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990B1 -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990B1
KR101128990B1 KR1020090099930A KR20090099930A KR101128990B1 KR 101128990 B1 KR101128990 B1 KR 101128990B1 KR 1020090099930 A KR1020090099930 A KR 1020090099930A KR 20090099930 A KR20090099930 A KR 20090099930A KR 101128990 B1 KR101128990 B1 KR 10112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skin whitening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019A (ko
Inventor
장동일
안도림
Original Assignee
안도림
주식회사 콧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도림, 주식회사 콧데 filed Critical 안도림
Priority to KR102009009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9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다른 피부 미백용 천연식물추출물은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제 활성저해효과, DOPA산화활성저해효과 및 B16F1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 평가에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할뿐만 아니라 뛰어나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미백,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

Description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sist of plant exract and cosmetic compostion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compostion}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피부 미백 효과를 보이는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백 기능을 보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데는 피부색소 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등의 여러요인들이 관여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피부색소세포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등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색소세포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DOPA)와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뒤 복잡한 산화 및 축합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아주 안정한 상태의 고분자 물질로서 색소세포에서 각질화 세포(Keratinocyte)에 전달되고 각질화 세포가 분화되면서 피부 바깥층을 향해 새로 생성되는 각질화 세포에 의해 밀려 올라가다가 최종적으로 표피층에 머무르다가 표피 박리와 함께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작용을 보인다.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색소침착은 자외선, 호르몬 등의 자극에 의해 피부색소 세포에서 멜라닌이 과다 생성이 일어나서 누적되는 것으로 이를 예방,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피부 미백 화장품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멜라닌 생성을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등의 등과 같은 피부색소 이상침착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비타민 C(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 사용하여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제형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다른 피부 미백용 천연식물추출물은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제 활성저해효과, DOPA산화활성저해효과 및 B16F1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 평가에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뛰어나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물은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이다. 김초, 신이, 황금 및 상황은 생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위 역시 생약으로 사용되는 것과 일치하며, 포도의 경우에는 식용 사용하는 포도 열매를 껍질과 함께 건조하여 사용한다.
또한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당업자들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른다.
예를 들면, 생약재 분쇄물에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애 대하여 1~15 중량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100도씨 온도로 5~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상기 분쇄물에 물, 탄소수1~3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콜,아세톤,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 중량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4~25도씨 온도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물을 얻거나;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 적당한 양의 물을 가한 뒤 생기는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잘 섞은 다음 방치하여 층을 분리시킨 뒤 상층을 분리한후, 냉각 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생약재 추출물은 피부에서의 안전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한 방법에 의해 추출한 식물 추출물의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하고, 건조한 후, 화장료에 배합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은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지며, 화장료 조성물은 이와 같은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도록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함량의 범위들은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면서도 화학적 안정성 및 피부 사용시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범위를 본 발명자에 의해 다양한 시험을 통하여 결정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생약재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 500g씩을 각각 95%(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각각의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물로서 각각 10g 정도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삭제
시험예 1: Tyrosinase 저해 효과 실험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의 동결건조 추출물 동일 중량을 칭량하여 혼합 후 이를 정세수에 녹여 정제수 내에 추출물 총 함량이 0.001중량%, 0.01중량%, 0.1중량%, 1중량% 및 10중량%가 되도록 하여 멜라닌 합성 주요 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에 대한 저해력을 측정하여 피부 미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합성의 주요단계에 기질로 사용되는 티로신 (L-Tyrosine(0.3㎎/㎖) 1.0㎖에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0.1M) 1.0㎖)과 머쉬룸 티로시나제(Tyrosinase(1250 units/ml) 0.1㎖) 또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분리한 티로시나제 분획을 첨가하였고 37도씨에서 일정시간 (10분)반응시킨 후 반응생성물인 도파크롬의 흡수파장( 보통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원료 및 제품의 피부 미백능력을 평가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도(%) = 100 - ((ODexp. - ODcon.)/ODstd. X 100)
ODexp.: 샘플실험값, 티로시나제 함유시 측정값
ODcon.: 샘플실험값, 티로시나제 비함유시 측정값,
ODstd.: 샘플이 없는 경우, 티로시나제 함유시 측정값
이때 샘플이 없는 대조군은 식물 추출물 대신 30중량%의 부틸렌글리콜을 넣었다.
시료명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0.001중량% 함유 조성물 16.9
0.01중량% 함유 조성물 35.2
0.1중량% 함유 조성물 78.6
1중량% 함유 조성물 87.6
10중량% 함유 조성물 92.5
대조군 0.30
표 1의 결과를 보면 0.001중량%를 함유 조성물에서도 대조군 보다도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냈으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측정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식물 추출물 함유 조성물 및 대조군을 제조한 후에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멜라닌 세포에 대한 멜라닌 합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0 멜라닌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완충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저해율 (%) = [(A-B)/A]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시료명 멜라닌생성저해율(%)
0.001중량% 함유 조성물 20.3
0.01중량% 함유 조성물 38.8
0.1중량% 함유 조성물 62.4
1중량% 함유 조성물 54.6
10중량% 함유 조성물 42.3
대조군 0.00
표 2의 결과를 보면 0.001중량%를 함유 조성물에서도 대조군보다도 우수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냈으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 등의 방법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10중량%에서는 농도가 너무 높아서 세포배양액상에서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오히려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줄어들었지만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시료의 멜라닌 생성저해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 시험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감초, 신이, 황금, 포도, 상황의 동결건조 추출물 동일 중량을 칭량하여 혼합 후 이를 종래의 로션에 함유시켜 추출물 총 함량이 0.001중량%, 0.01중량%, 0.1중량%, 1중량% 및 10중량%가 되도록 로션을 제조하였으며, 동일한 로션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 조성물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로션을 대조군을 하여 인체피부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 나타냈다.
상술 로션의 처방은 아래의 표 3과 같았다.
성분명 함량(중량%) 비고
바세린 2
스테아린산 1
유동파라핀 5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2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4
트리에탄올아민 1.0
향료 0.3
방부제 0.3
산화방지제 0.3
식물 추출물 0.001, 0.01, 0.1 1, 10 대조군은 함유하지 않음
정제수 to 100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 시험은 건강한 2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부 내측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홍반량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로션과 대조군을 하루에 2회씩 매일 도포한 후, 두 달 후에 크로마메터(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태우지 않은 한국인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험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색의 밝기변화(ΔL)값(최종 L값-시험물질 도포전의 값)으로 표현하였다. ΔL값이 클수록 피부 미백 효과가 큰 것이다.
시료명 ΔL값
0.001중량% 함유 로션 0.4
0.01중량% 함유 로션 0.7
0.1중량% 함유 로션 1.1
1중량% 함유 로션 2.1
10중량% 함유 로션 2.4
대조군 0.2
표 4의 결과를 보면 0.001중량%를 함유 조성물에서도 대조군보다도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함량의 증가에 따라 피부 미백 효과가 증감함을 알 수 있습니다.
시험예 5: 피부자극 효과시험
시험예 4에서 제조한 로션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패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팔 아래의 안쪽부위에 시료를 담은 핀쳄버(Finn chamber, 100× 10, EPITEST, 핀란드)를 첩포한 후 24시간 후와 48시간 후에 첩포를 제거하고 확대경(8MC-150, DAZOR, 미국)을 이용 피부 상태를 관찰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여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 반응의 평가기준 및 점수)
6 : 대수포 형성
3 :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2 :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1 :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0.5 :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0 : 무반응, 정상피부
시료명
점수
24시간 48시간
0.001중량% 함유 로션 0 0
0.01중량% 함유 로션 0 0
0.1중량% 함유 로션 0 0
1중량% 함유 로션 0 0
10중량% 함유 로션 0 0
대조군 0 0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모두 부반응의 정상 피부를 보여 피부 자극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laims (2)

  1.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감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신이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황금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포도 추출물 15 내지 25중량%, 상황 추출물 15 내지 25중량%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99930A 2009-10-20 2009-10-20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30A KR101128990B1 (ko) 2009-10-20 2009-10-20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30A KR101128990B1 (ko) 2009-10-20 2009-10-20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19A KR20110043019A (ko) 2011-04-27
KR101128990B1 true KR101128990B1 (ko) 2012-03-23

Family

ID=4404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30A KR101128990B1 (ko) 2009-10-20 2009-10-20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732A (ko) 2014-12-17 2016-06-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슬꽃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69B1 (ko) * 2013-12-31 2017-04-11 주식회사 풀무원 미백효과를 가지는 복합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8626B1 (ko) * 2018-10-02 2019-04-15 박노수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948A (ja) 1997-01-21 1998-08-04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0206538B1 (ko) * 1996-12-21 1999-07-01 임병철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83123A (ja) * 2001-10-10 2003-07-03 Masao Takita 美白性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29490A (ja) * 2003-07-10 2005-02-03 Sosin: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活性酸素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538B1 (ko) * 1996-12-21 1999-07-01 임병철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03948A (ja) 1997-01-21 1998-08-04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03183123A (ja) * 2001-10-10 2003-07-03 Masao Takita 美白性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29490A (ja) * 2003-07-10 2005-02-03 Sosin: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活性酸素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732A (ko) 2014-12-17 2016-06-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슬꽃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19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8885A1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酸化剤および抗老化剤
US9364423B2 (en) 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antioxidant agent
KR101128990B1 (ko)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21768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354B1 (ko)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4606B1 (ko) 초고압 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7188B1 (ko) 양성자 빔 처리에 의한 천연물 유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제조 방법
KR100965085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100817476B1 (ko) 터피넨-4-올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12144446A (ja) 抗酸化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983526B1 (ko) 백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1918B1 (ko) 발아 황기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3824B1 (ko) 트리텔레이아 익시오이디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9390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4145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