41)의 단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접속된다.
성분 수용부(3)에는 성분수용용기(31) 내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38)가 설치되고, 통기로(38)에는 통기 필터(71)를 구비한 통기 튜브(7)가 더 연결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로(38)는 제 2 캡(3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통기로(38)는 제 2 캡(33)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며, 제 2 캡(33)의 제 4 접속부(36)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통기로(38)에는 통기 튜브(7)의 일단이 접속되고, 통기 튜브(7)의 타단에는 통기 필터(71)가 접속된다. 통기 필터(71)란, 기체는 통과시키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세균 등도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진 필터이다. 즉, 통기 필터(71)가 연결된 통기로(38)로는 성분수용용기(31) 내에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통기로(38)와 통기 튜브(7)는, 제 2 캡(33)의 통기로(38)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4 돌기부(332)에 통기 튜브(7)의 단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있어서, 혈액 저장부(2)(혈액저장용기(21)), 연결부(4)(연결 튜브(41)), 및 성분 수용부(3)(성분수용용기(31))가 무균적으로 연결되고, 혈액저장용기(21), 연결 튜브(41), 및 성분수용용기(31) 각각의 내부공간도 무균상태가 유지된다. 그 때문에 통기로(38)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가 출입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혈액저장용기(21), 연결 튜브(41), 및 성분수용용기(31) 각각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무균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각 구성 부재의 바람직한 크기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혈액저장용기(21)의 혈액의 수용량은 바람직하게는 5 ~ 200 m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50 ml이다. 혈액저장용기(21)는 구체적으로 그 내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30 mm이며,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 ~ 150 mm이다.
성분수용용기(31)에서의 혈액성분의 수용량은 혈액저장용기(21)에 수용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액성 성분을 확실히 수용하는 관점에서, 혈액저장용기(21)의 혈액 수용량의 4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용용기(22) 및 제 2 수용용기(32)는 각각 혈액저장용기(21) 및 성분수용용기(3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특별히 그 크기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이 10 ~ 30 mm이며,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 ~ 150 mm이다.
또한, 제 1 수용용기(22) 및 제 2 수용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1 수용용기(22) 및 제 2 수용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혈액성분 분리조작의 원심분리공정에 있어서, 그 원심분리관을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리조작할 수 있다.
제 1 수용용기(22) 및 제 2 수용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할 경우, 원심분리관의 용량은 원심분리 공정에서의 범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50 ml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가진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의 바람직한 일실시태양에 대해 도 3 ~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태양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조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7개의 공정(S1 ~ S7)으로 구성된다.
우선, 저장 공정(S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혈 바늘(80)을 대상자(환자)에게 찔러 혈액을 채취한다. 이 때, 채혈 바늘(80)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를 거쳐 혈액 저장부(2)(혈액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된다(도 4 참조). 채혈시, 성분 수용부(3)에 마련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하는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수용용기(31) 내 및 그에 연통하는 혈액저장용기(21) 내에 음압을 부하하여 혈액 저장부(2)로 혈액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채혈 튜브(5)에는 채혈 중의 혈액이 대상자에게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류방지밸브(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정(S1) 후에는, 혈액 저장부(2)에 채취된 혈액이 성분 수용부(3)쪽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튜브(41)의 경로가 클램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혈액 저장부(2)의 근원측에서 폐쇄된다. 저장 공정(S1)은 채혈시의 환자의 몸상태 등을 고려하여 소요량을 채취하고 종료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요량은 환자의 체격이나 몸상태에 문제가 없을 경우 5 ~ 50 ml 정도이다.
저장 공정(S1) 후, 채혈 대상으로부터 채혈 바늘(80)을 뽑고, 채혈 바늘(80)과 혈액 저장부(2)를 연결하는 채혈 튜브(5)의 일부를 용단하고, 동시에 그 용단단을 용착한다(용단공정(S2)). 채혈 튜브(5)의 용단에는 소위 실러라 불리는 용단기(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공정(S1)의 종료 후, 혈액 저장부(2)를 진탕시킨다(활성화 촉진공정(S3)). 활성화 촉진공정(S3)에 있어서, 채취된 혈액을 저장한 혈액 저장부(2)는 진탕장치(100)에 의해 서서히 교반되어 혈액저장용기(21)의 내부에 수납된 혈액응고 촉진개체(6)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혈액 중에 포함된 혈소판 및 응고 인자가 혈액응고 촉진개체(6)의 표면에서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으로부터 이들을 유래로 하는 증식인자가 방출된다.
한편, 활성화 촉진공정(S3)을 거쳐서 채혈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혈액 저장부(2)는 성분 수용부(3), 연결 튜브(41), 및 통기 튜브(7) 등과 함께 원심분리기에 넣어진다(원심분리공정(S4)). 이 때, 혈액 저장부(2)(제 1 수용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제 2 수용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한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분리기에 이용되는 원심 홀더(11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원심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튜브(41)는 저장 공정(S1)시와 마찬가지로 클램프 등(미도시)에 의해 경로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혈액 저장부(2)에 대한 원심분리 조건은, 저장된 혈액의 양 및 분리하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2250 g ×10 min, 4℃로 설정된다.
활성화 촉진공정(S3)을 거친 후에 원심분리된 혈액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혈액저장용기(21)) 내에서 크게 나뉘어 혈청(81), 백혈구(82), 적혈구(83)의 3개 층으로 분리분획된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의 바닥에는 혈액응고 촉진개체(6)가 그 표면에 혈소판 및 응고 인자의 응고체가 부착된 상태로 가라앉아 있다.
활성화 촉진공정(S3) 및 원심분리공정(S4)을 거쳐 수득된 혈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 촉진공정(S3)에서 충분하게 혈소판 및 응고 인자로부터 방출된 이들 유래의 증식인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활성화 촉진공정(S3) 및 원심분리공정(S4)에서 활성화된 혈소판이나 응고 인자 등의 피활성화 인자는 혈액응고 촉진개체(6)의 표면에 부착되고, 덩어리져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다(분리 공정(S5)).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출 공정(S6)에서는 분리 공정(S5)에서 혈액저장용기(21) 내에서 분리된 혈청(81)을 성분 수용부(3)의 성분수용용기(31)로 도출한다.
혈액저장용기(21) 내에서 분리된 혈청(81)을 성분수용용기(31)로 도출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혈액 저장부(2)의 혈액저장용기(21)와 제 1 수용용기(22) 사이에 형성된 압력조정공간(26)에, 주입 구멍(29)으로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한다.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유체로는 공기 등의 기체,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조정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는 제 1 수용용기(22)는 비교적 강성을 가지므로, 가요성을 가진 혈액저장용기(21)가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그러져 변형되고, 분리된 상청(上淸) 부분인 혈청(81)이 성분 도출로(28)로부터 연결 튜브(41)를 통해서 도출되어 성분 수용부(3)(성분수용용기(31)) 내로 도입된다.
또한, 도출 공정(S6)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과 더불어, 성분 수용부(3)에 설치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한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수용용기(31) 내 및 그에 연통하는 연결 튜브(41) 내에 음압을 부하하여 혈액저장용기(21)에서 성분수용용기(31)로 혈청(81)을 보다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성분수용용기(31)에 소요량의 혈청이 충전된 후, 연결 튜브(41) 및 통기 튜브(7)를 용단 및 용착한다(용단 공정(S7)). 이 용단 및 용착에 대해서는, 원심분리공정(S4) 전에 채혈 튜브를 용단 및 용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단 공정(S7) 종료후, 혈청이 수용된 성분수용용기(31)를 소위 비동화 처리(56℃에서 30분간 가온)함으로써 혈청 중의 보체를 실활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혈청이 성분수용용기(31) 내에 충전된 성분 수용부(3)는 냉동 보존 등의 보존 처치가 실시된다. 여기서, 성분수용용기(31)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용기(32)는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용된 혈청을 이송, 보존할 때에 성분 수용부(3)에 외력이 가해져도 성분수용용기(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분 수용부(3)를 보존할 때는 수용된 내용물에 관한 정보를 기재한 라벨 등을 용이하게 첨부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제 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의하면, 혈액 저장부(2)가 가요성을 가진 통 모양의 혈액저장용기(21)를 가지므로, 보다 간단하게 혈액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 성분 수용부(3),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4)가 무균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혈액 혹은 혈청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일이 없고, 조제한 혈청이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될 위험성도 낮아 안정성이 높은 혈청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를 세로로 긴 통 모양으로 함으로써, 채취한 혈액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에도 혈액성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한 성분을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렇게 비교적 소량의 혈액으로도 혈액성분의 분리 및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채취 가능한 혈액량이 제한되어 있는 대상자의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조제할 때에 특히 유효하다. 여기서 비교적 소량의 혈액이란, 구체적으로는 5 ~ 50 ml 정도의 혈액량을 가리킨다.
또한, 혈액 저장부(2)의 혈액저장용기(21)와 제 1 수용용기(22) 사이에 압력조정공간 및 이 압력조정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구멍(29)을 형성함으로써, 이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하여 혈액저장용기(21)를 찌그러뜨려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혈액저장용기(21)를 변형시킴으로써, 혈청 등의 성분을 성분 수용부(3)로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찌그러져 변형된 혈액저장용기(21)는, 가압된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혈액의 채취 전에 혈액저장용기(21)를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찌그러뜨려 변형시키고, 채혈시에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혈액저장용기(21)를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시켜 혈액저장용기(21) 내를 음압으로 하여 채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의 지름방향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혈액저장용기(21)는 타원형상의 단축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워, 혈청 등의 성분을 성분 수용부(3)로 보다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의 제 1 수용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의 제 2 수용용기(32)가 세로로 긴 통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 전체의 자세 유지가 용이하게 되고, 혈액성분 분리수용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수용용기(22)와 제 2 수용용기(32)를 동일 형상의 소정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용 보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심 홀더에 수용하여 원심분리기에 적용할 수 있어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 홀더에 수용함으로써,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 홀더를 혈액저장공정(S1)에서 용단 공정(S7)에 걸친 일련의 공정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작용 보조구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형상이란, 예를 들면 50 ml 시판품의 원심 침전관과 동일 형상인 경우 등을 말한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에 혈액응고 촉진개체(6)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혈청 조제시에 혈병이 혈액응고 촉진개체(6)의 표면에 부착되어, 혈청을 분취할 때 혈청중으로 피브린이나 혈병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은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혈액 저장부(2)에 설치된 주입 구멍(29)에 더하여 성분 수용부(3)에 제 2 주입 구멍(29a)이 설치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 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있어서, 성분 수용부(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수용용기(31)의 외면과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 2 주입 구멍(29a)을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주입 구멍(29a)은 제 2 캡(3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 2 주입 구멍(29a)은 제 2 캡(33)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며, 제 2 캡(33)의 제 4 접속부(36)의 외측이면서 제 3 접속부(35)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주입 구멍(29a)에는 제 2 유체주입튜브(291a)의 일단이 접속된다. 제 2 유체주입튜브(291a)의 타단은, 일단이 주입 구멍(29)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체주입수단(미도시)에 접속된 유체주입튜브(291)의 양단부간의 소정 부위에 연결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의하면, 성분 수용부(3)의 성분수용용기(31)의 외면과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혈액 저장부(2)의 압력조정공간(26)뿐만 아니라 성분수용용기(31)의 외면과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의 압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혈액저장공정(S1)에서의 채혈시,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성분수용용기(31) 내 및 그에 연통하는 혈액저장용기(21) 내에 음압을 부하할 때에, 통기 필터(71)로부터의 흡인과 더불어 유체주입수단에 의해 주입 구멍(29) 및 제 2 주입 구멍(29a)에서 유체를 흡인함으로써, 성분수용용기(31)의 외면과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혈액 저장부(2)의 압력조정공간(26)에도 음압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기 필터(71)로부터의 공기의 흡인과 더불어 성분수용용기(31)의 외면과 제 2 수용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압력조정공간(26)의 양측에도 음압을 부하함으로써, 통기 필터(71)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의해 성분수용용기(31) 및 혈액저장용기(21)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혈액 저장부(2)로의 혈액의 도입 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태양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태양에는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캡(23)과 혈액저장용기(21) 또는 제 1 수용용기(22)와의 접속, 및 제 2 캡(33)과 성분수용용기(31) 또는 제 2 수용용기(32)와의 접속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끼워 맞춤으로써 접속되지만, 이들 접속은 예를 들면 나사결합일 수도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캡(23)과 제 1 수용용기(22) 사이에 개재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 부재를 제 2 캡(33)과 성분수용용기(31) 사이에 개재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의 하단부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텀 캡(210)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혈액저장용기(21)의 하단부는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재를 하단부에서 용착, 밀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텀 캡(210)을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텀 캡(210)을 가요성을 가진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혈액저장용기(21)는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하단부도 변형되기 쉬워져, 혈청 등의 성분을 성분 수용부(3)로 보다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주입튜브(291)와 제 2 유체주입튜브(291a)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양자는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유체주입튜브(291), 제 2 유체주입튜브(291a), 및 통기 튜브(7)의 3자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혈액응고 촉진개체(6)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가공체였으나, 유리 가공체 대신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유리 가공체 및 공기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로부터 성분수용용기(31)로의 혈청 이송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함으로써 혈액저장용기(21)를 변형시켰으나, 통기로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성분수용용기(31) 내 및 그에 연통하는 혈액저장용기(21) 내에 음압을 부하함으로써 혈액저장용기(21)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입 구멍(29)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캡(23)에 설치되었으나, 제 1 수용용기(22)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 성분수용용기(31)의 하단부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수용용기(22), 제 2 수용용기(32)의 각각의 내측과 이간되어 구성되었지만, 양자가 맞닿거나 혹은 끼워 맞춤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혈액저장용기(21)의 하단부와 제 1 수용용기(22)의 바닥부와의 사이, 및 성분수용용기(31)의 하단부와 제 2 수용용기(32)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배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이라면, 본 장치의 혈액성분 분리조작에서의 원심분리 공정시에, 혈액저장용기(21), 성분수용용기(31)의 각각에 부하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캡(33)의 하면의 성분수용용기(31)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부분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그 정상부에 관통 구멍인 성분 도입로(37)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구성은, 제 2 캡(33)의 정상부에 관통 구멍인 통기로(38)가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통기로(38)로부터 흡기하여 성분수용용기(31) 내의 감압 조작을 수행할 경우, 성분수용용기(31) 내에 수용된 성분(예컨대 혈청)을 흡인하지 않고 감압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성분 도출로(28), 연결 튜브(41), 또는 성분 도입로(37) 중 어느 하나의 중공부분에 혈구제거필터(미도시)를 개재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저장용기(21) 중의 혈구성분을 혈구제거필터로 포착할 수 있어, 성분수용용기(31)로의 혈구성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1: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2: 혈액 저장부
21: 혈액저장용기
22: 제 1 수용용기
23: 제 1 캡
24: 제 1 접속부
25: 제 2 접속부
26: 압력조정공간
27: 유동체 도입로
28: 성분 도출로
29: 주입 구멍
3: 성분 수용부
31: 성분수용용기
32: 제 2 수용용기
33: 제 2 캡
34: 성분 채취구
35: 제 3 접속부
36: 제 4 접속부
37: 성분 도입로
38: 통기로
4: 연결부
41: 연결 튜브
5: 채혈 튜브
6: 혈액응고 촉진개체
7: 통기 튜브
71: 통기 필터
80: 채혈 바늘

Claims (12)

  1. 적어도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와, 이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와, 이 혈액 저장부와 이 성분 수용부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로,
    상기 혈액 저장부는,
    가요성을 가진 통 모양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일단측에 개구가 형성된 혈액저장용기와,
    상기 혈액저장용기의 개구에 끼워 맞춰져 이 혈액저장용기를 밀폐하는 제 1 캡과,
    상기 제 1 캡에 설치되어 상기 혈액저장용기에 상기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로와,
    상기 제 1 캡에 설치되어 상기 혈액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와,
    상기 혈액저장용기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가 형성된 통 모양의 제 1 수용용기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수용용기의 개구는, 상기 제 1 캡에 끼어 맞춰져 밀폐되며,
    상기 혈액저장용기의 외측과 상기 제 1 수용용기의 내측 사이에는, 상기 혈액저장용기의 내부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혈액저장용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성분 도입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압력조정공간에 유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조정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혈액저장용기는, 주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구멍은, 상기 제 1 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저장용기에는, 상기 유동체와 접촉하고, 이 유동체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개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수용부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가요성으로 통 모양인 성분수용용기와, 이 성분수용용기를 수용하며 일단에 개구를 가진 통 모양의 제 2 수용용기와, 상기 성분수용용기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수용용기의 개구에 끼워 맞춰지는 제 2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성분수용용기 내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를 갖고, 이 통기로에는 통기 필터를 갖춘 통기 튜브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수용용기는, 이 성분수용용기의 개구가 설치된 일단과는 다른 단부인 저면부에 성분 채취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용기와 상기 제 2 수용용기는, 동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2. 제 1 항과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부 및 상기 성분 수용부는 자립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KR1020107001146A 2007-07-30 2008-07-25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KR101138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97787 2007-07-30
JP2007197787 2007-07-30
PCT/JP2008/063366 WO2009017041A1 (ja) 2007-07-30 2008-07-25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180A Division KR101389773B1 (ko) 2007-07-30 2008-07-25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46A KR20100028646A (ko) 2010-03-12
KR101138894B1 true KR101138894B1 (ko) 2012-05-14

Family

ID=403042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146A KR101138894B1 (ko) 2007-07-30 2008-07-25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KR1020117023180A KR101389773B1 (ko) 2007-07-30 2008-07-25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180A KR101389773B1 (ko) 2007-07-30 2008-07-25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9705B2 (ko)
EP (1) EP2174676B1 (ko)
JP (1) JP5266929B2 (ko)
KR (2) KR101138894B1 (ko)
CN (1) CN101765437B (ko)
HK (1) HK1141744A1 (ko)
TW (1) TWI417087B (ko)
WO (1) WO2009017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3395B2 (en) 2010-01-29 2014-01-07 Forsight Vision4, Inc. Implantable therapeutic device
KR101265243B1 (ko) * 2009-02-04 2013-05-16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액성 성분 채취장치
DE102009022793A1 (de) * 2009-05-27 2010-12-02 Justus-Liebig-Universität Giess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utprodukten
US9033911B2 (en) 2010-08-05 2015-05-19 Forsight Vision4, Inc.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drug delivery
WO2013003620A2 (en) 2011-06-28 2013-01-03 Forsight Vision4, Inc. Diagnostic methods and apparatus
EP3903733A1 (en) 2011-09-16 2021-11-03 ForSight Vision4, Inc. Fluid exchange apparatus
JP6256352B2 (ja) * 2012-12-13 2018-01-1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及び多血小板血漿の調製方法
JP6175841B2 (ja) * 2013-03-26 2017-08-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移送用ポ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血液成分分離容器
WO2014168409A1 (ko) 2013-04-11 2014-10-16 (주)굿모닝바이오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CN104399134B (zh) * 2014-11-20 2016-12-07 丽水市人民医院 一种自体血回收的压力控制管及其压力控制管的使用方法
EP3093032B1 (de) 2015-05-11 2018-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und verfahren zur gewinnung von serum
EP3092987A1 (de) * 2015-05-11 2016-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zur wundbehandlung mit serum
WO2017156379A2 (en) 2016-03-10 2017-09-14 Arthre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protein enhanced serums
EP3426401B1 (en) 2016-03-10 2021-05-12 Arthrex, Inc. Systems for preparing a thrombin serum
CN106475164B (zh) * 2016-10-24 2019-01-11 深圳市孔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离心装置
BR112020010053A2 (pt) 2017-11-21 2020-11-03 Forsight Vision4, Inc. aparelho para troca de fluido para sistema de liberação de porta expansível e métodos de uso do mesmo
US11344880B2 (en) * 2018-11-30 2022-05-31 Hans-Werner Heinrich Centrifuge tub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1504653B2 (en) * 2018-11-30 2022-11-22 Hans-Werner Heinrich Biological material collection and separation system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CN113081298B (zh) * 2021-03-18 2022-12-30 甘肃省动物疫病预防控制中心 一种智能化可控温的兽医采样箱
CN114159638B (zh) * 2021-12-16 2023-10-24 武汉大学中南医院 一种解决血液净化引血不畅的自动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461A (en) 1980-09-10 1982-03-23 Asahi Chemical Ind Blood treating vessel,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
US4447220A (en) 1979-09-22 1984-05-08 Eberle Gu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components
JP3788479B2 (ja) * 2003-05-21 2006-06-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清調製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血清調製方法
WO2006079237A1 (fr) 2005-01-25 2006-08-03 Jean-Denis Rochat Separateur centrifuge pour liquide physiologique en particulier pour le sa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9219A (en) * 1976-05-14 1980-06-11 Baxter Travenol Lab Disposable centrifugal separator
EP0335882A4 (en) * 1986-10-31 1990-09-26 North American Biologicals, Inc. Improved cryoglobulin separation
US5224921A (en) * 1990-05-31 1993-07-06 Baxter International Inc. Small volume collection chamber
SE9002255D0 (sv) * 1990-06-26 1990-06-26 Eric Westberg Metod och anordning vid framstaellning av blod
JPH0636831Y2 (ja) * 1990-06-30 1994-09-28 政徳 鶴岡 注腸透視用の薬液充填装置
JPH05305137A (ja) * 1992-04-30 1993-11-19 Terumo Corp バッグ連結体
US5275585A (en) * 1992-06-03 1994-01-04 Zimmer Patient Care Autotransfusion system with portable detachable vacuum source
JP3231086B2 (ja) * 1992-06-30 2001-11-19 テルモ株式会社 液体分離装置
KR20010043639A (ko) * 1999-03-15 2001-05-25 키이스 디 혈소판 수거 시스템
JP3559966B2 (ja) * 2001-07-11 2004-09-02 堀井薬品工業株式会社 注腸造影法に用いる造影剤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7220A (en) 1979-09-22 1984-05-08 Eberle Gu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components
JPS5749461A (en) 1980-09-10 1982-03-23 Asahi Chemical Ind Blood treating vessel,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
JP3788479B2 (ja) * 2003-05-21 2006-06-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清調製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血清調製方法
WO2006079237A1 (fr) 2005-01-25 2006-08-03 Jean-Denis Rochat Separateur centrifuge pour liquide physiologique en particulier pour le sa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9705B2 (en) 2013-04-16
CN101765437A (zh) 2010-06-30
KR20110124346A (ko) 2011-11-16
JP2009050696A (ja) 2009-03-12
WO2009017041A1 (ja) 2009-02-05
KR20100028646A (ko) 2010-03-12
KR101389773B1 (ko) 2014-04-28
JP5266929B2 (ja) 2013-08-21
TWI417087B (zh) 2013-12-01
TW200911220A (en) 2009-03-16
EP2174676A4 (en) 2014-06-18
EP2174676B1 (en) 2016-01-27
EP2174676A1 (en) 2010-04-14
HK1141744A1 (en) 2010-11-19
CN101765437B (zh) 2012-11-21
US20100211041A1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894B1 (ko)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KR101265243B1 (ko) 액성 성분 채취장치
US8439889B2 (en) Blood bag system and blood treating method
JP5577569B2 (ja) 血清調製方法
JP6256352B2 (ja)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及び多血小板血漿の調製方法
EP238831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liferation of cord blood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use thereof
KR101016504B1 (ko) 세포 배양용 인간 혈청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WO2014162435A1 (ja) 赤血球保存液、保存液収納容器、赤血球保存液の製造方法および血液バッグシステム
JP5223562B2 (ja) 血液成分調製用容器及び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JPH0576581A (ja) 体液バツグ
JP5163395B2 (ja) 血液成分調製用容器及び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JPH11164884A (ja) 血液処理器具
JP2014188073A (ja) 血液成分移送用ポ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血液成分分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