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616B1 - 물품 보관 기구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616B1
KR101138616B1 KR1020100051430A KR20100051430A KR101138616B1 KR 101138616 B1 KR101138616 B1 KR 101138616B1 KR 1020100051430 A KR1020100051430 A KR 1020100051430A KR 20100051430 A KR20100051430 A KR 20100051430A KR 101138616 B1 KR101138616 B1 KR 10113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torage
storage box
rail
roll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799A (ko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6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물품 보관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구는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트인 박스형의 물품 보관 상자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쌍의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2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기구{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물품 보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꺼낼 수 있는 물품 보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물품 보관 상자는 원통형,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직육면체의 물품 보관 상자는, 내부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유효공간이 동일 부피의 다른 물품 보관 상자들에 비해 넓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박에서는, 선원의 안전을 위해 다량의 구명조끼를 보관하는 구명조끼 보관 상자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명조끼 보관 상자는 선박 내에서 공간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도록, 구명조끼 보관 상자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직육면체 형태의 구명조끼 보관 상자는, 선박 내에서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선체 바닥에 수직으로 배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의 설치는, 유사시에 사용자가 다량의 구명조끼를 한꺼번에 꺼내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사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다수의 구명조끼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고, 구명조끼가 아닌 일반적인 물품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보다 편하고 신속하게 물품을 꺼낼 수 있는 물품 보관 기구가 현재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물품을 꺼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물품 보관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구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트인 박스형의 물품 보관 상자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보관 상자는,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레일에는, 상기 제1 롤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레일에는, 상기 제2 롤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에서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품 보관 상자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를 열리게 하는 덮개 개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물품 보관 상자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구에 의하면, 물품 보관 상자가 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많은 물품을 한꺼번에 꺼낼 수 있다.
또한, 롤러의 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가 레일에서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된다면, 물품 보관 상자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 상자의 일측면에 손잡이가 설치된다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물품 보관 상자를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에서, 물품 보관 상자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물품 보관 기구에서, 물품 보관 상자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물품 보관 기구(100)는 예컨대, 선박에서 구명 조끼를 수납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물품 보관 상자(110)와, 제1 롤러(116)와, 제2 롤러(118)와,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품 보관 상자(110)는 내부에 예컨대, 구명 조끼와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트인 박스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물품 보관 상자(110)의 상부에는 덮개(11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덮개(112)는 경첩(114)에 의해 물품 보관 상자(110)의 상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112)에는 제1 와이어 고리(1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물품 보관 상자(110)의 일측면에는, 물품 보관 상자(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손잡이(1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119)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물품 보관 상자(110)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1 롤러(116)와 상기 제2 롤러(118)는 상기 물품 보관 상자(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물품 보관 상자(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116)는 한 쌍으로 각각, 물품 보관 상자(110)의 좌, 우측면의 하부 전방측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축(171)에 의해 물품 보관 상자(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롤러(118)는, 물품 보관 상자(110)의 좌, 우측면의 하부 후방측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축(172)에 의해 물품 보관 상자(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레일(120)과 상기 제2 레일(130)은 각각, 물품 보관 상자(110)가 전방으로 기울여질 때, 제1 롤러(116)와 제2 롤러(118)의 구름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1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레일(120)은 예컨대, 선박의 바닥(101)에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레일(120)은 길다란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서, 이 프레임 내에서 제1 롤러(116)가 전후 방향으로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제1 레일(1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1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삽입공(12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롤러(116)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마련된 스토퍼 핀(124)이 삽입된다.
제2 레일(130) 역시, 길다란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레일(130)은 제1 레일(120)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레일(130)의 프레임 내에서 제2 롤러(118)는 상하 방향으로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제2 레일(130)에는, 제1 레일(12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공(132)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삽입공(132)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롤러(118)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마련된 스토퍼 핀(134)이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핀(124, 134)에 의해 제1 롤러(116)와 제2 롤러(118)의 이동범위는 제한되므로, 물품 보관 상자(110)는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져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130)의 하단에는 제2 와이어 고리(136)가 마련되어 있고, 제2 레일(130)의 상단에는 와이어(16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홈을 가지고 있는 휠(13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물품 보관 기구(100)에는, 상기 물품 보관 상자(1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운동에 연동하여 덮개(112)를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는 덮개 개방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 개방 수단으로서, 양단부가 상기 덮개(112)의 제1 와이어 고리(115)와, 상기 제2 레일(130)의 제2 와이어 고리(136)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1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60)가 휠(135)에 유지되면서 제1 와이어 고리(115) 및 제2 와이어 고리(13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19)를 잡고 앞쪽으로 잡아당겨서 물품 보관 상자(110)를 전방으로 기울이게 되면, 와이어(160)의 장력에 의해 덮개(112)는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하, 상술한 물품 보관 기구(1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사용자는 물품 보관 상자(110)에 저장된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물품 보관 상자(110)의 우측에 마련된 손잡이(119)를 앞으로 당긴다. 손잡이(119)가 앞으로 당겨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물품 보관 상자(110)는 전방으로 기울여지게 되는데, 물품 보관 상자(110) 자체의 무게와 물품 보관 상자(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품들의 무게 때문에, 물품 보관 상자(110)는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기울여지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롤러(116)는 제1 레일(120)에서 후방으로 구름운동을 하고, 제2 롤러(118)는 제2 레일(130)에서 상방으로 구름운동을 하면서, 물품 보관 상자(110)가 정해진 경로로 기울어지도록 안내한다.
한편, 물품 보관 상자(110)가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되면, 제1 롤러(116)는 제1 레일(120)의 삽입공에 끼워진 스토퍼 핀(124)에 의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제2 롤러(118)는 제2 레일(130)의 삽입공에 끼워진 스토퍼 핀(134)에 의해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덕분에, 물품 보관 상자(110)는 쓰러지지 않고, 원하는 각도(θ)로 기울어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물품 보관 상자(1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제1 와이어 고리(115) 및 제2 와이어 고리(136)에 고정된 와이어(160)에는 장력이 걸리게 된다. 이 와이어(160)의 장력 덕분에 덮개(112)는 경첩(11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후방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의 휠(135)은 와이어(160)가 좌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160)에 장력이 충분히 걸리게 함으로써, 덮개(112)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렇게, 물품 보관 상자(110)가 원하는 각도(θ)로 기울여져 덮개(112)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면 사용자는 물품 보관 상자(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레일(120)에서의 스토퍼 핀(124)을 제1 레일(120)에서 보다 전방에 위치한 삽입공(122)에 삽입하고, 제2 레일(130)에서의 스토퍼 핀(134)을 제2 레일(130)에서 보다 하방에 위치한 삽입공(132)에 삽입할수록, 물품 보관 상자(110)의 기울어지는 각도(θ)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레일(120)에서의 스토퍼 핀(124)을 제1 레일(120)에서 보다 후방에 위치한 삽입공(122)에 삽입하고, 제2 레일(130)에서의 스토퍼 핀(134)을 제2 레일(130)에서 보다 상방에 위치한 삽입공(132)에 삽입할수록, 물품 보관 상자(110)의 기울어지는 각도(θ)는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스토퍼 핀(124, 134)이 삽입되는 삽입공(122, 132)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물품 보관 상자(110)의 기울어지는 각도(θ)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물품 보관 기구(100)를 이용하면, 종래의 물품 보관 상자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물품을 꺼내기 위해 일부러 구부리지 않아도 되고, 물품 보관 상자의 아래쪽에 위치된 물품들도 손쉽게 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119)를 이용하여 손쉽게 물품 보관 기구(100)를 기울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하는 각도(θ)로 물품 보관 상자(110)를 기울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레일(120)이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레일(120)은 그 위에서 제1 롤러(116)가 운동할 수 있는 직선형의 레일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로서 레일의 삽입공(122, 132)에 삽입가능한 스토퍼 핀(124, 134)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레일에 삽입되어 롤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판형상의 스토퍼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스토퍼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핀(124, 134)이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 모두에 마련되어 있으나,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만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19)가 물품 보관 상자(110)의 우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손잡이는 물품 보관 상자(110)의 전방 상단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물품 보관 기구 101: 바닥
110: 물품 보관 상자 112: 덮개
114: 경첩 115: 제1 와이어 고리
116: 제1 롤러 118: 제2 롤러
119: 손잡이 120: 제1 레일 130: 제2 레일 122, 132: 삽입공 124, 134: 스토퍼 핀 135: 휠 136: 제2 와이어 고리 160: 와이어
171, 172: 지지축
θ: 기울어진 각도

Claims (7)

  1.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트인 박스형의 물품 보관 상자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레일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보관 상자는,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에는, 상기 제1 롤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에는, 상기 제2 롤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에서 위치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품 보관 상자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를 열리게 하는 덮개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 개방 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덮개와 상기 제2 레일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 상자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물품 보관 상자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구.
KR1020100051430A 2010-05-31 2010-05-31 물품 보관 기구 KR10113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30A KR101138616B1 (ko) 2010-05-31 2010-05-31 물품 보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30A KR101138616B1 (ko) 2010-05-31 2010-05-31 물품 보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99A KR20110131799A (ko) 2011-12-07
KR101138616B1 true KR101138616B1 (ko) 2012-04-26

Family

ID=4550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30A KR101138616B1 (ko) 2010-05-31 2010-05-31 물품 보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6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605A (ja) * 1992-03-26 1993-10-19 Shin Meiwa Ind Co Ltd 塵芥収集車のゴミ容器反転装置
JPH0848298A (ja) * 1994-02-16 1996-02-20 Aero Design Technol 航空機内の塵埃の収集及び圧縮装置
US7125082B2 (en) 2003-06-05 2006-10-24 Copus Gary D Auxiliary multipurpos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trucks and the like
JP2007297116A (ja) 2006-05-02 2007-11-15 Katsushi Kano プッシュオン蓋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605A (ja) * 1992-03-26 1993-10-19 Shin Meiwa Ind Co Ltd 塵芥収集車のゴミ容器反転装置
JPH0848298A (ja) * 1994-02-16 1996-02-20 Aero Design Technol 航空機内の塵埃の収集及び圧縮装置
US7125082B2 (en) 2003-06-05 2006-10-24 Copus Gary D Auxiliary multipurpos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trucks and the like
JP2007297116A (ja) 2006-05-02 2007-11-15 Katsushi Kano プッシュオン蓋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99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1680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67243B2 (en) Shake prevention structure of glove box
EP2380827B1 (en) Article receiving facility
WO2018042500A1 (ja) 台車
KR101138616B1 (ko) 물품 보관 기구
JP5597034B2 (ja) テーブル付椅子
FI113958B (fi) Menetelmä rullakon välitason käsittelemiseksi ja menetelmän mahdollistava laiterakenne
KR200490391Y1 (ko) 유리 운반대
JP6005434B2 (ja) 箱型容器
CA2935273C (en) Container
JP2010109197A (ja) マガジンラック
EP3130259B1 (en) Tray with level indication
US20120181243A1 (en) Portable Bat Rack Device
JP2008254735A (ja) 板状体搬送具
JP2009261449A (ja) 物品飛び出し防止装置
US20090060700A1 (en) Pallet storage
KR101665447B1 (ko) 컨테이너 선박용 셀 가이드의 엔트리 가이드 배치구조 및 그 엔트리 배치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선박
JP4394130B2 (ja) 貯蔵棚及びこの貯蔵棚を備えた冷蔵庫又は収納庫
JP5226371B2 (ja) 収納装置
JP5249880B2 (ja) 荷物入れ容器
JP6238015B2 (ja) ラックの荷落下防止装置
JP3182038U (ja) キャンバス・キャリーケース
JP200901547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KR20060071642A (ko) 냉장고의 달걀 보관장치
CN107195098A (zh) 商品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