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156B1 - 헤어라인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헤어라인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156B1
KR101125156B1 KR1020080078188A KR20080078188A KR101125156B1 KR 101125156 B1 KR101125156 B1 KR 101125156B1 KR 1020080078188 A KR1020080078188 A KR 1020080078188A KR 20080078188 A KR20080078188 A KR 20080078188A KR 101125156 B1 KR101125156 B1 KR 10112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huck
sand paper
core
sand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255A (ko
Inventor
김병엽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주연
김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김병엽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08007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9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plane decorativ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4Rigid drum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 B24D9/06Rigid drum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able to be stripped-off from a built-in delivery sp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2203/00Tool surfaces formed with a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형상 모재의 폭 크기에 제한없이 원하는 헤어라인(Hair Line)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어라인 가공장치에서는 피가공판인 모재의 폭에 따라 임의로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수단인, 샌드페이퍼 코어(Sand Paper Core),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Paper Tension Brake Chuck)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Winding Sand Paper Core)를 갖는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을 구비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피가공판의 폭 크기에 제한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금속판재, 헤어라인, 샌드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Tension Brake Chuck), 와인딩척(Winding Chuck), 샌드페이퍼 코어(Sand Paper Core).

Description

헤어라인 가공 장치{Hair Lin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속판의 표면에 미세한 라인, 즉, 헤어라인(Hair Line)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판의 폭 크기에 따라 임의로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수단인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을 구비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피가공판의 폭 크기에 제한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헤어라인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판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가는 선을 지칭한다. 이러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가공작업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고유의 광택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고, 표면에 발생한 긁힘이나 찍힘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금속 제품의 품질을 고급화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헤어라인은 금속판재의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헤어라인 가공장치는, 헤어라인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폭의 금속판재에 해당하는 샌드페이퍼들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헤어라인을 형성 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헤어라인 가공장치에서 모재(母材)들과 대응하는 다양한 폭의 샌드페이퍼를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들의 폭에 따라 그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텐션브레이크척을 구비하여 보다 쉽고 편리하게 헤어라인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이동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롤러들을 통해 공급되는 피가공판인 모재의 표면에 헤어라인(Hair Line)을 형성하는 샌드페이퍼를 갖는 샌드페이퍼롤과, 상기 샌드페이퍼롤의 인접위치에서 상기 샌드페이퍼롤 상의 상기 샌드페이퍼를 지지하며, 상기 이동롤러들에 의한 피가공판의 이동시 피가공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상기 샌드페이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샌드페이퍼 코어(Sand Paper Core)와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Winding Sand Paper Core) 및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샌드페이퍼 및 피가공판의 표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하여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콘택트롤러를 갖는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Paper Tension Brake Chuck) 및 상기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 및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코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샌드페이퍼롤은, 피가공판인 모재의 폭에 대응하는 소정폭의 상기 샌드페이퍼를 감아주는 권취 샌드페이퍼롤러와, 상기 샌드페이퍼를 풀어주는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은, 상기 이동롤러들 일측에 구비되고, 권취 샌드페이퍼롤러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샌드페이퍼와 모재의 표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하여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콘택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에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일측에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릴척(reel chuck)을 더 구비하되, 상기 릴척은,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코어척(core chuck)과, 상기 제1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되게 구비된 스크류(screw)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제1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스핀들과, 상기 제1스핀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스핀들 및 제1피스톤을 지지하는 릴척 브래킷(reel chuck bracket)과,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이동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션브레이크(tension brake)를 더 포함하되, 상기 텐션브레이크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코어척과, 상기 제2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제1베어링과, 상기 제1베어링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공기(air)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공기주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텐션브레이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2피스톤을 지지하는 텐션브레이크 브래킷(tension bracket)과,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이동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와인딩척 (Winding Chuck)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와인딩척은,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코어척과, 상기 제3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와인딩척 회전축과,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제2베어링과,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3피스톤과, 상기 제3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을 지지하는 와인딩척 지지브래킷(winder bracket)과, 상기 제3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3이동레버와,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웜감속기(worm decelerata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소정간격 이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코어척을 갖는 제2와인딩척(Winding Chuck)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와인딩척은, 상기 제2와인딩척과 한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이동체와, 상기 실린더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와, 상기 실린더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상기 실린더이동체가 이동되게 구동력을 부여하는 이동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에 의하면, 피가공판인 모재들과 대응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샌드페이퍼를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들의 폭에 따라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하나의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통해 다양한 폭의 피가공판인 모재에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장치구매비용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다양한 폭의 피가공판인 모재에 해당하는 각각의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마련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공간 및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부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들의 구성방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판인 모재의 표면에 헤어라인(Hiar Line)을 형성하는 샌드페이퍼롤과, 샌드페이퍼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110)과, 샌드페이퍼 코어(120)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를 작동시키는 코어구동수단(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가공판인 모재(150)(예를들어,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하고자 하는 금속판재)는 4자(여기서, 1자 = 1척 = 10치(寸) = 10/33m = 30.30 cm 임) 또는 5자 등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롤러(102)는 피가공판인 모재(150)를 소정의 헤어라인 형성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1의 화살표 ⓐ 참조). 이동롤러(102)는 기체(101)상에 구비된 롤러구동수단(107)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롤러(102)는 기체(101)상의 전(全) 길이에 걸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기체(101)의 소정위치에는 브러쉬롤러(1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러쉬롤러(104)는 에어실린더(105)에 의해 상?하 이송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브러쉬롤러(104)는 피가공판인 모재(150)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 헤어라인 가공시 발생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브러쉬롤러(104)의 일측에는 기어드모터(106, geard motor)를 구비하여 브러쉬롤러(104)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110)은 이동롤러(102)들에 의해 이동되는 피가공판인 모재(150)와 접하면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샌드페이퍼롤은 샌드페이퍼(103)를 풀어주거나 감아주는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로 구성된다.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는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동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가공판인 모재(150)의 폭에 대응하는 소정폭의 샌드페이퍼(103)를 풀어주게 된다(도 1의 화살표 ⓑ 참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는 샌드페이퍼(103)의 폭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는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동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에서 감아주는 만큼의 샌드페이퍼(103)를 풀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1의 화살표 ⓒ 참조).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는 피가공판인 모재(150) 및 샌드페이퍼(103)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4자 또는 5자 등)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는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동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한 양만큼 샌드페이퍼 코어(120)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측에 감아서 사용하게 된다.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통 3개 이상 6개 또는 7개 등으로 다양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110)은, 도 1, 도 2,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샌드페이퍼 코어(120)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 winding core)와, 샌드페이퍼(103)와 피가공판인 모재(150)를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하는 콘택트롤러(140, contact roller)로 이루어진다.
샌드페이퍼 코어(120)는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샌드페이퍼 코어(12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일측에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폭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릴척(122, reel chuck) 및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타측에 구비되어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 core Tension Brake Chuck)을 포함한다.
릴척(122)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 어(130) 측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릴척(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한 제1코어척(122a, core chuck)과, 제1코어척(122a)과 한 몸체를 이루는 스크류(122b, screw)와,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 측으로 이동하는 제1스핀들(122d)과, 제1코어척(122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피스톤(122e, piston)과, 제1스핀들(122d, spindle) 및 제1피스톤(122e)을 지지하는 릴척 브래킷(122f, reel chuck bracket)과, 제1피스톤(122e)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이동레버(122g)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코어척(122a)은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폭에 따라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코어척(122a)은 제1스핀들(122d)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스크류(122b)는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를 고정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 참조). 스크류(122b)는 핸들(122c)과 연결되고, 작업자가 핸들(122c)을 조작하는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된다. 핸들(122c)을 회전조작하게 되면, 핸들(122c)과 연결된 스크류(122b)에 의해 피가공판인 모재(150) 및 샌드페이퍼(103)의 폭에 따라 제1스핀들(122d)이 내?외측으로 전?후진하면서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폭에 따라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이동하게 된다. 스크류(122b)의 외주연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스핀들(122d)은 제1코어척(122a)과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스핀들(122d)의 내주연부에는 스크류(122b)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스핀들(122d)은 스크류(122b)의 회전시, 나사방식에 의해 스크 류(122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 참조).
제1피스톤(122e)은 제1스핀들(122d)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피스톤(122e)는 피가공판인 모재(150) 및 샌드페이퍼(103)의 폭(예를 들어, 4자 또는 5자 등)에 따라 내측으로 좁혀지거나 외측으로 넓혀진 상태에서 고정볼트(122h)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릴척 브래킷(122f)은 제1피스톤(122e)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제1스핀들(122d)과 제1피스톤(122e)을 지지하게 된다. 제1피스톤(122e)은 제1이동레버(122g)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게 제어될 수 있다.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코어척(124a)과, 제2코어척(124a)과 한 몸체를 이루는 회전축(124b)과, 회전축(124b)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제1베어링(124c)과, 공기(air)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124d)와, 회전축(124b)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패드(124e)와, 회전축(124b)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텐션브레이크(124f)와, 회전축(124b)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피스톤(124g)과, 회전축(124b)과 제2피스톤(124g)을 지지하는 텐션브레이크 브래킷(124h, tension brake bracket)과, 제2피스톤(124g)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이동레버(124i)로 구성된다.
제2코어척(124a)은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의 일측에서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11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회전축(124b)은 제2코어척(124a)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다. 회전축(124b)은 제1베어링(124c)에 의해 회전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베어링(124c)은 회전축(124b)의 외주연부와 밀착되게 설치된다.
공기주입구(124d)는 제1베어링(124c)과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공기가 주입되게 한다. 브레이크패드(124e)는 공기주입구(124d)의 일측에 구비된다.
브레이크패드(124e)는 공기주입구(124d)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소정간격 이동하면서 텐션브레이크(124f)와 마찰되고, 이에 의해, 회전축(124b)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텐션브레이크(124f)는 회전축(124b)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축(124b)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제2피스톤(124g)은 회전축(124b)을 위요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축(124b)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텐션브레이크 브래킷(124h)은 제2피스톤(124g)의 외주연부에 구비된다. 텐션브레이크 브래킷(124h)은 회전축(124b)과 제2피스톤(124g)을 지지한다. 제2피스톤(124g)은 이동된 위치에서 제2이동레버(124i) 및 고정볼트(122h)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는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의 타측에 구비되어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와인딩척(132, Winding Chuck)을 포함한다.
제1와인딩척(132)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코어척(132a)과, 제3코어척(132a)과 한 몸체를 이루는 와인딩척 회전축(132b)과, 와인딩척 회전축(132b)을 원할하게 회전되게 하는 제2베어링(132c)과,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3피스톤(132d)과, 와인딩척 회전축(132b)을 지지하는 와인딩척 지지브래킷(132e, Winding Chuck bracket)과, 제3피스톤(132d)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3이동레버(132f)와,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웜감속기(132g, worm deceleratat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코어척(132a)은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의 일측에서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와인딩척 회전축(132b)은 제3코어척(132a)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베어링(132c)은 와인딩척 회전축(132b)과 밀착되게 설치되어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3피스톤(132d)은 와인딩척 회전축(132b)을 위요하면서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와인딩척 지지브래킷(132e)은 제3피스톤(132d)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와인딩척 회전축(132b)을 지지하게 된다. 제3피스톤(132d)은 제3이동레버(132f)에 의해 이동이 제어되면서 고정된다.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일측에는 웜감속기(132g)를 구비하여 와인딩척 회전축(132b)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는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의 폭에 따라 소 정간격 이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코어척(134a)을 갖는 제2와인딩척(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와인딩척(134)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이동체(134b)와, 실린더이동체(134b)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4c, guide plate)와, 실린더이동체(134b)가 이동되게 구동력을 부여하는 이동실린더(134d)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는 실린더이동체(134b)를 이동시겨 고정하고, 핸들(122c), 제1,2,3스핀들(122d, 124g, 132d) 및 제1,2,3,4 코어척(122a, 124a, 132a, 134a)들을 통해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고정방식은 샌드페이퍼 코어(120)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의 고정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2와인딩척(132, 134)은 제3코어척(132a) 및 제4코어척(134a)를 통해 릴척(122)과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과 동일한 방식으로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고정 지지하고,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테이프(tape)등의 접착제로 고정하여 웜감속기(132g)로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송될 때 마다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측으로 약 9㎜ ~ 11㎜ 씩 되감는다.
실린더이동체(134b)는 제2와인딩척(134)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와인딩척(134)과 한 몸체를 이루게 된다. 실린더이동체(134b)는 판형상으로 마련되어 편리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34c)는 기체(101)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이동체(134b)의 이 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동실린더(134d)의 일단부는 실린더이동체(134b)와 연결되고, 실린더이동체(134b)가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b)의 폭에 따라 폭조절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콘택트롤러(140, contact roller)는 샌드페이퍼 코어(120)와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사이에서 이동롤러(102)들과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콘택트롤러(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페이퍼(103)와 피가공판인 모재(150)의 표면이 서로 접할 수 있도록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콘택트롤러(140)의 일측에는 피가공판인 모재(150)의 이동을 지지하는 빌리롤러(141, billy roller)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동롤러(102)들에 의해 이동되는 피가공판인 모재(150)의 표면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100)에 의하면, 예를 들어, 4자용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릴척(122)과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 또는 제1,2와인딩척(132, 134)을 각 척에 구비된 제1,2,3이동레버(122g, 124i, 132f)를 통해 내측(안쪽)으로 쉽고 편리하게 좁혀서 고정볼트(122h)로 고정한다. 이 후, 릴척(122)의 핸들(122c)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스크류(122b)에 조립되어 있는 제1스핀들(122d)을 4자용 샌드페이퍼측으로 밀어줄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제1스핀들(122d)측에 구비된 제1코어척(122a)을 통해 4자용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5자용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릴척(122)과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 또는 제1,2와인딩척(132,134)을 고정하는 고정볼트(122h)를 풀어서 결합을 해제한 다음, 릴척(122)과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 또는 제1,2와인딩척(132,134)을 각 척에 구비된 제1,2,3이동레버(122g, 124i, 132f)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외측(바깥쪽)으로 넓히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되어 5자 폭에 맞게 넓혀진 릴척(122)과 코어 텐션브레이크척(124) 또는 제1,2와인딩척(132,134)을 고정볼트(122h)로 고정한다. 이 후, 릴척(122)의 핸들(122c)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스크류(122b)에 조립되어 있는 제1스핀들(122d)을 5자용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측으로 밀어줄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제1스핀들(122d)측에 취부된 제1코어척(122a)을 통해 5자용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를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각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들의 최종적인 고정은 릴척(122)측의 핸들(122c)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제1코어척(122a)을 각 샌드페이퍼들 측으로 이송되게 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2와인딩척(132, 134)은 제3코어척(132a) 및 제4코어척(134a)를 통해 각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롤러(111a, 111b)들의 폭(예를 들어, 4자 또는 5자 등)에 따라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테이프(tape)등의 접착제로 고정하고, 웜감속기(132g)로 피가공판인 모재(150)가 이송될 때 마다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130)측으로 약 9㎜ ~ 11㎜ 씩 되감는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100)에 의하면, 4자 또는 5자 등 다양한 폭을 갖는 샌드페이퍼들에 따라 자유롭게 폭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D"부 측단면도,
도 9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공급 샌드페이퍼들의 구성방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헤어라인 가공장치,
101 : 기체,
102 : 이동롤러(feeding roller),
103 : 샌드페이퍼,
104 : 브러쉬롤러(brush roller),
105 : 에어실린더,
106 : 기어드모터(geard motor),
107 : 롤러구동수단,
108 : 코어구동수단,
110 :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Paper Tension Brake Chuck),
111a :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111b : 공급 샌드페이퍼롤러,
120 : 샌드페이퍼 코어,
122 : 릴척,
122a : 제1코어척(core chuck),
122b : 스크류(screw),
122c : 핸들,
122d : 제1스핀들(spindle),
122e : 제1피스톤(piston),
122f : 릴척 브래킷(reel chuck bracket),
122g : 제1이동레버,
122h : 고정볼트,
124 : 코어 텐션브레이크척,
124a : 제2코어척(core chuck),
124b : 회전축,
124c : 제1베어링(bearing),
124d : 공기주입구,
124e : 브레이크패드,
124f : 텐션브레이크,
124g : 제2피스톤,
124h : 텐션브레이크 브래킷(tension brake bracket),
124i : 제2이동레버,
130 :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Winding Sand Paper Core),
132 : 제1와인딩척 (Winding Chuck),
132a : 제3코어척(core chuck),
132b : 와인딩척 회전축,
132c : 제2베어링,
132d : 제3피스톤,
132e : 와인딩척 지지브래킷(Winding Chuck bracket),
132f : 제3이동레버,
132g : 웜감속기(worm deceleratator),
134 : 제2와인딩척(Winding Chuck),
134a : 제4코어척(core chuck),
134b : 실린더이동체,
134c :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134d : 이동실린더,
140 : 콘택트롤러(contact roller),
141 : 빌리롤러(billy roller),
150 : 모재(母材).

Claims (7)

  1.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설치된 이동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롤러들을 통해 공급되는 피가공판인 모재의 표면에 헤어라인(Hair Line)을 형성하는 샌드페이퍼를 갖는 샌드페이퍼롤;
    상기 샌드페이퍼롤의 인접위치에서 상기 샌드페이퍼롤 상의 상기 샌드페이퍼를 지지하며, 상기 이동롤러들에 의한 피가공판의 이동시 피가공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상기 샌드페이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샌드페이퍼 코어(Sand Paper Core)와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Winding Sand Paper Core) 및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샌드페이퍼 및 피가공판의 표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하여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콘택트롤러를 갖는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Paper Tension Brake Chuck); 및
    상기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 및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부여하는 코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페이퍼롤은,
    피가공판인 모재의 폭에 대응하는 소정폭의 상기 샌드페이퍼를 감아주는 권 취 샌드페이퍼롤러와, 상기 샌드페이퍼를 풀어주는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텐션브레이크척은,
    상기 이동롤러들 일측에 구비되고, 권취 샌드페이퍼롤러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와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샌드페이퍼와 모재의 표면이 서로 접하면서 밀착되게 하여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콘택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 및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에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일측에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릴척(reel chuck)을 더 구비하되,
    상기 릴척은,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코어척(core chuck)과, 상기 제1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되게 구비된 스크류(screw)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제1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 및 공급 샌드페이퍼롤러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스핀들과, 상기 제1스핀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스핀들 및 제1피스톤을 지지하는 릴척 브래킷(reel chuck bracket)과,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이동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션브레이크(tension brake)를 더 포함하되,
    상기 텐션브레이크는, 상기 권취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코어척과, 상기 제2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제1베어링과, 상기 제1베어링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공기(air)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공기주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텐션브레이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2피스톤을 지지하는 텐션브레이크 브래킷(tension bracket)과,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이동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와인딩척 (Winding Chuck)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와인딩척은,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코어척과, 상기 제3코어척과 한 몸체를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와인딩척 회전축과,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제2베어링과,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3피스톤과, 상기 제3피스톤의 외주연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을 지지하는 와인딩척 지지브래킷(winder bracket)과, 상기 제3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3이동레버와, 상기 와인딩척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웜감속기(worm decelerata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샌드페이퍼 코어는,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소정간격 이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코어척을 갖는 제2와인딩척(Winding Chuck)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와인딩척은, 상기 제2와인딩척과 한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이동체와, 상기 실린더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와, 상기 실린더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 샌드페이퍼롤러의 폭에 따라 상기 실린더이동체가 이동되게 구동력을 부여하는 이동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라인 가공장치.
KR1020080078188A 2008-08-08 2008-08-08 헤어라인 가공 장치 KR10112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188A KR101125156B1 (ko) 2008-08-08 2008-08-08 헤어라인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188A KR101125156B1 (ko) 2008-08-08 2008-08-08 헤어라인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55A KR20100019255A (ko) 2010-02-18
KR101125156B1 true KR101125156B1 (ko) 2012-03-20

Family

ID=4208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188A KR101125156B1 (ko) 2008-08-08 2008-08-08 헤어라인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2586A (zh) * 2012-06-04 2012-09-19 林建华 无极旋转速进平抛机
CN110154192B (zh) * 2019-05-29 2022-03-25 浙江大东吴绿家木业有限公司 一种不规则丝线状木饰面的复合地板制作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164U (ko) * 1993-03-04 1994-10-19 장동배 스테인레스 띠 강판의 헤어라인 가공을 겸한 점착 필름 피복기
KR100362657B1 (ko) * 1998-10-30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롤과 저석포 교환이 용이한 수쿠어링머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164U (ko) * 1993-03-04 1994-10-19 장동배 스테인레스 띠 강판의 헤어라인 가공을 겸한 점착 필름 피복기
KR100362657B1 (ko) * 1998-10-30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롤과 저석포 교환이 용이한 수쿠어링머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55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899B1 (en) Polishing apparatus
JP2019155541A (ja) ベルトサンダー機
KR101125156B1 (ko) 헤어라인 가공 장치
JP2009518872A5 (ko)
CN107225483A (zh) 一种板材双面同步抛光装置
KR100541774B1 (ko) 고무롤러의 피복제거장치
US6638147B2 (en) Polishing method for removing corner material from a semi-conductor wafer
JPH06511220A (ja) 紙ウエブ又はボール紙ウエブを巻き取るための巻取機
JPS6044264A (ja) 傷取り兼用のヘアライン加工装置
KR101257391B1 (ko) 코일 교정장치
JPH10249723A (ja) ウェーハの枚葉加工装置
JP2001260014A (ja) 枚葉式両面ラップ盤およびウェーハ製造方法
KR200224639Y1 (ko) 롤 상태의 나이렉스 원단 컷팅기
JP3657471B2 (ja) 可撓管研磨機及び可撓管研磨方法
JP4347332B2 (ja) ターレット型巻取機におけるターレット内タッチローラ装置
JP3746529B2 (ja) 円筒状管材の端縁面取機、および端縁面取された円筒状管材の製造方法
KR100475657B1 (ko) 권취장치
CN218433947U (zh) 一种高效的装饰原纸用上料装置
CN216785170U (zh) 一种收卷机辅助进卷装置
JP4940775B2 (ja) テープラップ装置
JP2004243442A (ja) ラッピング加工装置およびラッピング加工方法
JPH04146072A (ja) ステンレスコイルの鏡面研磨装置および鏡面研磨方法
JPS59227363A (ja) 研磨装置
KR20020049174A (ko) 레벨라 롤 클리닝장치
JP3256155B2 (ja) ワイヤソ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