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474B1 -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474B1
KR101110474B1 KR1020090052381A KR20090052381A KR101110474B1 KR 101110474 B1 KR101110474 B1 KR 101110474B1 KR 1020090052381 A KR1020090052381 A KR 1020090052381A KR 20090052381 A KR20090052381 A KR 20090052381A KR 101110474 B1 KR101110474 B1 KR 10111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allel
pair
coupl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696A (ko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102009005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125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by means of telesco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70Flowers; Pots; Plan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상자(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드럼통 또는 원형의 대형화분 등의 원통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Description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CLIP-ON HAND CARRIER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 또는 플라스틱 상자(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드럼통 등의 원통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조립식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운반장치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24600호(공개일 ; 2002년 04월 0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24600호에 개시되어 있는 운반물의 운반장치는 회전 가능한 네 개의 바퀴가 본체 하부면의 모퉁이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올려진 운반물을 수동으로 이동하게 되는 운반물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수동으로 접혔다 세워졌다하여 운반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손잡이구멍이 상기 본체 상부면의 길 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앙 중의 하나에 형성됨과 더불어 측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앙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측방향으로 다른 본체를 연결하게 하는 연결수단이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가장자리부와 측방향의 양측면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브래킷 걸림턱을 형성한 뒤,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의 한쪽이 상기 브래킷 걸림턱에 걸림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브래킷의 다른쪽이 볼트너트에 의해 본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주대를 삽입할 수 있는 적층구멍이 상기 본체의 모퉁이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반물의 운반장치는 측면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물의 종류와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다수의 본체를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또한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중앙바퀴를 설치하기 때문에, 운반물의 하중을 다수의 바퀴가 분산하여 지지하게 되고, 중앙바퀴로 인하여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운반장치를 연결할 때에도 중앙바퀴가 지면에 접촉하므로 다수의 운반장치를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 물체를 운반할 수 없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드럼통 등의 원통체를 운반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상자(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통체(예를 들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드럼통 등)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와, 상기 운반 유니트의 평행 지지대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의 제1 결합구멍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자 또는 원통체를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와, 상기 운반 유니트의 평행 지지대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의 제2 결합구멍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운반하는 적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의하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 상자(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통나무, 드럼통 또는 대형화분 등의 원통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의 적재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을 해제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을 해제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1 결합구멍(4a)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자 또는 원통체(도시하지 않음)를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유니트(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반유니트(10)는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파이프로 이루어진 한쌍의 평행 지지대(1)와,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와, 상기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재(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설치된 받침 대(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된 제1 시건부재(6)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대체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명(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유니트(20)는 하중을 줄이도록 U자 형상으로 배면판(21a)이 커팅되며 상자를 적재해서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부재(21)와, 상기 적재부재(21)의 배면판(21a) 커팅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에 서 로 평행하고, 상기 배면판(21a)에 대해 수직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제2 결합부재(2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결합시에 상기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당접되어 배면쪽으로 밀려남을 방지하도록 양단부에 한쌍의 스토퍼(2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단부에 일직선으로 용접고착된 상부 지지대(23)와,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결합하는 제2 시건부재(2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 중앙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받침부재(2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양측이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결합부재(22)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하부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뒤쪽 하부에 돌출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지지부재(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시건부재(24)는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2a)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대체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24a)와, 상기 원통체(24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재(22)에 형성된 관통공(22a)을 통해서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에 각각의 형성된 제1 결합구멍(4a)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24b)가 형성된 작동봉(24c)과, 상기 작동봉(24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24d)와, 상기 작동봉(24c)의 플랜지(24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24a)의 플랜지(24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24f)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평행 지지대(1)는 다각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평행 지지대(1)는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적재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 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적재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적재 유니트(30)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적재 유니트의 다른 점은 도 4 및 도 5의 적재 유니트(20)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단부에 상부 지지대(23)가 일직선으로 용접고착되어 있으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적재 유니트(30)는 원통체를 작재해서 운반하도록 상부 지지대(33)가 뒤쪽으로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적재 유니트(30)와 도 5에 도시한 적재 유니트(20)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적재 유니트(30)는 하 중을 줄이도록 U자 형상으로 배면판(21a)이 커팅되며 원통체를 적재해서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부재(21)와, 상기 적재부재(21)의 배면판(21a) 커팅부 배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에 서로 평행하고, 상기 배면판(21a)에 대해 수직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제2 결합부재(2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결합시에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당접되어 배면쪽으로 밀려남을 방지하도록 양단부에 한쌍의 스토퍼(3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단부에 뒤쪽으로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게 고착된 상부 지지대(33)와,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결합하는 제2 시건부재(2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 중앙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2 받침부재(2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양측이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결합부재(22)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하부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뒤쪽 하부에 돌출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지지부재(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7e는 상부측이 상기 제2 가로지지대(7a)에 고착되고 하부측이 상기 삽입파이프(7b)에 고착되어 상기 제2 가로지지대(7a)를 평행하게 보강하는 보강 지지대이고, 21b는 상자 또는 원통체를 운반할 때에 상자 또 는 원통체가 적재되는 적재유니트(20)의 바닥판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를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부호표시하지 않음) 내에 한쌍의 삽입파이프(7b)를 각각 끼우고, 제1 시건부재(6)의 손잡이(6d)를 하부쪽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플랜지(6e)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6d)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봉(6c)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나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체(6a)의 선단부가 45도로 경사지게 커팅되어 있으므로,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코일스프링(6f)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6f)의 타측이 원통체(6e)의 내주면에 형성된 플랜지(6e)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6f)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되면서 작동봉(6c)이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상기 손잡이부(7)가 위치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평행 지지대(1)와 상기 손잡이부(7)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적재유니트(20)의 제2 결합부재(22)에 설치된 제2 시건부재(24)의 원통체(24a)의 경사면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24d)를 선회시켜서 원통체(24a)의 경사면 하부에 위치시키면, 코일스프링(24e)의 일측이 작동봉(24c)의 플랜지(24b)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24e)의 타측이 상기 원통체(24a)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 랜지(24e)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스프링(24e)이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되면서 작동봉(24c)의 선단부가 제2 결합부재(22)에 형성된 관통공(22a)을 통과하여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1 결합구멍(4a)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제2 결합부재(2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상부 지지대(23)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해서 형성된 스토퍼(23a)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전면 상부에 각각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각각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적재유니트(20)가 상기 제2 시건부재(24)의 작동봉(24c)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적재부재(21)의 바닥판(21b) 상에 상자를 적재한 후에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손잡이(7c)를 좌ㆍ우측 손으로 각각 잡고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적재부재(21)에 재치된 상자를 특정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반유니트(10)로부터 상기 적재유니트(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시건부재(24)의 원통체(24a)의 경사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24d)를 선회시켜서 상기 원통체(24a)의 경사면의 상부에 위치시키면, 상기 원통체(24a)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4f)이 강제적으로 길게 늘어나면서 상기 제2 시건부재(24)의 작동봉(24c)을 원통체(24a) 내측으로 끌어들임에 따라 상기 작동봉(24c)의 선단부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1 결합구멍(4a) 및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제2 결합부재(22)에 형성된 관통공(22a)으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원통체(24a)내로 들어가며, 이 때, 상기 적재유니트(20)의 상부 지지대(23)을 파지하여 상기 적재유니트(20)를 앞쪽을 향해서 들어 올리면 상기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적재유니트(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원통체를 운반하고 싶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적재 유니트(30)의 다른 실시예를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적재 유니트(30)의 적재부재(21)의 바닥판(21b)에 재치시키면서 상기 배면판(21a)에 당접시키면 상기 적재 유니트(30)의 상부 지지대(33)의 양단부로부터 스토퍼(33a)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상기 스토퍼(33a)가 당접되어 상기 적재 유니트(30)가 배면쪽으로 밀려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재 유니트(30)의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부 지지대(33)가 뒤쪽을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원통체(예를 들면, 드럼통, 항아리, 원통형의 대형화분 또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목재 등)의 운반시에 상기 적재 유니트(30)의 적재부재(21)로부터 굴러 떨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적재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2 결합구멍(4b)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운반하는 적재유니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반유니트(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파이프로 이루어진 한쌍의 평행 지지대(1)와,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와, 상기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된 제1 결합부재(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설치된 받침대(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된 제1 시건부재(6)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상기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대체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유니트(40)는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각각 끼워서 결합되도록 상부에 외측을 향해서 돌기(41a)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 간격유지 앵글(41b)을 개재하여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제1 지지판(41)과,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당접되어 상기 제1 지지판(41)이 상기 돌기(41a)를 중심으로의 선회를 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41)의 상단부에 각각 설 치된 한쌍의 스토퍼(4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각각 끼워진 상기 돌기(41a)에 형성된 관통공(41b)에 끼워져서 한쌍의 상기 제1 지지판(41)으로부터의 상기 돌기(41a)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 핀(43)과, 상기 제1 지지판(41)의 하단부에 연결판체(44)를 개재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관통되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이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지지 앵글(45)과, 상기 지지 앵글(45)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내에 일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기단부측 외주면에 돌출해서 플랜지(46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앵글(45)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중 대칭되는 어느 하나의 한쌍에 각각 삽입되어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운반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봉(46)과, 상기 지지 앵글(45)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앵글(45)의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중 서로 대칭되는 한쌍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46)의 기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46a)에 각각 삽입되는 제2 이탈방지 핀(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 앵글(41b)은 ㄱ자 형상의 앵글, ㄴ자 형상의 앵글, ㄷ자 형상의 앵글, ㅁ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의 앵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를 상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부호표시하지 않음) 내에 한쌍의 삽입파이프(7b)를 각각 끼우고, 제1 시건부재(6)의 손잡이(6d)를 하부쪽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원통체(6a)의 내주면에 플랜지(6e)가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6d)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봉(6c)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나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체(6a)의 선단부가 45도로 경사지게 커팅되어 있으므로,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코일스프링(6f)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6f)의 타측이 원통체(6a)의 플랜지(6e)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6f)이 팽창되면서 작동봉(6c)이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 내로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상기 손잡이부(7)가 위치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평행 지지대(1)와 상기 손잡이부(7)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적재유니트(40)의 제1 지지판(41) 상부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된 상기 돌기(41a)를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각각 끼우고,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을 관통한 상기 돌기(41a)의 선단부에 형성된 관통공(41b) 내에 제1 이탈방지 핀(43)을 각각 삽입하면 상기 돌기(41a)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판(41)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스토퍼(42)가 상 기 운반유니트(10)에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당접되어 상기 제1 지지판(41)에 설치된 상기 돌기(41a)를 중심으로 선회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 앵글(45)의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각각 한쌍씩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관통되며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에 상기 지지 앵글(45)의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한쌍의 지지봉(46)의 기단부를 각각 삽입하면, 기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46b)가 해당하는 관통공의 입구측 둘레에 당접되어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 앵글(45)의 배면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봉(46)의 기단부에 혈성된 관통공(46a) 내에 제2 이탈방지 핀(47)을 각각 삽입하면, 상기 지지봉(46)에 상기 지지 앵글(45)에 고정설치되어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유니트(10)에 상기 적재유니트(40)를 장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46) 상에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 앵글(45)의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상기 제1 관통공(45a)이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앵글(45)의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상기 제2 관통공(45b)이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앵글(45)의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상기 제3 관통공(45c)이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가 균형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봉(46) 상에 재치된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상자(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대형 돌덩어리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드럼통 또는 대형화분 등의 원통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들 설계변경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의 운반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의 적재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1 시건부재의 시건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을 해제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제2 시건부재의 시건을 해제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에 적용되는 적재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적재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평행 지지대 1a : 제1 가로 지지대
1b : 상부 관통구멍 2 : 타이어
2a : 지지축
4 : 제1 결합부재 4a : 제1 결합구멍
4b : 제2 결합구멍 4c : 제3 결합구멍
5 : 받침대 6 : 제1 시건부재
6a : 원통체 6b : 플랜지
6c : 작동봉 6d : 손잡이
6e : 플랜지 6f : 코일스프링
7 : 손잡이부 7a : 제2 가로지지대
7b : 삽입파이프 7c : 손잡이
7d : 관통공 7e : 보강 지지대
10 : 운반유니트 20 : 적재유니트
21a : 배면판 21 : 적재부재
22 : 제2 결합부재 22a : 관통공
23 : 상부 지지대 23a : 스토퍼
24 : 제2 시건부재 24a : 원통체
24b : 플랜지 24c : 작동봉
24d : 손잡이 24e : 플랜지
24f : 코일스프링 25 : 제1 받침부재
26 : 지지부재 33 : 상부 지지대
33a : 스토퍼 40 : 적재유니트
41 : 제1 지지판 41a : 돌기
41b : 간격유지 앵글 42 : 스토퍼
43 : 제1 이탈방지 핀 44 : 연결판체
45 : 지지 앵글 45a : 제1 관통공
45b : 제2 관통공 45c : 제3 관통공
46 : 지지봉 46a : 관통공
46b : 플랜지 47 : 제2 이탈방지 핀

Claims (10)

  1.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1 결합구멍(4a)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자 또는 원통체를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유니트(20,30)로 구성되며,
    운반유니트(10)는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평행 지지대(1)는 파이프로 이루어고, 타이어(2)는 한쌍의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결합부재(4)는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되고,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받침대(5)의 길이방향 양측이 설치되며,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제1 시건부재(6)가 형성되고,
    손잡이부(7)는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각각 고착되며, 선단부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니트(20)는 하중을 줄이도록 U자 형상으로 배면판(21a)이 커팅되며 상자를 적재해서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부재(21)와, 상기 적재부재(21)의 배면판(21a) 커팅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에 서로 평행하고, 상기 배면판(21a)에 대해 수직되게 각각 고착된 한쌍의 제2 결합부재(2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결합시에 상기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당접되어 배면쪽으로 밀려남을 방지하도록 양단부에 한쌍의 스토퍼(2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단부에 일직선으로 고착된 상부 지지대(23)와,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한쌍의 상기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결합하는 제2 시건부재(2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 중앙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받침부재(2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양측이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결합부재(22)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하부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뒤쪽 하부에 돌출되게 각각 고착된 한쌍의 지지부재(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니트(30)는 하중을 줄이도록 U자 형상으로 배면판(21a)이 커팅되며 원통체를 적재해서 운반하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적재부재(21)와, 상기 적재부재(21)의 배면판(21a) 커팅부 배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에 서로 평행하고, 상기 배면판(21a)에 대해 수직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제2 결합부재(2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에 결합시에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의 평탄면에 당접되어 배면쪽으로 밀려남을 방지하도록 양단부에 한쌍의 스토퍼(3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단부에 뒤쪽으로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게 고착된 상부 지지대(33)와,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재(22)를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결합하는 제2 시건부재(24)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배면판(21a)의 뒤쪽 중앙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2 받침부재(25)와, 상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받침대(5)에 양측이 지지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결합부재(22)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하부 및 상기 적재부재(21)의 뒤쪽 하부에 돌출되게 각각 용접고착된 한쌍의 지지부재(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건부재(24)는 상기 제2 결합부재(22)의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2a)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24a)와, 상기 원통체(24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재(22)에 형성된 관통공(22a)을 통해서 상기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에 각각의 형성된 제1 결합구멍(4a)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24b)가 형성된 작동봉(24c)과, 상기 작동봉(24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24d)와, 상기 작동봉(24c)의 플랜지(24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24a)의 플랜지(24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24f)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7.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타이어(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유니트(10)와,
    상기 운반 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된 제1 결합부재(4)의 제2 결합구멍(4b)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운반하는 적재유니트(40)로 구성되며,
    운반유니트(10)는 다수의 제1 가로 지지대(1a)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평행 지지대(1)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타이어(2)는 한쌍의 평행 지지대(1)의 하부에 지지축(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제1 결합부재(4)는 평행 지지대(1) 앞쪽 중앙에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게 제1 내지 제3 결합구멍(4a,4b.4c)이 각각 형성되며,
    평행 지지대(1)의 하단부에 받침대(5)의 길이방향 양측이 설치되고,
    평행 지지대(1)의 상부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제1 시건부재(6)가 형성되며,
    손잡이부(7)는 평행 지지대(1)의 상부 관통구멍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도록 제2 가로지지대(7a)에 의해 하측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 한쌍의 삽입파이프(7b)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부에 손잡이(7c)가 설치되고 평행 지지대(1)에 설치된 제1 시건부재(6)의 작동봉(6c)이 각각 삽입되어 한쌍의 삽입파이프(7b)를 위치고정시키도록 한쌍의 삽입파이프(7b) 내측에 서로 대향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7d)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건부재(6)는 상기 운반유니트(10)의 평행 지지대(1) 내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 둘레의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서 수직되게 용접고착되며, 선단부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커팅된 원통체(6a)와, 상기 원통체(6a) 내에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평행 지지대(1)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b)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부(7)의 삽입파이프(7b) 안쪽을 향해서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공(7d)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선단부 외주면에 플랜지(6b)가 형성된 작동봉(6c)과, 상기 작동봉(6c)에 선회가능하게 나합된 손잡이(6d)와, 상기 작동봉(6c)의 플랜지(6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원통체(6a)의 플랜지(6e)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6f)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니트(40)는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각각 끼워서 결합되도록 상부에 외측을 향해서 돌기(41a)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 간격유지 앵글(41b)을 개재하여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제1 지지판(41)과,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각각 당접되어 상기 제1 지지판(41)이 상기 돌기(41a)를 중심으로의 선회를 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41)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스토퍼(42)와, 상기 운반유니트(10)의 제1 결합부재(4)에 형성된 제2 결합구멍(4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각각 끼워진 상기 돌기(41a)에 형성된 관통공(41b)에 끼워져서 한쌍의 상기 제1 지지판(41)으로부터 의 상기 돌기(41a)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 핀(43)과, 상기 제1 지지판(41)의 하단부에 연결판체(44)를 개재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 중심선(L)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관통되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이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지지 앵글(45)과, 상기 지지 앵글(45)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내에 일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기단부측 외주면에 돌출해서 플랜지(46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앵글(45)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중 대칭되는 어느 하나의 한쌍에 각각 삽입되어 바위 또는 부정형의 물체를 운반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봉(46)과, 상기 지지 앵글(45)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앵글(45)의 제1 내지 제3 관통공(45a,45b,45c) 중 서로 대칭되는 한쌍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46)의 기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46a)에 각각 삽입되는 제2 이탈방지 핀(4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KR1020090052381A 2009-06-12 2009-06-12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KR10111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81A KR101110474B1 (ko) 2009-06-12 2009-06-12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81A KR101110474B1 (ko) 2009-06-12 2009-06-12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696A KR20100133696A (ko) 2010-12-22
KR101110474B1 true KR101110474B1 (ko) 2012-01-31

Family

ID=4350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81A KR101110474B1 (ko) 2009-06-12 2009-06-12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2859B (zh) * 2013-04-08 2016-12-28 青岛鼎玺建筑科技有限公司 多功能手推车
CN106184300A (zh) * 2016-07-25 2016-12-07 苏阳 一种搬运路缘石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219A (ko) * 2002-10-04 2004-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매연 저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31219Y1 (ko) * 2006-08-26 2006-11-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핸드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219A (ko) * 2002-10-04 2004-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매연 저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31219Y1 (ko) * 2006-08-26 2006-11-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핸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696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7301C (en) Mobile load support
US20150028616A1 (en) Industrial cart with interchangeable accessories
US20140227074A1 (en) Pole carrying device and method
JP2009502631A (ja) 回転式ブラケットアセンブリ
CA2688058C (en) Versatile material handling system
CN101362464A (zh) 带有轮锁的推车
KR101110474B1 (ko) 다목적용 조립식 수동 운반장치
US20110095498A1 (en) Adjustable door and panel carrier
US7699576B2 (en) Tire lifting and mounting tool
JP2004067206A (ja) 運搬用パレット
US8474856B2 (en) Wheelable loadbearing and leveraging frame apparatus
JP4478064B2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台車
KR101119190B1 (ko) 다목적 용기 수동 운반장치
US20050199561A1 (en) Lockable motorcycle stand
US1734778A (en) Pick-up truck
JP2004331114A (ja) ロール積載用パレット及びロール積載構造
US3058770A (en) Material handling platform
JP3219480U (ja) 組立式テーブル
JPH07237693A (ja) 輸送用コンテナ
JP5735735B2 (ja) 運搬用スキッド
JP2005153931A (ja) リターナブルケース
JP2020116970A (ja) 転倒防止用治具
AU2017239560B2 (en) A multi purpose mono-wheel barrow
JP2002145378A (ja) 二輪車輸送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JP2017007601A (ja) 手押し一輪車用転倒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