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52B1 - 교량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52B1
KR102349152B1 KR1020190050314A KR20190050314A KR102349152B1 KR 102349152 B1 KR102349152 B1 KR 102349152B1 KR 1020190050314 A KR1020190050314 A KR 1020190050314A KR 20190050314 A KR20190050314 A KR 20190050314A KR 102349152 B1 KR102349152 B1 KR 10234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upper plate
section
cros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41A (ko
Inventor
고영곤
김철환
김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5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1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통행로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캐노피부; 및, 상기 캐노피부의 상측영역을 경유하여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를 따라 상기 주통행로와 별도의 추가통행로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부;를 포함하는 교량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구조물{BRIDGE 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교량의 상부구조는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구조로서, 교량의 가장 중요한 설계분야이다.
최근에 소음발생으로 인한 주변 민원, 기후 온난화로 인한 더위 및 추위로 인한 보행자의 시설 이용기피로 인해 캐노피 시설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교량의 캐노피에 추가 상부구조를 설치하여, 교량 이용자의 사용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교량의 시설 활용을 극대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KR 10-1995-0003569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시설물의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주통행로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캐노피부; 및, 상기 캐노피부의 상측영역을 경유하여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를 따라 상기 주통행로와 별도의 추가통행로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상판부의 상측영역을 유선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추가통행부가 상측을 경유하는 중앙캐노피; 및, 상기 중앙캐노피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통행로와 연계되도록 상기 추가통행부가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측을 경유하는 단부캐노피;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통행부는, 상기 중앙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는 상부통행구간; 상기 단부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일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1 가변구간; 및, 상기 단부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타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2 가변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의 구조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골조를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지지골조부; 및, 상기 지지골조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지지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하는 보강구조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된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 단면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제1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인접한 상기 다이아프램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면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보강거더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거더빔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보강거더빔;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폭방향으로 양측 단부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보강거더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거더빔은 상기 제2 보강거더빔에 비해 폭방향 단면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캐노피부는, 상기 상판부의 구조부재와 상기 추가통행부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앙캐노피와 상기 상판부는 함께 폭방향으로 장축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판부는,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판부는,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구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부재가 교각구조물과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외피부는, 폭방향으로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외피판; 및, 상기 상부외피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이 하측으로 만곡진 호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외피판;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구조부재는, 복수 개의 상판모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상기 지지골조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외피부는 상기 지지골조부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교량구조물의 시설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상판부에 적용되는 구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F-F'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구조물은 상판부(10), 캐노피부(20),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량구조물은 주통행로(11)가 형성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캐노피부(20) 및, 상기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을 경유하여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10)를 따라 상기 주통행로(11)와 별도의 추가통행로(31)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판부(10)는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원형의 형상을 따라 주통행로(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10)는 사람, 차량, 자전거 등의 이동원이 이동할 수 있는 주통행로(1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부(1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노피부(20)는 상판부(10)의 상부영역을 덮는 구조물로 외부공간과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캐노피부(20)는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추가통행부(30)는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되고, 주통행로(11)와 별도의 이동경로인 추가통행로(31)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주통행로(11)와 별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로(3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추가통행부(30)는 호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통행로(31)는 사람 등의 이동원의 동선이 다양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주통행로(11)와 합류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을 지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통행로(11)와 합류되도록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상판부(10)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상판부(10)와 동선이 분리된 분리영역과, 상판부(10)와 동선이 교차되는 교차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추가통행부(30)는 캐노피부(20)를 경유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추가통행부(30)는 캐노피부(20)에 설치된 영역에서는 상판부(10)와 동선이 분리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보행자, 친환경 자전거, 킥보드 등의 이동원이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추가통행부(30)는 소형 BRT(간행급행버스) 및 응급구난차 등의 이동이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캐노피부(20)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을 유선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추가통행부(30)가 상측을 경유하는 중앙캐노피(21) 및, 상기 중앙캐노피(2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통행로(11)와 연계되도록 상기 추가통행부(30)가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측을 경유하는 단부캐노피(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캐노피(21)는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을 전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단부캐노피(23)는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캐노피부(20)는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중앙캐노피(21)는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고, 상판부(10)의 주통행로(11)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단부캐노피(23)는 중앙캐노피(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2개의 중앙캐노피(21)는 2개의 단부캐노피(23)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중앙캐노피(21)와 제2 중앙캐노피(21)는 상판부(10)의 주통행로(11)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앙캐노피(21)에 연결된 제1 단부캐노피(23)와, 제2 중앙캐노피(21)에 연결된 제2 단부캐노피(23)가 연결될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중앙캐노피(21)와 단부캐노피(23)에 걸쳐서 설치되고, 추가통행부(30)는 주통행로(11)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단부캐노피(23)가 설치된 영역을 따라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단부캐노피(23)는 주통행로(11)와 연계되도록 중앙캐노피(21)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추가통행부(30)는 단부캐노피(23)가 끝나는 지점에서 주통행로(11)와 동선이 교차될 수 있다.
단부캐노피(23)는 상판부(10)의 상측영역에 설치되고, 상판부(10)의 폭방향 일부영역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부캐노피(23)는 중앙캐노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단부캐노피(23)는 상판부(10)의 폭방향 좌측영역을 덮도록 설치되고, 타측의 단부캐노피(23)는 상판부(10)의 폭방향 우측영역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캐노피부(20)는, 상기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와 상기 추가통행부(30)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캐노피부(20)는, 외피를 형성하는 캐노피판과, 상기 캐노피판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캐노피프레임 및, 상기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와 상기 추가통행부(30)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5)을 구비할 수 있다.
캐노피판은 리벳 등을 통해 캐노피프레임 또는 연결프레임(25)에 연결되고, 이후 에폭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최종 마감을 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25)은 캐노피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캐노피프레임을 일부가 연결프레임(25)으로 대체되어, 캐노피부(20)에 설치된 추가통행부(30)의 하중을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로 연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캐노피(21)와 상기 상판부(10)는 함께 폭방향으로 장축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캐노피(21)와 상판부(10)는 함께 폭방향으로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교량구조물의 내풍안전성이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추가통행부(30)는, 상기 중앙캐노피(21)의 상측영역에 형성되는 상부통행구간(33)과, 상기 단부캐노피(23)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33)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1 가변구간(34) 및, 상기 단부캐노피(23)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33)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2 가변구간(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가변구간(34)은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에서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판부(10)의 우측영역과 연계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제2 가변구간(35)은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에서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판부(10)의 좌측영역과 연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추가통행부(30)는,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판부(10)의 좌측영역, 상판부(10)의 상측영역에 설치되는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 및, 상판부(10)의 우측영역에 걸쳐서 폭방향으로 경로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판부(10)는, 상기 캐노피부(20) 및 상기 추가통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판부(10)는, 추가통행부(30)가 설치된 영역에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판부(10)는, 캐노피부(20)가 설치된 영역에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판부(10)는, 캐노피부(20) 및 상기 추가통행부(30)가 함께 설치된 영역에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는, 추가통행부(30)가 경유하는 폭방향 단면부분에서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추가통행부(30)가 폭방향 좌측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구조부재(40)는 폭방향 좌측영역이 보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추가통행부(30)가 폭방향 우측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구조부재(40)는 폭방향 우측영역이 보강될 수 있다.
구조부재(40)는 캐노피부(20)가 설치된 폭방향 단면부분에서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조부재(40)의 상부에 중앙캐노피(21)가 설치되는 경우, 중앙캐노피(21)가 설치된 폭방향 영역에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중앙캐노피(21)가 상판부(10)를 덮도록 설치되는 경우, 구조부재(40)는 폭방향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이 함께 보강될 수 있다.
구조부재(40)의 상부에 단부캐노피(23)가 설치되는 부분을 단부캐노피(23)가 설치된 폭방향 영역에 단면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단부캐노피(23)가 폭방향 좌측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구조부재(40)는 폭방향 좌측영역이 보강될 수 있고, 단부캐노피(23)가 폭방향 우측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구조부재(40)는 폭방향 우측영역이 보강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판부(10)는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구조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부재(40)가 교각구조물(50)과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판부(10)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교량구조물의 내풍안전성이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부재(40)는, 상기 상판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골조를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지지골조부(100) 및, 상기 지지골조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지지외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골조부(100)는, 상기 캐노피부(20) 및 상기 추가통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하는 보강구조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골조부(100)는, 상기 지지외피부(200)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캐노피부(20) 및 상기 추가통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된 다이아프램(11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110)은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유선형의 단면이 연속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110)은 골조를 형성하도록 지지외피부(200)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110)은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지지외피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110)은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유선형 단면의 대응되는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110)의 테두리 부분은 지지외피부(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이아프램(110)은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 단면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제1 다이아프램(110-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이아프램(110)은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2 다이아프램(1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다아이프램은 폭방향으로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상부외피판(210)의 내면에 접합되는 상부구조재(111) 및, 상부구조재(111)의 양측 단부영역에서 각각 중앙영역으로 하방으로 만곡진 단면을 가지고, 하부외피판(230)의 내면에 접합되는 하부구조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다이아프램(110-1)은 상부가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하부가 만곡진 단면을 가지는 반타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이아프램(110-1)은 평탄한 부분에 상부구조재(111)가 배치되고, 하부가 만곡진 반타원형상 부분에 하부구조재(1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구조재(111)는 폭방향 상측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일자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부구조재(113)는 하측으로 볼록한 반타원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는 함께 폭방향 테두리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부구조재(111)와 하부구조재(113)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다이아프램(110-1)은,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캐노피부(20) 및 상기 추가통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하는 보강구조재(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구조재(117)는 상판부(10) 상에 캐노피부(20), 추가통행부(30) 등의 추가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 해당영역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일례로, 보강구조재(117)는 캐노피부(20) 및/또는 추가통행부(30)가 설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단면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구조재(117)는 캐노피부(20)의 단부캐노피(23)가 설치되는 영역을 보강토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의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제1 다이아프램(110-1)을 보강할 수 있다.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의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트러스재(119)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트러스재(119)는 제1 다이아프램(110-1)의 길이방향 일부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트러스재(119)는 제1 다이아프램(110-1)의 길이방향 일부에 설치되면서, 제1 다이아프램(110-1)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보강구조재(1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트러스재(119)는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의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H형강으로 구성되고, 상부구조재(111)와 하부구조재(113)에 설치된 브라켓에 볼팅,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다이아프램(110-1)은, 상기 상부구조재(111)와 상기 하부구조재(113)의 폭방향 중앙영역을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중앙구조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구조재(115)는 제1 다이아프램(110-1)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부구조재(111), 하부구조재(113), 중앙구조재(115)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이아프램(110)은, 상기 다이아프램(110)은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2 다이아프램(1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다이아프램(110-2)은 상판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골조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캐노피부(20)의 중앙캐노피(21)가 설치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점검용통로(R)를 제외한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제2 다이아프램(110-2)은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면서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단면이 보강될 수 있다.
제2 다이아프램(110-2)은 캐노피부(20)의 중앙캐노피(21)가 설치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다이아프램(110-2)의 테두리 부분이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다이아프램(110-2)은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되, 상판부(10) 내부의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점검용통로(R)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이아프램(110)이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서 설치된다는 것은 제2 다이아프램(110-2)에 점검용통로(R) 등이 관통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제2 다이아프램(110-2)은 점검용통로(R)를 제외한 폭방향 단면의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골조부(100)는, 인접한 상기 다이아프램(110)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보강거더빔(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거더빔(130)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2개의 다이아프램(11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거더빔(130)은 인접한 다이아프램(110)의 사이를 연결하고, 다이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거더빔(130)은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다이아프램(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한 2개의 다이아프램(1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보강거더빔(130)이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거더빔(130)은 지지외피부(200)의 내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 접합되고, 보강거더빔(130)의 길이방향 단부는 다이아프램(110)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거더빔(130)은, 상기 다이아프램(110)의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보강거더빔(131) 및, 상기 다이아프램(110)의 폭방향으로 양측 단부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보강거더빔(13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거더빔(131)은 상기 제2 보강거더빔(133)에 비해 폭방향 단면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거더빔(131)은 폭방향 단면 상에서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제2 보강거더빔(133)은 중앙영역을 벗어난 단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보강거더빔(131)은 길이방향 단부가 다이아프램(110)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접합될 수 있다.
제1 보강거더빔(13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T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1 보강거더빔(131)은 설치위치에 따라 'T자형'단면의 설치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보강거더빔(131)의 'T자형' 폭방향 단면의 하단을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길이방향 단부가 다이아프램(110)의 상부구조재(111)에 접합되는 제1 보강거더빔(131)은 'T자형'의 단면이 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 단부가 다이아프램(110)의 하부구조재(113)에 접합되는 제1 보강거더빔(131)은 'T자형'의 단면이 정방향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거더빔(133)은 길이방향 단부가 다이아프램(110)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접합될 수 있다.
제2 보강거더빔(13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세워진 '일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강거더빔(133)은 폭방향으로 세로로 세워진 '일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세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강거더빔(131)은 제2 보강거더빔(133)의 세로판의 단부에 교차되는 가로판이 접합된 'T자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외피부(200)는, 폭방향으로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외피판(210) 및, 상기 상부외피판(21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이 하측으로 만곡진 호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외피판(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외피판(210) 및, 상기 하부외피판(230)은,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는 폭방향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외피판(210)은 평판형의 금속소재의 판재로 구성되고, 하부외피판(23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으로 만곡진 호상의 금속소재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외피부(200)는 상부외피판(210) 및 하부외피판(230)의 폭방향 양측 단부가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연결되면서 유선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하부외피판(230)에는 교각구조물(50)이 인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조부재(40)는, 복수 개의 상판모듈(40M)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모듈(40M)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상기 지지골조부(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외피부(200)는 상기 지지골조부(100)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제1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와, 제2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는 각각 복수 개의 상판모듈(40M)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판모듈(40M)은, 폭방향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는 중앙영역이 만곡진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판모듈(40M)은 지지골조부(100)와 지지외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골조부(100)는 상판모듈(40M)의 길이방향으로 일부영역에 설치되고, 지지외피부(200)는 상판모듈(40M)의 길이방향 전체영역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지지골조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상판모듈(40M)의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지지외피부(2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판모듈(40M)은 폭방향으로 외주면이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복수 개의 상판모듈(40M)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된 구조부재(40) 역시 폭방향으로 외주면이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판모듈(40M)은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지지외피부(200)가 지지골조부(100)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면서 상판모듈(40M)의 외면은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외피부(200)는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유선형의 단면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유선형의 단면이라 함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와, 상판모듈(40M)에 교각구조물(50)을 제1 상판부(10)와 제2 상판부(10)의 내부로 인입되기 위한 통로 등이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은 주교량(1)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교량(1)은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10)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교량구조물을 구성하는 주교량(1)은 상판부(10), 캐노피부(20) 및,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교량(1)은 주통행로(11)가 형성되는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캐노피부(20) 및, 상기 캐노피부(20)의 상측영역을 경유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판부(10)를 따라 상기 주통행로(11)와 별도의 추가통행로(31)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은 주교량(1)과, 접속교(3)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구조물은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10)를 구비하는 주교량(1)과,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주교량(1)의 상판부(10)와 함께 호상의 연결구간을 형성하는 상판부(10)를 구비하는 접속교(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교량(1)의 상판부(10)와 접속교(3)의 상판부(10)는 적어도 상기 연결구간에서 상대변위가 발생하면서 상기 주교량(1)과 상기 접속교(3) 사이의 변위가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주교량(1)의 상판부(10) 및/또는 접속교(3)의 상판부(10)는 원형의 중심방향으로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주교량(1)의 상판부(10) 및/또는 접속교(3)의 상판부(10)는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판부(10)에 신축이 발생할 경우, 상판부(10)가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직선교량에 비해 교량구조물의 변위를 적게 하면서 상판부(10)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다.
일례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는 주교량(1)은 상판부(10), 캐노피부(20) 및,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는 주교량(1)과, 접속교(3)는 각각 상판부(10), 캐노피부(20) 및,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교량구조물의 주교량(1)에 캐노피부(20), 추가통행부(30) 등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속교(3)에 캐노피부(20), 추가통행부(30)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즉, 교량구조물을 구성하는 주교량(1)은 상판부(10), 캐노피부(20) 및,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교량구조물을 구성하는 접속교(3)는 별도로 상판부(10), 캐노피부(20) 및, 추가통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교량(1)과, 접속교(3)는, 각각 상판부(10)와 교각구조물(50)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탄성 거동할 수 있다.
상판부(10)와 교각구조물(50)이 일체로 탄성거동하면서 주교량(1)의 상판부(10)의 신축을 보다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판부(10)와 교각구조물(50)의 사이에는 교좌 등의 받침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볼팅, 용접, 리벳 등의 기계적 체결방식에 의해 직접 체결되면서 양자는 구조적으로 일체 거동할 수 있다.
주교량(1)은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10)와,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와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판부(10)를 지지하는 교각구조물(50)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교(3)는 주교량(1)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10)와, 상판부(10)의 구조부재(40)와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판부(10)를 지지하는 교각구조물(50)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교(3)에는 접속교(3)로 이동원이 진입하는 경로인 진입램프(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주교량 3: 접속교
5: 진입램프 10: 상판부
11: 주통행로 20: 캐노피부
21: 중앙캐노피 23: 단부캐노피
25: 연결프레임 30: 추가통행부
31: 추가통행로 33: 상부통행구간
34: 제1 가변구간 35: 제2 가변구간
40: 구조부재 40M: 상판모듈
50: 교각구조물 100: 지지골조부
110: 다이아프램 110-1: 제1 다이아프램
110-2: 제2 다이아프램 111: 상부구조재
113: 하부구조재 115: 중앙구조재
117: 보강구조재 119: 트러스재
130: 보강거더빔 131: 제1 보강거더빔
133: 제2 보강거더빔 200: 지지외피부
210: 상부외피판 230: 하부외피판
R: 점검용통로

Claims (14)

  1. 주통행로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의 상측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캐노피부; 및,
    상기 캐노피부의 상측영역을 경유하여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판부를 따라 상기 주통행로와 별도의 추가통행로를 형성하는 추가통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상판부의 상측영역을 유선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추가통행부가 상측을 경유하는 중앙캐노피; 및,
    상기 중앙캐노피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통행로와 연계되도록 상기 추가통행부가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측을 경유하는 단부캐노피;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통행부는,
    상기 중앙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는 상부통행구간;
    상기 단부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일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1 가변구간; 및,
    상기 단부캐노피의 상측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행구간과 연결되고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상판부의 폭방향 타측 단부영역과 합류 가능한 제2 가변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의 구조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골조를 형성하는 금속소재의 지지골조부; 및,
    상기 지지골조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지지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하는 보강구조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된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폭방향 단면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제1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골조부는,
    인접한 상기 다이아프램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외피부의 내면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보강거더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거더빔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보강거더빔;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폭방향으로 양측 단부영역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보강거더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거더빔은 상기 제2 보강거더빔에 비해 폭방향 단면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부는,
    상기 상판부의 구조부재와 상기 추가통행부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교량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캐노피와 상기 상판부는 함께 폭방향으로 장축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캐노피부 및 상기 추가통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영역을 지지하도록 단면보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폭방향으로 유선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구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부재가 교각구조물과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외피부는,
    폭방향으로 평탄한 단면을 가지고,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외피판; 및,
    상기 상부외피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중앙영역이 하측으로 만곡진 호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외피판;을 구비하는 교량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재는,
    복수 개의 상판모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중앙영역에 상기 지지골조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외피부는 상기 지지골조부를 둘러싸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KR1020190050314A 2019-04-30 2019-04-30 교량구조물 KR10234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14A KR102349152B1 (ko) 2019-04-30 2019-04-30 교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14A KR102349152B1 (ko) 2019-04-30 2019-04-30 교량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41A KR20200126541A (ko) 2020-11-09
KR102349152B1 true KR102349152B1 (ko) 2022-01-10

Family

ID=7342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14A KR102349152B1 (ko) 2019-04-30 2019-04-30 교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84B1 (ko) * 2014-05-29 2015-03-24 우진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지력과 경관성을 향상한 교량 및 이 시공 공법
KR101778370B1 (ko) * 2015-08-27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모듈을 활용한 연속교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5056B2 (ja) * 1991-12-20 1998-10-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カイペーブメント
KR960001623Y1 (ko) * 1993-03-18 1996-0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판의 리브 취부장치
KR960001731B1 (en) 1993-07-08 1996-02-03 Jaeil Engineering Co Ltd Non-coping piers
KR101121036B1 (ko) * 2008-12-15 2012-03-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 고가도로의 경사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84B1 (ko) * 2014-05-29 2015-03-24 우진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지력과 경관성을 향상한 교량 및 이 시공 공법
KR101778370B1 (ko) * 2015-08-27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모듈을 활용한 연속교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41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6946B (zh) 骨架构造体
JP4594414B2 (ja) 鉄道車両
KR101834843B1 (ko)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2349152B1 (ko) 교량구조물
JP5096732B2 (ja) 鉄道車両用構体
JP2010059716A (ja) 簡易屋根
JP4194444B2 (ja) 鉄道車両の先頭部構体
JP5502628B2 (ja) 鉄道車両の構体構造
KR101467492B1 (ko) 세로보를 지지하는 가로보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억제하는 복합 구조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구조
JPH0739720Y2 (ja) 車両の妻構体
KR101616988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KR102178449B1 (ko) 교량구조물
CN109263725B (zh) 车辆及其车顶模块
KR101883116B1 (ko) 복합 구조의 강재 교량
KR101119488B1 (ko) 조립식 지지구조물
JP2000120004A (ja) 懸垂形モノレール用軌道桁支持構造
CN203832567U (zh) 流动式起重机的车架体和流动式起重机
RU183203U1 (ru) Вагон-цистерна
JP5833384B2 (ja) 金属管柱
JP6977524B2 (ja) 車両上部構造
KR101648035B1 (ko) 대칭구조의 복합 거더
US20160214651A1 (en) Roof panel for a motor vehicle
JP4741381B2 (ja) 透明電波吸収パネル
CN210177342U (zh) 一种跨线钢桁架桥结构
CN217460914U (zh) 一种局部加强的钢框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