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43B1 -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43B1
KR101130643B1 KR1020100014417A KR20100014417A KR101130643B1 KR 101130643 B1 KR101130643 B1 KR 101130643B1 KR 1020100014417 A KR1020100014417 A KR 1020100014417A KR 20100014417 A KR20100014417 A KR 20100014417A KR 101130643 B1 KR101130643 B1 KR 10113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dental
detergent composition
clea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795A (ko
Inventor
오명환
김원호
황재연
김주혜
권미연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 베리콤
오명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리콤, 오명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 베리콤
Priority to KR102010001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3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containing enzymes other than protease, amylase, lipase, cellulase, oxidase or 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유래되는 피, 단백질 및 기타 오염물과 병원균 및 병원균 유래의 오염물을 세정, 세척 및 제거하기 위한 단백질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중성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의 2종 이상의 단백질분해 효소와 3 내지 15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정 용매에 포함되어 있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Dual Protease Enzyme-Neutral Detergent Compositions for Cleaning of Dental and Med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 세척 및 제거를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된 치과 및 의료기구를 재사용하기 위해 인체 유래의 피, 단백질, 지질 및 기타 오염물과 병원균 및 병원균으로부터 유래된 오염물을 세정, 세척 및 제거하기 위한 2종 이상의 효소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이원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세정 작용은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해 세정되며, 조성물의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되어 있는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과 및 의료적 치료, 시술 및 진단에 있어 감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주로 치과 및 의료기구를 재사용하기 위해 행해지는 세척, 소독/살균, 헹굼 및 멸균과정이 적절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의료종사자 및 의료보조인의 교차감염 뿐만 아니라, 일반 환자들에게도 감염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이는 의료업계 종사자들이 위생 개념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하기도 하지만, 의료기구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세척제, 소독제, 살균제, 항균제, 멸균제 등의 적절한 제제가 부족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치과 및 의료업계에서는 알칼리성 세정제를 사용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알칼리성 세정제는 지방질이나 무기물에 의한 오염물은 쉽게 제거하지만, 신체나 병원균으로부터 유래된 피, 단백질 등에 의한 오염은 쉽게 제거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알칼리 성분에 의해 의료기기 및 기구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칼리성 세정제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의료종사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게 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알칼리성 세정제 등에 피, 단백질 등의 제거를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세정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는 산성에서 안정하고 알칼리에서 쉽게 활성을 잃기 때문에 알칼리성 세정제에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왔고, 이에 대해 효소 고정화, 유전자변형 효소, 효소 담체화, 효소 안정제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효소를 안정화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서, 알칼리에서도 효소의 구조 및 활성의 저하가 없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고알칼리 지역에서 선별하거나 분자진화기술을 이용하여 개량하는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소망하는 수준을 만족하는 결과는 얻지 못한 상태이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분말이나 고형상태로 존재하는 것보다 수용액에서 쉽게 활성을 잃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물 분자가 효소의 펩타이드 결합을 가수분해해서 활성을 잃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서도 안정성이 저하된다.
수용액 중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솔비톨(sorbitol) 등의 다가 알코올(polyol)을 첨가하여 효소의 펩티드 결합을 공격하는 물분자를 봉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 보관시 안정성이 좋지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의 함량을 줄인 고농도의 효소세정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물에 의한 구조변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효소의 구조안정화에 대한 지노믹스, 프로테오믹스 등의 오닉스 기술을 사용하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지만,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결과를 얻지 못한 상황이다.
치과 및 의료용 세정제는 친환경적이어야 하며 인체친화적인 특성을 보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친화적인 효소와 독성이 낮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세정효율은 오염물과 세정제가 접촉하는 면적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데, 기존의 세정제는 기포를 발생시켜, 이 기포로 인해 오염물과 세정제의 접촉기회가 감소되어 충분한 세정효율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치과 및 의료용 기구는 철, 고무,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되는 세정제는 이들 기구의 소재물질에 대해 손상을 입히지 말아야 한다. 기존 세정제는 고가의 치과 및 의료용 기구들에 부식, 녹임, 부서짐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했다.
따라서, 치과 및 의료용 기구의 수명연장을 위해서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세정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최적화된 2종 단백질분해 효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는 이원 단백질 분해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조성물이 치과 및 의료기구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피, 단백질 등의 오염물에 대해 우수한 세정능력, 의료인의 안전성 및 환경친화성 등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의 2종 이상의 단백질분해 효소와 3 내지 15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정 용매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치과 및 의료시술로부터 유래되는 피, 단백질 등의 오염물에 특히 우수한 세정력과 의료종사자의 세정안전성이 확보된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 및 의료 기구의 오염물로는 크게 혈액, 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 오염물 등이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오염물들은 그 특성이 상이하여 세정 조건이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지질 및 무기질 오염물은 알칼리성 세정제 등에 쉽게 분해되지만, 단백질분해 효소는 산성에서 안정하고 알칼리에서 쉽게 활성을 잃게 되므로 각각의 오염물에 대한 세정 능력을 극대화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중성의 pH를 가지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pH 7.0 내지 8.5를 나타낸다. 중성의 산도(pH)를 가짐으로써, 상기와 같이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세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치과 및 의료시술로부터 발생된 혈액, 단백질 등의 오염물에 탁월한 분해능을 가진 2종의 효소를 선별하고 단일 효소를 사용할 때 얻을 수 없는 세정능력을 배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칵테일 효과(cocktail effect)로서, 기존의 세정제에 두가지 이상의 효소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일 효소로만으로 얻지 못하는 효소능력의 시너지 효과 (synergy effect)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사용할 수 있는 단백질분해 효소는 물로 희석된 세정제 내에서 치과 및 의료기구에 점착된 피 및 단백질을 솔 및 그 외의 인체의 물리적인 힘이 제공되지 않아도 쉽게 분해해야 한다. 또한, 치과 및 의료기구 등은 작으면서도 미세한 구조 및 기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솔질 등의 사람에 의한 물리적인 세척이 대부분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치과 및 의료기관의 1일 의료시술 후 사용된 시술도구는 다종 및 다수이므로, 짧은 시간으로 1회 세정을 통해 처리해야만 의료관계자의 세정에 대한 피로감 및 시간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다양한 유래의 단백질분해 효소를 치과 및 의료기구용 세정제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을 세정제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pH, 유기용제, 물의 함량 등의 많은 요구 조건들이 만족되어야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소로는 박테리아 유래의 세린계 펩타이드 내부가수분해 효소(serine endopeptidase)를 들 수 있으며, 그들의 기질을 분해시켜 물에 녹거나 분산될 수 있게 할 수 있고, 효소가격이 저렴하며, 세정제 원액 및 희석액 내에서 사용목적에 맞게 충분히 안정한 것이고, 상업적으로 쉽게 이용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상기 단백질분해 효소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바람직한 예로는, 노보자임(Novozymes)사의 에버레이즈(Everlase), 사비네이즈(Savinase), 에스퍼레이즈(Esperase), 리커네이즈(liquanase), 알칼레이즈(alcalase), 카네이즈(Kannase), 에스퍼레이즈(Esperase), 뉴트레이즈(Neutrase), 듀라짐(Durazym), 오보자임(Ovozyme), 폴라자임(Polarzyme)과 제네코(Genecor)사의 맥사테이즈(Maxatase), 맥사칼(Maxacal), 옵티크린(Opticlean), 퓨라펙트(Purafect) 등이 있다.
그 중, 특히 바람직한 단백질분해 효소의 조합은 사비네이즈(Savinase) 및 리커네이즈(Liquanase)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치과 및 의료기구를 쉽게 오염시키는 지질 및 무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저기포성 계면활성제와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효소세정제의 보관수명을 높이고,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조에 따라 크게 비이온성 에스테르(non-ionic ester), 비이온성 아미드(non-ionic amide) 및 비이온성 에테르(non-ionic ether)로 구분할 수 있다.
세정제에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사슬길이(chain length), 친수성-친유성 밸런스(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및 운점(cloud point)의 값에 따라 세정효율에 영향을 받는다. HLB 값이 크고, 탄소사슬길이가 길고, 임계미셀농도가 높고, 운점이 낮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세정제일수록 세정효율이 높다.
단일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높은 세정효율을 가질 수 없으며, 두 가지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최적의 세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 및 의료 기구를 세정하는 동안 거품은 효과적인 세정을 방해하고, 세정기계 등의 작동에 있어서도 방해가 되며, 원활한 배수를 막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기포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부분의 치과 및 의료 기구는 금속 부품을 포함하므로 세정을 통해 부식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기포성 비이온계면 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린/폴리옥시프로필렌 유도체(polyoxyethylene(EO)/polyoxylpropylene(PO) derivative)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C10-C14 알킬 에테르 (polyoxythylene/polyoxypropylene C10-C14 alkyl ether)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부식억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polyoxyethyene alkyl amine)을 들 수 있고, 특히 이들의 알킬기가 탄소수 14~18개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을 가진 것이 부식억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 중 계면활성제의 분산력을 증진하기 위해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를 예로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알킬기가 탄소수 2~4개의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모노부틸 에테르(polyoxyethylene monebuty ether) 및 폴리옥시에틸렌 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phenyl eth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는 분산력, 오염물 제거 및 효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킨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상기 저기포성 계면활성제,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 및 저분자량 계면활성제가 중량비로 2~10 : 1 : 1~5로 포함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3~5 : 1 : 2~4로 포함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방청제, 완충액, pH 조절제, 향수제, 빌더, 효소안정화제, 색소 화합물, 방향 화합물 등을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폴리올(polyol)은 액상 세정제 내의 효소들의 안정화를위해 사용되는 액체상을 말하며, 알킬렌 글라이콜(alkylene glycol) 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는 에틸렌 글라이콜(ethylene glycol), 프롤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과 글리세롤(glycerol)을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빌더(builder)는 세정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센물의 성분을 감소킴으로써 계면활성제의 효율을 유지 및 증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세정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 속에는 카보네이트(carbonates), 옥사이드(oxide) 또는 설페이트(sulfides)와 결합된 형태의 칼슘(calcium) 또는 마그네슘(magnesium)과 같은 다가의 금속 양이온이 존재하여 센물화 되어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침전시키거나 오염물을 고착화시킨다. 또한, 세정제에 의해 부유된 오염물과 결합하여 재침전시킴으로써 재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이온을 완벽하게 물속에 용해 또는 부유시키기 위해서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빌더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금속이온 봉쇄제(sequestering agent)로는 EDTA, EDTATC 등의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 포스페이트류(phosphates), 폴리포스페이트류(polyphosphates), 탄산류(carbonates), 실리케이트류(silicates), 시트레이트류(citrate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완충액은 효소안정제, pH 버퍼링제 및 의료기기에 회색의 필름을 형성하는 3가 금속이온을 녹여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액은 보론산(boronic acid), 붕산(boric acid), 붕산염(borate), 폴리붕산염(polyborate) 및 포름산 나트륨(sodium format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pH 조절제는 세정제 내에서 효소안정성과 계면활성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적절하게는 pH 가 6 ~ 12사이이며 가장 좋게는 pH가 7 ~ 9로 조절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슘 등의 강알칼리제를 사용하지만, 알칸올아민(alkanolamine)이 적당하며 이들은 pH 조절, 방청기능 및 빌더의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대표적인 알칸올아민는 모노알칸올아민(monoalkanolamine), 디알칸올아민(dialkanolamine), 트리알칸올아민(trialkanolamin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향수제는 액상 세정제의 층간분리를 방지하며, 세정제의 균질성(homogeneity)을 강화시켜 수용액에서 계면활성제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화합물이다. 대표적으로 술폰산나트륨크실렌(sodium xylene sulfonate)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염화칼슘(CaCl2)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과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칼슘을 공급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및 의료 기구용 2종 단백질분해 효소-중성 세정제 조성물은 혈액, 단백질 등의 오염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세정 과정에서 의료인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은 혈액, 단백질 등의 오염믈의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2종의 단백질분해 효소에 관련된 것이나, 오염물 제거에는 지질분해효소, 당분해효소 등의 기타 다른 효소선정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치과 및 의료기구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오염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것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단백질분해 효소로 사비나아제(Savinase) 2 중량%와 리커네이즈(Liquanase) 2 중량%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이들 조성물의 pH가 7.0~8.5 사이의 중성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의 단위는 중량%이다.
[표 1]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1
[비교예 1-3]: 단일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단백질분해 효소로 사비네이즈 2 중량%와 리커네이즈 2 중량% 대신에 사비네이즈 4 중량%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단일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을 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의 단위는 중량%이다.
[표 2]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2
[비교예 4-6]: 단일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단백질분해 효소로 사비네이즈 2 중량%와 리커네이즈 2 중량% 대신에 리커네이즈 4 중량%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단일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의 단위는 중량%이다.
[표 3]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3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총 9개의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의 세정성능 변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세정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포 EMPA-105(Cotton: unstained, carbon black/mineral oil, bood, cocoa, red wine stained)를 사용하였으며(L*= 51.27, a*= 8.00, b*= 14.06, K/S = 2.09), 처리조건은 KS K 0120 섬유 제품의 재오염 저항 시험방법: 세척력 시험법에 의거하여 현 실험에 적합하도록 약간의 수정을 통해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55℃에서 10 분간 100 rpm으로 처리한 후 30회 물로 헹굼(rinse)하였다. 비교시험으로서 표준세제(IOS standard soap; L*= 70.35, a*= 2.16, b*= 7.76, K/S = 0.48)을 이용하여 오염포를 처리하고 색착계를 이용하여 색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6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4
[표 5]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5
[표 6]
Figure 112010010515771-pat00006
상기 표 4~6에서, L*, a*, b*는 색차계를 통한 색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L*는 백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흰 색이 많아 밝은 것을 의미하고, 수치가 낮을수록 어두운 것을 의미한다. a*와 b*는 빨간색과 노란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0에 가까울수록 색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K/S 값은 혈액의 색상을 나타내는 540 nm 파장의 값을 검출하는 것으로, 이 값은 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치가 높으면 색이 진한 것이며 수치가 낮을 경우 색을 엷거나 백색에 가까운 것으로 혈액으로 오염된 포의 혈액이 거의 제거되었음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수치가 낮을수록 혈액을 잘 세정하는 것이다.
상기 표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오염물에 대한 세정능력이 우수함을 L*, a*, b* 값과 K/S값을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2종의 단백질분해 효소를 사용한 실시예는 비교예와 같이 1종의 단백질분해 효소를 각각 사용한 것에 비해 혼합 사용으로 월등히 우수한 세정능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기포성, 녹억제 및 저분자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적절히 혼합되었을 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의 2종 이상의 단백질분해 효소와 3 내지 15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정제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중성의 산도(p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 효소는 에버레이즈(Everlase), 사비네이즈(Savinase), 에스퍼레이즈(Esperase), 리커네이즈(liquanase), 알칼레이즈(alcalase), 카네이즈(Kannase), 에스퍼레이즈(Esperase), 뉴트레이즈(Neutrase), 듀라짐(Durazym), 오보자임(Ovozyme), 폴라자임(Polarzyme), 맥사테이즈(Maxatase), 맥사칼(Maxacal), 옵티크린(Opticlean), 및 퓨라펙트(Purafe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백질분해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 효소는 사비네이즈(Savinase) 및 리커네이즈(Liquanas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저기포성 계면활성제 또는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저분자량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기포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린/폴리옥시프로필렌 유도체(polyoxyethylene/polyoxylpropylene derivat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기포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C10-C14 알킬 에테르 (polyoxythylene/polyoxypropylene C10-C14 alkyl eth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polyoxyethyene alkyl 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레이트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기포성 계면활성제,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 및 저분자량 계면활성제 각각의 함량은 중량비로 2~10 :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기포성 계면활성제, 부식억제성 계면활성제 및 저분자량 계면활성제 각각의 함량은 중량비로 3~5 : 1 :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및 의료 기구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100014417A 2010-02-18 2010-02-18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KR10113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17A KR101130643B1 (ko) 2010-02-18 2010-02-18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17A KR101130643B1 (ko) 2010-02-18 2010-02-18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795A KR20110094795A (ko) 2011-08-24
KR101130643B1 true KR101130643B1 (ko) 2012-04-02

Family

ID=4493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17A KR101130643B1 (ko) 2010-02-18 2010-02-18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6270A1 (en) 1988-01-07 1989-07-13 Novo-Nordisk A/S Enzymatic detergent
US7026153B2 (en) 1997-11-21 2006-04-11 Novozymes A/S Protease variants and compositions
JP2006191863A (ja) 2005-01-14 2006-07-27 Menicon Co Ltd 安定化酵素組成物
US7491362B1 (en) 2008-01-28 2009-02-17 Ecolab Inc. Multiple enzyme clean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endoscop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6270A1 (en) 1988-01-07 1989-07-13 Novo-Nordisk A/S Enzymatic detergent
US7026153B2 (en) 1997-11-21 2006-04-11 Novozymes A/S Protease variants and compositions
JP2006191863A (ja) 2005-01-14 2006-07-27 Menicon Co Ltd 安定化酵素組成物
US7491362B1 (en) 2008-01-28 2009-02-17 Ecolab Inc. Multiple enzyme clean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endosco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795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4333B2 (ja) タンパク質分解酵素洗浄剤
KR101972620B1 (ko) 액체 세정제, 액체 표백성 조성물, 및 살균성 조성물
US5861366A (en) Proteolytic enzyme cleaner
AU2006246411B2 (en) Stable solid compositions of spores, bacteria, fungi or enzyme
US6638902B2 (en) Stable solid enzyme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them
CN112920915B (zh) 使用聚乙烯亚胺乙氧基化物的泡沫稳定化
FI85874B (fi) Vaetskeformiga sanitetsrengoerings- och avkalkningsmedel.
JP5952278B2 (ja) 持続可能な実行のための洗浄水管理
KR101890147B1 (ko) 식기세척을 위한 교대 알칼리/산 시스템에서의 비-포스페이트 세제 및 비-인산
BRPI0415602B1 (pt) composição para limpeza
CN103649291B (zh) 钙螯合组合物
KR101849800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CN113105950A (zh) 用于洗衣和其他硬表面清洁的预浸泡工艺
US20100190676A1 (en) Composition for enhanced removal of blood soils
JPH08120296A (ja) 過酸化物の活性化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JP6732454B2 (ja) 洗浄殺菌剤組成物
JP2012140483A (ja) 医療器具の洗浄方法
CN104073366A (zh) 一种适用于医疗器械清洗的碱性清洗液及制备方法
KR101565097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KR100533123B1 (ko) 의료의 세탁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제 조성물
JP4302975B2 (ja) 粉末漂白洗浄剤組成物
KR101130643B1 (ko)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JP2015120849A (ja) 洗濯方法
JP2545654B2 (ja) 洗浄機槽用洗浄剤
JP2008169266A (ja) 洗濯前処理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