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330B1 -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330B1
KR101132330B1 KR1020040061502A KR20040061502A KR101132330B1 KR 101132330 B1 KR101132330 B1 KR 101132330B1 KR 1020040061502 A KR1020040061502 A KR 1020040061502A KR 20040061502 A KR20040061502 A KR 20040061502A KR 101132330 B1 KR101132330 B1 KR 10113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erving size
food
weight
ser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831A (ko
Inventor
홍석원
하유즙
김현숙
김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30B1/ko
Priority to US11/139,973 priority patent/US7238923B2/en
Priority to EP05253347A priority patent/EP1624725A3/en
Priority to CNB2005100742695A priority patent/CN100401310C/zh
Priority to JP2005179980A priority patent/JP3971431B2/ja
Publication of KR2006001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41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llowing the input of coded operation instructions, e.g. bar code rea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의 포장에 인쇄된 바코드를 이용한 조리시에 실제 조리되는 조리물의 양에 적합한 조리조건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조리량과 상기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이 상기 기준 조리량과 다르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에 부합하도록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method }
도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일종인 전자렌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전자렌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 저장되는 조리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전자렌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 저장되는 조리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전자렌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 저장되는 조리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전자렌지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 저장되는 조리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전자렌지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조리실
18:무게센서 20:마이컴
21:바코드 리더
본 발명은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의 포장에 부착된 바코드를 리드하여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장치는 각종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로, 열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 중에서 전자렌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조리기구인데, 종래의 전자렌지는 통상 사용자가 전자렌지의 전면패널부에 형성된 키입력부를 통해 조리시간, 조리방식, 조리대상을 직접 입력하도 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전자렌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적절한 조리조건이 설정되기가 힘들고 불편하였다.
따라서 전자렌지에 바코드 리더를 구비하고, 바코드 리더에서 리드된 조리정보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렌지가 개발되었다. 바코드를 리드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전자렌지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010530호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7460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전자렌지는 본체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과, 본체의 전면패널에 마련된 내장형 바코드 리더(또는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된CCD(Charge coupled display)타입 및 펜타입의 바코드 리더)와, 전자렌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다수의 입력용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와, 조리실에 공급할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바코드리더를 구비한 전자렌지에서 조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식품의 포장지 등에 마련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에 접근시켜 바코드 리더에서 바코드를 리드하고, 리드된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조건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전자렌지는 실제 조리되는 조리물의 수량을 고려하지 않고 바코드에서 리드한 조리조건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므로 조리물이 부족조리되거나 과조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3인분이 포장된 식품의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조건이 3인분을 모두 조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소비자들이 3인분 중에서 일부만을 조리실 에 넣고 조리하면 조리물이 과조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3인분이 포장된 식품의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조건이 1인분을 조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소비자들이 3인분 전체를 조리실에 넣고 조리하면 조리물이 부족조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의 포장에 인쇄된 바코드를 이용한 조리시에 실제 조리되는 조리물의 양에 적합한 조리조건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기준 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크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기준 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이며,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1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한 서빙사이즈가 N(N=2이상인 자연수)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무게와 포장된 조리물 전체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조리물 전체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작으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조리물 전체에 대한 조리조건(단,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N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해 서빙사이즈가 N인분보다 작은 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무게, 전체 서빙사이즈 및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조리물의 전체 무게와 전체 서빙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물의 기준무게를 연산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기준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크면 상기 조리조건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기준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이고,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1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한 서빙사이즈가 N(단, N은 2이상인 자연수)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무게, 전체 서빙사이즈 및 전체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 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조리물의 전체 무게와 전체 서빙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물의 기준무게를 연산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전체 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작으면 상기 조리조건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전체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N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해 서빙사이즈가 N인분보다 작은 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조리량과 상기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이 상기 기준 조리량과 다르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에 부합하도록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조리량은 일인분인 1서빙사이즈이고, 상기 조리실에 투입되 어 감지된 조리물의 양은 상기 1서빙사이즈에 대한 비율인 N서빙사이즈(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는 각 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조리조건을 수정하는 단계는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 * N서빙사이즈팩터를 연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리물의 기준 조리량과 상기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을 감지하는 조리량 감지부,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이 상기 기준 조리량과 다르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에 부합하도록 수정하고, 수정된 조리조건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조리량은 일인분인 1서빙사이즈이고, 상기 조리실에 투입되어 감지된 조리물의 양은 상기 1서빙사이즈에 대한 비율인 N서빙사이즈(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량 감지부는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11)과, 조리실(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와, 도어(13)의 우측에 마련된 전면패널부(13)를 구비한다.
조리실(11) 바닥에는 조리물이 담겨 회전하는 트레이(14)가 위치하고, 트레이(14)의 중앙하부에는 트레이(14)를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모터(도2의 25)가 설치된다. 트레이(14)의 하부외주 근처에는 복수의 롤러(15)가 부착된 환형(環形)의 롤러 지지 부재(16)가 위치하며, 롤러(15)는 원형의 트랙(17)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트랙(17)하면에는 트레이(14)에 올려진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18)가 마련된다. 따라서 트레이 모터(도2의 25)가 회전하면 복수의 롤러(15)가 트랙(17)을 따라 구르면서 트레이(14)가 회전하고, 롤러(15)가 무게센서(18)를 지나면서 무게센서(18)를 압박하여 무게센서(18)에서 트레이(14)에 놓인 조리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전면패널부(13)는 상부에 전자렌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9)가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부(19)의 아래에는 바코드를 읽기 위한 내장형 바코드 리더(21)가 마련된다. 바코드 리더(21)의 아래에는 다수의 입력용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22)가 마련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한 전자렌지는 도1에 도시한 장치외에 조리실(11)에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23)을 구동하는 마그네트론 구동부(24)와, 트레이(14)를 회전시키는 트레이모터(25)와, 바코드 리더(21)에서 리드된 바코드 데이터를 해석하고 전자렌지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마이컴(20)을 포함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는 전체 서빙사이즈, 복수의 서빙사 이즈팩터, 1서빙사이즈 무게 및 각종 조리조건을 포함하는 조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마이컴(20)은 도3의 표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해석규칙을 저장한다. 즉, 마이컴(20)에 저장되는 해석규칙은 바코드의 각 라인이 어떠한 조리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리드된 각 바코드의 값에 상응하는 조리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를 규정하고 있는 규칙이다.
<표1>
비트수 2비트 3비트
조리정보 전체 서빙사이즈 N서빙사이즈팩터
조리내용 00 1인분 000 1.2
11 4인분 111 2.6
        
<표1>과 같이 서빙사이즈는 조리물의 양이 몇 인분에 해당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며, 조리물이 1인분이면 1서빙사이즈, 조리물이 N(N은 자연수)인분이면 N서빙사이즈가 된다. 또한, 바코드에 저장되는 서빙사이즈는 포장된 조리물 전체가 몇 인분인지를 나타내는 전체 서빙사이즈이다. 예를 들어 전체 서빙사이즈를 저장하기 위해 바코드 세트에 2비트가 할당되고 리드된 바코드가 00이면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서빙사이즈는 1인분, 11이면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서빙사이즈는 4인분으로 해석된다.
서빙사이즈팩터는 1서빙사이즈의 조리물을 조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시간을 서빙사이즈의 증가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수정하기 위해 마련한 팩터이다. 즉, 서빙사이즈팩터는 2서빙사이즈 이상일 때의 조리조건을 1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조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기 위한 팩터이다. 따라서 위의 조리조건이 조리시간이라면 2서빙사이즈 이상일 때의 조리시간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N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 = 1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 N서빙사이즈팩터 (단, N은 2 이상인 자연수이고, N서빙사이즈는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임)
예를 들어 1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이 200초이고 2서빙사이즈팩터가 1.2, 3서빙사이즈팩터가 1.4로 설정된다면 2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은 200*1.2의 결과인 240초, 3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은 200*1.4의 결과인280초가 된다. 여기에서 N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은 1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과 N서빙사이즈팩터의 곱으로 함수관계가 설정된다.
바코드에는 도3과 같이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서빙사이즈 이하의 각 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1서빙사이즈는 제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최초 포장된 조리물이 3인분이라면 2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2서빙사이즈팩터 및 3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3서빙사이즈팩터가 차례로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서빙사이즈팩터는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마이컴(20)은 조리할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2서빙사이즈 이상일 경우 각 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를 1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즉, 바코드에서 리드한 조리시간)에 곱해서 각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을 계산한다.
1서빙사이즈 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에 해당하는 조리물의 무게이다. 예 를 들어 1서빙사이즈 무게를 저장하기 위해 3비트가 할당되고, 000으로 리드되면 조리물의 전체무게는 200g이고,111로 리드되면 조리물의 전체무게는 340g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바코드에 저장되는 조리정보는 서빙사이즈, 서빙사이즈팩터 및 1서빙사이즈 무게외에 조리방식, 조리시간 등의 각종 조리조건을 포함하는데, 이 중에서 조리시간은 1서빙사이즈를 조리하기에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조리물의 포장에 인쇄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21)에 접근시키면 바코드 리더(21)는 바코드를 리드한다. 바코드 리더(21)에서 바코드를 리드하면 리드된 바코드 데이터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되고, 마이컴(20)은 저장된 해석규칙을 이용하여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해석한다(30). 조리정보가 해석되면 마이컴(20)은 조리정보에 포함된 1서빙사이즈 무게를 확인한다(32).
또한 트레이 모터(25)를 구동시키면서 얻은 무게센서(18)의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확인한다(34). 이 때 무게센서(18)에서 측정된 무게는 트레이(14)와 조리물이 합쳐진 무게이므로 마이컴(20)은 무게센서(18)의 측정값에서 트레이(14)의 무게를 뺀 값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로 판단한다. 따라서 마이컴(20)에는 트레이(14)의 무게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1서빙사이즈 무게와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가 구해지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1서빙사이즈 무게로 나누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계산한다(36). 예를 들어 1서빙사이즈 무게가 200g이고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이 400g으로 측정되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는 400g/200g이 결과인 2서빙사이즈이다.
다음으로 마이컴(20)은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1서빙사이즈인지 확인한다(38). 만약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이 1서빙사이즈라면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시간동안 조리를 수행한다(42).
한편, 38단계에서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2서빙사이즈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은 조리시간을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는 서빙사이즈팩터 * 조리시간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조리시간동안 조리를 수행한다(40). 예를 들어 실제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이 2서빙사이즈, 조리시간이 50초이고, 2서빙사이즈팩터가 1.2라면 조리시간은 50 * 1.2에 의해 60초로 수정된다. 조리시간의 수정이 이루어지면 마이컴(20)은 수정된 시간동안 마그네트론(23)을 구동하여 조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에 적합한 최적의 조리를 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시간이 포장된 조리물 전체를 조리하기에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표2>
비트수 2비트 3비트
조리정보 전체 서빙사이즈 N서빙사이즈팩터
조리내용 00 1인분 000 0.2
11 4인분 111 0.9
        
또한,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서빙사이즈팩터는 <표2>와 같이 사용자가 전체 서빙사이즈 보다 적은 서빙사이즈의 조리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조건을 서빙사이즈의 감소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수정하기 위해 마련한 팩터이다. 즉, 서빙사이즈팩터는 실제 조리되는 서빙사이즈가 특정개수 이하일 때의 조리조건을 서빙사이즈가 특정개수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기 위한 팩터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 전체 서빙사이즈와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다를 경우 조리조건의 일종인 조리시간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된다.
N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 = 전체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 N서빙사이즈팩터 (단, N은 자연수이고, N서빙사이즈는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이며 전체 서빙사이즈 보다 작음)
예를 들어 전체 서빙사이즈가 2서빙사이즈, 2서빙사이즈일 때의 조리시간이 200초, 1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1서빙사이즈팩터가 0.7이고, 조리되는 조리물이 1서빙사이즈라면 조리시간은 200*0.7의 결과인140초로 수정된다. 여기에서 N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은 전체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과 N서빙사이즈팩터의 곱으로 함수관계가 설정된다.
바코드에는 도5와 같이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서빙사이즈 보다 작은 각 서빙 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최초 포장된 조리물이 3인분이라면 1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1서빙사이즈팩터 및 2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2서빙사이즈팩터가 차례로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서빙사이즈팩터는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마이컴(20)은 조리할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전체 서빙사이즈 보다 작을 경우 각 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를 전체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즉, 바코드에서 리드한 조리시간)에 곱해서 각 서빙사이즈를 위한 조리시간을 계산한다. 도5에서 기타 다른 조리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3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6에서 50단계 내지 56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4의 30단계 내지 36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56단계 후 마이컴(20)은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전체 서빙사이즈와 같은지 확인한다(58). 만약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이 전체 서빙사이즈와 같다면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시간동안 조리를 수행한다(62).
한편, 58단계에서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전체 서빙사이즈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은 조리시간을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는 서빙사이즈팩터 * 조리시간으로 수정하고, 조리를 수행한다(60). 예를 들어 포장된 조리물이 3서빙사이즈, 실제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이 2서빙사이즈, 조리시간이 200초이고, 2서빙사이즈팩터가 0.7이라면 조리시간은 200*0.7의 결과인 140초로 수정된다. 조리시간의 수정이 이루어지면 마이컴(20)은 수정된 조리시간동안 마그네트론(23)을 구동하여 조리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에 적합한 최적의 조리를 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는 1서빙사이즈 무게가 아닌 조리물 전체 무게가 저장되고, 조리시간은 1서빙사이즈를 조리하기에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조리물 전체무게는 포장되어 있는 조리물의 전체무게이며, 조리물 전체무게를 미리 측정하여 그 값을 바코드에 저장한다.예를 들어 조리물 전체무게를 저장하기 위해 3비트가 할당되고, 000으로 리드되면 조리물의 전체무게는 200g이고,111로 리드되면 조리물의 전체무게는 1600g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7의 다른 조리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3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조리물의 포장에 인쇄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21)에 접근시키면 바코드 리더(21)는 바코드를 리드한다. 바코드 리더(21)에서 바코드를 리드하면 리드된 바코드 데이터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되고, 마이컴(20)은 저장된 해석규칙을 이용하여 바코드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해석한다(70). 조리정보가 해석되면 마이컴(20)은 조리정보에 포함된 전체 서빙사이즈와 조리물 전체무게를 통해 포장된 조리물이 몇 인분이고, 무게는 얼마인지를 확인한다(72). 그리고 조리물 전체무게를 전체 서빙사이즈로 나누어 1서빙사이즈에 해당하는 조리물 무게를 계산한다(74).
또한 트레이 모터(25)를 구동시키면서 얻은 무게센서(18)의 측정값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확인한다(76). 이 때 무게센서(18)에서 측정된 무게는 트레이(14)와 조리물이 합쳐진 무게이므로 마이컴(20)은 무게센서(18)의 측정값에서 트레이(14)의 무게를 뺀 값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로 판단한다. 따라서 마이컴(20)에는 트레이(14)의 무게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1서빙사이즈에 해당하는 조리물의 무게와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가 구해지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1서빙사이즈에 해당하는 조리물의 무게로 나누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계산한다(78). 예를 들어 포장된 조리물이 3인분(전체 서빙사이즈), 600g(조리물 전체무게)이라면 1서빙사이즈에 해당하는 조리물의 무게는 600g/3의 결과인 200g이고,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이 400g으로 측정되면 조리실(11)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는 400g/200g의 결과인 2서빙사이즈이다.
도8의 80단계 내지 84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4의 38단계 내지 42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도 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사용되는 바코드에는 도7에서와 같이 조리물 전체무게가 저장되고, 조리시간은 조리물 전체를 조리하기에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기타 나머지 조리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5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10에서 90단계 내지 98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8의 70단계 내지 78단계와 같고, 도10의 100단계 내지 102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6의 58단계 내지 62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실에 투입되는 조리물이 몇 인분인지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실제 조리되는 양에 따라 최적의 조리조건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3)

  1.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기준 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크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기준 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이며,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1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한 서빙사이즈가 N(N=2이상인 자연수)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5.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무게와 포장된 조리물 전체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조리물 전체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작으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조리물 전체에 대한 조리조건(단,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N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해 서빙사이즈가 N인분보다 작은 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0.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무게, 전체 서빙사이즈 및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조리물의 전체 무게와 전체 서빙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물의 기준무게를 연산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기준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크면 상기 조리조건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기준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기준무게는 1인분인 1서빙사이즈의 무게이고,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1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한 서빙사이즈가 N(단, N은 2이상인 자연수)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4.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포장된 조리물의 전체 무게, 전체 서빙사이즈 및 전체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
    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상기 조리물의 전체 무게와 전체 서빙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물의 기준무게를 연산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와 상기 기준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가 상기 전체 무게에 상응하는 서빙사이즈 보다 작으면 상기 조리조건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서빙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최종적인 조리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인 조리조건은
    서빙사이즈팩터 * 전체 무게에 대한 조리조건(단, 서빙사이즈팩터는 서빙사이즈가 N인분일 때의 조리조건에 대해 서빙사이즈가 N인분보다 작은 인분일 때의 각 조리조건의 비율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조건은 조리시간, 조리실 온도 또는 전력레벨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는 상기 조리실에 마련된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8. 바코드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조리물의 기준 조리량과 상기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는 단계,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이 상기 기준 조리량과 다르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에 부합하도록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리량은 일인분인 1서빙사이즈이고, 상기 조리실에 투입되어 감지된 조리물의 양은 상기 1서빙사이즈에 대한 비율인 N서빙사이즈(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각 서빙사이즈에 대응하는 서빙사이즈팩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조리조건을 수정하는 단계는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 * N서빙사이즈팩터를 연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방법
  21. 조리물의 기준 조리량과 상기 기준 조리량에 대한 조리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를 리드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을 감지하는 조리량 감지부,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이 상기 기준 조리량과 다르면 상기 조리조건을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양에 부합하도록 수정하고, 수정된 조리조건에 따라 조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리량은 일인분인 1서빙사이즈이고, 상기 조리실에 투입되어 감지된 조리물의 양은 상기 1서빙사이즈에 대한 비율인 N서빙사이즈(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량 감지부는 상기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20040061502A 2004-08-04 2004-08-04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KR10113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502A KR101132330B1 (ko) 2004-08-04 2004-08-04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US11/139,973 US7238923B2 (en) 2004-08-04 2005-05-31 Cooking apparatus having a bar code reader and a cooking method of the same
EP05253347A EP1624725A3 (en) 2004-08-04 2005-06-01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method according to a bar code
CNB2005100742695A CN100401310C (zh) 2004-08-04 2005-06-02 烹饪装置和烹饪方法
JP2005179980A JP3971431B2 (ja) 2004-08-04 2005-06-20 調理装置及び調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502A KR101132330B1 (ko) 2004-08-04 2004-08-04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831A KR20060012831A (ko) 2006-02-09
KR101132330B1 true KR101132330B1 (ko) 2012-04-05

Family

ID=3500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502A KR101132330B1 (ko) 2004-08-04 2004-08-04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38923B2 (ko)
EP (1) EP1624725A3 (ko)
JP (1) JP3971431B2 (ko)
KR (1) KR101132330B1 (ko)
CN (1) CN1004013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4394B2 (en) * 2006-03-01 2012-07-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pagating user identities in a secure federated search system
CN102567694A (zh) * 2010-12-15 2012-07-11 李文庆 一种调理家电或冲泡家电识别装置
CN102648826A (zh) * 2011-02-23 2012-08-29 李文庆 一种食品与厨房家电的结合
CN103577914A (zh) * 2012-07-31 2014-02-12 李文庆 一种智能调理厨具的管理系统
CN103577913A (zh) * 2012-07-31 2014-02-12 李文庆 一种智能调理厨具的管理系统
KR101764910B1 (ko) 2014-12-04 2017-08-04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오염수 배출이 저감된 장갑지 가죽의 제조방법
PT3446081T (pt) * 2016-04-20 2023-03-29 Vorwerk Co Interholding Sistema e processo para a determinação automática do peso de alimentos
CN105852661A (zh) * 2016-04-29 2016-08-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烧烤器具及烧烤器具的控制方法
CN109953657B (zh) * 2017-12-26 2022-01-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箱的智能烹饪控制方法
CN111374561B (zh) * 2018-12-28 2023-06-1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方法及烹饪器具
US11337558B1 (en) 2021-03-25 2022-05-24 Shai Jaffe Meals preparation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741A (ja) * 1991-09-13 1993-03-23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08121779A (ja) * 1994-10-26 1996-05-1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2000012211A (ja) 1998-06-23 2000-01-14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3162314B2 (ja) * 1996-02-23 2001-04-25 三星電子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の駆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931A (en) * 1979-07-27 1981-02-27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ally controlled cooker
US4323773A (en) * 1980-01-17 1982-04-06 Litton Systems, Inc. Bar code controlled microwave oven
JPS60165426A (ja) 1984-02-07 1985-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H0452564Y2 (ko) * 1987-09-14 1992-12-10
KR100281707B1 (ko) * 1997-02-26 2001-02-15 구자홍 코드방식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조리방법
KR19990074607A (ko) 1998-03-12 1999-10-05 윤종용 바코드 리드기를 구비한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10530A (ko) 1999-07-21 2001-02-15 전주범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렌지의 조리장치 및 방법
JP2001317741A (ja) * 2000-02-28 2001-1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食品の自動調理システムと電子レンジ
US6862494B2 (en) * 2001-12-13 2005-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ed cooking system for food accompanied by machine readable indicia
JP2004212010A (ja) * 2003-01-08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調理器
US20060036395A1 (en) * 2004-07-30 2006-02-16 Shaya Stev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food intake of an individu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741A (ja) * 1991-09-13 1993-03-23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08121779A (ja) * 1994-10-26 1996-05-1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3162314B2 (ja) * 1996-02-23 2001-04-25 三星電子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の駆動制御方法
JP2000012211A (ja) 1998-06-23 2000-01-14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6893A (ja) 2006-02-16
EP1624725A2 (en) 2006-02-08
CN100401310C (zh) 2008-07-09
CN1731412A (zh) 2006-02-08
KR20060012831A (ko) 2006-02-09
JP3971431B2 (ja) 2007-09-05
US7238923B2 (en) 2007-07-03
EP1624725A3 (en) 2008-01-09
US20060027568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1431B2 (ja) 調理装置及び調理方法
US7361866B2 (en) Cooking apparatus using barcode
KR20080037886A (ko) 열량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 및 열량정보표시방법
CA2024961C (en) Method and control arrangement for cooking appliances
US5767488A (en) Oven preheat countdown timer
US6884449B2 (en) Microwave oven having rice cook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29047B1 (ko)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KR100892157B1 (ko) 전기밥솥 표시 제어방법
EP1765037B1 (en) Cooking apparatus using barcode
JP5367042B2 (ja) 炊飯器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GB2245993A (en) Microwave oven control system
KR20010000431A (ko) 전자렌지
KR102226617B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926830B2 (ja) 加熱調理器
KR960011448B1 (ko) 전자저울 일체형 전자레인지
WO20000300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foodstuffs
JP2020204431A (ja) 加熱調理器および計量システム
JPS59200130A (ja) 調理器
JPH05149546A (ja) 調理装置
JPS6315927A (ja) 炊飯器
JPH04110302U (ja) 調理器
KR19990035656A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회전 제어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