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54B1 -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354B1
KR101180354B1 KR1020050027254A KR20050027254A KR101180354B1 KR 101180354 B1 KR101180354 B1 KR 101180354B1 KR 1020050027254 A KR1020050027254 A KR 1020050027254A KR 20050027254 A KR20050027254 A KR 20050027254A KR 101180354 B1 KR101180354 B1 KR 10118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inseng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ethanol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804A (ko
Inventor
강신정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2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35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방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즉 흑삼을 물,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 또는 그를 이용한 리포좀을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우수한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흑삼, 추출물, 화장료

Description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흑삼(黑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주름, 노화 방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는 멜라닌(Melanin)을 합성하고 방출하여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세포로 알려져 있다. 멜라노사이트는 자외선, 자유 라디칼, 그 밖에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하여 멜라닌을 합성하여, 피부를 칙칙하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의 장파장대(UV-A 320 ~ 400nm)는 피부의 멜라닌 합성과 깊게 관련되어 있고, 피부에서 멜라닌을 합성하게 하는 주요인으로 많이 보고되어 있다. 멜라닌이 합성되는 과정은 세포내의 타이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발적인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멜라닌 생합성을 막기 위하여서 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 중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므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 하는 것이 현재 미백화장품의 기본 개념으로 되어 있고,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미백 기능을 갖는 대표적인 원료를 보면 아스콜빈산(Ascorbic acid)과 그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droquinone) 및 상백피 추출물,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등 여러 가지가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천연추출물에서 유리된 원료의 경우 효과 면에서는 합성된 원료에 비하여 다소 떨어지나 안전성 측면에서 안전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현재 많이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미백 원료는 안전성 측면에서 피부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미백, 주름, 노화방지 기능을 가지며 안정성에서 뛰어난 천연 소재의 원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
흑삼은 고려인삼(高麗人蔘)을 가공한 것으로 인삼의 성분 중 사포닌(saponin)의 함량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특별한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인삼은 한방치료에 가장 중요한 약재이며 약 2000년전에 쓰여진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그 약효를 보장오(補五臟), 안정신(安精神), 안혼백(安魂魄), 지경계(止驚悸), 제사기(除邪氣), 명목(明目), 개심익지(改心益智), 구복경신(久服輕身),연년(延年) 27자로 표현하고 있다. 즉 오장(五臟) 과 육부(六腑)를 도우며 정신을 안정시켜 혼백을 진정하고 무서움을 없애며 사기(邪氣)를 제외하고 눈을 맑게 하며 두뇌를 명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복하면 몸이 경쾌해지고 장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 중국에서는 고려인삼의 약리와 임상적 실험을 통해 이른바 人蔘七效說 이 발표되었는데 그 내용 중 托毒合瘡에서 옹절(癰癤), 피부병, 피부 거칠음에 유효함을 기록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합성 미백원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새롭고 안전한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통 약재 중 하나인 흑삼(黑蔘)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만들고 또는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여 새로운 미백기능, 주름 예방 기능, 노화 지연 기능을 갖는 원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방지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 방지 효과를 함유한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흑삼을 물,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우수한 미백, 주름, 노화 방지 효과을 갖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미백, 주름, 노화 방지 효과 화장료에 함유되는 흑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은 다음과 같다. 흑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었다. 분말의 무게에 1 ~ 10배의 물,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라이콜 등을 가한다. 그 후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추출 온도는 80℃ 로 12시간 가열하였고, 3회 반복하였다. 추출액은 4℃에서 48시간 숙성시켰다. 그리고 와트만 No.1 통과시켜 불용물을 제거하고, 추출물은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50~80℃에서 농축하였다.
제조된 흑삼 추출물은 통상적인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되어 사용되거나, 리포좀, 파우더 제형이 함유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된다. 흑삼 추출물의 첨가량은 그 건조 중량에 대하여 0.00001 ~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02 ~ 1 중량% 화장료에 첨가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좀더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삼은 구증구포 즉,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리는 방식으로 수삼을 가공한 것이며, 국내 업체로부터 흑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흑삼 분말 1000g을 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3ℓ를 가하여 80℃에서 12시간씩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추출 액은 4℃에서 48시간 숙성시키고 와트만 No.1 을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여액은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50 ~ 80℃ 에서 농축하였다.
<실시예 2>
흑삼 분말 1000g을 추출기에 넣고 10% 에탄올 3ℓ를 가하여 80℃에서 12시간씩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추출액은 4℃에서 48시간 숙성시키고 와트만 No.1 을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여액은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50 ~ 80℃에서 농축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용매만을 변화시켜가며 추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단위:mg/g)
실시예 1 정제수 100% 120.25
실시예 2 10 % 에탄올 122.15
실시예 3 20 % 에탄올 124.25
실시예 4 30 % 에탄올 121.78
실시예 5 40 % 엔탄올 120.65
실시예 6 50 % 에탄올 128.26
실시예 7 60 % 에탄올 132.47
실시예 8 70 % 에탄올 135.25
실시예 9 80 % 에탄올 136.01
실시예 10 90 % 에탄올 115.46
실시예 11 100 % 에탄올 112.47
실시예 12 메탄올 140.47
실시예 13 아세톤 90.14
실시예 14 에틸아세테이트 56.47
실시예 15 클로로포름 25.46
실시예 16 n-부탄올 55.37
실시예 17 1,3-부틸렌글라이콜 45.82
실시예 18 프로필렌글라이콜 50.65
실시예 1 ~ 18에서 제조한 흑삼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 엘라스타아제 활성저해 효과, DPPH 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 측정방법>
티로시나아제와 티로신은 SIGM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19의 추출물은 DMSO(Dimethylsulfoxide)를 이용하여 녹인 후 희석은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125unit/ml) 70㎕를 96well plate에 넣고 여기에 추출물 시료 70㎕을넣고 미리 37℃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티로신(0.1mg.ml) 70㎕을 첨가하였다. 3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조사하였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대조군 흡광도 - 추출물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ⅹ 100 = 저해율 %
<엘라스타아제 활성저해 효과 측정방법>
엘라스타아제와 기질(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2.9mM))은 SIGM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19의 추출물은 DMSO(Dimethylsulfoxide)를 이용하여 녹인 후 희석은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추출물 시료 70㎕과 기질(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20㎕ 을 96well plate 에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엘라스타아제(0.104 unit/ml) 50㎕을 넣어 10분간 더 반응시킨 다음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10nm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조사하였다.
각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대조군 흡광도 - 추출물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ⅹ 100 = 저해율 %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측정법>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는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라디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자유 라디칼소거 효과측정은 DPPH(최종농도60μm) 70㎕과 추출물 시료 140㎕을 96well plate에 넣고 실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조사하였다.
각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구한다.
[(대조군 흡광도 - 추출물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ⅹ 100 = 소거율 %
<흑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
추출용매 IC 50 = (㎍/ml)
실시예 1 정제수 100% 98.42
실시예 2 10 % 에탄올 86.84
실시예 3 20 % 에탄올 90.05
실시예 4 30 % 에탄올 88.04
실시예 5 40 % 엔탄올 87.06
실시예 6 50 % 에탄올 100.48
실시예 7 60 % 에탄올 80.85
실시예 8 70 % 에탄올 78.53
실시예 9 80 % 에탄올 65.89
실시예 10 90 % 에탄올 68.79
실시예 11 100 % 에탄올 83.54
실시예 12 메탄올 63.04
실시예 13 아세톤 90.09
실시예 14 에틸아세테이트 62.08
실시예 15 클로로포름 102.06
실시예 16 n-부탄올 78.04
실시예 17 1,3-부틸렌글라이콜 160.14
실시예 18 프로필렌글라이콜 180.54
<흑삼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저해 효과>
추출용매 IC 50 = (㎍/ml)
실시예 1 정제수 100% 1350
실시예 2 10 % 에탄올 1100
실시예 3 20 % 에탄올 950
실시예 4 30 % 에탄올 770
실시예 5 40 % 엔탄올 680
실시예 6 50 % 에탄올 690
실시예 7 60 % 에탄올 650
실시예 8 70 % 에탄올 580
실시예 9 80 % 에탄올 530
실시예 10 90 % 에탄올 550
실시예 11 100 % 에탄올 950
실시예 12 메탄올 680
실시예 13 아세톤 880
실시예 14 에틸아세테이트 950
실시예 15 클로로포름 1248
실시예 16 n-부탄올 950
실시예 17 1,3-부틸렌글라이콜 1250
실시예 18 프로필렌글라이콜 1569
<흑삼 추출물의 DPPH 소거효과>
추출용매 SC 50 = (㎍/ml)
실시예 1 정제수 100% 30.56
실시예 2 10 % 에탄올 35.65
실시예 3 20 % 에탄올 36.96
실시예 4 30 % 에탄올 37.09
실시예 5 40 % 엔탄올 33.11
실시예 6 50 % 에탄올 34.24
실시예 7 60 % 에탄올 25.45
실시예 8 70 % 에탄올 28.83
실시예 9 80 % 에탄올 23.98
실시예 10 90 % 에탄올 28.75
실시예 11 100 % 에탄올 30.05
실시예 12 메탄올 34.48
실시예 13 아세톤 28.05
실시예 14 에틸아세테이트 45.84
실시예 15 클로로포름 65.56
실시예 16 n-부탄올 58.75
실시예 17 1,3-부틸렌글라이콜 56.15
실시예 18 프로필렌글라이콜 53.56
<비교예 1 내지 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감초(비교예 1), 백작약(비교예 2), 괴화(비교예 3)를 1000g을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건조물을 얻었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기존 미백 물질로 개발된 감초(비교예 1), 백작약(비교예 2), 괴화(비교예 3)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추출물 IC 50 = (㎍/ml)
실시예 8 78.53
비교예 1 71.00
비교예 2 269.24
비교예 3 94.42
본 발명의 흑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하고, 미백 효과, 주름 억제 효과, 노화 지연 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Claims (5)

  1. 흑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흑삼 추출물은 추출용매로서 물,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흑삼 추출물이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 ~ 5 % 의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또는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리포좀, 파우더 제형이 함유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및 팩 중 1종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27254A 2005-03-31 2005-03-31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254A KR101180354B1 (ko) 2005-03-31 2005-03-31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254A KR101180354B1 (ko) 2005-03-31 2005-03-31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804A KR20060104804A (ko) 2006-10-09
KR101180354B1 true KR101180354B1 (ko) 2012-09-06

Family

ID=376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254A KR101180354B1 (ko) 2005-03-31 2005-03-31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84B1 (ko) 2015-05-12 2016-10-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10B1 (ko) * 2018-11-23 2020-09-17 (주)다담상사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82367B1 (ko) * 2022-06-14 2022-12-29 (주)올바름디앤비 흑화된 천연 원물의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84B1 (ko) 2015-05-12 2016-10-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804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16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7891B1 (ko) 플라타너스 나무 에탄올 추출물로 부터 미백,주름, 노화 방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3872A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8124A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0354B1 (ko)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0494B1 (ko) 맥문동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27448A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석곡 추출물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0797367B1 (ko)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2348B1 (ko) 마황근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 방지화장료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64227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8990B1 (ko)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10058001A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한방성분 추출방법
KR20040076103A (ko) 항산화 및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7281B1 (ko) 사랑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제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90124351A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