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391B1 - 코일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391B1
KR101257391B1 KR1020110039381A KR20110039381A KR101257391B1 KR 101257391 B1 KR101257391 B1 KR 101257391B1 KR 1020110039381 A KR1020110039381 A KR 1020110039381A KR 20110039381 A KR20110039381 A KR 20110039381A KR 101257391 B1 KR101257391 B1 KR 10125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er
pedestal
uni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18A (ko
Inventor
김양곤
박영국
임갑수
황병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3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이 안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받침대는 안치된 코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을 교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STRIP COIL}
본 발명은 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을 교정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판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된 슬라브(Slab)를 가열로에 주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원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된 최종 강재에 해당된다.
열연강판은 연속적인 작업공정 중 사상압연에서 최종제품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사상압연을 통과한 후 런-아웃-테이블(Run Out Table)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설비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러한 열연강판은 이동이 편리하도록 권취기에서 일정 길이만큼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을 교정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는: 코일이 안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안치된 상기 코일을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기 코일이 안치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기 코일의 일측이 안치되는 제1받침유닛; 및 상기 코일의 타측이 안치되는 제2받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받침유닛과 상기 제2받침유닛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받침유닛은, 상기 코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롤러; 상기 제1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1모터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받침유닛은, 상기 코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롤러; 상기 제2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받침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제1롤러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1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제2롤러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2브레이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을 교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코일이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에 짱구 현상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이 교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코일이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에 짱구 현상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에 안치된 코일이 교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는 받침대(100), 가이드 플레이트(20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받침대(100)에는 코일(C)이 안치된다. 받침대(100)는 안치된 코일(C)이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코일(C)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대(100)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200)는 받침대(100)의 이동을 안내한다. 받침대(100)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상부에 안치된 코일(C)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받침대(100)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연속적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받침대(100)는 롤러부(10), 지지프레임부(20), 구동부(30), 브레이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롤러부(10)는 코일(S)을 안치하며, 지지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프레임부(20)는 동력이 제공되는 경우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부(30)는 롤러부(10)와 연결되어 제어부(300)의 명령에 의해 롤러부(10)를 회전시킨다.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롤러부(10)가 회전되면서 롤러부(10)에 안치된 코일(C)은 롤러부(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코일(C)에 짱구 현상이 발생한 경우 롤러부(10)에 의해 코일(C)을 회전시킴으로써 짱구 현상을 교정할 수 있다.
구동부(30)의 작동이 정지되면 롤러부(10)의 회전이 정지되나, 긴급 상황 등 구동부(30)의 구동을 즉시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부(40)를 이용하여 롤러부(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받침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받침대(100)는 제1받침유닛(110), 제2받침유닛(120)을 포함한다. 제1받침유닛(110)에는 코일(C)의 일측이 안치되고, 제2받침유닛(120)에는 코일(C)의 타측이 안치된다.
제1받침유닛(110)은 제1롤러(111), 제1지지프레임(112), 제1모터(113), 제1브레이크(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롤러(111)는 코일(C)의 일측(도 3 기준 상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롤러(111)의 좌측부는 코일(C)의 하부 좌측을 지지하고, 제1롤러(111)의 우측부는 코일(C)의 하부 우측을 지지한다.
제1지지프레임(112)은 제1롤러(111)가 제1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롤러(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지지프레임(112)은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제공되면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제1모터(113)는 제1지지프레임(112)의 측방에 배치되어 제1롤러(11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모터(113)는 동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동력을 제1롤러(111)에 전달하여 제1롤러(111)를 회전시킨다.
제1브레이크(114)는 회전하는 제1롤러(111)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제1롤러(111)를 즉시 정지시킨다. 제1브레이크(114)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제1모터(113)의 작동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제1롤러(111)의 회전을 즉시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모터(113)의 작동을 중지하면서 제1브레이크(114)를 통해 제1롤러(11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1모터(113)의 작동 중지와 제1브레이크(114)를 통한 제동에 의해 제1롤러(111)는 즉시 정지된다.
제1브레이크(114)는 제1롤러(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브레이크패드(부호 생략)를 구비한다. 제1브레이크(114)는 제어부(300)로부터 제동 명령이 내려진 경우 브레이크패드를 제1롤러(111)와 맞닿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제1롤러(111)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제2받침유닛(120)은 제2롤러(121), 제2지지프레임(122), 제2모터(123), 제2브레이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롤러(121)는 코일(C)의 타측(도 3 기준 하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롤러(121)의 좌측부는 코일(C)의 하부 좌측을 지지하고, 제2롤러(121)의 우측부는 코일(C)의 하부 우측을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122)은 제2롤러(121)가 제2모터(12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롤러(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122)은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제공되면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제2모터(123)는 제2지지프레임(122)의 측방에 배치되어 제2롤러(12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2모터(123)는 동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동력을 제2롤러(121)에 전달하여 제2롤러(121)를 회전시킨다.
제2브레이크(124)는 회전하는 제2롤러(121)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제2롤러(121)를 즉시 정지시킨다. 제2브레이크(124)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제2모터(123)의 작동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제2롤러(121)의 회전을 즉시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모터(123)의 작동을 중지하면서 제2브레이크(124)를 통해 제2롤러(12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2모터(123)의 작동 중지와 제2브레이크(124)를 통한 제동에 의해 제2롤러(121)는 즉시 정지된다.
한편, 제1받침유닛(110)과 제2받침유닛(120)에 의해 코일(C)은 지지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므로, 제1받침유닛(110)과 제2받침유닛(120)의 작동은 동기화되어 동시에 진행된다. 예를 들어 제1모터(113)를 통한 제1롤러(111)의 회전과, 제2모터(123)를 통한 제2롤러(121)의 회전은 동시에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제1브레이크(114)를 통한 제동과, 제2브레이크(124)를 통한 제동은 동시에 수행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교정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C)은 받침대(100)에 의해 지지된 채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코일(C)은 높은 온도 및 자체 하중 등에 의해 짱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받침대(100)를 회전시켜 짱구 현상이 발생된 코일(C)을 교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코일(C)에 짱구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를 회전시켜 코일(C)을 회전시킨다.
권취기에서 권취되어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에 안치된 직후의 코일(C)은 정원(正圓)에 가까운 형상을 이룬다(도 4 참조). 이후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체 하중 등의 영향으로 상하의 폭이 좌우의 폭보다 좁게 되는 짱구 현상이 발생된다(도 5 참조).
이때 제1모터(113)와 제2모터(123)를 통해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를 반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에 안치된 코일(C)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롤러(111)와 제2롤러(121)에 의한 코일(C)의 회전은 코일(C)의 최대 외경을 이루는 부분(도 5의 A-A')이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까지 이루어진다(도 6 참조).
도 6과 같이 코일(C)의 최대 외경을 이루는 부분(도 6의 A-A')이 지면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경우 코일(C)의 최대 외경을 이루는 부분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짱구 현상이 발생되므로, 적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코일(C)은 도 7과 같이 정원(正圓)에 가까운 형상으로 교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받침대 110 : 제1받침유닛
111 : 제1롤러 112 : 제1지지프레임
113 : 제1모터 114 : 제1브레이크
120 : 제2받침유닛 121 : 제2롤러
122 : 제2지지프레임 123 : 제2모터
124 : 제2브레이크 200 : 가이드 플레이트

Claims (7)

  1. 삭제
  2. 코일이 안치되고, 안치된 상기 코일을 회전시키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코일이 안치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4. 코일이 안치되고, 안치된 상기 코일을 회전시키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코일의 일측이 안치되는 제1받침유닛; 및
    상기 코일의 타측이 안치되는 제2받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받침유닛과 상기 제2받침유닛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가이드홀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유닛은, 상기 코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롤러;
    상기 제1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유닛은, 상기 코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롤러;
    상기 제2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제1롤러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1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제2롤러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2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교정장치.
KR1020110039381A 2011-04-27 2011-04-27 코일 교정장치 KR10125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1A KR101257391B1 (ko) 2011-04-27 2011-04-27 코일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1A KR101257391B1 (ko) 2011-04-27 2011-04-27 코일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18A KR20120121518A (ko) 2012-11-06
KR101257391B1 true KR101257391B1 (ko) 2013-04-23

Family

ID=4750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81A KR101257391B1 (ko) 2011-04-27 2011-04-27 코일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4105B1 (en) 2018-04-04 2022-05-11 ArcelorMittal Method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coil collapse on hot strip mill coi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87B1 (ko) * 2013-12-24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이송장치
EP3715003A1 (de) * 2019-03-26 2020-09-3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erfahren zum vermeiden von formänderungen bei metallbunden, insbesondere zum vermeiden eines kollabierens von frisch gewickelten warmbund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13U (ko) * 1998-11-16 2000-06-15 이구택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KR100797334B1 (ko) 2001-09-25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받침점이 가변되는 코일카
KR100882105B1 (ko) 2002-09-10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짱구 코일 방지장치
KR20100074424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13U (ko) * 1998-11-16 2000-06-15 이구택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KR100797334B1 (ko) 2001-09-25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받침점이 가변되는 코일카
KR100882105B1 (ko) 2002-09-10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짱구 코일 방지장치
KR20100074424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4105B1 (en) 2018-04-04 2022-05-11 ArcelorMittal Method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coil collapse on hot strip mill c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18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91B1 (ko) 코일 교정장치
JPS6192783A (ja) 多層スパイラル管製造装置
CN110385355A (zh) 热轧带钢取样方法及取样线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WO2017045523A1 (zh) 滚动式切割装置
KR101560495B1 (ko) 파이프 용접작업용 회전로울러 장치
JP6283927B2 (ja) ワークの形状調整装置及び形状調整方法
JP3167705U (ja) ワイヤ式切断装置
KR101281319B1 (ko) 시임용접부 연마장치
CN110834985A (zh) 一种保护膜放卷纠偏装置
CN107681185A (zh) 一种电池套膜机构
CN201823820U (zh) 一种用于钢带去毛刺的整形装置
KR101267593B1 (ko) 코일 교정장치
CN107487660A (zh) 绕线架的张紧装置以及应用该装置的绕线架
KR20130116720A (ko) 권취드럼용 대차
CN203767690U (zh) 薄膜印刷机上的调节装置
JP6125787B2 (ja) 巻鉄心製造装置
KR101243055B1 (ko) 2브라이들 텐션레벨러시스템
KR100765042B1 (ko)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101652199B (zh) 双枢转轴压平辊
CN105033658B (zh) 用于加工细长坯料的设备
KR20110088066A (ko) 비대칭 에이치 형강 절단 장치와 비대칭 에이치 형강 제조 방법
KR20130023683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4292A (ko) 스트립 이송용 루프 구조체
KR101125156B1 (ko) 헤어라인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