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422B1 -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422B1
KR101131422B1 KR1020090041697A KR20090041697A KR101131422B1 KR 101131422 B1 KR101131422 B1 KR 101131422B1 KR 1020090041697 A KR1020090041697 A KR 1020090041697A KR 20090041697 A KR20090041697 A KR 20090041697A KR 101131422 B1 KR101131422 B1 KR 10113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wine
pear
ceramic
ceram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545A (ko
Inventor
나광출
김월수
이종수
박수현
Original Assignee
김월수
나광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월수, 나광출 filed Critical 김월수
Priority to KR102009004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4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fruits other than botanical genus Vit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 와인을 제조할 때 천연 배 발효즙에서 분리한 야생 알코올발효 효모중 기호성과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배 와인을 만드는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KCTC-7245호)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면서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 세라믹 및 항균성 세라믹 등의 3 종류의 세라믹 볼을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사용하여 효모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6개월 정도의 짧은 숙성기간에 기호성이 좋으며 산화 방지력이 뛰어난 기능성 배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09028696958-pat00001
배, 와인, 세라믹, 효소, 기능성, 효모

Description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functional pear wine}
본 발명은 배 와인을 제조할 때 천연 배 발효즙에서 분리한 야생 알코올발효 효모 중 기호성과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배 와인을 만드는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KCTC-7245호)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면서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 세라믹 및 항균성 세라믹 등의 3 종류의 세라믹 볼을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사용하여 효모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6개월 정도의 짧은 숙성기간에 기호성이 좋으며 산화 방지력이 뛰어난 기능성 배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는 영양이 많고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다. 배의 당질은 통상 10-15%, 무기질 함량도 180-200mg/kg으로 높으며 마그네슘 및 칼륨 등 알카리성 무기질이 무기질 함량 중 75% 정도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배에 함유된 기능성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류 중 퀘르세틴은 항암이나 항산화 작용에 탁월하고, 루테올린은 기관지염, 가래, 기침을 다스리는 효과가 있다. 배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 합물들은 항암작용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배는 알코올 발효에 필요한 많은 당과 미네랄 그리고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들도 많이 가지고 있어 와인의 발효원으로 좋은 과실이나 배 파쇄액을 발효시켜 와인을 만들었을 때 알코올취가 강하게 나며 쓴맛이 남아 기호성이 떨어지며 2년 이상 장기 숙성해야 맛이 부드러워 지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한 배 와인으로서는 포도로 만든 와인에 비해 시장성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배술을 만드는 종래기술을 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6-23026호 '배를 이용한 증류주 제조방법'이 있으나 3일간 호기적 배양후 18~20℃에서 5~7일간 혐기적 알코올 발효시켜 감압증류기 에서 증류하여 증류분만 취하고 저장용기에서 2년 이상 저장 숙성시켜 물을 첨가하여 알코올도수를 조정하여 3개월 후숙하여 제품화하고 있는 일반적인 증류쥬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배발효주 제조 공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9080호 '배발효주의 제조방법'을 보면 배를 착즙 및 청징용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처리하고 발효시켜 발효주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배발효주의 제조에 원적외선과 음이온 그리고 항균능력이 있는 세라믹을 배 와인의 발효와 숙성에 이용하여 기호성과 생리기능성 효과가 뛰어난 배 와인의 제조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모든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호르몬, 비타민 등은 탄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들이며 이 유기화합물들이 원하는 파장을 흡수파장이라 하며 이 흡수파장과 일치하는 파장이 원적외선으로, 방출되면 생체 내에 흡수되어 생체를 구성하는 분자가 공명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공명현상에 의해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물분자가 활성화되며 세포 내에서 물질의 분해와 합성 같은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생성을 촉진시켜 조직을 부활시키며 각종 대사 장애의 해소와 노페물과 불필요한 유해물질들의 분해가 활발히 일어나는 등 세포의 활성이 촉진된다.
배 와인 제조에서 원적외선은 미약 전류의 파동에 의한 물분자를 잘게 쪼개어 물분자의 단분자화 및 활성화시켜 파쇄된 배세포와 공명현상에 의해 배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의 추출을 돕고 효모의 증식과 활동을 활성화 시켜서 발효속도를 빠르게 하며 항산화 인자 같은 대사산물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음이온 세라믹(상품명: BIO-Cera TO)은 독특한 결정구조에서 "영구 전극"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유해전자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마이너스 공기 이온을 발생시킨다.
항균세라믹(상품명:Biocera A) 의 화학조성은 Ca, Mg, P2O5, Al2O3, SiO2, Ag, Zn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 FDA 산하기관에서 급성 경구 독성시험결과 무독성 항균소재로서의 안전성을 검증 받은 제품으로 세균감소율 99.9%의 완벽한 살균력을 가지며 고온에서도 안정하며 휘발 및 용출이 없기 때문에 항균력이 장기간 지속되고 빛(U.V)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높아 와인의 발효시의 큰 문제점인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효모만을 이용한 정상발효를 도와줌으로써 잡균의 오염에 의한 이미와 이취가 없어 효모의 향긋한 발효취를 가진 와인을 제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며 항균활성이 있는 세라믹 볼 3종류를 적절히 혼합하여 배 와인의 제조 시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사용하였을 때 와인의 숙성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기호성이 높고 항산화 기능성을 가진 와인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미와 이취가 없고 효모의 발효향기가 은은하게 풍기며 알코올 맛이 강하지 않으면서도 산뜻한 맛을 내 기호성이 좋고 항고혈압 활성, 항노화 활성, 항치매 활성 같은 생리기능성이 높은 배 발효주 와인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미와 이취가 없고 효모의 발효향기가 은은하게 풍기며 알코올 맛이 강하지 않으면서도 산뜻한 맛을 내 기호성이 좋고 항고혈압 활성, 항노화 활성, 항치매 활성 같은 생리기능성이 높은 배 발효주 와인을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ⅰ) 배 파쇄액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 KCTC-7245호) 고농도 밀식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1차 발효공정; ⅱ) 1차 발효공정 중에 첨가시킨 각각 0.2~2.0 중량%의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 세라믹 및 항균성 세라믹을 여과망에 넣어 연속적으로 발효 숙성시키는 2차 발효공정 및 숙성공정; 및 ⅲ) 펙티나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효소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0.02~0.2 중량% 첨가시켜 13~17℃의 저온에서 슬러리를 분리하지 않은 채 35~45일 정도 장기 발효 숙성시키는 장기 발효 숙성공정;으로 구성된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은 Apatite, SiO2, Al2O3, TiO2등으로 구성된 세라믹이며, 음이온 세라믹은 Zr, P2O5, Al2O3, SiO2, TiO2 등으로 구성된 음이온 세라믹이며, 항균성 세라믹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살모넬라균에 99% 이상 항균 활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탄올 함량 12.5~13.5%, 총 산 함량 0.45~0.55%, 휘발산 함량 0.01~0.02%, 환원당 함량 1.2~1.6 mg/ml인 생리기능성을 지닌 기능성 배 와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이미와 이취가 없고 효모의 발효향기가 은은하게 풍기며 알코올 맛이 강하지 않으면서도 산뜻한 맛을 내 기호성이 좋고 항고혈압 활성, 항노화 활성, 항치매 활성 같은 생리기능성이 높은 배 발효주 와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 파쇄액을 자연 발효시켜 만든 발효주에서 분리한 야생 알코올발효 효모 중 기호성 및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발효주를 만드는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KCTC-7245호)를 이용하여 배 파쇄액을 발효시키며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음이온을 생성하는 세라믹 볼 그리고 항균작용을 가진 세라믹 볼 3종류를 적절히 혼합하여 발효와 숙성공정에 활용함으로써 발효와 숙성기간을 빠르게 하며 기호성이 높고 산화 방지력이 뛰어난 기능성 배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배 와인의 제조 공정 중 기호성 및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KCTC-7245호)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며 아울러 1차 발효공정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며 항균능력을 가지는 세라믹 볼 3종을 각각 0.2-2.0 중량%를 여과망에 넣어 2차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사용하고 배에 함유된 기능성물질의 용출과 와인의 청징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공정에 펙티나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효소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0.02-0.2 중량% 첨가하여 15℃의 저온에서 슬러리를 분리하지 않은 채 40일 정도 거치는 장기 발효 공정을 거친 기호성과 항산화물질 함유량을 가진 배 와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발효와 숙성에 사용된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 세라믹, 항균성 세라믹은 (주)바이오세라에서 생산한 제품을 사용했으며 원적외선 세라믹(상품명:BIO-Cera SB)은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분 원적외선 세라믹
활성성분 Apatite, SiO2, Al2O3, TiO2
평균입도 (㎛) 0.3~10
비중 2.5~3
Moh's 경도 6.5~7.5
적외선 방사율 (%, 40℃) > 91 (5~20㎛)
원적외선방사에너지 (W/m2㎛, 40℃) 3.66 × 102
한편 음이온 방출 세라믹은 세포의 성장촉진, 운동능력증진, 노화방지, 노폐물의 배출촉진, 세포의 활력화 신선도 유지, 냄새제거효과를 가지며 와인 제조시 상기 음이온 방출 세라믹의 첨가는 배 파쇄액 발효공정에 발생되는 이 취미와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와인의 맛을 깨끗하게 해준다. 화학구조는 Zr, P2O5, Al2O3, SiO2, TiO2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이온 방출 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샘플 명 테스트 명 음이온 (단위 : 개/cc)
Bio-Cera TO 41,460
이 때 테스트 방법은 KFIA-FI-1042 법을 이용하였으며 시험 조건은 전하 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5℃, 습도 42%, 대기 중 음이온 106/cc 조건에서 시험하여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 체적당 이온 수로 표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균 세라믹 (상품명 Biocera A)의 항균력 실험결과를 측정한 바, 대장균 (Escherichia coli O-157),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 (Pseudomonas aerouginosa)과 살모넬라균 (Salmonella arizonae)의 세균 감소율이 99.9%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적외선 세라믹 볼은 미약 전류의 파동에 의한 물분자를 잘게 쪼개어 물분자의 단분자화 및 활성화시켜 파쇄된 배 세포와 공명현상에 의해 배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의 추출을 돕고 효모의 증식과 활동을 활성화 시켜서 발효속도를 빠르게 하며 항산화 인자 같은 대사산물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생성된 항산화 물질은 숙성 중 와인의 산화를 막아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불쾌취가 나지 않는다.
또한 음이온 세라믹 볼은 세라믹 볼에 함유된 음이온과 미네랄은 배 파쇄액 발효공정에 발생되는 이 취미와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와인의 맛을 깨끗하게 한다.
한편 항세균 세라믹 볼은 대장균, 살모넬라, 포도상구균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높아 와인의 발효시의 큰 문제점인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효모만을 이용한 정상 발효를 도와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배는 알코올 발효에 필요한 많은 당과 미네랄 그리고 건강에 유익한 폴리페놀같은 기능성 물질들도 많이 가지고 있어 와인의 발효원으로 좋은 과실이나 산이나 탄닌이 적어 벤토나이트 같은 유도 청징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와인 제조 시 세심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효모이외의 다른 미생물의 오염이 쉬우며 질감있는 와인을 만들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배 파쇄액을 발효시켜 와인을 만들었을 때 무게감이 없고 알코올 취가 강하게 나며 쓴맛이 남아 기호성이 떨어지며 2년 이상 장기 숙성해야 맛이 부드러워 지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한 배 와인으로서는 포도로 만든 와인에 비해 시장성이 극히 적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 와인의 제조 시 발효공정과 숙성공정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며 항균활성이 있는 세라믹 볼 3종류를 각기 0.2~2.0% 혼합하여 사용하고 배에 함유된 기능성물질의 용출과 와인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유도 청징제의 사용 없이도 와인의 청징도를 높이기 위해 발효공정에 펙티나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효소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0.02~0.2 중량% 첨가하여 15℃의 저온에서 슬러리를 분리하지 않은 채 40일 정도 거치는 장기 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와인의 숙성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기호성이 높고 항산화 기능성을 가진 와인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 파쇄액을 발효시켜 와인을 만들었을 때 무게감이 없고 알코올 취가 강하게 나며 쓴맛이 남는 등 이미와 이취에 의해 기호성이 떨어지며 2년 이상 장기 숙성해야 맛이 부드러워 지는 단점과 와인으로서 특별한 특징이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 와인의 제조 시 1차와 2차 발효 공정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며 항균활성이 있는 세라믹 볼 3종류를 각기 0.2-2% 혼합하여 첨가하는 공정과 또한 펙티나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효소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0.02-0.2 중량% 첨가하여 15℃의 저온에서 슬러리를 분리하지 않은 채 40일 정도 거치는 장기 발효 공정에 의해 배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의 추출량을 늘리며 효모의 증식과 활동을 활성화 시켜서 항산화인자 같은 대사산물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한편 세라믹은 그대로 둔 채 슬러리만 제거하여 15℃에서 6개월 정도 숙성시키며 숙성기간 중 항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도 청징제의 첨가 없이 2차례의 술 옮김을 하여도 와인의 산화나 다른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지 않아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불쾌취가 나지 않는 청징와인을 얻는다.
또한 숙성기간 중 발효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미취와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뒷맛이 깔끔하면서도 장기 숙성한 와인에서 느낄 수 있는 무게감이 있으면서도 부드러운 배 와인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배 와인을 제조하면 숙성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기호성이 높고 항산화 기능성을 가진 와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되는 배와인의 발효는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 KCTC-7245호)의 고농도 밀식배양액(균농도 108?109 세포/ml)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다.
원료배인 신고, 황금, 추황, 감천, 만풍, 원황 등에서 선택된 과실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습식분쇄기를 이용하여 5 mm 입자크기로 분쇄시킨다. 분쇄액은 바로 착즙하여 착즙액을 얻으며 슬러리는 여과포에 담아 착즙액과 함께 발효탱크에 넣는다. 과즙의 당도와 산도를 검사하여 총 당은 22-25 중량%, 총 산은 0.55-0.75 중량%로 조절한다. 다음에 정제 탄닌 0.03-0.065 중량%와 효모의 영양원으로서 인산디암모늄(Diammonium Phosphate) 0.015-0.035 중량%를 넣고 초기의 다른 미생물생육 억제를 위해 피로 아황산 칼륨(Potassium metabisulfate) 100ppm 녹여 넣는다. 효모배양액은 전체 과즙의 0.4-4.0 중량%를 첨가하며 이때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세라믹, 항균세라믹을 각각 0.2-2.0 중량%을 여과포에 담아 넣는다.
실온 10-20℃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30-50일 정도 긴 기일 동안 1차 발효 후 슬러리를 제거하지 않고 2차 발효를 연속 실시함으로써 배 슬러리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최대한 용출되어 나오게 하며 효모의 활성화를 최대화 시켜 기능성물질들의 생성을 많게 한다. 2차 발효 후 술옮김을 하여 찌꺼기와 침전물을 제거하고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세라믹, 항균세라믹이 든 여과포는 탱크에 넣은채 공기를 차단하여 15℃에서 6개월 정도 숙성시키면 통상 2년 이상 숙성시킨 일반 배 와인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움과 중후한 질감이 살아 있으며 발효향이 은은하게 풍기며 뒷맛이 깔끔한 기능성 배 와인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본 발명의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
신고배를 세척하여 5 mm 입자크기로 분쇄시킨다. 분쇄액은 바로 착즙하여 착즙액을 얻으며 슬러리는 여과포에 담아 착즙액과 함께 발효탱크에 넣는다. 과즙의 총 당은 24 중량%, 총 산은 0.65 중량%로 조절하고 정제 탄닌 0.05 중량%와 인산디암모늄 0.025 중량%를 넣고 피로 아황산 칼륨(Potassium metabisulfate)100ppm 녹여 넣는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 KCTC-7245호)의 고농도 밀식배양액(균농도 108?109 세포/ml)을 전체 과즙의 2.5 중량%, 그리고 펙티나제(상품명-펙티나제5XL, NOVO사 제조)과 셀룰라제(NOVO사 제조),헤미셀룰라제(상품명-비스코자임,NOVO사 제조),를 각각 0.02-0.04 중량%을 첨가하며 이때 원적외선 세라믹, 음이온세라믹, 항균세라믹을 각각 0.5 중량%을 여과포 에 담아 넣는다. 15℃에서 10일간 하루 수회 교반하여 비중 0.099 정도에서 1차 발효를 끝내고 공기를 차단하여 15℃에서 보관하면서 공기차단기에서 가스가 보이지 않을 때인 30일간 정도에서 2차 발효를 끝내고 세라믹은 그대로 두고 슬러리와 찌꺼기만을 분리하여 15℃에서 숙성시키며 1개월과 3개월 후에 술옮김을 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면서 6개월 숙성하였다.
(제조비교예 1) 일반 배 와인 의 제조
신고배를 세척하여 5 mm 입자크기로 분쇄시킨다. 분쇄액은 바로 착즙하여 착즙액을 얻으며 슬러리는 여과포에 담아 착즙액과 함께 발효탱크에 넣는다. 과즙의 총 당은 24 중량%, 총 산은 0.65 중량%로 조절하고 정제 탄닌 0.05 중량%와 인산디암모늄 0.025 중량%를 넣고 피로 아황산 칼륨(Potassium metabisulfate)100ppm 녹여 넣는다.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기탁번호 KCTC-7245호)의 고농도 밀식배양액(균농도 108?109 세포/ml)을 전체 과즙의 2.5 중량%를 첨가한다. 25℃에서 7일간 1차 발효 후 슬러리는 걷어 내고 유도 청징제로써 벤토나이트를 0.02-0.04 중량%을 소량의 뜨거운 물에 녹여서 첨가하고 25℃에서 10일간 2차 발효하고 산화방지제로서 피로 아황산 칼륨(Potassium metabisulfate) 70ppm 녹여 넣는 다음 공기를 차단하여 15℃에서 숙성시키며 1개월과 3개월 후에 술옮김을 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면서 7개월 숙성하였다.
(실시예 1) 배 와인의 기능성실험
제조실시예 1과 제조비교예 1에서 제조된 와인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와인이 품질과 생리기능성이 우수하였다.
와인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리기능성
구분 pH 에탄올
함량 (%)
총산
(%)
휘발산
(%)
환원당
(mg/ml)
생리기능성
ACE*
저해활성(%)
SOD*
유사활성(%)
AChE*
저해활성(%)
제조비교예 1 3.6 12.4 0.4 0.0048 0.8 31.1±0 ND ND
제조실시예 1 3.4 13.1 0.5 0.0131 1.42 75.7±0.72 41.1±0.83 23.2
*ACE(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 : 항고혈압 활성, SOD 유사활성 : 항노화 활성, AChE(아세틸콜린 애스터라제) 저해활성 : 항치매 활성.
(실시예 2) 배 와인의 기호성 실험
제조실시예 1과 제조비교예 1에서 제조된 와인에서 향기성분은 신 냄새와, 알코올냄새, 발효향을, 맛은 단맛과, 신맛, 쓴맛을 기준으로 하여 관능 검사를 하여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이 제조실시예 1에서 확연히 우수하였다.
관능 기호성 검사 결과
구분 색상 향기 평점
제조비교예 1 2.8 1.7 1.2 1.9
제조실시예 1 4.2 4.5 4.7 4.5
*5 : 아주 좋음 3 : 보통 1 : 아주 나쁨
삭제
삭제
도 1은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와인의 증류수 획분의 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된 세포주는 H4IIE cells (liver cancer cells)이고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와인(증류수 획분) 처리시 간암세포주의 세포사멸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2는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와인의 증류수 획분의 폐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된 세포주는 A549 cells (lung cancer cells) 이고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와인(증류수 획분) 처리시 폐암세포주의 세포사멸을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3)

  1. ⅰ) 배 파쇄액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기탁번호 KCTC-7245호 효모 균주 밀식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1차 발효공정;
    ⅱ) 1차 발효공정 중에 첨가시킨 0.2~2.0 중량%의 원적외선 세라믹, 0.2~2.0 중량%의 음이온 세라믹 및 0.2~2.0 중량%의 항균성 세라믹을 여과망에 넣어 연속적으로 발효 숙성시키는 2차 발효공정 및 숙성공정; 및
    ⅲ) 상기 2차 발효공정 및 숙성공정의 수득물에 펙티나제,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효소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0.02~0.2 중량% 첨가시켜 13~17℃의 저온에서 슬러리를 분리하지 않은 채 35~45일 정도 장기 발효 숙성시키는 장기 발효 숙성공정;
    으로 구성된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은 Apatite, SiO2, Al2O3, TiO2등으로 구성된 세라믹이며, 음이온 세라믹은 Zr, P2O5, Al2O3, SiO2, TiO2 등으로 구성된 음이온 세라믹이며, 항균성 세라믹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살모넬라균에 99% 이상 항균 활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90041697A 2009-05-13 2009-05-13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KR10113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97A KR101131422B1 (ko) 2009-05-13 2009-05-13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97A KR101131422B1 (ko) 2009-05-13 2009-05-13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545A KR20090055545A (ko) 2009-06-02
KR101131422B1 true KR101131422B1 (ko) 2012-04-03

Family

ID=4098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697A KR101131422B1 (ko) 2009-05-13 2009-05-13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2B1 (ko) 2013-01-18 2014-08-27 문정국 한약재를 함유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095A (zh) * 2017-06-27 2017-08-11 广西运亨酒业有限公司 全汁荔枝甜酒的制造方法
CN108774046A (zh) * 2018-06-28 2018-11-09 济南生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醒酒器的制作方法
CN113150917B (zh) * 2021-03-16 2022-08-26 河南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红早酥梨酒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759A (ja) 2000-10-03 2002-04-16 Shimaya:Kk 発酵食品の製造方法、発酵食品熟成用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9166A (ja) 2006-03-31 2007-11-08 Toko Denki Kk 酒類熟成方法および熟成酒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759A (ja) 2000-10-03 2002-04-16 Shimaya:Kk 発酵食品の製造方法、発酵食品熟成用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9166A (ja) 2006-03-31 2007-11-08 Toko Denki Kk 酒類熟成方法および熟成酒類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2B1 (ko) 2013-01-18 2014-08-27 문정국 한약재를 함유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545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6575B2 (ja) クロレラ抽出物含有飲料
JP4391515B2 (ja) 天然抗酸化機能性梨ぶどう混合酢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59929B1 (ko) 증진된 풍미와 기능성을 갖는 참다래, 감 및 머루의 혼합 와인과 발효식초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8017830A6 (ja) 天然抗酸化機能性梨ぶどう混合酢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1422B1 (ko) 기능성 배 와인의 제조방법
Kumar Process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apple tea wine with analysis of its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KR101483563B1 (ko) 천연물의 염장 발효 방법 및 그 발효 추출물
KR101240868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김활성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626B1 (ko) 무화과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무화과발효식초
KR101297610B1 (ko) 석이버섯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이버섯 발효주
KR101781839B1 (ko) 와인 식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68974B1 (ko) 감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0401473B1 (ko) 삼백초와 어성초를 이용한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422247B1 (ko) 오미자와 벌꿀을 이용한 기능성 및 관능성이 강화된 멜로멜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오미자 멜로멜
KR100399408B1 (ko) 인삼현미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0536A (ko) 베리류 과실주 발효용 효모 싸카로마이세스 세레비씨애 지비와이1 및 이를 이용한 베리류 과실주의 제조방법
KR10132114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산마늘 및 제조방법
KR20070039689A (ko) 버섯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218903B1 (ko) 장기 보존이 가능한 생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60122606A (ko) 부패방지를 위한 액상의 유용미생물 관리방법
KR101357649B1 (ko) 인삼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마늘식품과 그 제조방법
KR20160099214A (ko) 블루베리 맥주의 제조방법
KR20200124593A (ko) 노니 청의 제조방법
KR101535635B1 (ko) 매실 피클의 제조방법
KR102527920B1 (ko) 목초액의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