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77B1 -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 Google Patents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77B1
KR101124777B1 KR1020100064425A KR20100064425A KR101124777B1 KR 101124777 B1 KR101124777 B1 KR 101124777B1 KR 1020100064425 A KR1020100064425 A KR 1020100064425A KR 20100064425 A KR20100064425 A KR 20100064425A KR 101124777 B1 KR101124777 B1 KR 101124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pening
closing
rod
glo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685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는,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부; 바디부에 대하여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도어부; 및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결합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개폐구동부는,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로드; 개폐로드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로부터 개폐로드 측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미리 결정된 범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개폐로드와 구동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브박스에서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GLOVE BOX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박스에서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는 보조석 쪽의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글로브박스는 물품이 놓여 지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몸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에는 노브가 구비되며, 노브의 후크가 크래쉬 패드에 걸림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글로브박스가 열리지 않다가 사용자가 노브를 작동시켜 후크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도어가 회동되어 몸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도어를 열기 위한 노브를 반드시 포함하고 있으므로 노브를 마련하기 위한 공간만큼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줄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차량의 주행 중 글로브박스를 여는 경우에는 운전중의 부주의를 유발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브박스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의 자동개폐장치가 개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한국 등록번호 제10-0173660호)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1)는 글로브박스에 구동모터(11)로 회동하고 좌.우측으로 직선운동하는 회동축(12)를 설치하여, 회동축(12)과 도어(21)의 내측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작동로드(13)가 도어(21)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21)를 전기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1)는 기어(14)를 글로브박스의 내부 하우징(22)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어(14)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1)는 회동축(12)에 연결되는 기어(14)의 위치를 고정구조물인 내부 하우징(22)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이동구조물인 도어(21), 회동축(12) 및 작동로드(13)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지점에 기어(14)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종래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1)는 필연적으로 도어(21)의 하측에 회동축(12)을 배치해야만 하므로 글로브박스의 내부에 보관된 물품의 하중에 의하여 많은 부하가 회동축(12)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일정한 개폐속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기어(14)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1)는 기어의 이빨이 미끌리는 현상, 즉 백 래시(Back Lash)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글로브박스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시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주행 중 차체 진동에 의한 진동 이음을 유발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한 쌍의 로드를 사용하여 글로브박스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글로브박스의 자동개폐장치도 종래에 개발된바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글로브박스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를 밀어내는 형태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바 다양한 유형의 차량에 널리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글로브박스에서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결합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구동부는,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로드; 상기 개폐로드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개폐로드 측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미리 결정된 범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기어부; 및 제2 기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개폐로드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는 제3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어부는,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기어; 및 중앙 영역에 상기 개폐로드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기어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 개폐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개폐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기어는, 제3 구동기어; 및 상기 제3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2 구동기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기어 및 상기 제4 구동기어는 각각, 서로 물림되는 베벨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는, 상기 제2 구동기어가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동기어의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기어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부 삽입홈이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위치고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기어는, 상기 제1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개폐로드 삽입부; 상기 개폐 로드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기어 이빨이 형성되는 테이퍼부; 및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부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로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로드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개폐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로드바디; 및 상기 제1 로드바디로부터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어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로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바디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백 래시(Back Lash)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제3 기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4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에는, 각종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개폐로드가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일측에 제2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된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결합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여 글로브박스에서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개폐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어부의 제2 구동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A-A 선에 따른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개폐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기어부의 제2 구동기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A-A 선에 따른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100, 이하 "글로브박스(100)"이라 함)는 크래쉬 패드(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120)와, 도어부(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폐구동부(20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이며, 도어부(120)는 내부에 수납공간(S)이 형성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도어부(120)의 하단은 바디부(110)에 대하여 힌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개폐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도어부(120)를 앞쪽으로 오픈시켜 글로브박스(100)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바디부(110) 및 도어부(120)는 각각 일반적인 글로브박스의 구성을 따라도 무방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개폐구동부(200)는 도어부(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부(12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100)는 도어부(120)의 일측면에 결합된 개폐구동부(200)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폐구동부(200)는 도어부(120)의 양측면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개폐구동부(200)는 도어부(120)를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는 개폐로드(210)와, 개폐로드(210)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0)와, 개폐로드(210)와 구동모터(220)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부(230)를 포함한다.
개폐로드(210)는 일단부가 도어부(1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구동모터(220) 및 기어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도어부(12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개폐로드(210)는 후술하는 제2 구동기어(235)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2 개폐나사산(211a)이 형성되는 제1 로드바디(211)와, 제1 로드바디(211)로부터 연장되어 일단부가 도어부(12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로드바디(212)를 포함한다.
제1 로드바디(211)는 제2 구동기어(235)의 제1 개폐나사산(235a)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개폐나사산(211a)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제2 구동기어(235)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구성이며, 제2 로드바디(212)는 제1 로드바디(211)와 일체로 마련되어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도어부(120)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로드바디(212)는 제1 로드바디(211)와 달리 사각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1 로드바디(211)와 제2 로드바디(212)의 형상을 달리하는 것은 제2 구동기어(235)에 제1 로드바디(211) 만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 구동기어(235)의 개폐로드 삽입부(236)에는 중앙 영역을 따라 제1 로드삽입공(236a)이 관통형성되는데, 제1 로드삽입공(236a)은 원형으로 형성되는바 제2 로드바디(212)는 제1 로드삽입공(236a) 측으로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로드(210)가 움직일 수 있는 이동거리를 사전에 결정될 수 있게 되며, 또한 개폐로드(210) 및 제2 구동기어(235) 상호 간의 결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로드바디(212)는 사각 단면형상이 아닌 다른 단면형상, 예컨대 제1 로드바디(211)와 동일한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로드(210)는 후술하는 기어하우징(16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로드삽입공(160a)을 따라 삽입된다.
구동모터(2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통해 일정한 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개폐로드(2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동모터(220)의 회전축(220a)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 기어부(231)가 결합되며 제1 기어부(231)는 구동모터(220)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개폐구동부(200)는 구동모터(220)의 회전을 개폐로드(2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230)를 구비하여 마련되는바, 구동모터(220)는 일반적인 회전모터로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백 래시 현상이 효율적으로 제어되는 한도에서 구동모터(220)는 리니어 모터로 마련되어 개폐로드(210)를 직접 직선운동시킬 수도 있다.
기어부(230)는 구동모터(2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개폐로드(210) 측으로 재전달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기어부(230)는 구동모터(220)로부터 개폐로드(210) 측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미리 결정된 범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기어부(230)는 구동모터(220)의 동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개폐로드(210)의 운동속도를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로 정속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며, 글로브박스(100)를 개폐하는데 적합한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기어부(230)는 구동모터(2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231)와, 제1 기어부(231)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기어부(232)와, 개폐로드(21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4 기어부(150)를 통해 제2 기어부(232)에 연결되는 제3 기어부(233)와, 제2 기어부(232) 및 제3 기어부(233) 사이에 개재되는 제4 기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 기어부(231)는 구동모터(220)의 회전축에 따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기어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기어부(232)는 제1 기어부(231)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기어부(231) 및 제2 기어부(232)는 각각 서로 물림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Bevel Gear)로 마련되나, 제1 기어부(231) 및 제2 기어부(232)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 다른 유형의 기어를 사용하여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기어부(2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231) 측에 인접한 제1 단위기어(232a)와, 제1 단위기어(232a)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단위기어(232b)를 포함한다. 제1 단위기어(232a) 및 제2 단위기어(232b)는 동일한 축(232c)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같은 회전량을 갖게 된다.
제4 기어부(150)는 제2 기어부(23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3 기어부(233) 측으로 재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4 기어부(150)는 제2 단위기어(232b)에 연결되는 제3 단위기어(150a)와, 제3 단위기어(150a)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측에 결합되는 제4 단위기어(150b)를 포함한다. 제3 단위기어(150a) 및 제4 단위기어(150b)는 동일한 축(150c)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같은 회전량을 갖게 된다.
제4 기어부(150)는 다른 기어부(231, 232, 233)와 함께 기어를 통한 동력전달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백 래시(Back Lash)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기어와 기어의 연결시 기어 이빨 사이에서는 종종 기어 이빨이 미끌어지는 현상(백 래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백 래시 현상은 순간적으로 기어의 유동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글로브박스(100)의 개폐시 백 래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부(120)가 부드럽게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고 어느 정도 덜걱거리는 일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덜걱거림은 사용자가 원하는 글로브박스(100)의 감성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구동부(200)를 다수의 기어부(231, 232, 233, 150)로 나누어 구성하고, 이러한 기어부(231, 232, 233, 150)를 다시 다수의 기어(232a, 232b, 234, 235, 239, 130) 조합으로 나누어 마련함으로써 전술한 백 래시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제1 기어부(231), 제2 기어부(232) 및 제3 기어부(233) 만을 통해 전술한 백 래시 현상을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로 억제할 수 있는 경우라면 제4 기어부(1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3 기어부(233)는 제2 기어부(23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개폐로드(210)를 직선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4 기어부(15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3 기어부(233)는 제2 기어부(232)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기어(234)와, 제1 구동기어(234)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2 구동기어(235)를 포함한다.
제1 구동기어(234)는 제4 기어부(150)의 제4 단위기어(150b)에 연결되어 제4 단위기어(150b)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로서, 제4 기어부(150)의 제4 단위기어(150b)에 물림되는 제3 구동기어(239)와, 제2 구동기어(235)에 물림되는 제4 구동기어(240)를 포함한다.
제3 구동기어(239) 및 제4 구동기어(240)는 동일한 축(233a)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같은 속도로 같은 회전량만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3 구동기어(239)의 크기는 제4 기어부(150)를 구성하는 제4 단위기어(150b)의 크기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제4 단위기어(150b)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충분한 크기로 제2 구동기어(235)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구동기어(235)는 제1 구동기어(234), 보다 정확하게는 제4 구동기어(240)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중앙 영역을 따라 삽입된 개폐로드(210)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성이다.
제2 구동기어(235)는 중앙 영역을 따라 제1 로드삽입공(236a)이 관통형성되는 개폐로드 삽입부(236)와, 개폐로드 삽입부(236)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부(237)와, 테이퍼부(237)의 일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로드 삽입부(238)를 포함한다.
개폐로드 삽입부(236)는 중앙 영역을 따라 제1 로드삽입공(236a)이 관통형성되는 링 형상의 구성이다. 제1 로드삽입공(236a)은 개폐로드(210)의 제1 로드바디(211)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개폐로드 삽입부(236)로부터 고정로드 삽입부(238)까지 관통형성된다. 또한 제1 로드삽입공(236a)이 형성된 제2 구동기어(235)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개폐로드(210)의 제1 로드바디(211)의 제2 개폐나사산(211a)과 나사결합되는 제1 개폐나사산(235a)이 형성된다.
테이퍼부(237)는 개폐로드 삽입부(236)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제4 구동기어(240)에 물림되는 기어 이빨(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구동기어(240)는 직선베벨기어(Straight Bevel Gear) 또는 곡선베벨기어(Spiral Bevel Gear) 또는 제롤베벨기어(Zerol Bever Gear)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며, 제4 구동기어(240)에 물림되는 제2 구동기어(235) 또한 제4 구동기어(240)의 형식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베벨기어로 마련되고, 이렇듯 베벨기어로 마련되는 제2 구동기어(235)의 기어 이빨은 테이퍼부(237)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고정로드 삽입부(238)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고정부(140)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 삽입홈(238a)이 형성되도록 테이퍼부(237)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고정부 삽입홈(238a)은 고정로드 삽입부(238)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고정로드 삽입부(238)는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2 구동기어(235)는 제4 구동기어(24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개폐로드(210)를 직선운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2 구동기어(235)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여야 한다. 이렇게 제2 구동기어(235)가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구동기어(235)의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고정부(140)가 마련된다. 즉, 위치고정부(140)는 제2 구동기어(235)의 위치를 일정하게 단속함으로써 제2 구동기어(235)가 개폐로드(210)를 따라 직선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치고정부(140)는 일단부가 각각 제2 구동기어(235)의 고정로드 삽입부(238)의 고정부 삽입홈(238a)에 삽입되는 한 쌍의 위치고정 로드(141, 142)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위치고정 로드(141, 142)의 타단부는 각각 기어하우징(1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4 구동기어(24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제2 구동기어(235)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제2 구동기어(235)는 그 위치가 위치고정부(140)에 의하여 단속되므로 제자리에서만 회전운동하게 된다.
제2 구동기어(235)의 회전에 따라 제2 구동기어(235)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개폐나사산(235a)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개폐나사산(211a)을 갖는 제1 로드바디(211)는 회전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구동기어(235)의 제1 로드삽입공(236a)을 따라 직선운동만을 하면서 도어부(12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구동기어(235) 및 제4 구동기어(240)는 각각 서로 물림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Bevel Gear)로 마련되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 다른 유형의 기어를 사용하여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구동모터(220), 제1 기어부(231), 제2 기어부(232), 제3 기어부(233) 및 제4 기어부(150)는 모두 기어하우징(160)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러한 기어하우징(160)은 글로브박스(100)에 널리 사용되는 감속 댐퍼가 장착되는 위치에 감속 댐퍼를 대체하여 장착된다. 즉,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100)는 구동모터(220) 및 각 기어부(231, 232, 233, 150)를 모두 기어하우징(160)의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여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100)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글로브박스(100)의 사용을 원하는 차량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컨트롤 패널에 장착된 글로브박스(100)의 개폐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제어부는 개폐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2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220)의 구동에 따라 구동모터(220) 회전축에 결합된 제1 기어부(231)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제2 기어부(232)는 제1 기어부(23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4 기어부(150) 측으로 전달한다. 제4 기어부(150)는 제2 기어부(232)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크기의 회전동력을 제3 기어부(233)의 제3 구동기어(239)로 전달하며, 전달된 회전동력은 제3 구동기어(239)와 동일한 회전축(233a)으로 연결된 제4 구동기어(240) 측으로 다시 전달된다.
제4 구동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제2 구동기어(235)는 제4 구동기어(240)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2 구동기어(235)의 위치를 단속하도록 마련되는 위치고정부(140)에 의하여 제2 구동기어(235)는 제자리에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운동만을 하게 된다.
제2 구동기어(235)의 회전에 따라 제1 개폐나사산(235a)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개폐나사산(211a)을 갖는 제1 로드바디(211)는 제2 구동기어(235)에 대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제1 로드바디(211)와 일체로 마련되며 일단부가 도어부(12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로드바디(212)도 마찬가지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제2 로드바디(212)의 직선운동에 따라 결국 바디부(110)의 하측에 힌지운동하도록 결합된 도어부(120)가 바디부(110)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글로브박스(100)가 개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100)는, 도어부(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부(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개폐구동부(200)를 포함하여 종래의 글로브박스에서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로브박스(100)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어부(231, 232, 233, 150)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기어 상호 간의 동력전달시 발생하는 백 래시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글로브박스 110 : 바디부
120 : 도어부(120) 200 : 개폐구동부
210 : 개폐로드 211 : 제1 로드바디
211a : 제2 개폐나사산 212 : 제2 로드바디
220 : 구동모터 230 : 기어부
231 : 제1 기어부 232 : 제2 기어부
233 : 제3 기어부 234 : 제1 구동기어
235 : 제2 구동기어 235a : 제1 개폐나사산
236 : 개폐로드 삽입부 237 : 테이퍼부
238 : 고정로드 삽입부 140 : 위치고정부
150 : 제4 기어부 160 : 기어하우징

Claims (13)

  1. 크래쉬 패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힌지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결합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구동부는,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로드;
    상기 개폐로드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개폐로드 측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미리 결정된 범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기어부; 및
    제2 기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개폐로드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는 제3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부는,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기어; 및
    중앙 영역에 상기 개폐로드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기어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 개폐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개폐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기어는,
    제3 구동기어; 및
    상기 제3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2 구동기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기어 및 상기 제4 구동기어는 각각, 서로 물림되는 베벨기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기어가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구동기어의 위치를 단속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기어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부 삽입홈이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위치고정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기어는,
    상기 제1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개폐로드 삽입부;
    상기 개폐 로드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기어 이빨이 형성되는 테이퍼부; 및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부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로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로드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개폐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로드바디; 및
    상기 제1 로드바디로부터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어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로드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바디는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백 래시(Back Lash)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제3 기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4 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는, 각종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개폐로드가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일측에 제2 로드삽입공이 관통형성된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KR1020100064425A 2010-07-05 2010-07-05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KR10112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25A KR101124777B1 (ko) 2010-07-05 2010-07-05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25A KR101124777B1 (ko) 2010-07-05 2010-07-05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85A KR20120003685A (ko) 2012-01-11
KR101124777B1 true KR101124777B1 (ko) 2012-03-23

Family

ID=4561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25A KR101124777B1 (ko) 2010-07-05 2010-07-05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998B1 (ko) * 2013-02-27 2014-05-15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 점등식 글로브박스
KR101417319B1 (ko) 2012-08-17 2014-07-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101702782B1 (ko) * 2015-10-30 2017-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64B1 (ko) * 2012-12-12 2014-08-20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EP3052343B1 (en) 2013-10-03 2018-01-03 Tofas Turk Otomobil Fabrikasi Anonim Sirketi A vehicle glove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660B1 (ko) * 1996-10-31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660B1 (ko) * 1996-10-31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박스 자동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19B1 (ko) 2012-08-17 2014-07-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101394998B1 (ko) * 2013-02-27 2014-05-15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 점등식 글로브박스
KR101702782B1 (ko) * 2015-10-30 2017-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85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77B1 (ko)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US10683685B2 (en) Reciprocating device
EP3078531B1 (en) Lid device
EP2371603B1 (en) Movable grille shutter for vehicle
EP1659248B1 (en) Floating damper
US20150323794A1 (en) Head-Up Display Device
CN1981659A (zh) 开关头盔颌保护罩的装置
JP2013234742A (ja) アクチュエータ
US9650182B2 (en) Storage device
US9387745B2 (en)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cover for electric curtain
JP2010149645A (ja) 扉開閉構造及び扉開閉装置
US9816604B2 (en) Shifting device for vehicle
WO2012173246A1 (ja) 蓋開閉機構及び収納装置
JP2010100201A (ja) 車両用収納装置
JP7131114B2 (ja) 車両用鏡面角度調整装置、車両用ミラー装置
WO2016147372A1 (ja) 表示装置
JP2016084001A (ja) グラブボックス
JP2008080828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2014227014A (ja) レジスタのダンパ開閉装置
JP2008247134A (ja) 車両用物入装置
KR100422718B1 (ko) 글러브 박스 댐핑장치
JP5256054B2 (ja) 伝動装置
CN211313750U (zh) 车辆手套箱的锁止机构和具有其的车辆
CN210798621U (zh) 丝杆柔性传动机构
KR20200044385A (ko) 글로브 박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