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16B1 - 연속 소둔 설비 - Google Patents

연속 소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16B1
KR101128316B1 KR1020097015134A KR20097015134A KR101128316B1 KR 101128316 B1 KR101128316 B1 KR 101128316B1 KR 1020097015134 A KR1020097015134 A KR 1020097015134A KR 20097015134 A KR20097015134 A KR 20097015134A KR 101128316 B1 KR101128316 B1 KR 10112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inuous annealing
roll
quench zon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812A (ko
Inventor
다카히로 스가노
에이코 야스하라
다카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0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indu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27D2099/0015Induction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갖는 급랭대 출구측에서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해소하고, 베이킹 경화성 강판의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소둔 설비를 제공한다. 적어도 가열대, 균열대 및 급랭대를 구비한 강판용 연속 소둔 설비로서, 상기 급랭대는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가짐과 함께, 상기 급랭대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는 1 쌍 이상의 시일 롤을 배치 형성하고, 추가로 상기 급랭대의 전후에는 2 개 이상의 브라이들 롤로 구성되는 브라이들 롤 유닛을 배치 형성함과 함께, 상기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은 내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갖는 가열 롤을 2 개 이상 갖고, 또한 그 가열 롤의 감기 각도는 각 가열 롤당 100°이상이고 또한 전체 가열 롤 합계로 3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

Description

연속 소둔 설비{CONTINUOUS ANNEA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연속 소둔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대를 연속 소둔한 후, 가스 젯 냉각 장치에서 급랭시킨 후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는 연속 소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외판재 등에 이용되고 있는 냉연 강판이나 용융 아연 도금 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소재가 되는 강대를 연속 소둔로에서 열처리하고 나서 냉각시키거나, 혹은 열처리 후, 용융 아연 도금욕으로 유도하여 용융 아연을 피복하고, 소정의 부착량으로 제어하거나, 혹은 그 후, 가스 가열, 유도 가열 등에 의한 합금화로로 유도하여, 도금층으로 철을 열 확산시키는 합금화 처리를 실시한 후 냉각시키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조질 (調質) 압연을 실시하여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강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연속 소둔로는, 강대를 미리 결정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어닐링 처리한 가열대 및 균열대와, 고온의 강대를 실온 혹은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대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급랭대는, 통상의 냉각대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에, 급랭대와 서랭대 혹은 급랭대와 과시효 (過時效) 처리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한편, 자동차용 강판은, 자동차가 대형화됨에 따라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또 안전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고강도화가, 또한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자동차 차체를 경량화하기 위한 박육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연속 소둔로에서는, 고강도재의 채용에 따른 소둔 온도의 고온화가 진행되고, 이 소둔 온도의 고온화는 강대의 고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강판의 통판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강대의 폭이 넓어지거나 박육화가 거듭됨으로써, 종래의 연속 소둔 기술로는 연속 소둔로의 안정된 조업을 유지하기 어렵다.
그런데, 최근, 연속 소둔로에서의 강대를 고온 상태에서 급랭시키는 재질 제어 수법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성형성과 강도를 겸비한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자동차의 차체용으로 사용되는 베이킹 경화성을 갖는 강판 (소위 BH 강판) 이 있다.
이 강판의 제조에 적용되는 급랭 기술로는, 분위기 가스를 열교환기에서 냉각시킨 냉각 가스를 강대에 고속 가스 젯류로 하여 내뿜는 가스 젯 냉각 방식, 롤 내부에 냉각 매체를 주입하여 롤을 냉각시키고, 이 냉각된 롤을 강대에 가압함으로써 강대를 냉각시키는 롤 냉각 방식 등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중, 가스 젯 냉각 방식은, 냉각 후의 강대의 외관 및 형상이 비교적 양호하고, 또 냉각 설비도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밖의 냉각 방법에 비해 냉각 속도가 낮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냉각 가스의 유속을 높이거나, 가스 젯 노즐과 강대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여 열전달률을 높이거나 하는 것이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냉각 가스 젯류의 증속이나 가스 젯 노즐과 강대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열전달률의 향상에는 효과가 있지만, 냉각 가스가 강대 면에 충돌할 때에, 강대 엣지부의 과냉각을 일으켜,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조장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이킹 경화성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에 의해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라고 하는 결함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자동차용 강판에 대한 품질 요구가 엄격화됨에 따라, 연속 소둔로에서의 온도나 냉각 속도를 더욱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무산화로를 갖는 소둔로의 급속 냉각대의 전부 혹은 후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장비하는 기술이, 또 특허문헌 2 에는, 냉각로의 후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형성하여 유도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용융 아연 도금욕의 전단에, 롤 내에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을 갖는 강판 단부 (端部) 를 가열하기 위한 엣지 가열 롤을 배치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79955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9553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3244호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횡형로의 냉각대 후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배치하고,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종형로의 냉각대 후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강대의 경우에는, 강대의 카테나리 (catenary) 나 휘어짐이 크고, 또한 강대의 형상이 나쁠 때에는, 유도 가열 장치의 가열 코일과 강대가 접촉되기 쉽기 때문에, 스파크나 그에 따른 가열 코일 냉각부로부터의 누수 등의 트러블을 일으키거나, 강대의 파단을 일으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실시예에 나타낸 엣지 가열 롤의 감기 각도가 120°정도로, 강대가 폭이 넓고 두께가 얇으며 또한 형상이 나쁜 경우에는, 강대와 롤의 접촉이 불충분해져, 엣지 가열 롤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것이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로부터 명백해졌다.
또, 소둔로 내에 유도 가열 장치를 설치하고 가열 코일로부터 직접 강대를 가열하는 방법의 경우, 유도 가열 코일의 보수에서는 노를 개방할 필요가 있어, 장시간의 정지가 필요하다. 또한, 강대의 편면당의 열전달 계수 (
Figure 112009043910101-pct00001
) 가 170 W/㎡/℃ 이상인 고속 가스 젯 냉각 설비에서는, 강대면에 충돌한 냉각 가스가 냉각대로부터 유출되어, 급랭대의 입구나 출구에 가깝게 배치된 허스롤에 판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발생시켜, 급랭대 뒤의 강대 엣지부의 과냉이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조장한다. 그리고, 이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은, 강판 폭 방향의 고용 C 량의 불균일화를 초래하고, 나아가서는 상기 서술한 베이킹 경화성 강판의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의 발생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갖는 급랭대 출구측에서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해소하고, 베이킹 경화성 강판의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소둔 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연속 소둔 설비의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갖는 급랭대의 뒤에, 롤 내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갖는 2 개 이상의 가열 롤로 이루어지는 브라이들 롤 유닛을 배치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가열대, 균열대 및 급랭대를 구비한 강판용 연속 소둔 설비로서, 상기 급랭대는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급랭대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는 1 쌍 이상의 시일 롤을 배치 형성하고, 추가로 상기 급랭대의 전후에는 2 개 이상의 브라이들 롤로 구성되는 브라이들 롤 유닛을 배치 형성함과 함께, 상기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은 내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갖는 가열 롤을 2 개 이상 갖고, 또한 그 가열 롤의 감기 각도는 각 가열 롤당 100°이상이고 또한 전체 가열 롤 합계로 3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이다.
본 발명의 연속 소둔 설비는, 냉연 강판의 제조 설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 및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 중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강판을 열처리하는 연속 소둔로의 급랭대 출구에서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킹 경화성 강판에서의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강판의 품질 향상이나 수율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소둔 설비에서의 조업 트러블을 해소하여, 안정된 조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합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제조 설비의 급랭대 전후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제조 설비의 급랭대 전후의 그 밖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유도 가열 장치를 구비한 가열 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1 : 강대
2 : 가열대
3 : 균열대
4 : 급랭대 앞의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
5 : 급랭대 (제 1 냉각대)
6 :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
7 : 냉각대 (제 2 냉각대)
8 : 용융 아연 도금조
9 : 아연 도금 부착량 제어 장치
10 : 합금화로
11 : 전열 히터
12 : 급랭대 앞의 브라이들 롤 유닛
12a : 급랭대 앞의 브라이들 롤 유닛 내의 브라이들 롤
13, 13' : 시일 롤
14 : 가스 젯 냉각 장치
15 : 방사 온도계
16 :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16a :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내의 브라이들 롤
16b : 가열 롤
17 : 유도 가열 장치 (유도 가열 코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 소둔 설비에 대하여,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속 소둔 설비를 구비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를 나타낸 것으로, 1 은 강대, 2 는 가열대, 3 은 균열대, 4 및 6 은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 5 는 급랭대, 7 은 냉각대 (서랭대), 8 은 용융 아연 도금 조, 9 는 아연 도금 부착량 제어 장치, 10 은 합금화로이다.
또, 도 2 는, 본 발명의 연속 소둔 설비에서의 가스 젯 냉각 설비 (14) 를 갖는 급랭대 (5) 및 그 전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급랭대 (5) 전 후의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 (4 및 6) 에는, 강대 (1) 에 원하는 목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 개의 브라이들 롤로 이루어지는 브라이들 롤 유닛 (12 및 16) 이, 또, 급랭대 (5) 내의 가스 젯 냉각 설비 (14) 로부터 분출된 냉각 가스가 급랭대 (5) 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랭대 (5) 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는 시일 롤 (13, 13') 이, 또한 급랭대 (5) 전후의 브라이들 롤 유닛 (12 및 16) 을 수납하는 챔버 (4 및 6) 에는 브라이들 롤의 냉각을 방지하기 위한 전열 히터 (11) 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급랭대 뒤에 배치 형성되는 브라이들 롤 유닛은,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해 롤 내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형성한 가열 롤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도 2 에서는, 급랭대 앞에 5 개의 브라이들 롤 (12a) 로 이루어지는 브라이들 롤 유닛 (12) 을 배치 형성하고, 또, 급랭대 뒤에 4 개의 브라이들 롤 (16a) 로 이루어지는 브라이들 롤 유닛 (16) 을 배치 형성하고, 그 중 급랭대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3 개를 가열 롤 (16b) 로 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랭대 전후의 브라이들 롤 유닛 (12 및 16) 이 각각 3 개의 브라이들 롤로 구성되고,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중 급랭대에 가까운 쪽의 2 개를 가열 롤 (16b) 로 한 것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급랭대 (5) 의 강대 (1) 에 원하는 장력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급랭대 후의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으면, 브라이들 롤이나 가열 롤의 갯수는 2 개이어도 되고, 또, 도 2 나 도 3 과는 상이한 그 밖의 구조 (배치) 의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연속 소둔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대 (1)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향해, 균열대 (3) 로부터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 (4) 로 반송되어, 브라이들 롤 유닛 (12) 에 감기고, 이어서, 급랭대 (5) 에 반송되고, 그 후, 브라이들 롤 유닛 (16) 에 감기도록 하여 통판 (通版) 된다. 그 때, 강대 (1) 는, 브라이들 롤 유닛 (12 및 16) 에 의해, 급랭대 (5) 에서의 원하는 장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롤 내부의 유도 가열 장치에서 미리 가열된 가열 롤 (16b) 을 갖는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16) 에 의해 강대 폭 방향의 온도 분포의 균일화가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연속 소둔 설비에서는, 급랭대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는 1 쌍 이상의 시일 롤을 배치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급랭대의 가스 젯 냉각 설비로부터 분출된 냉각 가스는, 강대면에 충돌한 후, 급랭대의 입구 및 출구, 즉, 급랭대와 그 전후에 형성된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와의 연결부를 통해 브라이들 롤 유닛 챔버에 대량으로 유출되어, 연결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이들 롤의 엣지부를 과잉으로 냉각시킨다. 그 결과, 브라이들 롤의 강대 폭 방향으로 온도 차이를 발생시키고, 게다가 이 온도 불균일은 급랭대에서의 냉각 속도의 불균일을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강대 폭 방향의 고용 C 량의 변동을 초래하여 제품 강대의 스트레쳐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강대의 두께가 얇을 때에는, 상당한 빈도로 스트레처 스트레인이나 주름 무늬를 발생시킨다.
상기 서술한 급랭대 뒤에 배치 형성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브라이들 롤로 구성되는 브라이들 롤 유닛은, 급랭대 내의 강대에 원하는 장력을 부여함과 함께, 그 유닛이 갖는 가열 롤에 의해 강대 폭 방향의 온도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작용을 갖는다. 이 중, 강대 폭 방향의 온도 균일화 효과는, 브라이들 롤, 특히 가열 롤 (16b) 에 대한 강대의 감김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상기 점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상기 온도 균일화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유도 가열 장치가 내장된 가열 롤 (16b) 에 대한 강대의 감기 각도를 각 가열 롤당 100°이상으로 하고, 또한 전체 가열 롤 합계로 380°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었다.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16) 은, 목표로 하는 강대 온도의 균일화가 달성되는 데 필요한 갯수만큼 유도 가열 장치가 내장된 가열 롤로 하고 나머지는 통상의 브라이들 롤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 전부를 유도 가열 장치가 내장된 가열 롤로 하고 필요에 따라 ON, OFF 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어느 경우도, 유도 가열하여 사용하는 롤은 급랭대에 가까운 측의 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열 롤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롤 내부에 150 ~ 300 ㎜ 정도의 폭으로 8 분할된 유도 가열 코일 (17) 을 배치 형성한 예이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은, 100 ㎜ 폭 당 10 ~ 30 ㎾ 의 가열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강대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에 따라, 가열 유무의 선택이나 가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소둔 설비는, 상기 요건을 구비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 어도 되고, 상기에 설명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 외에, 예를 들어, 냉연 강판의 제조 설비나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여도 된다.
실시예
C : 0.0005 ~ 0.0025 mass%, Nb : 0.005 ~ 0.025 mass% 를 함유하는 판 두께 : 0.65 ㎜ × 판 폭 : 1820 ㎜ 의 냉간 압연 후의 강대를 도 1, 2 에 나타낸 연속 소둔 설비를 갖는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 통판시키고, 820 ~ 880 ℃ × 2 ~ 4 초의 소둔을 실시한 후 편면 당의 열 전달 계수 (
Figure 112009043910101-pct00002
) 가 280 W/㎡/℃ 인 가스 젯 냉각 설비에서 500 ~ 550 ℃ 까지 급랭시키고, 그 후, 서랭시킨 후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하고, 합금화 처리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45 g/㎡ (편면 당) 인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때,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의 통판 조건 (가열 롤 사용 갯수, 각 가열 롤의 감기 각도 및 합계의 감기 각도) 을, 가열 롤의 사용 갯수를 유도 가열 장치의 ON, OFF 에 의해, 또, 감기 각도를 가열 롤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또, 가열 롤의 폭 방향의 출력은 균일하게 하여, 1 개 당 200 ㎾ 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폭 방향으로부터 가로 세로 300 ㎜ 의 시험편을 각 조건으로 5 장씩 잘라내고, 이어서, 이 시험편에 변형량이 3% 인 장출 가공을 부여하고, 그 표면에 발생된 주름 무늬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5 장의 시험편 모두 주름 무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 가벼운 주름 무늬가 발생한 것을 △, 주름 무늬가 크게 발생한 것을 × 로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 출 구 측에서, 강대 폭 방향 중앙부와 최단부로부터 50 ㎜ 위치의 온도를 방사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양단부와 중앙부의 온도 차이의 평균을 구하여 그 결과도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3910101-pct00003
표 1 로부터, 본 발명을 충족하는 각 가열 롤의 감기 각도가 100°이상이고 또한 전체 가열 롤의 합계 감기 각도가 380°이상인 경우에는, 강대 폭 방향의 온도 차이를 3 ℃ 이내로 할 수 있어, 제품 강대에서의 주름 무늬의 발생이 방지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강대 이외의 금속대의 소둔로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적어도 가열대, 균열대 및 급랭대를 구비한 강판용 연속 소둔 설비로서, 상기 급랭대는 가스 젯 냉각 설비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급랭대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는 1 쌍 이상의 시일 롤을 배치 형성하고, 추가로 상기 급랭대의 전후에는 2 개 이상의 브라이들 롤로 구성되는 브라이들 롤 유닛을 배치 형성함과 함께, 상기 급랭대 뒤의 브라이들 롤 유닛은 내부에 유도 가열 장치를 갖는 가열 롤을 2 개 이상 갖고, 또한 그 가열 롤의 감기 각도는 각 가열 롤당 100°이상이고 또한 전체 가열 롤 합계로 3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냉연 강판의 제조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 설비.
KR1020097015134A 2007-02-14 2008-02-14 연속 소둔 설비 KR101128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32859 2007-02-14
JP2007032859A JP5130733B2 (ja) 2007-02-14 2007-02-14 連続焼鈍設備
PCT/JP2008/052919 WO2008099970A1 (ja) 2007-02-14 2008-02-14 連続焼鈍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812A KR20090102812A (ko) 2009-09-30
KR101128316B1 true KR101128316B1 (ko) 2012-03-23

Family

ID=396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134A KR101128316B1 (ko) 2007-02-14 2008-02-14 연속 소둔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97205B2 (ko)
EP (1) EP2112238B1 (ko)
JP (1) JP5130733B2 (ko)
KR (1) KR101128316B1 (ko)
CN (1) CN101611159B (ko)
CA (1) CA2678110C (ko)
TW (1) TWI341331B (ko)
WO (1) WO2008099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8322A1 (en) 2009-07-14 2011-08-25 Tensegrity Prosthetics Inc. Joints for Prosthetic, Orthotic and/or Robotic Devices
US9290823B2 (en) * 2010-02-23 2016-03-2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of metal processing using cryogenic cooling
WO2013084405A1 (ja) * 2011-12-05 2013-06-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合金化処理装置、合金化制御方法および合金化度算出方法
KR101376565B1 (ko) * 2011-12-15 2014-04-02 (주)포스코 연속 소둔라인 급냉대의 스트립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
DE102011056846B4 (de) * 2011-12-22 2014-05-28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reißdeckels sowie Verwendung eines mit einer Schutzschicht versehenen Stahlblechs zur Herstellung eines Aufreißdeckels
JP5510495B2 (ja) 2012-05-24 2014-06-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帯の連続焼鈍炉、連続焼鈍方法、連続溶融亜鉛めっき設備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5505461B2 (ja) * 2012-05-24 2014-05-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帯の連続焼鈍炉、鋼帯の連続焼鈍方法、連続溶融亜鉛めっき設備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FR3014447B1 (fr) * 2013-12-05 2016-02-05 Fives Stein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d'une bande d'acier
KR101568547B1 (ko) 2013-12-25 2015-11-1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연속소둔 장치 및 그 연속소둔 방법
CN104775012B (zh) * 2014-01-10 2017-02-0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均匀加热带钢的宽幅面感应加热装置
US11236427B2 (en) 2017-12-06 2022-02-01 Polyvi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line thermal flattening and enameling of steel sheets
CN111996361A (zh) * 2020-09-08 2020-11-27 白建生 一种漆包线生产用退火炉
CN112591528A (zh) * 2020-12-15 2021-04-02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钢带上下料设备及其实现方法
EP4303516A1 (en) * 2022-07-05 2024-01-10 John Cockerill S.A. Device for improving preoxidation in an annealing furnace
CN116121498A (zh) * 2023-02-07 2023-05-16 金长城线缆有限公司 铜丝连续退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744A (ja) * 1998-03-26 1999-12-07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処理炉ならびに連続熱処理炉における雰囲気制御方法および冷却方法
US6437301B1 (en) * 1999-03-29 2002-08-20 Tokuden Co., Ltd. Induction heating roller apparatus
JP2005113244A (ja) * 2003-10-10 2005-04-28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操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28B2 (ja) 1987-01-13 1995-05-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クラツド材製造時における素材の加熱方法
JPH06179955A (ja) 1992-12-12 1994-06-28 Daido Steel Co Ltd 金属ストリップの亜鉛メッキ用連続焼鈍炉
JP2912569B2 (ja) 1995-07-26 1999-06-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焼鈍設備における再加熱方法
KR100541003B1 (ko) * 1998-03-26 2006-01-10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열처리로 및 연속 열처리로의 냉각 방법
JP2000256753A (ja) * 1999-03-04 2000-09-19 Nkk Corp 炉内ロールのロールクラウン調整装置
JP2002003956A (ja) * 2000-06-27 2002-01-09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処理炉の急冷帯前後用ロール及び急冷帯設備
JP2002241845A (ja) 2000-12-14 2002-08-28 Kawasaki Steel Corp 鋼帯の冷却方法
JP2004339553A (ja) 2003-05-14 2004-12-02 Nkk Steel Sheet & Strip Corp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744A (ja) * 1998-03-26 1999-12-07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処理炉ならびに連続熱処理炉における雰囲気制御方法および冷却方法
US6437301B1 (en) * 1999-03-29 2002-08-20 Tokuden Co., Ltd. Induction heating roller apparatus
JP2005113244A (ja) * 2003-10-10 2005-04-28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操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2238A1 (en) 2009-10-28
WO2008099970A1 (ja) 2008-08-21
EP2112238B1 (en) 2016-04-13
EP2112238A4 (en) 2014-10-08
CA2678110C (en) 2012-05-01
TW200844239A (en) 2008-11-16
US8097205B2 (en) 2012-01-17
KR20090102812A (ko) 2009-09-30
TWI341331B (en) 2011-05-01
CA2678110A1 (en) 2008-08-21
JP2008196015A (ja) 2008-08-28
CN101611159A (zh) 2009-12-23
JP5130733B2 (ja) 2013-01-30
CN101611159B (zh) 2011-08-10
US20100044932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316B1 (ko) 연속 소둔 설비
US8522586B2 (en) Method for flexibly rolling coated steel strips
CN108474052B (zh) 骤冷淬火装置及骤冷淬火方法
CN106687609B (zh) 对铝合金片材材料进行退火的方法
CN105886750A (zh) 1180MPa级Q&P钢的连续热镀锌方法
CN103103328B (zh) 一种生产低碳钢板的方法和一种低碳钢板
EP2495343A1 (en) Gas jet cooling device for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CN109811264A (zh) 抗拉强度不小于600MPa的高扩孔钢板的制备方法
JP7258619B2 (ja) 鋼板連続焼鈍設備及び焼鈍鋼板の製造方法
KR100704692B1 (ko) 용융도금 금속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0779370A1 (en) Method of continuous annealing of cold rolled steel plate and equipment therefor
JP5928412B2 (ja) 鋼板の竪型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EP1444371B1 (en) In-line process for the recrystallization of solidified coarse strips in carbon steel and in low-alloyed steel
JP6870701B2 (ja) 鋼板の冷却方法、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JP4192857B2 (ja) 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4306665A1 (en) Continuous annealing equipment, continuous annealing method, cold-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plat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EP3943619B1 (en) Quen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sheet
CN104313461A (zh) 汽车结构用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13165060B (zh) 钢的连续铸造方法
KR20170056668A (ko) 중강판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JP4221978B2 (ja) 金属帯製造設備内での腰折れ発生を防止する金属帯の製造方法
US20170298463A1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 band material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cross the width of the band
US20220349018A1 (en) Metal-strip rapid cooling apparatus, metal-strip rapid cooling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metal strip product
KR20120042488A (ko) 저투자율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4389435B2 (ja) 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