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334B1 -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334B1
KR101121334B1 KR1020110116334A KR20110116334A KR101121334B1 KR 101121334 B1 KR101121334 B1 KR 101121334B1 KR 1020110116334 A KR1020110116334 A KR 1020110116334A KR 20110116334 A KR20110116334 A KR 20110116334A KR 101121334 B1 KR101121334 B1 KR 10112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ame
closing body
damper
freez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765A (ko
Inventor
다이찌로오 야마시따
가쯔또시 시노하라
야스오 구리하라
노리아끼 아라까와
신따로오 야마와끼
겐지 벳짜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14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15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76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02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76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58694A/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과제) 배플(개폐체)을 폐쇄하는 구동력[(구동 토크(T)]에 의해 개폐체가 탄성 변형하고, 그 탄성 변형에 의해 개폐체와 프레임의 개구에 형성된 맞닿음부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틈이 발생하여 완전히 폐쇄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해결 수단) 가로로 긴 개구(62)를 갖는 프레임(63)과, 상기 개구(62)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64)와, 상기 개폐체(64)를 그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 둘레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60)과, 상기 개폐체(64)의 상기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그 개폐체(64)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연신한 제1 돌기(81)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기 개구(62)와는 반대측의 상기 프레임(63)에 형성된 제2 돌기(82)를 갖고, 상기 개폐체(64)가 덮인 경우에 상기 제1 돌기(81)와 상기 제2 돌기(82)가 접하여 상기 개폐체(64)가 상기 개구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DAMPER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DAMPER DEVICE}
본 발명은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과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을 가지고,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송풍 수단으로 각 저장실에 송풍하는, 소위 냉기 강제 순환 방식의 냉장고에 있어서, 각 저장실에의 냉기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개폐식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그 댐퍼 장치를 개폐 제어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댐퍼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개구에 대하여 개폐 동작하는 배플(개폐체)을 원하는 개방 위치까지 개방되도록 기계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의 오동작으로 인한 배플의 개방 위치의 오류를 방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배플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 맞닿음부를 개구에 형성하고, 이 맞닿음부에 의해 배플과 개구의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케이스체 내에 수납된 구동부의 측면 및 그 측면이 맞닿는 프레임부의 맞닿음면 중 어느 하나에 단차를 형성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가 프레임의 냉기 출구측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프레임의 측벽이 소정 폭의 판 형상이고, 폭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풍로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금형 성형에 수반하는 변형을 억제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6에는 배플이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 프레임이 상기 배플의 외주를 덮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표제2008-528923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제3047160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허제3724978호공보 특허문헌4: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9-2545호공보 특허문헌5: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8-309409호공보 특허문헌6:일본특허제3270889호공보
냉장실의 온도는 대략 3 내지 5℃, 냉동실은 대략 -18℃로 온도대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냉각기로부터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냉기 덕트를 경유하여 냉기를 분배하는 경우, 냉기 유량을 절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개폐식의 냉장실 냉각용 댐퍼 장치와 냉동실 냉각용 댐퍼 장치(이하, 총칭하여 「댐퍼 장치」라고 함)를 구비하고, 그들을 개폐 제어하여 냉기 유량을 제어하고 있다.
댐퍼 장치는 냉기 덕트 내에 설치되는 점으로부터, 송풍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댐퍼 장치를 열었을 때의 개구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근년의 냉장고에서는 내용적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개구 면적을 확대하면서 저장 공간 내의 용적을 감소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기 덕트의 점유 체적을 지나치게 저감하여 냉기의 송풍 저항을 증대하면, 필요한 냉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송풍 팬)의 소비 전력이 증대하여 에너지 절약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저장 공간 내의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에너지 절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냉기 덕트를 편평한 형상으로 하여 냉장고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구성이 좋다. 이를 위한 댐퍼 장치의 형상으로서, 안길이 치수를 작게, 폭을 증가시킨 가로로 길고 가는 장방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례로서, 냉동실 내만을 냉각하는 경우, 냉장실 냉각용 댐퍼 장치를 닫힘, 냉동실 냉각용 댐퍼 장치를 열림으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때, 냉장실 냉각용 댐퍼 장치에 틈이 있는 상태이면, 당해 틈으로부터 냉장실 내에도 공기가 흘러든다. 그러면, 종래라면 냉동실 내만을 냉각할 만큼의 냉기가 필요한 것에 비하여, 냉장실 내에 새는 냉기분의 냉각 열량이 쓸데없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성의 관점으로부터 댐퍼 장치를 닫힘으로 할 때에 밀폐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 장치의 개구 면적을 대형화하면서 폐쇄시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례로서, 복수의 저장실(예를 들면 냉동실 및 그 냉동실과 인접하는 제빙실)을 냉각하는 경우, 댐퍼 장치를 통과한 냉기를 냉동실에 송풍시킴과 함께, 폭 방향에 연장한 냉기 덕트에 의해 제빙실에 송풍한다.
냉기는 댐퍼 장치를 통과한 후에 분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댐퍼 장치의 냉기 출구측에 돌기부가 있는 상태에서는, 당해 돌기부를 피하여 냉기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당해 돌기부에 의한 송풍 저항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저장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켜 냉기 덕트의 필요 단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장 공간의 용적 확대의 관점으로부터, 댐퍼 장치의 냉기 출구측의 돌기부를 없애서 저장 공간의 용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댐퍼 장치의 개구 면적을 대형화하면, 각 부품이 대형화하기 때문에, 부품의 강성이 저하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고, 또한 수지 부품의 경우, 성형시의 뒤틀림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도 생기기 때문에, 폐쇄시에 틈이 생기기 쉬워져서 밀폐하기 어렵게 된다는 과제가 있다. 특히, 댐퍼의 개폐체를 가늘고 긴 장방 형상으로 한 경우, 성형시의 변형 및 탄성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상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배플을 폐쇄하였을 때에 배플에 부가되는 구동력(구동 토크)에 의해 배플이 탄성 변형하고, 그 탄성 변형에 의해 배플과 개구에 형성된 맞닿음부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틈이 생긴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 내지 5의 기술에서는, 프레임의 안길이 치수의 중앙 부근에 개폐체의 축을 설치함으로써 프레임 강도를 개선하고 있지만, 개폐체가 프레임의 냉기 출구보다도 내측이 되어 댐퍼 장치를 통과한 냉기의 송풍 저항이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 내지 6의 기술에서는, 프레임의 외주의 플랜지가 냉기 덕트의 일부를 겸하는 구조이다. 또한, 프레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외주 플랜지의 길이 방향의 높이가 개폐체의 반축지측에서 동일해져 있다. 그러면, 댐퍼 장치의 개구를 냉기 덕트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댐퍼 장치를 설치한 경우, 프레임의 외주의 플랜지가 송풍 저항으로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댐퍼 장치의 개구를 확실하게 덮을 수 있고, 에너지 절약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 저항을 저감한 댐퍼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 저항을 저감하고 또한 저장 공간의 감소를 억제한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댐퍼 장치는,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그 개폐체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 둘레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그 개폐체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연신한 제1 돌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2 돌기를 갖고, 상기 개폐체가 덮인 경우에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접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체를 상기 개구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구동하는 경우, 상기 개폐체의 구동과 함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로부터 점점 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방 형상의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짧은 길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구동 수단과, 그 구동 수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지되고, 상기 구동 수단으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가로로 긴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의 회전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외방에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방향에 위치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축지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상기 축지 둘레에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축지된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고, 그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경우에 닫힘 방향에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그 개폐체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 둘레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그 개폐체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연신한 돌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개폐체가 덮인 경우에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에 접하도록 위치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체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구동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오목부 내로부터 점점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체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그 개폐체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 둘레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그 개폐체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연신한 제1 돌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2 돌기를 갖고, 상기 개폐체가 덮인 경우에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접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에 접하도록 위치 규제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방 형상의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짧은 길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구동 수단과, 그 구동 수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지되고, 상기 구동 수단으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가로로 긴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의 회전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외방에 돌출한 제1 돌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방향에 위치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축지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상기 축지 둘레에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축지된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고, 그 개폐체가 상기 개구를 덮는 경우에 닫힘 방향에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을 갖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그 개폐체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 둘레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개폐체의 상기 구동축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그 개폐체에 대하여 상기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연신한 돌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개폐체가 덮인 경우에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체가 상기 개구에 접하도록 위치 규제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걸어 맞춰져서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돌기부를 갖고, 그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단면보다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환상의 돌기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그 케이스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의 짧은 길이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 히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히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반케이스측의 단부 근처에 배수용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체의 반구동 수단측에 갖는 축공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축공에 걸어 맞춰지는 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냉동실과, 그 냉동실의 후방에 설치되어 냉각기가 설치되는 냉각기 수납실과, 상기 냉각기 수납실로부터 상기 냉동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냉동실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 커버와, 그 송풍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냉동실에의 냉기량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그 냉동실 댐퍼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에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칸막이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또한, 상기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걸어 맞춰져서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돌기부를 갖고, 그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단면보다 돌출하고 또한 상기 송풍기 커버의 단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개폐체의 축지측보다 반축지측을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는 그 개폐체의 일단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에 지지되고, 또한 그 개폐체의 타단이 상기 구동축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지축에 지지된 회전축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측보다 반회전축측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저장실과, 그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냉각기가 설치된 냉각기실과, 그 냉각기실로부터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 송풍된 냉기의 상기 저장실에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개폐체의 축지측보다 반축지측을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저장실과, 그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냉각기가 설치된 냉각기실과, 그 냉각기실로부터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 송풍된 냉기의 상기 저장실에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갖고, 상기 개폐체는 그 개폐체의 일단이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에 지지되고, 또한 그 개폐체의 타단이 상기 구동축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지축에 지지된 회전축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측보다 반회전축측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댐퍼 장치의 개구를 확실하게 덮을 수 있고, 에너지 절약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저항을 저감한 댐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저항을 저감하고 또한 저장 공간의 감소를 억제한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
도 2는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의 X-X 단면도.
도 3은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5는 댐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댐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댐퍼의 구성을 도시한 도 5의 Y-Y 단면도.
도 8은 댐퍼의 구동 수단을 도 5의 화살표 Z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9는 댐퍼의 구동 수단을 도 5의 화살표 Z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10은 댐퍼의 구동 수단을 도 5의 화살표 Z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11은 댐퍼의 구동 수단을 도 5의 화살표 Z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12는 댐퍼의 개폐체의 부하 토크에 의한 변형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댐퍼의 개폐체가 부하 토크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 12에 있어서의 U-U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화살표 W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개폐체와 접촉부의 사이에 생기는 압접력의 분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댐퍼의 개폐체의 변형을 억제하는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V-V 단면도로 개폐체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5의 V-V 단면도로 개폐체의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5의 V-V 단면도로 개폐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5의 화살표 W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개폐체와 접촉부의 사이에 생기는 압접력의 분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의 개폐체의 변형을 억제하는 스토퍼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V-V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개폐체가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 V-V 단면도,
도 22는 도 3의 Y-Y 단면도로서 댐퍼를 설치한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3의 Y-Y 단면도로서 댐퍼를 설치한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댐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도 12의 Z-Z 단면도로서 댐퍼의 개폐판의 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종래의 댐퍼를 설치한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비교예의 댐퍼를 설치한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냉동실 댐퍼 닫힘시의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냉동실 댐퍼 열림시의 냉기 덕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에 있어서의 X-X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설명도로 냉기 덕트나 분출구의 배치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는, 상방부터 냉장실(2), 제빙실(3) 및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을 갖는다. 일례로서, 냉장실(2) 및 야채실(6)은 대략 3 내지 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은 대략 -18℃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장실(2)은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좌우 여닫이(소위 프렌치형)의 냉장실 도어(2a, 2b)를 구비하고 있다.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은, 각각 서랍식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 도어(2a, 2b),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간단히 도어(2a, 2b, 3a, 4a, 5a, 6a)라고 칭한다.
또한, 냉장고(1)는, 도어(2a, 2b, 3a, 4a, 5a, 6a)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도어 센서(도시 생략)와, 각 도어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분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도시 생략), 냉장실(2)의 온도 설정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온도 설정을 하는 온도 설정기(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고외와 고내는, 내측 상자(10a)와 외측 상자(10b)의 사이에 발포 단열재(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케이스체(10)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또한, 냉장고(1)의 단열 케이스체(10)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25)를 실장하고 있다.
고내는, 단열 칸막이벽(28)에 의해 냉장실(2)과, 상단 냉동실(4) 및 제빙실(3)(도 1 참조, 도 2 중에서 제빙실(3)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나누어지고, 단열 칸막이벽(29)에 의해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이 나누어져 있다.
도어(2a, 2b)의 고내측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32)이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냉장실(2)은 복수의 선반(36)에 의해 종방향으로 복수의 저장 스페이스로 구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은, 각각의 실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3a, 4a, 5a, 6a)와 일체로 수납 용기(3b, 4b, 5b, 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4a, 5a, 6a)의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대고 앞쪽으로 꺼냄으로써 수납 용기(4b, 5b, 6b)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제빙실(3)에도 마찬가지로, 도어(3a)와 일체로 도시하지 않은 수납 용기(도 2 중 3b로 표시)가 설치되고, 도어(3a)의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대고 앞쪽으로 꺼냄으로써 수납 용기(3b)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적절히 도 3 참조), 냉각기(7)는 하단 냉동실(5)의 대략 뒤쪽에 구비된 냉각기 수납실(8) 내에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의 상방에 설치된 고내 송풍기(9)(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에서 열교환하여 차가워진 공기[이하, 냉각기(7)에서 열교환한 저온의 공기를 「냉기」라고 함]는, 차고 송풍기(9)에 의해 냉장실 송풍 덕트(11), 부호가 생략된 야채실 송풍 덕트(도 3 참조),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 및 도시하지 않은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냉장실(2), 야채실(6),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의 각 실에 보내진다. 각 실에의 송풍은 냉장실 댐퍼(20)와 냉동실 댐퍼(50)의 개폐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냉장실(2),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에의 각 송풍 덕트는,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각 실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 댐퍼(20)가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거쳐 다단으로 형성된 분출구(2c)로부터 냉장실(2)에 보내진다. 그리고, 냉장실 송풍 덕트(11)로부터 분기한 야채실 송풍 덕트(도 3 참조)를 거쳐 분출구(6c)로부터 야채실(6)에 보내진다.
또한, 냉장실(2)을 냉각한 냉기는, 예를 들면 냉장실(2)의 하면에 형성된 귀환구(2d)로부터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예를 들면 우측 하부에 되돌아간다. 또한, 야채실(6)의 귀환 공기는, 귀환구(6d)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되돌아간다.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일 때, 냉각기(7)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도시 생략된 제빙실 송풍 덕트나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를 거쳐 분출구(3c, 4c)로부터 각각 제빙실(3), 상단 냉동실(4)에 송풍된다. 또한,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거쳐 분출구(5c)로부터 하단 냉동실(5)에 송풍된다. 이 점, 상기 냉동실 댐퍼(50)는 후술하는 송풍기 커버(56)부의 상방에 부착되어, 앞의 제빙실 송풍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을 냉각한 냉기는, 하단 냉동실(5)의 안쪽 하방에 형성된 냉동실 귀환구(17)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에 되돌아간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 분출구(3c, 4c, 5c)를 형성하는 것이 칸막이(54)이다. 이 칸막이(54)는 냉동실(4), 제빙실(3) 및 하단 냉동실(5), 냉각기 수납실(8)을 구획한다.
55는, 고내 송풍기(9)가 부착되어 있는 팬 모터 고정부이다. 이 팬 모터 고정부(55)는 냉각기 수납실(8)과 칸막이(54) 사이를 구획하고 있다.
고내 송풍기(9)는 이 팬 모터 고정부(55)에 부착되어 있다. 56은 송풍기 커버이고, 상기 고내 송풍기(9)의 전면을 덮고 있다. 이 송풍기 커버(56)와 칸막이(54)의 사이에는 냉기 덕트(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송풍기 커버(56)의 상부는 앞의 냉동실 댐퍼(50)의 분출구(56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송풍기 커버(56)는, 송풍기(9)의 전면을 덮는 정류부(56b)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분출하는 냉기가 일으키는 난류를 정류하여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칸막이(54)와의 사이에 고내 송풍기(9)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분출구(3c, 4c, 5c) 등에 안내하기 위해서,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및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송풍기 커버(56)는 고내 송풍기(9)가 분출하는 냉기를 냉장실 댐퍼(20)측에 송풍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즉, 송풍기 커버(56)부에 설치된 냉동실 댐퍼(50)에 들어가지 않는 냉기는, 냉장실 덕트(15)를 경유하여 도 4와 같이 냉장실 댐퍼(20)측에 간다.
그리고, 냉동 온도대실[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제빙실(3)]과 냉장 온도대실[냉장실(2) 및 야채실(6)]의 양방의 실에 냉각기(7)를 거친 냉기를 보낼 때에는 압도적으로 냉동실 댐퍼(50)측에 냉기는 보내지지만, 약간의 냉기는 이 냉장실 덕트(15)측에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냉장실 댐퍼(20)는,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의 후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기(7)의 하방에 제상 히터(22)가 설치되어 있고, 제상 히터(22)의 상방에는 제상수가 제상 히터(22)에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커버(53)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 및 그 주변의 냉각기 수납실(8)의 벽에 부착된 서리의 제상(융해)에 의해 생긴 제상수는,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23)에 유입한 후에, 배수관(27)을 통하여 후기하는 기계실(19)에 배치된 증발 접시(21)에 도달하고, 후기하는 응축기(도시 생략)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또한, 냉각기(7)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상부에는 냉각기에 부착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2)에는 냉장실 온도 센서(33), 하단 냉동실(5)에는 냉동실 온도 센서(34)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각각 냉각기(7)의 온도(이하, 「냉각기 온도」라고 함), 냉장실(2)의 온도(이하, 「냉장실 온도」라고 함), 하단 냉동실(5)의 온도(이하, 「냉동실 온도」라고 함)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1)는, 고외의 온습도 환경(외기 온도, 외기 습도)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기 온도 센서와 외기 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야채실(6)에도 야채실 온도 센서(33a)를 배치할 수도 있다.
단열 케이스체(10)의 하부 배면측에는 기계실(19)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19)에는 압축기(24) 및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가 수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고외 송풍기에 의해 응축기의 열이 제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소부탄을 냉매로서 이용하고, 냉매 봉입량은 약 80g으로 소량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1)의 천정벽 상면측에는 CPU,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탑재한 제어 기판(31)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31)은 상기한 외기 온도 센서, 외기 습도 센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 온도 센서(33), 냉동실 온도 센서(34), 도어(2a, 2b, 3a, 4a, 5a, 6a)의 각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상기한 도어 센서, 냉장실(2)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하단 냉동실(5)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등과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ROM에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기(24)의 ON/OFF나 회전수의 제어,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댐퍼(5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후술하는 각각의 구동 모터의 제어, 고내 송풍기(9)의 ON/OFF나 회전 속도의 제어, 상기 고외 송풍기의 ON/OFF 제어나 회전 속도 제어 등의 제어, 상기한 도어 개방 상태를 알리는 알람의 ON/OFF 등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냉장실 댐퍼(20)가 닫힘 상태이고, 또한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이고, 냉동 온도대실[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제빙실(3)에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 및 상단 냉동실(4)에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는 하단 냉동실(5)에 하강한다. 그리고, 하단 냉동실(5)에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와 함께, 도 4 중에 화살표(C)로 나타내는 냉동실 귀환 공기와 같이 흐른다. 즉, 하단 냉동실(5)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 귀환구(17)를 경유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 측방으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에 유입하고, 냉각기 배관(7a)에 다수의 핀이 부착되어 구성된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또한, 냉동실 귀환구(17)의 횡폭 치수는 냉각기(7)의 폭 치수와 거의 동등한 횡폭이다.
한편, 냉장실 댐퍼(20)가 열림 상태이고, 또한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냉장실(2) 및 야채실(6)]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냉기는, 도 3 중에 화살표(D)로 나타내는 냉장실 귀환 공기와 같이,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측방 하부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에 유입하고,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또한, 야채실(6)을 냉각한 냉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귀환구(6d)(도 4 참조)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유입하는데, 풍량은 냉동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풍량이나 냉장실(2)을 순환하는 풍량에 비하여 적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냉기의 절환은,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댐퍼(50) 각각을 적절히 개폐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냉동실 댐퍼(50)를 예로 하여 댐퍼의 구성과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냉동실 댐퍼(5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화살표 S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Y-Y 방향의 단면도이다.
냉동실 댐퍼(50)는, 개구(62)를 일면에 구비한, 예를 들면 수지제의 일체 성형된 가로로 긴 프레임(63)과, 프레임(63)의 일단(장방 형상의 짧은 길이부)에 모터나 감속 기어 등의 구동계를 내장한 구동 수단(60)을 구비하고, 구동축(61)으로부터 구동력을 출력한다. 개폐체(64)는, 프레임(63)의 개구(6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개폐체(64)의 일단은 구동축(61)에 축지되어 있고, 개폐체(64)의 타단은 프레임(63)의 타단에 설치된 지축(65)의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체(64)는, 수지제의 판 형상의 개폐판(64a)과, 개폐판(64a)의 일면에는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이라는 유연한 재료로 성형된 완충 부재(64b)를 구비한다. 개폐체(64)는, 구동축(61)과 지축(65)을 잇는 회동축의 둘레에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회동축은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일변을 따르도록 거의 평행하고, 그 일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63)의 개구(62)는 가로로 긴 대략 장방 형상이다. 개구(62)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그 개구(62)의 일변과 타변을 연결하여 개구(62)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연결 수단(62a)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단(62a)은, 보강을 위한 지주로 작용한다. 또한, 연결 수단(62a)은, 개구(62)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면, 프레임(63)과 일체이어도 별체이어도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개폐체(64)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개폐체(64)는, 닫힘 위치에서는 유연한 완충 부재(64b)가 프레임(63)의 개구(62)의 내주를 따라 개폐체(64)측에 입설된 접촉부(66)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개구(62)를 통하여 냉기가 흐르는 것을 억제한다. 모터를 회전시키면, 구동축(61)을 통하여 개폐체(64)가 화살표 방향(도 5, 도 7 참조)에 대략 90°회동하여 개폐체(64')로 도시한 열림 위치가 되고,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개폐체(64)가 개폐 동작함으로써, 열림 위치에서는 개구(62)를 냉기가 통과할 수 있고, 닫힘 위치에서는 냉기의 흐름을 저지하여 폐쇄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구동 수단(60)의 구성과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구동 수단(60)을 도 5의 화살표 Z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구동 수단(60)에는 모터(70)를 내재하여 모터(70)의 출력축(71)에는 피니언 기어(72)가 형성되어 있고, 모터(70)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여 토크를 출력한다. 아이들러 기어(73)는, 아이들러 지점(74)의 둘레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된 감속 기어이다. 아이들러 기어(73)의 외주에는 피니언 기어(72)와 맞물리는 기어(73a)를 구비하고, 피니언 기어(72)로부터의 토크를 감속하면서 전달한다. 아이들러 기어(73)의 일부에는 부분 기어(73b)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아이들러 기어(73)가 90° 회전하는 범위에만 설치되어 있다. 부분 기어(73b)의 기어 형상 이외의 부분에는 원기둥 형상을 한 원기둥부(73c)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 기어(75)는 구동축(61)의 둘레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되고, 구동축(61)의 개폐체(64)와 끼워 맞쳐져 있고, 개폐체(64)[개폐판(64a), 완충 부재(64b)]와 출력 기어(75)는 연결되어 있어 일체로 회동한다. 즉, 개폐체(64)는 그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개폐체(64)의 일단이 구동축(61)에 축지되고, 타단이 프레임(63)의 지축(65)에 축지된 구동축) 둘레에 구동한다.
출력 기어(75)의 일부에는 부분 기어(75b)가 설치되고, 아이들러 기어(73)의 일부에 설치된 부분 기어(73b)와 맞물려서, 아이들러 기어(73)와 연동하여 예를 들면 90°만큼 회전한다.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75b)를 끼워 양측에 원호 형상을 한 제1 스토퍼(75c)와 제2 스토퍼(75d)가 설치된다. 제1 스토퍼(75c)와 제2 스토퍼(75d)는, 개폐체(64)가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에서 아이들러 기어(73)의 원기둥부(73c)와 서로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출력 기어(75)가 부분 기어(75b)의 맞물리는 범위인 대략 90° 회동함으로써, 출력 기어(75)와 연결된 개폐체(64)가 회동하여, 그 후 제1 스토퍼(75c)와 제2 스토퍼(75d)가 아이들러 기어(73)와 접촉하여 회동 규제된다.
다음에, 구동 수단(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는 구동 수단(60)은 개폐체(64)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7과 마찬가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아이들러 기어(73)에 형성된 원기둥부(73c)는, 출력 기어(75)의 제2 스토퍼(75d)와 끼워 맞쳐져 있고, 개폐체(64)를 폐쇄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모터(70)를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72), 아이들러 기어(73), 출력 기어(75)를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고, 출력 기어(75)의 일부인 부분 기어(75b)와 아이들러 기어(73)의 일부에 설치된 부분 기어(73b)와 맞물려 있다. 출력 기어(75)의 제2 스토퍼(75d)는 아이들러 기어(73)의 원기둥부(73c)로부터 이반한 위치가 된다. 도 10은 도 9보다 더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대략 90° 회동하여 출력 기어(75)의 일부인 부분 기어(75b)와 아이들러 기어(73)의 일부에 설치된 부분 기어(73b)의 맞물림이 종료하여, 출력 기어(75)의 제1 스토퍼(75c)는 아이들러 기어(73)의 원기둥부(73c)와 끼워 맞춰진 위치가 되어 개폐체(64)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개폐체(64)를 다시 폐쇄할 때에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10, 도 9의 상태를 경유하여 도 8의 상태에 이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냉동실 댐퍼(50)는 개폐체(64)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기의 통풍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댐퍼의 개구 면적을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형화하면 댐퍼의 개폐체(64)의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개구(62)를 덮었을 때의 반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거나, 혹은 성형시에 발생하는 뒤틀림이나 휨으로 인한 변형량이 커져서 개구(62)의 밀폐가 어려워진다는 과제가 있다. 그 과제에 대하여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6과 마찬가지로 댐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구동축(61)에 구동 토크(T)가 가해져서 개폐체(64)가 폐쇄되었을 때에, 개폐체(64)가 탄성 변형한 상태를 변위를 확대하여 알기 쉽게 기재한 도면이다. 개폐체(64)가 변위하지 않은 상태를 파선에 의해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U-U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화살표 W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개폐체(64)에 설치된 유연한 완충 부재(64b)와, 프레임(63)의 개구(62)의 외주인 접촉부(66)의 사이에 발생하는 압접력(67)의 분포 상태를, 접촉부(66)에 연직인 화살표의 분포로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화살표가 큰 부분은 완충 부재(64b)와 접촉부(66)의 사이의 압접력(67)이 크고, 화살표가 작은 부분은 압접력(67)이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동축(61)에 구동 토크(T)가 가해지면, 개폐체(64)의 완충 부재(64b)는 프레임(63)의 접촉부(66)에 대하여 강압되어 우묵하게 들어가고, 구동 토크(T)와 압접력이 균형 잡힌 상태로 유지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체(64)가 요동하는 축은 구동축(61)과 지축(65)을 잇는 회동축이고, 그 축은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일변과 거의 평행하게, 그 일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수단(60)으로부터 구동축(61)을 통하여 개폐체(64)에 가해지는 구동 토크(T)는 대략 장방 형상을 한 개폐체(64)의 일단의 귀퉁이부에만 가해지게 된다. 개폐체(64)는, 개폐판(64a)에 완충 부재(64b)를 점착한 형태이고, 완충 부재(64b)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 그 자신이 구동 토크(T)를 전달할 수는 없고, 개폐체(64)의 강도나 강성은 개폐판(64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개폐판(64a)은 대체로 평판 형상을 한 수지의 박판 형상이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른 비틀림 토크나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리는 굽힘 모멘트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하기 쉬운 형상이다.
개폐체(64)에 구동 토크(T)가 가해져서 접촉부(66)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체(64)는 접촉부(66)의 외주로부터 반력을 받고, 그 반력에 의해 완충 부재(64b)는 압축되어 우묵하게 들어가고 또한 개폐판(64a)은 탄성 변형한다.
그래서, 완충 토크(T)를 더했을 때의 개폐체(64)의 네 귀퉁이와 길이 방향의 변 중앙의 각 점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의 형상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개구(62) 주위의 접촉부(66) 중, 구동 수단(60)의 옆이고 구동축(61)의 근방의 귀퉁이부인 A부와, 그 대면측[구동축(61)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떨어진 위치)이고 지축(65)의 근방의 귀퉁이부인 C부에 있어서, 구동 토크(T)가 가해져서 개폐판(64a)이 탄성 변형하려고 한 경우, 구동축(61)과 지축(65)에 의해 회전 방향 이외의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즉,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판에 구동 토크(T)를 증가하였다 하더라고, 완충 부재(64b)와 개구(62)의 압접력(67A, 67C)은 증가하지는 않고, 일단 폐쇄된 후에는 대체로 압접력(67)은 변화하지 않는다.
다음에, 구동 수단(60)의 옆이고 구동축(61)으로부터 가장 먼 곳[개폐체(64)의 회전축에 대향하는 변 위]인 D부에서는, 구동 토크(T)를 가하면 개폐체(64)는 화살표(80a) 방향에 강압된다. 그 때문에, D부에 있어서의 압접력(67D)은 구동 토크(T)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A부와 D부의 거리는 길이 방향에 비하여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A부와 D부의 사이에서의 개폐체(64)의 변형은 작은 것으로서, 구동 토크(T)를 증가하면 압접력(67D)은 증가하기 쉽다.
다음에, 구동 수단(60)의 대면측[구동축(61)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떨어진 위치]이고 또한 지축(65)으로부터 가장 먼 곳[개폐체(64)의 회전축에 대향하는 변 위]인 F부에서는, F부는 구동축(61)으로부터는 가장 먼 곳이고, 또한 개폐체(64)는 구동 토크(T)에 의해 비틀림 변형한다. 그 때문에, 압접력(67F)은 작다.
즉, 작은 압접력(67F)으로 개폐체(64)의 완충 부재(64b)와 접촉부(66)가 접한 후에는, 구동 토크(T)를 증가하였다 하더라도, 그 토크는 개폐체(64) 자체를 비틀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 주로 되어, F부의 압접력(67F)을 증가하는 작용은 작다.
다음에,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이고 구동축(61)으로부터 가장 먼 곳[개폐체(64)의 회전축에 대향하는 변 위]인 E부에 있어서의 압접력(67E)은, D부와 F부의 압접력(67D와 67F)의 사이의 값을 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부의 압접력(67D)은 구동 토크(T)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한편, F부의 압접력(67F)의 증가는 적고, D부에서 F부에 걸쳐 압접력은 작아진다.
구체적으로, 개폐체(64)의 중앙부보다 구동 수단(60)측의 D부와 E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개폐체(64)의 변형량(δde)과, 개폐체(64)의 중앙부보다 지축(65)측의 E부와 F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개폐체(64)의 변형량(δef)을 비교하면, 구동 수단(60)측의 변형량(δde) 쪽이 지축(65)측의 변형량(δef)보다 커진다. 그 결과로서, E부에 있어서의 압접력(67E)은, D부와 F부의 압접력(67D와 67F)의 평균값보다는 작아지고,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 상변의 압접력(67D, 67E, 67F)을 잇는 압접력(67)의 분포는 직선이 아니라, 중앙이 우묵하게 들어간 곡선이 되는 경향을 갖는다.
다음에,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이고 구동축(61)의 근방인 B부의 압접력(67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구동 토크(T)는 도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면, 개폐체(64)의 도시 상단인 E부에 있어서의 압접력(67E)은 화살표(80E)의 방향에 작용하여 완충 부재(64b)를 접촉부(66)에 대하여 강압하는 방향이 된다. 한편, 구동축(61)에 가까운 B에서는, 구동 토크(T)가 작용하였을 때의 압접력(67B)은 완충 부재(64b)를 접촉부(66)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의 80B의 방향에 작용한다. 즉, 도시 상단의 E부에서 완충 부재(64b)가 접촉부(66)와 접한 후, 완충 부재(64b)는 압접력(67E)에 의해 우묵하게 변형하지만, 그 변형량은 작은 것이다. 따라서, 개폐체(64)는 상단의 E부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80G 방향에 회전하도록 비틀림 변형하고, B부에서는 개폐체(64)가 접촉부(66)로부터 부상하여 틈(gap)을 발생시킨다.
개폐체(64)가 길이 방향으로 길면, 강성이 저하하여 이와 같은 변형은 더 일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구동 토크(T)를 증가시키면, 중앙의 B부에서는 점점 개폐체(64)는 개구(62)의 접촉부(66)로부터 부상하고, 구동 토크(T)를 증가하여도 개구(62)를 덮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압접력의 분포에 있어서는, 도시 하변에 도시한 구동축(61) 근방의 압접력(67A, 67B, 67C)은 중앙 B부의 압접력(67B)이 최소가 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B부가 접촉부로부터 부상하였을 때에는 압접력(67B)은 제로가 된다.
이와 같은 개폐체(64)의 탄성 변형은, 개폐체(64)의 크기, 즉 개구(62)의 개구 면적이 클수록 변형량이 커지고, 특히 개폐체(64)의 길이 방향 치수가 클수록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개폐체(64)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 형상인 경우에는, 특히 변형량이 커진다.
또한,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64a)의 수지 성형시에 발생한 뒤틀림의 방향이, B부가 접촉부(66)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인 경우, 뒤틀림에 의해 틈이 발생하여 밀폐할 수 없다. 여기서 더 구동 토크(T)를 증가하여도 개폐체(64)는 틈(gap)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밀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냉동실 댐퍼(5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6과 마찬가지로 개폐체가 폐쇄되었을 때의 댐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V-V 단면도이다. 도 17은 개폐체(64)의 개폐 도중의 V-V 단면도이다. 도 18은 개폐체(64)의 개방시를 도시한 각각 V-V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개폐체(64)의 완충 부재(64b)와 개구(62)의 접촉부(66)의 사이에 발생하는 압접력(67)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냉동실 댐퍼(50)는,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 즉 B부에서 구동축(61)에 대하여 개폐체(64)와는 반대 방향(개폐체(64)의 외방)에 연신한 제1 돌기(81)를 형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개폐체(64)에는 그 개폐체(64)가 축지되어 있는 일측[구동축(61)측] 및 타측[지축(65)측]의 사이의 대략 중앙 부근에, 개폐체(64)의 외방에 연신한 제1 돌기(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63)의 구동축(61)의 근방 또한 구동축(61)에 대하여 개구(62)와 반대 방향에 제2 돌기(82)를 형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63)의 제1 돌기(8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폐체(64)가 개구(62)를 덮었을 때에 접하는 제2 돌기(82)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체(64)가 개구(62)를 덮는 경우, 제1 돌기(81)와 제2 돌기(82)는 서로 규제부(83)에서 접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도 16에서는, 구동 토크(T)가 구동축(61)에 가해져서 개폐체(64)에 화살표(80B) 방향의 힘, 즉 개폐체(64)에 접촉부(66)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제1 돌기(81)와 제2 돌기(82)는 규제부(83)에서 접하기 때문에, 개폐체(64)는 그 이상으로 변형하는 일은 없다. 즉, 완충 부재(64b)가 접촉부(66)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접된 상태에서 제1 돌기(81)와 제2 돌기(82)가 규제부(83)에서 접하도록 위치 관계를 정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64)를 대형화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서 탄성 변형하기 쉬운 치수 형상으로 하여도, 혹은 구동 토크(T)가 커져도 부상하여 틈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치수의 편차나 구동 토크(T)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여 개구(62) 전체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냉동실 댐퍼(5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62)의 접촉부(66) 둘레의 완충 부재(64b)와의 압접력(67)의 분포에 있어서, B부의 압접력(67B)은 도 14에 있어서의 압접력(67B)과 비교하여 커져서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개폐체(64)를 구동축(61)의 둘레에 회전시켜 개방 상태까지 회동시킬 때에는,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81)는 구동축(61)에 대하여 개폐체(64)와는 반대측에 연신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개폐체(64)를 개방할 때에는 제1 돌기(81)는 제2 돌기(8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에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체(64)의 개방 동작을 방해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구동축(61)에 가하는 구동 토크(T)를 더 증가시켰다고 하면, 개폐체(64)의 완충 부재(64b)가 접촉부(66)와 접한 후, 또한 제1 돌기(81)와 제2 돌기(82)가 규제부(83)에서 접촉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64)는 도시 하단인 B에서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구동 토크(T)에 의해 발생하는 개폐체(64)의 탄성 변형은, 규제부(83)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 상단인 E부를 더 압접하도록 작용한다. 즉, 구동 토크(T)를 증가함으로써 개폐체(6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인 E부를 더 강하게 압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체(64)가 덮는 경우, 제1 돌기(81)와 규제부인 제2 돌기(82)가 접하여 개폐체(64)가 개구(62)의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위치 규제된다. 따라서, 개폐체(64)가 개구(62)를 덮는 경우에 닫힘 방향에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을 가짐으로써, 개폐체(64)의 폐쇄가 더 확실하고 신뢰성이 높은 냉동실 댐퍼(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체(64)의 개폐판(64a)에 수지 성형시의 뒤틀림이 있고, 그 뒤틀림의 방향이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B부가 접촉부(66)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이었던 경우, 개폐체(64)를 폐쇄하면, 제1 돌기(81)와 제2 돌기(82)가 규제부(83)에서 접함으로써, 개폐체(64)의 완충 부재(64b)는 개구(62)의 방향에 이동하여 접촉부(66)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64)의 뒤틀림의 유무에 관계없이 개구가 확실하게 밀폐되기 때문에, 폐쇄가 더 확실하고 신뢰성이 높은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0과 도 21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과 도 21은 냉동실 댐퍼(50)의 단면도이다. 도 20의 구성이 도 16에 도시한 구성과 상이한 점은, 프레임(63)에 형성한 제2 돌기(82) 대신에 프레임(63)에 오목부(84)를 형성한 것이다. 개폐체(64)를 폐쇄하였을 때, 제1 돌기(81)의 선단이 오목부(84)의 내부에 들어가고, 또한 규제부(83)에서 제1 돌기(81)와 오목부(84)의 일변이 맞닿는다. 결과로서 개폐체(64)가 개구(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폐쇄가 확실하고 신뢰성이 높은 냉동실 댐퍼(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개폐체(64)의 개폐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련의 개폐 동작의 도중에서 제1 돌기(81)의 선단이 상기 오목부(84)와 접하여 걸리는 등의 일이 없도록 제1 돌기(81)와 상기 오목부(84)의 치수 내지 위치 관계를 정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64)의 개방 동작을 방해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가 자유롭게 축지된 개폐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개폐체를 폐쇄하였을 때에 개폐체가 프레임의 개구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에의 변위를 억제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개폐체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개폐체의 탄성 변형이나 수지 성형시에 발생하는 뒤틀림이나 비틀림으로 인한, 개폐체를 폐쇄하였을 때의 프레임과 개폐체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의 개구를 덮을 수 있고,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와 냉장실 또는 야채실에 공급하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화가 도모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하면서 에너지 절약 성능을 확보하고, 식품의 저장 온도 유지를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냉기 흐름과 댐퍼 형상의 관계에 대하여 도 22 내지 도 27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6은 종래 구조의 댐퍼를 이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냉기의 송풍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댐퍼의 냉기 출구측에서 케이스가 프레임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 댐퍼(50)를 통과한 공기를 분출구(3c, 4c)의 이방향에 분배하는 경우, 냉동실 댐퍼(50)의 케이스(100)에 돌기부(100a)를 갖는 구성이면 송풍 저항은 증가한다. 왜냐하면, 돌기부(100a)와 송풍기 커버(56)의 치수를 더한 안길이 치수(A)의 분만큼, 냉기 덕트(120)측에 돌출하여 냉기 흐름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안길이 치수(A)의 분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냉기 덕트(120)의 안길이 치수(B)를 좁게 한 경우, 저장실의 용적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냉기 덕트(120)의 안길이 치수가 좁아지고, 송풍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송풍기(9)의 풍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에너지 절약 성능이 저하한다.
다음에, 도 27에는 냉동실 댐퍼(50)의 케이스(100)에 형성한 돌기부(100a)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돌기부(100a)가 없음으로써, 저장실의 용적 감소는 억제된다. 그러나, 냉동실 댐퍼(50)와 송풍기 커버(56)가 위치 규제되지 않고, 부착 위치가 결정되지 않음으로써 조립성이 나쁘고, 틈으로부터 냉기 누설이 발생하여 에너지 절약 성능이 저하한다.
즉, 돌기부(100a)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에서는, 댐퍼 장치의 외표면과 댐퍼 주위에 배치된 부품이 서로 걸어 맞춰지는 면적(연면)을 증가시킬 수 없음으로써 래비린스 구조로 할 수 없다. 또한, 댐퍼 장치의 부착 위치가 규정되지 않아 냉기 누설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3)의 냉기 출구측에 돌기부(90)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부(90)는, 프레임(63)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냉기 덕트(120)측에 돌출하고 있다. 케이스(100)에 돌출부(100a)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케이스(100)와 프레임(63)은 냉기 출구측의 단면이 돌기부(90)에 이르기까지는 대략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돌기부(90)는 케이스(100)의 일단면보다 돌출하고 있다.
돌기부(90)는 안길이 치수(C)만큼 저장실측에 돌출한다. 안길이 치수(C)는, 냉동실 댐퍼(50)를 송풍기 커버(56)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 당해 송풍기 커버(56)의 냉기 덕트(120) 측면과 동일 또는 거의 동등한 위치까지 돌기부(90)를 연신시키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즉, 돌기부(90)는 냉기 덕트(120)까지 돌출하지 않는 구성이다.
안길이 치수(C)는, 도 26에 도시한 안길이 치수(A)에 비하여 매우 작다. 즉, 프레임(63)은 가로로 긴 개구를 갖고, 케이스(100)는 그 케이스(100)의 일면이 프레임(63)의 돌기부(90)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프레임(63)의 짧은 길이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90)는 케이스(100)의 단면보다 돌출하고 또한 송풍기 커버(56)의 단면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저장실의 용적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90)에 의해 냉동실 댐퍼(50)와 송풍기 커버(56)의 부착 위치가 특정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냉동실 댐퍼(50)와 송풍기 커버(56)의 이음부로부터 냉기가 누설하기 어려워지고, 냉기 덕트(120) 내의 냉기 흐름을 저해하지 않아 에너지 절약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63)의 냉기 출구측에 환상의 돌기부(90)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63)의 단면 이차 모멘트의 향상이 도모되고, 성형시에 프레임(6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그와 함께 구동 수단(60)에 의해 개폐체(64)를 풍로 밀폐 방향에 동작시켰을 때에 완충 부재(64b)로부터 프레임(63)이 받는 토크에 의한 변형도 억제하여 확실하게 풍로 밀폐를 행하는 댐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 댐퍼(50)는 개폐체(64)[개폐판(64a) 및 완충 부재(64b)]에 의해 냉기 풍로의 밀폐를 행한다. 그러면, 냉기 입구측과 냉기 출구측의 온도차에 의해 냉동실 댐퍼(50)의 개구(62) 및 완충 부재(64b)에 결로수가 부착된다.
또한, 이 결로수는 냉각되어 동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63)의 개구(62) 근방에서 동결한 경우, 개폐체(64)는 동결을 떼면서 개방 동작을 행하게 되어 큰 개방 토크를 필요로 함과 함께 개방 동작이 불안정해져서 저장실의 온도 조절에 악영향을 미친다.
결로수를 동결하기 위해서는, 냉동실 댐퍼(50)에 동결 방지의 히터(140)를 배치한다. 히터(140)를 프레임(63)의 외측의 플랜지면(63a)에 배치하는 경우, 프레임(63)의 열전달에 의해 개구(62)와 완충 부재(64b)의 동결을 해동할 필요가 있어 발열량이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63)과 송풍기 커버(56)의 사이에 히터(140)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63)의 개구(62)와 완충 부재(64b)에 가까운 부분에 히터(140)가 배치되어, 적은 발열량으로 동결을 방지할 수 있고, 확실하게 개폐 동작하는 신뢰성이 높은 댐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63)의 냉기 출구측에서, 개구(62)의 주위에 환상으로 형성한 돌기부(90) 및 히터(140)를 덮도록 시일 부재(130)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냉동실 댐퍼(50)와 송풍기 커버(56)의 이음부로부터의 냉기 누설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63)의 냉기 출구측에 환상의 돌기부(90)와 송풍기 커버(56)의 사이에 시일 부재(130)를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63)의 개구(62)의 면에 오목부(63b)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130)나 히터(140)를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프레임(63)과 송풍기 커버(56) 간의 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63)의 단면 이차 모멘트를 향상시키고, 풍로 밀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모서리부 근방에 배수용 홈(110)을 형성한다. 배수용 홈(110)은, 구동 수단(60)과 떨어진 위치의 프레임(63)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결로수가 고이기 쉬운 외주 플랜지 내면으로부터 물을 배제하기 쉽게 하고, 프레임(63)과 개폐체(64)의 사이에서 물이 동결하여 개폐체(64)가 로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구동 수단이 상방이고 배수용 홈(110)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댐퍼 장치를 송풍기 커버(56)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결로수를 적극적으로 배수용 홈(110)측에 흘릴수 있다.
또한, 개폐체(64)는 프레임(63)에 회전축을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개폐체(64)에 지축(65)을 설치한 경우, 프레임(63)에 축공(150)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프레임(63)의 축공(150)을 관통공으로서 형성하였을 때, 냉기 누설이 발생한다.
또한, 축공(150)을 미관통공으로서 형성하였을 때, 프레임(63)의 두께가 작기 때문에, 축공(150)의 깊이가 한정되어 지축(65)의 걸림 여유분이 작아진다. 또한, 온도 변화나 토크에 의해 지축(65)이 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개폐체(64)에 지축(65)을 설치하면, 지축(65) 근방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성형시에 가스 고임이 발생하여 부품의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체(64)의 구동 수단(60)측과 반대측에 축공(150)을, 프레임(63)의 구동 수단(60)측과 반대측에 지축(65)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64)와 프레임(63)의 회전축 구조를 유지한 채로, 개폐체(64)의 축공(150) 근방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성형시의 가스 고임으로 인한 부품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프레임(63)의 지축(65) 부근의 두께를 작게 하지 않아 지축(65)의 걸림 여유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냉기 덕트의 송풍 저항을 저감하면서, 냉기 덕트의 체적을 저감할 수 있는 댐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댐퍼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장 공간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기의 통풍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냉동실 댐퍼(50)의 냉기 출구측에서 케이스(60a)가 프레임(63)의 출구측면보다 돌기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제에 대하여, 이하 도 28 및 도 29를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장고 내에 설치된 냉동실 댐퍼(50)에 의한 냉기의 흐름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하였으나, 냉장실 댐퍼(20)가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거쳐 다단으로 형성된 분출구(2c)로부터 냉장실(2)에 보내진다. 그리고, 냉장실 송풍 덕트(11)로부터 분기한 야채실 송풍 덕트(도 3 참조)를 거쳐 분출구(6c)로부터 야채실(6)에 보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냉동실 댐퍼(50)의 부착 단면도[개폐체(64)가 닫힘시]를 도 28에 도시한다. 냉동실 댐퍼(50)는, 냉기 통로 내에 설치된 냉동 온도대실[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에 냉기 분배를 행한다. 이때,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 하단(63a)이 냉기 통로측에 돌출한 구성인 경우, 냉장실 댐퍼(20)를 향하는 냉기(76a)의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냉동실 댐퍼(50)의 부착 단면도[개폐체(64)가 열림시]를 도 29에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도,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 하단(63a)이 냉기 통로측에 돌출한 경우, 냉장실 댐퍼(20)를 향하는 냉기(76a)의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냉동실 댐퍼(50)는, 개폐체(64)가 동작하여 닫힘 상태가 된 경우, 개폐체(64)에 구동 토크가 가해져서 개폐체(64)는 접촉부(66)로부터의 반력을 받고, 그 반력에 의해 완충 부재(64b)는 압축되어 우묵하게 들어간다(도 7 참조). 또한, 개폐판(64a)은 탄성 변형하는 것이 고려되기 때문에, 냉동실 댐퍼(50)의 프레임(63)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낮게 한 경우, 프레임(63)의 강도가 저하하여 더한층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3)의 외주 플랜지의 높이를, 개폐체(64)의 축지측의 플랜지(도 13 중의 B부분의 플랜지 높이)보다 반축지측(도 13 중의 E부분의 플랜지 높이)을 낮게 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냉기의 통풍 저항을 저감함과 함께 프레임(63)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일 때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기(7)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고내 송풍기(9)에 의해 제빙실 송풍 덕트(도시 생략)나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를 거쳐 분출구(3c, 4c)로부터 각각 제빙실(3), 상단 냉동실(4)에 송풍된다. 또한,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거쳐 분출구(5c)로부터 하단 냉동실(5)에 송풍된다. 이 점, 상기 냉동실 댐퍼(50)는 송풍기 커버(56)부의 상방에 부착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 즉 냉각기 수납실(8)로부터 제빙실(3)에의 송풍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1:냉장고
2:냉장실(냉장 온도대실)
3:제빙실(냉동 온도대실)
4:상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5:하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6:야채실(냉장 온도대실)
20:냉장실 댐퍼
50:냉동실 댐퍼
60:구동 수단
61:구동축
62:개구
62a:연결 수단
63:프레임
64:개폐체
64a:개폐판
64b:완충 부재
65:지축
66:접촉부
67:압접력
70:모터
71:출력축
72:피니언 기어
73:아이들러 기어
74:아이들러 지점
75:출력 기어
81:제1 돌기
82:제2 돌기
83:규제부
84:오목부

Claims (7)

  1.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걸어 맞춰져서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돌기부를 갖고,
    그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단면보다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2.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가로로 긴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환상의 돌기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는 그 케이스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의 짧은 길이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 히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히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반케이스측의 단부 근처에 배수용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의 반구동 수단측에 갖는 축공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축공에 걸어 맞춰지는 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7.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냉동실과,
    그 냉동실의 후방에 설치되어 냉각기가 설치되는 냉각기 수납실과,
    상기 냉각기 수납실로부터 상기 냉동실에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냉동실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 커버와,
    그 송풍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냉동실에의 냉기량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그 냉동실 댐퍼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에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칸막이를 구비한 냉장고로서,
    상기 댐퍼 장치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체와,
    그 개폐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를 갖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걸어 맞춰져서 상기 구동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주위에 돌기부를 갖고,
    그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단면보다 돌출하고 또한 상기 송풍기 커버의 단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116334A 2009-05-11 2011-11-09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121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4113A JP5331566B2 (ja) 2009-05-11 2009-05-11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JP-P-2009-114113 2009-05-11
JPJP-P-2009-207653 2009-09-09
JP2009207638A JP5380216B2 (ja) 2009-09-09 2009-09-09 冷蔵庫
JP2009207653A JP2011058694A (ja) 2009-09-09 2009-09-09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JPJP-P-2009-207638 2009-09-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553A Division KR101122951B1 (ko) 2009-05-11 2010-02-18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765A KR20110136765A (ko) 2011-12-21
KR101121334B1 true KR101121334B1 (ko) 2012-03-09

Family

ID=430728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553A KR101122951B1 (ko) 2009-05-11 2010-02-18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110116317A KR101121377B1 (ko) 2009-05-11 2011-11-09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110116334A KR101121334B1 (ko) 2009-05-11 2011-11-09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553A KR101122951B1 (ko) 2009-05-11 2010-02-18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110116317A KR101121377B1 (ko) 2009-05-11 2011-11-09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1122951B1 (ko)
CN (1) CN1018868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3053B2 (ja) * 2014-04-30 2018-08-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N104879996B (zh) * 2015-05-29 2017-05-3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
JP2017161122A (ja) * 2016-03-08 2017-09-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5953500A (zh) * 2016-05-23 2016-09-21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冰箱
CN112212578B (zh) * 2019-07-10 2022-08-05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风门装置以及具备该风门装置的冷藏装置
JP7441644B2 (ja) * 2019-12-23 2024-03-0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N113932540A (zh) * 2020-07-13 2022-01-1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62B1 (ko) 2002-05-01 2006-07-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식 댐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5226B2 (ja) * 1992-09-28 1998-02-1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ダンパー装置
CN1107223A (zh) * 1993-12-06 1995-08-23 株式会社金星社 冰箱的温度调节风门及其温度调节方法
JPH10292971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冷蔵庫
CN2549408Y (zh) * 2002-06-03 2003-05-07 张炳圣 电冰箱风门装置
JP4157447B2 (ja) * 2003-09-09 2008-10-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
EP1826515A4 (en) * 2004-12-15 2014-01-15 Sharp Kk COOLER
JP2006183894A (ja) * 2004-12-27 2006-07-1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JP4474276B2 (ja) * 2004-12-27 2010-06-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720588B2 (ja) * 2006-04-10 2011-07-13 三菱マテリアルシ−エムアイ株式会社 冷蔵庫の冷気調整用ダン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62B1 (ko) 2002-05-01 2006-07-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식 댐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951B1 (ko) 2012-03-20
KR101121377B1 (ko) 2012-03-09
KR20100122049A (ko) 2010-11-19
CN101886868A (zh) 2010-11-17
KR20110138199A (ko) 2011-12-26
KR20110136765A (ko) 2011-12-21
CN101886868B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334B1 (ko)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KR101145548B1 (ko) 냉장고
KR101306536B1 (ko) 냉장고
US8429926B2 (en) Ice storage bin and icemaker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260277B1 (ko) 냉장고
JP2011058684A (ja) ダンパ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7010174A (ja) 冷蔵庫
KR101250157B1 (ko)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18141628A (ja) 冷蔵庫
JP2011058694A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JP2008075934A (ja) 冷蔵庫
JP5331566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5341653B2 (ja) 冷蔵庫
JP2013024441A (ja) ダンパ装置及び冷蔵庫
JP5380216B2 (ja) 冷蔵庫
JP5372666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4488977B2 (ja) 冷蔵庫
JP6956900B2 (ja) 冷蔵庫
CN113028707A (zh) 冰箱
JP5202484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KR101250280B1 (ko) 냉장고
JP6854398B2 (ja) 冷蔵庫
JP2011058682A (ja) ダンパ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210072581A (ko)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