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036B1 -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036B1
KR101121036B1 KR1020080127441A KR20080127441A KR101121036B1 KR 101121036 B1 KR101121036 B1 KR 101121036B1 KR 1020080127441 A KR1020080127441 A KR 1020080127441A KR 20080127441 A KR20080127441 A KR 20080127441A KR 101121036 B1 KR101121036 B1 KR 10112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road
overpass
elevator
inclin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924A (ko
Inventor
김세종
이광헌
박준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0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자동차용 도로를 따라 설치된 기초부, 상기 기초 상에 설치되는 교각부, 상기 교각부 상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주행성 확보를 위해 경사가 크지 않은 자전거용 도로부 및 상기 자동차용 도로의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외부의 동력을 공급하여 자전거 및 자전거 이용자를 운송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심과 같이 자전거용 도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없더라도 기존의 자동차용 도로상에 자전거용 도로를 설치함으로써, 공간확보가 어려운 장소에 자전거용 전용도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자전거 전용 도로, 자전거 고가 도로

Description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SLOPE ADJUSTING SYSTEM FOR BICYCLE HIGH-LEVEL ROAD}
본 발명은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고가 자전거 전용도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경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조에 따라 자가용 및 대중교통수단을 자전거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반적인 자전거 전용 도로는 도로의 측면에 보도와 함께 설치되거나, 자동차가 접근할 수 없는 강변을 따라 전용도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전거를 실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심에서의 전용도로가 필수적이나, 서울과 같은 기존 도심에서 지상 자전거 전용도로를 시공하는 것은 지형학적, 도시학적 및 교통학적 제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의 복잡한 도심의 도로에서 별도의 자전거 도로폭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많은 지하철, 버스 전용노선 등 복잡한 교통시설에서 자전거 전용 도로를 추가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자전거 전용도로의 특성상, 외부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힘으로 직접 자전거를 구동하므로, 경사가 심한 지역에서는 오르막을 올라가는 이용자가 많은 불편을 겪게 되는 단점 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고가도로에서 용이하게 경사조절을 하여 자전거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자동차용 도로를 따라 설치된 기초부, 상기 기초 상에 설치되는 교각부, 상기 교각부 상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주행성 확보를 위해 경사가 크지 않은 자전거용 도로부 및 상기 자동차용 도로의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외부의 동력을 공급하여 자전거 및 자전거 이용자를 운송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는, 자전거 및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대기 상태 및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외부 전등부, 상기 이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자전거가 정지하는 부분 양 측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발판부,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의 감지 센서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고, 일정 하중 초과시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가 구동되고, 일전 하중 미만 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는 상기 자전거용 도로의 노선수에 비해 증가된 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이용자가 발을 델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발판부, 자전거의 바퀴에 알맞은 좁은 넓이로, 상기 발판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자전거 바퀴 지지부, 상기 자전거가 진입하는 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와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는 같은 높이로 출발하도록 형성되고, 저속으로 구동되는 진입부, 실질적으로 경사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상기 진입부에 비하여 고속으로 진행되는 경사부 및 상기 자전거가 진출하는 출구에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가 자연스럽게 내려가서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와 같은 높이로 끝나도록 형성되고, 저속으로 구동되는 진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의 발판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단형 에스컬레이터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만 구동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는 고정되어, 상기 발판부에 서 있는 이용자가 자전거를 끌면서 수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 및 자전거 바퀴 지지부가 동시에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는 고정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만 구동되어, 이용자는 상기 발판부를 걸어 올라가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가 이동하며 자전거를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측면에 안전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진입하는 진입로 및 상기 안전지대에서 진출하는 진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지대에는 상기 자동차용 도로가 있는 지면과 연결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터널형의 상부 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지붕과 같은 구조의 상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가 교차되는 지점에서는 환형교차로를 설치하여 다른 자전거용 도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도심과 같이 자전거용 도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없더라도 기존의 자동차용 도로상에 자전거용 도로를 설치함으로써, 공간확보가 어려운 장소에 자전거용 전용도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자동차용 도로의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구간에서는 자전거용 도로 역시 이를 반영해서 설계하여야 하나, 사람의 힘으로 동력을 받는 자전거의 경우 경사가 급격히 변하면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게 되므로, 기존 자전거용 도로의 경사는 완만한 수준으로 유지하되, 본 발명에서처럼 별도의 경사조절 시스템을 두어, 경사가 급한 지역에서도 완만한 자전거용 전용도로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자전거용 엘리베이터 및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지역에서 외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전거 이용자들을 수송하게 되어, 더욱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계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자동차용 도로(10) 상에 설치된 교각부(110), 상기 교각부(110) 상에 설치된 자전거용 도로부(120) 및 상부구조물(1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고가도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개념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울과 같은 대도심 내에서 자전거 도로를 확보하려면, 인도나 자동차 도로의 일부를 할애하는 방법밖에 없다. 새로이 도시계획을 설계하는 장소이거나 여분의 도로용지를 확보하고 있는 장소라면, 자전거용 전용도로의 용지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되나, 도심과 같이 많은 건물이 이미 들어선 상황에다가 지상에서는 자전거용 도로를 위한 공간 확보가 도저히 불가능한 상황의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자전거용 도로를 계획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전거 고가도로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위한 공간이 협소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자동차용 도로(10)에, 교각부(110)를 설치하여 상기 교각부(110) 상에 자전거용 도로부(120)를 설치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런 경우, 자전거 도로를 위한 용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비해 적은 하중을 지지하는 교량을 설치하면 되므로, 비교적 경제적으로 교각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계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도로(10) 상에 고가 자전거용 도로(120)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로(10)에 기초(160)를 형성하고 교각부(110)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자전거용 도로(120)를 설치한다. 도 2a의 형상은 상기 자동차용 도로(10)의 중심부에 교각부(110)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로 중앙형의 단면도이고, 도 2b의 형상은 상기 자동차용 도로(10)의 측부에 교각부(110)를 설치한 도로 측면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것 이외에도 자동차용 도로(10) 상에 교량구조를 이용하여 자전거 전용 도로(120)를 설치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전체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자동차용 도로(10) 상에 자전거용 고가도로(120)가 설치되고, 양단에 경사조절부(200, 300)가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용 도로(10)를 살펴보면, 지형에 따라 도로가 형성되는 특성 때문에, 상기 자동차용 도로(10)는 지형의 경사를 그대로 가지게 된다. 따라서 오르막과 내리막이 급변하는 지형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도로(10)의 경사도 급변하게 된다. 하지만, 자전거용 도로는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해 자전거가 작동되므로, 심한 경사가 반복되는 경우 운행자가 크게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양방향으로 자전거가 이동하게 되므로, 어느 한쪽으로 내리막으로 구성하면 다른 쪽에서는 오르막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용 도로를 구성할 때에는 많은 경사를 두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전거용 고가도로(120)는 완만한 경사를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하부의 자동차용 도로(10)가 급격한 경사를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경사조절부(200, 300)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상기의 경사조절부(200, 300)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300) 구조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부와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과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과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4b 및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시스템은 자전거용 고가도로(120)가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연속구간 상에 설치된다. 도 4c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비교적 자전거용 고가도로(120)의 차이가 큰 경우에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를 설치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자전거용 도로(120)보다 비교적 많은 수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200)의 전방과 후방에 공간을 둠으로써, 많은 이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생기는 적체현상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는 감지센서(230), 외부 전등부(250), 발판부(220), 출구 도어(211) 및 입구 도어(212)를 포함한다.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의 양쪽에 출구 도어(211) 및 입구도어(212)가 설치되어 사용자는 한쪽 방향에서 들어와서 다른 쪽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 발판부(220)는 상기 이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도 멈출 수 있도록, 자전거가 정지하는 부분 양 측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된다.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도 5a 및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비교적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230)는 엘리베이터 내의 다양한 조건을 감지하여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내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230)는 온도 센서, 하중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등부(250)는 엘리베이터 안에 이용자가 있는지 여부 등을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로직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의 구동 순서를 설명하면, 상기 입구 도어(212)가 열려있는 채로 대기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이용자가 들어오면, 상기 감지센서(230)는 이용자가 들어온 것을 감지한다.
상기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안으로 들어온 후에는 일정시간 후에 상기 입구 도어(212)를 닫고, 상기 외부 전등부(250)에는 내부에 이용자가 있음을 알린다.
그 후, 상기 엘리베이터(20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층 또는 하층에 다다른 엘리베이터는 자동으로 상기 출구 도어(211)를 개방한다. 상기 감지센서(230)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나가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에, 이용자가 나가지 않고 머물러 있는 경우에는 도착음 등을 알려 이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용자가 빠져나간 상기 엘리베이터(200)는 다시 출구도어(211)를 닫고,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엘리베이터(200)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과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각각 구분하여 적용하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나, 장소와 상황에 따라 하나의 엘리베이터로 하층에서 상층으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변형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별도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 등을 첨부하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동반 탑승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이 아닌 수동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이다.
도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발판부(321),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 진입부(310), 경사부(320) 및 진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321)는 이용자가 발을 델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엘리베이터(200) 내의 발판부(220)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의 발판부(321)의 경우 자체적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는 상기 발판부(321)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고, 자전거의 바퀴에 알맞은 좁은 넓이로, 상기 발판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며,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부(321) 및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는 다양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판부(321)만 구동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는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발판부(321) 상에 있는 이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를 따라 끌고 올라가게 된다.
반대로, 상기 발판부(321)는 고정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만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는 상기 발판부(321)를 따라 걸어 올라가게 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 상에 있는 자전거는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의 운송에 따라 이송된다. 이용자는 자전거를 지지해 주거나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자전거는 상기 진입부(310), 경사부(320) 및 진출부(330)의 순으로 통과를 하지만, 이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할 경우이고, 반대의 경우는 반대의 순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진입부(310) 및 진출부(330)는 안전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저속의 구간으로 에스컬레이터가 구동되게 되고, 이 구간에서는 상기 발판부(321) 및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는 같은 높이에 있어 이용자가 쉽게 나가거나,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320)에 들어서면,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고속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발판부(321)는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322)에 비해 높은 높이로 위치하여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발을 딛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부(321)는 일반적인 계단식 에스컬레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용자가 경사로에서 발을 딛고 지지하기 위해서는 계단식으로 구성되어 이용자가 수평면 상에 발을 딛게 하는 것이 더욱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엘리베이터(200)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자전거용 고가도로(120)의 노선수보다 많은 수의 에스컬레이터(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컬레이터(300)의 전방 및 후방부에는 이용자들의 대기 공간 확보를 위해 충분한 공간을 둔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상부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용 고가도로(120) 상에서는 지붕형과 같은 상부구조물(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는 측부는 개방하여 환기등의 효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측면의 보호벽 주 기둥에 연계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131)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자전거용 고가도로(120) 상에는 터널구조의 상부 구조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측부에 창문 등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자전거 도로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환기, 조명, 중앙 분리대, 안전지대 등이 필요하고, 또한 후방 관측경, 보행자 인도 및 육교, 이정표 및 표지만이 필요하다.
환기의 경우 상기 상부 구조물(131, 132) 등을 설계할 때 이와 관련되어 환기가 가능한 시설을 설치한다. 상기 조명은 야간주행여건 확보를 위해 조명시설을 하며, 자전거의 경정비 및 휴식을 위해 안전지대를 일정 구간마다 확보한다.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도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상기 자전거 고가도로(120)의 형태는 도 9a, 9b 및 9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모습을 할 수 있다. 도로의 한편에 자동차용 도로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안전지대를 둘 수 있으며, 도로상의 차선 및 도로 표시등을 응용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의 정거장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120)는 측면에 안전지대(125)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진입하는 진입로(121) 및 상기 안전지대에서 진출하는 진출로(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지대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도로(10)가 있는 지면과 연결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0c 및 10d를 참조하면,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정거장의 개념을 살펴볼 수 있다. 도 10c에서는 상기 자전거용 고가도로(120)의 상부에는 자전거용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고, 도 10d에서는 자전거용 도로의 측면으로 빠져나와 실제 자동차용 도로나 인도 등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자전거용 도로가 고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로나 인도 등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와 같은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이를 위해 자전거용 도로는 정거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거장의 개념은 일반적인 교통 수단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버스 등과 연계하여 자전거 운송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정거장 상부에 위치하는 주차장에 자전거를 두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 할 수도 있으며, 지상에 있는 별도의 자전거용 주차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환형교차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자전거용 고가도로(120) 역시 일반적인 도로와 같이 교차되는 지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원활한 교통을 위해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다만, 자전거는 고속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신호체계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고, 도 11에 소개되는 환형교차로(190)와 같은 구조로 교차로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계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계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전체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과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과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과 그에 포함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로직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상부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자전거용 도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정거장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의 환형교차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자동차용 도로 20 : 보행자용 도로
110 : 교각부 120 : 자전거용 도로
130 : 상부 구조물 190 : 환형교차로
200 : 자전거용 엘리베이터
211 : 출구도어 212 : 입구도어
220 : 발판부 230 : 감지센서
240 : 실내 조명 250 : 외부 전등부
300 :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
310 : 진입부 320 : 경사부
330 : 진출부 321 : 발판부
322 : 자전거 바퀴 지지부

Claims (14)

  1. 자동차용 도로를 따라 설치된 기초부;
    상기 기초 상에 설치되는 교각부;
    상기 교각부 상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주행성 확보를 위해 경사가 크지 않은 자전거용 도로부;
    상기 자동차용 도로의 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외부의 동력을 공급하여 자전거 및 자전거 이용자를 운송하는 경사조절부; 및
    이용자가 발을 델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발판부와, 자전거의 바퀴에 알맞은 좁은 넓이로 상기 발판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자전거 바퀴 지지부와, 상기 자전거가 진입하는 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와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는 같은 높이로 출발하도록 형성되고 저속으로 구동되는 진입부와, 실질적으로 경사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상기 진입부에 비하여 고속으로 진행되는 경사부와, 상기 자전거가 진출하는 출구에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가 자연스럽게 내려가서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와 같은 높이로 끝나도록 형성되고 저속으로 구동되는 진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
    를 포함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자전거 및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대기 상태 및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외부 전등부;
    상기 이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자전거가 정지하는 부분 양 측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발판부;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 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의 감지 센서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고, 일정 하중 초과시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가 구동되고, 일전 하중 미만 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엘리베이터는 상기 자전거용 도로의 노선수에 비해 증가된 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의 발판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단형 에스컬레이터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만 구동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는 고정되어, 상기 발판부에 서 있는 이용자가 자전거를 끌면서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 및 자전거 바퀴 지지부가 동시에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발판부는 고정되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만 구동되어, 이용자는 상기 발판부를 걸어 올라가고, 상기 자전거 바퀴 지지부가 이동하며 자전거를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측면에 안전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진입하는 진입로 및 상기 안전지대에서 진출하는 진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에는 상기 자동차용 도로가 있는 지면과 연결되는 자전거용 엘리베이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터널형의 상부 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는 지붕과 같은 구조의 상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도로부가 교차되는 지점에서는 환형교차로를 설치하여 다른 자전거용 도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장치.
KR1020080127441A 2008-12-15 2008-12-15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KR10112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41A KR101121036B1 (ko) 2008-12-15 2008-12-15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41A KR101121036B1 (ko) 2008-12-15 2008-12-15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924A KR20100068924A (ko) 2010-06-24
KR101121036B1 true KR101121036B1 (ko) 2012-03-15

Family

ID=423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441A KR101121036B1 (ko) 2008-12-15 2008-12-15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7027A (en) * 2012-05-07 2014-04-23 Wei Zhao Urban commuting system
CN104631244A (zh) * 2015-01-16 2015-05-20 重庆微轨科技有限公司 一种超轻型架空式非机动车道路
CN107130485A (zh) * 2017-05-23 2017-09-05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城市交通系统
KR102020275B1 (ko) * 2017-10-18 2019-09-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
KR102349152B1 (ko) * 2019-04-30 2022-01-10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구조물
KR20210039096A (ko)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명성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550U (ko) * 1988-01-19 1989-07-25
KR19980020685A (ko) * 1996-09-11 1998-06-25 조희재 엘리베이터의 탑승 및 대기인원 표시장치
JPH10265158A (ja) * 1997-03-26 1998-10-06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2266316A (ja) * 2001-03-08 2002-09-18 Ohbayashi Corp 橋梁付設の自転車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550U (ko) * 1988-01-19 1989-07-25
KR19980020685A (ko) * 1996-09-11 1998-06-25 조희재 엘리베이터의 탑승 및 대기인원 표시장치
JPH10265158A (ja) * 1997-03-26 1998-10-06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2266316A (ja) * 2001-03-08 2002-09-18 Ohbayashi Corp 橋梁付設の自転車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924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36B1 (ko)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US8915669B1 (en) Cross street transit and multimodal multi-level station and pedestrian-oriented interchange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CN1916281A (zh) 交叉路口车辆及行人地下分流系统
JP2008223341A (ja) 移動設置式歩道橋
US10465343B2 (en) Overpass structure with vertical interchange arrangement for crossroads
CN102505594A (zh) 高架式城市公交专用道
CN100410446C (zh) 集行人过街快速公交和停车功能于一体的交通设施和方法
JP2003082604A (ja) 自転車専用道路
KR101054018B1 (ko) 자전거 고속도로
US34056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rban shopper traffic
KR101441661B1 (ko) 지상도로의 차선 감소가 없는 지하 유출입 시설
CN209907131U (zh) 一种自动式行人过街装置
CN104562880A (zh) 人走平地车走上下仅本路车互让立交路口
US20160340923A1 (en) Mass transit rush hour traffic bottleneck uncorker water slide
WO2008025201A1 (fr) Voie surélevée faible vitesse
CN110396947B (zh) 利用既有人行道的公交站结构及其运行方法
KR20110096947A (ko) 자전거 고가 도로
CN206664582U (zh) 悬挂式轨道立体交通系统
JP2000290907A (ja) 自転車交通システム
CN2756757Y (zh) 大城市中心商务区交叉路口多层停车场
RU2189418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ересечения пешеходных и/или транспортных потоков
CN213389543U (zh) 一种由天桥与停车场结合的立体交通结构
CN211689705U (zh) 一种道路与楼盘建设相结合的立体城市
CN220434372U (zh) 立体停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