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91Y1 - 유리 운반대 - Google Patents

유리 운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91Y1
KR200490391Y1 KR2020190000844U KR20190000844U KR200490391Y1 KR 200490391 Y1 KR200490391 Y1 KR 200490391Y1 KR 2020190000844 U KR2020190000844 U KR 2020190000844U KR 20190000844 U KR20190000844 U KR 20190000844U KR 200490391 Y1 KR200490391 Y1 KR 200490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base
shap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190000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수납함(400)이 구비됨으로써, 유리판 뿐만 아니라 공구나 다른 부품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유리 운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리 운반대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세워지게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된 수납함(4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운반대{Pallet for glass}
본 고안은 유리 운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시공시 사용되는 판유리를 시공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지게차나 트럭 등에 설치되며, 판유리를 적재하여 보호할 수 있는 유리 운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를 대량으로 운반하기 위한 A형 운반대는 중앙의 기둥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에 받침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적치되는 판유리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프레임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운반대를 이용하여 판유리를 운반하는 방법으로는 20장 ~ 50장의 분량을 이루는 판유리다발을 한목에 옮겨서 운반대에 1차적으로 적치시키게 되고, 상기 판유리다발을 반복하여 소정의 판유리를 소정량 추가로 적치시킨 후 운반할 때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밴드로 감싸서 묶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운반대는 단순히 판유리를 세워 고정시키는 기능만 있으므로 판유리를 운반하지 않을 때에는 무용지물이 되며, 부피가 커서 화물칸의 공간 이 혐소해저 수용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0418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수납함이 구비됨으로써, 유리판 뿐만 아니라 공구나 다른 부품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유리 운반대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유리 운반대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세워지게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된 수납함(400); 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함(40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이며 좌우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410)을 개폐하는 개폐도어(500)가 장착된다.
상기 수납공간(41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서랍체(6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프레임(700); 을 더 포함한다.
양단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호 이격 배치되게 장착되는 안전고리(800);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유리 운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수납함(400)이 구비됨으로써, 유리판 뿐만 아니라 공구나 다른 부품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400)의 내부에 상기 제1도어(510)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기 서랍체(6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납함(400)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쉽게 넣었다 뺄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연장프레임(700)이 구비됨으로써, 적재되는 유리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길이와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유리판을 안전하게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기 안전고리(800)가 구비됨으로써, 밴드로 유리판을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묶을 때에 상기 밴드를 감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밴드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가 흘러내리거나 이동하여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는, 베이스(100), 지지프레임(200), 연결프레임(300), 수납함(400), 개폐도어(500), 서랍체(600), 연장프레임(700), 안전고리(800), 고정날개(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다수개의 사각 막대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는 중심부(110)와, 상기 중심부(110)의 양측으로 운반물이 적재되는 적재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부(110)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좌우로 긴 사각 막대 프레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적재부(120)는 상기 중심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태이고, 사각 막대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사각 막대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교차되게 짜여진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00)에 세워지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2개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2개의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수납함(400)은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된 것으로, 사다리꼴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서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400)에는 상기 수납공간(410)을 개폐하는 개폐도어(500)가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도어(500)는 상기 수납함(400)의 우측면에 구비된 제1도어(510)와, 상기 수납함(400)의 정면에 구비된 제2도어(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어(510)는 우측단이 상기 수납함(400)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고, 상기 제2도어(520)는 하단이 상기 수납함(400)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수납함(400)의 내부에는 상기 서랍체(600)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랍체(600)는 상기 수납함(400)의 내부, 즉 상기 수납공간(410)에 삽입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랍체(600)는 상기 수납공간(41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도어(510)가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수납함(400)이 구비됨으로써, 유리판 뿐만 아니라 공구나 다른 부품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400)의 내부에 상기 제1도어(510)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기 서랍체(6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납함(400)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쉽게 넣었다 뺄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연장프레임(7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높이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연장프레임(710)과 제2연장프레임(7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장프레임(710)은 좌우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장프레임(7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
상기 제2연장프레임(720)은 상하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장프레임(72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높이를 연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연장프레임(700)이 구비됨으로써, 적재되는 유리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길이와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유리판을 안전하게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안전고리(8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적재된 유리판을 밴드로 고정할 때 밴드가 걸리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고리(800)는 제1고리(810)와 제2고리(8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고리(810)는 양단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고리(820)는 상하 방향으로 긴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200) 중 가로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안전고리(800)는 밴드로 유리판을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묶을 때에 상기 밴드를 감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밴드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가 흘러내리거나 이동하여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좌우 양측에는 고정날개(9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날개(9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3개씩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날개(9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짐칸의 측면 게이트(10)의 하단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100)가 트럭의 짐칸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운반대는,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수납함(400)이 구비됨으로써, 유리판 뿐만 아니라 공구나 다른 부품을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400)의 내부에 상기 제1도어(510)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기 서랍체(6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납함(400)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쉽게 넣었다 뺄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연장프레임(700)이 구비됨으로써, 적재되는 유리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길이와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유리판을 안전하게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기 안전고리(800)가 구비됨으로써, 밴드로 유리판을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묶을 때에 상기 밴드를 감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밴드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가 흘러내리거나 이동하여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110 : 중심부
120 : 적재부 200 : 지지프레임
300 : 연결프레임 400 : 수납함
410 : 수납공간 500 : 개폐도어
510 : 제1도어 520 : 제2도어
600 : 서랍체 700 : 연장프레임
710 : 제1연장프레임 720 : 제2연장프레임
800 : 안전고리 810 : 제1고리
820 : 제2고리 900 : 고정날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개의 사각 막대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며, 직사각 형태로 좌우로 긴 사각 막대 프레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중심부(110)와, 상기 중심부(110)의 양측으로 운반물이 적재되도록 중심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태이고, 사각 막대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적재부(120)로 이루어진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세워지게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지지프레임(200) 사이에서 연결프레임(300) 하부에 장착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이며 좌우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되며, 우측면에 구비되고, 우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제1도어(510)가 구비되며, 정면에 구비되고,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제2도어(520)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410)을 개폐하는 개폐도어(500)가 장착되는 수납함(400);
    상기 수납함(400)의 수납공간(41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서랍체(600);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프레임(700);
    밴드로 유리판을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묶을 때에 상기 밴드를 감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밴드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가 흘러내리거나 이동하여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호 이격 배치되게 장착되는 안전고리(800);
    상기 베이스(100)의 좌우 양측에 트럭 짐칸의 측면 게이트(10)의 하단에 삽입되어 베이스(100)가 트럭의 짐칸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베이스(100)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고정날개(900)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프레임(7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좌우 길이를 연장하도록 좌우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연장프레임(710);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높이를 연장하도록 상하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연장프레임(72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고리(800)는
    양단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게 장착되는 제1고리(810);
    상하 방향으로 긴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200) 중 가로로 길게 배치된 사각 막대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고리(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운반대.
  5. 삭제
KR2020190000844U 2019-02-28 2019-02-28 유리 운반대 KR200490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44U KR200490391Y1 (ko) 2019-02-28 2019-02-28 유리 운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44U KR200490391Y1 (ko) 2019-02-28 2019-02-28 유리 운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91Y1 true KR200490391Y1 (ko) 2019-11-06

Family

ID=685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44U KR200490391Y1 (ko) 2019-02-28 2019-02-28 유리 운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3478A (zh) * 2020-06-29 2020-12-18 安徽蓝博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运输的存储结构
KR20210158735A (ko) 2020-06-24 2021-12-31 이덕형 시공이 용이한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18Y1 (ko) 2000-02-29 2000-08-01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KR20070122117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경부건업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KR20110009069A (ko) * 2010-12-31 2011-01-27 (주)한국경공매교육협회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418Y1 (ko) 2000-02-29 2000-08-01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KR20070122117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경부건업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KR20110009069A (ko) * 2010-12-31 2011-01-27 (주)한국경공매교육협회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735A (ko) 2020-06-24 2021-12-31 이덕형 시공이 용이한 창호
CN112093478A (zh) * 2020-06-29 2020-12-18 安徽蓝博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运输的存储结构
CN112093478B (zh) * 2020-06-29 2022-08-05 安徽蓝博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运输的存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KR200490391Y1 (ko) 유리 운반대
US3533502A (en) Shipping rack
US7748540B2 (en) Pallet packing tool
KR101951905B1 (ko) 이동식 배관 자재 보관함
JP2020506118A (ja)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
JP6547334B2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JP2007099376A (ja) コンテナ
US8910786B2 (en) Packaging for motors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US20160236859A1 (en) Container including sliding roof
EP2202168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WO2012105633A1 (ja) リユースコンテナ
KR200481456Y1 (ko) 운송용 거치대
KR102079642B1 (ko) 적재대
KR101988349B1 (ko)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JP6375727B2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KR101815280B1 (ko) 물품 포장박스
USRE29262E (en) Arrangement pertaining to a case for bottles, boxes or other standardized articles
KR101285269B1 (ko)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JP6753172B2 (ja) 折り畳み式ラック
KR102352000B1 (ko) 화물 차량용 적재박스
GB2369351A (en) A Collapsible Container with an Internal Storage Arrangement
KR102156887B1 (ko) 스태킹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