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20B1 -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20B1
KR101121820B1 KR1020107013220A KR20107013220A KR101121820B1 KR 101121820 B1 KR101121820 B1 KR 101121820B1 KR 1020107013220 A KR1020107013220 A KR 1020107013220A KR 20107013220 A KR20107013220 A KR 20107013220A KR 101121820 B1 KR101121820 B1 KR 10112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pport
block
skeletal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228A (ko
Inventor
타케히토 나가이
마사토 이케우치
요시노리 마츠나가
타쿠조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봄에코텍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봄에코텍,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봄에코텍
Publication of KR2011010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기판(3)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부재이다. 지주(5)는 기판(3)의 일방의 측을 향해 세워 설치한다. 기판(3)의 지주(5)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는 한 쌍의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설치된다.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지주(5)의 선단 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지주(5)의 선단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끼워맞춤 가능하며, 지주의 선단부에 대응한 끼워맞춤 구멍이나 끼워맞춤 수용부 등이 형성되는 부위이다. 지주(5)는 기판(3)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테이퍼 각도(θ)가 2~6°인 원추사다리꼴 형상의 기둥 형상의 테이퍼 기둥이다. 이 때, 지주(5) 하단의 기저부에서의 두께 Q에 대해 지주(5)의 선단의 절곡부(27a) 직하의 두께 R은 두께가 두껍다. 예를 들어 R은 Q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SKELETON BLOCK, ASSEMBLING STRUCTURE OF SKELETON BLOCKS, METHOD FOR IMPROVING SKELETON BLOCK'S CREEP RESISTANCE, AND METHOD FOR IMPROVING SHEAR LOAD RESISTANCE OR INCLINED DIRECTIONAL LOAD RESISTANCE OF ASSEMBLING STRUCTURE OF SKELETON BLOCKS}
본 발명은 빌딩 혹은 집합주택, 특히 단지, 학교, 병원 등에 있어서 빗물 등을 방화용이나 살수용 혹은 홍수방지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저수하기 위한 물 저수 시설에 이용되는 골격 블록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큰 빌딩이나 단지 주변의 공터나 자전거 보관소의 지하 등에 있어서, 내린 비를 저수하는 저수 시설이 여러 가지 마련되어 있다. 그 중 한 타입은 강수를 일시적으로 저수 시설에 저수해 두고, 조금씩 하수에 흘려 보내거나 주위에 침투시켜 도시형 홍수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일시저수형)이다. 또 다른 타입은 저수 시설에 모은 빗물을 방화수로서 또는 화단, 텃밭 등의 살수용으로서 이용할 목적으로 설치된 것(저수형)이다.
특히 요즈음에는 여름철의 물 부족에 대비하여, 새로 빌딩이나 단지를 건설하는 경우에는 종종 이러한 종류의 물 저수 시설이 설치되게 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전형적인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저수 시설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전자의 타입, 즉 도시형 홍수를 방지하는 목적을 위한 일시저수형 저수 시설이다.
이것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지면(43)을 파서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굴혈(47)을 형성하고, 그렇게 한 후 이 굴혈(47)의 내표면을 자갈이나 부직포 등으로 덮어 라이닝층을 형성한다. 또한 저수형의 빗물 등의 저수 시설이라면 방수시트로 덮는다.
라이닝층을 형성하면 굴혈(47) 내에 골격 블록(41)을 상하종횡으로 조립하여 그 내부에 저수 공간을 가지는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를 형성한다.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가 완성되면, 마지막으로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 상에 자갈이나 흙을 덮어 메워 피복층(45)을 형성한다.
도11에 있어서는 유입구(49)로부터 빗물 등이 빗물 저수조(40)에 유입되고, 유출구(51)로부터 빗물 저수조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된다.
일본 특개 2000-352080호 공보
특허문헌 1은 빗물 지하 침투용 저장 설비에 이용되는 수장용(收裝用) 블록이며, 기판부에 높이가 다른 통체를 4개 돌출설치하고, 상하로 반전시켰을 때 통체 선단부의 걸어맞춤용 부들을 서로 걸어맞춰 대향하는 상하 통체부의 높이의 합이 모두 동일해지도록 통체들을 서로 맞댄 유닛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12는 이러한 골격 블록의 일례인 골격 블록(41(41a, 41b))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골격 블록(41)은 기판(61) 및 4개의 지주(63) 등으로 구성된다. 기판(61)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부재이며, 투수 가능한 복수의 구멍(67)이 형성된다. 기판(61)의 일방 측의 4 모서리 근방에는 지주(63)가 세워 설치된다. 지주(63)의 상면에는 오목부(69) 및 볼록부(71)가 대각선상의 지주(63)에 각각 형성된다.
도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주(63)가 상방을 향하도록 골격 블록(41b)을 하단에 배치하고, 그 상방에 지주(63)가 하방을 향하도록 골격 블록(41a)을 배치한다. 이 때, 골격 블록(41a, 41b)의 지주(63)의 선단들이 서로 맞닿는다. 이상을 반복하여 골격 블록(41)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된다. 이 때, 서로 마주 보는 골격 블록(41a)과 골격 블록(41b)의 지주(63)끼리의 맞닿음부에 있어서, 오목부(69)와 볼록부(71)가 끼워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지주(63) 선단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그러나 이러한 골격 블록(41)은 단순히 지주(63) 선단들을 걸어 맞추는 것이다. 또 지주(63) 선단들을 서로 걸어 맞추기 위해, 걸림부는 원래 수평방향의 전단력이 약하고 어긋나기 쉬운 부분들을 걸어맞추게 된다. 또 지주(63)의 꼭지면에 걸림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돌기(71)는 지주(63) 외경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돌기(71)의 수평방향에 대한 전단 강도는 지주(63) 자체가 가지는 강도보다 더 약해진다. 또 지주(63) 선단들이 맞닿는 것이기 때문에 기판 간격이 지주(63) 높이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이 같은 골격 블록(41)을 이용한 저장 설비에서는 토압 등의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 붕괴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지주(63)의 선단에 걸림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지주(63)부 내에 물이나 공기가 고여 이러한 골격 블록(41)을 이용한 경우에는 저수조로의 물의 저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골격 블록을 조립하여 구성한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의 강도가 높고, 또한 작업자에 의한 운반이나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골격 블록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의 발명은, 지면을 파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굴혈과, 상기 굴혈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수지제 골격 블록을 조립해 구성되는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와, 상기 굴혈의 상부 개구를 덮는 피복층을 가지는 빗물 저수 시설에 사용되는 골격 블록으로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평판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측의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선단이 끼워맞춤 가능한 한 쌍의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켰을 때, 일방의 골격 블록의 상기 지주의 선단이 타방의 골격 블록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 가능하고, 상기 지주의 테이퍼 각도는 2~6°이며, 상기 지주의 기저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상기 지주는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또한 두께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이며, 상기 지주의 기저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상기 지주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바로 아래에서의 두께가 1.2배 이상 1.4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이다.
상기 지주 및/또는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상기 기판의 일방의 변에 평행한 제1 중심선과, 상기 기판의 타방의 변에 평행하고 상기 제1 중심선과 수직인 제2 중심선으로 구분되는 4개의 구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주 및/또는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중심 위치는, 상기 기판의 길이 A인 변에 수직인 상기 제1 중심선으로부터 양측방의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거리 X1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길이 B인 변에 수직인 상기 제2 중심선에 대해 양측방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거리 Y1의 위치에 배치되고, X1=A/4±A/24이며, Y1=B/4±B/24의 선대칭인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주 중심 위치를 X1=A/4±A/24이며, Y1=B/4±B/24의 범위의 선대칭인 위치에 배치하면, 골격 블록 구조체로 했을 때, 지주 중심 위치를 X1=A/4, Y1=B/4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정사각형이며, 상기 기판의 이면에는, 끼워맞춤 돌기와, 상기 끼워맞춤 돌기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 및 상기 끼워맞춤 구멍은, 상기 기판의 일방의 변에 평행한 제1 중심선과, 상기 제1 중심선과 수직인 제2 중심선으로 구분되는 4개의 각 구역의 기판의 외주 단부에 각각 적어도 1개씩, 상기 제1 중심선 및 상기 제2 중심선 각각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2개의 대각선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있어서 대향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 구멍은, 상기 기판의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9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적어도 상기 지주의 선단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구멍, 또는 상기 지주 선단부의 외주 및/또는 내주를 지지 가능한 상기 기판의 상기 지주측에 돌출되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하방에서의 상기 지주의 내면에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지주의 위치가 X1=A/4±A/24이고 Y1=B/4±B/24이기 때문에, 수평방향에 대한 전단 강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조립되었을 때의 골격 블록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골격 블록은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 가장 어긋나기 쉬운 것은 지주 선단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 가장 어긋나기 쉬운 지주 선단이 직접 기판과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 직접 기판 전체가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지주는,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또한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연직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테이퍼 각도는 2~6°이며, 또한 지주 하단의 기저부에서의 두께에 대한 지주 선단의 절곡부의 바로 아래(지주 선단부)의 두께의 비율(이하, 지주 상하단의 두께비)을 지주 하단의 기저부로부터 지주 선단부의 바로 아래를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1.2배 이상 1.4배 이하로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강도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지주가 기판에 대해 직각이 아니라 소정 각도의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 기저부에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의한 지주 기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주 상하단의 두께의 비율이 1.2 내지 1.4의 범위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두께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지주 기저부에서 상단부까지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이 없고, 강도도 향상되어 있으므로 지주가 좌굴되는 일이 없다.
또한,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저부에 지주 수용부를 형성하면, 기판측 끼워맞춤부와 지주를 끼워맞출 때 확실하게 지주와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끼워 맞출 수 있으며, 또한 지주가 테이퍼를 가지는 경우에는 지주의 테이퍼면과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가장자리부의 접촉과 더불어 지주와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보다 확실히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기판에 끼워맞춤 돌기 및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고, 제1 중심선과 제2 중심선으로 구분되는 4개의 각 구역의 기판의 외주 단부에 각각 적어도 1개씩 제1 중심선 및 상기 제2 중심선 각각에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들을 서로 대향시켜 끼워 맞췄을 때 수평방향의 전단 응력이 각 구획으로 분산되고, 기판의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9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들을 서로 마주 보게 하여 끼워맞춤 돌기 및 끼워맞춤 구멍이 서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수평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여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주의 선단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의 지주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시켜 기판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에 끼워맞춤 돌기 및 끼워맞춤 구멍이 제1 중심선 및 상기 제2 중심선 각각에 선대칭으로 형성되고, 또한 기판의 중심에 대해 90 회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과 지주의 상하방향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기판의 중심에 대해 90 회전대칭성을 가지는 구조를 확보하지 않으면, 지주의 선단과 기저부를 대향시키는 조합과 상기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조합 양쪽 모두 가능해지므로, 이것을 상기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시키는 조합의 배치에만 제한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의 발명에 관련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고,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상기 지주 선단부의 외주 및/또는 내주를 지지 가능한 상기 기판의 상기 지주측에 돌출되는 볼록부이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 선단의 적어도 외주 또는 내주 중 하나가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볼록부에 끼워맞춰지고,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 선단의 적어도 외주 또는 내주 중 하나가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볼록부에 끼워맞춰지는 골격 블록의 조립 구조로 함으로써,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어긋남을 방지함과 함께 기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이다.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제2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골격 블록을, 지주가 세워 설치된 면을 서로 대향시켰을 때, 일방의 골격 블록의 지주가 타방의 골격 블록의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골격 블록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골격 블록의 지주 선단과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어느 일방이 끼워맞춤 돌기이며, 타방이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이지만, 지주 선단부를 그대로 끼워맞춤 돌기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판측에 수용부로서 끼워맞춤 구멍을 형성하거나 혹은 끼워맞춤 구멍을 형성하는 대신 끼워맞춤용 볼록부를 형성해 끼워맞출 수 있다. 이 때, 볼록부를 수용부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볼록부가 기판의 단면을 강화하고 기판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점에서, 기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끼워맞춤 방법으로는 적어도 볼록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대향하여 상하에 위치하는 골격 블록끼리의 연결은 일방의 골격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끼워맞춤 돌기와, 타방측의 골격 블록의 기판에 형성한 수용부, 예를 들어 볼록부와 끼워맞춤 구멍 또는 볼록부만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형성이 용이한 끼워맞춤 돌기나 끼워맞춤 수용부, 예를 들어 볼록부와 끼워맞춤 구멍 또는 볼록부만으로 골격 블록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골격 블록 내의 수분제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 선단부 또는 기판측의 수용부에는 수분제거용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골격 블록의 지주 선단부에 공기가 모여 골격 블록이 부력에 의해 떠오르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골격 블록은 그 기판 외주부에 외주 끼워맞춤부와 외주 끼워맞춤 수용부를 가지고 있어 골격 블록들을 수평방향 종횡으로 서로 인접 배치시켰을 때, 일방의 골격 블록의 외주 끼워맞춤부를 인접하는 타방의 골격 블록의 외주 끼워맞춤 수용부에 각각 끼워 맞출 수 있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골격 블록에 의하면, 골격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조립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된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격 블록의 기판의 외형은 형상이 간단한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트럭 등에 의한 운반효율을 높일 수도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관련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여, 복수의 수지제 골격 블록을 조립해 구성되는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방에서의 상기 지주의 내면에, 리브의 형성으로 인한 골격 블록 선단부의 오목부의 형성을 방지하는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이다. 여기서,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지주 선단의 절곡부가 리브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연직 하중을 장시간 부하해도 크리프 변형에 의한 지주 선단 절곡부의 휨에 의한 치수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에 관련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고,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과 함께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고, 상기 조립된 한 쌍의 골격 블록을 복수 수평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이다.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제 5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관련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과 함께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고, 상기 조립된 한 쌍의 골격 블록을 복수 수평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좌굴 방지 방법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격 블록을 조립하여 구성한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의 강도가 높고, 또한 작업자에 의한 운반이나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골격 블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골격 블록(1)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a)는 조립된 상태의 골격 블록(1)의 정면도이며, 도2(b)는 지주(5) 선단의 확대도이다.
도3(a)는 골격 블록(1)의 평면도, 도3(b)는 도1의 P-P선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골격 블록(1)의 지주의 내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정면 투시도, (b)는 지주 선단 근방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5는 골격 블록(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골격 블록(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서의 수용부(3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지주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주위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주위에 리브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의 내주측에 지주가 끼워맞춰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c)는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주위에 리브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의 외주측에 지주가 끼워맞춰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지주의 선단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지주 선단의 볼록부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끼워맞춰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골격 블록에 봉형부재(39)를 관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와 지주(5)의 끼워맞춤부에 있어서 봉형부재(39)가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종래의 일반적인 빗물 등의 저수 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종래의 골격 블록(4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빗물 등의 저수 시설에 사용하는 골격 블록의 실시예를 도1~도10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골격 블록은 도11에 나타내는 종래의 빗물 등의 저수 시설 외에도 여러 가지의 빗물 등의 저수 시설에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빗물 등의 저수 시설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빗물 등의 저수 시설에서의 특징인 골격 블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골격 블록(1(1a, 1b, 1c, 1d))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a)는 조립된 골격 블록(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골격 블록(1)은 기판(3) 및 지주(5) 등으로 구성된다.
기판(3)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이며, 투수 가능한 복수의 구멍(11)이 형성된다. 기판(3) 상에는 한 쌍의 지주(5)가 배치된다. 지주(5)는 기판(3)의 일방 측을 향해 세워 설치한다. 기판(3)의 지주(5)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는 한 쌍의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형성된다.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지주(5)의 선단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며, 지주(5)의 선단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끼워맞춤 가능하고, 지주의 선단부에 대응한 끼워맞춤 구멍이나 끼워맞춤 수용부 등이 형성되는 부위이다.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주(5)는 통형상이며 내부에는 구멍(9)이 형성된다. 지주(5)는 선단 방향으로 지름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으며, 지주(5)를 동일 방향을 향해 겹치면 하방의 골격 블록의 지주(5)가 상방의 골격 블록의 구멍(9)에 수납되기 때문에 운반, 보관시에는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없다.
기판(3)의 이면(지주(5)가 세워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및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이 형성된다.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및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골격 블록(1)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골격 블록(1)을 상하방향으로 상하 서로 반전시키고, 또한 각각의 지주(5)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마주 보도록 적층된다. 골격 블록(1)이 조립되면, 지주(5)의 선단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도1의 예에서는 지주(5)가 상방을 향하도록 골격 블록(1d)을 하단에 배치하고, 그 상방에 지주(5)가 하방을 향하도록 골격 블록(1c)을 배치한다. 이 때, 골격 블록(1d)의 지주(5)의 선단이 골격 블록(1c)의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골격 블록(1c)의 지주(5)의 선단이 골격 블록(1d)의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골격 블록(1c)의 기판(3) 위에는 골격 블록(1b)이 지주(5)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골격 블록(1b) 위에는 지주(5)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골격 블록(1a)이 배치된다. 골격 블록(1a, 1b)은 각각의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를 끼워 맞추도록 배치된다. 이상을 반복하여 골격 블록(1)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된다.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격 블록(1)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지주(5)(기판(3))를 관통하는 구멍(9)이 연직방향으로 연통된다. 또한 지주(5)의 선단의 단부면에는 대략 U자 형상의 홈(8)이 형성된다. 홈(8)은 지주(5) 선단에 있어서 구멍(9)의 내면과 지주(5)의 외면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홈(8)은 골격 블록(1)을 조립했을 때, 지주(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물이나 공기가 홈(8)을 통과하여 지주(5)의 내부 또는 외부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홈(8)에 의해 물이 지주(5) 내부에 확실히 이동되거나 효율적으로 물을 저수할 수 있으며, 또한 지주(5) 내부에 공기가 고임으로써 골격 블록이 물 속에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도면에서는 홈(8)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3(a)는 기판(3)을 이면에서 본 도면이며, 기판(3)에 형성된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및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3(b)는 골격 블록(1) 등을 조립했을 때의 도1의 P-P선 단면도이다.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및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은 기판(3)을 대각선으로 4개로 구분한 영역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된다. 일방측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분 영역에는 끼워맞춤 구멍인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이 형성된다.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은 구분 영역의 각 모서리부(기판(3)의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삼각형의 구분 영역의 꼭지부(기판의 중앙부를 제외함)에 각각 삼각형의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타방측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분 영역에는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가 형성된다.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는 기판(3)의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삼각형의 구분 영역의 꼭지부(기판의 중앙부를 제외함)에 각각 삼각형의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가 형성된다. 기판 외주측에 형성되는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와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은 기판(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회전시켰을 때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와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의 배치는 기판(3)을 2개의 대각선으로 구분한 4개의 영역에서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격 블록(1)은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의한 끼워맞춤뿐만 아니라, 대향하는 기판(3)들도 서로 끼워맞춤 가능하다. 즉, 서로 반전하여 조립된 골격 블록(1c)의 기판(3) 상면(이면측)에 형성된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이, 그 위에 배치되는 골격 블록(1b)의 기판(3) 하면의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와 각각 끼워 맞춰진다.
도4(a)는 지주(5)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주(5)의 선단부 내면에는 지주(5)의 구멍(9) 중심측으로 돌출하도록 절곡된 절곡부(27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27a)는 지주(5)의 선단이 지주(5)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즉, 절곡부(27a)에 의해, 구멍(9)의 지주 선단의 내경이 다른 부위에 대해 작아진다. 또한 절곡부(27a)는 구멍(9)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구멍(9)의 가장자리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절곡부(27a)의 두께는 지주(5)의 두께에 대해 충분히 두껍다.
또한 이 실시예의 골격 블록(1)의 지주(5)는 기판(3)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테이퍼 각도 θ가 2~6°인 원추사다리꼴 형상의 기둥 형상의 테이퍼 기둥이다. 이 때, 지주(5)의 하단의 기저부에서의 (기판(3) 바로 위의 위치) 두께 Q에 대해, 지주(5)의 선단의 절곡부(27a) 바로 아래의 두께 R은 두께가 두껍다. 예를 들어 R은 Q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27a)의 하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리브(29)가 형성된다. 또한 리브(29)는 절곡부(27a) 하방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29)의 설치 수 및 설치 위치는 필요한 강도(내크리프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리브(29)를 형성함으로써 지주(5) 선단부의 내크리프 변형성이 향상된다. 또 지주(5)의 내부는 이중 통으로 해도 된다. 이 변형들은 본 발명의 골격 블록(1)의 범위 내이다. 덧붙여 이 골격 블록(1)은 저비용이며 보다 경량으로 하여 운반이나 조립이 용이하도록 보통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사출성형해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5는 지주(5)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a)는 절곡부(27b)가 형성되는 예이다. 절곡부(27b)는 지주(5)의 선단이 지주(5)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지주(5)의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즉, 지주(5)의 상면에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도5(b)는 절곡부(27c)가 형성되는 예이다. 절곡부(27c)는 지주(5)의 선단이 지주(5)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지주(5)의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지주(5)의 선단 형상은 이상과 같이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주(5)의 선단부에 두꺼운 부분이 형성되면 어떤 형태를 이용하든 상관없다.
상술한 골격 블록(1)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6에 의해 설명한다. 도6(a)는 골격 블록(1)의 평면 모식도이다. 기판(3)은 각 변이 각각 A, B인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부재이다.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길이 A인 변에 수직인 중심선(31a)과, 길이 B인 변에 수직인 중심선(31b)으로 구분되는 4개의 구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도6(a)의 예에서는,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각각 기판(3)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지 않는 대향하는 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길이 A인 변에 인접하는 구역에 형성되는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 각각의 중심 위치(기판(3)의 평면상에 투영된 중심 위치)는 중심선(31a)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된다. 즉, 도6(a)의 예에서는 중심선(31a)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중심선(31a)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X1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길이 B인 변으로부터도 등거리(X2)의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길이 B인 변에 인접하는 구역에 형성되는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 각각의 중심 위치(기판(3)의 평면상에 투영된 중심 위치)는 중심선(31b)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된다. 즉, 도6(a)의 예에서는 중심선(31b)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중심선(31b)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Y1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길이 A인 변으로부터도 등거리(Y2)의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 및 Y1은 각각 중심선(31a, 31b)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A/4±A/24, B/4±B/24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A/4±A/36, B/4±B/36의 범위이다. 즉,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도6(b)의 빗금친 범위에 기판의 중심에 대해 선대칭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지주(5) 또는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중심선(31a)에 대해 A/4+A/24를 초과하는 경우(기판(3)의 외주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기판(3)에 수평방향의 전단력이 부여되었을 때 기판(3) 중심 근방의 변형이 커진다.
또한 지주(5) 또는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중심선(31a)에 대해 A/4-A/24를 밑도는 경우(기판(3)의 중심측에 위치한 경우), 기판(3)에 수평방향의 전단력이 부여되었을 때 기판(3) 외주 근방의 변형이 커진다. 따라서 X1, Y1은 각각 중심선(31a, 31b)으로부터 A/4±A/24, B/4±B/24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변형 방지 효과는 특히 X1 및 Y1이 A/4±A/36, B/4±B/36인 경우에는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X1 및 Y1이 A/4±A/36, B/4±B/36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되고, 기판의 변형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주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는 상술한 범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이 정사각형이라면 X1=A/4±A/24, Y1=A/4±A/24의 범위의 선대칭인 위치에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위치하면 된다. 또, 도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6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배치 범위가 규정된다. 여기서,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기판 중심으로부터의 위치가 X1=A/4, Y1=A/4인 경우를 기준 위치로 한다. 이 경우, 지주의 중심의 기준 위치에 대한 오프셋량은 정사각형 기판의 중심선으로부터의 기준 위치인 A/4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준 위치의 1/8 정도이다.
즉, A/4의 기준 길이에 대해 이 1/6의 오프셋량을 허용한다고 하면,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위치가 X1=A/4±A/24, Y1=A/4±A/24의 범위가 되고, 또 A/4의 기준 길이에 대해 이 1/9의 오프셋량을 허용한다고 하면,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위치가 X1=A/4±A/36, Y1=A/4±A/36의 범위가 된다. 또 후술하는 기판의 치수가 720mm × 720mm인 경우에는, 1/6의 오프셋량이란 30mm에, 1/9의 오프셋량이란 20mm에 상당한다.
또 X1=A/4, Y1=B/4로 하여 각각의 배치가 변과 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면, 골격 블록들을 서로 단순히 상하로 조립하는 것만이 아니라 하단의 골격 블록에 대해 상단의 골격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반 피치씩 이동시켜서 조립하는 이른바 지그재그 배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3)에서의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와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의 배치는 중심선(31a, 31b) 각각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형태로는 도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끼워맞춤 구멍이어도 되지만,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양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하부에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수용부(33)가 형성되어도 된다. 즉, 기판(3)의 지주와의 끼워맞춤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지주(5)를 지주 삽입부(35)에 삽입해도 된다. 이 경우, 지주(5)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끼워 맞춰질 때, 지주(5)의 선단면은 수용부(33)와 접촉한다. 즉, 지주(5)는 수용부(33)로 지지된다.
이 때, 지주(5)에 테이퍼가 형성되면, 수용부(33)로 지주(5)가 지지됨과 동시에 지주 삽입부(35)의 가장자리부(도면 중 윗가장자리부)가 지주(5)의 측면과 접촉하여, 만일 수용부(33)가 변형되거나 한 경우에도 지주(5)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 내에 깊이 들어가는 일이 없다. 또 지주 삽입부(35)의 내주면을 지주(5)의 외주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주(5)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했을 때, 지주(5)의 단부면이 수용부(33)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주(5)의 선단부 근방의 외측면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면과 면접촉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주(5)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지주와의 끼워맞춤부측에, 지주(5)를 삽입할 수 있는 통형상의 볼록부(37)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지주(5)는 볼록부(37)에 삽입되어 지주(5)의 외주면이 볼록부(37)에 의해 지지된다. 또 지주(5)의 선단은 볼록부(37)의 내주 방향의 기판(3) 상면과 맞닿는다. 즉, 볼록부(37)의 내주 방향에서의 기판(3) 상면이 수용부(33)의 기능을 한다. 볼록부(37)는 지주(5) 삽입시의 가이드로서의 기능과, 통형상부가 기판의 단면을 보강하는 점에서 기판(3)(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보강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볼록부(37)의 내주면을 지주(5)의 외주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주(5)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했을 때 지주(5)의 단부면이 수용부(33)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주(5)의 선단부 근방의 외측면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면과 면접촉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주(5)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지주와의 끼워맞춤부측에, 지주(5)의 선단부에서의 구멍(9)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7)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볼록부(37)는 지주(5)의 선단(예를 들어 절곡부(27a)의 내주부)에 삽입되어 지주(5)의 내주면(예를 들어 절곡부(27a)의 내주면)이 볼록부(37)에 의해 지지된다. 또 지주(5)의 선단은 볼록부(37)의 외주 방향의 기판(3) 상면과 맞닿는다. 즉, 볼록부(37)의 외주 방향에서의 기판(3) 상면이 수용부(33)의 기능을 한다. 볼록부(37)는 지주(5) 삽입시의 가이드로서의 기능과, 통형상부가 기판의 단면을 보강하는 점에서 기판(3)(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보강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볼록부(37)의 외주면을 지주(5)의 선단에서의 구멍(9)의 내주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주(5)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했을 때 지주(5)의 단부면이 수용부(33)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주(5)의 선단부 근방의 내측면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외면과 면접촉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주(5)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끼워맞춤 구멍(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8)를 지주(5)의 선단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볼록부(38)는 기판(3)의 끼워맞춤 구멍(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되어 지주(5)의 선단부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의해 지지된다. 또 지주(5)의 선단에서의 볼록부(38)의 외주측은 기판(3) 상면(끼워맞춤 구멍 외주부 상면)과 맞닿는다. 즉, 끼워맞춤 구멍의 외주 방향의 기판(3)의 상면이 수용부(33)의 기능을 한다. 볼록부(38)는 지주(5) 삽입시의 가이드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또한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면을 지주(5)의 선단에서의 볼록부(38)의 외주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주(5)를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했을 때 지주(5)의 단부면이 수용부(33)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주(5)의 볼록부(38)의 외측면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면과 면접촉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주(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지주(5)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안내되어 기판의 소정 위치에 세팅되고, 지진 등에 의해 횡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지주가 어긋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골격 블록의 어긋남 방지 효과가 인정된다. 또한 상술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각종 구성은 서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a) 내지 도8(d)의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지주(5)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끼워맞춤부에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골격 블록(1)에, 필요에 따라 봉형부재인 파이프(39)를 마련해도 된다. 파이프(39)는 골격 블록(1)의 수평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격 블록(1)을 상하방향으로 조립하면 구멍(9)이 상하방향으로 연통된다. 이 연통된 구멍(구멍(9))에 파이프(39)를 삽입한다. 파이프(39)는 구멍으로의 삽입성에 문제가 없는 한 구멍과의 유격이 작은(즉 구멍보다 조금 작은) 외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39)로는 수지제, 금속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파이프를 이어서 하나의 파이프(39)를 형성해도 되지만, 저수조 내부에 구조체로서 장착한 골격 블록의 하중을 파이프 전체 길이로 받는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파이프는 접속 개소가 없는 하나의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39)를 모든 구멍(9) 등에 삽입할 필요는 없고, 배열시킨 골격 블록의 일부의 구멍(9) 등에 삽입해도 된다. 여기서, 파이프 내부에 추를 삽입하여 파이프의 하단부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하단부를 물 저수 시설의 하단부에 타설한 콘크리트 등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이프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골격 블록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다.
지주(5)의 선단부에는 절곡부(27a) 등이 형성된다. 적층되는 골격 블록의 연직방향에 위치하는 지주(5)를 관통하도록 파이프(39)가 설치되어 골격 블록이 지지된다. 이 때, 절곡부(27a) 등에 의해 지름이 감소되는 구멍(9)의 선단부 내경은 파이프(39)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 때문에, 절곡부(27a) 등의 내주면이 파이프(39) 외주면과 접촉하여 파이프(39)를 지지한다. 따라서 파이프(39)에 대해 골격 블록(1)이 어긋나는 일이 없고, 또한 파이프(39)로부터 받는 수평방향의 힘에 대해, 지주(5) 선단부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진 등이 일어났을 때 지주(5) 선단부로부터 받는 힘을 파이프(39)로 받는 것에 의해 골격 블록의 지주를 보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지진시에 파이프(39)가 휘는 것에 의해 골격 블록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절곡부(27a) 등은 파이프(39)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39)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하는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절곡부(27a)는 연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이 연직 부분에 의해 파이프(39)와의 접촉 범위를 확보한다.
도10은 도8에 나타낸 지주(5)의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와의 끼워맞춤부에 대해, 각각 파이프(39)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하부에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부(33)를 형성하고, 절곡부(27a) 내주면에 접하도록 파이프(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5)의 외주부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주부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지주(5)의 내주부가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되며, 연직방향에 대해서는 지주(5)의 선단부가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지주(5)가 확실히 지지된다. 또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구멍 지름은 파이프(39)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 때문에 기판(3)도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지주와의 끼워맞춤부측에, 지주(5)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의 볼록부(37)를 형성하고, 절곡부(27a) 내주면에 접하도록 파이프(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5)의 외주부가 볼록부(37)의 내주부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지주(5)의 내주부가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되며, 연직방향에 대해서는 지주(5)의 선단부가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구멍 지름은 파이프(39)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 때문에 기판(3)도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지주와의 끼워맞춤부측에, 지주(5)의 선단부에서의 구멍(9)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7)를 형성하고, 볼록부(37)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파이프(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5)의 내주부를 지지하는 볼록부(37)가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되며, 연직방향에 대해서는 지주(5)의 선단부가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구멍 지름은 파이프(39)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 때문에 기판(3) 및 볼록부(37)도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의 끼워맞춤 구멍(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38)를 지주(5)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볼록부(38)(절곡부(27b))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파이프(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5)의 외주부가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주부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지주(5)의 내주부가 파이프(39)에 의해 지지되며, 연직방향에 대해서는 지주(5)의 선단부가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39)는 수용부(33) 등으로 지지되며, 상하로 조합되는 한 쌍의 골격 블록의 단위 구조의 상하 2곳에서 파이프(39)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격 블록(1)에 의하면, 지주(5)의 선단이 직접 기판(3)에 형성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와 끼워맞춤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 강도가 매우 높다. 또한 지주(5)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배치 범위를 각각의 변의 길이에 대해 A/4±A/24의 범위(A는 변의 길이)로 했기 때문에, 균형이 우수하고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해서도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또한 지주 기저부가 소정 각도의 테이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주 기저부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기판(3)들도 서로 끼워맞춤이 가능한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19) 및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21)이 형성되기 때문에, 골격 블록(1)을 조립했을 때 기판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다.
또, 지주(5)는 선단의 지름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으며, 또한 지주(5)의 두께가 선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기 때문에 지주(5)에 걸리는 연직방향의 힘에 대해 보다 지름이 작은 지주(5)의 선단에서는 두께가 두껍고, 지름이 큰 지주(5)의 근본부에서는 두께를 얇게 하여 힘을 받는 단면적이 지주의 연직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직방향의 힘을 확실하게 기판(3)측에 전달하고, 좌굴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과잉된 두께를 줄여 코스트 및 중량 등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주(5)의 선단에는 내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절곡부(27a) 등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지주 선단의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골격 블록(1)을 조립했을 때 안에 물이나 공기가 고이는 일이 없다. 또한 절곡부(27a)는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립된 골격 블록에 보강봉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에는 수용부(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지주(5)가 삽입되었을 때 확실하게 지주(5)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주(5)의 테이퍼 형상을 고려하여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로의 지주(5)의 끼워맞춤 여분에 대응하는 지주(5)의 선단으로부터의 위치의 외경과 지주 삽입부(35) 가장자리부와의 지름을 대응시킴으로써 지주(5)를 수용부(33)와 지주 삽입부(35) 가장자리부로 지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7)의 내주면을 지주(5)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시키면 지주(5)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골격 블록(1)을 관통하는 파이프(39)를 형성함으로써 골격 블록(1)들이 연직방향으로 모여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의 힘 등에 대해서도 골격 블록(1)이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고, 이에 따른 강도 저하 등의 우려가 없다. 그리고 골격 블록(1)의 지주(5) 내면에 형성되는 수용부(27a)나 지주(5)를 지지하는 볼록부(37, 38) 등을 마련함으로써 파이프(39)가 골격 블록을 확실하게 지지하여 골격 블록(1) 등의 가로 어긋남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골격 블록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기판의 끼워맞춤과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지주의 끼워맞춤뿐만 아니라 기판과 파이프, 지주와 파이프의 끼워맞춤이 가능해진다. 특히 파이프를 통한 기판과 파이프, 지주와 파이프의 끼워맞춤은 특히 횡하중이 걸렸을 때 유효한 것이 된다. 그 결과, 강고하며 안정된 골격 블록의 조립 구조(골격 블록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련된 골격 블록(1)에 대해 재하(載荷)시험을 하였다. 한 쌍의 골격 블록(1)을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주 및 기판에 형성된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를 서로 끼워맞추어 조립해서 형성되는 공시체(供試體)에 대해, 연직방향은 220kN/m2까지, 수평 전단방향은 5kN/m2까지 재하하여 골격 블록의 상황을 관찰했다. 또한 골격 블록(1)을 비수평 지면에 설치한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골격 블록을 의도적으로 약 2도 기울인 상태로 하여 연직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재하했다(즉, 골격 블록의 지주축에 대해 2도 경사진 각도로부터 재하했다). 골격 블록(1)은 기판 사이즈를 720mm × 720mm, 지주 높이를 390mm로 했다. 또한 지주의 기저부의 직경은 180mm로 했다. 또 지주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의 위치는 도7(a)의 X1=X2, Y1=Y2인 것을 이용했다. 또한 골격 블록은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것을 이용했다.
시험에 제공한 골격 블록은 지주의 테이퍼 각도, 지주의 두께 및 지주의 기저부 근방에 대한 선단부 근방의 두께비(이하, 간단히 「두께비」라 한다)를 변화시켰다. 여기서 테이퍼 각도는 도4에서의 θ에 대응하고, 지주의 두께는 지주 중간에서의 두께이다. 또한 두께비는 도4에서의 R/Q이다. 이 때의 좌굴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시험조건(골격 블록 형상) 및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내연직하중이란 지주의 축에 대해 곧바로 하중을 가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내전단하중이란 최하부의 기판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고정한 상태로, 최상부의 기판을 수평으로 유지한 채로, 최상부의 기판을 지주의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하중을 가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내기울기하중이란 지주 축에 대해 약 2도 기울인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가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적재 효율이란 골격 블록(지주)들을 서로 겹칠 수 있는지 여부이다. 또, 골격 블록이 연직 하중을 장시간 받음으로 인한 블록 선단부의 변형으로부터 골격 블록의 지주 선단 절곡부(27a) 아래에 방사상의 리브를 원주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8개 형성한 것과 형성하지 않은 것에 대해, 지주 선단부의 내크리프성을 조사했다. 리브는 폭 3.5mm인 것을 45도 간격으로 8개 형성했다. 시험시에는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은 골격 블록에 연직 하중 31kN/m2를 1년간 가하여 1년 후에 하중을 제거한 후, 시험 개시 전후의 선단부에 생기는 변형을 조사했다.
Figure 112010038510079-pct00001
육안에 의해 지주의 좌굴, 파손, 변형 등이 관찰된 것을 "×"로 하고, 좌굴 등이 보이지 않은 것을 "○"로 했다. 또한 골격 블록들을 서로 겹칠 수 있으면 ○로 하고, 겹칠 수 없으면 ×로 했다. 그리고 완전하게는 겹쳐지지 않지만 대체로 지주들이 서로 겹치는 것을 △로 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연직하중은 테이퍼 각도가 작은 것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두께가 3mm, 두께비 1.0인 것에서는 테이퍼 각도 4도 이상이면 좌굴이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두께를 올려 두께 4.0mm, 두께비 1.0에서도 좌굴이 확인되었다. 테이퍼 각도가 2도 이하이면, 좌굴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두께비 1.1 이상으로 함으로써, 어느 두께에서도 테이퍼 각도 4도에서 좌굴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께비 1.2 이상이면, 테이퍼 각도 6도여도 좌굴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내연직하중으로는 테이퍼 각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퍼 각도 6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두께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내전단력은 테이퍼 각도가 큰 것이 우수하고, 테이퍼 각도 0도에서는 지주의 기저부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내전단력으로는 테이퍼 각도가 큰 (2도 이상) 것이 바람직하다.
내기울기하중은 하중 각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테이퍼 각도 0도에서는 파손이 생겼다. 내기울기하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테이퍼 각도가 있는 것이 좋지만, 테이퍼 각도가 너무 크면 내연직하중과 마찬가지로 좌굴이 생긴다. 이 때문에 내기울기하중에서는 테이퍼 각도는 2~6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 각도가 0도인 것은 골격 블록들(지주들)을 서로 중첩시킬 수 없어 적재 효율은 매우 나쁘다. 테이퍼 각도가 2도가 되면 지주 내에 지주를 삽입할 수 있고, 4도 이상이면 완전하게 골격 블록을 중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테이퍼 각도는 2도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두께비를 1.2 이상으로 하면 테이퍼 각도 2~6도에 있어서 내연직하중, 내전단하중, 내기울기하중, 적재 효율 모두 우수하며, 이들의 기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두께비를 1.5 이상으로 하면 수지의 중량 증가나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두께비는 1.2~1.4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테이퍼 각도와 두께비를 적정하게 조합함으로써 보다 얇은 두께에서도 내하중 및 적재 효율이 우수한 골격 블록을 얻을 수 있다. 즉, 골격 블록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및 경량화가 우수하고 또한 연직방향의 강도가 우수한 골격 블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주 및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의 위치를 도6(b)의 범위(X1=A/4±A/24, Y1=B/4±B/24)로 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표 1의 내연직하중, 내전단하중, 내기울기하중의 모든 시험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골격 블록의 모든 조합에 대해, 지주 선단 돌기부(27a) 아래에 방사상 리브를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리브 길이 25mm × 리브 두께 3mm × 리브 높이 50mm의 리브를 8개 배치한 것을 이용하여 31kN/m2의 연직 하중을 1년간 부하해서 지주 선단면의 오목부를 조사한 결과, 지주 선단 절곡부(27a)의 하측에 리브를 형성한 것은 1년 후에도 변형이 확인되지 않아, 내크리프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시험에서 리브의 두께는 3.0mm × 8개로 전체 두께는 24mm가 되지만, 이것은 시험에 제공한 지주 선단부의 리브 설치 위치의 둘레길이 약 140mm에 대해 약 20%가 된다. 즉, 리브 전체 폭의 합계가 지주 선단(리브 배치 위치)의 전체 둘레길이의 20% 이상이면 높은 내크리프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리브의 개수는 8개 이상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원주상에 형성된 리브의 수가 많을수록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높기 때문으로, 리브를 4개로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조건에서는 두께 6mm 이상의 리브로 하면 된다. 또 리브를 균등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대신에 전체 둘레(즉, 지주 선단부 전체 둘레길이의 100% 두께의 리브)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리브의 각도는 특정하지 않지만,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45도 이상 80도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60도 이상 75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좌우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 : 골격 블록 3 : 기판
5 : 지주 7 : 기판측 지주의 끼워맞춤부
9 : 구멍 11 : 구멍
19 : 기판의 끼워맞춤 돌기 21 : 기판의 끼워맞춤 구멍
27a, 27b, 27c : 절곡부 29 : 리브
31a, 31b : 중심선 33 : 수용부
35 : 지주 삽입부 37, 38 : 볼록부
39 : 파이프 40 : 빗물 저수조
41 : 골격 블록 43 : 지면
45 : 피복층 47 : 굴혈
49 : 유입구 51 : 유출구
61 : 기판 63 : 지주
65 : 구멍 67 : 구멍
69 : 오목부 71 : 볼록부

Claims (11)

  1. 지면을 파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굴혈;
    상기 굴혈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수지제 골격 블록을 조립해 구성되는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및
    상기 굴혈의 상부 개구를 덮는 피복층을 가지는 빗물 저수 시설에 사용되는 골격 블록으로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평판형의 기판;
    상기 기판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지주;및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측의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선단이 끼워맞춤 가능한 한 쌍의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켰을 때, 일방의 골격 블록의 상기 지주의 선단이 타방의 골격 블록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이 가능하고,
    상기 지주의 테이퍼 각도는 2~6°이며, 상기 지주의 기저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상기 지주는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며, 또한 두께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이며, 상기 지주의 기저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상기 지주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바로 아래에서의 두께가 1.2배 이상 1.4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상기 기판의 일방의 변에 평행한 제1 중심선과, 상기 기판의 타방의 변에 평행하고 상기 제1 중심선과 수직인 제2 중심선으로 구분되는 4개의 구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중심 위치는, 상기 기판의 길이 A인 변에 수직인 상기 제1 중심선으로부터 양측방의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거리 X1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길이 B인 변에 수직인 상기 제2 중심선에 대해 양측방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거리 Y1의 위치에 배치되고,
    X1=A/4±A/24이며, Y1=B/4±B/24의 선대칭인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정사각형이며,
    상기 기판의 이면에는, 끼워맞춤 돌기;및 상기 끼워맞춤 돌기와 끼워맞춤이 가능한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 및 상기 끼워맞춤 구멍은, 상기 기판의 일방의 변에 평행한 제1 중심선과, 상기 제1 중심선과 수직인 제2 중심선으로 구분되는 4개의 각 구역의 기판의 외주 단부에 각각 적어도 1개씩, 상기 제1 중심선 및 상기 제2 중심선 각각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2개의 대각선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있어서 대향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 구멍은, 상기 기판의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90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지주의 선단들과 지주의 기저부들을 상하방향으로 기판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적어도 상기 지주의 선단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구멍, 상기 지주 선단부의 외주를 지지 가능한 상기 기판의 상기 지주측에 돌출되는 볼록부 및 상기 지주 선단부의 내주를 지지 가능한 상기 기판의 상기 지주측에 돌출되는 볼록부로 구성되는 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방에서의 상기 지주의 내면에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6. 제1항에 기재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고,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는, 상기 지주 선단부의 외주 또는 내주를 지지할 수 있는 상기 기판의 상기 지주측에 돌출되는 볼록부이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 선단의 적어도 외주 또는 내주 중 하나가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볼록부에 끼워맞춰지고,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 선단의 적어도 외주 또는 내주 중 하나가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볼록부에 끼워맞춰지는 골격 블록의 조립 구조로 함으로써,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어긋남을 방지함과 함께 기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
  8. 제5항에 기재된 골격 블록을 이용하여, 복수의 수지제 골격 블록을 조립해 구성되는 공간지지 골격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방에서의 상기 지주의 내면에, 리브의 형성으로 인한 골격 블록 선단부의 오목부의 형성을 방지하는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9. 제1항의 골격 블록을 이용하고,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과 함께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고,
    상기 조립된 한 쌍의 골격 블록을 복수 수평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및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를 관통하는 봉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11. 제1항의 골격 블록을 이용하며,
    한 쌍의 상기 골격 블록을 상기 지주가 세워 설치된 기판면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과 함께 타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지주의 선단을 일방의 골격 블록에서 한 쌍의 상기 기판측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고,
    상기 조립된 한 쌍의 골격 블록을 복수 수평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좌굴 방지 방법.
KR1020107013220A 2010-01-20 2010-01-20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KR101121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0620 WO2011089690A1 (ja) 2010-01-20 2010-01-20 骨格ブロック、骨格ブロック組立構造、骨格ブロックの耐クリープ性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組立構造の耐せん断荷重または斜め方向荷重の向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228A KR20110106228A (ko) 2011-09-28
KR101121820B1 true KR101121820B1 (ko) 2012-03-16

Family

ID=4282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220A KR101121820B1 (ko) 2010-01-20 2010-01-20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3970B1 (ko)
KR (1) KR101121820B1 (ko)
CN (1) CN102510925B (ko)
WO (1) WO20110896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211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ユニット部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4987A1 (ja) * 2011-02-25 2012-08-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イアウト設計方法、レイアウト設計装置、プログラム
DE102011086016A1 (de) * 2011-11-09 2013-05-16 Fränkische Rohrwerke Gebr. Kirchner Gmbh & Co. Kg Rigoleneinheit und aus derartigen Rigoleneinheiten gebildete Transporteinheit
DE102012100560A1 (de) 2012-01-24 2013-07-25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Rigolenkörper-Verbindungselement
AU2012373593B2 (en) * 2012-03-14 2017-08-24 Sekisui Techno Molding Co., Ltd. Structural member used in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NL1040959B1 (en) * 2014-09-19 2016-09-29 Wavin Bv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NL1040956B1 (en) * 2014-09-19 2016-09-29 Wavin Bv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lastic pillar for an infiltration unit, a plastic base plate for use with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infiltration system for deployment underground comprising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base plate.
NL1040958B1 (en) 2014-09-19 2016-09-29 Wavin Bv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KR101720632B1 (ko) * 2014-11-14 2017-04-10 이호열 다용도 빗물 저류조블록
WO2016087964A1 (en) * 2014-12-02 2016-06-09 Geoplast Spa Module for draining, water storing and/or stabilizing
DE102017105011A1 (de) * 2017-03-09 2018-09-13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Rigolenkörper und Mittelplatte
CN107866431A (zh) * 2017-11-02 2018-04-03 安徽亚井雨水利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雨水存储清洗模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267A (ja) 2005-10-13 2007-04-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水施設用骨格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の貯水施設
JP2007262822A (ja) 2006-03-29 2007-10-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骨格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1959B2 (ja) * 1997-05-21 1999-06-07 株式会社環境アセスメントセンター 積層構造物
JP2000352080A (ja) * 1999-06-11 2000-12-19 Shinichiro Hayashi ユニット部材
SG121746A1 (en) * 1999-10-21 2006-05-26 Eco Plan 21 Co Ltd Water storing block and connecting member for water storing block and rain water storing/infiltrating structure
JP4686655B2 (ja) * 2001-04-11 2011-05-25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構造体
CN100485142C (zh) * 2004-06-25 2009-05-06 株式会社托太兹 地下贮水槽
CN101392544B (zh) * 2007-09-19 2010-08-18 北京泰宁科创科技有限公司 缝隙集水渗透式排水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267A (ja) 2005-10-13 2007-04-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水施設用骨格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の貯水施設
JP2007262822A (ja) 2006-03-29 2007-10-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骨格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211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ユニット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10925A (zh) 2012-06-20
JP4533970B1 (ja) 2010-09-01
WO2011089690A1 (ja) 2011-07-28
KR20110106228A (ko) 2011-09-28
CN102510925B (zh) 2014-05-07
JPWO2011089690A1 (ja)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20B1 (ko)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JP4444366B1 (ja) 水貯留施設、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水貯留施設の水平方向耐荷重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の水平方向ずれ防止方法
US8292117B2 (en) Stackable water holding tank
AU2020404765A1 (en) A plastic infiltration unit
CN214614154U (zh) 一种用于建造地下污水池的装配式沉井
JP5065361B2 (ja) 雨水貯留施設用の補強部材および補強部材と骨格ブロックとの嵌合構造
JP2000192516A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US20210396011A1 (en) Permanent form for forming concrete structures
JP5759343B2 (ja) 貯水槽用壁ユニット
CN109797753A (zh) 适用于高岩面场地基坑的立柱桩及格构柱的施工方法
JP5331062B2 (ja) 骨格ブロックの嵌合構造
CN209923938U (zh) 一种小型矩形基坑的装配式支护结构
JP5783916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JP4800855B2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CN215211060U (zh) 一种边坡基坑支护结构
CN217053463U (zh) 一种明挖浅埋隧道内埋式格构柱
CN216552445U (zh) 一种紧密固结预埋件
KR20150004618A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CN214832671U (zh) 一种装配式可重复利用的导墙结构
JP7021385B1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および雨水貯留浸透施設の堆砂滞留板
CN211006683U (zh) 一种基坑支护结构及基坑支护组件
KR102673565B1 (ko) 거치형 콘크리트 옹벽
CN217948638U (zh) 透水铺装结构
RU2775925C2 (ru) Плита фланцевого типа для опо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20725212U (zh) 一种桩基稳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