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894B1 -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894B1
KR101126894B1 KR1020107024645A KR20107024645A KR101126894B1 KR 101126894 B1 KR101126894 B1 KR 101126894B1 KR 1020107024645 A KR1020107024645 A KR 1020107024645A KR 20107024645 A KR20107024645 A KR 20107024645A KR 101126894 B1 KR101126894 B1 KR 10112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unting hole
lighting device
ceil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310A (ko
Inventor
노리따까 오까무라
히로유끼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73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524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691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0099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2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015727A/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out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20Ceiling roses or other lighting 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는 화장 프레임(1)에 있어서, 장착 구멍의 둘레에 이격하여 대향하는 플랜지부(12)와, 플랜지부(12)의 외주부에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돌출 설치부(1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2)에 의해,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의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프레임(1)의 돌출 설치부(15)가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부재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 프레임(1)의 외주부를 따라 농담이 상이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아, 미관에 이바지한다.

Description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COVER AND LIGHTING DEVICE WITH THE COVER}
본 발명은,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와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피복해야 할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피장착체인 조명 장치 등의 장치는,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일반적으로, 장착 구멍의 내면과 장치 본체를 적정 길이로 이격한 상태에서 판 스프링 등의 장착체에 의해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장착 구멍의 내면 및 장치 본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기 위해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명 장치는,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조명 장치 본체와, 상기 조명 장치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장착체인 장착 금속 부재와, 조명 장치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 본체를 장착 구멍에 삽입하여, 커버의 상면과 장착 금속 부재에 의해 천장의 상하면을 끼움 지지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커버의 상면을 천장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장착 구멍의 내면 및 장치 본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개 평5-87723호 공보
그런데, 천장에의 장착 구멍의 시공은, 날 폭이 좁은 톱, 소위 쥐꼬리톱, 또는 소정 직경의 홀 커터 등을 사용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톱에 의한 절단 및 잘라내어진 천정재의 제거에 수반하여 천장의 하면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버(burr)가 생긴다. 또한, 조명 장치를 교환할 때에, 낡은 조명 장치의 제거에 수반하여 장착 금속 부재에 의해 장착 구멍의 둘레의 일부가 깎아져, 천장의 하면측으로 비어져 나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장착 구멍 근방의 천장의 하면에 버 등에 의해 요철이 생긴 경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커버의 상면을 천장의 하면에 전체면에 걸쳐 접촉시킬 수 없게 되어, 요철에 따라서 커버의 상면과 천장의 하면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 결과,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품위가 손상됨과 함께, 커버의 외주부를 따라 농담이 상이한 그림자가 생겨 미관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부재의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피장착체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체와 상기 장착 구멍 사이의 간극을 덮는 커버로서,상기 커버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 구멍의 요철에 의해 상기 피장착체와 상기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의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피복부를 커버에 설치하고 있다. 피복부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상기 피복부는, 상기 커버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의 외주부에 피복부를 설치하고 있고, 피복부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버 등의 요철이 장착 구멍의 둘레의 최근방에서 끝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상기 장착 구멍의 둘레에 이격하여 대향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의 외주부에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의 둘레에 이격하여 대향하는 대향부와, 대향부의 외주부에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피복부를 커버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커버를 장착 구멍 및 피장착체에 맞추어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향부의 외주부에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피복부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버 등의 요철이 장착 구멍의 둘레의 최근방에서 끝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커버를 부재에 간극이 생기지 않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장치의 미관에 이바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상기 피복부의 서로 이격한 복수 개소에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복부에 절결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절결부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부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상기 절결부는 자신의 양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절결부에 개구측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절결부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 부재로부터 일부를 이격시키면서, 경사면을 따라 공구를 옮겨 부재와의 간극이 생기는 범위를 넓힘으로써, 더 용이하게 부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상기 절결부의 상기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보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재에 대향하는 면의 절결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보강부를 설치하고 있고, 보강부를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절결부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했을 때에, 가해진 힘이 보강부에도 분산되게 되기 때문에, 피복부의 절결부를 마련하고 있는 부분 및 절결부 근방의 대향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는, 상기 절결부의 내측 근방에, 상기 절결부에 삽입되는 공구를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절결부에 삽입되는 공구를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해 절결부의 근방에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돌기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피장착체를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체의 근방에 절결부를 마련했을 때에, 절결부에 삽입한 공구가 장착체까지 도달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공구에 의한 제거 작업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는, 전술한 발명에 기재된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를 장착 구멍 및 조명 장치 본체에 맞추어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장착 구멍의 내면 및 상기 장치 본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와 천장 등의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의 외주부에 설치된 피복부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버 등의 요철이 장착 구멍의 둘레의 최근방에서 끝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버 등의 요철에 의해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조명 장치의 미관에 이바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절결부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명 장치를 천장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등의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장착 구멍의 내면 및 상기 장치 본체 사이의 간극, 및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에 생긴 버 등의 요철에 의한 피장착체와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장 프레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화살표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화장 프레임의 절결부 근방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장 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명 장치의 모식적 외관 사시도.
도 6은 조명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도 6의 VIII-VIII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
도 9는 천장에 조명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커넥터 커버의 외관도.
도 10b는 커넥터 커버의 외관도.
도 11은 전원 모듈의 외관도.
도 12a는 커넥터 커버의 외관도.
도 12b는 커넥터 커버의 외관도.
도 13은 커넥터 커버의 끼워 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장 프레임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장 프레임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
도 16은 화장 프레임의 절결부 근방에 있어서의 모식적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장 프레임을 사용한 조명 장치의 모식적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8은 조명 장치의 모식적 부분 확대 정면도.
도 19는 필터의 일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XXI-XXI 화살표로부터 본 코일 스프링의 확대도.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3은 조명 장치의 모식적 측면도.
도 24a는 조명 장치 본체의 천장의 장착 구멍에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b는 조명 장치 본체의 천장의 장착 구멍에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c는 조명 장치 본체의 천장의 장착 구멍에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d는 조명 장치 본체의 천장의 장착 구멍에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
도 27은 다른 충격 흡수 수단의 모식도.
도 28a는 판 형상의 스프링의 동작 설명도.
도 28b는 판 형상의 스프링의 동작 설명도.
도 29는 낙하 방지 부재로서 굴곡 와이어를 사용하여 조명 장치 본체 및 전원부 사이를 접속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의 모식적 외관 사시도.
도 31a는 제1 커버 구성체의 모식적 외관도.
도 31b는 제1 커버 구성체의 모식적 외관도.
도 32a는 제2 커버 구성체의 모식적 외관도.
도 32b는 제2 커버 구성체의 모식적 외관도.
도 33a는 커넥터 커버의 고정 수순의 설명도.
도 33b는 커넥터 커버의 고정 수순의 설명도.
도 34는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5는 조명 장치의 모식적 측면도.
도 36은 도 35의 XXXVI-XXXVI선에 의한 화살표도.
도 37은 전원 모듈의 외관도.
도 38은 커넥터 커버와 조명 장치 본체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는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커버로서, 천장 등의 부재의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조명 장치의 화장 프레임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조명 장치로서는, 다운라이트를 예시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 화살표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화장 프레임(1)은,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장 프레임(1)은, 원통부(11)와, 원통부(11)의 일단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경 방향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대향부인 플랜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지제이며,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난연성 재료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가 바람직하다.
원통부(11)는, 둘레 방향의 3군데에 축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부(13, 13…)를 갖고 있다. 상기 고정부(13, 13…)의 축 길이 방향으로 플랜지부(12)와 반대측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13a, 13a…)에는, 관통 구멍(13b, 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1)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그 중앙에 개구를 갖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플랜지부(12)는, 원통부(11)측의 일면(12a)이 대략 평면으로, 다른 면(12b)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1) 및 플랜지부(12) 사이에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복수(도면에 있어서 6개)의 보강판(14, 14…)이 원통부(11) 및 플랜지부(12) 각각에 직각을 이루고, 둘레 방향으로 등배를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14, 14…)에 의해, 제거시에 플랜지부(1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플랜지부(1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프레임(1)은, 피장착체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의 둘레에 플랜지부(12)의 일면(12a)이 이격하여 대향하도록, 피장착체 또는 부재에 장착된다. 이 플랜지부(12)의 형상 및 치수는,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2)의 다른 면(12b)에는, 원통부(11)와 대략 동일 직경의 환형의 홈(12c)이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화장 프레임(1)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때에, 용융 수지가 굳어지는 속도가 두께에 따라서 상이한 것에 기인하여 생기는 오목부인 수축 변형이 만일 발생한 경우에, 상기 수축 변형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홈(12c)은, 원통부(11)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이면 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환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랜지부(12)의 일면(12a)의 측의 외주부에는, 상기 일면(12a)에 직교하고, 원통부(11)에 평행을 이루어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편평한 원통 형상의 피복부인 돌출 설치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설치부(15)의 직경 방향의 두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장 등의 부재의 장착 구멍에 피장착체가 장착되었을 때에, 부재로부터 받는 반작용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장착 구멍의 둘레 근방과 대향하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 설치부(15)의 높이는, 화장 프레임(1)이 사용되는 천장 등의 부재의 재질, 부재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의 구멍 직경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돌출 설치부(15)의 천장과 대향하는 면에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오목 형상을 갖는 복수(도면에 있어서 3개)의 절결부(15b, 15b…)가, 고정부(13, 13…)와 동일 둘레 방향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15b, 15b…)의 깊이는, 화장 프레임(1)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절결부(15b, 15b…)에 삽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얕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0.5mm이다. 절결부(15b, 15b…)의 돌출 설치부(15)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공구의 치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화장 프레임(1)의 절결부(15b, 15b…) 근방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이며, 간이화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의 일면(12a)에는, 절결부(15b, 15b…)에 대응한 부분, 즉 절결부(15b, 15b…)와 동일 둘레 방향 위치의 절결부(15b, 15b…) 및 고정부(13, 13…) 사이의 플랜지부(12)의 직경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부(16, 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16, 16…)의 상면은, 절결부(15b, 15b…)의 저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을 구비하는 조명 장치(10)의 모식적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명 장치(10)의 측면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0a)는, 조명 장치 본체이다. 조명 장치 본체(10a)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방열기(2)를 구비하고 있다. 방열기(2)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전열판(21)을 갖고 있다. 전열판의 일면(21a)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복수(도면에 있어서 10개)의 방열판(22, 22…)이 평행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전열판의 일면(21a)에는, 이들 복수의 방열판(22, 22…)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방열판(22, 22…)에 직교하도록 연결판(23)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2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판(21)의 중앙부를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열판(21)의 중앙부에는 배선용의 관통 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LED 모듈을 전열판(2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전열판(21)의 중앙부에 배선용의 관통 구멍(21c)을 형성함으로써, LED 모듈에의 배선이 용이해진다.
전열판(21)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21d, 2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2)의 전열판(21)의 주연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장착부(24, 24…)가 전열판(21)의 직경 방향에 직교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24, 24…)는, 복수의 방열판(22, 22…)에 각각 연속 설치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장착부(24)가 방열판(22, 22…)에 직각을 이루어 연속 설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4, 24…)의 외면(24a, 24a…)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4)에는, 나사 구멍(24b, 24c)이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열기(2)는, 다이캐스트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출 가공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방열기(2)의 전열판(21)의 다른 면(21b)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서의 복수(도면에 있어서 4개)의 LED 모듈(3, 3…)이 둘레 방향으로 등배를 이루어 장착되어 있다. LED 모듈(3, 3…)은, 직사각형의 세라믹(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기판(31, 31…)과, 상기 세라믹 기판(31, 31…)의 일면의 중앙부에 밀집하여 실장된 복수(예를 들어, 36개)의 LED 소자 및 상기 복수의 LED 소자를 밀봉하고, 형광체가 분산된 밀봉 수지를 갖는 발광부(32, 32…)와,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LED 모듈(3, 3…)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는 리드선(33, 3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LED 모듈(3, 3…)과 전열판(21)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 또는 그리스를 개재 장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들 LED 모듈(3, 3…)의 점등에 수반하여 상기 LED 모듈(3, 3…)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기(2)의 전열판(21), 방열판(22, 22…) 및 연결판(23)에 전달되어, 자연 대류에 의해 외부로 방산되게 된다. 또한, 방열기(2)의 표면은, 흑색 등으로 하는 쪽이 복사 방열의 촉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방열기(2)의 전열판(21)의 다른 면(21b)의 측에는, 반사판(4)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4)에는, 상기 반사판(4)을 방열기(2)에 장착했을 때에 LED 모듈(3, 3…)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 모듈(3, 3…)을 둘러싸도록, 대략 반구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41, 41…)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판(4)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반사율이 높은 도료가 도포된 금속 또는 고전반사율(약 98%) 및 고확산 반사율(약 95%)이라는 광학 특성을 갖는 초미세 발포 광 반사재(예를 들어, MCPET(등록 상표)), 혹은 광 산란성의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등의 재료를 충전한 수지 재료(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반사판(4)에는, 반사판(4)을 방열기(2)에 장착했을 때에 전열판(21)에 형성된 나사 구멍(21d, 21d…)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고정부(42, 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판(4)의 둘레에는, 주위벽(43)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4)은, 주위벽(43)의 단부면을 전열판(21)에 접촉시켜, 나사(45, 45…)를 반사판(4)의 고정부(42, 42…)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전열판(21)에 형성된 나사 구멍(21d, 21d…)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2)에 고정되어 있다. LED 모듈(3, 3…)로부터의 광은, 이 반사판(4)의 반사부(41, 41…)에서 반사되고, LED 모듈(3, 3…)의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가 되는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이 결과, 조명 기기의 직하 조도가 강해지도록 배광 특성이 제어된 광이 조명 장치로부터 출사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명 장치 본체(10a)의 방열기(2)의 전열판(21)의 측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3, 13…)의 관통 구멍(13b, 13b…)은, 화장 프레임(1)을 방열기(2)에 장착했을 때에 방열기(2)의 장착부(24, 24…)에 형성된 나사 구멍(24c, 24c…)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프레임(1)은, 원통부(11)에 반사판(4)을 내측 끼움시키고, 고정부(13, 13…)의 연장 설치부(13a, 13a…)를 방열기(2)의 장착부(24, 24…)의 외면(24a, 24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17, 17…)를 관통 구멍(13b, 13b…)에 삽입 관통시켜, 나사 구멍(24c, 24c…)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2)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의 내측의 플랜지부(12)의 내면에는, LED 모듈(3, 3…)을 덮도록, 원판 형상의 수지제의 투과판(5)이 장착되어 있다. 투과판(5)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이다.
또한, 방열기(2)의 전열판(21)의 측에는, 복수(도면에 있어서 3개)의 판 스프링(6, 6…)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6)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며,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을 굴곡시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6)의 한쪽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장착부(61)가 설치되어 있다. 굴곡부(62)를 끼운 판 스프링(6)의 다른 쪽에는, 장착부(61)의 측에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판 스프링(6)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제1 가압부(63) 및 제2 가압부(64)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압부(63)와 제2 가압부(64)의 만곡의 곡률 반경은 상이하고, 제2 가압부(64)의 곡률 반경 R2는 제1 가압부(63)의 곡률 반경 R1보다도 크다(R1<R2). 또한, 판 스프링(6)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제2 가압부(64)에 연속 설치된 아암부(65)의 단부로부터 상기 아암부(65)에 각도를 이루어 장착부(61)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6, 6…)은, 나사(25, 25…)를 판 스프링(6, 6…)의 장착부(61, 61…)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방열기(2)의 장착부(24, 24…)에 형성된 나사 구멍(24b, 24b…)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부(24, 24…)의 외면(24a, 24a…)에 판 스프링(6, 6…)의 장착부(61, 6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방열기(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2)의 장착부(24, 24…)에는 전술한 화장 프레임(1)이 고정부(13, 13…)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의 절결부(15b, 15b…)는, 이와 같이 장착된 판 스프링(6, 6…)과 동일한 둘레 방향 위치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빠짐 방지부(66)는, 판 스프링(6)의 제1 가압부(63) 및 제2 가압부(64)가 천장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조명 장치(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2)의 외측의 방열판(22, 22)에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에는, 와이어의 일단부가 후크 등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와이어의 타단부는 건물의 빔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지진 등의 재해시에, 빠짐 방지부(66)가 조명 장치(10)를 보유 지지할 수 없어 조명 장치(10)가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으로부터 탈락한 경우에, 조명 장치(10)가 아래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만으로는 탈락시의 충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을 설치해도 좋다.
방열기(2)의 외측으로부터 2매째의 방열판(22, 22)에는, 장착판(71, 71)이 각각 방열판(22, 22)과 평행을 이루어 나사(72, 7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장착판(71, 71)의 상부에는, 상기 장착판(71, 71)에 직각을 이루어 원판(7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원판(73)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0a), 특히 방열판(22, 22…)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열재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0a)의 상부를 덮은 경우에, 방열기(2)의 방열판(22, 22…) 및 연결판(23)의 표면으로부터 열전달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통풍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원판(73)은,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위의 층으로부터의 물방울 등에 대한 보호로서도 유효하게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명 장치(10)는, 투과판(5)의 측을 하측으로 하여,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판 스프링(6, 6…)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소위 다운라이트로서 사용된다. 조명 장치(10)는, 예를 들어, 직경이 125mm인 천장의 장착 구멍에, 조명 장치 본체(10a)와 장착 구멍의 내면을 적정 길이로 이격한 상태에서 천장에 장착되어 있다. 도 9는, 천장에 조명 장치(1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명 장치(10)는, 판 스프링(6, 6…)의 아암부(65)의 측을 조명 장치 본체(10a)의 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천장(110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0a)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판 스프링(6, 6…)으로부터 손을 떼어 조명 장치 본체(10a)를 더 압입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 구멍(1100a)에의 장착시에 조명 장치 본체(10a)의 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 판 스프링(6)이, 가압력의 해제에 수반하여 도 6에 도시한 자연 상태로 복귀하려고 했을 때에, 판 스프링(6)의 제1 가압부(63)가 원호의 대략 중앙 근방에서 장착 구멍(1100a)의 상측 둘레에 비스듬하게 상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에 의해, 부재인 천장(1100)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 방향인 하측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 천장(1100)의 상면(1100b)이 제1 가압부(63)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됨과 함께, 조명 장치 본체(10a)에 상측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 천장(1100)의 하면(1100c)이 화장 프레임(1)의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 결과, 조명 장치(10)는 천장(1100)을 제1 가압부(63), 및 플랜지부(12)에 의해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천장(110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장(1100)에 조명 장치(10)가 고정되었을 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을 사용함으로써,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의 둘레에 이격하여 대향하는 대향부인 화장 프레임(1)의 플랜지부(12)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0a) 및 장착 구멍(1100a)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피복된다. 또한, 플랜지부(12)의 상면(12a)은, 천장의 하면(1100c)과 적정 길이로 이격하고 있고, 이에 의해, 장착 구멍(1100a)의 둘레 근방에 버, 천장(1100)의 하면(1100c)에 부착된 화장지의 박리 등이 발생했을 때에, 버, 화장지의 박리 등을 가릴 수 있다. 플랜지부(12)의 상면(12a) 및 천장의 하면(1100c) 사이의 간격이, 플랜지부(12)의 내부 둘레측(원통부(11)의 측)으로부터 외부 둘레측(돌출 설치부(15)의 측)의 넓은 범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버, 화장지의 박리 등이 장착 구멍(1100a)의 둘레의 최근방에서 끝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버, 화장지의 박리 등을 가릴 수 있다. 또한, 화장 프레임(1)의 돌출 설치부(15)가 천장(1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천장(1100)의 하면(1100c)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 프레임(1)의 외주부를 따라 농담이 상이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설치 상태에서의 품위가 손상되지 않아 미관에 이바지한다.
이와 같이 천장(1100)에 장착된 조명 장치(10)는, LED 모듈(3, 3…)에, 조명 장치 본체(10a)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 모듈(3, 3…)에는, 전열판(2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1c)을 삽입 관통시킨 복수(도면에 있어서 4개)의 리드선(33, 33…)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리드선(33, 33…)의 타단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81)에 접속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81)측의 리드선(33, 33…)은, 보호 튜브(82)에 의해 1개로 통합되어 있다. 상기 보호 튜브(82)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보호 스프링(83)이 외측 끼움시켜져 있다. 이에 의해,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리드선(33, 33…)을 갉아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암형 커넥터(81)는,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의 볼록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갖는 접속 단자이며, 커버 구성체인 커넥터 커버(84)에 의해 보호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커넥터 커버(84)의 외관도이다. 도 10a는, 커넥터 커버(84)의 정면도를, 도 10b는 도 10a의 X-X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커넥터 커버(84)는, 원통부(84a)와, 상기 원통부(84a)의 한쪽에 연속 설치되고, 원통부(84a)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직경 축소부(84b)와, 원통부(84a)의 다른 쪽에 연속 설치되고, 원통부(84a)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직경 확대부(84c)를 갖고 있다. 직경 축소부(84b)는, 보호 튜브(82) 및 보호 스프링(83)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84a) 및 직경 확대부(84c)는, 암형 커넥터(81)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직경 확대부(84c)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부(84d, 84d)가 둘레 방향으로 2등배를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전원 모듈의 외관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원 모듈(9)은,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전원 커버(90)와, 상기 전원 커버(90)의 내부에 수용되고, 트랜스,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회로 부품을 갖고 이루어지는 전원부(91)와, 상기 전원부(91)에 접속된 단자대(92)와, 상기 단자대(92)를 수용하고, 전원 커버(90)의 한쪽에 외측 끼움되는 단자 커버(9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원 모듈(9)의 전원부(91)에는, 리드선(94, 9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94, 94…)의 타단부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86)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94, 94…)은, 보호 튜브(87)에 의해 1개로 통합되어 있다. 상기 보호 튜브(87)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보호 스프링(88)이 외측 끼움시켜져 있다. 이에 의해,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리드선(94, 94…)을 갉아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수형 커넥터(86)는, 복수(도면에 있어서 4개)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단자이며, 커버 구성체인 커넥터 커버(89)에 의해 보호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커넥터 커버(89)의 외관도이다. 도 12a는, 커넥터 커버(89)의 정면도를, 도 12b는 도 12a의 XII-XII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커넥터의 수형, 암형 형상 또는 방식은, 사양이 상이한 기종에서는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어, 이에 의해 조명 장치와 전원 모듈의 조합을 혼동할 우려가 없어진다. 특히 2기종만의 라인업인 경우는, A기종 조명 장치의 조명 장치 본체측의 커넥터를 수형 형상으로, 전원 모듈측의 커넥터를 암형 형상으로 하고, B기종 조명 장치의 조명 장치 본체측의 커넥터를 암형 형상으로, 전원 모듈측의 커넥터를 수형 형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커넥터 커버(89)는, 원통부(89a)와, 상기 원통부(89a)의 한쪽에 연속 설치되고, 원통부(89a)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직경 축소부(89b)를 갖고 있다. 직경 축소부(89b)는, 보호 튜브(87) 및 보호 스프링(88)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89a)는, 수형 커넥터(86)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89a)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89c, 89c)가 둘레 방향으로 2등배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9c, 89c)의 직경은, 절결부(84d, 84d)의 가장 좁은 부분의 간격과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커넥터 커버(84, 89)의 끼워 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원 모듈(9)에 접속된 수형 커넥터(86)를 LED 모듈(3, 3…)에 접속된 암형 커넥터(81)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10a)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부(91)가 리드선(94, 94…, 33, 33…)을 통해 LED 모듈(3, 3…)에 접속되게 된다. 이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84)의 직경 확대부(84c)에 커넥터 커버(89)를 돌출부(89c, 89c)가 절결부(84d, 84d)에 일치하도록 삽입하여, 상대 회전시킨다. 상대 회전에 수반하여, 절결부(84d, 84d)에 의해 잘라내어진 가압편(84e, 84e)이 돌출부(89c, 89c)에 의해 직경 방향 외향의 힘을 받아, 약간 외측으로 휘고, 이 휨에 따라서, 자연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가압편(84e, 84e)에 의해 돌출부(89c, 89c)에 직경 방향 내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커넥터 커버(84)와 커넥터 커버(89)가 일체화된다. 이에 의해, 수형 커넥터(86) 및 암형 커넥터(81)가 커넥터 커버(84, 89)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수형 커넥터(86) 및 암형 커넥터(81)를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에 장착된 조명 장치(10)는, 교환 등에 의해 천장(1100)으로부터 제거된다. 제거 작업은, 절결부(15b, 15b…)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예를 들어, 조명 장치의 자중의 2 내지 3배의 힘)을 가하여, 천장(1100)과의 사이에 간극(예를 들어, 1mm 정도)을 생기게 하여, 더 큰 하측 방향의 힘(예를 들어 조명 장치의 자중의 5 내지 6배의 힘)을 가하여 빼냄으로써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프레임(1)을 구비하는 조명 장치(10)는, 화장 프레임(1)의 돌출 설치부(15)에, 돌출 설치부(15)의 둘레 방향의 적정 길이에 걸쳐,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오목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절결부(15b, 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15b, 15b…)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했을 때에, 조명 장치(10)에 충분한 하측 방향의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어, 천장(1100)으로부터 조명 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5b, 15b…)의 깊이는, 화장 프레임(1)을 천장(1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절결부(15b, 15b…)에 삽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얕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0.5mm의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를 천장(1100)에 장착했을 때에 천장(1100)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밖에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화장 프레임(1)의 외주부를 따라 생기는 그림자의 농담이 거의 변하지 않고, 천장과의 사이의 간극도 생기지 않으므로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끝난다.
또한, 보강부(16, 16…)는, 절결부(15b, 15b…)에 대응한 부분, 즉 절결부(15b, 15b…)와 동일 둘레 방향 위치의 절결부(15b, 15b…) 및 고정부(13, 13…) 사이의 플랜지부(12)의 직경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부(16, 16…)의 상면이, 절결부(15b, 15b…)의 저면과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플랜지부(12)의 일면(12a)의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15b, 15b…)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했을 때에, 보강부(16, 16…)에도 가해진 힘이 분산되게 되기 때문에, 돌출 설치부(15)의 절결부(15b, 15b…)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 및 상기 절결부(15b, 15b…) 근방의 플랜지부(12)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프레임(1)의 돌출 설치부(15)에, 조명 장치(10)를 조립했을 때에 판 스프링(6, 6…)과 동일 둘레 방향 위치가 되도록, 절결부(15b, 15b…)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15b, 15b…)에 삽입한 박육판 형상의 공구에 의해 판 스프링(6, 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장 프레임(1)에 가해지는 힘이, 2개의 판 스프링 사이에 절결부를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조명 장치(10)를 천장(1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장 프레임(1a)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이며, 간이화한 개략도이다. 돌출 설치부(15)에 마련된 절결부(15b, 15b…)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측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15c, 15c)을 양측에 갖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프레임(1a)을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조명 장치 본체(10a)에 적용했을 때에, 돌출 설치부(15)의 단부면(15a)의 일부에 마련된 절결부(15b, 15b…)에 개구측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15c, 15c)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절결부(15b, 15b…)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 천장으로부터 일부를 이격시키면서, 경사면(15c, 15c)을 따라 공구를 옮겨 천장과의 간극이 생기는 범위를 넓힘으로써, 더 용이하게 천장으로부터 조명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경사면(15c, 15c)을 절결부(15b, 15b…)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부(15)의 단부면(15a)을 향해 깊이가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의 기울기를 절결부(15b, 15b…)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부(15)의 단부면(15a)을 향해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경사면에 한정되지 않고, 공구를 플랜지부(12)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절결부(15b, 15b…)의 저면과 단부면(15a) 사이를 형성하고 있으면 좋다.
(실시 형태 3)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장 프레임(1b)의 부분 확대 외관 사시도이며, 간이화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화장 프레임(1b)의 절결부(15b, 15b…) 근방에 있어서의 모식적 부분 단면도이다. 플랜지부(12)의 일면(12a)에는, 절결부(15b, 15b…)에 대응한 부분, 즉 절결부(15b, 15b…)와 동일 둘레 방향 위치의 절결부(15b, 15b…) 및 고정부(13, 13…) 사이의 플랜지부(12)의 직경 방향의 적정 길이에 걸쳐, 보강부(16a, 16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16a, 16a)는, 절결부(15b, 15b…)로부터 플랜지부(1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연장 설치 단부가 고정부(13, 13…)의 외면과 적정 길이로 이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6a, 16a…)의 상면은, 절결부(15b, 15b…)의 저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어 있다.
보강부(16a, 16a…)의 연장 설치 단부에는, 고정부(13, 13…)와 이격하여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돌기(16b, 16b…)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3, 13…) 및 돌기(16b, 16b…) 사이의 간격은, 화장 프레임(1b)을 조명 장치 본체(10a)에 장착했을 때에, 도면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3, 13…) 및 돌기(16b, 16b…) 사이에 판 스프링(6, 6…)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2 및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프레임(1b)을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조명 장치 본체(10a)에 적용했을 때에, 고정부(13, 13…)와 돌기(16b, 16b…) 사이에 판 스프링(6, 6…)이 위치하기 때문에, 절결부(15b, 15b…)에 박육판 형상의 공구를 삽입했을 때에, 상기 공구가 돌기(16b, 16b…)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공구의 삽입이 멈추게 되어 이동이 제한되어, 공구가 판 스프링(6, 6…)까지 도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에 힘을 가했을 때에 판 스프링(6, 6…)이 방해가 되지 않아, 조명 장치의 제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기(16b, 16b…)를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돌기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구가 판 스프링 근방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공구의 삽입을 저해하는 형상이면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3에 관한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는, 돌출 설치부(15)에 3개의 절결부(15b, 15b…)를 플랜지부(12)의 둘레 방향으로 등배를 이루어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결부의 수는, 판 스프링의 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절결부를 마련하는 위치는, 판 스프링의 근방이면 되고, 판 스프링과 동일 둘레 방향 위치에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보강부를 절결부의 저면과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장 프레임을 조명 장치 본체(10a)에 장착하고 있지만, 천장(1100) 등의 부재에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 형태 4)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3에 관한 화장 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명 장치는, 전원의 투입에 수반하여, 전원부로부터 정류된 소정값의 직류 전류가 LED 모듈 등의 광원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류에 따라서 광원이 점등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명 장치는, 광원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사면에서의 밝기를 변화시키고 있고, 또한, 광원으로서 발광색이 상이한 복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의 광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조사면에서의 광색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광 조절 방법은, 섬세한 광량 및 광색의 변경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구성 및 제어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광 조절이 가능한 조명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장 프레임(1c)을 사용한 조명 장치의 모식적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조명 장치의 모식적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또한, 조명 장치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c)의 플랜지부(12)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플랜지부(12)와 동심을 이루어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12d)이 약 9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c)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화장 프레임(1c)의 내측의 플랜지부(12)의 내면에는, LED 모듈을 덮도록, 수지제의 투과판(5a)이 설치되어 있다. 투과판(5a)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대략 원판 형상을 갖고 있다. 투과판(5a)의 외주부의 일부에는, 투과판(5a)에 대략 직교하고, 투과판(5a)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50a)가 형성되어 있다.
투과판(5a)은, 돌기(50a)를 화장 프레임(1c)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12d)에 삽입하여, 도 17과 같이, 화장 프레임(1c)에 장착된다. 이 투과판(5a)의 상측에는, 광학 부재로서의 원판 형상의 필터(51)가 내측 끼움되어 있다. 도 19는, 필터(51)의 일례이다.
필터(51)는, 착색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이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색의 농담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90°마다 둘레 방향의 색의 농담의 변화를 반복하도록 필터(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90°마다 색의 농담의 변화를 반복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은, 둘레 방향으로 4등배되어 있는 LED 모듈을 광원으로서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반복 각도는, LED 모듈 등의 광원의 수, 배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필터(51)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에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 수지 등의 다른 수지이어도 좋고, 유리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 돌기(50a)를 화장 프레임(1c)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2d)을 따라 움직이게 함으로써, 돌기(50a)가 형성된 투과판(5a)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수반하여 투과판(5a)에 내측 끼움된 필터(51)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LED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필터(51)의 LED 모듈 바로 아래의 부분을 주로 투과하기 때문에, 투과 후의 광의 색의 농담을, 필터(51)의 회전에 따라서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둘레 방향의 색의 농담을 변화시키도록 필터(51)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의 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필터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필터의 회전에 따라서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색이 필터의 색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조사면에서의 광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색으로 균일하게 착색한 필터를 사용해도 좋고, 이 경우, 투과판을 착색하는 것보다도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둘레 방향의 투과율을 고저에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필터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필터의 회전에 따라서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조사면에서의 밝기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서 광의 산란의 정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에 있는 유리, 수면 등에서 반사하는 광의 양을 감소시켜 광의 투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방향의 광 이외를 커트하는 편광 필터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이한 렌즈나 프리즘을 둘레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광의 출사 방향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색의 농담, 색의 종류, 투과율의 고저 등을 둘레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필터(51)를 형성하고 있지만, 필터(51)가 아니라 투과판을 둘레 방향으로 색의 농담 등을 변화시키도록 형성해도 좋고, 필터 및 투과판 각각을 다른 특성을 갖게 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장 프레임(1c)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2d)에 삽입하는 돌기(50a)를 투과판(5a)에 형성하고, 투과판(5a)을 회전시킴으로써 필터(5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를 화장 프레임(1c)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2d)에 삽입하여, 필터를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4에 있어서는,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LED 모듈(3, 3…)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휘도의 LED 칩, EL(Electro Luminescence), 형광등, 전구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4에 있어서는, 다운라이트에 화장 프레임을 장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운라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이외의 천장 등의 부재에 설치되는 기기에도 본 발명에 관한 화장 프레임은 적용 가능하고, 그 밖에, 청구범위에 기재한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 형태 5)
이상의 실시 형태 1 내지 4에 기재된 조명 장치(10)와 같이, 천장 등의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다운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와 후크를 구비하는 낙하 방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낙하 방지 부재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 등의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가 제한되었을 때에, 상기 낙하 방지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그대로 후크에 작용하여, 상기 후크의 입구가 개방되어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여 충돌해 버린다는 우려가 있었다. 낙하 방지 부재와 피보유 지지 부재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낙하 방지 부재(101)는, 천장 등의 높은 곳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장치(피보유 지지 부재)를 천장 이면의 빔 등의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하여 상기 장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낙하 방지 부재(101)는, 피보유 지지 부재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체인 후크(111)를 구비하고 있다. 후크(111)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며,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후크(111)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J자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 고정부(111a)를 갖고 있다. 걸림 고정부(111a)의 한쪽에는, C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부(111b)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111b)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가압부(111c)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11c)의 단부는, 걸림 고정부(111a)에 내측으로부터 접촉시켜져 있다.
후크(111)의 연결부(111b)에는, 충격 흡수 수단인 코일 스프링(112)이 연결되어 있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 화살표로부터 본 코일 스프링의 확대도이다. 코일 스프링(112)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며, 금속선을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부(112a)와, 상기 스프링부(112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환형의 연결부(112b, 112c)를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112)은, 연결부(112b)에 후크(111)의 연결부(111b)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후크(1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12b, 112c)는, 강성을 높게 하기 위해, 2회 권취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금속 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가 실시된다.
코일 스프링(112)은, 피보유 지지 부재가 설치 장소로부터 낙하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112)의 진폭이 자연 길이의 약 2배가 되도록, 및 진동 횟수가 적은 횟수(바람직하게는 2, 3회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스프링(112)은,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도록 설정해도 좋고, 소성 변형시키도록 설정해도 좋다.
코일 스프링(112)의 연결부(112c)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의 와이어(113)가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113)는, 일단부의 측을 코일 스프링(112)의 연결부(112c)에 삽입 관통시켜,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의 슬리브(114a)를 씌워 상기 슬리브(114a)를 눌러 찌부러뜨려 형성된 환형의 연결부(113a)에 의해, 코일 스프링(112)과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113)의 타단부에는, 마찬가지로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의 슬리브(114b)를 씌워 상기 슬리브(114b)를 눌러 찌부러뜨려 형성된 환형부(11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113)의 길이는, 피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장소, 상기 설치 장소와 보유 지지 부재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낙하 방지 부재(101)는, 예를 들어, 피보유 지지 부재가 약 1kg이며, 피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장소와 보유 지지 부재와의 거리가 약 600mm인 경우,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와이어(113)의 연결부(113a) 및 환형부(113b) 사이의 길이를 약 600mm로, 와이어(113)의 강도를 피보유 지지 부재가 약 600mm 자연 낙하한 경우에 거의 소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12)의 첫 장력이 1kg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낙하 방지 부재(101)는, 와이어(113)의 환형부(113b)의 측을 천장 이면의 빔 등의 보유 지지 부재에 걸리게 하고, 와이어(113)의 환형부(113b)에 낙하 방지 부재(101)를 다른 쪽으로부터 통과시킴으로써, 특별한 고정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 또한 확실하게, 또한 장력이 걸리면 걸릴수록 견고하게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된다. 그리고, 낙하 방지 부재(101)는, 다른 쪽에 설치된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에서 피보유 지지 부재를 걸림 고정함으로써, 피보유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피보유 지지 부재가 천장 등의 설치 장소로부터 낙하했을 때에, 낙하 방지 부재(101)에 피보유 지지 부재의 위치 에너지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작용력에 의해 주로 코일 스프링(112)이 신장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112)의 특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거리(이하, 거리 x라고 기재함)에서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가 제한된다. 이 거리 x는, 낙하 전의 위치 에너지가 모두 코일 스프링의 변형으로 변환된다고 고려하면, (2mgh/k)0.5에 의해 구해진다(여기서, m: 질량, g: 중력 가속도, h: 낙하 높이, k: 스프링 정수임). 이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하가 제한될 때에, 낙하 방지 부재(101)에 큰 힘이 작용하지만, 코일 스프링(112)을 피보유 지지 부재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코일 스프링(112)의 신축 또는 불가역적 변형에 수반하여 소비되는 에너지로서 흡수할 수 있어, 후크(111)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와 가압부(111c)가 이격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보유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13)의 다른 쪽에 코일 스프링(112)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빔 등의 보유 지지 부재에 낙하 방지 부재(101)를 장착할 때에, 코일 스프링(112)이 방해가 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코일 스프링(112)의 상태(변형 또는 파손을 포함함)를 실내측에서도 확인하기 쉽다. 또한, 코일 스프링(112)을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12)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으로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낙하 방지 부재(101)는, 예를 들어, 천장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다운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조명 장치로서, 천장에 설치되고, 방을 국소적으로 조명하는 다운라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1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3은, 조명 장치(110)의 모식적 측면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10a)는, 조명 장치 본체이다. 조명 장치 본체(110a)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방열기(102)를 구비하고 있다. 방열기(102)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판 형상의 전열판(121)을 갖고 있다. 전열판의 일면(121a)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복수의 방열판(122, 122…)이 평행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전열판의 일면(121a)에는, 이들 복수의 방열판(122, 122…)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방열판(122, 122…)에 직교하도록 연결판(도시하지 않음)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전열판(121)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121d, 12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102)의 전열판(121)의 주연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장착부(123, 123…)가 전열판(121)의 직경 방향에 직교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123, 123…)는, 복수의 방열판(122, 122…)에 각각 연속 설치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장착부(123)가 방열판(122, 122…)에 직각을 이루어 연속 설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123, 123…)의 외면(123a, 123a…)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23)에는, 나사 구멍(123b, 123c)이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102)는, 다이캐스트에 의해 일체 성형해도 좋고,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압출 가공에 의한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해도 좋다.
방열기(102)의 전열판(121)의 다른 면(121b)에는, 광원으로서의 복수(도면에 있어서 6개)의 LED 모듈(103, 103…)이 둘레 방향으로 등배를 이루어 장착되어 있다. LED 모듈(103, 103…)은, 직사각형의 세라믹(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기판이라고, 상기 세라믹 기판의 일면의 중앙부에 밀집하여 실장된 복수(예를 들어, 36개)의 LED 소자 및 상기 복수의 LED 소자를 밀봉하고, 형광체가 분산된 밀봉 수지를 갖는 발광부와,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LED 모듈(103, 103…)과 전열판(121)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 또는 그리스를 개재 장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들 LED 모듈(103, 103…)의 점등에 수반하여 상기 LED 모듈(103, 103…)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기(102)의 전열판(121), 방열판(122, 122…) 및 연결판에 전달되어, 자연 대류에 의해 외부로 방산되게 된다.
방열기(102)의 전열판(121)의 다른 면(121b)의 측에는, 반사판(104)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104)에는, 상기 반사판(104)을 방열기(102)에 장착했을 때에 LED 모듈(103, 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 모듈(103, 103…)을 둘러싸도록, 대략 반구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141, 141…)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판(104)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반사율이 높은 도료가 도포된 금속 또는 고전반사율(약 98%) 및 고확산 반사율(약 95%)이라는 광학 특성을 갖는 초미세 발포 광 반사재(예를 들어, MCPET(등록 상표)), 혹은 광 산란성의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등의 재료를 충전한 수지 재료(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반사판(104)에는, 반사판(104)을 방열기(102)에 장착했을 때에 전열판(121)에 형성된 나사 구멍(121d, 121d…)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고정부(142, 1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판(104)의 둘레에는, 주위벽(143)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104)은, 주위벽(143)의 단부면을 전열판(121)에 접촉시켜, 나사(145, 145…)를 반사판(104)의 고정부(142, 142…)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전열판(121)에 형성된 나사 구멍(121d, 121d…)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102)에 고정되어 있다. LED 모듈(103, 103…)로부터의 광은, 이 반사판(104)의 반사부(141, 141…)에서 반사되어, LED 모듈(103, 103…)의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가 되는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이 결과, 조명 장치(110)의 직하 조도가 강해지도록 배광 특성이 제어된 광이 조명 장치(110)로부터 출사되게 된다.
방열기(102)의 전열판(121)의 측에는, 화장 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05)은, 원통부(151)와, 원통부(151)의 일단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환형의 플랜지부(152)를 갖고 이루어진다. 원통부(151)에는, 둘레 방향의 3군데로부터 플랜지부(152)의 반대측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151a, 15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 설치부(151a, 151a…)에는, 관통 구멍(151b, 15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51b, 151b…)은, 화장 프레임(105)을 방열기(102)에 장착했을 때에 방열기(102)의 장착부(123, 123…)에 형성된 나사 구멍(123c, 123c…)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프레임(105)은, 원통부(151)의 타단부의 측에 반사판(104)을 내측 끼움시켜, 연장 설치부(151a, 151a…)를 방열기(102)의 장착부(123, 123…)의 외면(123a, 123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153, 153…)를 관통 구멍(151b, 151b…)에 삽입 관통시켜, 나사 구멍(123c, 123c…)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102)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105)의 플랜지부(152)의 내면에는, LED 모듈(103, 103…)을 덮도록, 원판 형상의 수지제의 투과판(106)이 장착되어 있다. 투과판(106)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이다.
또한, 방열기(102)에는, 복수의 판 스프링(107, 107…)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107)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며,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을 굴곡시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107)의 한쪽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장착부(171)가 설치되어 있다. 굴곡부(172)를 끼운 판 스프링(107)의 다른 쪽에는, 장착부(171)의 측에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여, 판 스프링(107)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제1 가압부(173) 및 제2 가압부(174)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107)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제2 가압부(174)에 연속 설치된 아암부(175)의 단부로부터 상기 아암부(175)에 각도를 이루어 장착부(171)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17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107, 107…)은, 나사(124, 124…)를 판 스프링(107, 107…)의 장착부(171, 171…)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방열기(102)의 장착부(123, 123…)에 형성된 나사 구멍(123b, 123b…)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부(123, 123…)의 외면(123a, 123a…)에 판 스프링(107, 107…)의 장착부(171, 17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방열기(10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107)의 빠짐 방지부(176)는, 판 스프링(107)의 제1 가압부(173) 및 제2 가압부(174)가 천장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조명 장치(1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열기(102)의 외측의 방열판(122, 122)에는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방열판(122, 12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 중 어느 한쪽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가 장착된다. 이 낙하 방지 부재(101)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명 장치(110)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열기(102)의 외측으로부터 2매째의 방열판(122, 122)에는, 장착판(181, 181)이 각각 방열판(122, 122)과 평행을 이루어 나사(182, 18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장착판(181, 181)의 상부에는, 상기 장착판(181, 181)에 직각을 이루어 원판(18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원판(183)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10a), 특히 방열판(122, 122…) 사이에 먼지,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방열기(102)의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층으로부터의 누수 등에 의해 물방울이 천장(1100)에 낙하한 경우에 있어서, 조명 장치 본체(110a)의 내부에 물방울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원판(183)에 대해 설명한다. 원판(183)은, 방열기(102)의 방열판(122) 사이에 먼지,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도록, 방열기(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원판(183)의 직경은 방열기(102)의 외주의 직경보다도 작고, 조명 장치 본체(110a)를 상면측(LED 모듈(103, 103…)이 장착된 측의 반대의 측)으로부터 보아 방열기(102)의 외주의 내측에 원판(183)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조명 장치 본체(110a)를 천장의 하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경우에, 원판(183)이 장착 구멍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조명 장치 본체(110a)를 용이하게 천장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외부에는, 트랜스,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회로 부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원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부는, 리드선(도시하지 않음) 및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LED 모듈(103, 103…)과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를 보호하는 커넥터 커버(191)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각각을 내부에 수용 가능한 제1 커버 구성체(191a) 및 제2 커버 구성체(191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버 구성체(191a)와 제2 커버 구성체(191b)를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커넥터가 커넥터 커버(191)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으로부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LED 모듈(103, 103…) 및 제1 커버 구성체(191a) 사이의 리드선, 제2 커버 구성체(191b) 및 전원부 사이의 리드선은, 각각 보호 튜브(192a, 192b)에 의해 1개로 통합되어 있고, 상기 보호 튜브(192a, 192b)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보호 스프링(193a, 193b)이 외측 끼움시켜져 있다. 이에 의해,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리드선을 갉아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명 장치(110)는, 투과판(106)의 측을 하측으로 하여, 천장(110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0a)에 판 스프링(107, 107…)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소위 다운라이트로서 사용된다. 이하, 조명 장치(110)의 장착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a 내지도 24d는,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에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낙하 방지 부재(101)의 와이어(113)의 환형부(113b)의 측을 보유 지지 부재인 천장 이면의 빔(1101)에 걸리게 하여, 와이어(113)의 환형부(113b)에 낙하 방지 부재(101)를 다른 쪽으로부터 통과시킴으로써,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 방지 부재(101)를 빔(1101)에 고정한다. 다음에, 낙하 방지 부재(101)의 후크(111)를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 중 어느 한쪽에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해, 낙하 방지 부재(101)는,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판 스프링(107, 107…)의 아암부(175, 175…)의 측을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110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0a)에 천장(1100)의 하측으로부터 조명 장치 본체(110a)를 약간 비스듬하게 한 상태에서, 도면 중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한다. 그리고,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100a)에 방열기(102)의 상부에 설치된 원판(183)을 삽입 관통시킨다. 그 후,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07, 107…)으로부터 손을 떼어,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도면 중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착 구멍(1100a)에 더 압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107, 107…)의 탄성 변형에 따라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판 스프링(107, 107…)의 제1 가압부(173) 및 제2 가압부(174) 중 어느 한쪽이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의 상측 둘레에 비스듬하게 상측으로부터 가압된다. 이 결과, 천장(1100)에 하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이 반작용에 의해 화장 프레임(105)이 판 스프링(107, 107…)으로부터 상측 방향의 힘을 받아, 플랜지부(152)의 상면이 천장(1100)의 하면에 압착하게 되어, 도 2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10)가 천장(1100)의 장착 구멍(1100a)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조명 장치(110)는, 예를 들어, 지진 등의 재해시에, 빠짐 방지부(176, 176…)가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보유 지지할 수 없는 것에 의해, 또는 천장(1100)의 파손에 의해 천장(1100)으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있다.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낙하 방지 부재(101)의 코일 스프링(112)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10a)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크(111)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112)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의 충격 흡수 수단에 의해,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와 가압부(111c)가 이격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110)는 경량 또한 소형인 LED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있고, 알루미늄제의 방열기(102)의 조명 장치(110) 전체의 중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방열기(10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에 낙하 방지 부재(101)의 걸림 고정체(111)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와이어(113)로 현수하여 보유 지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현수시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요동,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a)는,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충격 흡수체인 코일 스프링(112, 112)을 2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낙하 방지 부재(101a)의 와이어(113)의 환형의 연결부(113a)와 후크(111)의 연결부(111d) 사이에는, 2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0에 도시한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20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낙하 방지 부재(101a)는, 전술한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와 마찬가지로, 낙하 방지 부재(101a)의 코일 스프링(112, 112)에 의해,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크(111)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112, 112)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의 충격 흡수 수단에 의해,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와 가압부(111c)가 이격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보유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 부재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을 병렬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가 파손되어도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112, 112)에 특성이 상이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코일 스프링(112, 112)을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피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 낙하 방지 부재(101a)의 충격 흡수의 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a)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와 마찬가지로, 조명 장치(110)에 적용할 수 있고, 조명 장치 본체(110a)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방열기(10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에 낙하 방지 부재(101a)의 걸림 고정체(111)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현수시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요동,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을 사용하고 있지만,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7)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b)는,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충격 흡수체인 코일 스프링(112, 112…)을 3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낙하 방지 부재(101b)의 와이어(113)의 환형의 연결부(113a)와 후크(111)의 연결부(111b) 사이에는, 3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0에 도시한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20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낙하 방지 부재(101b)는, 전술한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와 마찬가지로, 낙하 방지 부재(101b)의 코일 스프링(112, 112…)에 의해,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크(111)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코일 스프링(112, 112…)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의 충격 흡수 수단에 의해,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와 가압부(111c)가 이격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보유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 부재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을 직렬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112, 112…)에 특성이 상이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코일 스프링(112, 112…)을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피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 낙하 방지 부재(101b)의 충격 흡수의 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b)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101)와 마찬가지로,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조명 장치 본체(110a)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방열기(10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에 낙하 방지 부재(101b)의 후크(111)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현수시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요동,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3개의 코일 스프링(112, 112…)을 사용하고 있지만,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이어도 좋고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6에 있어서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병렬로 설치하고 있고, 실시 형태 7에 있어서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직렬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조합해도 좋다.
(실시 형태 8)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낙하 방지 부재의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충격 흡수 수단은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7은, 다른 충격 흡수 수단의 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15)는, 직사각형 형상의 스프링부(115a)와, 상기 스프링부(115a)의 양단부에 연장 설치되고, 장착 구멍(115c, 115c)이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장착부(115b, 115b)를 갖고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스프링이다. 이 판 형상의 스프링(115)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다. 스프링부(115a)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스프링(11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115d, 115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판 형상의 스프링(115)은, 실시 형태 5 내지 7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의 코일 스프링 대신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한 실시 형태 5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에 있어서, 판 형상의 스프링(115)은, 코일 스프링(112) 대신에, 장착 구멍(115c, 115c)에 후크(111)의 연결부(111b) 및 와이어(113)의 연결부(113a)를 각각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후크(111) 및 와이어(113)에 연결시켜 사용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의 제한에 수반하여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서,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힘이 작용한다. 도 28a 및 도 28b는, 판 형상의 스프링(115)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8a는,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이 작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28b는,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이 큰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115a)에 형성된 슬릿(115d, 115d…)은 폐쇄된 상태이다.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의 제한에 수반하여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서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힘이 작용했을 때, 스프링부(115a)에는, 슬릿(115d, 115d…)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장착부(115b, 115b)보다도 큰 응력이 발생한다. 이 응력에 따라서, 스프링부(115a)는 신장하여, 슬릿(115d, 115d…)이 개방되어, 도 28a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때의 스프링부(115a)의 변형은 탄성 변형이다. 이로 인해,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작용하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부(115a)는 도 27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된다. 더 큰 힘이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작용했을 때, 스프링부(115a)는 더 신장하여, 슬릿(115d, 115d…)이 크게 개방되어, 도 28b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때의 스프링부(115a)의 변형은 소성 변형이다. 이로 인해, 판 형상의 스프링(115)에 작용하는 힘이 없어져도, 스프링부(115a)는 도 27에 도시한 상태로는 복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이 작은 경우는, 판 형상의 스프링(11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해 발생하는 충격이 큰 경우는, 판 형상의 스프링(115)의 소성 변형에 의해 피보유 지지 부재의 낙하에 수반하는 운동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소비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하가 제한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후크(111)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판 형상의 스프링(115)만이라는 간이한 구성의 충격 흡수 수단에 의해, 후크(111)의 걸림 고정부(111a)와 가압부(111c)가 이격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보유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 부재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피보유 지지 부재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프링을 갖는 낙하 방지 부재는, 실시 형태 5 내지 7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와 마찬가지로,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조명 장치 본체(110a)와 후크(111)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빔(1101)에 현수함으로써 보유 지지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가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110a)를 방열기(10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122a)에 낙하 방지 부재의 후크(111)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현수시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 본체(110a)의 요동,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 형상의 스프링(115)을 하나만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 6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을 병렬로 설치해도 좋고, 실시 형태 7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을 직렬로 설치해도 좋고, 이들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낙하 방지 부재의 충격 흡수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 또는 그 신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병설된 판 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이면 좋다. 또한, 충격 흡수 수단의 재료로서, 기억 형상 합금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충격 흡수 수단이 낙하 방지 부재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되어도, 형상이 변형 전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충격 흡수 수단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충격 흡수 수단과 후크를 별도 부재로 형성하고 있지만, 일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5 내지 8에 관한 와이어 및/또는 충격 흡수 수단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여, 상기 수지의 변형 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낙하 방지 부재의 와이어, 충격 흡수 수단 및 후크를 금속제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제이어도 좋고, 또한,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를 포함한 강화 수지제이어도 좋다. 또한, 낙하 방지 부재의 도중에 스위블 등의 비틀림 방지의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 부재로서 천장 이면의 빔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유 지지 부재는 천장 이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전원부이어도 좋다. 전원부는 천장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력선에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보유 지지 부재인 조명 장치 본체와 전원부 사이를 낙하 방지 부재로 접속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부를 보유 지지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낙하 방지 부재로서 실시 형태 5 내지 8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로서 와이어를 굴곡시켜, 와이어의 굴곡 부분의 신축 또는 불가역적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굴곡 와이어를 갖는 낙하 방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9는, 낙하 방지 부재로서 굴곡 와이어를 사용하여 조명 장치 본체(110a) 및 전원부 사이를 접속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16)은, 와이어를 굴곡시켜, 와이어의 굴곡 부분의 신축 또는 불가역적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굴곡 와이어이다. 커넥터 커버(191)의 제1 커버 구성체(191a) 및 제2 커버 구성체(191b) 및 전원부(109)의 전원 커버에는, 각각 와이어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191c, 191d, 109a)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굴곡 와이어(116)는, 굴곡 와이어(116)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측을 방열기(102)의 방열판(122)에 형성된 걸림 고정 구멍(122a) 및 제1 커버 구성체(191a)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191c)에 각각 삽입 관통시켜 슬리브(114a, 114a)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된 연결부(116a, 116a)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110a)의 방열기(102)와 커넥터 커버(191)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다른 쪽의 굴곡 와이어(116)는, 굴곡 와이어(116)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측을 제2 커버 구성체(191b) 및 전원부(109)의 전원 커버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191d, 109a)에 각각 삽입 관통시켜 슬리브(114a, 114a)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된 연결부(116a, 116a)에 의해, 커넥터 커버(191)와 전원부(109)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본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110a)가 천장의 장착 구멍으로부터 낙하하려고 한 경우이어도, 굴곡 와이어(116, 116) 자체가 충격 흡수 부재로서 작용하여, 조명 장치가 바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현수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 와이어(116, 116)의 굴곡 부분이 신장됨으로써, 낙하 방지 부재 또는 방열기(102), 커넥터 커버(191) 및 전원부(109)에 장착된 낙하 방지 부재의 걸림 고정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낙하 방지 부재로서 굴곡 와이어(116, 116)를 사용한 경우는, 굴곡 와이어(116, 116)는 굴곡부를 신장한 길이가, 조명 장치 본체(110a), 커넥터 커버(191) 및 전원부(109)의 각각의 사이의 보호 튜브(192a, 192b)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낙하시의 충격이 보호 튜브(192a, 192b)에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110a)와 전원부(109)를 굴곡 와이어로 직접 접속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전원부와 LED 모듈(103, 103…)을 접속하는 리드선을 보호하는 보호 튜브 및 보호 스프링을 설치하고, 낙하 방지 부재를 별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리드선 및 상기 리드선의 보호 부재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낙하 방지 부재를 겸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리드선을 1개로 통합하는 보호 튜브로서 가요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 케이블을 사용하고, 상기 스프링 케이블을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하면 좋다.
또한,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LED 모듈(103, 103…)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휘도의 LED 칩, EL(Electro Luminescence), 형광등, 전구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5 내지 8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로서 다운라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조명 장치에도 본 발명에 관한 낙하 방지 부재는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천장에 설치되고, 방 전체를 조명하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실링 라이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조명 장치 본체 중 가장 무거운 부재에 낙하 방지 부재의 걸림 고정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조명 장치 본체의 치수에 따라서 복수 개소(예를 들어, 조명 장치 본체의 상면의 네 구석 중 대각선 상의 2군데)에 낙하 방지 부재의 걸림 고정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 장치 이외의 천장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천장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 등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 등의 기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명 장치 등의 전기 기기와 상기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접속하는 전력선의 중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구성으로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는 커넥터 커버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9)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의 모식적 외관 사시도이다.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 커버(201)는, 제1 커버 구성체(202)와, 상기 제1 커버 구성체(202)에 일부에서 외측 끼움하는 제2 커버 구성체(20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31a 및 도 31b는, 제1 커버 구성체(202)의 모식적 외관도이다. 도 31a는 정면도이고, 도 31b는 도 31a의 XXXI-XXXI선에 의한 화살표도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제2 커버 구성체(203)의 모식적 외관도이다. 도 32a는 정면도이고, 도 32b는 도 32a의 XXXII-XXXII선에 의한 화살표도이다.
제1 커버 구성체(202)는, 원통 형상을 갖고,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과 함께, 한쪽 단부에서 제2 커버 구성체(203)에 끼워 맞추는 원통부(221)와, 상기 원통부(221)의 다른 쪽에 연속 설치되고, 커넥터가 일단부에 설치된 리드선 등의 전력선 또는 상기 전력선의 보호 튜브를 외측 끼움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통부(221)와 보유 지지부(222)의 연결부는, 원통부(221)로부터 보유 지지부(222)를 향해 연속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다.
원통부(221)에는,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기(223, 223)가 둘레 방향으로 2등배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223, 223)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커버 구성체(203)에 설치된 결합 수단에 결합하도록, 적절한 축 길이 방향 길이 L이 되도록 하고 있다.
원통부(221)의 한쪽에 연속 설치된 보유 지지부(222)는, 원통부(221)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또한, 원통부(221)의 직경은, 내부에 수용되는 커넥터의 치수에 따라서, 보유 지지부(222)의 직경은, 전력선 또는 상기 전력선의 보호 튜브의 직경에 따라서 결정되고 있다.
제2 커버 구성체(203)는, 원통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에서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에 외측 끼움하는 원통부(231)와, 상기 원통부(231)의 다른 쪽에 연속 설치되고,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32)와, 상기 수용부(232)의 원통부(231)의 반대측에 연속 설치되고, 커넥터가 일단부에 설치된 리드선 등의 전력선 또는 상기 전력선의 보호 튜브를 외측 끼움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232)와 보유 지지부(233)와의 연결부는, 수용부(232)로부터 보유 지지부(233)를 향해 연속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다.
원통부(231)의 내경은,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231)의 단부 둘레에는,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원통부(231)의 단부에 개구시켜져 있는 대략 L자 형상의 절결부(234, 234)가 둘레 방향으로 2등배를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234, 234)는, 한 변이 원통부(231)의 축 길이 방향으로, 다른 변이 원통부(231)의 단부 둘레에 이격하여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34, 234)에는, 다른 부분의 폭 W보다도 좁은 폭 Ws를 갖는 협착부(234a, 234a)가 설치되어 있다(Ws<W). 절결부(234, 234)의 협착부(234a, 234a)의 폭 Ws는, 돌기(223, 223)의 축 길이 방향 길이 L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Ws<L). 또한, 돌기(223, 223)의 축 길이 방향 길이 L은, 절결부(234, 234)의 다른 부분의 폭 W보다도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L<W).
이 절결부(234, 234)에 의해, 제1 커버 구성체(202)에 형성된 돌기(223, 223)와 결합하는 결합편(235, 23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235, 235)은, 절결부(234, 234)의 협착부(234a, 234a)에 의해 형성되고, 축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35a, 235a)를 갖고 있다. 또한, 절결부(234, 234)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원통부(231)의 다른 쪽에 연속 설치된 수용부(232)는, 원통부(231)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수용부(232)의 원통부(231)와의 반대측에 연속 설치된 보유 지지부(233)는, 수용부(232)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또한, 수용부(232)의 직경은, 내부에 수용되는 커넥터의 치수에 따라서, 보유 지지부(233)의 직경은, 전력선 또는 상기 전력선의 보호 튜브의 직경에 따라서 결정되고 있다.
도 33a 및 도 33b는, 제1 커버 구성체(202)와 제2 커버 구성체(203)를 고정하는 커넥터 커버(201)의 고정 수순의 설명도이다. 우선, 제1 커버 구성체(202)의 돌기(223, 223)와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절결부(234, 234)와의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키고, 돌기(223, 223)가 절결부(234, 234)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절결부(234, 234)를 가이드로 하여, 도 33a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에, 제1 커버 구성체(202)를 원통부(221)의 측으로부터 삽입한다.
다음에, 도 33b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23, 223)가 절결부(234, 234)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절결부(234, 234)를 가이드로 하여, 제1 커버 구성체(202)를 제2 커버 구성체(203)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 이 상대 회전에 의해, 제1 커버 구성체(202)의 돌기(223, 223)가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절결부(234, 234)의 협착부(234a, 234a)에 도달했을 때, 결합편(235, 235)의 볼록부(235a, 235a)와 돌기(223, 223)가 접촉한다. 이때 볼록부(235a, 235a)가 돌기(223, 223)로부터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직경 방향 외향의 분력을 포함함)을 받아,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235, 235)이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때, 돌기(223, 223)에는, 반대 작용으로서 접촉면에 직교하는 역방향의 힘(직경 방향 내향의 분력을 포함함)이 작용한다.
또한, 이 힘에 반대로 거슬러 제1 커버 구성체(202)를 제2 커버 구성체(203)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 제1 커버 구성체(202)의 돌기(223, 223)가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절결부(234, 234)의 협착부(234a, 234a)를 통과했을 때, 결합편(235, 235)의 볼록부(235a, 235a)에 작용하고 있었던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235, 235)은 자연 상태로 복귀하여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가 일체화된다. 협착부(234a, 234a)의 통과시에 결합편(235, 235)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의 힘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커넥터 커버(201)는,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는,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에,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의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23, 223)를 형성하고,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의 단부 둘레에, 가요성을 갖고, 돌기(223, 223)에 결합하는 결합편(235, 235)을 설치하여,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를 원통부(221, 231)에서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시켜, 돌기(223, 223)와 결합편(235, 235)의 결합/결합 해제를 함으로써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 사이의 결합/결합 해제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를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시킨다는 용이한 동작으로,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내부에 수용되는 커넥터를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갉아먹지 않도록, 또한 진애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만일 커넥터부에서 발화한 경우, 둘레로의 연소(延燒)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를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시켜, 돌기(223, 223)를 대략 L자 형상의 절결부(234, 234)를 따라 이동시키고, 협착부(234a, 234a)의 통과시에 결합편(235, 235)을 탄성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협착부(234a, 234a)의 통과시에 결합편(235, 235)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의 힘이 필요해져,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내측의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에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의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23, 223)를, 외측의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에 결합편(235, 235)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223, 223)와 결합편(235, 235)의 결합 상태를 육안 확인하면서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 사이의 결합/결합 해제를 할 수 있어, 장착 및 제거의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측의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에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의 측(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23, 223)를, 외측의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에 결합편(235, 235)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해도 좋다. 즉, 내측의 제1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에 결합편을, 외측의 제2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에 제1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의 측(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커넥터 커버(201)의 표면에 요철이 없어,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결합 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진애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아, 장기간 경과한 후의 제거 작업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이 커넥터 커버(201)는, 예를 들어, 천장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다운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와 전원을 접속하는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조명 장치로서, 천장에 설치되고, 방을 국소적으로 조명하는 다운라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1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5는, 조명 장치(110)의 모식적 측면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6은, 도 35의 XXXVI-XXXVI선에 의한 화살표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204)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방열기이다. 방열기(204)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판 형상의 전열판(241)을 갖고 있다. 전열판(241)의 일면(241a)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복수의 방열판(242, 242…)이 평행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전열판(241)의 일면(241a)에는, 이들 복수의 방열판(242, 242…)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방열판(242, 242…)에 직교하도록 연결판(243)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243)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판(241)의 중앙부를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열판(241)의 중앙부에는 배선용의 관통 구멍(241c)이 형성되어 있다.
방열기(204)의 전열판(241)의 주연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고정부(244, 244…)가 전열판(241)의 직경 방향에 직교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44, 244…)는, 복수의 방열판(242, 242…)에 각각 연속 설치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고정부(244)가 방열판(242, 242…)에 직각을 이루어 연속 설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열기(204)의 전열판(241)의 다른 면(241b)에는, 광원으로서의 복수(도면에 있어서 6개)의 LED 모듈(205, 205…)이 둘레 방향으로 등배를 이루어 장착되어 있다. LED 모듈(205)은, 직사각형의 세라믹(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기판의 일면의 중앙부에 밀집하여 실장된 복수의 LED 소자를, 형광체가 분산된 밀봉 수지에 의해 밀봉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LED 모듈(205, 205…)과 전열판(241)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 또는 그리스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들 LED 모듈(205, 205…)의 점등에 수반하여 상기 LED 모듈(205, 205…)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기(204)의 전열판(241), 방열판(242, 242…) 및 연결판에 전달되어, 자연 대류에 의해 외부로 방산되게 된다.
방열기(204)의 전열판(241)의 다른 면(241b)의 측에는 반사판(206)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206)에는, 상기 반사판(206)을 방열기(204)에 장착했을 때에 LED 모듈(205, 205…)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 모듈(205, 205…)을 둘러싸도록, 대략 반구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261, 261…)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판(206)의 주연부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262, 2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판(206)의 둘레에는, 주위벽(263)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반사판(206)은 주위벽(263)의 단부면을 전열판(241)에 접촉시켜, 나사(265, 265…)를 반사판(206)의 오목부(262, 262…)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전열판(241)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204)에 고정되어 있다. LED 모듈(205, 205…)로부터의 광은, 이 반사판(206)의 반사부(261, 261…)에서 반사되어, LED 모듈(205, 205…)의 광축과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가 되는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이 결과, 조명 장치(210)의 직하 조도가 강해지도록 배광 특성이 제어된 광이 조명 장치(210)로부터 출사되게 된다.
방열기(204)의 전열판(241)의 측에는 화장 프레임(207)이 설치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207)은, 원통부(271)와, 원통부(271)의 일단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환형의 플랜지부(272)를 갖고 이루어진다. 원통부(271)에는, 둘레 방향의 3군데로부터 플랜지부(272)의 반대측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271a, 27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장 프레임(207)은, 원통부(271)의 타단부의 측에 반사판(206)을 내측 끼움시켜, 연장 설치부(271a, 271a…)를 방열기(204)의 고정부(244, 244…)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273, 273…)를 연장 설치부(271a, 271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방열기(204)의 고정부(244, 244…)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열기(204)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207)의 플랜지부(272)의 내면에는, LED 모듈(205, 205…)을 덮도록, 원판 형상의 수지제의 투과판(270)이 장착되어 있다. 투과판(270)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이다.
또한, 방열기(204)에는, 복수의 판 스프링(275, 275…)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275)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며,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을 굴곡시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275)의 한쪽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고정부(275a)가 설치되어 있다. 굴곡부(275b)를 끼운 판 스프링(275)의 다른 쪽에는, 고정부(275a)의 측에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판 스프링(27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제1 가압부(275c) 및 제2 가압부(275d)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275)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제2 가압부(275d)에 연속 설치된 아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아암부에 각도를 이루어 고정부(275a)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275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빠짐 방지부(275e)는, 판 스프링(275)의 제1 가압부(275c) 및 제2 가압부(275d)가 천장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조명 장치(21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275, 275…)은, 나사(245, 245…)를 판 스프링(275, 275…)의 고정부(275a, 275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방열기(204)의 고정부(244, 244…)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부(244, 244…)에 판 스프링(275, 275…)의 고정부(275a, 275a…)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3등배를 이루어 방열기(204)에 고정되어 있다.
방열기(204)의 외측으로부터 2매째의 방열판(242, 242)에는, 장착판(277, 277)이 각각 방열판(242, 242)과 평행을 이루어 나사(278, 27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장착판(277, 277)의 상부에는, 상기 장착판(277, 277)에 직각을 이루어 원판(279)이 장착되어 있다. 이 원판(279)은, 조명 장치 본체(210a), 특히 방열판(242, 242…) 사이에 먼지,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명 장치(210)는, 투과판(270)의 측을 하측으로 하여, 판 스프링(275, 275…)의 빠짐 방지부(275e)의 측을 조명 장치 본체(210a)의 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도 34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천장(110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0a)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판 스프링(275, 275…)으로부터 손을 떼어 조명 장치 본체(210a)를 더 압입함으로써, 천장(110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0a)에 판 스프링(275, 275…)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소위 다운라이트로서 사용된다.
이 조명 장치(210)는, LED 모듈(205, 205…)에, 조명 장치 본체(210a)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 모듈에 설치된 전원부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7은, 전원 모듈의 외관도이며, 일부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원 모듈(209)은,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전원 커버(290)와, 상기 전원 커버(290)의 내부에 수용되고, 트랜스,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회로 부품을 갖고 이루어지는 전원부(291)와, 상기 전원부(291)에 접속된 단자대(292)와, 상기 단자대(292)를 수용하고, 전원 커버(290)의 한쪽에 외측 끼움되는 단자 커버(29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원 모듈(209)의 전원부(291)에는, 전력선인 리드선(294, 29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294, 294…)의 타단부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인 암형 커넥터(281)에 접속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281)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복수(도면에 있어서 4개)의 오목부를 갖는 접속 단자이다. 리드선(294, 294…)은, 보호 튜브(282)에 의해 1개로 통합되어 있고, 상기 보호 튜브(282)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보호 스프링(283)이 외측 끼움시켜져 있다. 이들 보호 튜브(282) 및 보호 스프링(283)은,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리드선(294, 294…)을 갉아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한편, LED 모듈(205, 205…)에는, 전열판(24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41c)을 삽입 관통시킨 복수의 리드선(251, 251…)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251, 251…)의 타단부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인 수형 커넥터(286)에 접속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286)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암형 커넥터(281)의 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단자이다. 수형 커넥터(286)측의 리드선(251, 251…)은, 보호 튜브(287)에 의해 1개로 통합되어 있고, 상기 보호 튜브(287)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보호 스프링(288)이 외측 끼움시켜져 있다. 이들 보호 튜브(287) 및 보호 스프링(288)은,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리드선(251, 251…)을 갉아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에는,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의 제1 커버 구성체(202) 및 제2 커버 구성체(20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커버 구성체(202)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21)의 측이 암형 커넥터(281)에, 보유 지지부(222)의 측이 전원 모듈(209)에 접속되는 리드선(294, 294…)의 일단부의 측이 되도록, 보호 튜브(282) 및 보호 스프링(283)을 내부에 삽입 관통시켜, 암형 커넥터(281)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호 튜브(282)의 양단부에는, 리드선 및 보호 튜브(282)를 결속하는 결속 밴드(284, 284)(소위 인슈로크)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결속 밴드(284, 284)는, 전원 커버(290) 및 제1 커버 구성체(202)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보호 튜브(282)가 전원 커버(290) 및 제1 커버 구성체(20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 커버 구성체(203)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31)의 측이 수형 커넥터(286)에, 보유 지지부(233)의 측이 LED 모듈(205, 205…)에 접속되는 리드선(251, 251…)의 일단부의 측이 되도록, 보호 튜브(287) 및 보호 스프링(288)을 내부에 삽입 관통시켜, 수형 커넥터(286)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호 튜브(287)의 양단부에는, 리드선 및 보호 튜브(287)를 결속하는 결속 밴드(289, 289)(소위 인슈로크)가 장착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286)의 측의 결속 밴드(289)는, 제2 커버 구성체(203)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보호 튜브(287)가 제2 커버 구성체(203)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원 모듈(209)에 접속된 암형 커넥터(281)와 LED 모듈(205, 205…)에 접속된 수형 커넥터(286)를 끼워 맞춤시킨다. 이 결과, 조명 장치 본체(210a)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부(291)가 리드선(294, 294…, 251, 251…)을 통해 LED 모듈(205, 205…)에 접속되게 된다.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201)의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를 제2 커버 구성체(203)의 원통부(231)에 삽입하여, 결합 수단인 돌기(223, 223) 및 결합편(235, 235)을 결합시킴으로써, 커넥터 커버(201)를 일체화시킨다. 또한, 제1 커버 구성체(202) 및 제2 커버 구성체(203)는, 서로 접속된 상태의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수형, 암형 형상 또는 방식은, 사양이 상이한 기종에서는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어, 이에 의해 조명 장치와 전원 모듈의 조합을 혼동할 우려가 없어진다. 특히 2기종만의 라인업인 경우는, A기종 조명 장치의 조명 장치 본체측의 커넥터를 수형 형상으로, 전원 모듈측의 커넥터를 암형 형상으로 하고, B기종 조명 장치의 조명 장치 본체측의 커넥터를 암형 형상으로, 전원 모듈측의 커넥터를 수형 형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상에 의해,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가 커넥터 커버(201)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갉아먹지 않도록, 또한 진애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를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만일 커넥터부에서 발화한 경우, 둘레로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기인한 조명 장치의 고장, 감전 등의 문제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를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시키는 작업은, 한쪽 손으로 가능한 용이한 작업이기 때문에, 전술한 조명 장치(210)와 같이,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설치하고, 천장의 이면측에 전력선 및 커넥터를 설치하는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특히, 조명 장치의 장착 및 제거의 작업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
(실시 형태 10)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는, 조명 장치 본체(210a)와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커넥터 커버를 조명 장치 본체와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8은, 커넥터 커버와 조명 장치 본체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열기(204)의 전열판(241)에 세워 설치된 3매의 방열판(242, 242…)에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원통부(236)를 갖는 제2 커버 구성체(203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원통부(236)에는, 실시 형태 9에 관한 커넥터 커버(201)의 제2 커버 구성체(203)와 마찬가지로, 절결부(234, 234) 및 결합편(235, 235)이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30 내지 도 37에 도시한 실시 형태 9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우선, 암형 커넥터(281)와 수형 커넥터(286)를 접속한다. 다음에, 실시 형태 9에 있어서 설명한 커넥터 커버(201)와 마찬가지로, 제1 커버 구성체(202)의 원통부(221)를 제2 커버 구성체(203a)의 원통부(236)에 삽입하여, 결합 수단인 돌기(223, 223) 및 결합편(235, 235)을 결합시킴으로써, 제1 커버 구성체(202)와 제2 커버 구성체(203a)를 일체화한다.
이상에 의해,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가 커넥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쥐 등의 해를 끼치는 짐승이 갉아먹지 않도록, 또한 진애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암형 커넥터(281) 및 수형 커넥터(286)를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만일 커넥터부에서 발화한 경우, 둘레로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기인한 조명 장치의 고장, 감전 등의 문제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커버 구성체(202, 203a)를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시키는 작업은, 한쪽 손으로 가능한 용이한 작업이기 때문에, 천장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설치하고, 천장의 이면측에 전력선 및 커넥터를 설치하는 조명 장치의 경우는 특히, 조명 장치의 장착 및 제거의 작업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커버 구성체(203a)의 원통부(236)에 결합편(235, 235)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해도 좋다. 즉, 내측의 제1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에 결합편을, 외측의 제2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에 제1 커버 구성체의 원통부의 측(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커넥터 커버의 표면에 요철이 없어,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결합 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진애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아, 장기간 경과한 후의 제거 작업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편 및 돌기의 형상은, 이상의 실시 형태 9 및 10에 있어서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9 및 10에 있어서는, 결합편을 원통부에 마련한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의 원통부로부터 돌출 설치시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9 및 10에 있어서는,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LED 모듈(203, 203…)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휘도의 LED 칩, EL(Electro Luminescence), 형광등, 전구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9 및 10에 있어서는, 다운라이트에 커넥터 커버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운라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이외의 전기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1, 1a, 1b, 1c: 화장 프레임(커버)
12: 플랜지부(대향부)
15: 돌출 설치부(피복부)
15b: 절결부
15c: 경사면
16, 16a: 보강부
16b: 돌기
6: 판 스프링(장착체)
10a: 조명 장치 본체(피장착체)
1100: 천장(부재)
1100a: 장착 구멍
101, 101a, 101b: 낙하 방지 부재
102: 방열기
103: LED 모듈(광원)
110: 조명 장치(피보유 지지 부재)
110a: 조명 장치 본체
111: 후크(걸림 고정체)
112: 코일 스프링(충격 흡수체, 충격 흡수 수단)
113: 와이어
115: 판 형상의 스프링(충격 흡수체, 충격 흡수 수단)
115d: 슬릿
116: 굴곡 와이어(충격 흡수체, 충격 흡수 수단)
1101: 보유 지지 부재
201: 커넥터 커버
202: 제1 커버 구성체
221: 원통부
223: 돌기(결합 수단)
203, 203a: 제2 커버 구성체
231: 원통부
235: 결합편(결합 수단)
234: 절결부
234a: 협착부
281: 암형 커넥터(제1 커넥터)
286: 수형 커넥터(제2 커넥터)

Claims (8)

  1. 부재의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피장착체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체와 상기 장착 구멍 사이의 간극을 덮는 커버로서,
    상기 커버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 구멍의 요철에 의해 상기 피장착체와 상기 부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2. 삭제
  3. 부재에 개구된 장착 구멍에 장착된 피장착체 및 상기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는 커버로서, 상기 장착 구멍의 둘레에 이격하여 대향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의 외주부에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의 서로 이격한 복수 개소에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자신의 양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상기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보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내측 근방에, 상기 절결부에 삽입되는 공구를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07024645A 2008-04-03 2009-03-17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1126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7318A JP2009252451A (ja) 2008-04-03 2008-04-03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JP-P-2008-097318 2008-04-03
JPJP-P-2008-169175 2008-06-27
JP2008169175A JP2010009984A (ja) 2008-06-27 2008-06-27 落下防止部材及び該落下防止部材を備える照明装置
JP2008172726A JP2010015727A (ja) 2008-07-01 2008-07-01 コネクタカバー及び該コネクタ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JP-P-2008-172726 2008-07-01
PCT/JP2009/055142 WO2009122899A1 (ja) 2008-04-03 2009-03-17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10A KR20100127310A (ko) 2010-12-03
KR101126894B1 true KR101126894B1 (ko) 2012-03-20

Family

ID=4113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645A KR101126894B1 (ko) 2008-04-03 2009-03-17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19429A1 (ko)
EP (1) EP2275737A4 (ko)
KR (1) KR101126894B1 (ko)
CN (1) CN101990615B (ko)
WO (1) WO2009122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32B1 (ko) * 2011-07-25 2013-02-2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Led 간접 조명장치
DK201100141U3 (da) * 2011-09-14 2013-01-11 Nordtronic Aps Indbygningslampe med fleksibelt beslag
KR101271569B1 (ko) * 2011-11-23 2013-06-11 권미숙 Led 조명등
US9228723B2 (en) 2012-03-27 2016-01-05 Abl Ip Holding Llc Downlight fixtures
CN107606588A (zh) * 2014-11-28 2018-01-19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灯具固定座和灯具连接座以及一种灯具固定装置
DE102017104142A1 (de) 2017-02-28 2018-08-30 Osram Gmbh Einbauleuchte, insbesondere für "Sealed For Life"-Leuchteneinsätze
CN109058793B (zh) * 2018-08-24 2020-09-01 商洛市虎之翼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脱尾盖机构及其照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092A (ko) * 2004-04-15 2007-01-0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조명 광학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70031203A (ko) * 2005-09-15 2007-03-19 김종훈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984A (en) * 1990-08-10 1991-09-03 Charles Trowbridge Mounting device for releasable securement to a panel
JPH0587723U (ja) 1992-04-27 1993-11-2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照明器具
DE9310757U1 (de) * 1993-07-17 1994-03-17 Trilux Lenze Gmbh & Co Kg Einbaustrahler
US5373431A (en) * 1993-08-31 1994-12-13 Cooper Industries, Inc. Ring/baffle element for a trim of a recessed lighting fixture
US5707143A (en) * 1996-09-03 1998-01-13 National Service Industries, Inc. Pull-on clip for downlight reflector trim
JPH10214511A (ja) * 1997-01-29 1998-08-11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天井埋込照明器具の天井取付装置
JPH1125745A (ja) * 1997-06-30 1999-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埋込型照明器具
US6474846B1 (en) * 1999-03-05 2002-11-05 Victor Kelmelis Flush trim collar lighting system
DE20214536U1 (de) * 2002-09-19 2002-12-05 Aqua Signal Ag Einbau-Deckenleuchte
US7571570B2 (en) * 2003-11-12 2009-08-1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ecessed plaster collar assembly
JP4527525B2 (ja) * 2004-12-28 2010-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CN100582565C (zh) * 2005-06-08 2010-01-20 株式会社远藤照明 埋入型器具的安装构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092A (ko) * 2004-04-15 2007-01-0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조명 광학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70031203A (ko) * 2005-09-15 2007-03-19 김종훈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재불비 해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5737A4 (en) 2011-09-21
US20110019429A1 (en) 2011-01-27
CN101990615B (zh) 2014-09-03
WO2009122899A1 (ja) 2009-10-08
CN101990615A (zh) 2011-03-23
EP2275737A1 (en) 2011-01-19
KR20100127310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894B1 (ko)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RU2541124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0009984A (ja) 落下防止部材及び該落下防止部材を備える照明装置
WO2010143577A1 (ja) 照明装置
US20140126195A1 (en) Recessed light fixture retrofit kit
US20170227193A1 (en) Micro louver
JP2010287400A (ja) 照明装置
JP6484967B2 (ja) ホルダ、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JP5016711B2 (ja) 照明装置
JP7067198B2 (ja) 灯具、および照明装置
JP4756391B2 (ja) 照明器具
JP5570465B2 (ja) 照明装置
CN112325212A (zh) 一种led灯具
JP4756383B2 (ja) 照明器具
JP2009252451A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2010287401A (ja) 照明装置
JP5570637B2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2022081699A (ja) 照明器具
JP2010282762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6979773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JP6971592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JP6796767B2 (ja) 照明器具
JP6803543B2 (ja) 照明器具
JP6681669B2 (ja) 基板ユニット装置及び照明器具
JP5695238B2 (ja) Led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