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923B1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 Google Patents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0923B1 KR101130923B1 KR1020090071079A KR20090071079A KR101130923B1 KR 101130923 B1 KR101130923 B1 KR 101130923B1 KR 1020090071079 A KR1020090071079 A KR 1020090071079A KR 20090071079 A KR20090071079 A KR 20090071079A KR 101130923 B1 KR101130923 B1 KR 101130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self
- continuous structure
- propelled bogi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대차 장치를 가지는 연속 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속 구조물의 외부 양측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동이 가능한 외부거푸집; 연속 구조물의 내부면의 형성을 위한 내부거푸집; 육면체의 골조 구조이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대차 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으로 구성되어, 시공된 기초 슬라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배근된 철근 내부로는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내부거푸집 내부로 자주식 대차 장치를 설치하면서, 내부거푸집과 자주식 대차 장치 사이는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철근 외부로는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은 타이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으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을 통한 공간 확보로 거푸집의 청소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tructure construction formwork having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using the formwork, the external formwork to move to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external both sides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nternal form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Frame structure of hexahedron, consisting of a formwork consisting of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width and height by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movable, reinforces the reinforcement to the constructed foundation slab,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While installing the internal formwork, while installing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nside the installed internal formwork, install a plurality of supports between the internal formwork and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while installing the external formwork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he inner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tie to install the formwork, and by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by placing concrete and curing the installed formwork, the formwork by securing the space through the width control and height adjustment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t is easy to clean,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 continuous structure.
암거, 자주식, 유압실린더, 양생, 증기양생, 선반형유압장치, 거푸집 Culvert, Self-propelled, Hydraulic cylinder, Curing, Steam curing, Lathe hydraulic system, Formwork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주식 대차 장치를 가지는 연속 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속 구조물의 외부 양측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동이 가능한 외부거푸집; 연속 구조물의 내부면의 형성을 위한 내부거푸집; 육면체의 골조 구조이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대차 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으로 구성되어, 시공된 기초 슬라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배근된 철근 내부로는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내부거푸집 내부로 자주식 대차 장치를 설치하면서, 내부거푸집과 자주식 대차 장치 사이는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철근 외부로는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은 타이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으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을 통한 공간 확보로 거푸집의 청소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tructure construction formwork having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using the formwork, the external formwork to move to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external both sides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nternal form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Frame structure of hexahedron, consisting of a formwork consisting of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width and height by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movable, reinforces the reinforcement to the constructed foundation slab,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While installing the internal formwork, while installing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nside the installed internal formwork, install a plurality of supports between the internal formwork and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while installing the external formwork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he inner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tie to install the formwork, and by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by placing concrete and curing the installed formwork, the formwork by securing the space through the width control and height adjustment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t is easy to clean,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 continuous structure.
일반적으로 암거와 같은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단위 크기의 암거를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조립식 PC(Precast Concrete) 공법,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하고, 철근 배근과 콘크리트 타설로 암거를 형성하는 현장 타설 공법 등이 있다.In general, a continuous structure such as a culvert includes construction of a precast concrete (PC) method in which a unit-size culvert manufactured at the factory is assembled in the field, a formwork is made in the field, and the culvert is reinforced with reinforcement and concrete pouring. There is a field casting method to form.
최근에는,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우선, 현장에서 상기 이동식 거푸집을 설치하고, 설치된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증기 양생으로 콘크리트 양생 시간을 단축하여, 공기를 짧게하고, 시공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시공 방법이 개발되었다.Recently, a continuous structure is constructed on the site by using a mobile formwork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First, the mobile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sit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stalled formwork, and the concrete placed on the formwork is steam cured. The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the concrete, shorten the air,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일례로, 국내특허등록 제0463032호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거푸집을 구성하여,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철재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암거 내측의 형상을 위한 내부거푸집장치를 더 구성하되, 암거의 내부 상부면 형성을 위한 상부슬래브판부재, 암거의 내부 양측면을 위한 측벽판부재, 암거의 양쪽 하부 모서리의 헌치부면을 위한 헌치부판재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슬래브 판부재, 측벽판부재 및 헌치부판재 내부로, 가로 방향의 베이스와 세로 방향의 지지기둥을 일체화하여, 상기 베이스 하부의 승하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에는 신축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양측면에는 신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장치의 이동으로 상부슬래부판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각 신축수단에 의해 측변판부재 및 헌치부판재를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63032 provides a movable steel formwork device which is easy to move by configuring a formwork moving along a rail, and further, in the registered patent, an internal formwork device for the shape of the culvert inside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but the upper slab plate member for forming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ulvert, the side wall plate member for the inner both sides of the culvert, constitutes the haunch plate material for the haunch side surfaces of both lower edges of the culvert, the upper slab plate member Into the side wall plate member and the haunch plate member, the b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upport colum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ted to install a lifting device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and both sides of the base constitute expansion and contracting means. Expansion mea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lab plate members in a desired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side plate by each expansion means It has to be re-released the old and the tooth plate to the desired position.
그러나 상기 언급한 등록특허의 경우, 거푸집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추가로 레일을 설치해야하므로, 후에 해체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 있으며, 또한, 레일은 거푸집의 수직 하중과, 상부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까지 담당하므로, 강도한 우수한 것으로 결정해야하므로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since the formwork moves along the rail, additional rails need to be installed while installing the formwork, which is cumbersome for later dismantling, and also, the rail has a vertical load and Since it is responsible for the load of the concrete, it should be determined that the strength is excell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ncreases.
아울러, 상기 언급한 등록특허의 내부거푸집 장치의 경우, 베이스와 지지기둥이 일체된 구조이므로, 암거의 크기가 다를 경우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베이스와 지지기둥이 주로 용접으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시공을 통한 반복된 하중과 피로에 의해서 용접 부분의 크랙의 우려되고,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크랙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거푸집장치의 파손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이유로 거푸집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일체된 구조로 인해 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와 지지기둥의 부피와 함께, 신축장치가 베이스와 지지기둥에 대해서 외부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돌출되게 구성되므로, 암거의 크기가 작을 경우, 내부거푸집 장치의 부피에 의해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internal formwork device of the registered patent, since the base and the support pillar is an integrate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apply when the size of the culvert is different, since the base and the support pillar are mainly connected by welding, Due to the repeated load and fatigue caused by the construction, there is a fear of cracking of the welded part,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crack even if a crack occurs. Therefore, the damage of the formwork is high. Due to the easy maintenance, and with the volume of the base and the support pilla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a fixed direction out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support pillar, so if the size of the culvert is small, There was a problem that assembly and installation were not easy due to volume.
아울러, 상기 암거는 연속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시공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에는 탈형유를 충분히 도포하여, 거푸집의 용이한 탈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통상의 거푸집은 한 번의 시공이 끝나면, 다음 시공 전에 상기 거푸집에 잔류하는 탈형유를 세척하여야 하고, 다음 이어지는 위치로 이동하여 시공하여야 하지만, 상기 거푸집은 일체화된 구조로 인해서 내부거푸집 장치의 청소가 어려워, 완전히 밖으로 드러낸 다음, 다시 세척하여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ulvert has a continuous structure, construction must also proceed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the formwork is sufficiently coated with demolding oil, so that the formwork can be easily demolded. After the construction is finished, the deformed oil remaining in the formwork must be washed and moved to the next position before the next construction. However, due to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formwork is difficult to clean the internal formwork device, so it is completely out. After exposing, it has to be washed again,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lo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속 구조물의 외부 양측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동이 가능한 외부거푸집; 연속 구조물의 내부면의 형성을 위한 내부거푸집; 육면체의 골조 구조이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대차 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으로 구성되어, 시공된 기초 슬라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배근된 철근 내부로는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내부거푸집 내부로 자주식 대차 장치를 설치하면서, 내부거푸집과 자주식 대차 장치 사이는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철근 외부로는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은 타이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으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을 통한 공간 확보로 거푸집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연속적인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xternal formwork to move to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outer both sides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nternal form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Frame structure of hexahedron, consisting of a formwork consisting of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width and height by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movable, reinforces the reinforcement to the constructed foundation slab,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While installing the internal formwork, while installing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nside the installed internal formwork, install a plurality of supports between the internal formwork and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while installing the external formwork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he inner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tie to install the formwork, and by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by placing concrete and curing the installed formwork, the formwork by securing the space through the width control and height adjustment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construction, an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그리고 상기 내부거푸집은 연속 구조물의 내부 양측면 및 상?하부 측의 헌치면과 상부 양쪽 가장자리면의 형성을 위한 한 쌍의 내부측면거푸집과, 연속 구조물의 상부면의 형성을 위한 내부상면거푸집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 상부에는 선반형유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내부상면거푸집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와 내부거푸집은 유압실린더로 힌지 연결하고, 상기 내부거푸집은 하부와 측면이 힌지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절첩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각 유압실린더에 의해, 내부거푸집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inner formwork is divided into a pair of inner side formwork for formi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of the haunting surface and the upper both edges, and the inner upper formwork for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to install a shelf-type hydraulic device, to facilitate the demolding of the inner upper die,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and the inner die hinged by a hydraulic cylinder, the inner die is lower and side As the hinge is coupled and can be folded by the hydraulic cylinder, by each of the hydraulic cylinder, it is easy to demould the internal formwork.
이렇게 본 발명은,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바퀴에 의해서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대차 장치에 의해서 청소와 설치가 용이함에 따라 연속적이 시공이 가능하고, 자주식 대차 장치의 선반형유압장치와 유압실린더에 의해 내부거푸집의 탈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and height can be adjusted, by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that can be moved by the wheel is easy to clean and install the construction is possible, the shelf type hydraulic device and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t is easy to demould the internal formwork.
본 발명은 자주식 대차 장치를 가지는 연속 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속 구조물의 외부 양측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동이 가능한 외부거푸집; 연속 구조물의 내부면의 형성을 위한 내부거푸집; 육면체의 골조 구조이되,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대차 장치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으로 구성되어, 시공된 기초 슬라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배근된 철근 내부로는 내부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내부거푸집 내부로 자주식 대차 장치를 설치하면서, 내부거푸집과 자주식 대차 장치 사이는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철근 외부로는 외부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상기 설치된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은 타이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법으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의 길이조절수단에 의한 폭 조절과 높이 조절을 통한 공간 확보로 거푸집의 청소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structure construction formwork having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using the formwork, the external formwork to move to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external both sides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nternal form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Frame structure of hexahedron, consisting of a formwork consisting of a self-propelled bogie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width and height by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movable, reinforces the reinforcement to the constructed foundation slab,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While installing the internal formwork, while installing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nside the installed internal formwork, install a plurality of supports between the internal formwork and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while installing the external formwork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he inner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tie to install the formwork, and by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by placing concrete and curing the installed formwork, the formwork by securing the space through the width control and height adjustment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It is easy to clean,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 continuous structure.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거푸집은 연속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것으로, 연속 구조물에는 대표적으로 암거가 있다.Form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there is typically a culvert in the continuou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연속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크게 외부거푸집(10), 내부거푸집(20), 자주식 대차 장치(3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rmwork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먼저, 외부거푸집(10)은,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구조물의 외관 형상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되는 판형의 거푸집으로, 일반적인 연속 구조물에 적용되는 외부거푸집(10)과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며, 상기 외부거푸집(10)은, 한 쌍의 외부측면거푸집(11)과 한 쌍의 외부양단거푸집(12)으로 구성하는데, 외부측면거푸집(11)은 연속 구조물의 외측 양측면 부분에 대응하는 거푸집이고, 외부양단거푸집(12)은 외부측면거푸집(11)에 대해서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을 막아주는 거푸집이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아울러, 상기 외부거푸집(10)의 외부측면거푸집(11)의 하단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11a)와 높이조절수단(11b)이 구성되며, 바퀴(11a)는 강도가 우수한 캐스터를 사용하고, 높이조절수단(11b)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부재로, 높이조절의 정도는 바퀴(11a)보다 짧거나 길게 구성할 수 있도록 있으며, 외부측면거푸집(11)의 이동시에는 높이조절수단(11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바닥에 닿은 바퀴(11a)의 구름에 의하여 외부측면거푸집(11)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측면거푸집(11)의 고정설치를 위해서도 바퀴(11a)의 구름작용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외부측면거푸집(11)을 이동시킨 다음, 높이조절수단(11b)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조절수단(11b)이 바닥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데, 즉 다시 말해 바퀴(11a)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측면거푸집(11)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1b)의 저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조절수단(11b) 자체의 강도는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11b)은 나사 결합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압을 통한 조절, 모터에 의한 조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바퀴(11a)도 유압이나 모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렇게 높이조절수단(11b)과 바퀴(11a)가 유압이나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별도의 컨트롤박스(200)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실제로, 유압이나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바퀴(11a)는 각 외부측면거푸집(11)에 하나씩만 있고, 나머지는 바퀴(11a)는 수동 바퀴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바퀴(11a) 와 높이조절수단(11b)은, 상기 기능을 가지도록 유니트 형태로 제공되는 통상의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1b) can be adjusted manually by screwing, or can be controll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djustment through the hydraulic, adjustment by the motor, and likewise, the wheel (11a) is also hydraulic Or it can be driven by a motor, such that when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b) and the wheel (11a) is operated by a hydraulic pressure or a motor to be controlled in a
참고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이동구(13)는, 외부측면거푸집(11)을 시공 현장으로 이동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아이볼트나 별도의 고리 등으로 구성한다.For reference, the moving
그리고 내부거푸집(20)은,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구조물의 내부 형상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되는 판형의 거푸집으로, 연속 구조물의 내부 상면과 내부 양측면에 해당하는 거푸집으로 구성하되, 일반적으로 암거와 같은 연속 구조물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응력을 분산하는 헌치(haunch)를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내부거푸집(20)은 헌치에 대응하는 구조로 구성한다.And the
또한, 내부거푸집(20)은, 한 쌍의 내부측면거푸집(21), 내부상면거푸집(22)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먼저, 내부측면거푸집(2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측면거푸집(21a)과 상부헌치면거푸집(21b), 상부거푸집(21c) 및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이 하나로 일체된 구조로, 측면거푸집(21a)은 연속 구조물의 내부 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이고, 상부헌치면거푸집(21b)은 연속 구조물의 내부에 상부쪽 헌치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이며, 상부거푸집(21c)은 연속 구조물의 내부에 양쪽 가장자리의 일정 폭에 대응하는 거푸집이고,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은 연속 구조물의 내부에 하부쪽 헌치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인데, 상기 측면거푸집(21a)과 상부헌치면거푸집(21b), 상부거푸집(21c)이 용접 등에 의해 일체된 구조의 내부측면거푸집(21)을 구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ure 5, the inner
추가로, 상기 한 쌍의 내부측면거푸집(21)은 서로 마주보게 구성하는데, 마주하게 되는 상부거푸집(21c)의 끝단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아울러, 상기 내부측면거푸집(21)의 측면거푸집(21a)과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은 용접으로 일체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측면거푸집(21a)과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이 힌지로 연결되고, 측면거푸집(21a)과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이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21e)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21e)의 제어로, 측면거푸집(21a) 쪽으로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이 어느 정도의 각도로 접힐 수 있도록(완전히 접힐 필요는 없다)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이 접히는 구조는 탈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유압실린더(21e)는 별도의 컨트롤박스(20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mold (21a) and the bottom of the surface mold (21d) of the
그리고 내부상면거푸집(22) 연속 구조물의 내측 상부면 부분에 대응하는 거푸집으로, 앞서 설명한 내부측면거푸집(21)의 상부거푸집(21c)에 의해 연결 구조물의 내부 상부 가장자리 일부에 대한 거푸집이 확보되므로, 상부거푸집(21c)이 차지하는 폭을 제외한 폭으로 내부상면거푸집(2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the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이렇게 구성하는 내부거푸집(20)은 한 쌍의 내부측면거푸집(21)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다음, 서로 마주하는 상부거푸집(21c) 사이에 내부 상면 거푸집(22)을 일체로 조립하여, 일체화된 내부 거푸집(20)을 구성하며, 이 내부거푸집(20)의 바깥쪽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형상을 만들어준다.The
아울러, 외부거푸집(10)의 외부측면거푸집(11)과 내부거푸집(20)의 내부측면거푸집(21)은 타이(50)로 서로 연결되므로, 외부측면거푸집(11)과 내부측면거푸집(21)에는 같은 높이와 위치에 관통된 홀(구멍)을 다수 개 형성한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자주식 대차 장치(3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거푸집(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프레임(31)과 이동프레임(32) 및 선반형유압장치(33)로 구성된다.And the self-propelled
먼저, 몸체프레임(31)은 다수개의 프레임(형강, 파이프, 환봉, 사각봉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사각파이프가 적용된다.)으로 이루어지는 수평폭프레임(31a), 수평길이프레임(31b), 수직프레임(31c)이 일체로 구성되어 육면체 형태의 골조 구조로 구성하며, 수평폭프레임(31a)은 연속 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수평폭프레임(31a)은 적어도 두 개로 분리 구성하고, 분리 구성되는 수평폭레임(31a)은 길이조절수단(31a′)에 의해 연결된다.First, the
그리고 수평길이프레임(31b)은 연속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프레임이며, 수직프레임(31c)은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수직프레임(31c)은 적어도 두 개로 분리 구성하며, 분리 구성되는 수직프레임(31c)은 길이조절수단(31c′)에 의해 연결된다.The
이렇게 수평폭프레임(31a)과 수평길이프레임(31b)이 수평 구조의 사각 형태로 일체화하고, 상기 사각 형태로 조립된 수평폭프레임(31a)과 수평길이프레임(31b)이 적어도 상?하로 한 쌍 배열하며, 그 사이에는 수직프레임(31c)이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일체화하여, 육면체 구조의 몸체프레임(31)을 구성한다.In this way, the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31)의 상부로는 지지구(40)의 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고정구(31′)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또, 상기 몸체프레임(31)의 양측면(연속 구조물의 폭 방향)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31d)를 설치하는데, 사용자가 별도의 컨트롤박스(200)에 의해서 유압실린더(31d)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압실린더(31d)는 몸체프레임(31)과 힌지 결합하여, 꺾임이 용이하도록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압실린더(31d)의 헤드는 몸체프레임(31)과 힌지 결합하고, 유압실린더(31d)의 로드는 상기 내부거푸집(20), 구체적으로는 내부측면거푸집(21)에 힌지 결합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hydraulic cylinder (31d) is installed on both sides (width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of the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31) 하부에는 바퀴(31e)와 높이조절수단(31f)이 구성되며, 바퀴(31e)는 강도가 우수한 캐스터를 사용하고, 높이조절수단(31f)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부재로, 높이조절의 정도는 바퀴(31e)보다 짧거나 길게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높이조절의 수단은 나사 결합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압을 통한 조절, 모터에 의한 조절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이동시에는 높이조절수단(31f)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바닥에 닿은 바퀴(31e)의 구름에 의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30)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고정설치를 위해서도 원하는 위치에 자주식 대차 장치(30)를 위치시킨 다음, 높이조절수단(31f)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조절수단(31f)이 바닥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데, 즉 다시 말해 바퀴(31e)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자주식 대차 장치(3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1f)의 저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조절수단(31f) 자체의 강도는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portion of the
When the self-propelled
아울러, 상기 바퀴(31e)는 일반적인 수동 바퀴를 사용하거나, 또는, 바퀴(31e)가 모터나 유압 등에 의해서 구동이 가능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1f)은 유압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바퀴(31e)와 높이조절수단(31f)이 가지도록 유니트 형태로 제공되는 통상의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퀴(31e)가 모터나 유압에 의해서 작동할 경우에는 작동을 컨트롤박스(20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바퀴(31e)가 모터나 유압에 의해서 작동할 경우, 전면 한 쌍 정도만 모터나 유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바퀴(31e)를 적용하고, 나머지 바퀴(31e)는 통상의 수동 바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각 길이조절수단은 분리된 프레임을 연결함과 동시에, 분리된 프레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길이조 절수단은 유압실린더에 의한 높이 조절과 고정부재를 통한 위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을 도2 및 도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먼저, 길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는,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길이를 유압에 의해 조절하며,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수평폭프레임(31a)에 적어도 하나 설치하고, 수직프레임(31c)에 적어도 하나 설치하여, 유압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유압실린더는 컨트롤박스(20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 둘레는 덮개가 구성되어 먼지의 인입을 방지하도록 한다.First, the hydraulic cylinder constitut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dth frame (31a) and the vertical frame (31c) is adjus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at least one such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width frame (31a), vertical Installed at least one frame (31c),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by th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to be controlled by the
그리고 길이조절수단의 고정부재를 통한 위치 고정은, 상기 수평폭프레임(31a)의 분리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를 서로 끼움되되독 파이프로 구성하여, 각 프레임에는 관통된 홀(구멍)을 형성하고, 서로 끼움된 프레임의 홀을 일치한 뒤에, 핀이나 볼트 및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로 넣어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로, 상기 프레임의 끼움되는 위치의 조절로 수평폭프레임(31a)에 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와 대동소이하게, 수직프레임(31c)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position fix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the frame of the
추가로, 상기 분리된 프레임 형태인 수평폭프레임(31a) 또는 수직프레임(31c)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기 위하여는 이들 수평폭프레임(31a) 또는 수직프레임(31c)이 각기 끼움 될 수 있는 파이프, 또는 판형의 연결구(31a′)(31c′)를 더 구비하되, 이들 연결구(31a′)(31c′)에도 고정부재 조립용 홀을 형성하여, 이들 연결구(31a′)(31c′)를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연결. 조립에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분리된 프레임 형태인 수평폭프레임(31a)의 홀과 연결구(31a′)의 홀을 일치한 다음에, 각 홀에 핀이나 볼트 및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수평폭프레임(31a)의 조립을 완료하고 , 분리된 프레임 형태인 수직프레임(31c)의 홀과 연결구(31c′)의 홀을 일치한 다음에, 이들 홀에 핀이나 볼트 및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수직프레임(31c)을 조립.고정하는 구조로, 이들 고정부재가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위치 고정과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ssemble the
Assembling the
상기와 같이 연결구(31a′)(31c′)를 이용하여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조립하여 사용하면, 강도 보강과 함께, 연결구(31a′)(31c′)의 길이를 통해서, 실제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보다 더 길게 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When the
이렇게 유압실린더와 핀의 위치 고정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수평폭프레임(31a)과 수직프레임(31c)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Thus, the height adjustment means consisting of the fixed posi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pi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이동프레임(32)은, 프레임의 조립으로 사각 골조 구조로 구성하거나, 또는 사각 판형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상기 이동프레임(32)의 하부에는 시공시에 지지구(40) 연결을 위해서 다수개의 고정구(32′)를 일체로 구성한다.And the moving
또한, 선반형유압장치(33)는, 유압에 의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helf
이렇게 구성한 몸체프레임(31)과 이동프레임(32) 및 선반형유압장치(33)는, 몸체프레임(31) 상부에 선반형유압장치(33)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이 선반형유압장치(33) 상부에 이동프레임(32)이 설치된 구조이며, 선반형유압장치(33)의 유압작용에 의해 이동프레임(32)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32)은 상기 내부거푸집(20)의 내부상면거푸집(22)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프레임(31), 선반형유압장치(33), 이동프레임(32), 내부상면거푸집(22)은 순차로 볼트나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선반형유압장치(33)의 작동으로, 이동프레임(32), 내부상면거푸집(22)이 동시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31)의 상면 및 이동프레임(32)의 저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40) 연결을 위해 다수의 고정구(31′)(3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지지구(4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과 측압을 견디기 위해서, 몸체프레임(31)와 이동프레임(32) 사이에 다수 개 설치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턴버클을 사용하며, 그 외에도 적절한 강도와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의 지지구(4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구(40)의 양단은 고정구(31′)(32′)에 의해 핀 등과 같은 고정부재로 결합 되고, 턴버클 등의 회전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격이나 하중에 대해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above-mentioned
이와 마찬가지로, 몸체프레임(31)과 내부측면거푸집(21)에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구(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측면거푸집(21)의 측면거푸집(21a)와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이 유압실린더(21e)로 연결된 경우에도, 상기측면거푸집(21a)와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구(미도시)를 형성하며, 이들 고정구에도 지지구(미도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하중 및 측압에 견디도록 한다.Similarly, the
이렇게 구성하는 외부거푸집(10), 내부거푸집(20), 자주식 대차 장치(30)를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7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structure using the
먼저, 토공 및 가시설 설치 단계(S0)는, 연속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땅을 파고, 파낸 공간을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시공하는 연속 구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시공 공간을 형성하는데, 암거와 같이 매설되는 연속 구조물은 토공과 가시설의 설치가 필요하지만, 연속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평지에 시공하는 연속 구조물의 경우에는, 평지를 정리하는 작업만 하고, 가시설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연속 구조물이 설치되는 전 구간으로 시공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earthwork and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0) is a process of installing a temporary facility that can dig the ground and support the excavated space in order to install the continuous structure, to form a construction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ntinuous structure to be constructed In the case of continuous structures that are buried, such as culverts, earthworks and temporary installations are required.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inuous structures, continuous structures that are constructed on flat lands may only be cleaned up and not installed.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nstruction space in the entire section where the continuous structure is installed.
그리고 기초 슬라브 형성 단계(S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한 시공 공간 하부에, 연속구조물의 하부쪽 슬라브(바닥 슬라브, 연속 구조물의 바닥)에 해당하는 기초 슬라브(1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뒤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을 두어 양생하여 기초 슬라브(100)를 구성하는데, 상기 기초 슬라브는 상기 시공 공간(연속 구조물이 설치되는 전 구간)을 따라 구성한다.And the basic slab forming step (S1), as shown in Figure 1, constitutes the
또한, 철근 배근 단계(S2)는, 상기 구성한 기초 슬라브(100) 상부에 철근(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을 배근하는 것으로, 연속 구조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측벽과 상부쪽 슬라브에 해당하는 위치에 요구하는 강도에 맞추어 철근을 배근하도록 하는데, 상기 철근 배근은, 기초 슬라브(연속 구조물이 설치되는 전 구간)을 따라 구성한다.In addition, reinforcement Step S2, the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not shown in the figure) to the upper part of the
다음으로, 거푸집 설치 단계(S3)는, 상기 구성한 기초 슬라브(100)와 배근된 철근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때 설치하는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에는 탈형유를 충분히 도포하여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며, 거푸집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을 도8의 공정도를 따라 순차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3) is a step of installing the formwork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먼저, 자주식 대차 장치 위치 공정(G1)은, 상기 기초 슬라브(100) 상부 및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자주식 대차 장치(30)를 위치하는 것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주식 대차 장치(30)를 바퀴(31e)로 이동시켜, 상기 내 부거푸집(20) 내부에 위치한 뒤, 높이조절수단(31f)으로 위치를 고정하며, 실제로 자주식 대차 장치의 이동프레임(32)과 내부상면프레임(22)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위치한 자주식 대차 장치(30)와 함께 내부거푸집(20)의 내부상면거푸집(22)이 함께 위치된다.First, the self-propelled bogie device positioning process (G1) is to position the self-propelled
그리고 내부거푸집 위치 공정(G2)은, 내부거푸집(20)의 내부측면거푸집(21)을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30) 양측이면서, 배근된 철근 내부로 위치하는 공정으로, 실제로, 자주식 대차 장시 위치 공정(G1)과 내부거푸집 위치 공정(G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The internal formwork positioning process G2 is a process of placing the
그리고 폭 조절 및 레벨링 공정(G3)은, 상기 설치된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각 길이조절수단과 선반형유압장치(33)로 폭과 높이를 조절하여, 내부상면거푸집(22)을 내부측면거푸집(21) 상단과 일치시키면서, 자주식 대차 장치(30)과 내부거푸집(20)이 적절한 거리를 가지도록 하는데, 이때, 배근된 철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철근이 적정 피복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And the width adjustment and leveling process (G3), by adjusting the width and height of each length adjusting means and the shelf-type
한편, 내부상면거푸집(22)과 내부측면거푸집(21)이 서로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서로 맞대는 면이 경사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결합하며, 이어서, 몸체프레임(31)의 유압실린더(31d)를 펼쳐서 내부측면거푸집(21)의 고정구에 연결하고, 내부측면거푸집(21)의 유압실린더(21e)를 조절하여 하부헌치면거푸집(21d)을 편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그리고 지지구 설치 공정(G4)은,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30)를 통한 내부거푸집(20)의 조립이 완성되면, 몸체프레임(31)과 이동프레임(32)과 각 고정구(31′)(32′) 지지구(40)로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아울러, 몸체프레임(31)의 측면, 그리고 이와 마주하게 되는 내부측면거푸집(21)의 고정구에도 지지구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거푸집(21a)와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의 고정구에도 지지구를 설치하여, 타설될 콘크리트의 하중 및 측압에 견디도록 한다.And the support fixture installation process (G4), when the assembly of the
다음으로 외부거푸집 설치 공정(G5)은, 외부거푸집(10)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외부양단거푸집(12)을 기초슬라브(100) 상면에 안착하면서, 앞서 설치된 내부측면거푸집(21)의 양단(연속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대한 양단)에 접하도록(양단을 막는 구조) 설치된다(이렇게 해야 타이 설치를 위한 홀 위치를 일치할 수 있다).Next, the external formwork installation step G5 is a step of installing the
그리고 외부측면거푸집(11)을 기초 슬라브(100) 양쪽 외측면에서 접하도록 바퀴(11a)로 이동시켜 상기 내부측면거푸집(21)과 평행하게 위치한 뒤, 높이조절수단(11b)으로 위치를 고정한 뒤에, 내부측면거푸집(21) 일치하는 홀을 통해 타이(50)를 연결하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러한 설치로, 제일 안쪽부터 자주식 대차 장치(30)와 내부거푸집(20) 및 철근이 순차로 위치하고, 하부는 기초 슬라브(100)가 지지하고, 둘레는 외부거푸집(10)에 의해 막혀 있으며, 상부는 철근이 보이도록 트인 구조로 구성한다.And after moving to the wheel (11a) so as to contact the outer side die (11) on both outer sides of the
다음으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S4)는, 상기 설치된 거푸집으로 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덮개를 덮어 일정 시간 양생하여 경화하는 공정이다. Next,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step (S4), the concrete 60 is poured into the installed formwork, the cover is cured by cu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참고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은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양생 방법이 시행될 수도 있고, 양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다양한 촉진 양생 방법을 시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may be carried out a curing method that is usually carried out, it may be carried out a variety of accelerated curing methods that can shorten the curing time.
상기 촉진 양생의 대표적인 예로는, 증기 양생 방법과 고온 양생 방법이 있는데, 증기 양생 방법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증기(스팀)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양생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연속 구조물의 공기를 더욱 단축하고,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증기 양생 방법으로 시공시에는,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30) 내부로 증기 공급을 위한 배관을 하고, 증기를 공급하여 양생하도록 한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ccelerated curing, there is a steam curing method and a high temperature curing method, the steam curing method, by supplying steam (steam) to the poured concrete, shortening the concrete curing time, further shortening the air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n winter, the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there is a feature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dry cracks of the poured concrete, when the construction by the steam curing method, the pipe for supplying steam to the self-propelled
그리고 촉진 양생의 다른 예인 고온 양생 방법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다양한 고체 연료(연탄, 석탄) 등에 의해 내부를 가열하거나, 또는, 열풍기를 통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으로, 상기와 같은 증기 양생 방법, 고온 양생 방법 외에도 다양한 촉진 양생을 적용하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igh temperature curing method, which is another example of accelerated curing, heats the interior of the poured concrete by various solid fuels (briquettes, coal) or the like, or provides hot air to the poured concrete through a hot air blower. As a method of shortening time, by applying a variety of accelerated curing in addition to the steam curing method, high temperature c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horten the air.
그리고 탈형 단계(S6)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설된 콘크 리트(60)의 경화 후에, 상기 설치된 거푸집을 설치한 역순으로 해체하는 것으로, 먼저, 외부거푸집(10)은 높이조절수단(11b)을 조절한 뒤, 바퀴(11a)로 이동시켜 탈형하고, 외부양단거푸집(12)도 순차로 해체한다.And the demolding step (S6), as shown in Figures 5 and 6, after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60, dismantled in the reverse order to install the installed formwork, first, the
그리고 내부거푸집(20)과의 해체 방법 살펴보면, 우선, 몸체프레임(31)과 이동프레임(32)을 연결되게 설치한 지지구(40), 몸체프레임(31)과 내부측면거푸집(21)을 연결되게 설치한 지지구, 측면거푸집(21a)과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을 연결되게 설치한 지지구를 모두 해체한 뒤에, 유압실린더(21e)를 이용하여 하부헌치면거푸집이(21d)을 분리함과 동시에,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선반형유압장치(33)로 내부상면거푸집(22)을 분리하며,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유압실린더(31d)를 이용하여 내부측면거푸집(21)을 분리하면 콘크리트(60)와 철근으로 이루어진 연속 구조물이 완성된다.And look at the dismantling method with the
참고로,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을 연결한 타이(50)는 일반적으로는 제거되어, 타이(50) 고정을 위한 구멍이 남게 되지만, 매립식 타이(50)를 사용하면 연결 구조물에는 구멍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매립식 타이(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거푸집의 탈형이 끝나면 한 단위 크기의 연결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For reference, the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단위 크기의 연결 구조물 시공이 완료되면,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연속 구조물 내부에 확보된 공간을 통해, 내부거푸집(20)에 남아있는 탈형유와 이물질 등을 청소하여 제거하는 청소 단계(S6)을 시행하는데, 이러한 청소 단계(S6)에서는 기존 시공 방법보다 많은 공간이 확보되므로 탈형유 제거와 같은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it siz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self-propelled
그리고 연속으로 이어지는 연속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서, 상기 시공된 단위 크기의 연속 구조물에서 연속되는 위치로 거푸집을 이동시켜, 거푸집 설치 단계(S3)에서 탈형 단계(S5) 및 청소 단계(S3)를 반복으로 시행하면서, 원하는 길이의 연결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시공된 연속 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가시설을 제거하고 매설된다.And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tinuous structure that continues in series, by moving the formwork to a continuous position in the continuous structure of the unit size of the construction,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3) to repeat the demolding step (S5) and the cleaning step (S3) 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produce connecting structures of the desired length,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is removed according to its type, and then buried.
상기와 같은 연속 구조물은, 내부가 비어 연속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어, 암거, 우수, 하수 박스, 지하 통로 박스, 차집관거 박스, 공동구, 전력구, 통신구 등과 같이, 상부면(상부슬라브), 하부면(기초슬라브) 및 양쪽 측벽이 형성된 폐쇄된 구조의 연속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된 연속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연속 구조물을 시공하면서,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내부거푸집(20)의 내부상면거푸집(22) 이하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실제로, 개방된 연속 구조물의 경우 상부헌치면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내부측벽거푸집의 측면거푸집의 높이까지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연속 구조물, 예를 들어, 개수로, 농업 용수로 등과 같은 연속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The continuou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a concrete structure that is empty and continuous,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upper slab), such as a culvert, rainwater, a sewer box, an underground passage box, a dwelling box, a cavity, an electric power outlet, a communication port,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ntinuous structure of a closed structure with a lower surface (base slab) and both sidewalls, as well as to an open continuous structure.When constructing a continuous structure, when placing concrete in the installed formwork,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o the
이렇게 거푸집으로 연속 구조물을 시공함에 따라, 거푸집이 바퀴(11a)(31e)에 의해 이동하면서 각 높이조절수단(11b)(31f)에 의해 고정되므로 설치가 빠르면서 용이하고, 또한, 콘크리트(60)의 타설 및 양생 후에 탈형할 때에도 탈형이 용이한데, 탈형 시에,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각 유압실린더(21e)(31d) 및 선반형유압장치(33)에 의해 탈형이 더욱 용이한 특징이 있다.As the continuous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is way, since the formwork is fix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b and 31f while moving by the
아울러, 상기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몸체프레임(31)은 각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폭 조절과 높이 조절 조절이 용이하므로, 내부 공간이 작은 연속 구조물에도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크기를 최소화하면, 연속 구조물을 시공 전에, 탈형유 제거를 위한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고, 수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상기 거푸집의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의 바퀴(11a)(31e), 높이조절수단(11b)(31f)과, 자주식 대차 장치(30)의 각 유압실린더(21e)(31d) 및 선반형유압장치(33), 또한, 몸체프레임(31)의 길이조절수단에 속하는 유압실린더까지 모두 컨트롤박스(200)에서 제어가 가능하므로, 인력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And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조립 사시도.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거푸집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formwork assemb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거푸집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formwork assemb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거푸집의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work assemb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내부거푸집의 해체를 보여주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internal formwork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거푸집을 해체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formwork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공정도.7 is a construction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거푸집의 설치 공정도.8 is an installation process diagram of the form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According to Main Parts of Drawings]
10 : 외부거푸집 20 : 내부거푸집10: outside formwork 20: inside formwork
30 : 자주식 대차 장치 100 : 기초 슬라브30: self-propelled bogie device 100: foundation slab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1079A KR101130923B1 (en) | 2009-08-01 | 2009-08-01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1079A KR101130923B1 (en) | 2009-08-01 | 2009-08-01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3079A KR20110013079A (en) | 2011-02-09 |
KR101130923B1 true KR101130923B1 (en) | 2012-03-28 |
Family
ID=4377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1079A KR101130923B1 (en) | 2009-08-01 | 2009-08-01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092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261B1 (en) | 2013-01-23 | 2014-03-10 | 현대알루미늄(주) | Box form structure for culvert construction |
KR101540406B1 (en) * | 2014-08-13 | 2015-08-17 |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
KR20180064807A (en) * | 2016-12-06 | 2018-06-15 | 홍주이엔씨(주) | The mould for fslm girder having the integral type inner mould ba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2665B1 (en) * | 2011-09-08 | 2013-09-10 | 한준수 | Steel sheeting board for a movable using tunnel structure form of construction |
KR101240164B1 (en) * | 2012-05-16 | 2013-03-07 | 장영미 | Apparatus for a in-line mold of precast concrete culverts, method for producing precast concrete culverts, and precast concrete culverts manufactured with it |
CN103556835B (en) * | 2013-11-14 | 2015-05-20 | 广州鑫桥建筑劳务有限公司 | Floor slab trolley |
CN103557011B (en) * | 2013-11-14 | 2016-03-30 | 广州鑫桥建筑劳务有限公司 | A kind of side wall trolley |
CN103603490B (en) * | 2013-11-14 | 2015-05-20 | 广州鑫桥建筑劳务有限公司 | Floor slab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pplying floor slab trolley |
CN103556817B (en) * | 2013-11-14 | 2015-05-20 | 广州鑫桥建筑劳务有限公司 | Side wall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employing side wall trolley |
KR101644111B1 (en) * | 2015-12-07 | 2016-07-29 | 권영덕 | (Apparatus For Curing Concrete Structure |
KR101898166B1 (en) * | 2016-08-23 | 2018-09-12 |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 Lego Type Cart Supporting Post |
CN107091103A (en) * | 2017-06-05 | 2017-08-25 |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combined template trolley for constructing middle partition wall in tunnel |
CN108149708A (en) * | 2017-12-21 | 2018-06-12 | 浙江兴土桥梁专用装备制造有限公司 | Piping lane construction formwork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
CN108798714B (en) * | 2018-05-28 | 2024-06-18 |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 Portable moving mold trolley for construction of passage wall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8952770A (en) * | 2018-09-30 | 2018-12-07 |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outer mould trolley of slope open trench tunnel rectangular configuration lining cutting |
CN108915730A (en) * | 2018-10-15 | 2018-11-30 |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open trench tunnel rectangular configuration lining template trolley for baffle system |
CN110107315B (en) * | 2019-05-22 | 2021-05-14 | 贵州大学 | Tunnel transition section two lining platform trucks |
CN110397078B (en) * | 2019-06-12 | 2021-04-20 |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 Hole body formwork suppor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and dismantling method thereof |
CN110578534B (en) * | 2019-09-16 | 2021-01-26 | 北京市市政四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Template trolley for underground excavation of subway interval standard section tunnel |
CN115059041B (en) * | 2022-06-23 | 2024-02-20 | 合肥工业大学 | Self-lifting assembled form for lock head empty box structure concre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3076Y1 (en) | 2002-04-08 | 2002-07-26 | 장영식 | Mobile tunel mold with a system for adjusting position of upper mold |
KR20040019818A (en) * | 2002-08-30 | 2004-03-06 | 주식회사 토암건설 | Movable Steel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and Continuous Constructing Method of Culvert Using the Same |
KR100777036B1 (en) | 2006-06-28 | 2007-11-16 | 최승선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pc box culvert with liner, assembling method for a pc box culvert, manufacturing method for a pc box culvert, and pc box culvert using the same method |
KR100904293B1 (en) | 2009-03-13 | 2009-06-25 | 용화산업 주식회사 | Potable worktable enbling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and width |
-
2009
- 2009-08-01 KR KR1020090071079A patent/KR1011309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3076Y1 (en) | 2002-04-08 | 2002-07-26 | 장영식 | Mobile tunel mold with a system for adjusting position of upper mold |
KR20040019818A (en) * | 2002-08-30 | 2004-03-06 | 주식회사 토암건설 | Movable Steel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and Continuous Constructing Method of Culvert Using the Same |
KR100777036B1 (en) | 2006-06-28 | 2007-11-16 | 최승선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pc box culvert with liner, assembling method for a pc box culvert, manufacturing method for a pc box culvert, and pc box culvert using the same method |
KR100904293B1 (en) | 2009-03-13 | 2009-06-25 | 용화산업 주식회사 | Potable worktable enbling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and width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261B1 (en) | 2013-01-23 | 2014-03-10 | 현대알루미늄(주) | Box form structure for culvert construction |
KR101540406B1 (en) * | 2014-08-13 | 2015-08-17 |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
KR20180064807A (en) * | 2016-12-06 | 2018-06-15 | 홍주이엔씨(주) | The mould for fslm girder having the integral type inner mould base |
KR101978689B1 (en) * | 2016-12-06 | 2019-05-15 | 홍주이엔씨(주) | The mould for fslm girder having the integral type inner mould b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3079A (en) | 2011-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0923B1 (en)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structure therewith | |
KR100913381B1 (en) | Slip form for concrete lining of shaft tunnel and method constructing concrete lining of shaft tunnel | |
KR101184299B1 (en) | A passage fabric used to multi slip form and methode there of | |
KR100938821B1 (en) | Prefabricated mold structure of waterway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canal | |
KR101645462B1 (en) | Precast crossing beam manufacturing method for bridge and precast crossing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 |
CN111749714B (en) | Window-by-window layered pouring system for circular water delivery tunnel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40406B1 (en) |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 |
KR10092470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Utility-pipe conduit | |
KR20130106199A (en) | Steel form for tunnel construction under linning board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KR100463032B1 (en) | Movable Steel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and Continuous Constructing Method of Culvert Using the Same | |
KR20140008067A (en) | Low depth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variable mould system | |
KR101150829B1 (en) |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 |
KR20170032826A (en) | Precast concrete du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98731B1 (en) | constructure method of vertical tunnel to build horizontal tunnel | |
CN107558483B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foundation that installing wallboard | |
KR100448221B1 (en) | Movable Steel Form for Constructing Culvert and Continuous Constructing Method of Culvert Using the Same | |
KR100402436B1 (en) | The method for carrying out of underground structure object using a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and a hydraulic jack | |
KR101013450B1 (en) | Apparatus for forming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dome is integrated to vertical tunne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298104Y1 (en) | Mobile form for forming concrete box on construction work | |
KR101272898B1 (en) | Reinforced water condui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2086134B1 (en) | Size-controllable steel form | |
KR20110090704A (en) | Construction-concrete of circle multistory road tunnel slab and structure of movable-cast | |
KR101524272B1 (en) | A repairing assembled structure precast-manhole and constructing method it | |
CN116290112A (en) | Concrete inspection well template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060692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road soundproof wall concre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