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422B1 -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422B1
KR101116422B1 KR1020067008935A KR20067008935A KR101116422B1 KR 101116422 B1 KR101116422 B1 KR 101116422B1 KR 1020067008935 A KR1020067008935 A KR 1020067008935A KR 20067008935 A KR20067008935 A KR 20067008935A KR 101116422 B1 KR101116422 B1 KR 10111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dy current
workpiece
current sensor
width
sof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136A (ko
Inventor
라이너 베이커
미첼 디스큐
앤드리 야산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06012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mechanical hardness, e.g. by investigating saturation or remanence of ferromagnetic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주파 와전류 센서(4)를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영역(2)과 하나의 비경화 영역(3)을 갖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1)의 연화 존 영역(3)의 길이를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물이 배치되는 한편,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대해 각 시간마다 분리되며, 이에 의해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장은 공간적으로 경계 정해진 방식으로 공작물(1)과 비접촉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그 내부에서 와전류를 발생하고, 다음에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서 측정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의해 공간적으로 경계 정해진 와전류장은 공작물 표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배향되고 공작물 표면을 따라 연화 존 영역(3)의 최대 연장부(b) 보다 더 큰 가장 큰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작물의 수(n)는 캘리브레이션 목적을 위해 측정되고, 이에 의해 n개의 공작물들의 측정 신호들은 연화 존 폭의 예정된 표준 사이즈, 즉 캘리브레이션 곡선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작물 표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연화 존 영역의 연장부의 특정 사이즈를 가정하는 동안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베이스로서 캘리브레이션 곡선을 취하는 동안 절대 연화 존 폭(b)은 각 개별 공작물(1)로부터 얻어진 측정 신호들에 할당된다.
공작물, 다주파 와전류 센서, 연화 존 영역, 경화 존, 측정 신호, 유성 치차 볼트

Description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THE LENGTH OF A SOFT ZONE AREA OF A PARTIALLY HARDENED WORKPIE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주파 와전류(multifrequency eddy current) 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영역 및 하나의 비경화 영역을 갖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workpiece)의 연화 존(soft zone)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들에서 종종 사용되는 부품들은 기어 톱니가 연속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소위 유성 변속기들이다. 다수의 다르게 설계된 유성 변속기들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든 형태의 변속기들은 유성 치차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중심적으로 배치된 태양 치차와 외주에 배치된 링 기어 치차와 서로 맞물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소위 유성 치차 볼트들은 양 측면상에서 연장하는 유성 치차들의 중심을 통해 이어진다. 상기 형태의 유성 치차 볼트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중실 또는 중공 원통형 금속 로드들은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재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절결된 원통형 편들은 경화 공정에 따른다. 독립 원통형 공작물들의 전방 단부의 연속 공정에 의해, 각 전방 단부들은 경화 공정에 따르지 않는다. 공작물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 원통형 공작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공지된 유도 경화 공정이 공작물을 경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화 공정에 의도적으로 따르지 않는 공작물의 전방 단부 영역은 공작물의 각 사이즈에 따라 수 밀리미터, 적합하게는 1.5㎜ 내지 2.5㎜ 사이의 각각의 폭의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상술한 방법에서 부분적으로 경화된 원통형 공작물들의 전방 단부는 통상 재료 제거 공정에 의해 처리된다. 공작물이 완전히 경화된다면 마무리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고 제거 공구가 훨씬 더 많이 마모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부분적으로 경화된 상술한 조건 하에서 부분적 경화시에 특히 흥미롭고, 원통형 공작물들은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들의 전방 단부가 경화되지 않고 남아있는 소위 "연화 존 영역(soft zone area)"에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제품으로써 존재한다.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경화된 반제품들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방 연화 존 영역들의 가시 검사와 같은 공지된 제어 방법으로서 비경화 제품으로부터 공작물의 경화된 영역을 구별하기 위하여 주시 감시를 요구한다. 적합한 시각에서 그리고 적합한 광 조건들 하에서, 약간의 다른 방법으로 광은 경화된 공작물의 표면 영역에서보다 연화 존 영역의 표면상에서 반사되어 각각 분산된다. 확실하게는, 이러한 제어 방법은 값 비싸고 시간 소모적이다. 더욱이 제어 스태프(staff)는 지치게 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제어 신뢰성은 소정 방식으로는 보장되지 않는다.
스태프의 이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하나의 공지된 광학 제어 측정 방법은 연화 존 영역이 경화된 영역과 다른 이유로 인해 색상 차이들을 검출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광학적 방법에 부가하여, 전자기 방법은 예를 들어 DE 36 20 491 C2에 개시된 다주파 와전류 방법으로 공지되어 있다. 와전류 원리는 유도된 와전류에서 불규칙으로부터 미세 구조의 차이 뿐만아니라 표면 흠결을 검출한다. 프로브들을 스캔하거나 에워싸서 이들 와전류를 유도하고, 동시에 이들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을 측정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다주파 와전류에 의해 얻어진 측정 신호들의 평가는 다수의 측정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임피던스 평면에서 타원형 평가에 의거하고, 시험되는 공작물의 단일 품질 조사를 허용한다. 제안된 평가 방법에 대해, 연화 존 영역의 절대값 사이즈를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고주파수 바르크하우젠(barkhausen) 진동이 동적 역 자화 공정에 의해 시험될 공작물로 유도되는 소위 자기 바르크하우젠 소음 방법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고주파수 바르크하우젠 진동은 자기 유도 리시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바르크하우젠 소음의 강도는 두개의 공작물 영역들에서의 차이를 식별하고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경화된 존 영역에서 보다 연화 존 영역에서 훨씬 더 강하다. 그러나, 외부 영향의 방해에 크게 민감함 및 여자 요크의 필요성이 단점이고, 제한된 범위에서만 상기 형태 방법을 산업적 사용으로 허용한다.
DE 43 10 894 A1에는 전도성 공작물들의 표면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방법과 테스팅 프로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테스팅 프로브는 전도성 공작물의 미세 구조의 경도, 두께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공작물에서 작용하는 자기 변경 자장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측정가능한 전압은 다주파 변경 자장 센서의 테스팅 코일에 유도된다.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 부가하여, 정보는 자기 변경 자장의 침투 깊이 영역에서 시험된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 특성에 관해서 얻어진다. 특히, 시험될 전도성 공작물을 따른 경도 프로파일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은 공작물 상에서 각 표면층들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사이즈를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공작물은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 적합하게는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에 의해 반제품 형태로 존재하는 유성 치차 볼트들의 연화 존 영역의 신속하고 정확한 정량 결정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주파 와전류 센서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영역 및 하나의 비경화 영역을 갖는다. 산업적 스케일상에서 그리고 인라인 작동, 즉 연속적으로 또는 펄스된 작동 생산 라인에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화 존 영역이 측정되어야만 하는 정량 측정은 ±3㎜의 정밀도 만큼 충분하게 정확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상기 목적의 해결책은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더 진보시킨 특징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고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한 다른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일반적인 특정에 따른 방법은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장이 공간적으로 경계 정해진 방식으로 공작물과 비접촉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그 내부에서 와전류를 발생하고, 다음에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서 측정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 대해 공작물이 개별적으로 각각 이동되며, 이 경계 정해진 와전류장은 공작물의 표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가장 큰 연장부를 갖고, 이 연장부는 공작물의 표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연화 존 영역의 최대 연장부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측정의 전제 조건들에 대해, 제 1 단계에서 상기 목적은 측정되는 공작물들의 그룹으로부터 적합하게 되는 다수 개(n)의 공작물들부터 얻어진 캘리브레이션(교정) 데이타를 발생하는 것이다. 연화 존의 폭의 예정된 표준 사이즈, 즉 공작물의 표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연장부의 소정 사이즈를 가정하면, n개의 공작물의 측정 신호는 캘리브레이션 곡선(calibration curve)을 그리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캘리브레이션 곡선을 사용하면, 연속적으로 운반된 공작물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캘리브레이션 곡선에 의거하여, 이렇게 얻어진 측정 신호들은 각각 절대 연화 존 영역에 할당된다. 즉 측정 신호는 연화 존 영역의 사이즈에 완전히 일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제 1 단계에서, 동적 캘리브레이션, 즉 절대값으로 표시되는 연화 존 영역의 형태에서 소정 사이즈들과 측정 신호값들을 상호 관련시키고, 공작물을 운반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펄스된 방식으로 측정 센서에 측정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단계에서, 다주파 측정 센서로 운반되는 후속하는 공작물들 모두의 연화 존 폭들은 고정밀도로 정량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전도된 품질 제어가 완전히 비접촉일 때에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공작물들의 유동에 영향을 미침없이 산업적 생산 라인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들 전방 단부상에 제공되는 원통형 형상과 두 개의 연화 존 영역들을 갖는 반가공 제품들로서 유성 치차 볼트들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에 참조로 기술된다. 전방 단부 존 영역들은 축방향으로 더 길게 치수화되는 경화된 중간 영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물론, 본 발명은 경화된 또는 비경화 공작물 영역의 정확한 공간 연장부에 관한 정보가 적절한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들을 변경하기 위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고 적합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발명 개념을 제한함 없이 하기 실예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
도 1은 다주파 와전류 센서를 갖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유성 치차 볼트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측정되는 공작물과 다주파 센서 사이에 한정된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진폭 위치 곡선의 정량적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성 치차 볼트 2 : 경화된 존(영역)
3 : 연화 존(영역) 4 : 다주파 와전류 센서
도 1은 통상 중실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유성 치차 볼트(1)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유도성 경화에 의해 볼트(1)의 중간 영역에서 경화 존(2)을 갖는다. 도 1은 측정 위치의 전방 뿐만 아니라 후방 양측을 도시한다. 양 측면상의 경화된 영역(2)에 대한 부속물은 비경화 영역들, 소위 연화 존 영역들(3)이고, 이들은 유성 치차 볼트(1)의 전방 단부에서 종결된다. 유성 치차 볼트(1)의 형상과 치수에 따르면, 연화 존 영역들(3)은 축선 길이방향 연장부, 즉 1.5㎜ 내지 2.5㎜ 사이의 범위에서 연화 존 폭(b)을 통상 갖는다.
연화 존 폭(b)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폭(b)을 아는 것은 연속적인 처리 공정을 위해 중요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반제품으로서 존재하는 유성 치차 볼트의 외부 형상을 예를 들어 연화 존 영역(3) 내측에서 선택적인 재료를 제거함으로서, 결정한다. 다주파 와전류(multifrequency eddy current) 센서(4)를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유성 치차 볼트(1)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임의의 거리로 이동된다. 산업 분야에서 다주파 와전류 센서(4)가 제위치에 놓여 있고 측정되는 공작물들이 컨베이어 통로를 따라 센서 영역으로 단독으로 운반된다면 양호하다.
다주파 와전류 센서(4)는 이동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배향된 유효 폭을 유지한다. 이 유효 폭이 연화 존 폭(b)의 축방향 연장부 보다 더 커서,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장은 유성 치차 볼트(1)에 대해 알맞게 위치 설정되어 연화 존 영역(3)에 걸쳐 완전하게 연장한다.
연화 존 폭(b)의 정확한 결정을 위해, 측정 배열(constellation)에서는 다주파 와전류 센서(4)가 연화 존 영역(3)에 걸쳐 완전하게 연장하여 설치되어야 하고,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장이 연화 존 영역(3)에 인접한 경화된 영역의 부분 영역을 동시에 침투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상술한 측정 배열 형태를 도시한다.
다주파 와전류 센서(4)와 유성 치차 볼트(1) 사이에서의 상대 이동이 일정한 속도로 일어날 때에, 측정 배열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 배열의 시간 지점은 연화 존 폭(b)의 측정이 가능하게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의해 측정 신호들의 검출은 다수의 단일 측정 신호들이 검출되는 펄스 방식으로 발생하는 한편, 와전류 측정 센서(4)는 유성 치차 볼트(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한다. 다주파 와전류 센서(4)는 결국 4개의 측정 신호들이 측정 지점 당 얻어지도록 4개의 다른 테스트 주파수들을 갖는 양호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복잡한 임피던스 레벨에서 다른 평가를 위해, 측정 신호들은 위상과 진폭에 따라 실수와 허수 부분으로 각각 분리된다. 따라서, 측정 지점당 신호 평가를 위한 배치에서 8개의 다른 측정 신호 부품들이 있다.
유성 치차 볼트(1)에 대해 축 방향으로 표면을 따라 다주파 와전류 센서(4)의 상대 이동 중에 얻어지는 측정 신호들로부터, 얻어진 측정 신호들은 각 측정 주파수를 위한 진폭 로커스(locus) 곡선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진폭 로커스 곡선(X축이 로커스 좌표에 대응하고, 측정 신호의 진폭 레벨들이 Y축에 따라 그려짐)은 연화 존 폭(b)을 측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술한 측정 배열에서 얻어지는 측정 신호의 정확한 추출을 허용한다. 진폭 로커스 곡선으로부터 측정 평가를 위한 적합한 측정 신호의 각각의 결정 선택은 센서와 공작물 간의 상대 속도가 충분하게 일정하다면 경험적으로 얻어진 데이타에 의거하여 발생한다.
측정 신호가 좌측 연화 존(3)과 같이 도 1에 도시된 연화 존의 폭을 결정하기 위해 추출되는 바와 같은 방식에서, 연화 존의 폭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측정 신호는 도 1에서 우측 연화 존(3)을 위해 또한 유도된다.
상기 설명은 다주파 와전류 센서(4)와 측정되는 유성 치차 볼트(1) 사이에서의 상대적 공간 위치가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단독으로 사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도시한다.
진폭 및 위상 데이타로서 표시되는 얻어진 측정 신호들이, 예를 들어 절대 mm 값을 얻으므로써 정확한 폭 값들(b)에 할당되기 전에, 측정 신호들은 본 발명에 따라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대해 측정되는 유성 치차 볼트들의 정상 제조 운반중에 동적으로 실행되어 캘리브레이션되어야 한다. 반제품으로 존재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유성 치차 볼트들은 소위 오케이 부품(Okay part)인, 즉 공지된 정확하게 치수 설정된 연화 존 폭들(b)을 갖는 유성 치차 볼트들을 제공하고, 다주파 와전류 센서(4)에 대해 운반된 공작물들의 제 1 n개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선택된다. 단일 유성 치차 볼트들은 적합한 방식으로 캘리브레이션 목적을 위해 측정되고, 유성 치차 볼트들은 절대 연화 존 폭들(b)과 상호 관련되는 측정 신호들을 양산하는 상술한 방식으로 항상 측정된다. 예를 들어, 진폭 로커스 곡선으로부터 유성 치차 볼트(1)의 좌측 전방 단부에 인접한 연화 존 폭(b)을 나타내는 측정 신호를 추출하기 위하여, 지점 P1은 경험적으로 얻어진 데이타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지점 P1과 최소값 사이에 놓인 측정 신호들의 수는 경험적으로 선택된다. 우측 연화 존의 폭을 나타내는 지점 P2의 선택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캘리브레이션 곡선의 요구를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측정 지점은 유성 치차 볼트의 중심에서, 즉 경화된 존(2)의 중심에서 측정 신호를 검출함으로서 양산된다. 이 측정 신호(P3)는 진폭 로커스 곡선의 최소와 최대 사이에 배치된다. 이 영역이 연화 영역을 함유하지 않는 확실성으로 가정될 때에, 연화 존 폭(b)은 영(0)과 동일하다. 이들 두개의 측정 값들에 의거하여, 캘리브레이션 곡선이 그려지고, 후속하는 유성 치차 볼트들의 다른 측정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이미 측정된 유성 치차 볼트들을 운송 방향으로 따르는 모든 유성 치차 볼트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그러나 얻어진 캘리브레이션 곡선에 의거하여 그들 연화 존 폭들(b)에 대해 측정된다. 이것은 한정된 측정 배열상에서 얻어진 측정 신호들을 캘리브레이션 곡선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연화 존(3)에 관한 폭 값들에 할당함으로써 행해진다.
측정 정밀도를 더 상승시키기 위하여, 캘리브레이션 목적을 위해 사용된 유성 치차 볼트들은 종래의 측정 방법들을 사용하는 그들 각 연화 존 값들(b)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종래의 측정 방법, 예를 들어 연화 존이 경화된 존으로부터 색상에 있어서 명백하게 다른 에칭된 볼트들의 연화 존 폭의 가시 측정이 동적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얻어진 측정 신호로부터 편향된다면, 캘리브레이션 곡선은 그에 따라서 보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부가하여, 유성 치차 볼트들은 순간적으로 60 유성 치차 볼트들까지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송 경로를 따라 다주파 와전류 센 서로 운반될 것이다. 이러한 측정은 연화 존의 폭 값에 관해 ±0.3㎜의 양적 정밀성으로 전도될 것이다. 테스팅 방법의 이러한 엄청나게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은 매우 낮은 유사 거절 비율로 초래되고,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간극 범위 외측에서 잘못 평가되는 측정된 유성 치차 볼트들의 부품을 제공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다주파 와전류(multifrequency eddy current) 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영역 및 하나의 비경화 영역을 갖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workpiece)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일 공작물을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동시켜서, 다주파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공간적으로 경계 정해진 와전류장이 비접촉식으로 공작물과 상호 작용하여 그 내부에서 와전류를 발생하고, 다음에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서 측정 신호를 발생하며, 여기서 상기 공간적으로 경계 정해진 와전류장이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가장 큰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공작물의 표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화 존 영역의 최대 연장부 보다 더 크며,
    캘리브레이션 목적을 위한 다수 n개의 공작물을 측정하고, 상기 n개의 공작물의 측정 신호들을 상기 연화 존의 폭의 예정된 표준 사이즈를 사용하는 캘리브레이션 곡선을 그리기 위해 활용하며,
    절대값 연화 존 영역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에 의거해서 각 독립 공작물로부터 얻어진 상기 측정 신호들을 할당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들을 원통형으로 설계하고 상기 원통형 축선을 따라 상기 와전류 센서에 대해 이동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들은 경화된 중간 영역에 의해 분리된 그 전방 단부상에 놓여 있는 원통형 기하학적 두 개의 연화 영역들을 갖는 유성 치차 볼트들이고, 상기 중간 영역은 통상적으로 1.5㎜ 내지 2.5㎜의 각각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 연화 존 영역들 보다 큰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주파 와전류 센서는 다주파 센서에 대해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공작물의 측정 중에, 다수의 측정 신호들이 진폭 로커스 곡선으로 발생되고 그려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진폭 로커스 곡선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측정 배열이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공작물은 상기 다주파 와전류 센서에 대해 한정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위치에서 측정 신호는 연화 존의 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기록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위치는 상기 다주파 와전류 센서의 와전류장이 이동 방향에 대해 적어도 길이 방향 연장부로 상기 연화 존 영역을 완전하게 함 유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위치는 상기 진폭 로커스 곡선의 평가에 의해 단독으로 결정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4개의 다른 테스팅 주파수들과 함께 작동가능한 다주파 와전류 센서는 다주파 와전류 센서로서 사용되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금속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08935A 2003-11-10 2004-09-15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116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2422A DE10352422B3 (de) 2003-11-10 2003-11-10 Verfahren zur quantitativen Längenbestimmung eines Weichzonenbereiches eines teilgehärteten Werkstückes
DE10352422.3 2003-11-10
PCT/EP2004/010287 WO2005052568A1 (de) 2003-11-10 2004-09-15 Verfahren zur quantitativen längenbestimmung eines weichzonenbereiches eines teilgehärteten werkstück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136A KR20060123136A (ko) 2006-12-01
KR101116422B1 true KR101116422B1 (ko) 2012-03-07

Family

ID=3435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935A KR101116422B1 (ko) 2003-11-10 2004-09-15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3423B2 (ko)
EP (1) EP1682884B1 (ko)
JP (1) JP2007510916A (ko)
KR (1) KR101116422B1 (ko)
DE (2) DE10352422B3 (ko)
WO (1) WO2005052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5715A1 (de) * 2000-09-15 2002-03-28 Busch Dieter & Co Pruef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üfung eines Werkstücks mittels Wirbelströmen
DE102006043554A1 (de) * 2006-09-12 2008-03-27 Mannesmann Dmv Stainless Gmbh Verfahren zur zerstörungsfreien Qualitätskontrolle mechanisch verfestigter Oberflächen austenitischer Stahlrohre
US8436608B2 (en) * 2009-09-21 2013-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Eddy current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EP2383056B1 (en) * 2010-04-28 2016-11-30 Nemak Dillingen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 contact metal sensing device
JP5615161B2 (ja) * 2010-12-24 2014-10-29 高周波熱錬株式会社 焼入範囲検出方法及び焼入範囲検査方法
DE102011122145A1 (de) * 2011-12-22 2013-06-27 Imo Holding Gmbh Wälzlageranordnung mit geneigt verlaufenden Härtezonen
US10585185B2 (en) 2017-02-03 2020-03-10 Rohde & Schwarz Gmbh & Co. Kg Security scanning system with walk-through-g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3150B1 (de) 1996-09-27 2003-11-26 Wilfried Dr.-Ing. Reimche Messverfahren und Messvorrichtung zur Materialcharakterisierung von Halbzeugen und Maschinenbauteil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873A1 (de) * 1977-09-05 1979-03-08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zerstoerungsfreien werkstoffpruefung nach dem wirbelstromverfahren
DE3620491A1 (de) * 1986-06-19 1987-12-23 Herbert Baumgartner Verfahren zur pruefung bzw. bestimmung von werkstoffen bzw. werkstoffeigenschaften mit einem wirbelstrom-pruefgeraet
JP2523379B2 (ja) * 1989-09-22 1996-08-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金属内異質層検出装置
JPH03160361A (ja) * 1989-11-17 1991-07-10 Sumitomo Metal Ind Ltd 鋼材の変態量測定装置
DE4310894A1 (de) * 1993-04-02 1994-10-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Prüfsonde zum zerstörungsfreien Untersuchen von Oberflächen elektrisch leitfähiger Werkstoffe
DE4327712C2 (de) * 1993-08-18 1997-07-10 Micro Epsilon Messtechnik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Eigenschaften der Oberflächenschicht eines metallischen Targets
JP3739118B2 (ja) * 1995-09-28 2006-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焼入硬化層深さの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H09257734A (ja) * 1996-03-26 1997-10-03 Nippon Steel Corp 鋼材の脱炭測定装置および方法
DE19620053C1 (de) * 1996-05-18 1997-08-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zerstörungsfreien Untersuchen der Oberflächenschicht elektrisch leitfähiger Werkstücke
JPH10232107A (ja) * 1996-11-13 1998-09-02 Kubota Corp 窯業系板状体の品質測定装置
JPH10206395A (ja) * 1997-01-24 1998-08-07 Ntn Corp 渦電流方式の非破壊検出方法
JPH11153581A (ja) * 1997-11-21 1999-06-08 Kawasaki Steel Corp 焼鈍中の鋼板の回復・再結晶の進行度のオンライン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並びに鋼板の連続焼鈍方法
US6287009B1 (en) * 1998-03-06 2001-09-11 Nsk Ltd. Rolling bearing unit with rotation speed detection instrument for use in cars and method for working outer race for use in this bearing unit
JP4192333B2 (ja) * 1999-04-20 2008-1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の変態層厚さ計測方法
JP4817575B2 (ja) * 1999-12-23 2011-11-16 ケーエルエー−テン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渦電流測定を利用して、メタライゼーション処理を実状態で監視する方法
JP2002014081A (ja) * 2000-06-30 2002-01-18 Sensor System Kk 焼入深度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156366A (ja) * 2000-11-17 2002-05-31 Hitachi Metals Ltd 球状黒鉛鋳鉄部材の検査方法
US6576877B2 (en) * 2001-09-14 2003-06-10 The Boeing Company Induction processing with the aid of a conductive shield
JP2003139745A (ja) * 2001-10-31 2003-05-14 Sensor System Kk 焼入硬度測定装置及びその設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3150B1 (de) 1996-09-27 2003-11-26 Wilfried Dr.-Ing. Reimche Messverfahren und Messvorrichtung zur Materialcharakterisierung von Halbzeugen und Maschinenbau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73355A1 (en) 2007-11-29
JP2007510916A (ja) 2007-04-26
KR20060123136A (ko) 2006-12-01
DE502004010329D1 (de) 2009-12-17
WO2005052568A1 (de) 2005-06-09
DE10352422B3 (de) 2005-04-21
EP1682884A1 (de) 2006-07-26
US7423423B2 (en) 2008-09-09
EP1682884B1 (de)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456B1 (ko) 와이어 로프 검사 장치, 와이어 로프 검사 시스템 및 와이어 로프 검사 방법
EP0125064B1 (en) Method for detecting stress and defect in a metal piece
JP2720389B2 (ja) 部品の固有応力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6628404B1 (en) Acoustic sensor for real-time control for the inductive heating process
JP2009282027A6 (ja) 導電性材料からなる試験対象物における特に亀裂の渦電流表示を判定して評価する方法
JP2009282027A (ja) 導電性材料からなる試験対象物における特に亀裂の渦電流表示を判定して評価する方法
US8274280B2 (en) Device and process for nondestructive and noncontact detection of faults in a test piece
JP4975142B2 (ja) 渦流計測用センサ及び渦流計測方法
KR101116422B1 (ko) 부분적으로 경화된 공작물의 연화 존 영역의 폭을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1521762B1 (ko) 금속 제조 공정에서 금속 재료들에서의 크랙 검출을 위한 배열체
RU2204129C2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площади поперечного сечения и обнаружения локальных дефектов протяженных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объе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9036682A (ja) 渦電流センサ、硬化層深さ検査装置及び硬化層深さ検査方法
EP3139161B1 (en) Multi-element sensor array calibration method
JP6618046B2 (ja) 鋼材製品の表面特性検査方法及び表面特性検査装置
JP4831298B2 (ja) 焼き入れ深さ測定装置
JP3739118B2 (ja) 焼入硬化層深さの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13224916A (ja) 研削焼け判定装置および研削焼け判定方法
JPH0628690Y2 (ja) 金属板の欠陥検出装置
Santa-aho et al. Case depth verification of hardened samples with Barkhausen noise sweeps
JP2011047716A (ja) 渦流式検査装置、及び、渦流式検査方法
Dobmann et al. Development and qualification of the Eddy-Current testing techniques “EC” and “EC+” in combination with Leeb-Hardness-Measurements for detection and verification of hardness spots on heavy steel plates
JPH10293121A (ja) 微小きずの検出性能に優れた磁気探傷センサ
JPH11271278A (ja) 鋼材の欠陥検出方法
JP5365938B2 (ja) 金属材料の異材判定方法及び装置
JP5615161B2 (ja) 焼入範囲検出方法及び焼入範囲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