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385A - 글로브 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385A
KR20200044385A KR1020180125058A KR20180125058A KR20200044385A KR 20200044385 A KR20200044385 A KR 20200044385A KR 1020180125058 A KR1020180125058 A KR 1020180125058A KR 20180125058 A KR20180125058 A KR 20180125058A KR 20200044385 A KR20200044385 A KR 2020004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bracket
housing
glo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310B1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310B1/ko
Priority to DE202019105718.1U priority patent/DE202019105718U1/de
Priority to CN201921745951.6U priority patent/CN210850352U/zh
Publication of KR2020004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16H37/12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저장공간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경사 오픈모드와 저장공간이 닫혀지는 클로즈모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고정부에 설치되며 하우징부가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무빙 레일부를 구비하는 제1 작동부와, 하우징부가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하우징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 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 장치{GLOVE BOX APPARATUS}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 작동시 승객쪽으로 병진 운동과 더불어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림화된 대시보드에 적용되더라도 글로브 박스의 공간이 유지될 수 있고, 커버와 하우징의 회전으로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는 글로브 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에는 글로브 박스가 설치된다. 글로브 박스에는 물품이 보관될 수 있으며, 글로브 박스의 작동 타입은 크게 회전 운동 방식과 병진 운동 방식이 있다. 회전 운동 방식의 경우 글로브 박스의 하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오픈과 클로즈 동작을 구현한다. 현재 글로브 박스의 작동 방식은 대부분 회전 운동 방식이다. 병진 운동 방식의 경우 글로브 박스 오픈 작동시 커버와 하우징 등 일체 부품이 전후로 이동하며 오픈과 클로즈를 구현한다.
회전 운동 방식의 글로브 박스의 경우, 하우징은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만 회전하면서 오픈되므로, 물건을 꺼내거나 수납할 때, 허리를 숙여 하우징 내부의 보이지 않는 공간에 손을 집어 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하우징 내부의 깊숙한 곳에 있는 물건들은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글로브 박스의 오픈과 클로즈 상태가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동식 글로브 박스의 경우, 병진 운동 방식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탑승공간을 극대화하는 최근의 대시보드 디자인 트렌드에 따라 대시보드를 슬림화하는 경우, 글로브 박스의 공간을 축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95337호(2017.08.22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오픈 작동시 승객쪽으로 병진 운동과 더불어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림화된 대시보드에 적용되더라도 글로브 박스의 공간이 유지될 수 있고, 커버와 하우징의 회전으로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는 글로브 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저장공간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경사 오픈모드와 저장공간이 닫혀지는 클로즈모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고정부에 설치되며 하우징부가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레일부를 구비하는 제1 작동부와, 하우징부가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하우징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 2작동부를 포함하며, 하우징부는 무빙 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작동부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와, 한 쌍의 고정 레일부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무빙 레일부와, 한 쌍의 무빙 레일부를 연결하고, 한 쌍의 무빙 레일부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켓부와,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부와, 제1 기어부와 브라켓부에 연결되며, 제1 기어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브라켓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작동부는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작동 링크 부재와, 제1 작동 링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 링크 부재와, 고정부에 설치되고, 제1 작동 링크 부재와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링크핀이 관통되는 곡선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구동부가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하우징부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구동브라켓과, 구동브라켓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맞물려 있는 제1 기어부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기어부는 구동부에 기어 연결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와, 제1 회전기어와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링크부는 제2 회전기어에서 연장되어 제2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연장부재와, 제1 연장부재와 브라켓부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작동부는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제2 기어부와, 제2 기어부와 브라켓부에 연결되며, 제2 기어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브라켓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링크부는 제2 기어부에서 연장되어 제2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연장부재와, 제2 연장부재와 브라켓부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는, 오픈 작동시 승객쪽으로 병진 운동과 더불어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림화된 대시보드에 적용되더라도 글로브 박스의 공간이 유지될 수 있고, 커버와 하우징의 회전으로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클로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클로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클로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클로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가 경사 오픈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1)는 차체(10)에 고정되는 고정부(100)와, 고정부(1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저장공간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경사 오픈모드와 저장공간이 닫혀지는 클로즈모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200)와, 고정부(100)에 설치되며 하우징부(200)가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300)와,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레일부(420)를 구비하는 제1 작동부와, 하우징부(200)가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하우징부(200)와 고정부(100)를 연결하는 제 2작동부(500)를 포함하며, 하우징부(200)는 무빙 레일부(420)에 형성된 연결편(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작동부는 고정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410)와, 한 쌍의 고정 레일부(410)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무빙 레일부(420)와, 한 쌍의 무빙 레일부(420)를 연결하고, 한 쌍의 무빙 레일부(42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켓부(430)와,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부(440)와, 제1 기어부(440)와 브라켓부(430)에 연결되며, 제1 기어부(440)의 회전각도에 따라 브라켓부(430)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450)를 포함한다.
고정 레일부(410)와 무빙 레일부(420)는 하우징부(200)의 하부 양측 주변에 배치된다. 무빙 레일부(420)는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형상이며, 고정 레일부(4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된다.
제1 작동부는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기어부(440)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제2 기어부(460)와, 제2 기어부(460)와 브라켓부(430)에 연결되며, 제2 기어부(460)의 회전각도에 따라 브라켓부(430)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링크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는 하우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작동 링크 부재(510)와, 제1 작동 링크 부재(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 링크 부재(520)와, 고정부(100)에 설치되고, 제1 작동 링크 부재(510)와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는 링크핀(511)이 관통되는 곡선형 가이드 홈(531)을 구비하는 가이드 브라켓(530)을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조수석 전방에 위치한 대시보드(10)에 고정되며, 글로브 박스 기능을 하는 하우징부(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베이스부(110)와 측면지지부(120)를 포함한다.
판 형상의 베이스부(110)는 하우징부(2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구동부(300)가 고정되며 제1기어부(440)와 제2기어부(4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측면지지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부(200)의 측면과 마주한다.
하우징부(200)는 내측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이 개구된 하우징부(200)는 고정부(100)의 내측에 위치되며,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어 저장공간이 개방되는 경사 오픈모드와, 저장공간이 닫혀지는 클로즈모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부(200)는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경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몸체(210)와, 하위징몸체(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탑승자와 마주하는 커버부재(22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고정부(100)에 고정되며, 하우징부(200)가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는 구동브라켓(310)과 액츄에이터(320)와 구동기어(330)를 포함한다.
구동브라켓(310)은 하우징몸체(210)의 하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고정된다. 구동브라켓(310)은 케이스 형상이며, 구동브라켓(310)의 내측에 액츄에이터(320)와 구동기어(330)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320)는 구동브라켓(3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여 구동기어(330)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320)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액츄에이터(3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330)의 개수는 사용환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330)는 액츄에이터(3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맞물려 있는 제1 기어부(440)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이다. 복수의 구동기어(330)가 서모 맞물려서 동력전달을 하며 토크가 증가된 후 구동부(300)의 외측에 설치된 제1 기어부(440)로 동력전달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440)는 하우징부(200)와 마주하는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어부(440)는 제1 회전기어(441)와 제2 회전기어(442)를 포함한다.
제1회전기어(441)는 구동부(300)의 구동기어(330)에 맞물려 회전되며, 제1 회전기어(441)의 형상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1 회전기어(441)의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기어(441)는 180도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므로, 제1 회전기어(441)의 형상은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제1 회전기어(441)는 구동부(300)의 구동기어(33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회전기어(442)는 제1 회전기어(441)와 고정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회전기어(441)와 함께 회전한다. 제1 회전기어(441)의 하측에 원판 형상의 제2 회전기어(442)가 위치하며, 제1 회전기어(441)와 제2 회전기어(442)의 회전축은 베이스부(110)에 별도의 축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1 회전기어(441)와 제2 회전기어(442)는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링크부(450)는 제1 기어부(440)와 하우징부(200)에 연결되며, 제1 기어부(440)의 회전각도에 따라 브라켓부(430) 및 무빙 레일부(420)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450)는 제1 연장부재(451)와 제1 연결부(45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재(451)는 제2 회전기어(442)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회전기어(442)와 함께 회전한다. 제1 연결부(452)는 제1 연장부재(451)와 하우징부(200)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기어부(440)의 중심축은 고정부(100)에 연결되며, 제1 기어부(440)의 제1 회전기어(441)는 액츄에이터(320)의 동작에 의해 제1 링크부(450)를 이동시킨다. 제1 회전기어(441)의 회전축에서 제1 연장부재(451)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제1 길이로 할 때, 제1 길이는 제1 회전기어(441)의 회전축에서 무빙 레일부(420)까지의 거리보다 작아서 무빙 레일부(420)와 제1 연결부(452)는 상호 간섭현상 없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452)의 일측은 제1 연장부재(4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연결부(452)의 타측은 브라켓부(4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기어부(460)는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기어부(440)에 맞물려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어부(460)는 제1 기어부(440)와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 회전기어(442)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원형기어이다. 이러한 제1 기어부(440)와 제2 기어부(460)는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링크부(470)는 제2 기어부(460)와 하우징부(200)에 연결되며, 제2 기어부(460)의 회전각도에 따라 하우징부(200)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링크부(470)는 제2 연장부재(471)와 제2 연결부(472)를 포함한다.
제2 연장부재(471)는 제2 기어부(460)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기어부(460)와 함께 회전한다. 제2 연결부(472)는 제2 연장부재(471)와 브라켓부(430)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1 링크부(450)와 제2 링크부(470)는 회전되는 동작시 상호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떨어져서 설치된다.
제1 기어부(440)와 제1 링크부(450)는 한 쌍을 이루며 동작이 이루어지고, 제2 기어부(460)와 제2 링크부(470)도 한 쌍을 이루며 동작된다. 또한 제1 기어부(440)와 제1 링크부(450)는 제2 기어부(460) 및 제2 링크부(470)와 마주하며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가지며 안정적인 거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 장치(1)의 동력전달 메커니즘(Mechanism)에 대해 설명하면, 액츄에이터(32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복수의 구동기어(330)가 회전하며 감속된 후 구동기어(330)를 회전시킨다.
구동기어(330)에 맞물려 있는 제1 회전기어(441)가 구동기어(330)와 함께 회전되며, 제1 회전기어(441)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기어(442)에 의해 제1 연장부재(451)가 회전한다. 제1 연장부재(451)의 회전으로 제1연결부(452)의 위치가 변동되며 브라켓부(430) 및 브라켓부(430)에 연결된 무빙 레일부(420)를 이동시킨다.
또한, 제2 회전기어(442)에 맞물려 있는 제2 기어부(460)도 제2 회전기어(442)의 회전으로 회전한다. 제2 회전기어(442)와 제2 기어부(46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제1 링크부(450)와 제2 링크부(470)의 동작도 이에 영향을 받는다.
제2 기어부(460)의 회전에 의해 제2 연장부재(471)의 위치가 변경되며, 제2 연장부재(471)의 회전으로 제2 연결부(472)의 위치도 변동되어 제1 연결부(452)와 함께 브라켓부(430) 및 브라켓부(430)에 연결된 무빙 레일부(420)를 이동시킨다.
무빙 레일부(420)에 형성된 연결편(421)에는 하우징부(200)의 하우징몸체(2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부(200)의 하우징몸체(210)는 무빙 레일부(420)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경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무빙 레일부(420)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부(200) 또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런데 하우징부(200)의 하우징몸체(210)가 제1 작동 링크 부재(510)에 연결되고, 제1 장동 링크 부재(510)는 고정부(100)에 설치된 제2 작동 링크 부재(520)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부(200)의 하우징몸체(210)는 제1 작동 링크 부재(510) 및 제2 작동 링크 부재(520)와 연동되어 이동하게 되고, 제1 작동 링크 부재(510)와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는 링크핀(511)은 가이드 브라켓(530)의 곡선형 가이드 홈(531)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하우징부(200)의 하우징몸체(21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홈(531)을 따라 경사지게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픈 작동시 승객쪽으로 병진 운동과 더불어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림화된 대시보드에 적용되더라도 글로브 박스의 공간이 유지될 수 있고, 커버와 하우징의 회전으로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글로브 박스 장치 10: 대시보드
100: 고정부 110: 베이스부
120: 측면지지부 200: 하우징부
210: 하우징몸체 220: 커버부재
300: 구동부 310: 구동브라켓
320: 액츄에이터 330: 구동기어
410: 고정 레일부 420: 무빙 레일부
430: 브라켓부 440: 제1 기어부
441: 제1 회전기어 442: 제2 회전기어
450: 제1 링크부 451: 제1 연장부재
452: 제1 연결부 460: 제2 기어부
470: 제2 링크부 471: 제2 연장부재
472: 제2 연결부 510: 제1 작동 링크 부재
511: 링크핀 520: 제2 작동 링크 부재
530: 가이드 브라켓 531: 가이드 홈

Claims (9)

  1.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저장공간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경사 오픈모드와 저장공간이 닫혀지는 클로즈모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가 이동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레일부를 구비하는 제1 작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가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 2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무빙 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
    상기 한 쌍의 고정 레일부에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무빙 레일부;
    상기 한 쌍의 무빙 레일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무빙 레일부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켓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브라켓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작동 링크 부재;
    상기 제1 작동 링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 링크 부재;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작동 링크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링크핀이 관통되는 곡선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구동브라켓;
    상기 구동브라켓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기어부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구동부에 기어 연결되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1 회전기어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2 회전기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제1 연장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브라켓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기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연장부재; 및
    상기 제2 연장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에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장치.
KR1020180125058A 2018-10-19 2018-10-19 글로브 박스 장치 KR10252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058A KR102524310B1 (ko) 2018-10-19 2018-10-19 글로브 박스 장치
DE202019105718.1U DE202019105718U1 (de) 2018-10-19 2019-10-16 Handschuhfachvorrichtung
CN201921745951.6U CN210850352U (zh) 2018-10-19 2019-10-17 手套箱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058A KR102524310B1 (ko) 2018-10-19 2018-10-19 글로브 박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385A true KR20200044385A (ko) 2020-04-29
KR102524310B1 KR102524310B1 (ko) 2023-04-21

Family

ID=6849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058A KR102524310B1 (ko) 2018-10-19 2018-10-19 글로브 박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24310B1 (ko)
CN (1) CN210850352U (ko)
DE (1) DE20201910571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7971A (zh) * 2021-06-08 2021-09-21 长春中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手套箱电动传动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467A (ko) * 2003-08-13 2005-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조
KR101262910B1 (ko) * 2012-08-27 2013-05-09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장치
KR101417319B1 (ko) * 2012-08-17 2014-07-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JP2015120461A (ja) * 2013-12-25 2015-07-02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467A (ko) * 2003-08-13 2005-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조
KR101417319B1 (ko) * 2012-08-17 2014-07-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101262910B1 (ko) * 2012-08-27 2013-05-09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장치
JP2015120461A (ja) * 2013-12-25 2015-07-02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105718U1 (de) 2019-10-23
KR102524310B1 (ko) 2023-04-21
CN210850352U (zh)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685B2 (en) Reciprocating device
US20140173989A1 (en) Sliding door
KR102639724B1 (ko) 글로브 박스 장치
EP3309005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CN110315946B (zh) 天窗设备
KR20140052988A (ko) 스콧 러셀 기구식 장치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KR20200044385A (ko) 글로브 박스 장치
EP2977180A1 (en) Link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ie and positioning bottom die by single shaft
KR102393438B1 (ko) 글로브 박스 장치
KR102074379B1 (ko) 도어 트림
JP6267975B2 (ja) 車両用開閉装置
JP6816491B2 (ja) 車両用窓ガラス昇降装置、移動体駆動装置、及びサンルーフ装置
JP6433352B2 (ja) 車両用バイザ装置
KR20120103477A (ko) 이랑 정리기계
JP5322613B2 (ja) 蓋可動装置
JP7393754B2 (ja) 作業機の操縦室ドア開閉装置
KR10209772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KR102651845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EP3971034A1 (en) Vehicle glove box assembly
EP3971032A1 (en) Vehicle glove box assembly
JP6954129B2 (ja) 表示パネル駆動機構、表示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2007313983A (ja) ホルダ
JP2020097875A (ja) ケーブルガイドプロテクタ及び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2022003904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