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889B1 -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889B1
KR101124889B1 KR1020097017073A KR20097017073A KR101124889B1 KR 101124889 B1 KR101124889 B1 KR 101124889B1 KR 1020097017073 A KR1020097017073 A KR 1020097017073A KR 20097017073 A KR20097017073 A KR 20097017073A KR 101124889 B1 KR101124889 B1 KR 10112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yclic a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244A (ko
Inventor
치카 네기시
아키히토 사이토
히로키 오루이
히로노부 이와와키
마사노리 무라츠바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00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alogen atom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18Poly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25/22Poly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with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3/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ring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13/28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 C07C13/3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 C07C13/6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more than three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4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 C07C15/56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polycyclic condensed
    • C07C15/62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polycyclic condensed containing fou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5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splitting-off hydrogen halides from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 C07C17/26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by condens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1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57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3/27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carbon atoms both belonging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65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9/665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condensed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at least one aromatic ring having 7 or more carbon atoms, e.g. azu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04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06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 C07C2603/1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 C07C2603/1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only one five-membered ring
    • C07C2603/18Fluorenes; Hydrogenated fluo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4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 C07C2603/4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rings
    • C07C2603/50Pyrenes; Hydrogenated p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5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ive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54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more than five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56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 C07C2603/58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70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rings
    • C07C2603/74Adamant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화합물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과, 고효율 및 고휘도의 광출력과 내구성을 가진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협지된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을 가지고, 상기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의 적어도 1층은 다음의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9
상기 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16은,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수환기를 나타내고, 각각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C0NDENSED RING AR0MATIC C0MP0UND F0R 0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0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이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과 음극 간에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 박막을 협지한 소자이다. 각 전극으로부터 전자 및 홀(정공)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형광성 화합물의 여기자를 생성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여기자가 기저 상태에 돌아올 때, 유기 발광 소자가 발광한다.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최근의 진보는 현저하고, 그 특징의 예로서는, 저인가 전압에서의 고휘도, 발광 파장의 다양성, 고속 응답성, 발광 디바이스의 박형, 경량화의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특성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는 광범위한 용도에의 사용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더 고휘도의 발광능력 또는 고변환 효율이 필요하다. 또,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경시 변화나 산소를 포함한 분위기 기체, 그리고 습기 등에 의한 열화 등의 내구성의 면에서 아직도 많은 문제가 있다.
또 풀 컬러 디스플레이 등에의 응용을 생각했을 경우에 색순도가 좋은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도 충분히 해결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색순도가 좋고, 발광 효율이 높으며, 또한 내구성이 좋은 유기 발광 소자를 실현하기 위한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한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 제2001-102173호 공보, 미국 공개특허 제2004-007685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6-256979호 공보, 일본 특개평 제10-189248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9-2416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구성 재료로서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의 개시는 없다. 또, J. Org.Chem. 64, 1650-1656, 1999에도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효율이고 고휘도인 광출력을 가지고, 또한 내구성이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1
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16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각각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높은 양자효율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고효율이고 고휘도인 광출력과 내구성을 가진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 [1]로 나타내진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2
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16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각각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기 일반식 [1]에서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옥소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 부틸기, tert-부틸기, sec-부틸기, 노말 펜틸기, 옥틸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벤질기, 및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알콕시기의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2-에틸-옥틸옥시기, 및 벤질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아릴옥시기의 예로서는, 페녹시기, 4-tert-부틸페녹시기, 및 티에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아미노기의 예로서는, N-메틸아미노기, N-에틸아미노기, N,N-다이메틸아미노기, N,N-다이에틸아미노기, N-메틸-N-에틸아미노기, N-벤질아미노기, N-메틸-N-벤질아미노기, N,N-다이벤질아미노기, 아닐리노기, N,N-다이페닐아미노기, N,N-다이나프틸아미노기, N,N-다이플루오레닐아미노모기, N-페닐-N-톨릴아미노기, N,N-다이톨릴아미노기, N-메틸-N-페닐아미노기, N,N-다이아니소릴아미노기, N-메시틸-N-페닐아미노기, N,N-다이메시틸아미노기, N-페닐-N-(4-tert-부틸페닐) 아미노기, N-페닐-N-(4-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 아미노기, N,N-다이(4-tert-부틸페닐) 아미노기, N,N-다이(3,5-다이메틸페닐) 아미노기, N-(9,9-다이메틸-플루오레닐)-N-페닐아미노기, N-(9,9-다이메틸-플루오레닐)-N-톨릴아미노기, N-(9,9-다이메틸-플루오레닐)-N-(3,5-다이메틸페닐) 아미노기, 및 N-(9,9-다이메틸-플루오레닐)-N-(2-나프틸)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아릴기의 예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펜타레닐기, 인데닐기, 아즈레닐기, 안트릴기, 피레닐기, 인다세닐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릴기, 페나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아세페난트릴기, 아세안트릴기, 트리페니레닐기, 크리세닐기, 나프타세닐기, 페리레닐기, 펜타세닐기, 비페닐기, 테르페닐기, 및 플루오레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아릴기의 예로서는 다음의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치환기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3
상기한 화합물은,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 등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등의 알콕시기; 페녹시기, 4-tert-부틸페녹시기 등의 아릴옥시기; N,N-다이페닐아미노기, N,N-다이나프틸아미노기 등의 아미노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또는 피리딜기, 및 피롤릴기 등의 복소환기 등을 가져도 된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복소환기의 예로서는, 피리딜기, 피로릴기, 옥사졸릴기, 옥사지아졸릴기, 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카르바졸릴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로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16로 나타내지는 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및 프로필기 등의 알킬기, 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페닐기, 및 비페닐기 등의 아릴기, 피리딜기, 및 피로릴기 등의 복소환기, 다이메틸아미노기, 다이에틸아미노기, 다이벤질아미노기, 다이페닐아미노기, 다이톨릴아미노기, 및 다이아니솔릴아미노기 등의 아미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프로폭시기 등의 알콕시기, 페녹실기 등의 아릴옥시기, 불소, 염소, 브롬, 및 옥소 등의 할로겐 원자, 및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의 합성 경로 1 또는 2 또는 3에 나타낸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합성 경로 1]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합성 경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와 2-히드록시페닐 붕소산의 유도체 또는 브로모클로로요드벤젠의 유도체를 원료로 해서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4
합성 경로 1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와 2-히드록시페닐붕소산의 유도체의 스즈끼-미야우라-결합 반응(예를 들면, Chem. Rev. 1995, 95, 2457-2483)에 의해 다이히드록시체를 합성한다. 다른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니켈촉매를 이용한 야마모토법(예를 들면, Bul1.Chem.Soc.Jpn. 51, 2091, 1978)도 들 수 있다. 다음에, 합성한 다이히드록실체를 다이트리플라트체로 유도하고, 이 다이트리플라트체에 분자내 고리화(예를 들면, J. 0rg. Chem. 68, 883-887, 2003)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2]
또,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합성 경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와 브로모 클로로 요드 벤젠의 유도체를 원료로 해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5
합성 경로 2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합성 경로 2는, 상기 합성 공정의 3번째 공정의 생성 화합물인 다이클로로체를 경유하는 합성 방법이다. 이 경로는, 일반식 [1]의 R4내지 R7 또는 R12 내지 R15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여러 가지 치환기를 도입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를 다이피나콜라트체(예를 들면, J. 0rg. Chem. 65, 164, 2000)로 유도한다. 다음에, 브로모클로로요드벤젠의 유도체와의 스즈끼-미유라-결합 반응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상기 합성 경로 1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과 같은 수법으로 분자내 고리화(예를 들면, J. 0rg. Chem. 68, 883-887, 2003)를 실시하고, 이에 의해 다이클로로체로 유도한다.
또, 이 다이클로로체를 중간체로서 이용해서 여러 가지 치환기를 도입하는 합성 방법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예로서는, 스즈끼-미야우라 결합 반응(J. Am. Chem.Soc. 120, 9722, 1998), 스틸(Stil1) 반응(Macromolecu1es. 18, 321, 1985), 및 헥(Heck) 반응(J. 0rg. Chem. 46, 1067, 1981) 등의 커플링 반응을 들 수 있다.
[합성 경로 3]
또,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합성 경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를 원료로 해서 합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6
합성 경로 3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합성 경로 3은, 일반식 [1]의 R4 내지 R7, 또는 R12 내지 R15에 여러가지 치환기를 도입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이브로모크리센 유도체를 에스테르체인 화합물 CR-1으로 유도한다. 다음에, 에스테르체의 가수분해를 실시해서 화합물 CR-2로 유도하고, 다음의 공정을 거쳐서 산염화물인 화합물 CR-3로 유도한다. 또, 분자 내 고리화(예를 들면, J. Am. Chem. Soc. 105, 7375, 1983)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케톤체로 유도한다. 이 케톤체를 다이케톤체(예를 들면, Bull. Chem. Soc. Jpn. 59, 3311, 1986)로 변환한다. 이 다이케톤체를 중간체로서 이용해서 노에베나겔(Knoevenage1) 반응(예를 들면, Eur. J. 0rg. Chem. 4185, 2002)과 디일스-앨더(Diels-Alder) 반응(예를 들면, J. 0rg. Chem. 62, 530, 1997)의 2 공정을 거쳐서, R4 내지 R7, 또는 R12 내지 R15에 여러 가지 치환기를 도입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 중심 재료 그 자체의 발광 양자효율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중의 R1 내지 R16의 모두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희석 용액 중에 있어서 발광 양자효율이 높다. 이 때문에, 일반식 [1]의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재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게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일반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16에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분자 회합에 의한 발광 효율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R1, R4, R7, R8, R9, R12, R15, R16에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은, 인접하는 치환기끼리의 입체 장해에 의해 일반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평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위치하기 쉽기 때문에, 분자 회합에 의한 발광 효율의 저하를 저감하는 효과가 크다.
분자 자체에 입체 장해를 주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미노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는, 아미노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발광층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합물을 호스트 재료, 게스트 재료의 어느 것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상기 화합물은 R1 내지 R16에 치환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아릴기,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합성 공정의 중간체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도입하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합성 반응에 있어서의 활성도의 점으로부터, 옥소, 브롬, 및 염소가 바람직하다.
유기 발광 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캐리어 주입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주입을 촉진하는 것에 의해 소자를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다. 캐리어 주입성을 높게 하기 위해서 도입하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나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치환기로서 아미노기를 도입하면 홀 주입성이 향상된다. 반면에, 복소환기를 도입하면 전자 주입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의 무치환체는, 희석용매 중에서의 발광 파장을 CIE의 색도 좌표로 환산했을 경우에, 색순도가 양호한 청색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이 무치환체로 π공역계를 신장하는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청색으로부터 장파장측의 발광색으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π공역계를 신장하기 위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아미노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7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8
Figure 112009049895963-pct00009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0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1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2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3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4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5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6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7
다음에,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과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으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이,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층 외에 다른 유기 화합물층을 가져도 된다. 다른 유기 화합물층의 예로서는, 홀 수송층, 홀 주입층 전자블로킹층, 홀블로킹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참조번호에 대해 설명한다.
(1)은 기판, (2)는 양극, (3)은 발광층, (4)는 음극, (5)는 홀수송층, (6)은 전자수송층, (7)은 홀주입층, (8)은 홀 및/또는 여기자를 차단하는 층, (10), (20), (30), (40) 및 (50)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이다. 도 1의 유기 발광 소자(10)에 있어서는, 기판(1) 상에, 양극(2), 발광층(3) 및 음극 (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기 발광 소자(10)는, 발광층(3)이 홀 수송성, 전자 수송성 및 발광성의 성능을 모두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발광층(3)이 홀 수송층, 전자 수송성 및 발광성의 성능 중의 어느 특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혼합해서 구성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이다. 도 2의 유기 발광 소자(20)에 있어서는, 기판(1) 상에, 양극(2), 홀 수송층(5), 전자 수송층(6) 및 음극(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기 발광 소자(20)는, 홀 수송성 및 전자 수송성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만, 또는 홀 수송성만을 구비하는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을 조합해서 이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상기 유기 발광 소자(20)는, 홀 수송층(5) 또는 전자 수송층(6)이 발광층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이다. 도 3의 유기 발광 소자(30)는, 도 2의 유기 발광 소자(20)에 있어서, 홀 수송층(5)과 전자 수송층(6)의 사이에 발광층(3)을 삽입해서 구성된 것이다. 이 유기 발광 소자(30)는, 캐리어 수송과 발광의 기능을 분리한 것이고, 홀 수송성, 전자 수송성, 발광성의 각 특성을 가진 유기 화합물을 적당히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매우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발광 파장을 달리하는 여러 가지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중앙의 발광층(3)에 캐리어 또는 여기자를 유효하게 감금해서 유기 발광 소자(30)의 발광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유기 발광 소자(40)는, 도 3의 유기 발광 소자(30)에 있어서, 양극(2)과 홀 수송층(5)의 사이에 홀 주입층(7)을 형성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 유기 발광 소자(40)는, 홀 주입층(7)을 형성한 것에 의해 양극(2)과 홀 수송층(5)의 사이의 밀착성 또는 홀의 주입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저전압화에 효과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제5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이다. 도 5의 유기 발광 소자(50)는, 홀 또는 여기자(엑시톤)가 음극(4) 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저해하는 층(홀/여기자 블로킹층(8))을, 발광층(3)과 전자 수송층 (6)의 사이에 삽입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온화 퍼텐셜이 매우 높은 유기 화합물을 홀/여기자 블로킹층(8)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50)의 발광 효율이 향상한다.
그러나, 상기의 제1 내지 제5실시형태는 매우 기본적인 소자 구성이며,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은 이들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극과 유기층의 계면에 절연성층, 접착층 또는 간섭층을 형성하고, 홀 수송층을 이온화 퍼텐셜이 다른 2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상기의 제1 내지 제5실시형태의 어느 실시형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할 때는, 단일의 화합물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화합물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층(3), 홀 수송층(5), 전자 수송층 (6), 홀 주입층(7) 및 홀/여기자블로킹층(8)의 어느 쪽인가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발광층(3)에 포함된다. 또, 이들 층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은 1 종류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발광층(3)은, 바람직하게는, 호스트와 게스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광층(3)이 캐리어 수송성을 가지는 호스트와 게스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광에 이르는 주요한 과정은 이하의 몇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발광층 내에서의 전자와 홀의 수송.
2. 호스트의 여기자 생성.
3. 호스트 분자 간의 여기 에너지 전달.
4. 호스트로부터 게스트로의 여기 에너지 이동.
각각의 과정에 있어서의 소망한 에너지 이동이나 발광은 다양한 실활 과정과의 경쟁에서 일어난다.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 중심 재료 그 자체의 발광 양자효율을 크게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호스트와 호스트 사이, 또는 호스트와 게스트 사이의 에너지 이동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가 큰 문제가 된다. 또, 통전에 의한 발광 열화는 현재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적어도 발광 중심 재료 그 자체, 또는 그 주변 분자에 의한 발광재료의 환경 변화에 관련한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호스트 또는 게스트에 이용하면, 소자의 발광 효율, 소자가 출력하는 광의 휘도 및 소자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에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발광층용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발광층을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게스트(불순물) 재료 또는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게스트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호스트 재료에 대해서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이 범위 내에서 사용하면, 발광층 내에 있어서 게스트끼리가 겹치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농도소광을 적당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게스트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호스트 재료의 에너지 갭은 게스트의 에너지 갭 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발광층의 구성 재료로서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이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저분자계 및 폴리머계의 홀 수송성 화합물, 발광성 화합물 또는 전자 수송성 화합물 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홀 수송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페닐렌 디아민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놀론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폴리(비닐카르바졸), 폴리(실리렌), 폴리(티오펜), 그 외 도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발광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본 발명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외에, 나프탈렌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피렌 유도체, 테트라센 유도체, 코로넨 유도체, 크리센 유도체, 피리렌 유도체, 9,10-다이페닐안트라센 유도체, 루브렌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아크리돈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피란 유도체, 나일 레드, 피라 진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벤조티아졸 유도체, 벤즈옥사졸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유기 금속 착체(예를 들면, 트리스(8-퀴노리노라토) 알루미늄 등의 유기 알루미늄 착체, 유기베릴륨 착체) 및 폴리(페닐렌비닐렌) 유도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폴리(페닐렌) 유도체, 폴리(티에니렌비니렌) 유도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등의 고분자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옥사디아졸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티아졸 유도체, 티아디아졸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퀴녹사린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안트론 유도체, 페난트로렌 유도체, 및 유기 금속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양극을 구성하는 재료의 예로서는, 금, 백금, 은, 동, 니켈, 팔라듐, 코발트, 세렌, 바나듐, 텅스텐 등의 금속 원소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 그리고,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인듐(IT0), 산화 아연 인듐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페닐렌 술피드 등의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전극 물질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는 복수개를 조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양극은 단층 구성으로 해도 되고, 다층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음극을 구성하는 재료의 예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인듐, 루테늄, 티타늄, 망간, 이트륨, 은, 납, 주석, 크롬 등의 금속 원소물질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리튬-인듐, 나트륨-칼륨,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리튬, 알루미늄-마그네슘, 마그네슘-인듐 등의 복수의 합금도 들 수 있다. 산화 주석 인듐(IT0) 등의 금속 산화물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전극 물질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는 복수개를 조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음극은 단층 구성으로 해도 되고, 다층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에 이용하는 기판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제 기판, 세라믹제 기판 등의 불투명성 기판이나, 유리, 석영,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명성 기판이 이용된다.
또, 기판에 칼라 필터막, 형광색변환 필터막, 유전체 반사막 등을 이용해서 발색광을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판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작성하고, 거기에 접속해서 소자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소자에 의한 광 도출 방향에 관해서는,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구성(기판측으로부터 광을 도출하는 구성)과 탑 에미션(top emission)(기판의 반대 측으로부터 광을 도출하는 구성)의 양쪽 모두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5실시형태를 나타내지는 단면도;
도 6은 예시 화합물 A-1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40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7은 예시 화합물 C-6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8은 예시 화합물 G-14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9는 예시 화합물 G-19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10은 예시 화합물 G-18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11은 예시 화합물 G-22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도 12는 예시 화합물 G-20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PL 스펙트럼(여기 파장: 355nm)을 나타내지는 도면.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예시 화합물 A-1의 합성]
(1-1) 합성 중간 화합물 1-3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8
300ml-리커버리(recovery)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넣었다.
화합물 1-1: 1.3g(4.05mmol)
화합물 1-2: 1.22g(8.90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519mg(0.45mmol)
톨루엔: 100ml
에탄올: 50ml
2M-탄산나트륨 수용액: 20ml
반응 종료 후, 초산에틸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헵탄=1/1)에 의해 정제를 해서, 화합물 1-3을 1.3g(수율 78%) 얻었다.
(1-2) 합성중간 화합물 1-4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19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용매 등을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20℃의 냉각조에서 30분간 교반했다.
화합물 1-3: 1.3g(3.15mmol)
클로로포름: 100ml
트리에틸아민: 2ml
다음에,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 무수물 1.58ml(9.45mmol)를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종료 후, 초산에틸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톨루엔/헵탄=1/2) 으로 정제하고, 화합물 1-4를 1.74g(수율 82%) 얻었다.
(1-3) 예시 화합물 A-1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0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용매 등을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4: 270mg(0.4mmol)
LiC1: 100mg(2.4mmol)
1,8-다이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146mg(0.96mmol)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다이클로라이드: 40mg(0.04mmol)
다이메틸포름아미드: 50ml
반응 종료 후, 초산에틸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했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헵탄=1/3)으로 정제하여, 예시 화합물 A-1을 72mg(수율 48%)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Matrix-Assisted Laser Deposi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 석)에 의해 M+가 376.4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A-1을 동정(同定)했다.
(NMR)
NMR 측정에 의해 이 예시 화합물 A-1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THF-d8, 400MHz) σ(ppm):9.36(s, 2H), 8.80(d, 2H, J=8.0Hz), 8.18-8. 16(m, 2H), 8.07(d, 2H, J=8.0Hz), 7.97-7.95(m, 2H), 7.82(m, 2H), 7.38(m, 4H)
(융점)
시차(示差) 주사 열량 분석법(DSC)에 의해, 예시 화합물 A-1의 융점이 378℃인 것을 확인했다.
(발광 특성)
용액 상태에 있어서의 예시 화합물 A-1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발광 스펙트럼의 측정을 위해서, 미리 분광 광도계 U-3010(일본 히타치사제)를 사용해서, 예시 화합물 A-1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분광 광도계 F-4500(일본 히타치 사제)를 사용해서, 예시 화합물 A-1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발광 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여기서, 흡수스펙트럼 측정의 결과로서 여기 파장을 340nm로 했다. 측정의 결과, 도 6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6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A-1의 최대 발광 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각각 436nm 및 461nm이고, 양호한 청색 발광을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예시 화합물 A-1에 대해서 톨루엔 용액 중(1×10-5mol/l)에서의 양자효율을 측정한 결과, 0.91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 양자효율의 측정에 있어서는, 플루오란텐을 비교 대조 화합물로서 사용해서 값을 상대적으로 산출했다. 또, 플루오란텐의 희석용액 중에서의 양자효율은 0.35이다(Steven L, Murov.,Handbook 0f Phtochemistry, Second Edition, Revised and Exapanded, (1993)).
<실시예 2>[예시 화합물 C-6의 합성]
실시예 1과 같은 합성 방법으로, 예시 화합물 C-6을 합성했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1-2를 화합물 1-5로 변경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서 합성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1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M+가 488.6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C-6을 동정했다.
(NMR)
NMR 측정에 의해 상기 예시 화합물 C-6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13, 400MHz) σ(ppm):9.15(s, 2H), 8.69(d, 2H, J=8.0Hz), 8.08-8.01(m, 6H), 7.87-7.83(m, 2H), 7.52-7.48(m, 2H), 1.54(s, 18H)
(융점)
시차주사 열량 분석법(DSC)에 의해, 예시 화합물 C-6의 융점이 459℃인 것을 확인했다.
(발광 특성)
용액 상태에 있어서의 예시 화합물 C-6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예시 화합물 C-6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발광 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이때, 흡수스펙트럼 측정의 결과로서 여기 파장을 355nm로 했다. 측정의 결과로서, 도 7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7에 나타낸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C-6의 최대발광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각각 446nm 및 472nm이며, 양호한 청색발광을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예시 화합물 G-14 및 G-19의 합성]
(3-1) 합성 중간 화합물 1-6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2
300ml-리커버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 2.5g(6.48mmol)
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로란: 5.63ml(38.8mmol)
[1,3-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 프로판]다이클로로니켈 (II): 325mg(0.65mmol)
톨루엔: 100ml
트리에틸아민: 30ml
반응종료 후, 온도를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을 가했다. 다음에, 염화 암모늄수용액을 가하고 3시 동안 교반했다. 다음에, 초산에틸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로 정제를 해서, 화합물 1-6을 2.1g(수율 68%) 얻었다.
(3-2) 합성 중간 화합물 1-8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3
300ml-리커버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6: 2.0g(4.16mmol)
화합물 1-7: 2.7g(8.5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필라듐(0): 485mg(0.42mmol)
톨루엔: 100ml
에탄올: 50ml
2M-탄산나트륨 수용액: 20ml
반응 종료 후, 톨루엔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톨루엔/헵탄=1/9)로 정제하여, 화합물 1-8을 1.81g(수율 72%) 얻었다.
(3-3) 합성중간 화합물 1-9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4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8: 1.5g(2.47mmol)
LiC1: 636mg(15.0mmol)
1,8-다이아자비시클로[5.4. 0]7-운데센: 943mg(6.20mmol)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II) 다이클로라이드: 40mg(0.24mmol)
다이메틸포롬아미드: 150ml
반응 종료 후, 물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중에서 등색의 침전물을 확인한 후,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여과물을 세정했다. 다음에, 이 여과물을 건조하여, 화합물 1-9를 1.1g(수율 51%)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분자량을 측정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 석)에 의해 M+가 445.3인 것을 확인하고, 화합물 1-9를 동정했다.
(3-4) 예시 화합물 G-14 및 G-19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5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9: 500mg(1.12mmol)
화합물 1-10: 100mg(2.4mmol)
초산 팔라듐(II): 75mg(0.33mmol)
2-다이클로헥실포스피노-2', 6'-다이메톡시비페닐: 410mg(0.99mmol)
인산 트리칼륨: 713mg(3.36mmol)
톨루엔: 50ml
반응종료 후, 톨루엔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 톨루엔/헵탄=1/3)로 정제하여, 예시 화합물 G-14를 209mg(수율 32%) 및, 예시 화합물 G-19를 97mg(수율 18%)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서,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착/ 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각각, M+가 584.7 및 480.6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G-14 및 G-19를 동정했다.
(NMR)
NMR 측정에 의해 예시 화합물 G-14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13, 400MHz) σ(ppm): 9.22(s, 2H), 8.74(d, 2H, J=9.6Hz), 8.19 (d, 2H, J=9.2Hz), 8.03(d, 2H, J=8.2Hz), 7.88(dd, 2H, J=8. 4Hz, J=8.2Hz), 7.78(d, 2H, J=0.96Hz), 7.27-7.20(m, 8H), 2.18(s, 12H)
NMR 측정에 의해 예시 화합물 G-19의 구조도 확인했다.
1H-NMR(CDC13, 400MHz) σ(ppm): 9.10(s, 2H), 9.08(s, 2H), 8.63(d, 2H, J=9.6Hz), 8.14(d, 1H, J=7.2Hz), 8.01-8.06(m, 1H), 7.99(dd, 1H, J=7.2Hz, J=11. 2Hz), 7.95-7.92(m, 1H), 7.84-7.76(m, 2H), 7.46-7.42(m, 2H), 7.26-7.18(m, 4H), 2.19(s, 6H)
(발광 특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 특성의 측정을 실시했다.
용액상태에서 예시 화합물 G-14 및 G-19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했다.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예시 화합물 G-14및 G-19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발광 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했다. 이때, 흡수스펙트럼 측정의 결과로서, 여기 파장을 340nm로 했다. 측정의 결과, 도 7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7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G-14의 최대 발광 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각각 444nm 및 470nm이며, 청색 발광을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예시 화합물 G-19의 최대 발광 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각각 440nm 및 467nm이며 청색 발광을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예시 화합물 G-18의 합성]
실시예 3과 같은 합성 방법으로, 예시 화합물 G-18을 합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화합물 1-10을 화합물 1-11로 변경한 것 외는, 실시예 3과 같은 조건하에서 합성을 하였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6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M+가 656.8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G-18을 동정했다.
(NMR)
NMR 측정에 의해 이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13, 600MHz) σ(ppm):9.34(s, 2H), 8.82(d, 2H, J=5.8Hz), 8.30(d, 2H, J=6.3Hz), 8.06(d, 2H, J=5.8Hz), 7.93-7.86(m, 8H), 7.62(d, 2H, J=7.1Hz), 7.51(d, 2H, J=7.lHz), 7.46-7.39(m, 6H), 2.40(s, 6H)
(발광특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특성의 측정을 실시했다. 용액상태에서 예시 화합물 G-18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예시 화합물 G-18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발광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이때, 흡수스펙트럼의 측정의 결과로서, 여기 파장을 355nm로 했다. 측정의 결과, 도 7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7에 나타내지는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G-18의 최대 발광 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각각 442nm 및 469nm이며, 양호한 청색 발광을 나타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예시 화합물 G-22의 합성]
(5-1) 합성 중간 화합물 1-12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7
300ml-리커버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 5.0g(13.0mmol)
아세트초산 에틸: 6.74g(51.8mmol)
인산 트리칼륨: 16.5g(77.7mmol)
초산 팔라듐(II): 116mg(0.52mmol)
2-(다이터셔리-부틸포스피노)-2'-메톡시비페닐: 324mg(1.04mmol)
톨루엔: 100ml
에탄올: 15ml
반응종료 후, 톨루엔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음에,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전개용매: 톨루엔/클로로포름=1/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2를 2.87 g(수율 55%) 얻었다.
(5-2) 합성 중간 화합물 1-13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8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9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2: 3.76g(89.6mmol)
다이옥산: 30ml
수산화 리튬 1 수화물: 3.76g(89.6mmol)
다음에, 이 현탁액에 농염산(20ml)을 서서히 가한 후,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다음에, 물(200ml)을 가하고, 여과에 의해 석출한 결정을 분리했다. 다음에, 이 결정을 물, 메탄올, 다이에틸 에테르로 차례차례 세정을 실시하고, 고진공 상태에서 가열 건조하여, 화합물 1-13을 2.87g(수율 93%) 얻었다.
(5-3) 합성 중간 화합물 1-15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29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 등을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3: 2.87g(6.36mmol)
염화 티오닐: 50ml
다이메틸프롬아미드: 300μ1
다음에, 현탁액을 감압하에 증류하고, 잔류물에, 다이클로로메탄 50ml 및 3 염화 알루미늄 2.1g(15.9mmol)를 차례차례 가한 후,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했다. 다음에, 이 현탁액에 농염산 180ml를 가한 후,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다음에, 이 현탁액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이 여과물에 대해서, 클로로포름을 용매로서 사용한 속스레 추출(Soxhlet extraction)을 실시하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전개용매: 클로로포름/초산 에틸=15/1)로 정제하여, 화합물 1-15를 1.2g(수율 61%) 얻었다.
(5-4) 합성 중간 화합물 1-16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0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13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5: 1.2g(3.89mmol)
벤젠 셀렌산 무수물: 4.4g(8.56mmol)
클로로벤젠: 60ml
현탁액을 100℃까지 냉각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했다. 얻어진결정을 헥산으로 세정을 실시하고 고진공하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1-16을 1.27g(수율 97%) 얻었다.
(5-5) 합성 중간 화합물 1-18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1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지는 시약 및 용매를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6: 37mg(0.0046mmol)
화합물 1-17: 40mg(0.0092mmol)
에탄올: 2ml
톨루엔: 0.4ml
6N-수산화 칼륨: 300μ1
반응종료 후, 결정을 실온까지 방냉(放冷)하고, 여과에 의해 분리했다. 다음에, 이 결정을 메탄올과 IPE로 차례차례 세정을 실시한 후, 고진공하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1-18을 55mg(수율 99%) 얻었다.
(5-6) 예시 화합물 G-22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2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이하에 나타내는 시약 및 용매, 아세틸렌 가스를 넣고 밀봉했다. 그리고, 19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8: 200mg(0.176mmol)
다이클로로에탄: 4ml
반응종료 후, 결정을 실온까지 방냉한 후, 여과에 의해 분리했다. 이 결정을 헥산/톨루엔=2/1로 충분히 세정했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전개 용매: 헥산/클로로포름=4/1)로 정제하여, 예시 화합물 G-22를 0.14g(수율 70%)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M+가 1129.68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G-22를 동정했다.
(NMR)
NMR 측정에 의해 예시 화합물 G-22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13, 400MHz) σ(ppm):8.01(s, 2H), 7.80(d, 2H, J=8.0Hz), 7.80 (t, 2H, J=2.0Hz), 7.57(t, 2H, J=2.0Hz), 8.18-8.16(m, 2H), 8.07(t, 2H, J= 2.0Hz), 7.54(d, 4H, J=2.0Hz), 7.53(d, 4H, J=2.0Hz), 7.40-7. 32(m, 4H), 1.42(s, 36H), 1.40(s, 36H)
(발광 특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 특성의 측정을 실시했다.
용액상태에서 예시 화합물 G-22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예시 화합물 G-22의 톨루엔 용액(1× 10-5mol/l)의 발광 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이때, 흡수스펙트럼 측정의 결과로서, 여기 파장을 355nm로 했다. 측정의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11에 나타내는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G-22의 최대 발광 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 피크는 458nm 및 486nm이며, 양호한 청색 발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예시 화합물 G-24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3
이하에 나타내는 시약 및 용매 등을 리커버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1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화합물 1-19: 500mg(0.603mmol)
LiC1: 76mg(1.81mmol)
1,8-다이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918mg(6.03mmol)
초산 팔라듐: 13.5mg(0.0603mmol)
2-다이시클로헥실포스피노-2', 6'-다이메톡시비페닐:56.8mg(0.133mmol)
다이메틸프롬아미드: 30ml
반응 종료 후, 초산 에틸 및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다음에,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전개용매: 톨루엔/헵탄=1/2)로 정제하여, 예시 화합물 G-24를 32mg(수율 10%)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그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0F-MS(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M+가 528.6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G-24를 동정했다.
<실시예 7>[예시 화합물 G-20의 합성]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4
(7-1) 화합물 1-20의 합성
크리센 20.0g(87.6mmol), 염화 알루미늄 46.7g(350mmol) 및 다이클로로메탄 400ml를 500ml 3구 플라스크(three-necked flask)에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78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염화옥사릴 55.6g(438mmol)을 적하한 후, 그 혼합물을 30분간 더 교반하였으며, 반응 온도가 2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상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4L의 얼음물에 붓고, 발생된 고체를 여과해서 고체를 분산시키고 100ml의 메탄올로 세정했다. 상기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가열하여 건조시켜서 화합물 1-20(등색 분말)을 21.5g(수율: 87%) 얻었다.
(7-2) 화합물 1-22의 합성
화합물 1-20을 2.01g(7.10mmol), 화합물 1-21를 1.50g(7.13mmol), 그리고 에탄올 100ml를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넣고, 수산화칼륨 4.00g이 용해된 수용액 25ml를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였다. 다음에, 그 혼합물 75℃까지 가열하고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냉각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해서 화합물 1-22(녹색 분말)를 3.08g(수율: 95%) 얻었다.
(7-3) 화합물 1-23의 합성
화합물 1-22를 3.00g(6.58mmol), 2,5-노르보르나디엔을 4.97g(54mmol), 그리고 아세트산 무수물 40ml을 200ml 3구 플라스크에 넣고, 그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90℃까지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한 후, 잔류물을 살리카켈 크로마토 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과 헵탄의 혼합물)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23(노란색 분말)을 1.58g 얻었다.
(7-4) 화합물 1-24의 합성
화합물 1-23을 1.00g(2.20mmol), 염화알루미튬을 1.06g(7.92mmol), 그리고 다이클로로메탄 50ml를 100ml 3구 플라스크에 넣고, 염화옥사릴 1.11g(8.80mmol)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78℃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한 후, 그 혼합물을 또 30분간 교반하고, 반응 온도를 2시간에 걸쳐서 실온까지 상승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1L의 얼음물에 교반하면서 붓고, 발생된 고체를 여과해내어, 이 고체를 분산시키고 30ml의 메탄올로 세정했다. 상기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가열하면서 건조하여 화합물 1-24(등색 분말)를 0.494g(수율: 80%) 얻었다.
(7-5) 화합물 1-26의 합성
화합물 1-24를 0.890g(1.75mmol), 화합물 1-25를 0.855g(1.97mmol), 에탄올을 100ml, 그리고 톨루엔 10ml를 200ml 3구 플라스크에 넣고, 수산화칼륨 1.11g이 용해된 수용액 5ml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였다. 다음에, 그 혼합물을 75℃까지 가열하고,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냉각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해서, 화합물 1-26(녹색 분말)을 0.49g(수율: 31%) 얻었다.
(7-6) 예시 화합물 G-20의 합성
화합물 1-26을 0.49g(0.541mmol), 2,5-노르보르나디엔을 4.97g(54mmol), 그리고 아세트산 무수물 40ml를 200ml 3구 플라스크에 넣고, 그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90℃까지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한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 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과 헵탄의 혼합물)에 의해 정제하여 예시 화합물 G-20(노란색 분말)를 0.17g(수율: 35%)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분자량)
MALDI-TOF-MS(매트릭스-지원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형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M+가 905.5인 것을 확인하고, 예시 화합물 G-20을 동정했다.
(NMR)
상기 예시 화합물 G-20의 구성을 NMR 측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1H-NMR(CDC13, 400MHz) σ(ppm): 8.35(s, 1H), 8.00(s, 1H,), 7.81(dd, 2H, J=8.4Hz, J=10.4Hz), 7.76-7.73(m, 3H), 7.69-7.64(m, 5H), 7.56-7.50(m, 8H), 7.45-7.30(m, 7H), 7.22(d, 1H, J=7.2Hz), 1.42(s, 18H), 1.40(s, 18H)
(발광 특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발광 특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용액 상태에서 예시 화합물 G-20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예시 화합물 G-20의 톨루엔 용액(1×10-5mol/l)의 발광 스펙트럼(PL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이때,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로서, 여기파장을 355nm로 했다. 측정의 결과, 도 12에 나타낸 PL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12에 나타낸 PL 스펙트럼에 의하면, 예시 화합물 G-20의 최대 발광파장의 제1 피크 및 제2피크는 각각 456nm 및 482nm이었고, 양호한 청색발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의 혼합물 1-1 및 1-2 대신에 다음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화합물을 이용한 것 이외는, 예시 화합물 B-2, C-12, D-1, E-8, F-6, G-1, G-2, G-7, G-10, G-40, G-41 및 H-2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5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6
<실시예 8>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나타내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우선, 유리 기판(기판 (1)) 상에 막두께 100nm로 산화 주석 인듐(IT0)(양극(2))을 패터닝해서 IT0 전극 부착 유리 기판을 제작했다. 다음에, 이 IT0 전극 부착 유리 기판 상에,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과 음극을 저항 가열에 의한 진공 증착에 의해 연속해서 성막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홀 수송층(5)으로서 다음에 나타내는 화합물 2를 막두께 20nm로 성막했다. 다음에, 발광층(3)으로서, 호스트인 다음에 나타내는 화합물 3과 게스트인 예시 화합물 A-1을, 화합물 3에 대해서 예시 화합물 A-1의 함유량이 1 중량%가 되도록 공증착했다. 이때, 발광층(3)의 막두께를 30nm로 했다. 다음에, 전자 수송층(6)으로서, 다음에 나타내는 화합물 4를 막두께를 30nm로 성막했다. 다음에, KF를 막두께 1nm로 성막하고, 마지막에 A1을 막두께 100nm로 성막했다. 여기서, KF 및 A1은 음극(4)으로서 기능한다.
Figure 112009049895963-pct00037
또, 성막할 때에, 진공 챔버 내의 압력을 10-5Pa로 했다. 또,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대향하는 전극 면적을 3㎜2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서 상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얻었다.
얻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그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휴렛 패커드사제의 미소 전류계 4140B로 측정하고, 소자의 발광 휘도는 탑콘사제의 BM7로 측정했다. 그 결과, 4.0V의 인가 전압으로 발광휘도 36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30mA/㎠로 유지하고, 100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는 조건하에서 소자를 구동했는데, 초기 휘도가 800cd/㎡ 내지 740cd/㎡ 이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양호한 발광 효율과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실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9>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C-6의 유기 발광 소자의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예시 화합물 A-1을 예시 화합물 C-6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조건하에서 소자를 제작했다.
그 결과, 4.0V의 인가 전압으로, 발광 휘도 81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30mA/㎠로 유지하고 100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는 조건하에서 소자를 구동했는데, 초기 휘도가 1250cd/㎡ 내지 1000cd/㎡로 되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양호한 발광 효율과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실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0>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예시 화합물 G-14의 유기 발광 소자의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예시 화합물 A-1을 예시 화합물 G-14로 변경한 것 외는, 실시예 8과 같은 조건으로 소자를 제작했다.
그 결과, 4.0V의 인가 전압으로, 발광 휘도 95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30mA/㎠로 유지하고 100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 조건으로 소자를 구동했는데, 초기 휘도가 1320cd/㎡ 내지 1210cd/㎡가 되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며, 양호한 발광 효율과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가 실현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1>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예시 화합물 G-18의 유기 발광 소자의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예시 화합물 A-1을 예시 화합물 G-18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조건으로 소자를 제작했다.
그 결과, 4.0V의 인가 전압으로, 발광 휘도 125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30mA/㎠로 유지하고 100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 조건으로 소자를 구동했는데, 초기 휘도가 1500cd/㎡ 내지 1400cd/㎡로 되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양호한 발광 효율과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실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2>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예시 화합물 G-20의 유기 발광 소자의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예시 화합물 A-1을 예시 화합물 G-2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같은 조건으로 소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4.0V의 인가 전압으로, 발광 휘도 134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30mA/㎠로 유지하고, 100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 조건으로 소자를 구동했는데, 초기 발광 휘도가 1480cd/㎡ 내지 1320cd/㎡로 되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양호한 발광 효율과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실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여기에서 전체로서 참조에 의해 구체화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7-096343호(2007년 4월 2일 출원)와 일본 특허출원 제2008-038299호(2008년 2월20일 출원)의 이점을 주장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아래의 일반식 [1]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2
    (식 중, R5, R6, R13, R1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메톡시기, 아릴기, 디페닐아미노기, 퀴놀릴기로부터 선택되고, R2,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R1, R3, R4, R7, R8, R9, R11, R12, R15, R16은 수소 원자이고, 상기 아릴기 및 디페닐아미노기는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이 아래의 구조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3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4
  3. 아래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5
  4. 아래의 일반식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6
    (식 중, R4, R7, R12, R15는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알킬기를 가질 수 있으며, R5, R6, R13, R14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원자, 알킬기의 어느 하나이며, R1, R3, R8, R9, R10, R11, R16은 수소 원자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아래의 구조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7
  6. 아래의 일반식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8
    (식 중, R8, R16은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알킬기를 가질 수 있으며, R5, R13은 수소 원자, 페닐기, 알킬기를 갖는 페닐기 중 어느 하나이고, R1-R4, R6, R7, R9-R12, R14 및 R15는 수소 원자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아래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Figure 112011056517639-pct00059
  8.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은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유기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이 발광층인 유기 발광 소자.
  10. 제8항에 기재된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접속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기판에 가지는 구조체.
  11. 제8항에 기재된 유기 발광 소자와, 컬러 필터막을 기판에 가지는 구조체.
KR1020097017073A 2007-04-02 2008-03-27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124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6343 2007-04-02
JPJP-P-2007-096343 2007-04-02
JPJP-P-2008-038299 2008-02-20
JP2008038299 2008-02-20
PCT/JP2008/056632 WO2008120808A1 (en) 2007-04-02 2008-03-27 Condensed ring aromatic compound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244A KR20090126244A (ko) 2009-12-08
KR101124889B1 true KR101124889B1 (ko) 2012-04-12

Family

ID=3980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073A KR101124889B1 (ko) 2007-04-02 2008-03-27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919198B2 (ko)
EP (1) EP2074075A4 (ko)
JP (1) JP5414190B2 (ko)
KR (1) KR101124889B1 (ko)
BR (1) BRPI0809010A2 (ko)
RU (1) RU2434836C2 (ko)
WO (1) WO2008120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4190B2 (ja) * 2007-04-02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5424681B2 (ja) * 2008-04-0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WO2010058946A2 (ko) *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크라이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소자
JP5495606B2 (ja) * 2009-04-08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5534705B2 (ja) 2009-04-1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4637253B2 (ja) * 2009-06-30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86981B2 (ja) 2010-02-16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5700952B2 (ja) * 2010-04-30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5777408B2 (ja) 2011-05-30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縮合多環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6084001B2 (ja) 2011-12-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有機化合物、有機発光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383315B1 (ko) 2018-03-30 2022-04-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촬상 장치 및 조명 장치
JP7182971B2 (ja) * 2018-09-21 202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有機発光素子、表示装置、撮像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CN110304989A (zh) * 2019-07-22 2019-10-08 安徽秀朗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9,9-二烃基芴衍生物的合成工艺
JP7218261B2 (ja) * 2019-09-05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US11807593B2 (en) 2019-10-03 2023-11-07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compou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lighting apparatus, and moving object
JP7379097B2 (ja) 2019-11-07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173A (ja) 1999-09-30 2001-04-13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3128B2 (ja) 1996-03-08 2005-09-0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070274B2 (ja) 1996-11-07 2008-04-02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3853042B2 (ja) * 1996-11-07 2006-12-06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3731971B2 (ja) * 1997-04-17 2006-01-05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3829982B2 (ja) * 2002-02-19 2006-10-04 財団法人石油産業活性化センター 新規な縮合芳香族化合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362128B (en) * 2002-03-26 2012-04-1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314947B (en) 2002-04-24 2009-09-21 Eastman Kodak Comp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with improved operational stability
US7230594B2 (en) * 2002-12-16 2007-06-12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JP4263700B2 (ja) 2005-03-15 2009-05-13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818159B2 (ja) 2006-04-27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ルオランテ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5414190B2 (ja) * 2007-04-02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5252960B2 (ja) 2007-04-02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縮合環芳香族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159164B2 (ja) 2007-05-14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ンゾ[ghi]フルオランテン誘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173A (ja) 1999-09-30 2001-04-13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21180A (ja) 2009-10-01
BRPI0809010A2 (pt) 2014-09-16
US20100026171A1 (en) 2010-02-04
RU2434836C2 (ru) 2011-11-27
EP2074075A4 (en) 2012-11-07
US20110147731A1 (en) 2011-06-23
US7919198B2 (en) 2011-04-05
KR20090126244A (ko) 2009-12-08
WO2008120808A1 (en) 2008-10-09
EP2074075A1 (en) 2009-07-01
RU2009140296A (ru) 2011-05-10
JP5414190B2 (ja)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889B1 (ko) 유기 발광 소자의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그것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JP5252960B2 (ja) 縮合環芳香族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KR101285457B1 (ko) 융합 다환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188461B1 (ko) 축합환 방향족 화합물 및 이것을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JP5361238B2 (ja)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361237B2 (ja)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2009114137A (ja) 有機金属錯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並びに表示装置
JP5700952B2 (ja)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2010138086A (ja) ベンゾインデノクリセ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247130B2 (ja) 縮合多環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RU2459795C1 (ru) Орган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и органическое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тором применяется такое орган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CN101558030B (zh) 有机发光器件用稠环芳族化合物和具有其的有机发光器件
JP5586981B2 (ja) 新規有機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2009040723A (ja) 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