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194B1 -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194B1
KR101120194B1 KR1020090060257A KR20090060257A KR101120194B1 KR 101120194 B1 KR101120194 B1 KR 101120194B1 KR 1020090060257 A KR1020090060257 A KR 1020090060257A KR 20090060257 A KR20090060257 A KR 20090060257A KR 101120194 B1 KR101120194 B1 KR 10112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dge
edges
bon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672A (ko
Inventor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최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규 filed Critical 최인규
Priority to KR102009006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1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3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고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인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사각형상의 제1시트 및 제2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양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있는 제3시트를 포함하는 다실포장용기이다.
다실포장용기, 밀봉공간, 양면시트, 단면시트, 열전달차단판, 가열판, 접착시트, 열접착용 시트

Description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Dual Pack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실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 개 이상의 밀봉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밀봉공간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밀봉 하여 내용물을 두종류 이상 포장할 수 있도록 한 다실포장용기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유 및 밀가루 등의 분말 제품과, 사탕 및 스낵류 등의 과자와, 쌀, 보리 및 콩 등의 알곡류와, 화학 조미료 및 가공 소금 등의 조미료 등은 제품의 변질을 막고, 보관, 수송, 취급이 간편하도록 백(bag) 형상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하여 왔다. 또한, 출입구와 수용구가 일체적 통공으로 형성되어 한 개의 출입구와 한 개의 삽입실로 구성되는 포장용기가 제안되어 왔다.
출원번호 20-2002-0021731, 출원일자 2002년7월22일,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291706호 "포장봉투"가 공개된 바 있다. 이 발명은 대다수의 과자류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포장봉투의 형태이며, 한개의 출입구와 한개의 삽입실에 내용물을 삽입후 출입구를 실링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포장용기는 각각 다른 종류의 과자등 식품을 일체적으로 형성된 포장용기에 삽입하여 포장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포장하거나 각각 다른 과자포장용 비닐봉지에 삽입하여 외부면의 일 측부를 묶거나 테이프로 결합하여 복수개의 포장용기를 하나의 세트로 형성하여 판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실을 가지는 포장용기가 출원번호 20-2001-0022074, 출원일자 2001년7월18일,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249951호 "출입구와 삽입실이 복수개로 형성된 과자포장용 비닐봉지"에 공개되었었다.
이 발명은, 과자가 수용되게 할 수단의 봉지몸체와 과자가 수용되는 봉지몸체를 칸막이로 분할하여 제1출입구와 제2출입구가 구별되게 할 수단으로 봉지몸체의 내주연 일측부에 분할막을 형성하고, 분할막을 경계로 하여 제 1삽입실과 제2삽입실이 나란히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 발명의 구조상 비닐봉지 내부 삽입실에 분할막이 세로형태로 설치된 경우 2실을 형성한다고 하여도 출입구가 2곳이 될수가 없으며, 메인출입구를 개봉하면 내부의 2개의 삽일실이 오픈되도록 구성되어있고, 내부 삽입실에 삽입된 내용물을 꺼낸 후 비닐봉지의 재 밀봉이 안되는 문제가 있으며, 각각의 삽입실에 개별적인 개봉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부의 삽입실에 가로방향으로 삽입실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제조방법의 기술에서 과자포장용 비닐봉지의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실제 시장에 상용화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이 발명의 구조가 한개의 봉지의 내부를 억지로 2실로 나누었기 때문에 봉지의 구조상 내용물이 한곳의 삽입실에 많이 들어가면 다른한곳에는 내용물을 넣을수 있는 용적이 적어지게 되어 내용물을 많이 수납할수 없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이 외에도 본출원인이 발명한 출원번호 20-2007-0009071, 출원일자 2007년6 월1일,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441817호 "밀봉 포장 용기"가 공개되었다.
이 발명은, 상하좌우의 네 개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상하좌우 가장 자리부분을 접착한 상하좌우 접착부를 가진 제1밀봉공간과,상기 제2시트와 같은 크기의 제3시트를 제2시트와 좌우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제1밀봉공간의 좌우 접착부와 같은 위치에서 길게 접착하고, 상부 가장자리 접착부를 상기 제1밀봉공간의 상부접착부 아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고, 하부 가장자리 접착부를 상기 제1밀봉공간의 하부접착부 아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여서 만들어진 제2밀봉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밀봉공간의 상부 가장자리 접착부와 상기 제2밀봉공간의 상부 가장자리 접착부위 사이를 절단하거나, 상기 제1밀봉공간의 하부 가장자리 접착부와 상기 제2밀봉공간의 하부 가장자리 접착부위 사이를 절단함에 의하여 제1밀봉공간 또는 제2밀봉공간을 선택적으로 밀봉공간을 개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다량의 내용물을 삽입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내용적 대비 길이가 너무 길어지는 문제로 이동, 보관등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종류나 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의 밀봉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실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언제든지 각각의 밀봉공간을 개별적으로 개밀봉 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출입구와 개별적인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독립적인 밀봉공간이 형성되어 한곳의 밀봉공간에 내용물을 삽입하여도 다른 밀봉공간의 용적에 영향을 주지않아 많은 내용물을 수납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다실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작차수를 줄여서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하여 제품을 손쉽게 다량 생산하여 상용화 할 수 있는 다실포장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실포장용기는,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고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인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사각형상의 제1시트 및 제2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양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있는 제3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열 또는 접착제로 접착되는 단면접착용 시트이고, 제3시트는 열 또는 접착제로 접착되는 양면접착용 시트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서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양면접착이 가능한 제3시트를 접어서 삽입하고, 접혀진 제3시트 사이에 실링프레스의 열전달차단판을 위치시킨 후,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1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2접착부를 형성하는 제1접착공정과, 제1 및 제2 접착부와 다른 방향으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그리고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겹처진 제3시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착하여, 서로 마주보는 제3접착부와 제4접착부를 형성하는 제2접착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단면접착만 되는 제3시트와 제4시트를 각각 접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하고, 접혀진 제3시트 및 제4시트와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각 내면을 실링프레스로 접착하여,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1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2접착부, 그리고 제1시트의 내면과 제4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3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제4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4접착부를 형성하는 제1접착공정과, 제1 내지 제4 접착부와 다른 방향으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 및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접혀진 제3시트 및 제4시트 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착하여 서로 마주보는 제5접착부와 제6접착부를 형성하는 제2접착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여기서 제3접착부와 제4접착부에는 접혀진 제3시트와 제4시트 사이는 접착이 되지 아니하여 공기가 소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두개의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로서: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고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인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사각형상의 제1시트 및 제2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는 제3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는 제4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시트 내지 제4시트는 열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단면 접착용 시트이면 된다.
본 발명의 다실포장용기는 개별적인 출입구와 밀봉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각기 다른 종료의 과자등 식품을 개별적으로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실포장용기는 개별적인 출입구와 개별적인 밀봉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언제든지 각각의 밀봉공간을 개별적으로 개밀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실포장용기는, 각각의 독립적인 밀봉공간이 형성되어 한곳의 밀봉공간에 내용물을 삽입하여도 다른 밀봉공간의 용적에 영향을 주지않아 많은 내용물을 수납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실포장용기 제조방법은, 제작차수를 줄여서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하여 제품을 손쉽게 다량 생산하여 상용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가 접착되어 밀봉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가 접착되는 단면을 좀 과장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를 접착한 후 앞부분의 밀봉공간과 뒷부분의 밀봉공간을 부풀어오르게 하고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를 삽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가 접착되어 밀봉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가 접착되는 단면을 과장되게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접착한 후 앞부분의 밀봉공간과 뒷부분의 밀봉공간을 부풀어오르게 하고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삽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15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견본품을 사진으로 보인 것이다. 여기서 내부 시트를 흰색으로 만들어서 경계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내지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는 제1시트(10)와 제2시트(20)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접어서 삽입된 제3시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시트(10)와 제2시트(20)는 사각형상을 지닌 시트로서,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어서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인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제3시트(30)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가장자리(31), 제2가장자리(32), 제3가장자리(33) 및 제4가장자리(34)를 가진 사각형상의 양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31)는 제1시트(10)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33)는 제2시트(20)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32)와 제4가장자리(34)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있어서, 내부의 밀봉공간이 독립적으로 분리되도록 되어있다.
제1시트, 제2시트및 제3시트를 열접착용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와 제2시트는 열이나 압력을 가할 때 단면만 접착되는 단면 열접착용 시트이고, 제3시트는 열이나 압력을 가할 때 양면 모두 접착되는 양면 열접착용 시트이며, 접착부위에는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착한다.
제1시트 내지 제3시트를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착하는 열접착용 시트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는 접착시트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를 모두 접착제로 접착하는 시트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접착면을 단면만 가지는 단면 접착시트이고, 제3시트는 양면 모두 접착되는 양면접착시트이며,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또한, 제1시트 내지 제3시트 중 일부의 시트에만 접착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내지 7에서 보인바와 같이 제1시트(10)와 제2시트(20)의 내부에 단면만 접착되는 제3시트(30)와 제4시트(40)를 삽입하여 다실포장용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내부에 단면시트를 사용한 다실포장용기는, 제1시트(10)와 제2시트(20)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접어서 삽입된 제3시트(30)와, 제3시트와 일정간격을 두고 접어서 삽입된 제4시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사각형상을 지닌 시트로서,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어서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린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제 3시트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가장자리(31), 제2가장 자리(32), 제3가장자리(33) 및 제4가장자리(34)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31)는 제1시트(10)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33)는 제2시트(20)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2가장자리(32)와 제4가장자리(34)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다.
제4시트(40)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시트와 일정간격을 두어서 삽입하는 제1가장자리(41), 제2가장자리(42), 제3가장자리(43) 및 제4가장자리(44)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41)는 제1시트(10)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43)는 제2시트(20)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42)와 제4가장자리(44)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다.
제3시트(30)와 제4시트(40)를 삽입하여 나누어진 밀봉공간은 각기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제3시트와 제4시트의 사이는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제1시트와 제2시트, 제3시트 및 제4시트를 열접착용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시트 내지 제4시트는 모두 열이나 압력을 가할 때 단면만 접착되는 단면 열접착용 시트로서, 접착부위에 열이나 압력을 사용하여 접착한다.
제1시트 내지 제4시트를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착하는 열접착용 시트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는 접착시트를 사용하여도 좋다. 접착시트는, 제1시트와 제2시트, 제3시트 및 제4시트를 모두 접착시트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시트 내지 제4시트는 모두 접착면을 단면만 가지는 단면 접착시트로서,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다. 또한, 제1시트 내지 제4시트 중 일부의 시트에만 접착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를 삽입하여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1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접착공정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양면접착이 가능한 제3시트를 접어서 삽입하고, 접혀진 제3시트의 내부단면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제3시트 사이에 실링프레스의 열전달차단판(50)을 위치시킨다.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가 실링머신의 상부가열판(51 또는 롤러)과 하부가열판(52, 또는 롤러)의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키고,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1접착부(61)를 형성한 후,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2접착부(62)를 형성한다.
제2접착공정은, 제1 및 제2 접착부와 다른 방향(대체로 90도)으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겹처진 제3시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착하여 제3접착부(63)를 형성하고, 제3접착부와 마주보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를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겹처진 제3시트의 가장자 리와 함께 접착하여, 제3접착부와 서로 마주보는 제4접착부(64)를 형성하면 제품의 공정은 마무리된다.
제조된 다실포장용기의 사용법은 다실포장용기의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 가장자리(70)를 열어서 내용물을 삽입하고, 이 열린 비접착 가장자리(70)를 접착하여 제품을 포장 밀폐한다. 내용물을 수시로 꺼내고, 삽입하는데 용이하도록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 가장자리(70)에 지퍼백을 부착하고, 지퍼백 상부를 열접착하여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의 제1접착공정에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양면접착이 가능한 제3시트를 접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삽입하고, 접혀진 다수개의 제3시트 사이에 실링프레스의 열전달차단판을 위치시킨 후, 제1시트의 내면과 다수개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다수의 제1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다수개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다수의 제2접착부를 형성하고,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양단 가장자리를 접착하고, 위의 제2접착공정에서 상기 제3접착부만 형성하고, 상기 제4접착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내용물 출입구로 사용하도록 하면 여러개의 포장공간을 가진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된다.
본 발명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삽입하여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5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접착공정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단면접착이 가능한 제3시트를 접어서 삽입하고, 제3시트와 일정간격을 두면서 제4시트를 접어서 삽입한다.
제1시트의 내면과 접혀진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 제2시트 내면과 접혀진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 및 제1시트의 내면과 접혀진 제4시트의 한 가장자리, 제2시트 내면과 접혀진 제4시트의 다른 가장자리가 실링프레스의 상부가열판(51)과 하부가열판(52)의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1접착부(61)를 형성하고,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2접착부(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시트의 내면과 제4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3접착부(65)를 형성하고, 제2시트 내면과 제4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제4접착부(66)를 형성한다.
제2접착공정은, 제1 접착부 내지 제4 접착부와 다른 방향으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 및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접혀진 제3시트와, 제3시트와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접혀진 제4시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착하여 제5접착부(67)를 형성한다.
제5접착부와 마주보는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를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접혀진 제3시트 및 접혀진 제4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여 제5접착부와 서로 마주보는 제6접착부(68)를 형성하면 제품의 공정은 마무리되며, 제3시트의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 및 제4시트의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고 제3시트 및 제4시트의 각각의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여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각 밀봉공간에 개별적으로 내용물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제조된 다실포장용기의 사용법은 다실포장용기의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 가장자리(70)에 내용물을 삽입하고, 이열린 비접착가장자리(70)를 접착하여 제품을 삽입하고 포장하여 사용하면 된다. 지퍼백을 추가로 부착하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의 제1접착공정에서, 상기 제3시트 및 제4시트로 된 세트를 소정을 간격으로 다수개 삽입하고, 상기 제1 내지 제 4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다수개 세트에 대하여 실시하고,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양단 가장자리를 접착하고, 위의 제2접착공정에서 제5접착부만 형성하고 제6접착부가 형성된 부분을 절단하여 내용물 출입구로 사용하도록 하면 다수의 포장공간을 가진 또 다른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가 접착되어 밀봉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가 접착되는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를 접착한 후 앞부분의 밀봉공간과 뒷부분의 밀봉공간을 부풀어오르게 하고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양면시트인 제3시트를 삽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가 접착되어 밀봉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가 접착되는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접착한 후 앞부분의 밀봉공간과 뒷부분의 밀봉공간을 부풀어오르게 하고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실포장용기의 내부에 단면시트인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삽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5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견본품을 사진으로 보인 것이다. 여기서 내부 시트를 흰색으로 만들어서 경계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10 : 제1시트 20 : 제2시트 30 : 제3시트 40 : 제4시트
31 : 제3시트의 제1가장자리 32 : 제3시트의 제2가장자리
33 : 제3시트의 제3가장자리 34 : 제3시트의 제4가장자리
41 : 제4시트의 제1가장자리 42 : 제4시트의 제2가장자리
43 : 제4시트의 제3가장자리 44 : 제4시트의 제4가장자리
50 : 열전달차단판 51 : 상부가열판 52 : 하부가열판
61 : 제3시트를 사용한 제1접착부 62 : 제3시트를 사용한 제2접착부
63 : 제3시트를 사용한 제3접착부 64 : 제3시트를 사용한 제4접착부
65 : 제4시트를 사용한 제3접착부 66 : 제4시트를 사용한 제4접착부
67 : 제5접착부(67) 68 : 제4시트를 사용한 제6접착부
70 : 비접착가장자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서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단면접착만 되는 제3시트와 제4시트를 각각 접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하고, 접혀진 제3시트 및 제4시트와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각 내면을 실링프레스로 접착하여, 제1시트의 내면과 제3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1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제3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2접착부, 그리고 제1시트의 내면과 제4시트의 한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3접착부 및 제2시트 내면과 제4시트의 다른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제4접착부를 형성하는 제1접착공정과,
    제1 내지 제4 접착부와 다른 방향으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가장자리 및 제1시트와 제2시트 사이에 게재된 접혀진 제3시트 및 제4시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착하여 서로 마주보는 제5접착부와 제6접착부를 형성하는 제2접착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3접착부와 제4접착부에는 접혀진 제3시트와 제4시트 사이는 접착이 되지 아니하여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다실포장용기제조방법.
  5. 서로 분리된 두개의 밀봉공간을 가지는 다실포장용기로서:
    3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열려있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열고 내용물을 삽입한 후 이 열인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사각형상의 제1시트 및 제2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는 제3시트와,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 3 및 4 가장자리를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접착 시트로서, 제1가장자리는 제1시트와 접착되어 있고, 제3가장자리는 제2시트와 접착되어 있으며,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는 접혀진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고, 제2가장자리와 제4가장자리의 접혀진 부위는 서로 접착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가장자리와 함께 접착되어 있는 제4시트를 포함하는 다실포장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내지 제4시트는 열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단면 접착용 시트인 것이 특징인 다실포장용기.
KR1020090060257A 2009-07-02 2009-07-02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2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257A KR101120194B1 (ko) 2009-07-02 2009-07-02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257A KR101120194B1 (ko) 2009-07-02 2009-07-02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72A KR20110002672A (ko) 2011-01-10
KR101120194B1 true KR101120194B1 (ko) 2012-03-16

Family

ID=4361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257A KR101120194B1 (ko) 2009-07-02 2009-07-02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5802A1 (de) * 2016-12-28 2018-06-28 Mond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kammer-Seitenfaltenbeutels sowie Doppelkammer-Seitenfaltenbeut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578A1 (ja) * 2019-02-15 2020-08-20 東洋製罐株式会社 パウチおよびパウチ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644A (ja) 1996-12-20 1998-06-30 Fujimori Kogyo Kk ガセット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18539A (ja) * 1998-10-15 2000-04-25 Okura Ind Co Ltd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4054A (ja) * 2003-02-13 2004-09-02 Marui Shokuhin Kk 食品包装用袋
JP2005162291A (ja) * 2003-12-04 2005-06-23 J-Film Corp 分画包装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644A (ja) 1996-12-20 1998-06-30 Fujimori Kogyo Kk ガセット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18539A (ja) * 1998-10-15 2000-04-25 Okura Ind Co Ltd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4054A (ja) * 2003-02-13 2004-09-02 Marui Shokuhin Kk 食品包装用袋
JP2005162291A (ja) * 2003-12-04 2005-06-23 J-Film Corp 分画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5802A1 (de) * 2016-12-28 2018-06-28 Mond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kammer-Seitenfaltenbeutels sowie Doppelkammer-Seitenfaltenbeu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72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9826B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ES2442461T3 (es) Envase flexible con una característica de cierre resellable, interna
ES2555273T3 (es) Envasado de película flexible con cierre hermético y métodos de fabricación
CN102897394B (zh) 使用低粘性胶粘剂紧固件的可再封闭包装及其制备方法
ES2390568T3 (es) Envase que se puede volver a cerrar para productos alimenticios y método de fabricación
EP2243725B1 (en) Packed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920077B2 (ja) 軟包材容器及び軟包材容器包装体
CN108860901B (zh) 具有空气缓冲性能的包装盒及其应用
US20200140178A1 (en)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bag, packaged article, and packaging method
ES2565853T3 (es) Paquete de fácil abertura y resellable con sección de panel con sellante de fácil abertura y mecanismo de resellado
CN108349645A (zh) 用于容器的可重新密封内包装
CN107000886A (zh) 包装组件、坯件以及制造包装组件的方法
KR101120194B1 (ko) 다실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11155374B2 (en) Method of forming multi-compartment tobacco pouch
KR20160115960A (ko)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US8061900B1 (en) Semi-rigid flexible film pack for multi-packs
JP2014521573A (ja) 2つの結合層を含むパッケージ
JP2014031176A (ja) ブレンド機能を有する包装用袋
TW201410564A (zh) 板狀物品用之包裝構造,包裝容器及個別包裝
TW201418114A (zh) 紙製包裝容器
JP3177454U (ja) 食品用包装袋
ES2535558T3 (es) Dispositivo de envasado de productos a granel, en particular para alimentos
JP2004051167A (ja) 内袋付き箱
JPH10175644A (ja) ガセット袋及びその製造方法
EP2374725B1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