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243B1 - 액성 성분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액성 성분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243B1
KR101265243B1 KR1020117019554A KR20117019554A KR101265243B1 KR 101265243 B1 KR101265243 B1 KR 101265243B1 KR 1020117019554 A KR1020117019554 A KR 1020117019554A KR 20117019554 A KR20117019554 A KR 20117019554A KR 101265243 B1 KR101265243 B1 KR 10126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liquid component
storage container
contain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734A (ko
Inventor
마사요시 오모리
세이신 타나카
야수노리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1011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61M1/0218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61M1/0231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gas separating means, e.g. air outlet through microporous membrane or gas b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5Means for agitating or shaking blood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보다 간단하게 액성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를 제공한다.
액성 성분 채취장치(100)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며 가요성인 통 모양의 액성 성분 저장용기(21), 액성 성분 저장용기(21)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제1 수용 용기(22), 및 액성 성분 저장용기(21)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에 감합되는 제1 캡(23)을 포함하고, 액성 성분 저장용기(21)의 외측과 제1 수용 용기(22)의 내측 사이에 액성 성분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캡(23)에는, 액성 성분 저장용기(21)에 혈액을 도입시키는 액성 성분 도입로(27), 액성 성분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연통로(28), 및 압력조정공간(26)과 연통되는 제2 연통로(29)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액성 성분 채취장치{LIQUID COMPONEN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혈액이나 뇨등의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생의료분야에서는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분화시킨 후에 대상자에게 이식함으로써 대상자의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킨다고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줄기세포는 여러 조직이나 기관으로 분화하는 다분화 기능을 가지므로 재생 의료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세포로서 주목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 증식에서는, 배지(培地)에 대해 혈청을 첨가하면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간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 유래하는 혈청을 이용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피해야 하며, 인간 유래의, 특히 대상자 본인으로부터 채취한 혈액으로 조제한 혈청을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혈액검사와 비교하면 재생의료분야에서의 줄기세포 배양에는, 비교적 많은 혈청이 필요하다. 더욱이 인간에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혈청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폐쇄계에서 무균적으로 혈청을 분리, 수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출원인은 먼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와 이 혈액 저장부에 무균적으로 기밀(氣密)하게 연결된 성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과 접촉하여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를 구비하고, 이 혈액응고 촉진 개체가 혈청을 무균적으로 제조하는 혈청 조제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일본 등록특허 제3788479호 공보 참조).
1. 일본 등록특허 제 3788479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혈청 조제 장치는, 혈청을 높은 안전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혈청 조제 장치에서는, 일단이 혈액 저장부인 혈액성분 조제용 용기에 연결된 채혈 튜브의 타단에 장착된 천자침(穿刺針)을 대상자에게 천자하여 혈액을 채취한다. 그리고, 채혈한 혈액을 혈액성분 조제용 용기에 도입할 때는, 대상자의 혈압 및 대상자의 채혈 위치(채혈에 이용한 천자침을 천자한 위치)와 혈액성분 조제용 용기의 설치 위치와의 낙차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혈압이 낮은 경우 등에는 혈압을 이용하여 소정량의 혈액을 채취할 수 없고, 또한, 채혈량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에는 대상자의 채혈 위치와 혈액성분 조제용 용기의 설치 위치 사이에 충분한 낙차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대상자로부터 혈액 외에 뇨등의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대상자의 채취 위치와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채취 용기의 설치 위치 사이에 충분한 낙차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자의 혈압이나 대상자의 채혈 위치와 혈액성분 조제용 용기의 설치 위치의 낙차압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하게 액성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단에 개구(開口)를 가지며 가요성(可撓性)인 통 모양의 액성 성분 저장용기,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제1 수용 용기, 및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개구에 감합되는 제1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외측과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내측 사이에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캡에는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에 액성 성분을 도입하는 액성 성분 도입로,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연통로, 및 상기 압력조정공간과 연통되는 제2 연통로가 설치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혈액이나 뇨 등의 액성 성분을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채취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압력조정 보조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혈액 채취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혈액 채취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성분의 분리 수용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서의 저장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서의 활성화 촉진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서의 원심 공정에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용기가 원심 홀더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서의 혈액성분의 분리 공정에서,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서의 혈액성분의 분리 공정에서,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채취장치(100)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혈액 채취장치(100)에 의해 혈액을 채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혈액 채취장치(100)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압력조정 보조도구(4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는, 비교적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는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뇨나 복막 투석액의 배액(排液)과 같은 각종 체액, 지방세포 등의 각종 세포 성분, 배양된 세포 현탁액 등 무균적으로 채취할 필요가 있는 각종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혈액 채취장치(100)는, 도 1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성 성분 저장용기로서의 혈액 저장용기(21), 혈액 저장용기(21)을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 및 혈액 저장용기(21) 및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되는 제1 캡(23)을 포함한다.
혈액 저장용기(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진다.
혈액 저장용기(21)의 측면은,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되는 혈액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합성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혈액 저장용기(2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로 되어 있으며,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된다. 혈액 저장용기(2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보텀 캡(210)이 감합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보텀 캡(210)은, 통 모양의 감합부(211)와 상기 감합부에 연속되는 바닥부(212)를 구비한다. 감합부(21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경(外徑)은 혈액 저장용기(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보텀 캡(210)의 감합부(211)는 혈액 저장용기(21)의 하단부에 감합되어 있다. 바닥부(212)는 그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 후 바닥면이 평탄해진 형상을 가진다.
제1 수용 용기(2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용기(21)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고,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혈액 저장용기(21)보다 한층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로 되어 있으며,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1 수용 용기(2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에서는 제1 수용 용기(22)의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 후 바닥면이 평탄한 원뿔대 형상을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되는 유동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틸렌 공중합체), PET 수지(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경질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경질 합성수지란, 후술하는 유체의 주입에 따른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동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단단함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말한다.
제1 수용 용기(2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커버캡(미도시)을 나사결합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캡을 제1 수용 용기(22)에 나사결합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 캡(23)이 혈액 채취 조작 중에 제1 수용 용기(2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캡(23)은 평면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도 2 참조). 제1 캡(23)은 그 일면인 하면(下面)에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24)와, 제1 접속부(24)의 내측에 혈액 저장용기(21)와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25)를 가진다. 제1 접속부(24) 및 제2 접속부(25)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접속부(24)는, 그 외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이 피감(被嵌)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2 접속부(25)는, 그 외경이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에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이 피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혈액 저장용기(21) 및 이를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는, 양쪽 모두 제1 캡(23)에 감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수용 용기(22)는 제1 캡(2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된다. 또한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의 외측과 제1 수용 용기(22)의 내측 사이에는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26)이 형성된다.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과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는, 압력조정공간(26)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미도시)가 개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압력조정공간(26)의 보다 확실한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밀폐 부재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는 환상(環狀)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 부재는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피관(被冠) 가능한 구성일 수 있고, 소재로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과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캡(23)에는, 혈액 저장용기(21)에 혈액을 도입하는 혈액 도입로(27),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연통로(28), 및 압력조정공간(26)과 연통되는 제2 연통로(2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유동체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캡(23)에 설치되어 있다. 혈액 도입로(27) 및 제1 연통로(28)는, 제1 캡(23)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캡(23)의 하면에서의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 접하는 부분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정점에 관통공인 제1 연통로(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된 혈액이 잘못되어 제1 연통로(28)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혈액 도입로(27)에는 채혈 튜브(5)가 접속되어 있으며, 대상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 및 혈액 도입로(27)를 거쳐 무균적으로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된다. 혈액 도입로(27)와 채혈 튜브(5)는, 제1 캡(23)에서의 혈액 도입로(2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1 돌기부(231)에 채혈 튜브(5)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제1 연통로(28)에는, 통기관(通氣管)(42)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관(42)의 선단측에는 통기필터(72)가 접속되어 있다. 통기필터(72)란, 기체는 통과시키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으며 또한 세균 등도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필터이다. 즉 통기필터(72)가 연결된 제1 연통로(28)로부터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제1 연통로(28)와 통기관(42)은, 제1 캡(23)의 제1 연통로(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2 돌기부(232)에 통기관(42)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제2 연통로(29)는, 제1 캡(23)에서의 제2 접속부의 외측이고 제1 접속부의 내측인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연통로(29)에는, 유체주입튜브(291)의 일단이 접속되고, 유체주입튜브(291)의 타단에는 압력조정공간(26)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수단(미도시)이 접속되어 있다. 주입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수단에 의해 제2 연통로(29)로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된다. 이 때, 압력조정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수용 용기(22)는 가요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용기(21)가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그러지듯이 변형된다. 또한,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되어 찌그러지듯이 변형된 혈액 저장용기(21)는, 가압된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이나 감압에 의해서 혈액 저장용기(21)을 변형시킴으로써, 채혈을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압력조정공간(26)에 주입되는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일 수도 있다. 또한, 유체로서 겔상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체로서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주입시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체적이 변하지 않으므로, 성분 수용부(3)로 도출되는 혈청 등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의 혈액 채취장치(100)에서는, 이하의 제1 순서 또는 제2 순서로 혈액 채취를 실시한다.
제1 순서에서는, 우선 제2 연통로(29)로 압력조정공간(26)에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해 둔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는 찌그러지듯이 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채혈바늘(80)을 대상자(환자)에게 찌른다. 계속해서 제1 연통로(28)에 접속된 통기관(42)으로부터 혈액 저장용기(21)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제2 연통로(29)에 접속된 유체주입튜브(291)로부터 압력조정공간(26)의 공기를 흡인한다. 그러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흡인되고,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혈액 저장용기(21)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음압이 부하 된다. 이로 인해 채혈바늘(80)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혈액 저장용기(21)측에 강하게 흡인되어 혈액 저장용기(21)에 도입된다.
다음에, 제2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순서에서는, 우선 채혈 튜브(5)의 경로를 클램프(미도시) 등으로 폐쇄시켜 놓는다. 계속하여, 제1 연통로(28)에 접속된 통기관(42)으로부터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제2 연통로(29)에 접속된 유체주입튜브(291)로부터 압력조정공간(26)의 공기를 흡인한다. 그러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 및 압력조정공간(26)에 음압이 부가된다. 이 경우,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 압력조정공간(26) 사이에는 압력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에 음압이 부가되더라도 혈액 저장용기(21)는 변형되지 않는다(찌그러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채혈바늘(80)을 대상자(환자)에게 찌른 후, 채혈 튜브(5)의 경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의 음압에 의해 채혈바늘(80)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혈액 저장용기(21)측에 강하게 흡인되어 혈액 저장용기(21)에 도입된다.
제2 순서에 의하면, 혈액의 채취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혈액 저장용기(21)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혈액의 채취를 실시할 때 혈액 저장용기(21)가 찌그러지지 않으므로 혈액 저장용기(21)에 채혈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붙어 있는 경우 등에는 채혈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에 의하면, 대상자의 혈압이나 대상자의 채혈 위치와 혈액 채취장치의 설치 위치와의 낙차압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하게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통기관(42) 및 유체주입튜브(291)의 2개소로부터 동시에 공기를 흡인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력조정 보조도구(4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조정 보조도구(400)는, 제1 공기 유통로(410), 상기 제1 공기 유통로(410)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선단측이 2개로 분기된 한 쌍의 제2 공기 유통로(420), 제1 공기 유통로(410)의 타단측에 설치된 제1 접속부(430), 한 쌍의 제2 공기 유통로(420) 각각의 선단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접속부(440), 및 제1 공기 유통로(410)에 설치된 원웨이 밸브(450)를 구비한다.
제1 공기 유통로(410) 및 한 쌍의 제2 공기 유통로(420)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로 구성된다.
제1 접속부(430)는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제1 공기 유통로(410)의 선단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접속부(430)에는, 시린지(미도시) 등의 공기흡인장치가 접속된다.
한 쌍의 제2 접속부(440)는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제2 공기 유통로(420)의 선단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접속부(440)는, 접속부 본체(441) 및 상기 접속부 본체(441)의 외측에 배치된 너트 부재(44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2 접속부(440) 중의 일방은 통기관(42)에 접속되고, 한 쌍의 제2 접속부(440) 중의 타방은 유체주입튜브(291)에 접속된다. 한 쌍의 제2 접속부(440)와, 통기관(42) 및 유체주입튜브(291)와의 접속은 너트 부재(442)에 의해 고정된다.
원웨이 밸브(450)는, 한 쌍의 제2 접속부(440)측으로부터 제1 접속부(430) 측으로만 유체(공기)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압력조정 보조도구(400)에 의하면, 한 쌍의 제2 접속부(440)를 통기관(42) 및 유체주입튜브(291)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1 접속부(430)에 공기흡인장치를 접속시켜 상기 공기흡인장치에 의해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통기관(42) 및 유체주입튜브(291)을 통하여 혈액 저장용기(21) 내부 공간의 공기 및 압력조정공간(26)의 공기를 동시에 흡인하여,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 및 압력조정공간(26)의 양쪽을 동시에 동일한 정도로 감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 유통로(410)에, 한 쌍의 제2 접속부(440)측으로부터 제1 접속부(430)측으로만 유체(공기)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밸브(450)를 배치하였으므로, 제1 접속부(430)측으로부터 한 쌍의 제2 접속부(440)측으로 공기가 침입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 공기 유통로(410)에 원웨이 밸브(450)를 배치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 압력조정공간(26)의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의 무균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혈액 채취장치(100)는,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용기(21), 상기 혈액 저장용기(21)를 수용하는 경질 합성수지제의 제1 수용 용기(22), 및 혈액 저장용기(21)와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형성된 압력조정공간(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하거나 감압함으로써, 채혈을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혈압이나 대상자의 채혈 위치와 혈액 채취장치의 설치 위치와의 낙차압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하게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통로(28)에 통기필터(72)를 구비한 통기관(42)을 연결시켰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에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기관(42)으로부터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한 경우에 혈액 저장용기(21)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혈액 채취장치(100)에 의한 혈액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형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A)는, 혈액 저장용기(21A)의 구성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혈액 저장용기(21A)의 하단에 혈액 저장용기(21A)에 수용된 혈액성분을 채취하는 제1액성 성분 채취부(213)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기 제1액성 성분 채취부(213)는 보텀 캡(210A)의 바닥부(212A)에 형성된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와 상기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의 아래쪽에 설치된 중공(中空)의 원통부(215)를 구비한다.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는, 보텀 캡(210A)의 바닥부(212A)의 일부에 박막 형태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원통부(215)는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가 형성된 영역에, 바닥부(212A)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혈액 저장용기(21A)에 수용된 혈액성분은,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를 주사바늘 등의 천자도구로 파단 천자함으로써 채취할 수 있다. 이 때,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가 형성된 영역에는 중공의 원통부(2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천자도구를 확실하게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에 천자할 수 있다.
보텀 캡(210A)의 바닥부(212A)의 형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정점에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혈액 저장용기(21A)내의 혈액성분을 채취할 때 혈액성분을 낭비하지 않고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의 위치와 제1 수용 용기(22)의 내면 바닥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천자도구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천자도구를 제1액성 성분 채취구(214)에 천자한 상태에서 제1 수용 용기(22)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천자도구에 적절히 연통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가지고 있으면, 혈액 저장용기(21A)내의 혈액성분을 원하는 바에 따라서 채취ㆍ보존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A)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혈액 저장용기(21A)의 하단에 제1액성 성분 채취부(213)를 설치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A)의 하단측으로부터 무균적으로 혈액성분을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저장용기(21A)에 저장된 혈액성분 중 혈구 성분 등의 침강 성분을 다른 성분을 혼입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무균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를 액성 성분 채취장치로서 세포 현탁액의 채취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침강 성분의 세포를 다른 성분을 혼입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무균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B)는, 혈액 저장용기(21B)의 상단에 제2액성 성분 채취부(233)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액성 성분 채취부(233)는, 제1 캡(23B)에 설치된 액성 성분 채취로(234), 상기 액성 성분 채취로(234)에 접속된 액성 성분 채취 튜브(235), 및 상기 액성 성분 채취 튜브(235)의 선단측에 접속되어 시린지 등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미도시)와 접속이 가능한 접속부(236)를 구비한다.
접속부(236)는, 액성 성분 채취 튜브(235)의 선단에 감합 또는 나사결합되어 접속된다. 접속부(236)로서는, 예를 들면 시린지의 선단측이 삽탈(揷脫) 가능한 슬릿부를 가지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혼합 주입 포트(混注포트, Mixed Injection Port)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 채취장치(100B)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혈액 저장용기(21B)의 상단에 제2액성 성분 채취부(233)를 설치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B)의 상단측으로부터 무균적으로 혈액성분을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저장용기(21B)에 저장된 혈액성분 중 혈청이나 혈장 등의 상청(上淸) 성분을, 다른 성분을 혼입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무균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저장용기(21B)에 제1액성 성분 채취부(213) 및 제2액성 성분 채취부(233)를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혈액 저장용기에는 제2액성 성분 채취부만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성 성분 채취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채취장치(100)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는, 도 6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과 혈소판을 포함한 유동체를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2),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3), 및 상기 혈액 저장부(2)와 상기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혈액」이란, 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와 액체 성분인 혈장(혈청)으로 이루어지는 전혈(全血), 및 이들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액체(예를 들면 성분 헌혈로 채취된 혈액)를 말한다. 또한 「혈청」이란, 채취한 혈액을 방치하면 유동성이 저하되고, 그 후에 붉은 응고덩어리(혈병)로부터 분리되는 담황색의 액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혈청」이란, 혈병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점에서 생성 방법이 일반적인 혈청과는 다르나, 거기에 포함되는 응고 인자나 증식 인자가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혈청과 동등한 세포 배양에 유용한 혈액중의 액성 성분을 말한다.
「혈액 유래의 액성 성분」이란, 「혈구 이외의 혈액성분」 혹은 「혈구 이외의 혈액성분에 항 응고제 등의 약제를 첨가한 혼합액」을 말한다.
혈액 저장부(2)는, 혈액 채취장치(100)를 이용한 것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저장용기(21), 혈액 저장용기(21)를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 및, 혈액 저장용기(21) 및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되는 제1 캡(23)을 포함한다.
혈액 저장용기(2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혈액 저장용기(21)의 측면은,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되는 유동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합성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혈액 저장용기(2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된다. 혈액 저장용기(2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보텀 캡(210)이 감합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보텀 캡(210)은, 통 모양의 감합부(211)와 상기 감합부에 연속되는 바닥부(212)를 포함한다. 감합부(21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경은 혈액 저장용기(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보텀 캡(210)은, 감합부(211)가 혈액 저장용기(21)의 하단부에 감합되어 있다. 바닥부(212)는 그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 후, 바닥면이 평탄해진 형상을 가진다.
제1 수용 용기(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저장용기(21)와 동일하게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혈액 저장용기(21)보다 한층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에서는, 제1 수용 용기(22)의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 후, 바닥면이 평탄해진 원뿔대 형상을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수용 용기(22)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저장되는 유동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틸렌 공중합체), PET 수지(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경질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경질 합성수지란, 후술하는 유체의 주입으로 인한 용기 내부 공간의 압력 변동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단단함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말한다.
제1 수용 용기(2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커버캡(미도시)을 나사결합 가능하게 한다. 커버캡을 제1 수용 용기(22)에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제1 캡(23)이 혈액 분리 수용 조작 중에 제1 수용 용기(2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캡(23)은, 평면 형상이 원형이고, 그 직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도 7 참조). 제1 캡(23)은 그 일면인 하면에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24)와, 제1 접속부(24)의 내측에 혈액 저장용기(21)와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25)를 포함한다. 제1 접속부(24) 및 제2 접속부(25)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접속부(24)는 그 외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이 피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2 접속부(25)는 그 외경이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에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이 피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 혈액 저장용기(21) 및 이를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는, 양쪽 모두 제1 캡(23)에 감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수용 용기(22)는 제1 캡(2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된다. 또한,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의 외측과 제1 수용 용기(22)의 내측 사이에는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과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는 압력조정공간(26)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미도시)가 개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압력조정공간(26)의 보다 확실한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밀폐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는 환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밀폐 부재는,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피관 가능한 구성일 수 있으며, 소재로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과 혈액 저장용기(2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혈액 저장부(2)에는 혈액 저장용기(21)에 유동체를 도입하는 유동체 도입로(27) 및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유동체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캡(23)에 설치되어 있다. 유동체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제1 캡(23)에 그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캡(23)의 하면에서의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 공간에 접하는 부분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감소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정점에 관통공인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혈액 저장용기(21)내에서 분리된 혈청을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할 때에 혈청을 낭비하지 않고 도출할 수 있다.
유동체 도입로(27)에는 채혈 튜브(5)가 접속되어 있으며, 대상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 및 유동체 도입로(27)를 거쳐 무균적으로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된다. 유동체 도입로(27)와 채혈 튜브(5)는, 제1 캡(23)의 유동체 도입로(2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1 돌기부(231)에 채혈 튜브(5)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혈액 저장용기(21)에는, 유동체와 접촉하여 상기 유동체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6)가 수용되어 있다. 혈액응고 촉진 개체(6)는 피브린이나 혈소판 등의 혈액응고 인자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정도로 함유 되며, 혈액에 대해서 불용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응고 촉진 개체(6)가 혈액에 대해서 불용해성을 가짐으로써, 수득되는 혈청에 불순물이 혼재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혈소판 및 혈액응고 인자 등의 피활성화 인자의 활성화를 도모한 후에 원심분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적혈구의 파괴(용혈)나 혈액 저장부의 파손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혈액응고 촉진 개체(6)의 외관 형상을 거의 구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피활성화 인자를 신속하게 활성화 시킨다는 관점에서 혈액응고 촉진 개체(6)의 표면을 이산화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규소 화합물로는, 유리,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6)로서 거의 구형의 유리 가공체를 이용한다.
혈액 저장용기(21)내의 혈액응고 촉진 개체(6)에 대해서는, 혈액 저장용기(21)에 저장 가능한 혈액량에 대하여, 0.1~25mm2/ml의 관계에서 그 표면적을 설정하는 것이 활성화의 촉진 및 용혈 억제라는 양쪽 면에서 바람직하다.
혈액 저장부(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에 유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공(29)을 구비한다. 또한 주입공(29)에는 주입공(29)에 연결되어 압력조정공간(26)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입공(29)은 제1 캡(2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주입공(29)은, 제1 캡(23)에 설치된 관통공이며, 제1 캡(23)에서의 제2 접속부의 외측의 제1 접속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주입공(29)에는, 유체주입튜브(291)의 일단이 접속되고, 유체주입튜브(291)의 타단에 주입수단이 접속된다. 주입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공(29)으로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된다. 이 때 압력조정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수용 용기(22)는 가요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용기(21)가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그러지듯이 변형된다. 또한, 압력조정공간(26)이 가압됨으로써 찌그러지듯이 변형된 혈액 저장용기(21)는, 가압된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시킴으로써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이나 감압에 의해서 혈액 저장용기(21)을 변형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혈청 등의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이나 채혈을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압력조정공간(26)에 주입되는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일 수도 있다. 또한 유체로서 겔상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체로서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주입시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체적이 변하지 않으므로 성분 수용부(3)로 도출되는 혈청 등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결부(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 실시형태에서 연결부(4)는, 연결 튜브(41)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캡(23)에 형성된 성분 도출로(28)와 후술하는 제2 캡(33)에 형성된 성분 도입로(37)를 연결시킨다. 연결 튜브(41)와 성분 도출로(28)는, 제1 캡(23)의 성분 도출로(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2 돌기부(232)에 연결 튜브(41)의 일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성분 수용부(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분 수용 용기(31), 성분 수용 용기(31)을 수용하는 제2 수용 용기(32), 및 성분 수용 용기(31) 및 제2 수용 용기(32)에 접합되는 제2 캡(33)을 포함한다.
성분 수용 용기(31)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상술한 혈액 저장용기(21)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로 되어 있으며, 제2 캡(33)에 접속되어 밀폐된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성분 수용 용기(31)에 수용된 혈액성분을 채취하는 성분 채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성분 채취부(34)는, 성분 수용 용기(31)의 바닥면에 형성된 성분 채취구(341) 및 상기 성분 채취구(341)의 아래쪽에 설치된 중공의 원통부(342)를 포함한다. 성분 채취구(341)는, 성분 수용 용기(31)의 바닥면의 일부에 박막 형태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원통부(342)는, 성분 채취구(341)가 형성된 영역에 성분 수용 용기(31)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수용된 혈액성분은, 성분 채취구(341)를 주사바늘 등의 천자도구로 파단 천자함으로써 채취할 수 있다. 이 때, 성분 채취구(341)가 형성된 영역에는 중공의 원통부(3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천자도구를 확실히 성분 채취구(341)에 천자 할 수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바닥면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정점에 성분 채취구(34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성분 수용 용기(31)내의 혈청을 채취할 때에 채취되는 혈청을 낭비 없이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성분 수용 용기(31)의 바닥부에 설치된 성분 채취구(341)의 위치와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바닥부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천자도구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천자도구를 성분 수용 용기(31)의 성분 채취구(341)에 천자한 상태에서 제2 수용 용기(32)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천자도구에 적절히 연통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가지고 있으면 성분 수용 용기(31)내의 혈청을 원하는 바에 따라서 채취ㆍ보존할 수 있다.
제2 수용 용기(32)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며,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성분 수용 용기(31)보다 한층 크게 구성된다. 제2 수용 용기(3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로 되어 있으며, 제2 캡(33)에 감합되어 밀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2 수용 용기(3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에서는, 제2 수용 용기(32)의 지름이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된 후, 바닥면이 평평해진 원뿔대 형상을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제2 수용 용기(32)는, 상술한 제1 수용 용기(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또한 그 형상 및 크기도 제1 수용 용기(22)와 동일하다.
제2 수용 용기(3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도 제1 수용 용기(22)와 동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커버캡(미도시)을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제2 캡(33)은, 제1 캡(23)과 마찬가지로 평면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이 제2 수용 용기(3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제2 캡(33)은 그 일면인 하면에 제2 수용 용기(32)에 접속 가능한 제3 접속부(35) 및 제3 접속부(35)의 내측에 성분 수용 용기(31)와 접속 가능한 제4 접속부(36)를 포함한다. 제3 접속부(35) 및 제4 접속부(36)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3 접속부(35)는 그 외경이 제2 수용 용기(3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3 접속부(35)의 외주면에 제2 수용 용기(32)의 개구 근방이 피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4 접속부(36)는 그 외경이 성분 수용 용기(3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4 접속부(36)의 외주면에 성분 수용 용기(31)의 개구 근방이 피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캡(33)에는 관통공(29a)이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관통공(29a)은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 성분 수용 용기(31) 및 이를 수용하는 제2 수용 용기(32)는, 양쪽 모두 제 2 캡(33)에 감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성분 수용 용기(31)는 제2 캡(3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되고, 제2 수용 용기(32)도 제2 캡(3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된다.
성분 수용부(3)는,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도출된 유동체 중 적어도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37)를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성분 도입로(37)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캡(33)에 설치된다. 성분 도입로(37)는 제2 캡(33)에 그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성분 도입로(37)에는 연결 튜브(41)가 접속되어 있으며,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도출된 혈청 등은 무균적으로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 수용된다. 성분 도입로(37)와 연결 튜브(41)는, 제2 캡(33)의 성분 도입로(3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3 돌기부(331)에 연결 튜브(41)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성분 수용부(3)에는,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38)가 설치되어 있으며, 통기로(38)에는 통기 필터(71)를 구비한 통기 튜브(7)가 또한 연결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통기로(38)는 제2 캡(33)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통기로(38)는, 제2 캡(33)에 설치된 관통공이며, 제2 캡(33)의 제4 접속부(36)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통기로(38)에는 통기 튜브(7)의 일단이 접속되고, 통기 튜브(7)의 타단에는 통기 필터(71)가 접속된다. 통기 필터(71)란, 기체는 통과시키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또한 세균 등도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필터이다. 즉 통기 필터(71)가 연결된 통기로(38)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통기로(38)와 통기 튜브(7)는, 제2 캡(33)의 통기로(3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4 돌기부(332)에 통기 튜브(7)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에서는,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용기(21)), 연결부(4)(연결 튜브(41)), 및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가 무균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혈액 저장용기(21), 연결 튜브(41), 및 성분 수용 용기(31) 각각의 내부 공간도 무균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통기로(38)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킴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는, 혈액 저장용기(21), 연결 튜브(41), 및 성분 수용 용기(31) 각각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무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에서의 각 구성 부재의 바람직한 크기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혈액 저장용기(21)의 혈액 수용량은, 바람직하게는 5~200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ml이다. 혈액 저장용기(21)는, 구체적으로 그 내경이 바람직하게는 10~30 mm이고,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150mm이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혈액성분 수용량은, 혈액 저장용기(21)에 수용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액성 성분을 확실하게 수용한다는 관점에서 혈액 저장용기(21)의 혈액 수용량의 4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는, 각각 혈액 저장용기(21) 및 성분 수용 용기(3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라면 특별히 그 크기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이 10~30mm이고,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150mm이다.
또한,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의 원심분리관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의 원심분리관을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혈액성분 분리 조작에서의 원심분리 공정에서 상기 원심분리관을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리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의 원심분리관을 이용하는 경우, 원심분리관의 용량은 원심분리 공정에서의 범용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50ml의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양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7개의 공정(S1 내지 S7)으로 구성된다.
우선, 저장 공정(S1)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혈바늘(80)을 대상자(환자)에게 찔러 혈액을 채취한다. 이 때 채혈바늘(80)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를 통하여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용기(21)) 내에 저장된다(도 9 참조). 채혈 시에는 성분 수용부(3)에 설치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하는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그것과 연통되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음압을 부하하여 혈액 저장부(2)로의 혈액의 도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채혈 튜브(5)에는, 채혈중인 혈액이 대상자에게 역류되는 것을 막는 역류방지 밸브(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정(S1) 후에는, 혈액 저장부(2)에 채취된 혈액이 성분 수용부(3) 쪽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튜브(41)의 경로가 클램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혈액 저장부(2)의 근원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저장 공정(S1)은 채혈시의 환자의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소요량을 채취하고 종료된다. 여기서 말하는 소요량은, 환자의 체격이나 컨디션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5~50ml정도이다.
저장 공정(S1) 후, 채혈 대상으로부터 채혈바늘(80)을 빼고, 채혈바늘(80)과 혈액 저장부(2)를 연결하고 있는 채혈 튜브(5)의 일부를 용단(溶斷)하고 동시에 그 용단끝을 용착시킨다(용단 공정(S2)). 채혈 튜브(5)의 용단에는 소위 실러라고 하는 용단기(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 공정(S1)이 종료된 후, 혈액 저장부(2)를 진탕시킨다(활성화 촉진 공정(S3)). 활성화 촉진 공정(S3)에서는, 채취된 혈액을 저장한 혈액 저장부(2)가 진탕 장치(500)에 의해 서서히 교반되어 혈액 저장용기(21)의 내부에 수납된 혈액응고 촉진 개체(6)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혈액 중에 포함된 혈소판 및 응고 인자가 혈액응고 촉진 개체(6)의 표면에서 활성화되고, 활성화 된 혈소판으로부터 이들을 유래로 하는 증식 인자가 방출된다.
한편, 활성화 촉진 공정(S3)을 거쳐 채혈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혈액 저장부(2)는, 성분 수용부(3), 연결 튜브(41), 및 통기 튜브(7) 등과 함께 원심분리기에 넣어진다(원심분리 공정(S4)). 이 때 혈액 저장부(2)(제1 수용 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의 원심분리관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분리기에 이용되는 원심 홀더(11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원심분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튜브(41)는 저장 공정(S1)에서와 마찬가지로 클램프 등(미도시)에 의해 경로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혈액 저장부(2)에 대한 원심분리의 조건은, 저장된 혈액의 양 및 분리하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2250g X 10min, 4℃로 설정된다.
활성화 촉진 공정(S3)를 거친 후에 원심 분리된 혈액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용기(21)) 내에서 크게 나누어 혈청(81), 백혈구(82), 적혈구(83)의 3개 층으로 분리 분획된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바닥에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6)가 그 표면에 혈소판 및 응고 인자의 응고체가 부착된 상태로 가라앉아 있다.
활성화 촉진 공정(S3) 및 원심분리 공정(S4)을 거쳐 수득된 혈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 촉진 공정(S3)에서 충분히 혈소판 및 응고 인자로부터 방출된 이들 유래의 증식 인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활성화 촉진 공정(S3) 및 원심분리 공정(S4)에서 활성화된 혈소판이나 응고 인자 등의 피활성화 인자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6)의 표면에 부착되어 덩어리가 되어 혈액으로부터 분리된다(분리 공정(S5)).
계속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출 공정(S6)에서는 분리 공정(S5)에서 혈액 저장용기(21)내에 분리된 혈청(81)을 성분 수용부(3)의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한다.
혈액 저장용기(21)내에서 분리된 혈청(81)을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할 때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혈액 저장부(2)의 혈액 저장용기(21)와 제1 수용 용기(22)간에 형성된 압력조정공간(26)에, 주입공(29)으로부터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한다.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유체로는 공기 등의 기체,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조정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수용 용기(22)는 비교적 강성을 가지므로,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용기(21)가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그러지듯이 변형되고, 분리된 상청 부분인 혈청(81)이 성분 도출로(28)로부터 연결 튜브(41)를 통하여 도출되어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로 도입된다.
또한 도출 공정(S6)에서는, 상기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과 병행하여, 성분 수용부(3)에 설치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하는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이에 연통되는 연결 튜브(41)내에 음압을 부하하여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청(81)의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에 소요량의 혈청이 충전된 후, 연결 튜브(41) 및 통기 튜브(7)를 용단 및 용착한다(용단 공정(S7)). 이러한 용단 및 용착에 대해서는 원심분리 공정(S4) 이전에 채혈 튜브를 용단 및 용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용단 공정(S7) 종료 후, 혈청이 수용된 성분 수용 용기(31)를 소위 비동화 처리(56℃에서 30분간 가온)함으로써, 혈청 중의 보체(補體)를 실활 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혈청이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충전된 성분 수용부(3)는, 냉동 보존 등의 보존 처치가 실시된다. 여기서, 성분 수용 용기(31)를 수용하고 있는 제2 수용 용기(32)는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된 혈청을 이송, 보존할 때에 성분 수용부(3)에 외력이 가해져도 성분 수용 용기(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분 수용부(3)를 보존할 때에는, 수용된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기재한 라벨 등의 첨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에 의하면, 혈액 저장부(2)가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용기(21)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혈액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 성분 수용부(3),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4)가 무균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 혹은 혈청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조제한 혈청이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될 위험성도 낮아져 안전성이 높은 혈청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를 세로로 긴 통 모양으로 함으로써, 채취한 혈액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에도 혈액성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된 성분을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소량의 혈액으로도 혈액성분의 분리 및 수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채취 가능한 혈액량이 제한되는 대상자의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조제할 때에 특히 유효하다. 여기서 비교적 소량의 혈액이란, 구체적으로는 5~50 ml정도의 혈액량을 가리킨다.
또한, 혈액 저장부(2)의 혈액 저장용기(21)와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압력조정공간 및 상기 압력조정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공(2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압력조정공간(26)을 가압하여 혈액 저장용기(21)를 찌그러지듯이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혈액 저장용기(21)를 변형시킴으로써, 혈청 등의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을 무균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서 찌그러지듯이 변형된 혈액 저장용기(21)는, 가압된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혈액 채취 전에 혈액 저장용기(21)를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으로 찌그러지듯이 변형시켜 놓고, 채혈시에, 압력조정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를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켜 혈액 저장용기(21)내를 음압으로 하여 채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는 타원 형상의 짧은 축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워지고, 혈청 등의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에서의 제1 수용 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에서의 제2 수용 용기(32)가 세로로 긴 통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 전체의 모양 유지가 용이해지고, 혈액성분 분리 수용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수용 용기(22)와 제2 수용 용기(32)를 동일한 형상의 소정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용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통상 이용되는 원심 홀더에 수용하여 원심분리기에 적용할 수 있어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을 원심 홀더에 수용함으로써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 홀더를 혈액 저장 공정(S1)에서 용단 공정(S7)에 이르는 일련의 공정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조작용의 보조도구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란, 예를 들면 50ml의 시판품의 원심 침전관과 동일한 형상의 경우 등을 말한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에 혈액응고 촉진 개체(6)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혈청 조제시에 혈병이 혈액응고 촉진 개체(6)의 표면에 부착되어, 혈청을 분취할 때 혈청 중으로의 피브린이나 혈병의 혼입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것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는, 혈액 저장부(2)에 설치된 주입공(29)에 더하여 성분 수용부(3)에 제2 주입공(29a)이 설치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에서 성분 수용부(3)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분 수용 용기(31)의 외면과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 주입공(29a)을 구비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2 주입공(29a)은, 제2 캡(3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주입공(29a)은, 제2 캡(33)에 설치된 관통공이며, 제2 캡(33)의 제4 접속부(36)의 외측의 제3 접속부(35)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주입공(29a)에는 제2 유체주입튜브(291a)의 일단이 접속된다. 제2 유체주입튜브(291a)의 타단은, 일단이 주입공(29)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체 주입수단(미도시)에 접속된 유체주입튜브(291)의 양단부 사이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장치(1)에 의하면, 성분 수용부(3)의 성분 수용 용기(31)의 외면과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혈액 저장부(2)의 압력조정공간(26)뿐만 아니라 성분 수용 용기(31)의 외면과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의 압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혈액 저장 공정(S1)에서의 채혈시에,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이것과 연통되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음압을 부하할 때, 통기 필터(71)로부터의 흡인과 병행하여 유체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공(29) 및 제2 주입공(29a)으로부터 유체를 흡인함으로써 성분 수용 용기(31)의 외면과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혈액 저장부(2)의 압력조정공간(26)에도 음압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기 필터(71)로부터의 공기 흡인과 병행하여 성분 수용 용기(31)의 외면과 제2 수용 용기(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압력조정공간(26)의 양쪽에도 음압을 부하함으로써, 통기 필터(71)로부터의 공기 흡인에 의해 성분 수용 용기(31) 및 혈액 저장용기(21)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혈액 저장부(2)로의 혈액의 도입 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양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캡(23)과 혈액 저장용기(21) 또는 제1 수용 용기(22)의 접속, 및 제2 캡(33)과 성분 수용 용기(31) 또는 제2 수용 용기(32)의 접속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감합에 의해 접속되었으나, 이들 접속은 예를 들면 나사결합일수도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캡(23)과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개재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 부재를 제2 캡(33)과 성분 수용 용기(31) 사이에 개재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하단부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캡(210)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혈액 저장용기(21)의 하단부는,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를 하단부에서 용착, 실링(sealing)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텀 캡(210)을,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텀 캡(210)을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는 압력조정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하단부에서도 변형되기 쉬워져 혈청 등의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유체주입튜브(291)와 제2 유체주입튜브(291a)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양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유체주입튜브(291), 제2 유체주입튜브(291a) 및 통기 튜브(7)의 3자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혈액응고 촉진 개체(6)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유리 가공체였으나, 유리 가공체에 대신하여 공기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유리 가공체 및 공기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청의 이송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를 변형시켜 이루어졌으나, 통기로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이에 연통되는 혈액 저장용기(21)내에 음압을 부하함으로써 혈액 저장용기(21)를 변형시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주입공(29)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캡(23)에 설치되었으나, 제1 수용 용기(22)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 성분 수용 용기(31)의 하단부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용 용기(22), 제2 수용 용기(32)의 각각의 내측과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양자가 맞닿아 있거나 혹은 감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용기(21)의 하단부와 제1 수용 용기(22)의 바닥부 사이, 및 성분 수용 용기(31)의 하단부와 제2 수용 용기(32)의 바닥부 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배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본 장치의 혈액성분 분리 조작에서의 원심분리 공정 시에, 혈액 저장용기(21), 성분 수용 용기(31)의 각각에 부하되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캡(33)의 하면에서의 성분 수용 용기(31)의 내부 공간과 접하는 부분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그 정점에 관통공인 성분 도입로(37)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구성은 제2 캡(33)의 정점에 관통공인 통기로(3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 있다(도 15 참조).
이로 인해, 통기로(38)로부터 흡기하여 성분 수용 용기(31)내의 감압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수용된 성분(예를 들면 혈청)을 흡인하지 않고, 감압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성분 도출로(28), 연결 튜브(41) 또는 성분 도입로(37)의 어느 하나의 중공부분에, 혈구 제거 필터(미도시)를 개재 배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용기(21) 중의 혈구 성분을 혈구 제거 필터로 포착할 수 있어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구 성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1 혈액성분 분리 수용 장치
2 혈액 저장부
21 혈액 저장용기(액성 성분 저장용기)
22 제1 수용 용기
23 제1 캡
24 제1 접속부
25 제2 접속부
26 압력조정공간
27 혈액 도입로(유동체 도입로, 액성 성분 도입로)
28 제1 연통로(성분 도출로)
29 제2 연통로(주입공)
3 성분 수용부
31 성분 수용 용기
32 제2 수용 용기
33 제2 캡
341 성분 채취구
35 제3 접속부
36 제4 접속부
37 성분 도입로
38 통기로
4 연결부
41 연결 튜브
42 통기관
5 채혈 튜브
6 혈액응고 촉진 개체
7 통기 튜브
71, 72 통기 필터
80 채혈바늘
100, 100A, 100B 혈액 채취장치(액성 성분 채취장치)

Claims (8)

  1. 일단에 개구를 가지며 가요성인 통 모양의 액성 성분 저장용기,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모양의 제1 수용 용기, 및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개구에 감합되는 제1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외측과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내측 사이에는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조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캡에는,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에 액성 성분을 도입하는 액성 성분 도입로,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연통로, 및 상기 압력조정공간과 연통되는 제2 연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는, 상기 압력조정공간을 가압하면 찌그러지듯이 변형되고 상기 압력조정공간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로에는, 통기 필터를 구비한 통기관이 연결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로 및 상기 제 2 연통로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압력조정공간을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통로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조정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는, 주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변형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지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의 타단측에는,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제1 액성 성분 채취부가 설치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에는,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성 성분을 채취하는 제2 액성 성분 채취부가 설치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성 성분 저장용기에는, 상기 액성 성분으로서 혈액을 도입한 경우에 상기 혈액과 접촉하고, 상기 혈액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혈액응고 촉진 개체가 수용되는 액성 성분 채취장치.
KR1020117019554A 2009-02-04 2010-01-22 액성 성분 채취장치 KR10126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4300 2009-02-04
JPJP-P-2009-024300 2009-02-04
PCT/JP2010/000357 WO2010089965A1 (ja) 2009-02-04 2010-01-22 液性成分採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734A KR20110119734A (ko) 2011-11-02
KR101265243B1 true KR101265243B1 (ko) 2013-05-16

Family

ID=4254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554A KR101265243B1 (ko) 2009-02-04 2010-01-22 액성 성분 채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21617B2 (ko)
EP (1) EP2394678A1 (ko)
JP (1) JP5593707B2 (ko)
KR (1) KR101265243B1 (ko)
CN (1) CN102300595B (ko)
WO (1) WO20100899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196A (ko) * 2019-09-20 2021-03-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검사용 기관지 폐포 세척액 집적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5009A (zh) * 2012-03-14 2014-12-24 泰尔茂株式会社 检查用血液容器和采血器具
EP2826501B1 (en) * 2012-03-14 2017-01-18 Terumo Kabushiki Kaisha Container for testing blood and blood sampling instrument
WO2013137361A1 (ja) * 2012-03-14 2013-09-19 テルモ株式会社 検査用血液容器および採血器具
KR101534243B1 (ko) * 2012-09-24 2015-07-06 메디칸(주) 2중형 지방흡입장치
CN104853786B (zh) * 2012-12-13 2016-10-26 株式会社Jms 血液成分分离容纳装置和多血小板血浆的制造方法
US20150320638A1 (en) * 2012-12-21 2015-11-12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ilk bottle adapter
EP3092987A1 (de) * 2015-05-11 2016-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zur wundbehandlung mit serum
WO2018132619A1 (en) * 2017-01-11 2018-07-19 Hemodus Medical, Llc Method of estimating blood volume
CN111265224B (zh) * 2020-01-22 2023-02-03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用于从全血中分离出血清样本的采血辅助装置和方法
CN115137562B (zh) * 2022-07-07 2023-07-18 杨涛 一种胃肠外科手术用术后创伤废液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10124A1 (en) * 1987-06-26 1988-12-29 Nova Medical Pty. Limited Suction operation collection bag
JP2003093517A (ja) * 1992-06-03 2003-04-02 Bristol Myers Squibb Co 患者の創傷から血液及び他の液体を収集する装置
JP3788479B2 (ja) 2003-05-21 2006-06-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清調製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血清調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9219A (en) 1976-05-14 1980-06-11 Baxter Travenol Lab Disposable centrifugal separator
EP0026417B1 (de) 1979-09-22 1983-12-14 Firma Andreas Hettich Zentrifuge mit Blutbeutelsystem zur Trennung von Blutkomponenten
US4344560A (en) 1979-11-02 1982-08-17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s
JPS5749461A (en) 1980-09-10 1982-03-23 Asahi Chemical Ind Blood treating vessel,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
DE3218561C2 (de) * 1982-05-17 1988-08-18 Günter H. Dr.-Ing. 8035 Gauting Marx Gerät zur Aufnahme und Reinfusion von Blut
US4516973A (en) 1983-03-14 1985-05-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One-piece disposable collection bag having a rigid cover for a suction canister unit
US4917804A (en) 1986-10-31 1990-04-17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vessel for separation of cryoglobin
WO1988003045A1 (en) 1986-10-31 1988-05-05 North American Biologicals, Inc. Improved cryoglobulin separation
JPH0427943A (ja) 1990-05-23 1992-01-30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US5224921A (en) 1990-05-31 1993-07-06 Baxter International Inc. Small volume collection chamber
JP3231086B2 (ja) * 1992-06-30 2001-11-19 テルモ株式会社 液体分離装置
CN2143098Y (zh) * 1992-11-03 1993-10-06 胡志平 一次性液体标本负压闭式采集器
JP2002538900A (ja) 1999-03-15 2002-11-19 インプラント・イノヴェ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小板採取装置
JP3559966B2 (ja) 2001-07-11 2004-09-02 堀井薬品工業株式会社 注腸造影法に用いる造影剤容器
US6686204B2 (en) * 2001-08-27 2004-02-03 Becton, Dickinson & Company Collection device
US7011742B2 (en) * 2001-09-14 2006-03-14 Zymequest, Inc. Blood product transfer system
FR2840199B1 (fr) * 2002-05-30 2004-08-13 Medex Sa Dispositif de remplissage d'une poche souple
EP1683578A1 (fr) 2005-01-25 2006-07-26 Jean-Denis Rochat Separateur centrifuge pour liquide physiologique en particulier pour le sang
JP2007259898A (ja) * 2006-03-27 2007-10-11 Takuo Mochizuki 尿吸引装置
JP5281761B2 (ja) * 2007-06-15 2013-09-04 株式会社ダイゾー 加圧容器、燃料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燃料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KR101138894B1 (ko) * 2007-07-30 2012-05-14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10124A1 (en) * 1987-06-26 1988-12-29 Nova Medical Pty. Limited Suction operation collection bag
JP2003093517A (ja) * 1992-06-03 2003-04-02 Bristol Myers Squibb Co 患者の創傷から血液及び他の液体を収集する装置
JP3788479B2 (ja) 2003-05-21 2006-06-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清調製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血清調製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196A (ko) * 2019-09-20 2021-03-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검사용 기관지 폐포 세척액 집적용기
KR102290108B1 (ko) * 2019-09-20 2021-08-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검사용 기관지 폐포 세척액 집적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4678A1 (en) 2011-12-14
US8721617B2 (en) 2014-05-13
CN102300595A (zh) 2011-12-28
CN102300595B (zh) 2015-04-01
WO2010089965A1 (ja) 2010-08-12
JP5593707B2 (ja) 2014-09-24
JP2010201161A (ja) 2010-09-16
KR20110119734A (ko) 2011-11-02
US20110301564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243B1 (ko) 액성 성분 채취장치
KR101138894B1 (ko)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US8439889B2 (en) Blood bag system and blood treating method
JP4861649B2 (ja) 血液成分採取回路および血液成分採取装置
JP4848143B2 (ja) 血液成分採取装置
EP0666083B2 (en) Venting system
US4915847A (en) Cryoglobulin separation
JP6256352B2 (ja)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及び多血小板血漿の調製方法
JP5223562B2 (ja) 血液成分調製用容器及び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WO2020196347A1 (ja) 細胞濃縮用容器
JP5163395B2 (ja) 血液成分調製用容器及び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JPH11164884A (ja) 血液処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