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90B1 -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90B1
KR101119190B1 KR1020090059854A KR20090059854A KR101119190B1 KR 101119190 B1 KR101119190 B1 KR 101119190B1 KR 1020090059854 A KR1020090059854 A KR 1020090059854A KR 20090059854 A KR20090059854 A KR 20090059854A KR 101119190 B1 KR101119190 B1 KR 10111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coupling
lever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22A (ko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102009005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와, 상기 운반 유니트의 평행 지지대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의 제2 결합구멍에 결합봉의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지지대의 양측 배면이 상기 제1 결합부재의 평탄면에 각각 접촉되어 배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용기의 상부를 클램프하는 용기 클램프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Description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VESSEL HAND CARRY APPARATUS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예를 들면, 드럼통, 플라스틱 원통체 또는 화분 등)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기를 운반할려면, 여러 사람이 무거운 대형 다목적 용기를 승합차 또는 트럭 등의 적재함에 들어서 적재하여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통, 플라스틱제의 원통체 또는 화분 등의 용기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와, 상기 운반 유니트의 평행 지지대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의 제3 결합구멍에 결합봉의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지지대의 양측 배면이 상기 제1 결합부재의 평탄면에 각각 접촉되어 배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용기의 상부를 클램프하는 용기 클램프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의하면, 드럼통, 플라스틱제의 원통체(물통) 또는 화분 등의 용기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 해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레버를 래치트 기어의 중앙에 위치시켜서 좌측 및 우측 아암을 중간으로 벌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레버를 래치트 기어의 우측에 위치시켜서 좌측 및 우측 아암을 최대로 넓게 벌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 레버가 기어의 중간에 있을 경우에 배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 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3 결합구멍(4c)에 결합봉(21)의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지지대(27)의 양측 배면이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각각 접촉되어 배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용기(41)의 상부를 클램프하는 다목적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반유니트(10)는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파이프로 이루어진 한쌍의 평행 지지대(1)와,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와, 상기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재(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설치된 받침대(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된 제1 시건부재(6)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1c)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 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대체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는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형성된 제3 결합구멍(4c) 내에 좌측 및 우측이 각각 삽입되는 결합봉(21)과, 상기 결합봉(21)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상기 결합봉(2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배면 양측이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22)와, 상기 결합봉(21)의 전면 양측이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지지대(22)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일정거리 각각 떨어져서 상기 하부 지지대(22) 상에 수직되게 각각 고정설치된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에 기단부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링크부재(25b)의 내측에 축(25c)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를 각각 클램프하는 용기 클램프 부재(25)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의 외주면 사이에 양 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중앙 지지대(26)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의 상부를 각각 고정지지함과 동시에, 배면이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접촉하여 상기 중앙 지지대(26), 상기 하부 지지대(22),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회를 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27)와, 상기 중앙 지지대(26)의 배면에 양단부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부호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원호형상의 래치트 기어(28)와, 상기 중앙 지지대(26)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돌출된 힌지볼트(29a)에 연동되어 선회되도록 하단부가 고정설치된 작동레버(29)와, 상기 작동레버(29)에 인접해서 힌지핀(30b)을 상ㆍ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30a)를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였을 경우, 상기 래치트 기어(28)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손잡이(30a)의 파지를 해제하였을 경우, 상기 래치트 기어(28)에 맞물려서 상기 작동레버(29)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레버(30)와,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를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여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상기 작동레버(29)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상기 힌지볼트(29a)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링크 레버(29b)와, 상기 링크 레버(29b)가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넓게 벌리고, 상기 링크 레버(29b)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좁게 벌리도록 기단부가 볼 베어링(31a,32a)을 개재하여 상기 링크 레버(29b)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선단부가 힌지 볼트(31b,32b)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좌측 및 제1 우측 링크부재(31,32)와, 상기 링크 레버(29b)가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넓게 벌리고, 상기 링크 레버(29b)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좁게 벌리도록 기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재(27)에 설치된 볼 베어링(33a,34a)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설치된 볼 베어링(33b,34b)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봉(21)은 그 일측에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2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탈방지용 핀(21b)을 삽입하도록 관통공(2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링크부재(25b)와, 상기 링크부재(25b)의 내측에 축(25c)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T자 형상을 이루며, 타측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대(25d)와,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를 하부에서 각각 클램프할 경우에 상기 용기(4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5d)의 T자 형상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쌍의 원형 탄성체(25e)와, 상기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 상부를 각각 클램프할 경우에 상기 용기(41)을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5d)의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쌍의 봉형상 탄성체(25f)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 탄성체(25e) 및 상기 봉형상 탄성체(25f)는 인조고무, 천연고무 또는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좌측 및 제1 우측 링크부재(31,32)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나사부(부호 생략)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나사부(부호 생략)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7e는 상부측이 상기 제2 가로지지대(7a)에 고착되고 하부측이 상기 삽입파이프(7b)에 고착되어 상기 제2 가로지지대(7a)를 평행하게 보강하는 보강 지지대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를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c) 내에 한쌍의 삽입파이프(7b)의 선단부를 각각 끼우고, 제1 시건부재(6)의 손잡이(6d)를 하부쪽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플랜지(6e)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6d)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봉(6c)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체(6a)의 선단부가 45도로 경사지게 커팅되어 있으므로, 작동봉(6c)의 플랜지(6b)와 원통체(6e)의 내주면에 형성된 플랜지(6e) 사이에 코일스프링(6f)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6f)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되면서 작동봉(6c)이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 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상기 손잡이부(7)가 위치고정시켜서 운반유니트(10)를 조립한다.
다음에,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우측 제1 결합부재(4)의 제3 결합구멍(4c) 내에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결합봉(21)의 우측 단부를 먼저 끼우고,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좌측 제1 결합부재(4)의 제3 결합구멍(4c) 내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결합봉(21)의 좌측 단부를 끼운 후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결합봉(21)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1c) 내에 핀(21b)를 끼우면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좌측 제1 결합부재(4)가 상기 관통공(21c)과 상기 스토퍼(21a)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를 결합시킨 다음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록킹레버(30)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30a)를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면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의 하단이 상기 작동레버(29)에 힌지핀(30b)을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클릭이라고도 한다)가 상부로 올라가므로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가 래치트 기어(28)와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때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선회시키고 나서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당겨져 있는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를 파지하는 파지력을 해제하면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와 상기 작동레버(29)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30c)이 팽창되어 상기 록킹레 버(30)의 손잡이(30a)가 상기 작동레버(29)로부터 덜어지면서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가 상기 래치트 기어(28)에 맞물리면서 상기 작동레버(29)가 위치고정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작동레버(29)의 하단부가 힌지볼트(29a)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볼트(29a)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됨에 따라 상기 제1 좌측 제1 우측 링크 레버(31,32)의 기단부가 볼베어링(31a,32a)을 개재해서 링크 레버(29b)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좌측 제1 우측 링크 레버(31,32)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31b,32b)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내측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좌측 및 제1 우측 링크부재(31,32)를 각각 좌?우측으로 밀어내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을 중심으로 최대로 넓게 벌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의 기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재(27)의 양측에 설치된 볼베어링(33a,34a)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의 선단부가 볼베어링((33b,34b)을 개재하여 링크부재(25b)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아암(24a)과 상기 우측 아암(24b) 사이에 용기(41)을 놓은 후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록킹레 버(30)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30a)를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면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의 하단이 상기 작동레버(29)에 힌지핀(30b)을 개재해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클릭이라고도 한다)가 상부로 올라가므로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가 래치트 기어(28)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29)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 하부에,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의 지지대(25d)에 설치된 한쌍의 원형 탄성체(25e)를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용기(41)의 상부면, 즉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의 상부면에,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의 지지대(25d)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쌍의 봉형상 탄성체(25f) 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록킹레버(30)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30a)의 파지력을 해제하면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와 상기 작동레버(29)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30c)의 팽창력(또는 부세력이라고도 한다)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가 상기 작동레버(29)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30)의 하단부가 래치트 기어(28)에 맞물려서 상기 작동레버(29)가 견고하게 위치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가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에 견고하게 파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9)가 견고하게 위치설정되고, 또한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에 의해 상기 용기(41)가 견고하게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손잡이(7c)를 손으로 잡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유니트(10) 를 이동시켜서 상기 용기(4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41)을 운반할 때에 용기(41)가 무거워서 과도한 힘이 들어갈 경우에는 상기 제1 시건부재(6)의 손잡이(6d)를 상부, 즉 상기 원통체(6a)의 경사면 상부쪽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봉(6c)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동봉(6c)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6b)가 코일스프링(6f)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삽입파이프(7b)에 형성된 관통공(7d)으로부터 빠지며, 이때 상기 손잡이(7c)를 평행 지지대(1)로부터 끌어올리면 상기 코일스프링(6f)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삽입파이프(7b)에 형성된 관통공(7d)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삽입파이프(7b)의 길이가 증가되어서 상기 용기(41)을 운반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높이가 낮은 용기를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2 결합구멍(4b) 내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결합봉(21)의 양측 단부를 각각 끼우고,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결합봉(21)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1c) 내에 핀(21b)를 끼우면 상기 핀(21b)과 상기 스토퍼(21a) 사이에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좌측 제1 결합부재(4)가 위치하므로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용기(41)를 특정위치에 운반한 후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다음,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의 록킹레버(3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30a)를 파지하고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잡아 당기면서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9)의 하단부가 힌지볼트(29a)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볼트(29a)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됨에 따라 상기 제1 좌측 제1 우측 링크 레버(31,32)의 기단부가 볼베어링(31a,32a)을 개재해서 링크 레버(29b)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좌측 제1 우측 링크 레버(31,32)의 선단부가 힌지 볼트(31b,32b)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내측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좌측 및 제1 우측 링크부재(31,32)를 각각 좌?우측으로 밀어내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을 중심으로 최대로 넓게 벌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의 기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재(27)의 양측에 설치된 볼베어링(33a,34a)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의 선단부가 볼베어링((33b,34b)을 개재하여 링크부재(25b)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가 되어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로부터 상기 용기(41)를 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통, 플라스틱제의 원통체 또는 대형 화분 등의 다목 적 용기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들 설계변경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 해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레버를 래치트 기어의 중앙에 위치시켜서 좌측 및 우측 아암을 중간으로 벌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레버를 래치트 기어의 우측에 위치시켜서 좌측 및 우측 아암을 최대로 넓게 벌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용기 클램프 유니트의 작동 레버가 래치트 기어의 중간에 있을 경우에 배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평행 지지대 1a : 제1 가로 지지대
1b : 상부 관통구멍 1c : 관통구멍
2 : 타이어 2a : 지지축
4 : 제1 결합부재 4a : 제1 결합구멍
4b : 제2 결합구멍 4c : 제3 결합구멍
5 : 받침대 6 : 제1 시건부재
6a : 원통체 6b : 플랜지
6c : 작동봉 6d : 손잡이
6e : 플랜지 6f : 코일스프링
7 : 손잡이부 7a : 제2 가로지지대
7b : 삽입파이프 7c : 손잡이
7d : 관통공 7e : 보강 지지대
10 : 운반유니트 20 : 용기 클램프 유니트
21 : 결합봉 21a : 스토퍼
21b : 이탈방지용 핀 21c : 관통공
22 : 하부 지지대 23a : 좌측 힌지봉
23b : 우측 힌지봉 24a : 좌측 아암
24b : 우측 아암 25 : 용기 클램프 부재
25a : 힌지핀 25b : 링크부재
25c : 축 25d : 지지대
25e : 원형 탄성체 25f : 봉형상 탄성체
26 : 중앙 지지대 27 : 상부 지지부재
28 : 래치트 기어 29 : 작동레버
29a : 힌지볼트 29b : 링크 레버
30 : 록킹레버 30a : 손잡이
30b : 힌지핀 30c : 코일 스프링
31 : 제1 좌측 링크 레버 31a : 볼 베어링
31b : 힌지 볼트 32 : 제1 우측 링크부재
32a : 볼 베어링 32b : 힌지 볼트
33a,34a : 볼 베어링 33b,34b : 볼 베어링
33 : 제2 좌측 링크부재 34 : 제2 우측 링크부재
41 : 다목적 용기 41a : 상부 플랜지

Claims (6)

  1.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3 결합구멍(4c)에 결합봉(21)의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지지대(27)의 양측 배면이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각각 접촉되어 배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용기(41)의 상부를 클램프하는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로 구성되며,
    상기 운반유니트(10)는 한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평행 지지대(1)가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한쌍의 타이어(2)는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결합부재(4)는 상기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받침대(5)의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설치되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되고,
    손잡이부(7)는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1c)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각각 고착되며, 선단부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클램프 유니트(20)는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형성된 제3 결합구멍(4c) 내에 좌측 및 우측이 각각 삽입되는 결합봉(21)과, 상기 결합봉(21)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상기 결합봉(2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배면 양측이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22)와, 상기 결합봉(21)의 전면 양측이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지지대(22)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일정거리 각각 떨어져서 상기 하부 지지대(22) 상에 수직되게 각각 고정설치된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에 기단부가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링크부재(25b)의 내측에 축(25c)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를 각각 클램프하는 용기 클램프 부재(25)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의 외주면 사이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중앙 지지대(26)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봉(23a,23b)의 상부를 각각 고정지지함과 동시에, 배면이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접촉하여 상기 중앙 지지대(26), 상기 하부 지지대(22),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회를 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27)와, 상기 중앙 지지대(26)의 배면에 양단부가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부호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원호형상의 래치트 기어(28)와, 상기 중앙 지지대(26)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돌출된 힌지볼트(29a)에 연동되어 선회되도 록 하단부가 고정설치된 작동레버(29)와, 상기 작동레버(29)에 인접해서 힌지핀(30b)을 상ㆍ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30a)를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였을 경우, 상기 래치트 기어(28)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손잡이(30a)의 파지를 해제하였을 경우, 상기 래치트 기어(28)에 맞물려서 상기 작동레버(29)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레버(30)와, 상기 록킹레버(30)의 손잡이(30a)를 상기 작동레버(29) 쪽으로 파지하여 상기 작동레버(2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상기 작동레버(29)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상기 힌지볼트(29a)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링크 레버(29b)와, 상기 링크 레버(29b)가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넓게 벌리고, 상기 링크 레버(29b)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좁게 벌리도록 기단부가 볼 베어링(31a,32a)을 개재하여 상기 링크 레버(29b)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선단부가 힌지 볼트(31b,32b)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좌측 및 제1 우측 링크부재(31,32)와, 상기 링크 레버(29b)가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넓게 벌리고, 상기 링크 레버(29b)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을 좁게 벌리도록 기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재(27)에 설치된 볼 베어링(33a,34a)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설치된 볼 베어링(33b,34b)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제2 좌측 및 제2 우측 링크부재(33,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21)은 그 일측에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용 스토퍼(2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탈방지용 핀(21b)을 삽입하도록 관통공(21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클램프 부재(25)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아암(24a,24b)의 선단부에 힌지핀(25a)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링크부재(25b)와, 상기 링크부재(25b)의 내측에 축(25c)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T자 형상을 이루며, 타측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대(25d)와, 상기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를 하부에서 각각 클램프할 경우에 상기 용기(4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5d)의 T자 형상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쌍의 원형 탄성체(25e)와, 상기 용기(41)의 상부 플랜지(41a) 상부를 각각 클램프할 경우에 상기 용기(41)을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5d)의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쌍의 봉형상 탄성체(25f)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KR1020090059854A 2009-07-01 2009-07-01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KR10111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54A KR101119190B1 (ko) 2009-07-01 2009-07-01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54A KR101119190B1 (ko) 2009-07-01 2009-07-01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22A KR20110002322A (ko) 2011-01-07
KR101119190B1 true KR101119190B1 (ko) 2012-03-20

Family

ID=4361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54A KR101119190B1 (ko) 2009-07-01 2009-07-01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2859B (zh) * 2013-04-08 2016-12-28 青岛鼎玺建筑科技有限公司 多功能手推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873A (ja) * 2004-03-30 2005-11-10 Mitsue Tanaka ハンドカート
JP2006508864A (ja) * 2002-12-07 2006-03-16 フォルト・クライワヘンス・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トロリ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864A (ja) * 2002-12-07 2006-03-16 フォルト・クライワヘンス・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トロリー装置
JP2005313873A (ja) * 2004-03-30 2005-11-10 Mitsue Tanaka ハンド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22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546A (en) Hand truck
US10765185B1 (en) Umbrella holder
KR101119190B1 (ko)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US7036859B1 (en) Lifting device for pot or pan
US20080073304A1 (en) Collapsible transport frame
JP3215899U (ja) 積重する箱の運搬具
KR101110474B1 (ko)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JP2007032138A (ja) 側溝用蓋上げ器具、側溝用蓋上げ搬送器具、側溝用蓋揺動器具、汚泥収納袋搬送器具。
US20070046049A1 (en) Manually assisted reaching apparatus
KR101119191B1 (ko) 통나무 수동 운반장치
JP2004261416A (ja) 衣服用ハンガー
EP3581462A1 (en) Roll container
US6779805B1 (en) Bass and viol hand cart
FR2515298A1 (fr) Dispositif tendeur, en particulier pour chaines d'arrimage
FR2547258A1 (fr) Chariot de manutention pour conteneurs de forme cylindrique, tels que des poubelles
JP2017023490A (ja) キックスクータ、キックスクータを用いた荷物の運搬方法および締結用バンド
EP118775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hand truck
JP3204210U (ja) 袋体搬送具
JP2009002063A (ja) 螺旋杭立設具
GB2426490A (en) Trolley supporting an open bag
JPH0410145Y2 (ko)
JP2004142608A (ja) 自重落下式拘束具を有するキャスタ及びそのキャスタ付き移動用具
FR2986246A1 (fr) Palonnier de rail de chemin de fer, susceptible d'etre accroche a un engin de levage, pour le chargement et le dechargement des rails
JP2010070961A (ja) 瓦把持機構
JPS581410Y2 (ja) 二輪手押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