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186B1 - 제품 재배열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재배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186B1
KR101104186B1 KR1020090096435A KR20090096435A KR101104186B1 KR 101104186 B1 KR101104186 B1 KR 101104186B1 KR 1020090096435 A KR1020090096435 A KR 1020090096435A KR 20090096435 A KR20090096435 A KR 20090096435A KR 101104186 B1 KR101104186 B1 KR 10110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hands
product
interlock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135A (ko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텍
Priority to KR102009009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재배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클램핑하여 각 제품의 배열 각도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품의 배열 각도를 한번에 조정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정 사이에 다수의 제품을 전달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품 재배열 장치는, 다수의 제품을 한꺼번에 배열 각도를 조정하여 다음 공정을 위한 팔레트로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제품들도 쉽게 각도를 조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제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품 재배열 장치{APPARATUS FOR REARRANGEMENT OF PRODUCT}
본 발명은 제품 재배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클램핑하여 각 제품의 배열 각도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 생산되는 제품들은 팔레트(pallet)에 다수의 제품을 수납하거나 거치한 상태에서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각 공정간에 제품을 전달하는 경우에도 팔레트를 이용하여 제품을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공정의 특성에 따라서 팔레트에 거치된 제품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지만, 각 제품들의 배열 각도가 공정간에 서로 다른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제품으로서 휴대폰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작이 완료된 휴대폰 배터리는 공정에 따라, 30˚, 45˚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각 배터리간 간격을 동일하게 배열되어 팔레트에 거치된다. 이와 같이 배열된 배터리들을 포장하는 공정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포장 자동화 기기에 각 배터리들이 회전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팔레트에 거치되어 공급되어야 한다.
보통 하나의 팔레트에 64개, 128개 이상의 배터리들이 거치되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들의 배열 각도를 조정하여 새로운 팔레트에 거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작업을 자동화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도, 종래에는 2~3개의 제품을 클램핑하여 각도를 조정한 후 새로운 팔레트에 옮기는 방법으로 자동화하였다. 다수의 배터리를 재배열하는 경우는 매우 여러번 두개의 팔레트 사이를 왕복하면서 제품을 옮겨야 하므로, 역시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에 따라, 다수의 제품을 한꺼번에 클램핑하여 재배열한 후 새로운 팔레트로 옮길 수 있는 제품 재배열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품을 한번에 재배열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 각 제품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조를 설계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각 제품들 사이의 간격은 좁은데, 그 좁은 공간내에 모든 제품을 같은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제품의 배열 각도를 한번에 조정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정 사이에 다수의 제품을 전달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제품을 클램핑하여 각 제품의 배열 각도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에 있어서, 평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품들을 각각 하나씩 클램핑하는 복수의 핸드들과, 상기 복수의 핸드들의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되도록 상기 복수의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핸드 연동 수단을 구비하는 핸드 세트; 및 상기 핸드 세트의 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그 핸드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품 재배열 장치는, 다수의 제품을 한꺼번에 배열 각도를 조정하여 다음 공정을 위한 팔레트로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제품들도 쉽게 각도를 조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제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품(예컨대, 휴대폰용 배터리)을 동시에 클램핑하여 각 제품들의 배열 방향을 조정한 후 동시에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품 재배열 장치는 휴대폰용 배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재배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재배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40)와 복수의 핸드 세트(31~39)와 구동 수단(60)과 세트 연동 수단(72)과 가압 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핸드 세트(31~39)와 구동 수단(60)이 그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설치된다.
구동 수단(60)은 구동 모터(63)와 구동 풀리(61)와 구동 벨트(62)를 구비한다. 구동 풀리(61)는 구동 모터(63)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구동 벨트(62)는 구동 풀리(61)에 감겨서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총 9개의 핸드 세트(31~39)를 구비한다. 각 핸드 세트들(31~39)은 복수의 핸드들(10, 20)과 핸드 연동 수단(71)을 구비한다.
각 핸드들(10, 20)은 베이스 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품들을 각각 하나씩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핸드 연동 수단(71)은 핸드 세트(31~39) 내의 모든 핸드들(10, 20)을 서로 연동시켜 각 핸드들(10, 20)의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연동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드(10, 20)는 상측 부재(11, 21)와 하측 부재(12, 22)와 몸체부(13, 23)와 가압 헤드(16, 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측 부재(12, 22)는 베어링(18, 28)을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측 부재(12, 22)의 일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4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측 부재(11, 2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 부재(12, 22)에 결합된다. 몸체부(13, 23)는 하측 부재(12, 22)에 대해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가압 헤드(16, 26)는 상측 부재(11, 21)의 위쪽으로 그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몸체부(13, 23)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몸체부(13, 23)에는 탄성부재(17, 27)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7, 27)는 스프링(17, 27)이며, 몸체부(13, 23)에 대해서 가압 헤드(16, 26)를 상측으로 움직이는 방향으로 가압 헤드(16, 26)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몸체부(13, 23)에는 한쌍의 레버(14, 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레버(14, 24)는 가압 헤드(16, 26)의 하부에 걸려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가압 헤드(16, 26)가 승강함에 따라 레버(14, 24)는 가압 헤드(16, 26)에 걸려서 회전하게 된다. 몸체부(13, 23)에는 제품을 클램핑하는 한쌍의 그립(15, 25)이 설치된다. 한쌍의 그립(15, 2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몸체부(13, 23)에 대해 설치되며, 레버(14, 24)에 걸려서 움직이도록 몸체부(13, 23) 내에 배치된다. 레버(14, 24)가 회전하면 그에 연동되어 그립(15, 2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탄성부재(17, 27)가 가압 헤드(16, 26)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면, 가압 헤드(16, 26)에 연동되어 레버(14, 24)가 회전하게 된다. 레버(14, 24)에 걸려 있는 한쌍의 그립(15, 2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17, 27)의 탄성력이 그립(15, 25)에 전달되어 그립(15, 25)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립(15, 25)에 의해 제품을 클램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가압 헤드(16, 26)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탄성부재(17, 27)의 탄성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한쌍의 그립(15, 25)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압 헤드(16, 26)를 누르면, 그립(15, 25)에 클램핑된 제품을 내려 놓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두가지 종류의 핸드(10, 20)가 사용된다. 제1형 핸드(10)와 제2형 핸드(20)는 상측 부재(11, 21)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제1형 핸드(10)의 경우 상측 부재(11)가 풀리(11)로 형성되고, 제2형 핸드(20)의 경우 상측 부재(21)가 풀리로 구성되지 않고 하측 부재(22)와 결합되는 커버(21)로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8개의 핸드 세트들(31~38)은 각각 8 개 또는 7개의 핸드들(10, 20)을 구비한다. 중앙부에 위치하는 2개의 핸드 세트들(34, 35)은 7개의 핸드(10, 20)를 구비하고 나머지 핸드 세트들(31~33, 36~38)은 각각 8개의 핸드들(10, 20)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핸드 세트(31~38) 내의 각 핸드들(10, 20)은 핸드 연동 수단(71)인 핸드 연동 벨트(71)에 의해 하측 부재(12, 22)의 풀리가 서로 감겨서 연결된다. 그에 따라 핸드 세트(31~38) 내의 어느 하나의 핸드(10, 20)를 회전시키면 나머지 핸드들(10, 20)이 핸드 연동 수단(71)에 의해 동일한 각 변위로 회전하게 된다.
가장 앞쪽에 배치된 핸드 세트(31)와 가장 뒤쪽에 배치된 핸드 세트(38)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핸드(10)만이 제1형 핸드(10)로 구성되고, 나머지 핸드들(20)은 제2형 핸드(20)로 구성된다. 나머지 핸드 세트들(32~37)에서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핸드들(10)은 제1형 핸드(10)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핸드들(20)은 모두 제2형 핸드(20)로 구성된다.
인접하는 핸드 세트들(31~3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핸드 세트들(31~38)의 제1형 핸드(10)끼리 세트 연동 수단(72)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트 연동 수단(72)은 세트 연동 벨트(72)로 구성되고, 세트 연동 벨트(72)는 인접하는 제1형 핸드(10)의 상측 부재(11, 21)인 풀리에 감겨서 두개의 제1형 핸드(10)를 서로 연결한다. 세트 연동 벨트(72)에 의해 두개의 핸드 세트(31~38)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두개의 핸드 세트(31~38)에 속하는 모든 핸드들(10, 20)의 회전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핸드 세트(31~38)에 속하는 모든 핸드들(10, 20)의 회전이 서로 연동된다.
구동 풀리(61)와 가장 가까운 곳에는 2개의 제1형 핸드(10)로 구성된 핸드 세트(39)가 마련되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풀리(61)와 2개의 제1형 핸드(10)의 하측 부재(12)는 구동 벨트(6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2개의 제1형 핸드(1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핸드 세트(34, 35)의 제1형 핸드(10)들과 각각 상측 부재(11)끼리 서로 세트 연동 벨트(72)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설치된 64개의 핸드들(10, 20)은 모두 동일 간격으로 행과 열을 맞추어 정사각형 형태로 배열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측에는 핸드들(10, 20)의 각 가압 헤드(16, 26)를 동시에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5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총 4개로 분할 된 가압 플레이트(50)가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설치된다. 가압 플레이트(50)는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공압 엑튜에이터(51)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공압 엑튜에이터(51)가 작동하면 가압 플레이트(50)가 베이스 플레이트(40) 쪽으로 움직이면서 핸드들(10, 20)의 가압 헤드(16, 26)를 눌러 그립(15, 25)이 서로 벌어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전후방향,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송 로봇(미도시)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하,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 로봇과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제품들이 배열된 팔레트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압 플레이트(50)에 의해 모든 핸드들(10, 20)의 가압 헤드(16, 26)를 누르면, 그립(15, 25)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핸드(10, 20)의 작동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 헤드(16, 26)가 눌리면서, 가압 헤드(16, 26)에 걸려 있는 레버(14, 24)가 회전하게 된다. 레버(14, 24)의 회전에 따라 레버(14, 24)에 걸려 있는 그립(15, 25)이 몸체부(13, 23)에 대해 슬라이딩 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64개의 제품들이 각 핸드들(10, 20)의 그립(15, 2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가압 플레이트(50)를 상측으로 움직이면, 탄성부재(17, 27)에 의해 가압 헤드(16, 26)가 상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탄성부재(17, 27)의 탄성력이 가압 헤드(16, 26)와 레버(14, 24)를 거쳐서 그립(15, 25)에 전달되고, 그립(15, 2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사이에 배치된 제품을 클램핑하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17, 27)에서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그립(15, 25)이 제품을 클램핑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사용하는 동안에 정전이 되더라도 제품은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그립(15, 25)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정전시에 제품을 떨어뜨려 파손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송 로봇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상측으로 움직이 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63)를 작동시킨다. 구동 풀리(61)의 회전에 따라 구동 벨트(62)에 연결된 핸드 세트(39)의 핸드들(10)도 회전하게 된다. 구동 풀리(61)에 연결된 핸드들(10)은 다시 세트 연동 벨트(72)에 의해 인접하는 핸드 세트(34, 35)의 핸드들(10)을 회전시킨다. 핸드 세트(31~38)에 속하는 핸드들(10, 20)은 핸드 연동 벨트(7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핸드(10, 20)가 회전하면 나머지 핸드들(10, 20)도 동일 각도로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64개의 핸드들(10, 20)이 모두 동일 각도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트 연동 벨트(72) 및 핸드 연동 벨트(71)에 의해 모든 핸드들(10, 20)의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되어 변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 모터(63)만을 이용해서 다수의 핸드들(10, 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하나의 구동 모터(63) 및 구동 풀리(61) 만을 구비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을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작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그 부피도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핸드들에 직접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제품 사이의 간격이 좁게 배열된 경우에도 제품 재배열 장치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제품들의 배열 각도를 전체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완료되면, 이송 로봇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새로운 제품 배열 각도에 맞도록 형성된 새로운 팔레트 위로 이동시킨다. 다시 가압 플레이트(50)를 베이스 플레이트(40) 쪽으로 이동시켜 가압 헤드(16, 26)를 누르면, 그립(15, 25) 사이가 멀어지면 제품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제품들은 모두 팔레트에 수납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핸드(10, 20)는 상측 부재(11, 21)와 하측 부재(12, 22)가 베이스 플레이트(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부(13, 23)가 하측 부재(12, 22)에 대해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하측 부재(12, 22)의 아래쪽에서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유지 보수 등의 관리가 매우 손쉬운 장점이 있다. 핸드(10, 20)의 몸체부(13, 23)가 고장 나거나 다른 이유에 의해 몸체부(13, 23)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측 부재(12, 22)의 아래쪽에서 나사를 풀어 손쉽게 몸체부(13, 23)를 하측 부재(12, 22)로부터 뽑아 낼 수 있다. 이때, 상측 부재(11, 21)와 하측 부재(12, 22)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상측 부재(11, 21)의 위쪽에는 가압 플레이트(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측 부재(11, 21)와 가압 플레이트(50) 사이는 공간 확보가 쉽지 않다. 만약 몸체부가 상측 부재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면, 상측 부재의 위쪽에서 나사를 풀어내 몸체부를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품 재배열 장치(100)는 몸체부(13, 23)가 아래쪽에서 하측 부재(12, 22)와 결합되므로, 몸체부(13, 23)를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손쉬운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핸드(10, 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품 재배열 장치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핸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해 누르면 제품을 클램핑할 수 있는 핸드는 공압 엑튜에이터 또는 다양한 기계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총 64개의 핸드(10, 20)를 구비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서 핸드(10, 20)의 수 및 핸드 세트(31~39)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제1형 핸드들(10)은 각각 상측 부재(11, 21)와 하측 부재(12, 22)에 각각 풀리를 구비하여 핸드들(10, 20) 간의 연동과 핸드 세트들(31~39)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측 부재 또는 하측 부재 어느 하나에만 풀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풀리에 높이를 달리하여 핸드 연동 벨트와 세트 연동 벨트가 감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 핸드 연동 수단(71)과 세트 연동 수단(72)은 벨트-풀리 구조에 의해 그 회전 각 변위를 동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다양한 기계 요소를 사용하여 핸드 연동 수단 및 세트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핸드들은 풀리 대신에 기어(81)를 구비하도록 하고 핸드 연동 수단(82)으로 랙(rack; 82)을 각 기어들(81)에 연결되도록 하여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랙(82)과 마주하는 위치에 지지 랙(83)을 하나 더 마련하여 기어(81)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기어(81)의 회 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랙(83)은 랙-피니언 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백래쉬(backlash)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카치 요크 방식을 이용하여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다. 핸드들은 풀리 대신에 요크 홈(841)이 형성된 요크(84)를 구비하도록 하고, 핸드 연동 수단(85)으로 크랭크 핀(851)이 형성된 크랭크 바(85)를 사용하도록 하여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크랭크 핀(861)을 구비하는 크랭크 바(86)를 볼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87)에 설치하여 스크류(87)를 회전시킴으로써 크랭크 바(86)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이다. 그에 따라 크랭크 핀(861)이 끼워지는 요크 홈(841)이 형성된 요크(84)는 회전하게 된다.
도 10에는 워엄기어 방식에 의한 핸드 연동 수단을 도시하였다. 각 핸드들에는 기어(88)를 형성하고, 그 기어들(88)을 워엄(89)에 맞물리도록 하여 복수의 핸드들의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재배열 장치는 세트 연동 수단 또는 핸드 연동 수단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벨트-풀리, 랙-피니언, 요크-크랭크 등의 구성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재배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품 재배열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재배열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품 재재열 장치 10, 20: 핸드
10: 제1형 핸드 20: 제2형 핸드
11, 21: 상측 부재 12, 22: 하측 부재
13, 23: 몸체부 14, 24: 레버
15, 25: 그립 16, 26: 가압 헤드
17, 27: 탄성부재 18, 28: 베어링
31~39: 핸드 세트 40: 베이스 플레이트
50: 가압 플레이트 51: 공압 엑튜에이터
60: 구동수단 61: 구동 풀리
62: 구동 벨트 63: 구동 모터
71: 핸드 연동 벨트 72: 세트 연동 벨트
81: 기어 82: 랙
83: 지지 랙 84: 요크
841: 요크 홈 85: 크랭크 바
851: 요크 핀 86: 크랭크 바
87: 스크류 88: 기어
89: 워엄

Claims (11)

  1. 복수의 제품을 클램핑하여 각 제품의 배열 각도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에 있어서,
    평판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품들을 각각 하나씩 클램핑하는 복수의 핸드들과, 상기 복수의 핸드들의 각 변위가 서로 동기되도록 상기 복수의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핸드 연동 수단을 구비하는 핸드 세트; 및
    상기 핸드 세트의 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그 핸드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는, 상기 제품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그립과, 그 그립에 의해 제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그 그립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그립에 대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상기 그립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세트는 복수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하는 핸드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핸드를 서로 연결하여 핸드들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세트 연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핸드들의 각 가압 헤드를 동시에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 헤드는, 상기 핸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 헤드를 상측으로 움직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핸드는, 상기 가압 헤드의 승강에 대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 헤드에 연결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립은 상기 가압 헤드가 상승할 때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핸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부재와, 상기 가압 헤드와 탄성부재와 레 버와 그립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측 부재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구동 풀리와 구동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핸드와 연결하며,
    상기 핸드들은 각각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은 핸드 세트 내의 각 핸드들의 풀리를 서로 연결하는 핸드 연동 벨트이며,
    상기 세트 연동 수단은 인접하는 핸드 세트의 핸드를 서로 연결하는 세트 연동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들은 각각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은 각 핸드들의 기어를 서로 연결하는 랙(r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은 상기 기어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랙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지지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들은 각각 요크(york)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은 각 핸드들의 요크에 크랭크 핀이 끼워진 크랭크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의 크랭크 바는 볼스크류 방식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들은 각각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 연동 수단은 각 핸드들의 기어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워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재배열 장치.
KR1020090096435A 2009-10-09 2009-10-09 제품 재배열 장치 KR10110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35A KR101104186B1 (ko) 2009-10-09 2009-10-09 제품 재배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35A KR101104186B1 (ko) 2009-10-09 2009-10-09 제품 재배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35A KR20110039135A (ko) 2011-04-15
KR101104186B1 true KR101104186B1 (ko) 2012-01-09

Family

ID=4404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35A KR101104186B1 (ko) 2009-10-09 2009-10-09 제품 재배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1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650A (ja) * 1992-02-17 1993-09-07 Ryosei Eng Kk ハンドリング装置
JPH0733246A (ja) * 1993-07-19 1995-02-03 Shibuya Kogyo Co Ltd 物品把持機構における拡縮装置
JPH09235018A (ja) * 1996-02-29 1997-09-09 Shibuya Kogyo Co Ltd 物品把持機構における整列状態変換装置
KR20070088938A (ko) *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제품 적재용 로봇 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650A (ja) * 1992-02-17 1993-09-07 Ryosei Eng Kk ハンドリング装置
JPH0733246A (ja) * 1993-07-19 1995-02-03 Shibuya Kogyo Co Ltd 物品把持機構における拡縮装置
JPH09235018A (ja) * 1996-02-29 1997-09-09 Shibuya Kogyo Co Ltd 物品把持機構における整列状態変換装置
KR20070088938A (ko) *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제품 적재용 로봇 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35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2558B (zh) 用于板材三维曲面成形的分块式多点调形装置
CN103537578B (zh) 一种机械手取料机构
CN102490005B (zh) 花洒自动装配流水线
CN201352508Y (zh) 用于电容器制造的铆合装置
US10857711B2 (en) Handling device for plastic injection-molded parts,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CN115740148A (zh) 一种汽车钣金件自动冲压装置及工艺
KR101104186B1 (ko) 제품 재배열 장치
CN104608091B (zh) 螺套螺杆压合设备
CN101954579B (zh) 塑胶头盖型螺帽全自动压帽机
CN107030219B (zh) 一种板料渐进成形自动夹持装置
US20130310237A1 (en) Die replacing method for press forming machine
CN110011486B (zh) 一种异步电机智能装配生产线
CN100553819C (zh) 工件输送装置及压力机械
CN208542798U (zh) 法兰自动加工冲床
CN109807218A (zh) 一种多工位旋压机
CN211614790U (zh) 一种勺盖组装堆叠设备
CN209918802U (zh) 铰链旋铆自动组装机
JP2007045062A (ja) 射出成形機
CN111468628A (zh) 一种高效安全液压冲床
CN2810820Y (zh) 棒材自动送料机的上盖开闭结构
CN208698179U (zh) 工作台板装置
KR200337192Y1 (ko) 휴대폰 결착부 가공기의 클램핑기구
CN218296916U (zh) 一种模压压纸巴巴机械
KR102537833B1 (ko) 동기 모션 제어식 프레스 가공물 연속 이송방법 및 그 장치
CN109594207B (zh) 一种交互式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