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047B1 -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047B1
KR101133047B1 KR1020110032559A KR20110032559A KR101133047B1 KR 101133047 B1 KR101133047 B1 KR 101133047B1 KR 1020110032559 A KR1020110032559 A KR 1020110032559A KR 20110032559 A KR20110032559 A KR 20110032559A KR 101133047 B1 KR101133047 B1 KR 10113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loading
unloading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용
김현동
임종국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Priority to KR102011003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배터리 검사장치 등의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그리고 배터리를 배터리 검사장치에 로딩하고 배터리 검사장치로부터 언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배터리 로딩장치는 전면에 탭이 돌출된 배터리를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장치로서, 상기 배터리를 복수 개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를 차례로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중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을 밀어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세팅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탭을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 올린 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원하는 장치에 안착시켜 로딩하는 흡착로딩부, 그리고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는 동안 상기 탭의 하면을 지지하는 흡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하면이 상기 흡착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거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나 배터리에 구비되는 탭이 돌기, 틈, 이물질 등에 부딪히거나 긁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원하는 장치에 대한 배터리의 로딩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Loading apparatus for battery and Loading/unloading system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를 배터리 검사장치 등의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그리고 배터리를 배터리 검사장치에 로딩하고 배터리 검사장치로부터 언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배터리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배터리 검사장치의 로딩부에 수작업으로 배터리를 얹어 놓아 배터리 검사장치로 배터리가 로딩되도록 하고, 검사가 끝난 배터리가 언로딩부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배터리를 들어내어 배터리 검사장치로부터 배터리가 언로딩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배터리의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작업자에 의해 배터리 로딩 및 언로딩의 수동 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로딩장치가 종래에 개발되었다. 종래의 배터리 로딩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의 로딩부의 방향으로 배터리를 수평하게 푸시(push)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의 중대형 리튬 배터리와 같이 일측면에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에 관한 탭(tap)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수평 푸시 방식으로 안정적인 배터리 로딩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전방에 배터리 검사장치가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문제점을 살펴본다.
우선, 탭이 돌출된 일측면을 배터리의 후면으로 하여 로딩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 로딩장치가 푸시하는 부분인 배터리의 후면에 탭이 돌출되어 있어 로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고 탭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탭은 보통 그 두께가 얇아 휨 강성이 약하므로 배터리의 일측면으로부터 항상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작업 상황에 따라 검사를 위한 로딩을 기다리고 있는 복수의 배터리들은 각각 임의의 각도로 휘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탭이 돌출된 일측면을 배터리의 전면 또는 측면으로 하여 로딩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의 후면을 푸시하는 방식으로는 이러한 탭이 배터리 검사장치나 배터리 로딩장치의 특정 부분에 걸려 꺾이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아울러,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인 배터리 자체도 중력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어, 이처럼 배터리의 후면을 푸시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로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탭 뿐 아니라 배터리 자체도 푸시되면서 전면이 중력방향으로 약간 처지게 되는 경우 배터리 검사장치의 특정 부분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하는 장치에 대한 배터리의 로딩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터리 검사장치에 대한 배터리의 로딩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손상없이 원하는 장소에 언로딩할 수 있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는 전면에 탭이 돌출된 배터리를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장치로서, 상기 배터리를 복수 개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를 차례로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중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을 밀어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세팅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탭을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 올린 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원하는 장치에 안착시켜 로딩하는 흡착로딩부, 그리고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는 동안 상기 탭의 하면을 지지하는 흡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하면이 상기 흡착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거리이다.
상기 세팅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을 미는 푸시유닛, 상기 푸시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팅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푸시유닛 및 상기 세팅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팅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세팅 전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유닛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과 맞닿는 푸시블록, 상기 푸시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는 상면푸시부재, 그리고 상기 상면푸시부재를 통해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상면을 압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로딩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흡착유닛, 상기 진공흡착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딩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유닛 및 상기 로딩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딩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로딩 전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지지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상하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상하구동부는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흡착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탭의 하측으로 상향 이동시키고,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탭을 들어 올린 후에는 상기 지지유닛을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앞쪽이 중력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 그리고 배터리 언로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검사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검사를 위해 상기 배터리 로딩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로딩받아 내부로 이송하는 로딩부, 그리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를 통해 언로딩할 수 있도록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한 후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들어 올려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양측면을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파지하는 그리퍼부, 상기 그리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언로딩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그리퍼부 및 상기 언로딩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언로딩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언로딩 전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좌측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좌측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되는 제1 그리퍼,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우측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우측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되는 제2 그리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측에 상기 제1 그리퍼가 장착되고 우측에 상기 제2 그리퍼가 장착되는 그리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그리퍼부가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언로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을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언로딩 세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차례로 적층되는 바닥부재를 구비하는 언로딩 카세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추가로 적층될 때마다 하강하여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적층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앞쪽 부분을 탭에 대한 흡착을 통해 소정의 높이만큼 살짝 들어 올려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터리나 배터리에 구비되는 탭이 돌기, 틈, 이물질 등에 부딪히거나 긁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원하는 장치에 대한 배터리의 로딩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면푸시부재와 탄성부재를 통해 배터리의 상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 압축함으로써, 푸시유닛이 배터리의 후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푸시 할 수 있다.
또한, 그리퍼부가 배터리의 하면을 지지하며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파지시의 압력 등에 의한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손상없이 원하는 장소에 언로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와 배터리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로딩장치의 구동예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언로딩장치와 배터리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터리 언로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와 배터리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이하 '본 배터리 로딩장치'라 함)(100)는 전면(501)에 탭(510)이 돌출된 배터리(500)를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일 수 있다. 즉,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전면(501)에 탭(510)이 돌출된 배터리(500)를 배터리(500)의 검사를 위한 배터리 검사장치(300)에 로딩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로딩부(310)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테면 컨베이어(conveyer) 장치, 카세트 장치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검사장치(300)에서의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를 통해 컨베이어 장치로 로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장치란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를 통해 배터리 검사장치(300)로부터 로딩받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띠 모양의 운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에 배터리(500)를 로딩하는 장치로 적용될 수 있지만, 반대로 배터리 검사장치(300)로부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언로딩하여) 다른 장치나 장소에 로딩하는 장치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검사장치(300)를 기준으로 보면,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배터리(500)를 언로딩하는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배터리(500)의 전면에 돌출된 탭(510)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운반을 수행하므로,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가 배터리 검사장치(300)로부터 배터리(500)를 언로딩하는 장치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배터리 검사장치(300)가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언로딩하기 위해 외부로 이송하는 방향이 배터리(50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하는 장치가 배터리 검사장치(300)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로딩장치의 구동예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와 관련한 공급부(1), 세팅부(2), 흡착로딩부(3), 흡착지지부(4)의 구성을 살핀다.
우선, 공급부(1)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공급부(1)는 배터리(500)를 복수 개 적층하고 복수의 배터리(500)를 차례로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복수의 배터리(500)가 차례로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로딩부(310)와 같은 원하는 장치에 로딩될 때마다, 공급부(1)는 적층되어 있는 남은 배터리(5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향 이동시키는 거리는 최상측 배터리(550)가 항상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거리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공급부(1)는 복수의 배터리(500)를 적층하여 상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카세트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공급부(1)는 후술할 세팅부(2)에 의해 최상측 배터리(550)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이러한 최상측 배터리(550)의 앞쪽이 중력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최상측 배터리(550)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1)는 후술할 흡착지지부(4)가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지지대(11)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된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하측이 상하방향으로 통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팅부(2)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및 도 3의 (a)를 참조하면, 세팅부(2)는 복수의 배터리(500) 중 최상측 배터리(550)의 후면(502)을 밀어 최상측 배터리(550)를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거리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하면이 후술할 흡착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거리이다.
이러한 세팅부(2)는 공급부(1)의 최상측에 놓인 최상측 배터리(550)가 배터리 검사장치(300)와 같은 원하는 장치에 로딩되는 작업이 후술할 흡착로딩부(3) 및 흡착지지부(4)를 통해 진행될 수 있게, 최상측 배터리(550)를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밀어 이동시켜,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위치를 세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세팅부(2)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후면(502)을 미는 푸시유닛(21), 푸시유닛(2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팅 상하구동부(22), 그리고 푸시유닛(21) 및 세팅 상하구동부(2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세팅 상하구동부(22)가 장착되는 세팅 전후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세팅 상하구동부(22)는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푸시유닛(2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세팅 전후구동부(23)도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세팅 상하구동부(2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푸시유닛(21)은 최상측 배터리(550)의 후면(502)과 맞닿는 푸시블록(21a), 푸시블록(2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는 상면푸시부재(21b), 그리고 상면푸시부재(21b)를 통해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을 압축하는 탄성부재(2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푸시부재(21b) 및 탄성부재(21c)를 통해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을 하향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탄성 압축함으로써, 푸시유닛(21)이 최상측 배터리(550)의 후면(502)을 보다 안정적으로 푸시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소정의 압력은 최상측 배터리(550)가 흔들리며 불안정하게 이동되지 않는 정도의 압력으로 하고, 이러한 소정의 압력으로 인해 최상측 배터리(550)에 손상이 생기거나, 최상측 배터리(550)의 아래에 있는 배터리(500)와 심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착로딩부(3)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상면을 흡착하여 탭(510)을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 올린 후 전방으로 당겨 최상측 배터리(550)를 이동시킨 다음 흡착을 해제하여 원하는 장치에 안착시켜 로딩한다.
배터리(500)를 뒤에서 밀어(push) 로딩부(310)에 공급하는 방식이 종래에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 앞으로 이동되다가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로딩부(310) 등의 미세하게 돌출된 부분이라도 배터리(500)의 전면(501)이 부딪히거나 마찰되면서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배터리(500)에 탭(510)이 구비된 경우 이러한 수평 푸시 방식에 의하게 되면 탭(510)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 문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흡착로딩부(3)를 통해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 부분을 살짝 들어 올려 원하는 장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로딩되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불측의 손상을 방지하고, 특히 두께가 얇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탭(510) 부분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최상측 배터리(550)의 원하는 장치에 대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의 (b)를 참조하면, 탭(510)을 들어 올리는 미리 설정된 높이는 탭(510)이 손상되지 않도록 탭(510)의 휨 상태, 탭(510)에 작용되는 휨 하중 등을 고려한 높이, 최상측 배터리(550)의 전면(501) 측이 너무 높게 들려 올라가 휘어져 손상되지 않도록 최상측 배터리(550)의 휨 상태, 최상측 배터리(550)에 작용되는 휨 하중 등을 고려한 높이, 그리고 최상측 배터리(550)가 전방으로 당겨질 때 최상측 배터리(550)가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로딩부(310) 등의 특정 부분에 부딪히거나 심하게 마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는 높이를 함께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흡착유닛(31), 진공흡착유닛(3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딩 상하구동부(32), 그리고 진공흡착유닛(31) 및 로딩 상하구동부(3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딩 상하구동부(32)가 장착되는 로딩 전후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로딩 상하구동부(32)는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진공흡착유닛(3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로딩 전후구동부(33)도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로딩 상하구동부(3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흡착지지부(4)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착지지부(4)는 흡착로딩부(3)가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상면을 흡착하는 동안 탭(510)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세팅부(2)가 최상측 배터리(5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거리인 미리 정해진 거리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하면이 이러한 흡착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도록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이 흡착지지부(4) 상에 위치되도록 최상측 배터리(550)를 이동시키는 거리일 수 있다.
흡착로딩부(3)가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상면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흡착지지부(4)가 탭(5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흡착지지부(4)가 탭(510)의 하측에 항상 머물러 구비되어 있으면, 흡착로딩부(3)에 의해 흡착된 최상측 배터리(550)가 전방으로 당겨져 원하는 장치로 이동될 때, 이러한 흡착지지부(4)에 최상측 배터리(550)의 하면이 접촉되어 최상측 배터리(550)의 하면 등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흡착지지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로딩부(3)가 탭(510)의 상면을 흡착하는 동안에만 탭(51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탭(510)의 하면을 지지하고(도 3의 (b) 참조), 흡착로딩부(3)의 흡착이 완료되면 다시 원 위치로 복귀(도 4의 (a) 참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착지지부(4)는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41), 그리고 지지유닛(41)과 연결되어 지지유닛(4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상하구동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지지 상하구동부(42)는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지지유닛(4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의 (b)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지지 상하구동부(42)는 흡착로딩부(3)가 흡착을 시작하기 전에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유닛(41)을 탭(510)의 하측으로 상향 이동시키고, 흡착로딩부(3)가 탭(510)을 들어 올린 후에는 지지유닛(41)을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지지유닛(41)이 탭(510)의 바로 아래에 항상 머물러 구비되어 있으면, 흡착로딩부(3)에 의해 흡착된 최상측 배터리(550)가 전방으로 당겨져 원하는 장치로 이동될 때, 이러한 지지유닛(41)에 최상측 배터리(550)의 하면이 접촉되어 최상측 배터리(550)의 하면 등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지 상하구동부(42)의 구동을 통해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의 작용을 살핀다.
우선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세팅 상하구동부(22)가 푸시유닛(21)을 하강시킨다. 이때, 푸시유닛(21)은 상면푸시부재(21b)가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21c)에 의한 소정의 탄성 압축이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에 하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면푸시부재(21b)가 최상측 배터리(550)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푸시유닛(21)은 최상측 배터리(550)의 후면(502)을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에 대한 진공 압축을 위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방으로 푸시한다. 이때, 상술한 탄성부재(21c)에 의한 탄성 압축을 통해 이러한 전방으로의 푸시가 흔들리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착지지부(4)의 지지유닛(41)은 흡착로딩부(3)를 통해 이루어질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에 대한 진공 흡착을 지지하기 위해 탭(510)의 하측으로 상승한다. 여기서, 지지유닛(41)의 상단과 탭(510)의 하면과의 이격 거리는 흡착로딩부(3)를 통한 진공 흡착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탭(510)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b)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지지유닛(41)의 상단은 탭(510)의 하면과 배터리(500)의 두께보다 작은 이격 거리를 형성하도록 상승되어 진공 흡착이 이루어질 때 탭(5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흡착지지부(4)의 지지유닛(41)을 통해 탭(51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흡착로딩부(3)의 진공흡착유닛(31)을 통해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의 상면에 대한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최상측 배터리(550)를 전방으로 미리 설저된 거리만큼 푸시했던 세팅부(2)의 푸시유닛(21)은 세팅 상하구동부(22)를 통해 상승하고 세팅 전후구동부(23)를 통해 후진하여 다음으로 로딩될 배터리(500)를 푸시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는 로딩 상하구동부(32)를 통해 진공흡착유닛(31)을 상승시켜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을 상향으로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 올린다. 이때, 미리 설정된 높이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최상측 배터리(550)와 탭(510)에 손상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너무 높지 않은 높이, 그리고 원활한 전방으로의 이동은 이루어질 수 잇을 정도로 너무 낮지 않은 높이가 되도록 양자를 함께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지지부(4)의 지지유닛(41)은 탭(510)에 대한 진공 흡착 시의 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였으므로, 최상측 배터리(550)의 원하는 장치에 대한 로딩을 위한 전방으로의 이동시 지장을 주지 않도록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는 로딩 전후구동부(33)를 통해 로딩 상하구동부(32)와 진공흡착유닛(3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진공흡착유닛(31)에 흡착된 최상측 배터리(550)의 탭(510)을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최상측 배터리(5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배터리(500)를 뒤에서 미는 방식으로 배터리 검사장치(300)와 같은 원하는 장치에 대한 로딩이 이루어졌었는데, 로딩되는 방향에 조금이라도 작은 턱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러한 것들에 쉽게 부딪히거나 긁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의 중대형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500)의 경우 중력방향으로 잘 휘어지므로, 로딩되는 방향의 바닥에 작은 돌기나 좁은 틈에도 쉽게 부딪혀 손상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상측 배터리(550)의 앞쪽 부분을 탭(510)에 대한 흡착을 통해 살짝 들어 올려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최상측 배터리(550)가 부딪히거나 긁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원하는 장치에 대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500)의 탭(510) 역시 종래의 후면 푸시 방식에 의하게 되면 배터리(500) 밀려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탭(510)은 어딘가에 끼거나 부딪혀 꺾이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에 의하면, 탭(510)을 흡착을 통해 살짝 들어 올려 최상측 배터리(550)를 이동시킴으로써, 최상측 배터리(550)의 로딩 시 탭(510)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장치에 대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의 로딩 전후구동부(33)를 통해 원하는 장치로의 최상측 배터리(550)의 이동이 완료되었다면, 흡착로딩부(3)는 로딩 상하구동부(32)를 통해 진공흡착유닛(31)을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켜 살짝 들어 올렸던 탭(510)을 내려놓은 후 진공 흡착을 해제하여 최상측 배터리(550)를 원하는 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높이는 진공 흡착을 해제하더라도 최상측 배터리(550)나 탭(51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흡착로딩부(3)의 로딩 상하구동부(32)와 진공흡착유닛(31)은 로딩 전후구동부(33)를 통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공급부(1)는 적층되어 있는 남은 배터리(5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향 이동시키는 거리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최상측 배터리(550)가 항상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장치가 배터리 검사장치(300)이고 최상측 배터리(550)가 로딩부(310)에 안착된 경우, 안착된 최상측 배터리(550)는 검사를 위해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내부로 로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이하 '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살핀다. 다만, 앞서 살핀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언로딩장치와 배터리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터리 언로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은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 그리고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가 배터리(500)를 로딩하는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이다. 이러한 배터리 검사장치(300)는 배터리(500)의 검사를 위해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를 통해 배터리(500)를 로딩받아 내부로 이송하는 로딩부(310), 그리고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를 통해 언로딩할 수 있도록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는 앞서 살핀 바를 참조한다.
또한,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한 후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언로딩부(320)로부터 들어 올려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즉, 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은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를 통해 배터리(500)를 배터리 검사장치(300)(이를테면 로딩부(310))에 로딩하고,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를 통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배터리 검사장치(300)(이를테면 언로딩부(320))로부터 언로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양측면을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파지하는 그리퍼부(210), 그리퍼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언로딩 상하구동부(220), 그리고 그리퍼부(210) 및 언로딩 상하구동부(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언로딩 상하구동부(220)가 장착되는 언로딩 전후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언로딩 상하구동부(220)는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그리퍼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전후구동부(230)도 레일 및 레일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언로딩 상하구동부(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그리퍼부(210)는 제1 그리퍼(211), 제2 그리퍼(212), 그리고 그리퍼 구동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리퍼(211)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좌측 일부를 지지하고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좌측면에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리퍼(212)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우측 일부를 지지하고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우측면에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리퍼 구동부(213)는 제1 그리퍼(211) 및 제2 그리퍼(212)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측에 제1 그리퍼(211)가 장착되고 우측에 제2 그리퍼(21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과 우측은 배터리(500)의 전면(501)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도 7 참조)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좌우가 바뀌어 설명되더라도 동일하게 구동되고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리퍼(211)와 제2 그리퍼(212)는 그리퍼 구동부(213)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는 그리퍼부(210)가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언로딩부(320)에 설치되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을 언로딩부(320)로부터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언로딩 세팅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500)의 측면만을 압력으로 파지하게 되면 배터리(500)가 과도한 압력의 작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500)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의 중대형 배터리인 경우 이러한 압력에 의해 쉽게 중앙부가 중력방향으로 휘어져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리퍼부(210)가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손상되지 않도록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을 받쳐 들면서 파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처럼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의 하측에 제1 그리퍼(211)와 제2 그리퍼(212)가 일부 삽입되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을 지지하며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세팅부(240)가 필요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른 예로,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언로딩부(320)가 언로딩용 지그를 포함하고, 이러한 언로딩용 지그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가 안착되는 면에 아래로 함몰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그리퍼(211)와 제2 그리퍼(212)가 이 같은 함몰부에 일부 삽입되어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그 하면을 지지하며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원하는 장소는 언로딩 카세트부(250)일 수 있다. 이러한 언로딩 카세트부(250)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가 차례로 적층되는 바닥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닥부재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가 추가로 적층될 때마다 하강하여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가 적층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는 이러한 언로딩 카세트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의 작용은 앞서 살핀 바와 같으므로, 배터리 언로딩장치(100)의 작용을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핀다.
본 배터리 로딩장치(100)를 통해 배터리 검사장치(300)에 로딩되어 검사가 이루어진 후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는 배터리 검사장치(300)의 언로딩부(320)를 통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처럼 언로딩부(320)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는 언로딩부(320)에 설치된 언로딩 세팅부(240)(도 6 참조)에 의해 그 하면이 상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들려 올라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500)는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되고, 그리퍼부(210)는 언로딩 상하구동부(220)를 통해 배터리(500)가 위치한 높이로 하강된다.
하강된 그리퍼부(210)의 제1 그리퍼(211)와 제2 그리퍼(212)는 언로딩 세팅부(240)에 의해 언로딩부(32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되어 있는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의 하면을 받쳐 들면서, 배터리(500)가 이동시 쉽게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처럼 그리퍼부(210)는 배터리(500)의 하면을 지지하며 파지하기 때문에 배터리(500) 파지시의 압력 등에 의한 배터리(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퍼부(210)가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500)를 지지 및 파지한 상태에서, 배터리 언로딩장치(200)는 언로딩 상하구동부(220) 및 언로딩 전후구동부(230)를 통해 그리퍼부(21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원하는 장소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언로딩 카세트부(250)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터리 로딩장치
1. 공급부 11. 지지대
2. 세팅부 21. 푸시유닛
21a. 푸시블록 21b. 상면푸시부재
21c. 탄성부재 22. 세팅 상하구동부
23. 세팅 전후구동부 3. 흡착로딩부
31. 진공흡착유닛 32. 로딩 상하구동부
33. 로딩 전후구동부 4, 흡착지지부
41. 지지유닛 42. 지지 상하구동부
200. 배터리 언로딩장치
210. 그리퍼부 211. 제1 그리퍼
212. 제2 그리퍼 213. 그리퍼 구동부
220. 언로딩 상하구동부 230. 언로딩 전후구동부
240. 언로딩 세팅부 250. 언로딩 카세트부
300. 배터리 검사장치
310. 로딩부 320. 언로딩부
500. 배터리
501. 전면 502. 후면
510. 탭 550. 최상측 배터리

Claims (13)

  1. 전면에 탭이 돌출된 배터리를 원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배터리 로딩장치로서,
    상기 배터리를 복수 개 적층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를 차례로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중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을 밀어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세팅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탭을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 올린 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최상측 배터리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원하는 장치에 안착시켜 로딩하는 흡착로딩부, 그리고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흡착하는 동안 상기 탭의 하면을 지지하는 흡착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하면이 상기 흡착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거리인 배터리 로딩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세팅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을 미는 푸시유닛,
    상기 푸시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팅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푸시유닛 및 상기 세팅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팅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세팅 전후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푸시유닛은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후면과 맞닿는 푸시블록,
    상기 푸시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는 상면푸시부재, 그리고
    상기 상면푸시부재를 통해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상면을 압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흡착로딩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흡착유닛,
    상기 진공흡착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로딩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유닛 및 상기 로딩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딩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로딩 전후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흡착지지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상하구동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지지 상하구동부는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흡착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탭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탭의 하측으로 상향 이동시키고, 상기 흡착로딩부가 상기 탭을 들어 올린 후에는 상기 지지유닛을 하향 이동시키는 배터리 로딩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최상측 배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앞쪽이 중력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최상측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원하는 장치는 배터리 검사장치인 배터리 로딩장치.
  9. 제8항에 따른 배터리 로딩장치, 그리고
    배터리 언로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검사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검사를 위해 상기 배터리 로딩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로딩받아 내부로 이송하는 로딩부, 그리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를 통해 언로딩할 수 있도록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한 후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들어 올려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양측면을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파지하는 그리퍼부,
    상기 그리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언로딩 상하구동부, 그리고
    상기 그리퍼부 및 상기 언로딩 상하구동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언로딩 상하구동부가 장착되는 언로딩 전후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좌측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좌측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되는 제1 그리퍼,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우측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우측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접촉되는 제2 그리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측에 상기 제1 그리퍼가 장착되고 우측에 상기 제2 그리퍼가 장착되는 그리퍼 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12. 제10항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그리퍼부가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언로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의 하면을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언로딩 세팅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13. 제10항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딩장치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차례로 적층되는 바닥부재를 구비하는 언로딩 카세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추가로 적층될 때마다 하강하여 상기 검사가 종료된 배터리가 적층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KR1020110032559A 2011-04-08 2011-04-08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KR10113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59A KR101133047B1 (ko) 2011-04-08 2011-04-08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59A KR101133047B1 (ko) 2011-04-08 2011-04-08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047B1 true KR101133047B1 (ko) 2012-04-04

Family

ID=4614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559A KR101133047B1 (ko) 2011-04-08 2011-04-08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0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1066A (zh) * 2016-04-20 2016-07-06 肇庆信泰机电科技有限公司 锂电池后工序测试机
WO2021194147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의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적재방법
WO2022177123A1 (ko) * 2021-02-17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의 불량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극 탭의 불량 검출 방법
KR102469432B1 (ko) *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장치
KR20230105925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검사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985B1 (ko) * 1995-09-29 1998-10-15 배순훈 적층된 건전지용 파레트의 로딩장치
KR200307185Y1 (ko) 2002-12-06 2003-03-15 주식회사 마이다스코리아 자동추출장치를 가진 담배진열대
KR20040045577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에스엠시 배터리 셀 팔레트 자동 이동장치
KR100939645B1 (ko) 2009-07-17 2010-02-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웨이퍼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985B1 (ko) * 1995-09-29 1998-10-15 배순훈 적층된 건전지용 파레트의 로딩장치
KR20040045577A (ko) * 2002-11-25 2004-06-02 주식회사 에스엠시 배터리 셀 팔레트 자동 이동장치
KR200307185Y1 (ko) 2002-12-06 2003-03-15 주식회사 마이다스코리아 자동추출장치를 가진 담배진열대
KR100939645B1 (ko) 2009-07-17 2010-02-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웨이퍼 검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1066A (zh) * 2016-04-20 2016-07-06 肇庆信泰机电科技有限公司 锂电池后工序测试机
WO2021194147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의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적재방법
CN114144916A (zh) * 2020-03-26 2022-03-04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组装载装置和使用该电池组装载装置的电池组装载方法
WO2022177123A1 (ko) * 2021-02-17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의 불량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극 탭의 불량 검출 방법
KR20230105925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검사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검사 시스템
KR102630004B1 (ko) 2022-01-05 2024-0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검사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검사 시스템
KR102469432B1 (ko) *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047B1 (ko) 배터리 로딩장치 및 배터리 로딩/언로딩 시스템
CN106252699B (zh) 燃料电池堆的自动堆叠装置
CN106252698B (zh) 用于快速堆叠燃料电池堆的设备
TWI655445B (zh) 處理器及零件檢查裝置
JP4003882B2 (ja) 基板移載システム
JP2020021795A (ja) 搬送システム
TWI823001B (zh) 移載裝置
JP4626205B2 (ja) 基板の受渡し方法、及びその装置
TWI679162B (zh) 物品搬運用容器之升降搬運裝置
CN212845080U (zh) 物品检查装置
JP4408694B2 (ja) 吸着装置
TW200930648A (en)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KR10154428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JP2020155628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WO2019065205A1 (ja) トレイ配置部および搬送システム
KR100569068B1 (ko) 패널 이송장치
JP2005064431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JPWO2008129603A1 (ja) 基板搬送システム
JP2020021896A (ja) 搬送ロボット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4849744B2 (ja) 表示用基板の検査装置
CN112083588B (zh) 检查系统
CN218664208U (zh) 具有高稳定性的用于半导体表面检测的上下料装置
KR200469263Y1 (ko) 유리 기판 운송 장치
JPH08290830A (ja) 半導体素子検査機の顧客トレーの移送装置
JP7413756B2 (ja) 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