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705B1 -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705B1
KR101136705B1 KR1020040042539A KR20040042539A KR101136705B1 KR 101136705 B1 KR101136705 B1 KR 101136705B1 KR 1020040042539 A KR1020040042539 A KR 1020040042539A KR 20040042539 A KR20040042539 A KR 20040042539A KR 101136705 B1 KR101136705 B1 KR 10113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gen atom
carbon atoms
branch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025A (ko
Inventor
오쿠보코지
야마모토유미코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sphingosine)류.
Figure 112009027482185-pat00001
(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Y는 메틸렌(methylene), 메틴(methine) 또는 O; X1, X2, X3은 H, OH, 아세톡시기; X4는 H, 아세틸기 등; R2, R3은 H, OH 등; R은 H, 아미디노기 등; a는 2 또는 3),
(B) 탄소수 6~30의 지방산 및
(C) 유성 성분
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안정성이 뛰어나며, 사용감도 양호하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스핑고신

Description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WATER-IN-OIL EMULSIFI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좋으며, 또한 피부 표면에 피막을 형성해 수분의 증산을 방지함으로써,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트리트먼트 효과를 부여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널리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성 성분으로서 점도가 높은 유제나 고형의 유제를 사용하면, 피부의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반면, 끈적거리는 사용감을 동반하는 결점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의 특성을 구비하면서 산뜻한 감촉을 얻기 위해서는 수분량을 늘리거나, 유제로서 실리콘유를 사용하거나,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가루체(粉體)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특히 점도가 높은 유제나 고체 지질(solid lipid)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유화할 경우, 유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가 제한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생기는 등,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손상되거나, 사람에 따라서는 피부에 자극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이와 같은 유제는 수분량을 늘리거나, 실리콘유를 사용하는 등, 산뜻한 사용감을 얻도록 하는 배합계에서의 유화를 곤란하게 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물이 많은 계에서 사용감이 좋고 안정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평10-139651호 공보에는 융점이 0~50도인 아미드 화합물을 HLB가 8미만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유화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양호한 사용감과 유화물의 안정성을 양립시키는 점에서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2000-191496호 공보에는 스핑고신류와 탄소수 1~17의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염으로서, 그 융점이 원래의 스핑고신류의 융점보다 낮은 것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는 결정성이 높은 스핑고신류의 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소수 1~17의 유기산에 의해 카티온 염화해 융점을 낮추어, 화장료에 배합하기 쉬운 물질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융점을 내린 스핑고신 염을 유화 조성물에 배합할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해 유화할 필요가 있으며, 양호한 사용감과 안정성의 양립의 점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 (B) 및 (C):
(A)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류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2
(식 중, R1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4~30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環狀)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Y는 메틸렌기, 메틴기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며;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4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며(단, Y가 메틴기일 때 X1과 X2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X4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3은 존재하지 않는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a개의 R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a는 2 또는 3의 수를 나타내며; 파선부(破線部)는 불포화 결합이어도 좋음을 나타낸다),
(B)탄소수 6~30의 지방산,
(C)유성 성분
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뛰어나면서 사용감이 양호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유성 성분을 유화하는데 있어 본래 피부에 존재하는 스핑고신류와 지방산을 사용함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뛰어나며 끈적거림이나 피부에 대한 위화감이 적고 사용감이 양호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 의하면, 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류의 아민기와 탄소수 6~30의 지방산이 산-염기의 중화 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스핑고신류가 카티온화되어 양호한 계면활성능이 생겨 안정된 유화 상태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류와 중쇄의 지방산이 활성제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화제로서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A)의 스핑고신류는 상기 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것이다.
식 중, R1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4~30,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22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다. 이들 중 탄소수 10~20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Y측 말단에 히드록실기를 가진 탄소수 10~20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로, 분기쇄 알킬기의 경우는 분기쇄가 메틸 분기인 것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데실(tridecyl)기, 테트라데실(tetradecyl)기, 펜타데실(pentadecyl)기, 헥사데실기, 1-히드록시트리데실기, 1-히드록시펜타데실기, 이소헥사데실(isohexadecyl)기, 이소스테아릴(isostearyl)기가 바람직하다.
Y는 메틸렌기(CH2), 메틴기(CH) 또는 산소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4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글리세릴기,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결합해서 옥소기를 형성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이들 중, X1, X2, 및 X3 중 0~1개가 히드록실기이며, 나머지가 수소원자 및 X4가 수소원자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Y가 메틴기일 때 X1과 X2 중 어느 한 쪽만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X4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3은 존재하지 않는다.
R2 및 R3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R3은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a는 2 또는 3의 수를 나타내며, a가 2일 때 R은 R4 및 R5를 나타내며, a가 3일 때 R은 R4, R5 및 R6을 나타낸다.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화수소기로 치환할 수 있는 히드록시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7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히드록시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7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다. R4, R5 및 R6으로는 예를 들면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기; 비닐, 알릴 등의 알케닐기; 아미디노기;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 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필, 2, 3-디히드록시프로필, 2-히드록시-3-메톡시프로필, 2, 3, 4, 5, 6-펜타히드록시헥실, 1, 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1-메틸-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3-메톡시프로필, 1, 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및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1~6개가 치환한 총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2-히드록시에틸, 1, 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1, 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및 히드록시알콕시기에서 선택된 1~3개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류로서는 다음의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천연 또는 천연형 스핑고신류 및 그 유도체(이하, 천연형 스핑고신이라 기재함) 또는 일반식(4)에서 나타내는 스핑고신 구조를 가지는 유사형 스핑고신류(이하, 유사형 스핑고신이라 기재함)이 바람직하다.
(I)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천연형 스핑고신.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3
(식 중, R12는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19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Y1은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를 나타내며; X8, X9 및 X10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결합해서 옥소기를 형성하며(단, Y1이 메틴기일 때, X8과 X9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다른 한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X11이 옥소기를 형성할 때 X10은 존재하지 않는다.); R13은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a개의 R1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a는 2 또는 3의 수를 나타내며;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 있어도 좋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R12로서는 탄소수 7~19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며, 나아가 탄소수 13~15의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a는 2가 바람직하며, R1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3)에서 나타내고 있는 천연형 스핑고신으로는 구체적으로 천연 스핑고신, 디히드로스핑고신(dihydrosphingosine) , 피토스핑고신(phytospingosine), 스핑가닌(sphinganine), 데히드로스핑고신(dehydrosphingosine), 데히드로피토스핑고신 및 이들의 N-알킬체(예를 들면, N-메틸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스핑고신은 천연형(D(+)체)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하여도, 비천연형(L(-)체)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하여도, 또한 천연형과 비천연형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화합물의 상대 입체 배치는 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라도, 그 이외의 비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아울러 PHYTOSPHINGOSINE(INCI명; 8th Edition) 및 다음 식에서 나타내는 것 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4
(식 중 m은 5~17을 나타내며, l은 1~13을 나타낸다)
이들은 천연으로부터의 추출물 및 합성물 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시판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형 스핑고신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D-Sphingosine(4-Sphingenine) (SIGMA-ALDRICH사), DS-phytospingosine(DOOSAN사), phytosphingosine(코스모팜사) 등을 들 수 있다.
(Ⅱ)일반식(4)에서 나타내는 유사형 스핑고신.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5
(식 중, R17은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2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X4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며, a개의 R2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또는 아미디노기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a는 2 또는 3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R17로는 탄소수 14~20의 이소 분기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이소스테아릴기가 좋다. 이소스테아릴기는 동식물유 유래의 지방산을 사용한 다이머산(dimer acid) 제조 시의 부생성물 유래의 이소스테아릴 알코올을 원료유로 하여 얻어지는 이소스테아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가 2일 때 R2은 R18 및 R19를 나타내며, a가 3일 때 R2 은 R18, R19 및 R20이다.
R18, R19 및 R20은 예를 들면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비닐, 알릴 등의 알케닐기; 아미디노기;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필, 2, 3-디히드록시프로필, 2-히드록시-3-메톡시프로필, 2, 3, 4, 5, 6-펜타히드록시헥실, 1, 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1-메틸-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3-메톡시프로필, 1, 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 등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및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총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아울러 R18 및 R19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이 2-히드록시에틸, 1, 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1, 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인 2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유사형 스핑고신으로는 R17이 이소스테아릴기, X4은 수소원자이며, R18 이 수소원자, R19가 2-히드록시에틸기, 1, 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기, 1, 1-디메틸-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기 등의 히드록실기 및 히드록시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3개가 치환한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형 스핑고신의 구체예로서는 다음의 유사형 스핑고신(i)~(iv)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6
성분 (A)는 2종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성분(A)의 함유량은 0.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05~3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인 것이 보다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B)의 지방산은 스핑고신류의 아민기와 산-염기의 중화 반응에 의해 염을 형성하고, 스핑고신류가 카티온화되며, 활성제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스핑고신류의 염은 예를 들면 통상 화합물의 구조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적외흡수 분광법이나 프로톤 핵자기 공명 분광법(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등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의 쇄(鎖)의 길이는 유화하는 유성 성분의 종류, 유화 조성물의 점도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면, 비교적 점도가 낮은 유액상의 유화 조성물의 경 우에는 쇄의 길이가 짧은 것을, 점도가 높은 크림상의 유화 조성물의 경우에는 쇄의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함으로써 안정한 유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성분(B)의 지방산은 탄소수 6~30이며,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탄소수 8~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6~30의 것이면 복수의 유성 성분의 혼합형이더라도 안정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 에이코사노산(eicosanoic acid), 도코사노산(docosanoic acid) 등의 포화 지방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리시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noe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된다.
이들 중 탄소수 12~18의 포화 지방산, 나아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이 사용감에 있어서 양호하고 바람직하다.
성분(B)의 지방산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성분(B)의 함유량은 0.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05~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인 것이 좋다.
또한 성분(B)은 성분(A)의 스핑고신류의 아민기 부분을 카티온화하기 때문에 성분(A) 1몰에 대하여 0.3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3~5몰, 나아가 0.5~3몰 함유하는 것이 유화성 향상을 위해서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C)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25도에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합성 및 천연 유래의 유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성 성분은 유화 조성물 중에서 연속상을 형성하는 것이며, 경시적인 유화 안정성의 점에서 비(非)극성의 액상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극성 액상유(25도)로서는 예를 들면 호호바유 등의 식물유; 액상 라놀린 등의 동물유; 유동 파라핀(paraffin), 스쿠알란(squalane) 등의 탄화수소유;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고급 알코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알킬(perfluoroalkyl) 에테르 실리콘 등의 불소유 등을 들 수 있다. 비극성유의 함유량은 유성 성분 전체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인 것이 좋다.
비극성유 이외의 액상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유산 옥틸도데실, 이소노난산(isononanoate) 이소트리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dicaprate) 등의 지방산과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유; 아미노산 유도체 등의 합성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또는 반고체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호바 왁스 등의 식물유;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릴 에테르, 글리세린 모노세틸 에테르 등의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바세린(petrolatum), 라놀린, 세레신(ceresin),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등의 왁스; 세라마이드 및 그 유도체,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탄소수 12~18의 지방산 등의 세포간 지질로 분류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화 조성물로서의 사용감의 점에서, 유성 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 및 그 유도체,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탄소수 12~18의 지방산 등의 세포간 지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마이드 및 그 유도체로서는 일반식(2)에서 나타내는 세라마이드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7
(식 중, R7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혹은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4~30의 직쇄, 분기쇄 혹은 환상의 포화 혹은 불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Z는 메틸렌기, 메틴기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며; X5, X6 및 X7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4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며(단, Z가 메틴기일 때 X5와 X6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X4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7은 존재하지 않는다); R8 및 R9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R10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주쇄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60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30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단, R7이 수소원자, Z가 산소원자일 때, R11은 총탄소수 10~30의 탄화수소기이며, R7이 탄화수소기일 때 R11은 총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어도 좋음을 나타낸다)
식 중 R7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혹은 아미노기가 치환해 있어도 좋은 탄소수 4~30의,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22의 직쇄, 분기쇄 혹은 환상의 포화 혹은 불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Z는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 또는 산소원자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X5, X6 및 X7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낸다. X5, X6, 및 X7 중 0~1개가 히드록실기이며, 나머지가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Z가 메틴기일 때 X5와 X6 중 어느 한 쪽만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X4는 수소원자이거나 글리세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8 및 R9는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한 R8은 수소원자 또는 히드록시메틸기이며, 바람직한 R9는 수소원자이다.
R10은 히드록실기, 카르복시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주쇄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60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35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또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ω위에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8~22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포화 불포화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결합하는 지방산으로서는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리놀산이 바람직하다.
R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30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다. R7이 수소원자, Z가 산소원자일 때 R11은 총탄소수 10~30의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R7이 탄화수소기일 때 R11 은 총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이 중 수소원자 혹은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및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1~3개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드록시알콕시기 및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7의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2)에서 나타내고 있는 세라마이드류로서는 다음의 일반식(5) 또는 (6)에서 나타내고 있는 세라마이드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I)일반식(5)에서 나타내고 있는 천연 또는 천연형 세라마이드류 및 그 유도체(이하, 천연형 세라마이드라 기재함).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8
(식 중 R21은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19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Z1은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를 나타내며; X12, X13 및 X14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15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결합해서 옥소기를 형성하며(단, Z1이 메틴기일 때 X12와 X13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한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X15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14는 존재하지 않는다.); R22는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R23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24는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30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상기 알킬기의 ω말단에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8~22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을 나타내며;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한 것이라도 좋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R21이 탄소수 7~19,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15의 직쇄 알킬기; R24가 히드록실기가 치환하여도 좋은 탄소수 9~27의 직쇄 알킬기 또는 리놀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탄소수 9~27의 직쇄 알킬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X15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산소원자와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R24로서는 트리코실, 1-히드록시펜타데실, 1-히드록시트리코실, 헵타데실, 1-히드록시운데실, ω위에 리놀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노나코실기가 바람직하다.
천연형 세라마이드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스핑고신, 디히드로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또는 스핑가닌이 아미드화된 세라마이드 Type 1~7(예를 들면, J. Lipid Res., 24:759(1983)의 도 2 및 J. Lipid Res., 35:2069(1994)의 도 4에 기재된 돼지 및 사람의 세라마이드류)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의 N-알킬체(예를 들면 N-메틸체)도 포함된다.
이들 세라마이드는 천연형(D(-)체)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하여도, 비천연형 (L(+)체)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하여도, 또한 천연형과 비천연형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화합물의 상대 입체 배치는 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라도, 그 이외의 비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CERAMIDE 1, CERAMIDE 2, CERAMIDE 3, CERAMIDE 5, CERAMIDE 6II의 화합물(이상, INCI, 8th Edition) 및 다음 식에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09
이들은 천연으로부터의 추출물 및 합성물 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시판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천연형 세라마이드의 시판품으로는 Ceramide I, Ceramide Ⅱ, Ceramide Ⅲ, Ceramide ⅢA, Ceramide ⅢB, Ceramide ⅢC, Ceramide Ⅵ(이상, 코스모팜사 제품), Ceramide TIC-001(타카사코료 제품), CERAMIDE Ⅱ(Quest International사 제품), DS-Ceramide Ⅵ, DS-CLA-Phytoceramide, C6-Phytoceramide, DS-ceramide Y3S(DOOSAN사 제품), CERAMIDE 2(SEDERMA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10
(Ⅱ)일반식(6)에서 나타내고 있는 유사형 세라마이드.
Figure 112004025068481-pat00011
(식 중 R25는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2의 직쇄, 분기쇄 혹은 환상의 포화 혹은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X16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며; R26은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22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ω말단에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8~22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것을 나타내며; R27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3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6으로는 노닐, 트리데실, 펜타데실, ω위에 리놀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운데실기, ω위에 리놀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펜타데실기, ω위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펜타데실기, ω위에 메틸 분기 이소스테아르산이 아미드 결합한 운데실기가 바람직하다.
R27은 R25가 수소원자인 경우는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0~30의, 바람직하게는 총탄소수 12~20의 알킬기이며, R25가 히드록실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0~22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인 경우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R27의 히드록시알콕시기 또는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7의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12
일반식(6)으로서는 R25가 헥사데실기, X16이 수소원자, R26이 펜타데실기, R27이 히드록시에틸기인 것; R25가 헥사데실기, X16이 수소원자, R26이 노닐기, R27이 히드록시에틸기인 것; 또는 R25가 헥사데실기, X16이 글리세릴기, R26이 트리데실기, R27이 3-메톡시프로필기인 유사형 세라마이드류가 바람직하며, 일반식(6)의 R25가 헥사데실기, X16이 수소원자, R26이 펜타데실기, R27이 히드록시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5068481-pat00013
세라마이드류는 유성 성분 중에 0.0001~5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5질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성분(C)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성분(C)의 함유량은 20~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30~93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5질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의 양은 전체 조성 중에 1~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7~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질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료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1, 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톨(sorbitol), 말티톨(maltitol),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신 베타인, 자일리톨(xylitol), 트레할로스(trehalose), 뇨소, 아미노산 등의 보습제; 크산탄검(xanthan gum),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구아검(guar gum) 등의 수용성 증점제; 알란토인(allantoin), 초산토코페롤 등의 약효제; 셀룰로오스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가교형 실리콘 파우더,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다공질 셀룰로오스 파우더, 다공질 나일론 파우더 등의 유기분체; 무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무기분체; 멘톨(menthol), 캠퍼(camphor) 등의 청량제; pH 완충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향료, 살균제, 색소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성분(A)~(C)를 가열 분해한 후, 물을 첨가해 유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서 적용 가능하며, 화장료, 예를 들면 유액, 크림, 파운데이션, 헤어크림 등으로서, 또한 형태가 크림형상인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8, 비교예 1~4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화 조성물에 대해서 안정성 및 사용감(잘 발라짐, 끈적거림이 없음)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제조방법)
유상 성분(성분 (A)~(C), 기타)을 80~90도에서 가열 교반해 용해시키고,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수상 성분을 첨가하였다. 다시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해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방법)
(1) 안정성:
각 유화 조성물을 50도, 실온(25도), -5도의 3가지 조건하에서 각각 1개월 방치시킨 후, 그 외관을 직접 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하였다.
◎: 유화 분리가 없고, 외관상의 변화도 없음.
○: 유화 분리는 없으나, 외관은 아주 조금 변화함.
×: 유화 분리가 있고, 외관이 크게 변화함.
(2) 사용감: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 각 유화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잘 발라 짐" 및 "끈적거림이 없음"을 관능 평가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 9명 이상이 양호하다(좋다)고 평가하였다.
○: 7~8명이 양호하다(좋다)고 평가하였다.
×: 6명 이하가 양호하다(좋다)고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27482185-pat00023
Figure 112009027482185-pat00024
실시예 9 (크림)
표 3에서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안정성 및 사용감(잘 발라짐, 끈적거림이 없음)이 양호하였다.
(제조방법)
성분 (1)~(7)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고, 유상을 조제한다. 별도로 성분(8)~(11)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교반해 수상을 조제한다. 유상에 수상을 첨가해 80도에서 균일하게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해 크림을 얻었다.
Figure 112009027482185-pat00025
실시예 10 (크림)
표 4에서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안정성 및 사용감(잘 발라짐, 끈적거림이 없음)이 양호하였다.
(제조방법)
성분(1)~(9)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고, 유상을 조제한다. 별도로 성분(10)~(13)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교반해 수상을 조제한다. 유상에 수상을 첨가해 80도에서 균일하게 교반해 실온까지 냉각하는 도중에 성분(14)~(16)을 첨가해 크림을 얻었다.
Figure 112009027482185-pat00026
실시예 11 (크림)
표 5에서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안정성 및 사용감(잘 발라짐, 끈적거림이 없음)이 양호하였다.
(제조방법)
성분(1)~(9)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고, 유상을 조제한다. 별도로 성분(10)~(13)을 80도에서 용해시켜 균일하게 교반해 수상을 조제한다. 유상에 수상을 첨가하여 80도에서 균일하게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해 크림을 얻었다.
Figure 112009027482185-pat00027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안정성이 뛰어나며, 사용감도 양호하다.

Claims (4)

  1. 다음의 성분(A), (B) 및 (C):
    (A)천연 스핑고신, 디히드로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스핑가닌, 데히드로스핑고신, 데히드로피토스핑고신 및 이들의 N-알킬체에서 선택되는 천연형 스핑고신, 또는 다음의 유사형 스핑고신
    Figure 112011077922441-pat00028
    에서 선택되는 스핑고신류,
    (B)탄소수 8~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
    (C)하기 일반식(2)
    Figure 112011077922441-pat00029
    (식 중, R7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혹은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4~30의 직쇄, 분기쇄 혹은 환상의 포화 혹은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Z는 메틸렌기, 메틴기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며; X5, X6 및 X7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며, X4는 수소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원자와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며(단, Z가 메틴기일 때 X5와 X6 중 어느 한 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은 존재하지 않는다. X4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7은 존재하지 않는다); R8 및 R9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히드록실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며; R10은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하고 있어도 좋은, 주쇄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60의 직쇄, 분기쇄 또는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히드록실기, 히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및 아세톡시기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수 1~30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단, R7이 수소원자, Z가 산소원자일 때, R11은 총탄소수 10~30의 탄화수소기이며, R7이 탄화수소기일 때 R11은 총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어도 좋음을 나타낸다)
    에서 나타내는 세라마이드류로서, 25℃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의 기름, 또는 25℃에서 액상의 비극성 액상유에서 선택되는 유성 성분
    을 함유하고, 상기 성분 (A)~(C)를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유상을 얻은 후 상기 유상에 수상성분을 첨가하여 유화함으로써 제조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42539A 2003-06-10 2004-06-10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101136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5815A JP3967292B2 (ja) 2003-06-10 2003-06-10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JP-P-2003-00165815 2003-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025A KR20040111025A (ko) 2004-12-31
KR101136705B1 true KR101136705B1 (ko) 2012-04-20

Family

ID=3329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39A KR101136705B1 (ko) 2003-06-10 2004-06-10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78584B2 (ko)
EP (1) EP1486202B1 (ko)
JP (1) JP3967292B2 (ko)
KR (1) KR101136705B1 (ko)
CN (1) CN100446748C (ko)
DE (1) DE602004002517T2 (ko)
TW (1) TWI2650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25B1 (ko) 2012-07-30 2014-1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16-히드록시헥사데카노익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또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 또는 강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0903B2 (ja) * 2005-06-02 2010-08-11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6335690A (ja) * 2005-06-02 2006-12-14 Kao Corp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247127B2 (ja) * 2006-11-29 2013-07-24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セラミド類を含有する油中水型乳化物
WO2009019891A1 (ja) * 2007-08-09 2009-02-12 Kao Corporation 逆ベシクル組成物
JP5667383B2 (ja) * 2009-06-19 2015-02-12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647786B2 (ja) 2009-12-28 2015-01-07 花王株式会社 油性組成物
JP7412838B2 (ja) * 2018-01-19 2024-01-15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セラミドが高含量含有された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7161B1 (ko)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왁스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및 보습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491B1 (ko) * 1999-07-27 2003-02-07 주식회사 두산 피부 보호용 크림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1327B1 (en) * 1993-03-17 1999-07-21 Kao Corporation Amine derivative and dermatolog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TW453881B (en) * 1995-10-16 2001-09-11 Kao Cor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s
JP3544080B2 (ja) 1996-11-14 2004-07-21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1999029293A1 (en) * 1997-12-05 1999-06-17 Dsm N.V.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free sphingoid base and a ceramide and uses thereof
JP3220434B2 (ja) * 1998-12-28 2001-10-22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KR19990078610A (ko) * 1999-07-03 1999-11-05 김현준 피부보호용조성물
EP1462081B1 (en) * 2001-12-10 2012-08-08 Kao Corporation Production of ceramide emul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491B1 (ko) * 1999-07-27 2003-02-07 주식회사 두산 피부 보호용 크림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25B1 (ko) 2012-07-30 2014-1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16-히드록시헥사데카노익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또는 피부장벽 기능의 개선 또는 강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2023A (ja) 2005-01-06
KR20040111025A (ko) 2004-12-31
US20050163742A1 (en) 2005-07-28
JP3967292B2 (ja) 2007-08-29
TWI265034B (en) 2006-11-01
EP1486202B1 (en) 2006-09-27
CN1572290A (zh) 2005-02-02
TW200503772A (en) 2005-02-01
US8178584B2 (en) 2012-05-15
DE602004002517T2 (de) 2007-06-21
EP1486202A1 (en) 2004-12-15
DE602004002517D1 (de) 2006-11-09
CN100446748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73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5517511B2 (ja) 化粧料の製造法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JP2000297028A (ja) スキンケアー組成物
KR101136705B1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JP5546809B2 (ja) 乳化化粧料
JP477825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28109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153576B1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4832000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4220838B2 (ja) 皮膚外用剤
JP4119646B2 (ja) セラミド類乳化物の製造法
JP390217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4188149B2 (ja) 皮膚外用剤
JP4284236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220698B2 (ja) 皮膚外用剤
JP452090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0265268A (ja) 皮膚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6039A (ja) 乳化組成物
JP200500202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7075955B2 (ja) ベヘンジモニウムエチルリン酸ステアリルとアルキロイル乳酸塩とセラミド類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5002022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TW200416045A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335690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3571191B2 (ja) 油中水滴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