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18A -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18A
KR20150004618A KR1020130077845A KR20130077845A KR20150004618A KR 20150004618 A KR20150004618 A KR 20150004618A KR 1020130077845 A KR1020130077845 A KR 1020130077845A KR 20130077845 A KR20130077845 A KR 20130077845A KR 20150004618 A KR20150004618 A KR 2015000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wall structure
geogrid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본산업
주식회사 영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본산업, 주식회사 영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본산업
Priority to KR102013007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618A/ko
Publication of KR2015000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직립시켜 적층시, 블록과 블록사이에 지면측면가 연결된 지오그리드가 설치되고, 블록의 하부면의 중앙고정홈과 블록의 상부면의 중앙삽입홈을 일치시켜 고정결합부재의 결합구 및 수직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결합부재의 수직결합구들이 지오그리드의 삽입공들에 삽입되어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고정시켜며, 1차적으로 상,하부블록사이에서 지오그리드로 고정하고 2차적으로 상,하부브록을 고정결합부재로 고정하여 블록들과 지오그리드와 고정결합부재가 서로 결속력이 커지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옹벽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과 블록을 고정하는 구성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옹벽구조물을 신속하게 시공하고, 옹벽구조물의 관리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Structure of wall structures}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과 블록을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직립시켜 적층시, 블록과 블록사이에 지면측면가 연결된 지오그리드가 설치되고, 블록의 하부면의 중앙고정홈과 블록의 상부면의 중앙삽입홈을 일치시켜 고정결합부재의 결합구 및 수직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결합부재의 수직결합구들이 지오그리드의 삽입공들에 삽입되어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고정시켜며, 1차적으로 상,하부블록사이에서 지오그리드로 고정하고 2차적으로 상,하부브록을 고정결합부재로 고정하여 블록들과 지오그리드와 고정결합부재가 서로 결속력이 커지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옹벽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과 블록을 고정하는 구성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옹벽구조물을 신속하게 시공하고, 옹벽구조물의 관리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전면 보호재(블록)의 후면에 연결된 보강재가 뒤채움 토사에 의해 받는 하중으로 블록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도록 된 것으로, 우수한 경제성, 전면 벽체의 디자인화, 공기 단축 등의 장점으로 도로 축조, 아파트 단지조성, 사면보강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보강토 옹벽의 블록과 보강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종래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예컨대, 블록과 블록 사이에 요철을 일치시키고 이 요철에 그리드 타입의 보강재를 삽입하는 방법, 커넥터, 클립 및 연결핀 등의 연결장치에 의해 보강재를 삽입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보강재를 직접 블록의 요철에 삽입하는 방식은 보강재를 블록의 요철이나 턱에 의해 밀착 시공해야 하므로 보강재의 뒤틀림이 크게 일어나고 크랙 및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결핀이나 클립 등으로 블록 및 보강재를 연결하는 방식은 블록에 연결핀이나 클립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기 어렵고, 시공시 핀 삽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축조 후 성토지반의 침하시에 발생하는 보강재 전면부의 응력집중에 대처할수 없어 보강재(지오그리드)의 파손 및 옹벽 붕괴 등의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40989 "보강토 옹벽구조물"이 제안되었다.
상기 보강토 옹벽구조물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오그리드(800)와, 중앙 연결부(630)을 기준으로 일단에 상기 지오그리드(800)에 접속되는 고정부(6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지지부(620)가 형성된 커플러(600)와, 블록몸체(510)의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걸림홀(520)과, 상기 연결부(630)가 삽입,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홀(520)과 연통되게 상측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하방 요입되는 침하안내홈(530)을 구비한 블록(500)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500)은 상기 지지부(620)로 전달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620)와 접촉되어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걸림홀(520)의 내면에 돌출되는 레일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620)는 상기 연결부(630)에 직교되는 일자형 지지봉(611)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540) 는 상기 지지봉(611)의 양측 외주면과 점 접촉되도록 반구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종방향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620)는 상기 레일부(540)에 밀착되어 구름 이동되는 롤러부재(64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500)인 블록몸체(510)들에 형성된 레일부(540) 및 침하안내홈(530)에 커플러(600)의 연결부(630) 및 지지부(620)를 삽입하고 커플러(600)의 고정부(610)의 갈고리(621)를 지오그리드(800)에 연결고정하고 커버부재(700)를 레일부(540)에 삽입하여 지지부(620)를 레일부(540)에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서,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구축시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500)들의 블록몸체(510)에 일일히 커플러(600)를 레일부(540)와 지오그리드(800)에 설치하고 레일부(540)에 커버부재(700)를 삽입하여 커플러(600)를 고정하는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며, 블록(50)과 블록(500)을 커플러(600) 및 커버부재(700)로 지오그리드(800)와 서로 연결고정시, 블록(500)과 블록(500)이 커플러(600) 및 커버부재(700)로 지오그리드(800)에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여서 옹벽구조물을 구성시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블록(600)들과 지오그리드(500), 커플러(600), 커버부재(700)가 서로 지지력이 약해져 장마철과 같은 많은 우수 또는 외력에 의해 붕괴되는 문제점과, 블록(500)들에 일일히 커플러(600)와 커버부재(700)를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과정에 어려움이 있었고, 블록(500) 및 지오그리드(800)에 커플러(600) 및 커버부재(700)를 조립하여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조립하는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직립시켜 적층시, 블록과 블록사이에 지면측면가 연결된 지오그리드가 설치되고, 블록의 하부면의 중앙고정홈과 블록의 상부면의 중앙삽입홈을 일치시켜 고정결합부재의 결합구 및 수직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결합부재의 수직결합구들이 지오그리드의 삽입공들에 삽입되어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고정시켜며, 1차적으로 상,하부블록사이에서 지오그리드로 고정하고 2차적으로 상,하부브록을 고정결합부재로 고정하여 블록들과 지오그리드와 고정결합부재가 서로 결속력이 커지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옹벽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으 인하여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과 블록을 고정하는 구성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옹벽구조물을 신속하게 시공하고, 옹벽구조물의 관리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한, 새로운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에 있어서, 지오그리드(20)와;
상기 지오그리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결합구(31)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결합구(32)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고정결합부재(30)와;
하부측방에 복수개로 형성된 고정홈(41)과 상기 고정홈(41)과 상기 고정홈(41)의 사이에 중앙고정홈(42)이 형성되고, 상부측방중앙에 중앙삽입홈(43)에 형성되며, 상부측방타측에 고정돌기(44)가 형성된 블록(40)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직립되어 지면(G)측면에 설치되어 보강토 옹벽구조물(A)을 구성하되,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지면(G) 측면과 연결설치된 상기 지오그리드(20)와,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고정홈(42)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삽입홈(43)이 일치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결합구(31)는 상기 중앙삽입홈(43)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은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삽입공(21)들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고정홈(42)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고정홈(41)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고정돌기(44)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될시,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은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서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타측이 이동되어 설치되어 옹벽구조물(10)이 지면(G)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시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40)의 전방부에는 수생식물(P)이 식재되어 성장 할수 있는 식재공간부(4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40)과 상기 블록(40)들이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시,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최상부에 우수흡입표층(50a)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의 내측면과 상기 지면(G)사이에는 우수배수층(50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옹벽구조물(10)의 하부면에 상기 우수배수층(50b)과 연통되어 수평으로 우수배수구(50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럭(40)상에서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는 또 다른 상기 블록(40)의 하부 일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1)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홈(41)이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록(40)상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44)에 안착시키는 일련의 연속과정으로 상기 블럭(40)들을 쌓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직립시켜 적층시, 블록과 블록사이에 지면측면가 연결된 지오그리드가 설치되고, 블록의 하부면의 중앙고정홈과 블록의 상부면의 중앙삽입홈을 일치시켜 고정결합부재의 결합구 및 수직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결합부재의 수직결합구들이 지오그리드의 삽입공들에 삽입되어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고정시켜며, 1차적으로 상,하부블록사이에서 지오그리드로 고정하고 2차적으로 상,하부브록을 고정결합부재로 고정하여 블록들과 지오그리드와 고정결합부재가 서로 결속력이 커지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 지면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된 옹벽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과 블록을 고정하는 구성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옹벽구조물을 신속하게 시공하고, 옹벽구조물의 관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결합부재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결합부재의 다른실시예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다른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또 다른실시예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과 블럭의 연결상태와 블록과 블럭에 고정결합부재 및 지오그리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설치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1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2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결합부재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결합부재의 다른실시예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또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과 블럭의 연결상태와 블록과 블럭에 고정부재 및 지오그리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설치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1실시예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의 구성은 지오그리드(20)와, 고정부재(30)와, 블록(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옹벽구조물(10)은 유연성이 큰 구조로 되어 있어야 되므로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이 크다고 평가되는 바와, 같이 구조적인 허용침하량을 초과하는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면벽에 국부적인 변형(예로서, 전면벽의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벽의 변형은 외관상으로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서 상기 옹벽구조물의 길이에 대한 부등침하량의 비율이 넓은 패널식 콘크리트 전면벽체의 경우 1%이내, 블록식의 경우 0.5%이내가 되도록 하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부등침하가 우려되는 경우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지반개량을 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옹벽구조물(10)이 침수되면 뒤재움흙의 전단저항 및 보강재와 흙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옹벽구조물(10)은 보강재와 흙의 상호마찰에 의ㅎ하여 결속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수압의 지나친 상승으로 인해 유효응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 및 필터처리하며, 이때 옹벽 배면에 표면우수흡입층 및 배수구시설을 설치하여 준다.
상기 지오그리드(2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면(G)상에 고정설치되고, 다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오그리드(20)는 연성, 강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오그리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결합구(31)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결합구(32)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고정결합부재(30)와;
상기 고정결합부재(30)는 도 4, 도 5,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부재(30)는 상기 지오그리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결합구(31)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결합구(3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후술되는 블록(40)의 하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된 중앙고정홈(42)과 또 다른 블록(40)의 상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된 중앙삽입홈(43)이 서로 일치된 부위에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상기 수직결합구(32)들 및 상기 결합구(32)가 종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은 상기 지면(G)에 고정된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일측에 상,하로 적층된 상기 블록(40)들의 타측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결합부재(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결합구(32)를 3개 내지 4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직결합구(32)의 갯수를 한정하여 형성되지는 않는다.
한편 고정결합부재(30)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재의 이외에 부식력에 강한 합성수재와 같은 다른부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30)는 흙속에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피에 녹이 슬지 않는 비금속재로 형성하여 준다.
상기 비금속재로서 아연으로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외피에 86um이상의 두께로 도포해준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장기설계인장강도는 내구연한에 따른 부식두께를 제외한 나먼지 두께에 대헤서 아래식으로 이용하여 평가하여준다.
다만 강재그리드(steel grid)형 보강재의 경우에는 국부적인 과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2.08(=1/0.48)을 사용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블록(40)은 하부측방에 복수개로 형성된 고정홈(4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41)과 상기 고정홈(41)의 사이에 중앙고정홈(4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41)은 상기 블록(40)의 하부 측방향으로 전,후로 서로 거리를두고 형성되고, 상기 중앙고정홈(42)은 상기 블록(40)의 하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블록(40)의 상부측방중앙에 중앙삽입홈(43)에 형성되며, 상부측방타측에 고정돌기(4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삽입홈(43)은 상기 블록(40)의 상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44)는 상기 블록(40)의 상부 측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4)는 상기 블록(40)의 상부측방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다수개로 형성되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록(40)의 하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된 중앙고정홈(42)과 또 다른 블록(40)의 상부 중앙 측방향으로 형성된 중앙삽입홈(43)이 서로 일치된 부위에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이 상기 중앙고정홈(42)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상기 결합구(31)가 상기 중앙삽입홈(43)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은 상기 지면(G)에 고정된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일측에 상,하로 적층된 상기 블록(40)들의 타측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1차적으로는 블록(40)을 쌓기 위해 상부블록(40)의 고정돌기(44)가 하부블록(40)의 고정홈(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44)가 지오그리드(20)의 삽입공(21)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지오그리드(20)으로 고정시키고, 2차적으로 지오그리드(20)와 상,하부블록(40)을 상기 고정결합부재(30)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40)의 전방부에는 수생식물(P)이 식재되어 성장 할수 있는 식재공간부(45)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지오그리드(20)와, 상기 고정결합부재(30)와, 상기 블록들로 보강토 옹벽구조물(A)을 구축하는 방법은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 또 다른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직립되어 지면(G)측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지면(G) 측면과 연결설치된 상기 지오그리드(20)로 구성된다.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고정홈(42)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삽입홈(43)이 일치되어 상기 고정결합부재(3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결합부재(30)는 상기 중앙고정홈(42)과 상기 중앙삽입홈(43)에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은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고정홈(42)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결합구(32)들 사이는 상기 지오그리드(20)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31)는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중앙삽입홈(43)의 하부면을 고정하여 상기 중앙삽입홈(43)을 갖는 상기 블록(40)상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1)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44)에 삽입되어 상,하부블록(40)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블록(40)의 고정돌기(44)가 하부블록(40)의 고정홈(41)에 삽입되도록 블럭을 쌓을시 지오그리드(20)의 삽입공(21)에 고정돌기(44)가 삽입되도록하면서 1차적으로 작업하고 상,하블록(40)과 상기 지오그리드(20)를 상기 고정결합부재(30)로 2차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연속적하여 상기 블록(40)을 상기 지면(G)의 측면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직립되어 적층하여 지면(G)의 측면에 보강토 옹벽구조물(A)를 이루어 블록(40)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오그리드(40) 및 상기 고정결합부재(30)가 서로 결속력을 크게하여 블록(40)들사이에서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인 옹벽구조물을 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될시,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은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서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타측이 이동되어 설치되어 옹벽구조물(10)이 지면(G)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시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록(40)들을 수직으로 경사지게 적층하는 것은 상기 블록(40)들이 상기 지면(G)의 측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기대어 설치되어 안전한 보강토구조물(A)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블록(40)과 상기 블록(40)들이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시,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최상부에 우수흡입표층(50a)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의 내측면과 상기 지면(G)사이에는 우수배수층(50b)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옹벽구조물(10)의 하부면에 상기 우수배수층(50b)과 연통되어 수평으로 우수배수구(50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우수흡입표층(50a), 우수배수층(50b), 우수배수구(50a)를 상기 옹벽구조물(10)에 구성하는 것은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 많은 우수가 상기 옹벽구조물(10)에 영항을 주지않고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자연스럽게 배수되게하여 우수로 인한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지면의 토사의 손실로 인한 상기 옹벽구조물(10)의 붕괴를 사전에 미리예방하고 보다 안정적인 상기 옹벽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지오그리드(20)와, 상기 블록(40)들을 간편한 상기 고정결합부재(40)로 상,하부적층된 상기 블록(40)들의 상,하부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40)들을 수직으로 직립시켜 적층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축하며, 상기 지오그리드(20)와 상기 블록(40)을 상기 고정결합부재(40)로 간단하고 간편하게 고정하여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그 관리의 편리성을 부가하는 것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옹벽구조물(A)을 호형태로 구축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옹벽구조물(A)을 구성하는 상기 블록(40)과, 상기 수생식물(P)이 수용되는 상기 식재공간부(45)를 갖는 블록(40)을 서로 교대하여 설치 구성하여 옹벽구조물을 구축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들을 보관할 때 다수의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럭(40)상에서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는 또 다른 상기 블록(40)과, 상기 블록(40)의 하부 일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1)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홈(41)이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록(40)상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44)에 안착시키는 일련의 연속과정으로 상기 블럭(40)들을 쌓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 지오그리드 21 : 삽입공
30 : 고정결합부재 31 : 결합구
32 : 수직결합구 33 : 요홈부
40 : 블록 41 : 고정홈
42 : 중앙고정홈 43 : 중앙삽입홈
43a : 단턱 44 : 고정돌기
45 : 식재공간부 50a : 우수흡입표피층
50b :우수배수층 50c : 우수배수구
A : 옹벽구조물 C : 컬러층
G : 지면 P : 수생식물

Claims (5)

  1.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에 있어서, 지오그리드(20)와;
    상기 지오그리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결합구(31)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결합구(32)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고정결합부재(30)와;
    하부측방에 복수개로 형성된 고정홈(41)과 상기 고정홈(41)과 상기 고정홈(41)의 사이에 중앙고정홈(42)이 형성되고, 상부측방중앙에 중앙삽입홈(43)에 형성되며, 상부측방타측에 고정돌기(44)가 형성된 블록(40)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직립되어 지면(G)측면에 설치되어 보강토 옹벽구조물(A)을 구성하되,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지면(G) 측면과 연결설치된 상기 지오그리드(20)와,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고정홈(42)과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중앙삽입홈(43)이 일치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재(30)의 상기 결합구(31)는 상기 중앙삽입홈(43)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결합구(32)들은 상기 지오그리드(20)의 상기 삽입공(21)들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고정홈(42)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고정홈(41)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40)의 상기 고정돌기(44)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4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4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40)들이 수직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될시,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은 상기 블록(40)의 상부면에서 상기 블록(40)의 하부면 타측이 이동되어 설치되어 옹벽구조물(10)이 지면(G)측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시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40)의 전방부에는 수생식물(P)이 식재되어 성장 할수 있는 식재공간부(4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40)과 상기 블록(40)들이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지면(G)의 측면에 직립되어 옹벽구조물(10)로 설치시, 상기 옹벽구조물(10)의 최상부에 우수흡입표층(50a)이 설치되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된 상기 블록(40)들의 내측면과 상기 지면(G)사이에는 우수배수층(50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옹벽구조물(10)의 하부면에 상기 우수배수층(50b)과 연통되어 수평으로 우수배수구(50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럭(40)상에서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는 또 다른 상기 블록(40)의 하부 일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1)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홈(41)이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블록(40)상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44)에 안착시키는 일련의 연속과정으로 상기 블럭(40)들을 쌓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KR1020130077845A 2013-07-03 2013-07-03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KR20150004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45A KR20150004618A (ko) 2013-07-03 2013-07-03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45A KR20150004618A (ko) 2013-07-03 2013-07-03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18A true KR20150004618A (ko) 2015-01-13

Family

ID=5247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45A KR20150004618A (ko) 2013-07-03 2013-07-03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6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08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08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20B1 (ko) 골격 블록, 골격 블록 조립 구조, 골격 블록의 내크리프성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 조립 구조의 내전단하중 또는 경사방향하중의 향상 방법
US7775746B2 (en) PHC pile used in perman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HC pile
WO2004018779A2 (en) Reinforcing system for stackable retaining wall units
US8764348B2 (en)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KR20150004618A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구조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EP3556687A1 (en) Anchor for anchoring an underground storage tank
KR20020076558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보강재 및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CN215330002U (zh) 一种生态砌块及含其的生态砌块贴面结构
KR101107370B1 (ko) 강판 스트립을 보강재로 사용하는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609381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CA2980857C (en) Retaining wall counterfort and retaining wall system
KR101407503B1 (ko)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364014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KR200440989Y1 (ko) 블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101211991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04922U (ko) 블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CN210216378U (zh) 一种地基加固结构
CN221030558U (zh) 一种装配式地沟构件
JP4116019B2 (ja) 護岸ブロック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200396177Y1 (ko) 보강토옹벽의 고정수단
JP2018040235A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