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162B1 -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162B1
KR101109162B1 KR1020090103563A KR20090103563A KR101109162B1 KR 101109162 B1 KR101109162 B1 KR 101109162B1 KR 1020090103563 A KR1020090103563 A KR 1020090103563A KR 20090103563 A KR20090103563 A KR 20090103563A KR 101109162 B1 KR101109162 B1 KR 10110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itake
hot water
syrup
gujeolcho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870A (ko
Inventor
김광상
김경제
반승언
김현석
진성우
박철희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장흥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흥군 filed Critical 장흥군
Priority to KR102009010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조청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 및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증점제, 저당용, 표고 조청

Description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Grain syrup comprising shiitake mushroom extract for reducing sucrose cont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조청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 및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은 영양가가 많고 단백질의 소화율도 아주 높은 영양 식품으로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으며, 최근에 고혈압 강하물질 및 항암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지면서 보건 식품으로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혈청 지질을 분해하는 성분이 있어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 성인병 예방과 개선의 식이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조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칼로리가 적은 다이어트 식품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으며,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버섯 중의 하나이다. 또한 칼슘과 인이 풍부하며, 빈혈을 치료할 수 있을 정도의 철분 등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 B1, B2 등의 비타민 복합체 외에 니코틴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변비의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한다.
표고버섯은 당질 중 항종양성과 면역을 증강시키는 Letinan을 비롯한 다당류와 혈압을 강하시키는 에리타데닌, 비타민 D의 모체인 erg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와 이용을 촉진시켜 주며, 구루병을 예방해준다. 또한 표고버섯에는 맛을 좌우하는 구아닐산, 아데닐산이 들어있어 채소와 함께 조리하면 그 맛이 좋아진다.
엿은 당분을 함유한 곡물과 맥아를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열을 가하여 제조한 우리나라 고유의 식품이다. 고움 정도에 따라 '고우지 않은 식혜', '물엿의 일종인 조청', '완전히 굳혀 제조된 엿'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생표고의 경우 수분함량이 높아 쉽게 변질되는 단점과, 출하가 많아졌을 경우 소비와 공급의 적절한 균형이 맞지 않아 가격의 폭락으로 생산농가에 막대한 손실을 주기도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손실을 막기 위해 적절한 건조, 저장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제품의 품질 감소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저장비용을 감수해야만 한다. 따라서 출하조절을 위한 가공기술의 개발이 필요한데 버섯을 이용한 가공품으로는 스낵, 음료, 술, 통조림 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이것 또 한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국내에서는 출하조절기반이 미약하여 홍수출하에 따른 가격하락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특히 버섯은 85~95%의 수분을 함유한 식품으로 생버섯으로는 장기간 저장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성과 생버섯으로의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등외품 처리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문화, 생활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욕구는 매우 다양해졌다. 모든 사람들이 건강을 중요시하고 저칼로리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기존 제품에 변화를 주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엿과 조청은 전통적인 식품으로서, 전통식품의 현대화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선보이고 있으며 표고버섯을 이용한 가공식품으로써 적합한 제품이다.
표고버섯을 이용한 조청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저지방저칼로리 식품으로 단백질 및 각종 무기성분은 물론 항암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연중 수확이 가능한 건강식품인 표고버섯 추출액을 조청에 첨가하여 조청의 고유 품질을 유지하면서 영양학적으로 조금 더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47405호에는 무 및 도라지를 포함하는 무 도라지 조청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748263호에는 배와 도라지를 이용한 조청, 엿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366607호에는 양파 조청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저당용 표고 조청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당용 표고버섯 조청을 개발하기 위해, 표고버섯 조청 제조 과정 중에 스테비아 추출물을 첨가하여 당의 함량을 낮추었으며, 당의 함량이 낮아짐으로 인한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 활성을 갖는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당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미생물 오염 없이 장기간 저장이 가능한 저당용 표고 조청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은 기존 조청의 높은 당 함량의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유통 기한을 연장시킨 것이므로, 기호식품으로서 활용 가치가 클 것이다. 또한, 표고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개발에도 매우 유 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맵쌀을 세척 후 수침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b) 고두밥에 물을 가하여 혼합 후 액화효소를 첨가하여 90~110℃에서 액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당화시키는 단계;
(d)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및
(f)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맵쌀 9~11 kg을 세척 후 3~5시간 동안 수침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b) 고두밥에 물 24~26L를 가하여 혼합 후 액화효소를 첨가하여 90~110℃에서 1.5~2.5시간 액화시킨 후 55~65℃로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8~12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d)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및
(f)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55~65℃에서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a) 맵쌀 10 kg을 세척 후 4시간 동안 수침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b) 고두밥에 물 25L를 가하여 혼합 후 액화효소를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액화시킨 후 60℃로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10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d)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3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1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5 중량부 및 증점제 3 중량부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및
(f)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60℃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액화효소는 알파-아밀라아제와 같은 효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화효소 대신에 엿기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당화효소는 클라라제 엘(CLARASE L)과 같은 효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e) 단계에서,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한다. 표고버섯, 구절초 및 스테비아의 추출액은 열수 추출액 외에도, 메탄올, 에탄올 같은 저급 알코올 추출액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고버섯, 구절초 및 스테비아의 열수 추출액은 예를 들면, 환류 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시료 300g에 시료 중량의 10배량의 증류수를 넣고 80℃에서 5시간 추출하고, 모아진 추출액은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10배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절초 열수 추출액은 하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된 표고 조청의 유통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감미 식물인 스테비아는 주요한 감미 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감미도가 설탕의 150~300배이며, 비발암성, 비부식성 혹은 무칼로리의 당 대체 감미료로서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에는 당이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된 표고 조청은 감미는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당 함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증점제는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의 첨가로 인해 당의 함량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산탄검(xanthan gum), 카라기난, 펙틴, SGC-100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은 기존 조청의 높은 당 함량 의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유통 기한을 연장시킨 것이므로, 기호식품으로서 활용 가치가 클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당용 표고 조청은 바람직하게는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3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1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5 중량부 및 증점제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표고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표고 조청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으로는 엿, 사탕, 껌, 젤리, 한과, 떡, 잼, 장아찌, 강정 등을 예로 들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전남 장흥군에서 재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잘 씻은 다음 세절하여 동결 건조하여 마쇄하고 100 mesh 이하의 분말로 제조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2) 표고버섯, 구절초 및 스테비아 추출액 제조
표고버섯, 구절초 및 스테비아 열수 추출물은 환류 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시료 300g에 시료 중량의 10배량의 증류수를 넣고 80℃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모아진 추출액은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10배 감압 농축한 후 냉장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3) 일반성분 분석
표고버섯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수분은 105℃ 직접건조법, 조회분은 550℃ 직접 회화법으로, 조단백은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으로, 조섬유의 함량은 H2SO4-NaOH 분해법으로 구한다. 그리고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총량에서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의 함량을 뺀 값으로 계산하여 구한다.
4) 유리당 분석
유리당 성분은 Wilson 등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시료 5 g에 증류수를 가하고 homogenizer로 마쇄하여 교반 후 침출시켜 100 mL로 정용한 다음 원심분리(3,000rpm, 30min)하여 Sep-pak C18으로 정제시킨 다음 0.45 membrane filter(Millipore Co., USA)로 여과한 여액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함량은 외부표준법으로 계산하고, HPLC 조건은 표 1과 같다.
표 1. 유리당 분석 위한 HPLC 조건
항 목 분석조건
Instrument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Column ZORBAX Carbohydrate
( 4.6 × 150 mm )
Solvent 75% Acetonitrile 
Column temp. 30℃
Flow rate 1.5 ml/min
Injection volume 20 ㎕
5) 유기산 분석
유기산은 시료 10 g에 증류수를 가하여 100㎖ 정용하여 추출시켜 200 ㎖로 정용한 다음 원심분리(3,000rpm, 30min)하여 상징액을 취하여 여과(Whatman No.2)하고, Sepak C18으로 정제시킨 다음 0.45 ㎛ membrane filter(Millipore Co., U.S.A)로 여과한 여액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조건은 표 2와 같으며, 함량은 외부표준법으로 계산한다.
표 2. 유기산 분석 위한 HPLC 분석 조건
항 목 분석조건
Instrument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Column Agilent Zorbax SB-Aq
( 4.6 × 150 mm, 5um )
Solvent 20mM NaHPO4 
Column temp. 30℃
Flow rate 1.0 mL/min
Injection volume 20 ㎕
6) 무기성분 분석
표고버섯의 무기성분은 습식분해법으로 전 처리하여 분석하고 분석 조건은 표 3과 같다. 즉 표고버섯 0.5 g에 진한 질산 10 mL를 가하여 처음에는 낮은 온도 로 가열하고 점차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분해(Bdistillation Unit B-324)시켜, 분해액이 백색 투명하게 되면 냉각시키고 분해액에 증류수를 가하여 100 mL로 정용한 다음 여액을 분석시료로 한다. 각 무기성분의 정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방출분광계 (Perkin Elmer Optima 3300 DV)로 각 원소의 표준 용액 농도를 2.5, 5 및 10 ppm으로 조제하여 표준 검량 곡선을 작성하여 분석한다.
표 3. 무기성분 분석을 위한 유도결합플라즈마방출분광계 분석 조건
항 목 분석조건
Instrument Inductively Coupled Plasma
(Perkin Elmer Optima 3300 DV)
Plasma gas flow Ar, 1.2 L/min
Carrier gas flow N2, 1.0 L/min
Wavelength (nm) K; 766.5, Mg; 285.2, Na; 589.0
Ca; 422.7 Fe; 248.3
7) 표고버섯 조청 및 당화액 색도 측정
표고버섯 농축액을 첨가한 조청을 색도계(COLOR JS555)로 시료의 명도 L(lightness), 적색도 a(redness), 황색도 b(yellowness)를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표준백색판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는 각각 98.49, -0.02, -0.40 이다.
8) 당도 측정
조청의 당도 측정은 당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 점도 측정
표고버섯 조청의 점도는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10) 제품 및 효소 첨가에 따른 당화액 유리당 함량 측정
시료의 유리당 함량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11) 항균 활성 측정
(1) 구절초의 항균활성 측정
구절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즉, 항균활성 검색에 사용한 균주는 slant에 배양된 각각의 균주 1 백금이를 취해 10 mL broth의 균 생육 배지에 접종하고 각각 균주의 생육 적온에서 3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검색의 시험용 평판 배지는 각각의 생육 배지로 멸균된 기층용 배지용 petri dish 에 15 mL 씩 분주하여 응고시키고, 중층용 배지를 각각 5 mL 시험관에 분주하여 멸균한 후, 45℃ 수욕 상에서 보관하면서 시험균 약 0.1 mL를 무균적으로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기층용 배지 위에 분주한 뒤 고르게 응고 시미고 2중의 균 접종 평판 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구절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정은 한천배지 확산법(Disc plate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즉, 구절초 추출물을 0.45 ㎛ membrane filter (Millipore Co. USA)로 여과하여 filter paper disc (Toyo seissakusho. Japan, 8mm)에 일정량씩 흡수시킨 후, 추출용매를 무균적 조건하에서 완전히 날려 보낸 다음, 시험용 평판배지 Table면에 놓아 밀착시키고 0.85% NaCl 멸균 식염수로 활성시켜 냉장실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각각의 균 생육적온(세균은 37℃, 젖산균과 효모는 30℃)에서 10~1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paper disc 주변의 clear zone 직경 (mm)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2) 항균성 물질의 안정성 측정
① 열 안정성 측정
구절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열 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조사였다. 즉 구절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60℃~100℃까지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였는데 60℃~80℃에서는 10분 간격으로 각각 30분, 40분, 50분 및 60분까지 열처리하였으며 90℃~100℃에서는 5분 간격으로 30분간 열처리 한 후 대조구와 같이 한천배지 확산법으로 생육 저해환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② pH 안정성 측정
구절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pH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절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pH 3~9까지 조절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다음, 다시 각각의 균주 최적 pH로 중화시킨 후 생육 저해환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2) 조청 미생물 검사
(1) 일반 세균수 검사
일반 세균수 검사는 평판한천배양법으로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표준한천배지에서 37℃/48시간 배양한 후 집락수 30~100개인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측정하였고 희석배수를 곱하여 단위부피당 미생물수를 산출하였다.
(2) 대장균군 검사
대장균군 검사는 BGLB 배지와 durham 발효관을 이용하여 37℃/48시간 배양하여 durham 발효관 내의 가스발생 유무로 대장균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13) 관능검사
제조된 표고버섯 조청의 관능검사는 10명을 대상으로 panel을 구성하여 색, 향, 맛 및 전체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한다. 이때 채점 기준은 아주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나쁘다: 2점, 아주 나쁘다: 1점으로 하고, 2시간 간격으로 시료의 번호를 바꾸어 같은 panel로 3회 반복하여, 각 반복시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하고 평균 득점을 구한다.
14) 통계처리 방법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간 평균치와 표준 오차를 계산하고 통계적 유의성은 p<0.05 수준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한다.
실시예 1: 표고 조청의 제조
생약초를 첨가한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1).
(1) 맵쌀 10 kg을 세척 후 4시간 동안 수침하여 고두밥을 찐다.
(2) 고두밥에 물 25 L를 가하여 혼합 후 액화효소 1%를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액화시킨 후 60℃로 냉각시킨다.
(3)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 0.5%를 첨가하여 10시간 동안 당화시킨다.
(4)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한다.
(5) 착즙액에 표고 열수 추출액 3%, 구절초 열수 추출액 1%,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5% 및 증점제(산탄검) 3%를 첨가 후 1시간 이상 교반한다.
(6)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2: 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 함량은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건표고의 수분은 4.89%, 조단백질 함량은 40.85%, 조지방 1.06%, 조회분 3.67%, 조섬유 28.97%로 나타났다. 구절초는 수분 73.33%, 조단백질 5.80%, 조지방 0.18%, 조회분 2.30%, 조섬유 1.20%로 나타났다. 스테비아는 수분은 76.51%, 조단백질 함량은 2.48%, 조지방 0.78%, 조회분 1.63%, 조섬유 2.17%로 나타나 구절초에 비해 조단백질의 함량이 1/2 정도 함유하고 있었다.
표 4. 원료 성분 분석 결과 (%)
표고 구절초 스테비아
수분 4.89 73.33 76.51
조단백질 20.85 5.80 2.48
조 지 방 1.06 0.18 0.78
조 회 분 3.67 2.30 1.63
조 섬 유 28.97 1.20 2.17
가용성무질소물 40.56 17.19 16.43
실시예 3: 유리당 분석
표고버섯과 생약초의 유리당을 HPLC로 분석한 결과는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고버섯의 당은 glucose(포도당)와 fructose(과당) 및 maltose(맥아당)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glucose(포도당) 4.19%, fructose(과당) 2.12%, maltose(맥아당) 6.10%로 나타났다. 구절초는 fructose(과당) 0.28%, glucose(포도당) 0.12%로 나타났다. 국화과 식물로서 감미식물인 스테비아는 주요한 감미 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은 감미도가 설탕의 150~300배이며, 비발암성, 비부식성 혹은 무칼로리의 당 대체 감미료로서 해산품, 피클야채, 디저트, 우유음료, 냉과, 식초음료, 요구르트, 과자류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당이 검출되지 않았다. 감미료는 식품에 감미를 줄 뿐만 아니라 에너지 공급원으로 작용하는데, 비만, 당뇨병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에 무칼로리 감미료인 스테비아는 건강의 이미지와 관계있는 식품에 사용하기에 알맞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5. 유리당 함량 (%)
표고 구절초 스테비아
Fructose 2.12 0.28 -
Glucose 4.19 0.12 -
Sucrose - - -
Maltose 6.10 - -
실시예 4: 유기산 분석
유기산의 분석결과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고는 tartaric acid(주석산), malic acid(사과산), Citric acid(구연산), Succinic acid(호박산)가 검출되었다. 각각 1.45%, 1.14%, 0.95%, 0.56%로 나타났다. 구절초는 tartaric acid(주석산), malic acid(사과산), Citric acid(구연산)가 검출되었고 각각 함량은 0.14%, 0.15%, 0.02%로 나타났다. 스테비아의 유기산은 tartaric acid(주석산), malic acid(사과산), Citric acid(구연산)이 검출되었다. 함량은 각각 0.58%, 0.39%, 0.44%로 구절초에 비해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표 6. 유기산 함량 (%)
표고 구절초 스테비아
Tartaric acid 1.45 0.14 0.58
Malic acid 1.14 0.15 0.39
Citric acid 0.95 0.02 0.44
Succinic acid 0.56 - -
실시예 5: 무기성분 분석
표고 및 구절초의 무기성분 분석 결과는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고에서는 Na 39.58 mg%, Mg 59.49 mg%, K 402.92 mg%가 검출되었으며, 구절초에서는 Ca 18.11 mg%, Na 12.00 mg%, Mg 1.60 mg%, K 290.16 mg%가 검출되었다.
표 7. 표고의 무기성분 함량 (mg%)
표고 구절초
Ca - 18.11
Na 39.58 12.00
Mg 59.49 1.60
K 402.92 290.16
실시예 6: 조청 및 당화액 색도 측정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당화액 대조구는 L(명도) 27.548, a(적색도) 2.269, b(황색도) 23.852로 나타났다. 구절초 추출물을 10% ~ 40% 농도별로 첨가한 당화액은 L(명도) 21.10, 19.81, 20.34, 16.89 로 낮아져 점점 어두워짐을 알 수 있었다. 구절초 추출물 첨가에 따라 적색도는 점점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약간 낮아 졌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표고 추출물을 첨가한 당화액에서도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한 당화액과 유사하게 명도와 황색도는 점점 낮아졌으며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당화액을 가열하여 제조한 조청은 가열에 의해 갈변이 되어 대조구의 L(명도) 12.598, a(적색도) 9.782, b(황색도) 18.358 으로 전체적으로 색이 어두워짐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을 첨가한 조청의 전체적으로 L, a, b모두 값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당화액과의 차이점으로는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도 L, b 값과 마찬가지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표 8. 추출물을 첨가한 당화액 및 조청 색도 측정
구 분 색 도
L a b
당화액 대조구 27.548 2.269 23.852
구절초 10% 첨가 21.101 4.605 21.114
20% 첨가 19.817 5.726 21.682
30% 첨가 20.349 5.566 22.18
40% 첨가 16.897 5.152 19.871
표 고 10% 첨가 21.079 5.936 23.099
20% 첨가 19.902 5.908 22.109
30% 첨가 18.387 6.417 21.782
40% 첨가 17.024 6.161 20.596
조 청 대조구 12.598 9.782 18.358
구절초 10% 첨가 8.615 9.007 16.606
20% 첨가 8.908 8.389 16.419
30% 첨가 9.104 8.599 16.118
40% 첨가 5.383 5.704 12.223
표 고 10% 첨가 11.117 9.805 20.327
20% 첨가 7.963 7.803 14.282
30% 첨가 5.607 4.86 11.556
40% 첨가 4.683 4.413 11.025
실시예 7: 표고 당도 및 점도 측정
표고 조청의 당도 및 점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다. 당도계를 이용하여 당도를 측정한 결과, 표고 조청의 당도는 82 Brix로 나타났다. 점도는 Spindle No. 63을 이용하여 25rpm으로 측정한 결과 CP 값이 20,108로 나타났으며 Spindle No. 64을 이용하여 20rpm으로 측정한 결과 CP 값은 25,285로 나타났다.
표 9. 표고 조청 당도, 점도 측정 결과
당도
(Blix)
Spindle No. 속 도(rpm) 점 도
(CP)
온 도
(℃)
82 S 63 25 20,108 21.7
S 64 20 25,285
실시예 8: 증점제 첨가에 따른 표고 조청의 점도 측정
식생활의 서구화와 각종 식품으로 인한 당 섭취의 증가로 비만과 당뇨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당뇨와 비만 환자의 조청 섭취가 용이하도록 돕고 건강 지향적 식 품으로의 전환을 위해 당의 양을 줄이고 무칼로리의 감미료 스테비아를 사용하여 당도를 조절하고 증점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맞추어 저당 조청을 개발하고 실시한 실험결과는 표 10과 같이 나타났다. Spindle No. 64로 12rpm의 속도로 측정한 결과 조청의 점도는 CP 값 23,295로 나타났으며, 조청과 물을 8:2로 혼합한 시료의 점도는 549.9로 급격히 떨어졌다. 증점제로 이용한 카라기난, 펙틴, SGC-100을 농도별로 첨가한 시료의 점도는 펙틴 3% 첨가 시료에서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CP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증점제의 특성에 따라 조청의 물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펙틴의 경우 CP값은 조청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gel 형태로 굳어 물성이 기존 조청과 차이가 컸다. SGC-100의 경우 펙틴과 마찬가지로 gel 형태로 굳었으며 CP값은 크지 않았으나 펙틴보다 더욱 단단하게 굳었다. 카라기난 3% 첨가 시료는 CP값이 10,693으로 측정되어 조청의 CP값보다 약 1/2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물성은 조청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10. 증점제 첨가에 따른 조청의 점도 측정
구 분 Spindle No. 속 도(rpm) 점 도
(CP)
온 도
(℃)
조 청 S 64 12 23,295 27.1
조청8 : 물 2 S 64 12 549.9 27.2
카라기난 3% S 64 12 10,693 27.4
5% S 64 12 17,000 27.6
산 탄 검 3% S 64 12 18,593 27.8
5% S 64 12 21,568 27.4
펙 틴 3% S 64 12 22,545 27.2
5% S 64 12 41,141 27.3
SGC-100 3% S 64 12 5,149 27.3
5% S 64 12 16,347 27.4
실시예 9: 액화효소 첨가에 따른 유리당 함량
쌀과 옥수수 전분 호화 전 액화효소 첨가 후 시간에 따른 유리당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쌀의 Glucose 함량은 액화효소 첨가 30분 후 5.06%로 나타났으며 점차 증가하여 120분 후에는 9.18%로 증가하였다. Maltose 함량은 효소 첨가 30분 후 8.22%의 함량을 나타내었다가 120분 후에는 17.42%로 Glucose 함량과 마찬가지로 약 2배 증가하였다. 옥분을 이용한 실험 결과는 쌀 전분으로 실험한 결과와 다른 경향을 보였다. Glucose 와 Maltose의 함량이 효소 첨가 30분 후에 5.01%, 11.05%로 나타났으나 60분에는 4.77%, 9.04%로 오히려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후 90분에 약간 증가하여 30분경과 시점의 함량과 유사해 졌으며 120분 후에는 6.27%, 12.45%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옥분을 사용하여 조청을 제조할 경우에는 액화효소 처리 시간을 120분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0: 당화효소 첨가에 따른 유리당 함량 변화
조청 제조 과정 중 액화효소 처리 후 실시한 당화효소 처리에 의한 유리당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당화효소 처리 전 최초 유리당 함량으로 쌀 Glucose 9.18%, Maltose 17.42%, 옥분 Glucose 6.27%, Maltose 12.45%를 100%로 환산하여 10시간, 13시간, 16시간, 18시간 별로 증가한 유리당 함량을 환산하여 증가 비율을 나타내었다. 쌀 Glucose의 함량은 당화효소 처리 10시간 후에 265%로 증가하였고 13시간 후 276%, 16시간 후 298%, 18시간 후 304%로 약 2.6~3배 증가하였고, Maltose의 증가율은 10시간 후 614%에서 점차 증가 하여 18시간 후에는 665%까지 증가하여 약 6.1~6.6배까지 증가하였다. 옥분을 당화효소 처리한 경우도 쌀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Glucose의 경우 2.2~3.2배로 증가하였고, Maltose는 6.6~7.2배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 보아 당화효소 처리한 전분의 유리당 함량은 18시간 후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0시간 경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당화효소 처리 시간은 10시간 이상이면 충분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1: 효소 특성
액화효소 : Alpha-Amylase HT
- 정의: Bacillus licheniformis 균주를 배양하여 생산한 내열성 액화효소로서 전분을 액화하여 덱스트린으로 만든다. 종래의 액화효소에 비하여 내열성이 우수하며 작업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시중에 유통되는 기존 제품에 비하여 내산성이 우수하여 원료(쌀, 밀가루, 보리, 옥수수 등의 곡류전분 혹은 고구마, 감자, 타피오카 등의 서류 전분)를 pH 등을 조절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액화시킬 수 있다.
- 규격 및 물리 화학적 특성 : 비중 1.15~1.25인 갈색 액체로서 고유의 냄새가 있다.
- pH: pH 5.5~7.0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60℃에서는 pH 6 부근이 최적이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pH 7쪽으로 이동한다.
- 온도: 전분기질 30~33%(w/v) 존재하에서 105~110℃ 까지 사용가능하며 저온(70~80℃)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 칼슘의 효과: 칼슘은 Bio-Win HT의 안정제 역할을 한다. 보통 작용기질(전분유액)내에 칼슘 농도가 50ppm 정도 있으면 첨가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 실활 및 저해제: pH 4로 조정한 다음 100℃에서 20분간 유지하면 완전 실활된다. 저해제로는 수은, 구리, 납, 은 등의 중금속들이 있다.
- 사용량 및 처리시간: 전분(건조물) 1,000kg당 Bio-Win HT를 0.6~1.0kg 첨가 후 30~90분 처리한다.
- 처리방법: 물 1,000kg에 원료 적당량(200~400kg)을 먼저 투입하고 Bio-Win HT 0.6~1.0kg을 잘 혼합한다. 교반하면서 온도를 90~100℃까지 올리고 일정시간 유지시킨다.
당화효소 : 클라라제 엘(CLARASE L)
- 정의: 클라라제 엘은 선별된 균주 Aspergillus oryzae에서 생산된 비세균성(곰팡이성) α-amylase로 전분으로부터 덱스트린을 만드는 액화력과 맥아당 및 포도당을 생성할 수 있는 당화력을 모두 가진 효소제제이다.
- 기능: 일반적인 세균성 α-amylase만 적용 시 생성하기 힘든 맥아당 및 포도당 생성에 작용하며, 이는 고함량 맥아당 생성에 적합하다.
- 적용: 최적 온도는 45~55℃이지만, 작용 pH에 따라 45~65℃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용한다. 최적 pH는 4.8~5.4이지만, 4.0~6.6까지도 안정적으로 작용한다.
물엿 제조 시 액화가 끝난 액화액을 55℃ 까지 냉각 후 클라라제 엘을 전분 톤당 0.3~1.0 kg을 넣고 12~24시간 당화 후 여과한다. 이때 온도는 50~55℃를 유지 시켜 준다. 사용량 및 당화 시간은 당화 정도 및 반응 조건에 따라 가?감한다.
실시예 12: 표고 및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한 조청의 유리당 함량 측정
구절초 추출물과 표고 추출물을 첨가하여 만든 조청의 유리당 함량 측정 결과는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대조구로 사용한 쌀 조청의 Glucose(포도당) 함량은 11.84%로 나타났고 조청의 주요 당 성분인 Maltose(맥아당)는 89.92%로 나타났다. 구절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조청에서는 10%, 20% 첨가 조청에 비해 30%, 40% 첨가 조청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구에 비교하여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고 추출물 첨가한 조청에서도 10%, 20% 첨가 조청보다 30%, 40% 첨가 조청의 유리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시료로 사용한 모든 조청의 당도를 81~82 brix로 맞추어 유리당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로 보아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한 조청에서 쌀 조청과 표고 추출물을 첨가한 조청에서 보다 유리당의 함량이 낮게 나타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무칼로리 감미료인 스테비아와 증점제를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저당 조청에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조청에 항균 활성능을 비롯하여 기능성 및 향기 성분까지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11. 추출물을 첨가한 조청의 유리당 함량 측정 (%)
구 분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합계
대조구 - 11.84 - 89.92 101.76
구절초 10% 첨가 - 8.93 - 82.83 91.76
20% 첨가 - 9.15 - 81.16 90.31
30% 첨가 - 9.88 - 84.08 93.96
40% 첨가 - 9.83 - 83.97 93.80
표 고 10% 첨가 - 11.14 - 82.39 93.53
20% 첨가 - 10.97 - 83.44 94.41
30% 첨가 - 10.91 - 89.23 100.14
40% 첨가 - 11.47 - 88.65 100.12
실시예 13: 표고 조청에 첨가한 구절초의 항균 활성
가) 추출물별 항균활성
구절초의 추출 용매별 항균활성 검색 결과는 표 12와 같다. 저해환의 크기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저해환의 크기는 gram 음성균인 S. typhimurium에서 16 m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gram 양성균인 B. cereusS. aureus에서 13 mm로 가장 큰 저해환을 나타냈다. 물 추출물에서는 gram 양성균인 B. subtilis 와 gram 음성균인 E. coli에서 12 m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추출물 별로는 gram 양성과 gram 음성 모두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 S. cerevisiae에 대해 저해환의 크기가 9mm로 약간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표 12. 구절초의 항균 활성
균주 항균활성 환(mm) (8.0mg/disk)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B. cereus 11 13 15
B. subtilis 12 12 15
S. aureus 11 13 15
E. coli 12 12 15
S. typhimurium 11 12 16
P. fluorescens 11 12 15
L. plantarum - - -
L. mesenteroides - - -
S. cerevisiae - - 9
H. anomala - -
나) 항균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 측정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 결과는 표 13, 도 5 및 도 6과 같다.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60~100℃로 열처리한 후 항균활성 검색 결과를 보면, B. subtilis에서 13~15.5 mm로 대조구 16 mm와 비슷하였으며, E. coli에서 12~15 mm로 큰 대조구 15 mm 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열에 매우 안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의 pH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결과는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5와 pH 9에서 항균활성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두 균주 모두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보아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pH 변화에 따라서 항균활성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3.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B. subtilis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의 열 안정성
균주
항군활성 환 (mm) (8.0mg/disk)
대조구 가열시간 (분)
60℃ 70℃ 80℃ 90℃ 100℃
30 40 50 60 30 40 50 60 20 30 40 50 10 20 30 10 20 30
B. subtilis 16 15.5 15 15 14.5 15 15 14.5 14 14.5 14 14 13.5 15.5 15 15 15 14 13
E. coli 15 15 14.5 14 14 14 13.5 13 13 14 13 12.5 12 15 14.5 14 14 13.5 13
표 14. 구절초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B. subtilis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의 pH 안정성
균주 항균활성 환 (mm) (8.0㎎/disk)
control pH
3 5 7 9
B. subtilis 15 14.9 14.6 14.7 14.5
E. coli 15 14.7 14.2 14.3 14.2
실시예 14: 조청의 미생물 검사
(1) 일반 세균수 검사
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구절초 추출물 10% 첨가 조청과 표고 추출물 30% 첨가 조청 및 대조구로 사용한 쌀 조청의 일반 세균수를 검사한 결과는 표 1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모든 시료에서 일반세균은 발생하지 않아 미생물학적으로 저장 중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5. 조청의 일반 세균수 검사 결과
구 분 가열온도(℃), 시간(분)
60℃ 80℃ 100℃
10분 15분 20분 30분 40분 5분 10분 15분 20분 30분 5분 10분 20분
대조구 - - - - - - - - - - - - -
구절초 10% 첨가 - - - - - - - - - - - - -
표고 30% 첨가 - - - - - - - - - - - - -
(2) 대장균군 검사
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구절초 추출물 10% 첨가 조청과 표고 추출물 30% 첨가 조청 및 대조구로 사용한 쌀조청의 대장균군 발생 여부를 검사한 표 16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모든 시료의 durham 발효관 내에서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저장 중 대장균군으로부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6. 조청의 대장균군 검사
구 분 가열온도(℃), 시간(분)
60℃ 80℃ 100℃
10분 15분 20분 30분 40분 5분 10분 15분 20분 30분 5분 10분 20분
대조구 - - - - - - - - - - - - -
구절초 10% 첨가 - - - - - - - - - - - - -
표고 30% 첨가 - - - - - - - - - - - - -
실시예 15: 조청의 관능평가
대조구와 표고버섯, 구절초 및 스테비아 농축액을 1~4% 첨가하여 제조한 조청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색, 향, 맛, 전체적인 선호도를 검사한 결과는 표 17과 같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향은 구절초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으며 표고 농축액을 첨가한 조청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색은 대조구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구절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하여 색이 어두워져 기호도가 저하되었으며 표고 농축액 첨가 조청은 큰 차이가 없었다. 맛은 구절초 농축액 1% 첨가 조청과 표고 농축액 3% 첨가 조청에서 4.1로 대조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구절초 농축액 첨가량이 2% 이상에서는 쓴맛이 강해져 기호도가 낮아졌다. 저당 표고 조청 제조를 위한 스테비아 농축액 첨가시 기호도는 0.5% 첨가 조청까지는 계속해서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나 0.7% 첨가 조 청에서는 지나친 감미의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선호도가 낮아졌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향, 색, 맛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구절초 1% 첨가 조청과 표고 3% 첨가 조청에서 가장 높은 4.1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축액의 첨가량은 구절초 농축액 1%, 표고 농축액 3%, 스테비아 농축액 0.5%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 17. 구절초, 표고 및 스테비아 농축액을 첨가한 조청의 관능평가
구 분 기호도
대조구 3.8±0.1 4.1±0.2 4.0±0.2 4.0±0.3
구절초 1% 첨가 4.1±0.3 4.0±0.2 4.1±0.4 4.1±0.6
2% 첨가 4.1±0.2 3.9±0.4 3.9±0.6 3.8±0.2
3% 첨가 4.2±0.4 3.9±0.3 3.7±0.3 3.7±0.4
4% 첨가 4.3±0.3 3.8±0.2 3.6±0.4 3.6±0.3
표 고 1% 첨가 3.8±0.2 4.0±0.5 4.0±0.3 3.9±0.5
2% 첨가 3.9±0.2 4.0±0.4 4.0±0.2 4.0±0.6
3% 첨가 3.9±0.4 4.0±0.1 4.1±0.3 4.1±0.4
4% 첨가 3.8±0.5 3.9±0.6 3.9±0.4 3.9±0.5
스테비아 0.1% 첨가 4.2±0.3 3.8±0.2 3.7±0.4 3.6±0.6
0.3% 첨가 4.1±0.2 3.9±0.4 3.8±0.6 3.7±0.2
0.5% 첨가 4.2±0.3 3.9±0.2 4.3±0.4 4.1±0.3
0.7% 첨가 4.2±0.4 3.9±0.3 4.1±0.3 3.8±0.4
도 1은 생약초를 첨가한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 2는 액화효소 첨가 시간에 따른 유리당 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당화효소 첨가 시간에 따른 유리당 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당화효소 첨가 시간에 따른 유리당 함량 증가율을 나타낸다.
도 5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의 열안정성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의 열안정성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조청의 일반 세균수 검사 결과이다.
도 8은 조청의 대장균군 검사 결과에 따른 가스 발생 여부를 나타낸다.

Claims (4)

  1. (a) 맵쌀을 세척 후 수침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b) 고두밥에 물을 가하여 혼합 후 알파-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90~110℃에서 액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당화시키는 단계;
    (d)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구절초 열수 추출액,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및 증점제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및
    (f)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맵쌀 9~11 kg을 세척 후 3~5시간 동안 수침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b) 고두밥에 물 24~26L를 가하여 혼합 후 알파-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90~110℃에서 1.5~2.5시간 액화시킨 후 55~65℃로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8~12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d) 압착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여과액에 표고버섯 열수 추출액 2~4 중량부, 구절초 열수 추출액 0.5~2 중량부, 스테비아 열수 추출액 0.2~1 중량부 및 증점제 2~4 중량부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및
    (f) 교반을 끝낸 혼합액을 55~65℃에서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용 표고 조청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당용 표고 조청.
  4. 삭제
KR1020090103563A 2009-10-29 2009-10-29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10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563A KR101109162B1 (ko) 2009-10-29 2009-10-29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563A KR101109162B1 (ko) 2009-10-29 2009-10-29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870A KR20110046870A (ko) 2011-05-06
KR101109162B1 true KR101109162B1 (ko) 2012-02-20

Family

ID=4423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563A KR101109162B1 (ko) 2009-10-29 2009-10-29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78A (ko) 2014-08-08 2016-02-17 산성자연애영농조합법인 밤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조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806B (zh) * 2012-08-08 2014-11-26 山西康禾农业有限责任公司 安神降压中药茶
KR101508748B1 (ko) * 2013-07-23 2015-04-06 대한민국 쌀 조청의 제조방법
CN103621863A (zh) * 2013-10-31 2014-03-12 五河童师傅食品有限公司 一种养生鲜菇汁
KR102234517B1 (ko) * 2019-03-26 2021-03-31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표고 줄기 당화 농축액을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방법
KR102328171B1 (ko) * 2019-07-25 2021-11-17 황선이 식용 구절초를 이용한 구절초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 2020-08-31 2023-01-20 농업회사법인 산초롱 유한회사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893B1 (ko) 1996-12-10 1999-06-01 조재연 표고버섯 젤리를 함유하는 농후발효유
KR100381911B1 (ko) 2000-08-30 2003-04-26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기능성과 조직감이 개선된 강정의 제조방법
KR100753358B1 (ko) 2006-10-20 2007-08-30 윤주동 표고버섯 정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1809B1 (ko) 2005-07-22 2008-01-07 고명숙 표고버섯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표고버섯 장아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893B1 (ko) 1996-12-10 1999-06-01 조재연 표고버섯 젤리를 함유하는 농후발효유
KR100381911B1 (ko) 2000-08-30 2003-04-26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기능성과 조직감이 개선된 강정의 제조방법
KR100791809B1 (ko) 2005-07-22 2008-01-07 고명숙 표고버섯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표고버섯 장아찌
KR100753358B1 (ko) 2006-10-20 2007-08-30 윤주동 표고버섯 정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78A (ko) 2014-08-08 2016-02-17 산성자연애영농조합법인 밤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조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870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162B1 (ko) 저당용 표고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664B1 (ko)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828863B1 (ko)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착즙액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젖산 발효 음료 제조방법
KR101437608B1 (ko) 쌀 입국을 포함하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N111034996A (zh) 一种苹果酵素功能饮品的制备方法
EP1949800A1 (en) Method of producing gaba-containing fermented product
KR102199599B1 (ko) 약용 식물 추출물이 첨가되어 항산화력이 증가된 쌀 발효 음료 및 그것의 제조 방법
Hammouda et al. Vinegar production via spontaneous fermentation of different prickly pear fruit matrices: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KR100706033B1 (ko) 오미자 음료조성물
KR20140106306A (ko) 베리(berry)류를 포함하는 저당도 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7248A (ko)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발효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2961B1 (ko) 갈변 현상이 억제된 유자박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29680B1 (ko) 무설탕 식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4690B1 (ko) 곡물 발효액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의 제조 방법
KR102389586B1 (ko) 유산균으로 발효한 유자 발효 음료의 개발
KR20220042710A (ko) 당의 함량을 낮춘 표고 조청 제조방법
CN114304618A (zh) 一种发酵富集蒲公英根活性成分的方法及其应用
Zhiwen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everage from maize silk through fermentation with kombucha consortium
KR20180110486A (ko)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1883190B1 (ko) 잡곡 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93138A (ko) 야콘 식초의 제조 방법
KR20150078737A (ko) Gaba 생산 젖산균 및 젖산발효 사과박을 이용한 산수유 잼 제조방법
KR100859750B1 (ko) 야콘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2377758B1 (ko)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51275A (ko)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