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566B1 -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566B1
KR101127566B1 KR1020090001460A KR20090001460A KR101127566B1 KR 101127566 B1 KR101127566 B1 KR 101127566B1 KR 1020090001460 A KR1020090001460 A KR 1020090001460A KR 20090001460 A KR20090001460 A KR 20090001460A KR 101127566 B1 KR101127566 B1 KR 10112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gelin
protein
radiation
cancer cell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125A (ko
Inventor
김인규
김태림
백상기
김국찬
정일래
강세찬
조은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0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38Radiosensitizing, i.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radiothera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저산소 환경의 폐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transgelin 2 단백질은 Akt 단백질의 인산화를 활성화시켜 방사선 또는 항암제 등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transgelin 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방사선 또는 항암제 등의 스트레스에 대한 암세포의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 억제제를 함유하는 항암보조제는 암세포, 특히 폐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을 극대화하므로 방사선요법 또는 화학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항암치료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ansgelin 2, Akt의 인산화, 세포의 성장저해, 방사선 민감도, 항암보조제

Description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chemical sensitivity or radiosensitivity of cancer cell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transgelin 2}
본 발명은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transgelin 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Akt 단백질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암세포의 방사선 또는 항암제 등의 DNA 손상 물질(damaging agents)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산소 환경은 빠르게 성장하는 종양세포가 처하게 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Hockel, M and Vaupel, P., J Natl Cancer Isnt 93(4):266-276, 2002). 저산소 환경은 일반적으로 세포사멸을 초래하게 되는데, 종양세포는 이러한 저산소 환경을 극복하고 적응하여 생존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는 대사생 리(glucose transport 또는 glycolysis)에 관계하거나 혈관신생(angiogenesis)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을 활성화된다(Deberardinis R.J., et. al., Cell Metab. 7(1):11-20, 2008; Shaw, R.J., Curr. Opin. Cell Biol. 18(6): 598-608, 2006; Carmeliet P, et al., Nature. 394 (6692):485-490, 1998).
이러한 상황에서 세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전사인자인 HIF-1(hypoxia inducible factor 1)가 현재까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어 있는데, 이 전사인자는 극한 환경을 극복하고 생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에서는 저산소 환경하에서 HIF-1과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단백질들이 유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항사멸인자(anti-apoptotic) 단백질인 IAP-2, RNA 결합 단백질(binding protein)인 RBM3 CIRP, 및 활성전사인자인자(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4)인 ATF-4 등이 그 예이다(Dong, Z., et al., J Biol Chem. 276(22): 18702- 18709, 2001; Ameri, K., et al., Blood. 103(5):1876-1882, 2004; Wellmann. S., et al., J Cell Sci. 117(Pt 9):1785-1794. 2004). 이러한 적응과정에서 살아남은 세포들의 특징은 감마방사선 및 항암제 등에 대한 상당한 내성을 얻게 되고 더 악성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Johan, B., et al., Radiother Oncol. 67(1):3-15, 2003; Hockel, M. et al., Cancer Res. 56(19):4509-4015, 1996; Semenza, G.L., Cancer Cell. 5(5): 405-406, 2004).
PI3K(Phosphoinisitide-3-kinase)/Akt 경로에서 Akt의 인산화 활성은 유방암세포를 비롯한 많은 종양세포에서 감마 방사선과 치료제(therapeutic agents)에 대 한 저항성을 나타나게 한다(Naus, L. et 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1:474-477, 2001; Kraus,A.C. et al., oncogenes 21:8683- 8695, 2002; Ke Liang et al.,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2:353-360, 2003; Soderlund, K. et al., Int. J. Oncol. 26(1):25-32, 2005; Kim, T.J. et al., British Journal of Cancer 94: 1678-1682, 2006; Jiang, Z. et al., Cancer Res. 7(9):4467-4473, 2007). 소세포성 폐암세포(small cell lung cancer)에서도 Akt/NF-kB 경로가 가동되어 세포의 약물저항성이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Akt 인산화는 IkB 인산화효소(kinase)를 인산화시키고 활성화시켜 IkB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NF-kB 단백질에서 저해제인 IkB가 떨어져 나갈 경우, NF-kB는 핵안으로 이동하여 세포사멸에 저하 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저항성 관련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한다(Ozes, O.N. et al., Nature 401:82-85, 1999; Romashkova and Makarov, Nature 401:86-90, 1999).
Nagase T(Nagase, T. et al., DNA Res. 2: 37-43, 1995) 등은 human immature myeloid cell line으로부터 KIAA0120이라 불리는 transgelin-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cDNA를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Transgelin-2 단백질의 199개의 아미노산중 쥐 신경 단백질(rat neuronal protein)인 NP25와 69.7%의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다(Stanier, et al., Genomics 51:144-147, 1996). 16종류의 사람조직을 노던블랏(Nothern blot)으로 transgelin-2 단백질의 유전자발현을 분석한 결과, 폐, 간, 콩팥, 비장, 흉선(가슴샘), 대장, 소장, 태반, 전립선, 정소 및 난소 조직, 및 말초혈 백혈구(peripheral blood leukocytes)에서는 과발현이 되고 골격 근(skeletal muscle), 췌장(pancrease) 및 심장(heart) 조직, 및 뇌(brain)조직에서는 저발현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Transgelin-2 단백질의 세포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근 한 연구보고에서는 transgelin-2이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처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신경세포사멸(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eath) 과정에서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 70 및 비멘틴(vimentin) 등과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ang, S. et al., Cellular & Molecular Biology Letters, 12: 139-147, 2007).
이에, 본 발명자들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던 중, Transgelin-2 과발현 세포인 폐암세포에서 transgelin 2 유전자의 발현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한 후 Akt 인산화 정도, 세포 증식, 및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대한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transgelin 2 유전자의 발현의 억제가 폐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kt 인산화 정도를 감소시키며,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 및 감마방사선에 대한 폐암세포의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또는 방사선 등의 DNA 손상인자(DNA damaging agents)에 대한 암세포의 민감도를 증진시켜 암세포의 세포사멸 효과를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항암보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암세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세포주의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세포주의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transgelin 2 단백질은 종양조직에서 볼 수 있는 저산소 환경에서 과발현하고, 상기 과발현은 스트레스 저항성 증가에 관여하는 세포 내 Akt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암세포에서 transgelin 2 유전자의 저발현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방사선 또는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 효과를 극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항암보조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암보조제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산소 환경을 야기하여 transgelin 2 단백질이 과발현되는 암은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은 하기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ANRGPAYGL SREVQQKIEK QYDADLEQIL IQWITTQCRK DVGRPQPGRE NFQNWLKDGT
VLCELINALY PEGQAPVKKI QASTMAFKQM EQISQFLQAA ERYGINTTDI FQTVDLWEGK
NMACVQRTLM NLGGLAVARD DGLFSGDPNW FPKKSKENPR NFSDNQLQEG KNVIGLQMGT
NRGASQAGMT GYGMPRQIL(서열번호: 1).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억제제는 transgelin 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또는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인 것이 바람직하며, transgelin 2 단백질의 활성 억제제는 transgelin 2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siRNA는 인간 transgelin 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서열번호: 2)의 mRNA의 염기서열 내에서 선택되는 15 내지 30 머(mer)의 센스 서열 및 상기 센스 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서열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센스 서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5개의 염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는 왓슨-클릭 염기쌍에 정의된 바에 따라, DNA, 미성숙-mRNA 또는 성숙된 mRNA의 상보적 염기서열에 결합(혼성화)하여 DNA에서 단 백질로서 유전정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다. 표적 서열에 특이성이 있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의 성질은 그것들을 예외적으로 다기능이 되도록 한다.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는 모노머 단위의 긴 사슬이기 때문에 이들은 표적 RNA 서열에 대해 쉽게 합성될 수 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은 표적 단백질을 연구하기 위한 생화학적 수단으로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의 유용성을 증명하였다(Rothenberg et al., J. Natl. Cancer Inst., 81:1539-1544, 1999).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화학 및 향상된 세포흡착, 표적결합 친화도 및 뉴클레아제 내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티드 합성 분야에서 최근 많은 진보가 있었으므로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의 사용은 새로운 형태의 억제제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펩티드 미메틱스(Peptide Minetics)는 transgelin 2 단백질의 결합 도메인을 억제하는 펩티드 또는 비펩티드로서 transgelin 2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비가수분해성 펩티드 유사체의 주요 잔기로는 β-턴 디펩티드 코어(Nagai et al. Tetrahedron Lett 26:647, 1985), 케토-메틸렌 슈도펩티드류(Ewenson et al. J Med Chem 29:295, 1986; 및 Ewenson et al. in Peptides: Structure and Function(Proceedings of the 9th American Peptide Symposium) Pierce Chemical Co. Rockland, IL, 1985), 아제핀(Huffman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d.,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벤조디아제핀(Freidinger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d.,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β-아미노알콜(Gordon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26:419 1985) 및 치환 감 마 락탐환(Garvey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ell ed.,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transgelin 2 단백질이 폐암세포주의 저산소 환경에서 매우 유의성 있게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transgelin 2 단백질이 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Akt 인산화 과정(akt phosphorylation)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폐암세포주에서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유전자를 pcDNA3.1/TG2 벡터를 이용하여 과발현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폐암세포가 감마방사선 및 항암제등에 상당한 저항성을 보이며, 반대로 Transgelin 2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duplex oligoribonucleotides)를 처리하여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유전자를 저발현 시켰을 경우에는 폐암세포의 성장저해는 물론 방사선 및 항암제등에 대하여 상당히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암세포의 치료과정에서 transgelin 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감마방사선 또는 항암제 등의 DNA 손상인자(DNA damaging agents) 처리시 세포사멸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표적 기관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 기관 특이적 항체 또는 기타 리간드를 상기 담체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뉴클레오티드 또는 핵산은, 경구, 국소, 비경구, 비 내, 정맥 내, 근육 내, 피하, 안 내, 경피 등의 투여를 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핵산 또는 벡터가 주사가능한 형태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서 특히 처리될 영역으로는 직접적인 주입을 위하여 주사 가능한 조성물을 위한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등장 멸균 용액 또는 건조 특히 멸균수 또는 적절한 생리 식염수의 첨가에 따라 주사 가능한 용액의 조성을 가능케 하는 동결건조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종양으로의 핵산의 직접적인 주입은 치료 효율을 감염된 조직에 집중시키도록 하므로 유리하다. 사용되는 핵산의 투여량은 다양한 파라미터, 특히 유전자, 벡터, 사용되는 투여 방식, 문제시되는 질병 또는 대안적으로 요구되는 치료기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2.5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5 mg/kg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암세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산소 환경을 야기하여 transgelin 2 단백질이 과발현되는 암세포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은 하기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억제제는 transgelin 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또는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인 것이 바람직하며, transgelin 2 단백질의 활성 억제제는 transgelin 2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합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사선은 선원이 60Co인 감마 방사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transgelin 2 단백질이 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Akt 인산화 과정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폐암세포에서 transgelin 2 단백질을 과발현시킨 경우에는 폐암세포가 감마방사선 및 항암제등에 상당한 저항성을 보이며, 반대로 Transgelin 2 단백질을 저발현시킨 경우에는 폐암세포의 성장저해는 물론 방사선 및 항암제등에 대하여 상당히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ransgelin 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제를 암세포에 투여함으로써 암세포의 항암제 또는 감마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세포주의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transgelin 2 단백질은 하기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RT-PCR, 면역어세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사체 또는 그로부터 코딩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SDS-PAGE, 형광물질 증의 리포터 유전자를 이용한 형광 측정 방법, high throughput system의 일환인 DNA 칩 또는 단백질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화합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선은 선원이 60Co인 감마 방사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산소 환경을 야기하여 transgelin 2 단백질이 과발현되는 암세포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transgelin 2 단백질 발현 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세포주의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transgelin 2 단백질은 하기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RT-PCR, 면역어세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사체 또는 그로부터 코딩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SDS-PAGE, 형광물질 증의 리포터 유전자를 이용한 형광 측정 방법, high throughput system의 일환인 DNA 칩 또는 단백질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화합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선은 선원이 60Co인 감마 방사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산소 환경을 야기하여 transgelin 2 단백질이 과발현되는 암세포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산소 환경에서의 폐암세포주의 배양
인간의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H460 세포 및 H1299 세포[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들은 100 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SIGMA, USA), 10% 우태아 혈청(Hyclone)을 포함한 complete RPMI 1640 배지에서 3×106 세포/10 ml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동시에 complete RPMI 1640 배지만을 1% 저산소(Hypoxia) 환경인 챔버(chamber)에 24시간 이상 두어, 갈아줄 배지를 미리 1% 저산소 상태로 준비하여 놓았다. 24시간 배양한 폐암 세포주를 1% 저산소 챔버(Hypoxia chamber)로 옮겨 미리 준비해놓은 갈아준 뒤, 1% 저산소 환경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거할 때에는 챔버로부터 꺼내자마자 바로 얼음위에서 세포를 긁어모았고, 세포파쇄 완충액(lysis buffer)를 넣을 때까지의 과정을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2> Transgelin-2 발현 벡터의 제조 및 세포내 도입
Transgelin-2 발현 벡터를 제조하기 위해, 691 bp의 센스(sense) Transgelin-2 유전자를 프라이머(primer)[Hind Ⅲ/포워드(forward): 5'-ATTCAAAGCTTTTGAGTCAGTGCGCT-3'(서열번호: 3), EcoR I/리버스(reverse): 5'-TTGAATTCGGGTGGGATCAGAGG-3'(서열번호: 4)]를 이용하여 인간 유래 Transgelin-2 cDNA를 주형(template)으로 한 연쇄중합반응(PCR)을 통해 얻었다. 확보한 Transgelin-2 cDNA는 발현벡터인 pcDNA3.1(invitrogen, USA)에 HindⅢ와 EcoRI 제한효소 위치를 이용하여 클로닝하였고, 이를 pcDNA3.1/TG2로 명명하였다. pcDNA3.1/TG2 DNA를 세포 내에 형질도입할 때는 Lipofectamine 2000(invitrogen, USA)을 이용하였다. 형질도입한 세포들은 72시간 또는 96시간 경과 후에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도 3).
<실시예 3> Transgelin-2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duplex oligoribonucleotides)의 제작 및 형질도입
Transgelin-2 유전자에 대한 siRNA는 Invitrogen사에 유전자의 서열정보를 제공한 후 주문제작서비스(custom service)로 제작한 25-머(mer) Transgelin-2 stealth RNA를 사용하였다(표 1). 이들을 세포에 도입할때는 세포 1×105개당 각각 의 RNA를 100 nM씩 취해 Lipofectamine RNAi MAX(invitrogen)을 이용하여 형질도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Transgelin-2에 대한 siRNA의 서열
프라이머 서열 (5' → 3')
HSS144745 (RNA)-AGU UCU GGA AGU UCU CGC GUC CAG G(서열번호 5)
(RNA)-CCU GGA CGC GAG AAC UUC CAG AAC U(서열번호 6)
<실시예 4>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 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 2 O 2 ) 처리와 감마방사선 조사
Transgelin-2의 발현량을 보는 실험에서는, 10 cm 디쉬(dish)에 3 × 106세포를 분주하고 세포기 배양용기 표면에 흡착이 된 후(약 24시간) 각 시약들을 제시된 시간별 및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감마방사선 조사는 T75 플라스크에 5 × 106 세포로 분주하여 그 다음날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선원은 60Co를 이용하였고 총선량 5 Gy(선량률 0.5 Gy/min)씩 일주일 간격으로 3회 조사하였다.
<실험예 1>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의 확인
폐암세포주에서 Transgelin-2 발현양 및 Akt 인산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폐암세포에서 웨스턴 블럿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107 개의 세포를 수거하여 PBS로 2회 씻어준 후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칵테일(protease inhibitor cocktail)[2 mM AEBSF, 1 mM EDTA, 130 μM 베스타틴(Bestatin), 1 μM 레우펩틴(leupeptin), 14 μM E-64, 0.3 μM 아프로티닌(Aprotinin)]과 탈인산가수분해효소 억제제(phosphatase inhibitor)를 포함한 RIPA 완충용액[0.5 M Tris-HCL, pH 7.4, 1.5 M NaCl, 2.5%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10% NP-40, 10 mM EDTA]으로 현탁한 세포를, 얼음에 20분 방치한 후 빠르게 볼텍싱(vortexing)하는 과정을 연속하여 3회 반복하였다. 12000 rpm, 4℃에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수거한 뒤, 다시 12000 rpm, 4℃에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깨끗한 상층액만을 수거하였다. 상층액에 포함된 단백질을 로우리 방법(Lowry method)으로 정량한 뒤 7.5 ~ 12% 아크릴아마이드 겔(acrylamide gel)로 분리하여 PVDF 막에 블럿팅하였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에 1차 항체[anti-Tg2(ProteinTech Group, Inc), anti-phospho-Ser473 Akt, anti-Akt, anti-phospho-Tyr1068 EGFR, anti-EGFR, β-actin(Cell Signaling Technology)]를 적정한 농도로 반응시킨 후 페록시다아제(peroxidase)가 표지되어 있는 2차 항체[anti-mouse IgG HRP-linked antibody, anti-rabbit IgG HRP-linked antibody (Cell Signaling Technology)]를 붙인 후 ECL 탐색 키트(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정도를 관찰하였다.
우선, 1% 저산소 챔버(Hypoxia chamber)에서 24시간 배양한 폐암세포주 A549 세포와 H460 세포의 Transgelin-2 발현양 및 Akt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럿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폐암세포주인 A549 세포와 H460 세포는 Transgelin-2 발현양 및 Akt 인산화 정도가 정상 세포에 비해 확연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폐암세포주인 A549 세포에 E-pcDNA(V.C.) 또는 Transgelin-2를 과발현시키는 발현벡터(pcDNA3.1/TG2)를 형질도입한 경우(A549/Tg2(+), 72h 및 96h)와 H460 세포에 E-pcDNA(V.C.)와 pcDNA3.1/TG2 벡터를 형질도입한 경우(H460/Tg2(+), 72h 및 96h)에 대한 Transgelin-2 발현량, 및 각 시료에서의 Akt의 인산화와 EGFR의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Transgelin-2 과발현 세포들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Transgelin-2 단백질 발현양이 모두 증가하였고, Transgelin-2 발현양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던 Akt의 인산화 정도도 상당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Akt의 인산화를 조절하는 상위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EGFR의 인산화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시료 사용양에 대한 보정은 액틴(actin)의 발현양을 확인하는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도 4).
또한, 폐암세포주인 A549 세포와 H460 세포에 Transgelin-2-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duplex oligoribonucleotides)를 형질도입한 경우(Transgelin-2 si-48h 및 72h)에서 Transgelin-2의 발현양을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하였다. Scrambled StealthTM RNA molecule를 도입한 세포(Negative control; N.C)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siRNA를 처리한 세포들의 경우 Transgelin-2의 발현이 확연하게 감소하여서 siRNA가 효과적인 발현 억제제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Akt의 인산화 정도도 확연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Transgelin-2의 과발현에 의한 Akt 인산화 정도의 증가와 같은 맥락의 결과로서, Transgelin-2의 발현이 Akt의 인산화를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도 8).
<실험예 2>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염색법 및 유동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 Assay)을 이용한 세포성장률, 세포사멸 및 세포주기 측정
세포성장률 및 생존세포 확인을 알아보기 위해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2×104 세포를 각각 분주하고, 다음날 Transgelin 2 stealth-RNA 후보 3종류 중 가장 효율이 좋은 Transgelin 2-siRNA 듀플렉스 올리고보뉴클레오티드 HSS144745번을 Lipofectamine RNAi MAX(invitrogen)을 이용해 형질 도입하였다. 24시간 후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세포수 대비 형질 도입한 세포수를 트리판 블루(trypan blue)를 이용하여 카운팅(counting)하였고, 48시간 및 72시간도 같은 방법으로 세포수를 카운팅하였다. 72시간 째 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시약으로 10분 동안 염색한 후 수차례 PBS로 세척한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포사멸 및 세포주기를 분석하기 위해 유동세포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5×105 세포를 얻어 차가운 70% 에탄올 500 ㎕로 부유하여 -20℃에서 30분간 세포를 고정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다음, PBS로 씻어주었다. 그 후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PI) 염색시약[PBS, pH 7.4, 0.1% Triton X-100, 0.1 mM EDTA, 0.05 mg/ml RNase A(50units/ mg), 50 ㎍/ml propidium iodide] 500 ㎕를 넣어 4℃에서 1시간 염색한 후 분석하였다.
Transgelin-2의 발현억제에 따른 세포증식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Transgelin-2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 후보 프라이머를 세포 내 도입한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법과 유동세포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스크램블된(Scrambled) StealthTM RNA 분자를 도입한 대조군 세포(Negative control, N.C)와 비교하여 Transgelin-2를 억제시키는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를 형질도입한 경우에 세포증식이 80% 정도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험예 3> 스트레스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민감도 분석
스트레스를 처리한 폐암세포주에서 Transgelin 2 발현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0 cm 디쉬(dish)에 3×106 세포를 분주하고 세포기 배양용기 표면에 흡착시킨 후(약 24시간),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을 시간별 및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감마방사선 조사는 T75 플라스크에 5X106 세포로 분주하여 그 다음날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선원은 60Co를 이용하였고 총선량 5 Gy(선량률 0.5 Gy/min)씩 일주일 간격으로 3회 조사하였다.
우선, A549 세포에 시스플라틴을 50 uM 및 100 uM으로 6시간 처리, MMS를 50 uM 및 500 uM으로 6시간 처리, 및 H2O2를 500 uM 및 1000 uM으로 6시간 처리한 경우, 및 H460 세포에 시스플라틴을 20 uM 및 50 uM으로 6시간 및 24시간 처리한 경우의 Transgelin-2의 발현량을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A549 세포에서는 특히 MMS 및 H2O2을 처리한 세포에서 Transgelin-2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H460 세포에서는 시스플라틴에 의하여 Transgelin-2의 발현이 확연히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해 Transgelin-2의 발현이 확연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5 Gy 1회 조사 후 72시간과 5 Gy씩 2회 조사 후 48시간 뒤 수거한 세포에서 Transgelin-2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도 2).
또한, Transgelin-2의 과발현이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549 세포에 E-pcDNA(V.C.) 또는 Transgelin-2를 과발현시키는 발현벡터(pcDNA3.1/TG2)를 형질도입한 세포(A549/Tg2(+))와 H460 세포에 E-pcDNA(V.C.)와 pcDNA3.1/TG2 벡터를 형질도입한 세포(H460/Tg2(+))에 시스플라틴 120 uM 및 240 uM을 6시간 처리하거나 20 Gy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로 염색한 다음, 상기 <실험예 2>와 같은 유동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 스트레스원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Trangelin-2의 과발현 여부에 상관없이 자연적이 세포사멸 수준정도만이 확인되었으나, 각 스트레스원을 처리했을 때 V.C. 대조군 세포는 상당한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에 비해 Transgelin-2 과발현 세포(Tg 2(+))의 경우에는 세포사멸이 절반정도 억제되었다. 이는 Transgelin-2의 과발현이 폐암세포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사멸과정을 더 효과적으로 견뎌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5 및 도 6).
또한, Transgelin-2의 발현억제가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549 세포에 Transgelin-2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한 세포에 시스플라틴을 240 uM으로 6시간 처리하거나 10 Gy(선량률 1.333 Gy/min)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염색시약인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로 염색한 다음, 상기 <실험예 2>와 같은 유동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si-Control) 세포에 비해 Transgelin-2 siRNA를 형질도입한 경우에서 세포사멸이 2배 정도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Transgelin-2의 발현억제가 폐암세포에서 시스플라틴 처리 또는 감마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사멸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9 및 도 10).
본 발명의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 억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세포, 특히 폐암세포의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켜 세포사멸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방사선요법 또는 화학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항암치료가 가능하다.
도 1은 폐암세포주 A549 세포와 H460 세포에 1% 저산소 챔버(Hypoxia chamber)에서 24시간 배양시킨 후, Transgelin-2의 발현양과 Akt의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폐암세포주 A549 세포와 H460 세포에 시스플라틴, MMS 및 H2O2를 농도별과 시간별로 처리한 뒤 Transgelin-2의 발현량, 및 A549 세포에 감마선 조사를 조사량과 시간 별로 조사한 뒤 Transgelin-2의 발현량을 각각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Transgelin-2 발현벡터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은 정상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에 E-pcDNA(V.C.) 또는 Transgelin- 2를 과발현시키는 발현벡터(pcDNA3.1/TG2)를 형질도입한 경우(A549/Tg2(+), 72h 및 96h)와 H460세포에 E-pcDNA(V.C.)와 pcDNA3.1/TG2 벡터를 형질도입한 경우(H460/Tg2(+), 72h 및 96h)에 대한 Transgelin-2 발현량, 및 각 시료에서의 phospho-Akt와 phospho-EGFR의 양을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Transgelin-2의 과발현과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A549 폐암세포에 시스플라틴 240 uM을 6시간 처리하거나 20Gy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염색시약인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로 염색한 후 유성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 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Transgelin-2의 과발현과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H460 폐암세포에 시스플라틴 240 uM을 6시간 처리하거나 20Gy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염색시약인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로 염색한 후 유성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Transgelin-2의 발현억제에 따른 세포증식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Transgelin-2 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 후보 프라이머(duplex oligoribonucleotides candidate primer)를 세포내 도입한 뒤,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염색법을 통한 살아 있는 세포수를 나타내는 그림, 및 세포성장곡선[X축: 시간(hour), Y축: 세포수(×104 /24 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폐암세포주 A549 세포와 H460 세포에 Transgelin-2-siRNA 듀플렉스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를 형질도입한 경우(48h 및 72h)에서 Transgelin-2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Transgelin-2의 발현억제가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549 폐암세포에 시스플라틴 240 uM을 6시간 처리하거나 10 Gy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염색시약인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로 염색한 후 유성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Transgelin-2의 발현억제가 시스플라틴 처리 및 감마방사선 조사에 대한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460 폐암세포에 시스플라틴 240 uM을 6시간 처리하거나 10 Gy의 감마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염색시약인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로 염색한 후 유성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10>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20>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chemical sensitivity or radiosensitivity of cancer cell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transgelin 2 <130> 8p-10-26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9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Ala Asn Arg Gly Pro Ala Tyr Gly Leu Ser Arg Glu Val Gln Gln 1 5 10 15 Lys Ile Glu Lys Gln Tyr Asp Ala Asp Leu Glu Gln Ile Leu Ile Gln 20 25 30 Trp Ile Thr Thr Gln Cys Arg Lys Asp Val Gly Arg Pro Gln Pro Gly 35 40 45 Arg Glu Asn Phe Gln Asn Trp Leu Lys Asp Gly Thr Val Leu Cys Glu 50 55 60 Leu Ile Asn Ala Leu Tyr Pro Glu Gly Gln Ala Pro Val Lys Lys Ile 65 70 75 80 Gln Ala Ser Thr Met Ala Phe Lys Gln Met Glu Gln Ile Ser Gln Phe 85 90 95 Leu Gln Ala Ala Glu Arg Tyr Gly Ile Asn Thr Thr Asp Ile Phe Gln 100 105 110 Thr Val Asp Leu Trp Glu Gly Lys Asn Met Ala Cys Val Gln Arg Thr 115 120 125 Leu Met Asn Leu Gly Gly Leu Ala Val Ala Arg Asp Asp Gly Leu Phe 130 135 140 Ser Gly Asp Pro Asn Trp Phe Pro Lys Lys Ser Lys Glu Asn Pro Arg 145 150 155 160 Asn Phe Ser Asp Asn Gln Leu Gln Glu Gly Lys Asn Val Ile Gly Leu 165 170 175 Gln Met Gly Thr Asn Arg Gly Ala Ser Gln Ala Gly Met Thr Gly Tyr 180 185 190 Gly Met Pro Arg Gln Ile Leu 195 <210> 2 <211> 60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atggccaaca ggggacctgc atatggcctg agccgggagg tgcagcagaa gattgagaaa 60 caatatgatg cagatctgga gcagatcctg atccagtgga tcaccaccca gtgccgaaag 120 gatgtgggcc ggccccagcc tggacgcgag aacttccaga actggctcaa ggatggcacg 180 gtgctatgtg agctcattaa tgcactgtac cccgaggggc aggccccagt aaagaagatc 240 caggcctcca ccatggcctt caagcagatg gagcagatct ctcagttcct gcaagcagct 300 gagcgctatg gcattaacac cactgacatc ttccaaactg tggacctctg ggaaggaaag 360 aacatggcct gtgtgcagcg gacgctgatg aatctgggtg ggctggcagt agcccgagat 420 gatgggctct tctctgggga tcccaactgg ttccctaaga aatccaagga gaatcctcgg 480 aacttctcag ataaccagct gcaagagggc aagaacgtga tcgggttaca gatgggcacc 540 aaccgcgggg cgtctcaggc aggcatgact ggctacggga tgccacgcca gatcctctga 600 600 <210> 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nd III forward primer <400> 3 attcaaagct tttgagtcag tgcgct 26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coR I reverse primer <400> 4 ttgaattcgg gtgggatcag agg 23 <210> 5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S144745 <400> 5 aguucuggaa guucucgcgu ccagg 25 <210> 6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S144745 <400> 6 ccuggacgcg agaacuucca gaacu 25

Claims (23)

  1.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transgelin 2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를 함유하는 항암보조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보조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보조제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보조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1) transgelin 2 단백질 과발현 암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암세포주의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단계 2)의 Akt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는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조직화학, 웨스턴 블롯(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FAC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 방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9. 1) transgelin 2 단백질 과발현 암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암세포주의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transgelin 2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피검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 스크리닝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단계 2)의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조직화학, 웨스턴 블롯(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FAC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암세포는 폐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 메틸 메탄설포네이트(Methyl methane-sulfonate, MMS)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H2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 방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090001460A 2009-01-08 2009-01-08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KR10112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60A KR101127566B1 (ko) 2009-01-08 2009-01-08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60A KR101127566B1 (ko) 2009-01-08 2009-01-08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25A KR20100082125A (ko) 2010-07-16
KR101127566B1 true KR101127566B1 (ko) 2012-03-23

Family

ID=4264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60A KR101127566B1 (ko) 2009-01-08 2009-01-08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022B1 (ko) * 2015-06-12 2018-08-14 코웰바이오다임 주식회사 담도암의 항암제 내성 진단용 신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al Applications of Proteomics. Germany: Wiley-VCH, ISBN 3-527-30807-5, p192-p194(2004)*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03564(2008.2.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25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5963T3 (es) Terapéutica con ARNi multidirigidos para la cicatrización de heridas de la piel sin cicatriz
KR20070083764A (ko) 탈모증, 급성신부전증 및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한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 및 그것의 사용방법
KR101847523B1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20140103122A (ko) 신경교종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11628206B2 (en) Method for inhibiting STAT3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Ssu72
EP274295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ibulin-3 protein as an active ingredient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stem cells
KR101127566B1 (ko)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CN101309928A (zh) E2epf泛素载体蛋白与von hippel-lindau的互作及其应用
KR101384360B1 (ko) Scf 또는 이의 수용체를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혈관 투과성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12891354B (zh) MDM2抑制剂Nutlin-3a在制备激活内质网应激诱导的癌细胞凋亡药物中的应用
KR101314828B1 (ko)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tm4sf4의 발현 또는 활성의 조절을 통한 방사선 저항성 및 암세포의 성장, 전이, 및 침윤능력을 저하시키는 방법
KR101167675B1 (ko) Dickkopf-1(DKK1) 유전자의 저발현에 의해 암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KR101128297B1 (ko) Tspyl5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KR20210049701A (ko) Rspo3 억제제를 포함하는 심장 판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2908A (ko) Tle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활액막 육종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86503A (ko) Wdr34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및 그 용도
RU2723091C2 (ru)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ные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нацеленные на транскрипционный фактор tsc22d4, для лечения резистентности к инсулину
KR100848666B1 (ko) NF-k B의 발현을 억제하는 s i RNA
CN114277119B (zh) 一种环状RNA circ-Arsb在制备防治骨质疏松产品中的应用
KR20110130627A (ko) 항암용 조성물
KR101038766B1 (ko) PrxⅠ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의 활성 증진제
KR101167676B1 (ko) 메탈로티오네인 1g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세포 독성 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KR20060049386A (ko) 서바이빈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CN101237884A (zh) 与低氧应激反应有关的Int6蛋白及其用途
KR101522729B1 (ko) 파골세포 융합의 새로운 바이오 마커인 pi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