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840B1 -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 Google Patents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840B1
KR101103840B1 KR1020090090692A KR20090090692A KR101103840B1 KR 101103840 B1 KR101103840 B1 KR 101103840B1 KR 1020090090692 A KR1020090090692 A KR 1020090090692A KR 20090090692 A KR20090090692 A KR 20090090692A KR 101103840 B1 KR101103840 B1 KR 10110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compound
trifluoromethyl
chl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052A (ko
Inventor
고영관
정근회
류재욱
우재춘
구동완
김대황
김태준
최인영
김영권
오태현
최준혁
석미영
김경성
정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한농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한농,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한농
Publication of KR2010003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52Two oxygen atoms
    • C07D239/54Two oxygen atoms as doubly bound oxygen atoms or as unsubstituted hydroxy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41/06Sulfonic acid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과 이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초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우라실, 제초제, 피리미딘다이온

Description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Uracil compounds and a herbicide comprising the compounds}
본 발명은 신규의 우라실계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 방제는 농업의 생산성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그 동안 여러 종류의 제초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옥수수 재배시 아트라진(Atrazine)과 같은 트리아진계 제초제, 또는 알라클로르(Alachlor) 또는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와 같은 아닐리드계 제초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한편 비선택성 제초제로서는 파라??(Paraquat) 또는 글라이포세이트(Glyphosate) 등의 제초제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농업에 손실을 초래하는 많은 잡초들이 발생하고 있어 새로운 제초제의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제초제의 활성물질과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0-302,764호에는 하기 화 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게시되어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2
상기 화학식 A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고, R2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이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1-172,265호에는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게시되어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3
상기 화학식 B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6,403,534호에는 하기 화학식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게시되어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4
상기 화학식 C에서, R1은 수소원자, 알킬기, 할로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등이 며, R2는 수소원자, 알킬기, 할로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페닐기, 벤질기, 알콕시기, 알킬술포닐기 등이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A, B, 또는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제의 특성상 과수원 및 비농경지에서 비선택성 제초제로 다수의 문제 잡초 방제를 위해서는 고약량 처리를 필요로 하고, 선택성 제초제로 사용하는 경우 재배 작물에 약해를 주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성능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초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라실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 또는 이의 농약학적 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C1∼C8 알콕시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할로알케닐기,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또는 C6∼C10 아릴 C1∼C6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4는 수소원자, C1∼C6의 알킬기, C1∼C6의 할로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카르보닐 C1∼C6 알킬기를 나타내며; R5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C2∼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할로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C1∼C6 알콕시카르보닐 C1∼C6 알킬기, C6∼C10 아릴 C1∼C6 알킬기, C6∼C10 아릴 C1∼C6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는 O, S, SO, SO2, NH, 또는 N(C1∼C6 알킬)를 나타내며; Y는 C1∼C6 알킬렌기, 또는 C1∼C6 할로알킬렌기를 나타내며; W는 O, S, NH, 또는 N(C1∼C6 알킬)를 나타내며; Z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CONH2, 또는 CSNH2 나타낸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저 농도로 경엽처리시 화본과 잡초뿐 아니라 광엽잡초까지 광범위한 제초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과수원 및 비농경지에 경엽처리용 비 선택성 제초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토양처리 시에 밀, 옥수수 등의 유용한 작물에는 약해를 주지 않으며, 광엽 및 화본과 잡초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제초활성을 나타내는 높은 선택성 제초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의 제초제는 작물 경작지, 과수원 및 비농경지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초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라세미체,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라 함은, 예를 들어,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금속염 은,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 알루미늄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기 염기와의 염은,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은,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은,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은, 예를 들어, 알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은,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에 있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비닐기, 알릴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4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를 나 타내며; 상기 R5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비닐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벤질기, 펜에틸기,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메톡시카르보닐에틸기, 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벤질옥시기, 또는 펜에틸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X는 O, S, SO2,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상기 Y는 CH2, CH(CH3), CH2CH2, CH2CH2CH2, CH(CF3), CH(CH2F), CH(CHF2), CH2CHF, 또는 CH2CF2를 나타내며; 상기 W는 O,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상기 Z는 클로로원자, 시아노기, CONH2, 또는 CSNH2 나타내는 우라실계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에 있어,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5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메톡시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벤질기, 벤질옥시기, 또는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X는 O, S, SO2, 또는 NH를 나타내며; 상기 Y는 CH2, CH(CH3), CH2CH2, CH2CH2CH2, 또는 CH(CH2F)를 나타내며; 상기 W는 O, 또는 NH를 나타내며; 상기 Z는 클로로원자, 시아노기, 또는 CSNH2 나타내는 우라실계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에 있어,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4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상기 R5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부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또는 CH2CO2CH3를 나타내며; 상기 X는 O, S, 또는 NH를 나타내며; 상기 Y는 CH2, CH2CH2, 또는 CH(CH2F)를 나타내며; 상기 W는 O를 나타내며; 상기 Z는 클로로원자를 나타내는 우라실계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라실계 화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6
화합물 번호 R1 R2 R3 R4 R5 X Y W Z 1H NMR
1 Me H H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6 (d, 1H, J=8.8 Hz), 7.17 (br s, 1H), 6.78 (d, 1H, J=6.3 Hz), 6.37 (s, 1H), 4.63 (q, 1H, J=6.7 Hz), 3.69 (s, 3H), 3.76-3.47 (m, 5H), 2.56 (t, 2H, J=5.8 Hz), 1.62 (d, 3H, J=6.7 Hz)
2 Me H H Me Me O CH2 O Cl
3 Me H H H H O CH2 O Cl
4 Me H OMe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2 (d, 1H, J=8.9Hz), 6.87 (dd, 1H, J 1=6.5Hz, J 2=1.2Hz), 6.35 (s, 1H), 5.05 (q, 1H, J=6.6Hz), 3.95 (m, 2H), 3.66 (m, 6H), 3.55 (d, 3H, J=7.8Hz), 2.56 (m, 2H), 1.63 (dd, 3H, J 1=6.8Hz, J 2=1.9Hz)
5 Me H OBn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7- 7.26 (m, 6H), 6.88 (t, 1H, J=7.7Hz), 6.36 (d, 1H, J= 1.9Hz), 4.98 (q, 1H, J=6.7Hz), 4.79 (AB q, 2H, J=10.3Hz), 4.02 (m, 2H), 3.59 (d, 3H, J=2.6Hz), 3.56 (d, 3H, J=1.0 Hz), 2.57 (m, 2H), 1.56 (m, 3H)
6 Me H OH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8.33 (d, 1H, J=17.1Hz), 7.32 (d, 1H, J=9.0Hz), 6.91 (t, 1H, J=6.8Hz), 6.35 (d, 1H, J=5.6Hz), 5.19 (m, 1H), 4.10-3.76 (m, 2H), 3.69 (s, 3H), 3.57 (d, 3H, J=1.2Hz), 2.72 (m, 2H), 1.65 (d, 3H, J=6.3Hz)
7 Me H H H n-Pr O CHMe O Cl
8 Me H H H Et O CHCH2F O Cl (300 MHz, CDCl3) δ 7.39-7.24 (m, 2H), 6.81 (d, 1H, J=6.3Hz), 6.38 (d, 1H, J=2.3Hz), 4.70-4.28 (m, 4H), 4.21-4.10 (m, 2H), 3.57 (d, 3H, J=4.5Hz), 2.70 (d, 1H, J=5.7Hz), 2.64 (d, 1H, J=5.2Hz), 1.64 (d, 1.5H, J=6.7Hz), 1.62 (d, 1.5H, J=6.7Hz), 1.31-1.20 (m, 3H)
9 Me H H H Me O CHMe O Cl (300 MHz, CDCl3) δ 7.37 (d, 0.5H, J=8.8Hz), 7.36 (d, 0.5H, J=8.8Hz), 7.15-7.00 (m, 1H), 6.80 (d, 0.5H, J=6.3Hz), 6.70 (d, 0.5H, J=6.3Hz), 6.38 (d, 0.5H, J=3.2Hz), 6.37 (d, 0.5H, J=4.1Hz), 4.60 (m, 1H), 4.35 (m, 1H), 3.71 (s, 1.5H), 3.63 (s, 1.5H), 3.57 (m, 3H), 2.58 (d, 1H, J=5.6Hz), 2.50 (d, 1H, J=5.0Hz), 1.61 (d, 3H, J=6.3Hz), 1.31-1.20 (m, 3H)
10 Me H H Me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6 (d, 1H, J=8.8Hz), 7.11 (br s, 1H), 6.79 (d, 1H, J=6.3Hz), 6.38 (s, 1H), 4.63 (q, 1H, J=6.7Hz), 3.67 (d, 3H, J=2.3Hz), 3.58 (m, 4H), 3.38 (m, 1H), 2.67 (m, 1H), 1.62 (d, 3H, J=6.7Hz), 1.20 (d, 3H, J=7.2Hz)
11 Me H H H Me O CH2CH2 O Cl (300 MHz, CDCl3) δ 7.36 (d, 1H, J=8.8Hz), 6.79 (m, 2H), 6.38 (d, 1H, J=4.1 Hz), 4.62 (m, 1H), 3.68 (s, 3H), 3.57 (d, 3H, J=4.5Hz), 3.36 (q, 2H, J=6.6Hz), 2.35 (t, 2H, J=7.5Hz), 1.87 (m, 2H), 1.64 (m, 3H)
12 Me H H H Me O CH2CH2CH2 O Cl (300 MHz, CDCl3) δ 7.40 (d, 1H, J=11.0Hz), 6.80 (d, 1H, J=6.3Hz), 6.70 (br s, 1H), 6.38 (d, 1H, J=3.7Hz), (300 MHz, CDCl3) δ 4.62 (dq, 1H, J 1=6.7Hz, J 2=2.3Hz), 3.68 (s, 3H), 3.57 (d, 3H, J=4.3Hz), 3.32 (m, 2H), 2.35 (t, 2H, J=6.9Hz), 1.60 (m, 7H)
13 H H H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8 (d, 1H, J=8.8Hz), 7.28 (br s, 1H), 6.79 (d, 1H, J=6.2Hz), 6.39 (s, 1H), 4.50 (s, 2H), 3.73 (s, 3H), 3.66 (q, 2H, J=6.1Hz), 3.58 (s, 3H), 2.62 (t, 2H, J=6.0Hz)
14 H H H H H O CH2 O Cl
15 Me H H H Me NH CH2 O Cl (200 MHz, CDCl3) δ 7.26 (d, 1H, J=9Hz), 7.05-7.20 (m, 1H), 6.35 (d, 1H, J=6.2Hz), 6.32 (s, 1H), 4.45 (br s, 1H), 3.41-3.82 (m, 9H), 2.40-2.58 (m, 2H), 1.54 (d, 3H, J=7Hz)
16 H H Me H Me O CH2 O Cl (300 MHz, CDCl3) δ 7.33 (d, 1H, J=8.8Hz), 7.01 (d, 0.4H, J=6.4Hz), 6.97 (d, 0.6H, J=6.4Hz), 6.37 (s, 1H), 4.85 (s, 0.8H), 4.73 (s, 1.2H), 3.77 (t, 0.8H, J=7.0Hz), 3.71 (s, 1.2H), 3.67 (s, 1.8H), 3.65 (t, 1.2H, J=6.9Hz), 3.57 (s, 3H), 3.15 (s, 1.8H), 2.93 (s, 1.2H), 2.63 (m, 2H)
17 Me H H H n-Pr O CH2 O Cl
18 Me Me H H Me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40 (br s, 1H), 7.35 (d, 1H, J=9H), 6.90 (d, 1H, J=6H), 6.35 (s, 1H), 3.68 (s, 3H), 3.55-3.62 (m, 2H), 3.55 (s, 3H), 2.57 (t, 2H, J=6H), 1.55 (s, 6H)
19 Me Me H H Et O CH2 O Cl
20 Me H H H Bn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4 (br s, 5H), 7.35 (d, 1H, J=9Hz), 7.10-7.25 (br s, 1H), 6.80 (d, 1H, J=6Hz), 6.36 (d, 1H, J=3Hz), 5.13 (s, 2H), 4.6 (q, 1H, J=6.7Hz), 3.55-3.62 (m, 5H), 2.62 (t, 2H, J=6H), 1.60 (d, 3H, J=7Hz)
21 Me H H H n-Pr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35 (d, 1H, J= Hz), 7.10-7.25 (m, 1H), 6.79 (d, 1H, J=6.4Hz), 6.38 (s, 1H), 4.55- 4.70 (m, 1H), 4.05-4.15 (m, 2H), 3.45-3.65m, 5H), 2.50-2.62 (m, 2H), 1.55-1.80 (m, 5H), 0.94 (t, 3H, J=7.2Hz)
22 Me H H H CH2CO2Me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15-7.40 (m, 2H), 6.79 (d, 1H, J=6.4Hz), 6.37 (s, 1H), 4.60-4.75 (m, 3H), 3.45-3.80 (m, 8H), 2.66 (t, 2H, J=5.6Hz), 1.65 (d, 3H, J=6.8Hz)
23 Me H H H n-Bu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35 (d, 1H, J=9Hz), 7.10-7.25 (m, 1H), 6.79 (d, 1H, J=6.4Hz), 6.37 (s,1H), 4.62 (q, 1H, J=5.4Hz), 4.15 (q, 2H, J=7.4Hz), 3.45-3.65 (m, 5H), 2.56 (t, 2H, J=5.6Hz), 1.25-1.75 (m, 7H), 0.94 (t, 3H, J=7.2Hz)
24 Me H H H Et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35 (d, 1H, J=9Hz), 7.10-7.25 (m, 1H), 6.79 (d, 1H, J=6.4Hz), 6.37 (s, 1H), 4.62 (q, 1H, J=5.4Hz), 4.15 (q, 2H, J=7.4Hz), 3.45-3.65 (m, 5H), 2.56 (t, 2H, J= 5.6Hz), 1.65 (d, 3H, J= 6.8Hz), 1.26 (t, 3H, J=7.4Hz)
25 Me H H H 알릴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35 (d, 1H, J=9Hz), 7.10-7.25 (m, 1H), 6.79 (d, 1H, J=6.4Hz), 6.37 (s, 1H), 5.80-6.00 (m, 1H), 5.25-5.38 (m, 2H), 4.55-4.8 (m, 3H), 3.45-3.65 (m, 5H), 2.59 (t, 2H, J=5.6Hz), 1.62 (d, 3H, J=6.2Hz)
26 Me H H H 프로파질 O CH2 O Cl (200 MHz, CDCl3) δ 7.35 (d, 1H, J=9Hz), 7.05-7.20 (m, 1H), 6.79 (d, 1H, J=6.4Hz), 6.38 (s, 1H), 4.58-4.75 (m, 3H), 3.45-3.70 (m, 5H), 2.62 (t, 2H, J=5.6Hz), 2.45-2.50 (m, 1H), 1.62 (d, 3H, J=5.2Hz)
27 Me Me H H 알릴 O CH2 O Cl
28 Me H H H Et O CH2CH2 O Cl (300 MHz, CDCl3) δ 7.36 (d, 1H, J=8.8 Hz), 6.80 (m, 2H), 6.38 (d, 1H, J=3.7 Hz), 4.62 (dq, 1H, J 1=6.7 Hz, J 2=2.0 Hz), 4.14 (q, 2H, J=7.2 Hz), 3.57 (d, 3H, J=4.3), 3.36 (q, 2H, J=6.6 Hz), 2.34 (t, 2H, J=6.9 Hz), 1.87 (p, 2H, J=7.0 Hz), 1.63 (d, 3H, J=6.7 Hz), 1.27 (t, 3H, J=7.2 Hz)
29 Me H Me H Me O CH2 O Cl
30 Me H Me H H O CH2 O Cl
31 Me Me H H H O CH2 O Cl
32 H H H H Et O CH2 O Cl
33 Me H H Me Me NH CHMe O Cl
34 Me H CH2F H Me O CH2 O Cl
35 Me H 알릴 H Me O CH2 O Cl
36 Me H H H Me S CH2 O Cl (300 MHz, CDCl3) δ 7.36 (d, 1H, J=9.0 Hz), 7.24- 7.19 (m, 1H), 7.09-6.92 (m, 1H), 6.36 (s, 1H), 3.82 (q, 0.5H, J=7.3Hz), 3.81 (q, 0.5H, J=7.3Hz), 3.66 (s, 1.5H), 3.65 (s, 1.5H), 3.56 (s, 3H), 3.59-3.40 (m, 2H), 2.46 (t, 2H, J=6.0Hz), 1.59 (d, 3H, J=7.3Hz)
37 Me H H H Et S CH2 O Cl
38 Me H OMe H Me S CH2 O Cl
39 Me H H H Me S CHMe O Cl
40 Me H H Me Et S CHMe O Cl
41 Me H H H Et O CHMe O Cl
42 Me H H H Me NH CH2 O Cl
43 Me H Me H Me NH CH2 O Cl
44 Me H OMe H Me NH CH2 O Cl
45 Me H OMe H Et O CH2 O Cl
46 Me H H H Me O CH2 O CN (300 MHz, CDCl3) δ 7.42 (d, 1H, J=8.4Hz), 6.92 (m, 1H), 6.77 (d, 1H, J=5.5Hz), 6.29 (s, 1H), 4.60 (m, 1H), 3.59 (s, 3H), 3.44-3.69 (m, 5H), 2.43-2.48 (m, 2H), 1.57 (d, 3H, J=6.7Hz)
47 Me H H H Et O CH2 O CN
48 Me H H H n-pr O CH2 O CN
49 Me H H H Me O CH2 O CONH2
50 Me H H H Et O CH2 O CONH2
51 Me H H H n-pr O CH2 O CONH2
52 Me H H H Me O CH2 O CSNH2 (300 MHz, CDCl3) δ 8.03 (s, 1H), 7.48 (d, 1H, J=8.4Hz), 6.98 (s, 1H), 6.85 (m, 1H), 6.82 (m, 1H), 6.38 (d, 1H, J=5.4Hz), 4.66 (m, 1H), 3.75 (m, 1H), 3.38 (m, 1H), 2.97 (s, 3H), 2.89 (s, 3H), 2.45-2.59 (m, 2H), 1.66 (d, 3H, J=6.9Hz)
53 Me H H H Et O CH2 O CSNH2

54 Me H H H n-pr O CH2 O CSNH2
55 Me H H H Me O CH2 NH Cl
56 Me H H H Et O CH2 NH Cl
57 Me H H H OMe O CH2 NH Cl
58 Me H H H OH O CH2 NH Cl
59 Me H H H OBn O CH2 NH Cl
60 Me H H H Me SO CH2 O Cl
61 Me H H H Me SO2 CH2 O Cl (300 MHz, CDCl3) δ 8.02 (t, 1H, J=7.4Hz), 7.48 (d, 1H, J=9Hz), 6.94 (m, 1H), 6.36 (s, 1H), 4.41 (q, 1H, J=5.4Hz), 3.72 (s, 3H), 3.46-3.56 (m, 5H), 2.52 (m, 2H), 1.57 (m, 3H)
Me는 메틸기, Et는 에틸기, n-Pr은 프로필기, n-Bu는 부틸기, Bn은 벤질기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구체화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메톡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4);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벤질옥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하이드록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6);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4-플루오로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9);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0);
4-[{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1);
5-[{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펜타노익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3);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아미노]-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에틸}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6);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벤질에스테르(화합물번호 20);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n-프로필에스테르(화합물번호 21);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오닐옥시 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n-부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3);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4);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알릴에스테르(화합물번호 2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파질에스테르(화합물번호 26);
4-[{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에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티오]-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36);
3-[{2-[2-시아노-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46);
3-[{2-[2-아미노티오카르보닐-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5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술포닐]-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61).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을 염소화 반응시약과 반응시켜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를 제조한 후, 얻어진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얻는 방법이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7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서 원료물질로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Z=Cl)은 국제공개특허 WO 03/029226호와 일본공개특허 제2000-302764호에 게시된 공지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시판중인 화합물이거나, 공지의 화합물이거나, 또는 이 분야에 익숙한 전문가는 알려진 문헌의 방법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 사용되는 염소화 반응시약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통상의 염소화 시약으로, 구체적으로 티오닐클로라이드, 포스겐, 포스포릴옥시클로라이드, 옥사릴클로라이드, 삼염화인, 오염화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염소화 반응은 용매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용매 없이도 수행할 수 있다. 용매하에서 행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반응용매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의 유기용매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에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벤젠, 클로로벤젠,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4-다이옥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염소화 반응시약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몰 이상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150℃ 범위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염소화 반응이 종료되면 반응액을 감압조건에서 농축하여 용매에 녹인 후에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이때 염기조건에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디메틸아닐린 등의 유기 염기, 또는 Na2CO3, K2CO3, Li2CO3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0℃ 내지 1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은 염기 사용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염기를 사용하지 않는 반응조건에서는, 상기 카르복시산 화합 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2 몰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염기를 사용하는 반응조건에서는 상기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1 몰 이상 사용하고, 염기를 1 몰 이상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이 종료한 후에는 유기용매로 희석하여 산으로 세척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건조,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탈수제를 이용하여 아미드 탈수반응시켜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직접 얻는 방법이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8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사용되는 탈수제는 아미드 탈수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탈수시약으로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N,N-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및 (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탈수시약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내지 1.5 몰비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탈수반응에서는 필요에 따라 촉매로서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할 수도 있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촉매는 0.05 내지 0.1 몰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수반응은 0℃ 내지 80℃,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50℃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의 유기용매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 에테르, 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이 완결된 후에는 반응 혼합물을 일반적인 분리 정제과정, 예를 들면 유기 용매로 희석하여 산성 수용액으로 세척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필요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에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얻는 방법이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09
상기 반응식 3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L은 이탈기(leaving group)으로 메탄설포네이트기(-OMs), p-톨루엔설포네이트기(-OTs),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Cl, Br)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친핵성 치환반응에서는 반응용매로서 당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의 유기용매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에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벤젠, 클로로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4-다이옥산, 및 아세토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핵성 치환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디메틸아닐린 등의 유기 염기, 또는 NaHCO3, KHCO3, Na2CO3, K2CO3, Li2CO3 등의 무기 염기이다. 이때 사용되는 염기는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내지 1.1 몰 범위에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핵성 치환반응은 0℃ 내지 100℃ 범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친핵성 치환반응에서 원료물질로 사용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Z=Cl, 및 X=O인 화합물은 CAS 등록번호 114136-60-6이고, 미국등록특허 제6,537,948호에 기재되어있으며, Z=Cl, 및 X=S인 화합물은 CAS 등록번호 353292-92-9이고, 미국등록특허 제6,537,94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Z=Cl, 및 X=NH인 화합물은 CAS 등록번호 114136-76-4이고, 미국등록특허 제4,859,22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Z=CN, 및 X=O인 화합물은 CAS 등록번호 367253-28-9이고, 유럽특허 제1,272,478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친핵성 치환반응에서 원료물질로 사용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 및 반응식 5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4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을 염소화 반응시약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소화 반응시킨 다음, 반응물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0
상기 반응식 4에서, R1, R2, R3, R4, R5, Y,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이탈기(leaving group)으로 메탄설포네이트기(-OMs), p-톨루엔설포네이트기(-OTs),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Cl, Br)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4의 반응에서 원료물질로 사용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중 일부가 공지되어 있으며, 그 중 몇몇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으므로 구입하여 원료물질로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이 분야에 익숙한 전문가는 알려진 문헌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 화합물을 손쉽게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식 5에서의 염소화 반응시약은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염소화 반응 에서 사용된 시약으로부터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몰 이상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150℃ 범위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염소화반응이 종료되면 반응액을 감압조건에서 농축하여 용매에 녹인 후에,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이때 염기조건에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디메틸 아닐린 등의 유기 염기, 또는 Na2CO3, K2CO3, Li2CO3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0℃ 내지 1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은 염기 사용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염기를 사용하지 않는 반응조건에서는, 상기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2 몰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염기를 사용하는 반응조건에서는 상기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1 몰 이상 사용하고, 염기를 1 몰 이상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이 종료한 후에는 유기용매로 희석하여 산으로 세척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건조, 및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친핵성 치환반응에서 원료물질로 사용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 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탈수제를 이용하여 아미드 탈수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1
반응식 5에서, R1, R2, R3, R4, R5, Y,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이탈기(leaving group)으로 메탄설포네이트기(-OMs), p-톨루엔설포네이트기(-OTs),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Cl, Br)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사용되는 탈수제는 아미드 탈수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탈수시약으로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N,N-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및 (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탈수시약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내지 1.5 몰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탈수반응에서는 필요에 따라 촉매로서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할 수도 있데,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상기 촉매는 0.05 내지 0.1 몰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수반응은 0℃ 내지 80℃,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50℃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의 유기용매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 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이 완결된 후에는 반응 혼합물을 일반적인 분리 정제과정, 예를 들면 유기 용매로 희석하여 산성 수용액으로 세척 후 유기층을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필요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중 X=SO, 또는 SO2인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X=S인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산화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2
상기 반응식 6에서, R1, R2, R3, R4, R5, Y, Z,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n은 산소원자(O)의 개수로 1, 또는 2의 정수이다.
상기 반응식 6에 나타낸 산화반응은 문헌(Phosphorus, Sulfur and Silicon and the Related Elements; English; 45; 1989; 31 - 34; Synthesis; English; 7; 1997; 787-791)에 게시된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제로 옥손(Oxone), MCPBA, H2O2, KMnO4, NaIO4, t-BuOCl, Ca(OCl)2, NaClO2, 소듐 하이퍼클로 라이드(NaOCl), 디옥시란, 아질산(HNO3), 세릭 암모늄 나이트레이트(ceric ammonium nitr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중 Z=CONH2인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Z=CN인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문헌(Journal of Chemical Research, Miniprint; English; 12; 1985; 3830-3860)에 게시된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3
상기 반응식 7에서, R1, R2, R3, R4, R5, X, Y,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중 Z=CSNH2인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Z=CN인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문헌(Phosphorus and Sulfur and the Related Elements; English; 25; 1985; 297-306)에 게시된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4
상기 반응식 8에서, R1, R2, R3, R4, R5, X, Y, 및 W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 2-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의 합성
2-클로로프로피온산 10.8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0.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염화 티오닐(SOCl2) 17.8 g을 50℃에서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 112℃에서 증류하여 9.4 g의 연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δ 4.68 (q, 1H, J=7.0 Hz), 1.84 (d, 3H, J=7.0 Hz).
제조예 2: 3-(2-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베타 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2.25 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현탁시킨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 1.63 g을 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피리딘 1.27 g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한 후, 2-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2.04 g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켜 20분 동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 N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탈수, 여과, 및 농축하여 93% 수율로 2.9 g의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δ 7.15 (br s, 1H), 4.41 (q, 1H, J=7.0 Hz), 3.74 (s, 3H), 3.58 (q, 2H, J=6.1 Hz), 2.59 (t, 2H, J=6.0 Hz), 1.74 (d, 3H, J=7.1 Hz).
실시예 1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1)의 합성
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프로피온 산 20 g과 베타 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8.2 g을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용해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4-메틸몰포린 14.8 g를 천천히 적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8.5 g를 30분간 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 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미량의 불순물이 포함된 목적물 24 g을 얻었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혼합용매로 두 번 재결정하여 목적물 18.2 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36 (d, 1H, J=8.8 Hz), 7.17 (br s, 1H), 6.78 (d, 1H, J=6.3 Hz), 6.37 (s, 1H), 4.63 (q, 1H, J=6.7 Hz), 3.69 (s, 3H), 3.76-3.47 (m, 5H), 2.56 (t, 2H, J=5.8 Hz), 1.62 (d, 3H, J=6.7 Hz)
실시예 2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1)의 합성
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프로피온 산 1.00 g에 옥사릴 클로라이드 2 m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1.00 g의 산 클로라이드를 얻었다. 얻은 산 클로라이드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한 후, 트리에틸 아민 0.70 mL과 베타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357 mg을 차례로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이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세척한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고,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물 800 m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36 (d, 1H, J=8.8 Hz), 7.17 (br s, 1H), 6.78 (d, 1H, J=6.3 Hz), 6.37 (s, 1H), 4.63 (q, 1H, J=6.7 Hz), 3.69 (s, 3H), 3.76-3.47 (m, 5H), 2.56 (t, 2H, J=5.8 Hz), 1.62 (d, 3H, J=6.7 Hz)
실시예 3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메톡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4)의 합성
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프로피온 산 200 mg과 메틸 3-(메톡시아민)프로파노에이트 66 mg를 디클로로메탄 2 mL에 용해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4-메틸몰포린 162 μL를 천천히 적가하고, 30분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86 mg을 30분간 나누어 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고,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물 170 m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32 (d, 1H, J=8.9 Hz), 6.87 (dd, 1H, J 1=6.5 Hz, J 2=1.2 Hz), 6.35 (s, 1H), 5.05 (q, 1H, J=6.6 Hz), 3.95 (m, 2H), 3.66 (m, 6H), 3.55 (d, 3H, J=7.8 Hz), 2.56 (m, 2H), 1.63 (dd, 3H, J 1=6.8 Hz, J 2=1.9 Hz).
실시예 4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13)의 합성
[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아세트 산 100 mg과 베타 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43 mg을 디클로로메탄 1 mL에 현탁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4-메틸몰포린 100 μL를 천천히 적가하고 (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97 mg를 1시간 동안 나누어 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물 96 m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38 (d, 1H, J=8.8 Hz), 7.28 (br s, 1H), 6.79 (d, 1H, J=6.2 Hz), 6.39 (s, 1H), 4.50 (s, 2H), 3.73 (s, 3H), 3.66 (q, 2H, J=6.1 Hz), 3.58 (s, 3H), 2.62 (t, 2H, J=6.0 Hz)
실시예 5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아미노]-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15)의 합성
3-[2-(톨루엔-4-술포닐옥시)-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07 mg을 아세토니트릴 5 mL에 녹이고, 1-메틸-3-(5-아미노-4-클로로-2-플루오로-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미딘-2,4-다이온 300 mg과 탄산칼륨 135 mg을 넣고 냉각기 없이 6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반응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넣어 희석하여 물 50 mL로 세척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물 170 m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26 (d, 1H, J=9 Hz), 7.05-7.20 (m, 1H), 6.35 (d, 1H, J=3.2 Hz), 6.32 (s, 1H), 4.45 (br s, 1H), 3.41-3.82 (m, 9H), 2.40-2.58 (m, 2H), 1.54 (d, 3H, J=7 Hz).
실시예 6 :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8)의 합성
3-(2-브로모-2-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24 mg과 3-(4-클로로-2-플루오로-5-하이드록시-페닐)-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미딘-2,4-디온 250 mg을 아세토니트릴 5 mL에 녹이고 K2CO3 204 mg을 넣어서 12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넣어서 희석시키고, 물 50 mL로 세척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고 농축액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목적물 240 mg을 얻었다.
1H NMR(CDCl3) δ 7.40 (br s, 1H), 7. 35 (d, 1H, J=9 Hz), 6.90 (d, 1H, J=6 Hz), 6.35 (s, 1H), 3.68 (s, 3H), 3.55-3.62 (m, 2H), 3.55 (s, 3H), 2.57 (t, 2H, J=6 Hz), 1.55 (s, 6H), 1.43 (s, 3H)
실시예 7: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티오]-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화합물번호 36)의 합성
3-(2-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6.93 g과 탄산칼륨 4.72 g을 아세토니트릴 150 mL에 현탁시키고, 3-(4-클로로-2-플루오로-5-머캅토페닐)-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미딘-2,4-디온 11.54 g을 아세토니트릴 75 mL에 용해시켜 45℃ 내지 50℃에서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5℃에서 1 N 염산으로 중화시켰다.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층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혼합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탈수, 여과, 농축한 후,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목적물 13.00 g(수율 78%, 흰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δ 7.36 (d, 1H, J=9.0 Hz), 7.24-7.19 (m, 1H), 7.09-6.92 (m, 1H), 6.36 (s, 1H), 3.82 (q, 0.5H, J=7.3 Hz), 3.81 (q, 0.5H, J=7.3 Hz), 3.66 (s, 1.5H), 3.65 (s, 1.5H), 3.56 (s, 3H), 3.59-3.40 (m, 2H), 2.46 (t, 2H, J=6.0 Hz), 1.59 (d, 3H, J=7.3 Hz).
[제제예]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은 제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초제로 사용하는 경우 농약의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희석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배합하여 수화제, 유제, 분제 현탁제, 액제 등의 각종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제제들은 직접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한 매체에 희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분무 부피량은 헥타아르(ha)당 수 백리터 내지 몇 천 리터까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 0.1 중량% 내지 99.9 중량%와, 계면활성제, 고체 또는 액체 희석제, 분산제, 보조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0.1 중량% 내지 99.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입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대한 대표적 조성예로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 중량비 (단위: 중량%)
활성성분 희석제 계면활성제
수화제 10 ∼ 90 0 ∼ 80 1 ∼ 10
현탁제 3 ∼ 50 40 ∼ 95 0 ∼ 15
유제/액제 3 ∼ 50 40 ∼ 95 0 ∼ 15
입제 0.1 ∼ 95 5 ∼ 98.9 1 ∼ 15
본 발명이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이 큰 물질이며, 분자 중에 친수성, 및 친유성 분자단을 가진 양친매성 물질로서, 세정력, 분산력, 유화력, 가용화력, 습윤력, 살균력, 기포력, 및 침투력 등이 우수한 바, 효과적으로 약효를 발현하도록 습윤, 붕괴, 분산, 유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알킬(C8∼C12)벤젠설포네이트, 알킬(C3∼C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3∼C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8∼C12)설포석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석시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알킬(C8∼C12)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설포네이트와 같은 설포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알킬(C8∼C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설페이트와 같은 설페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폴리옥시알킬렌숙시네이트와 같은 숙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폴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적으로 열거된 화합물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활성성분의 비율은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활성성분에 비하여 계면활성제를 더 많은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으며 제제 시에 첨가하거나 탱크 혼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희석제는 성상에 따라 고체 희석제와 액체 희석제로 분류할 수 있다. 고체 희석제로서 흡수력이 높은 희석제는 수화제를 만들 때 특히 좋다. 액체 희석제와 용제는 0℃에서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한 것이 좋다. 액체 희석제로는, 물, 톨루엔, 자일렌, 석유 에테르, 식물성 오일,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산 무수물, 아세토니트릴, 아세토페논, 아밀 아세테이트, 2-부타논, 부틸린 카보네이트, 클로로벤젠,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산올, 아세트산의 알킬 에스테르, 디아세톤 알콜, 1,2-디클로로프로판, 디에탄올아민, p-디에틸벤젠,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아비에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1,4-디옥산,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프록시톨, 알킬피롤리돈, 에틸 아세테이트, 2-에틸 헥산올, 에틸렌 카보네이트, 1,1,1-트리클로로에탄, 2-헵타논, 알파-피넨, d-리모넨, 에틸 락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감마-부티로락톤, 글리세롤, 글리세롤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디아세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헥사데칸, 헥실렌 글리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이소옥탄, 이소포론, 이소프로필벤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락트산, 라우릴아민, 메시틸 옥사이드, 메톡시프로판올, 메틸 이소아밀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라우레이트, 메틸 옥타노에이트, 메틸 올레에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m-자일렌, n-헥산, n-옥틸아민, 옥타데칸산, 옥틸아민 아세테이트, 올레산, 올레일아민, o-자일렌, 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400), 프로피온산, 프로필 락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p-자일렌, 톨루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자일렌설폰산, 파라핀, 광유,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고분자량 알콜, 예를 들어, 아밀 알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콜, 헥산올, 옥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체 희석제로는 활석, 이산화티탄, 납석 점토, 실리카, 아타펄자이트 점토, 규조토, 석회암,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목화씨 껍질, 통밀가루(wheatmeal), 콩고물, 속돌, 목분, 호두 껍질, 리그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제제는 거품방지, 케이크, 부식,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첨가제를 가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서, 액제는 구성성분들을 단지 혼합하기만 하면 되고, 미세 고상 조성물은 햄머 또는 유동 제분기에서 혼합 분쇄하면 된다. 현탁제는 습식 제분기에 혼화처리하여 만들고 입제는 활성물질을 입제 담체위에 분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한 대표적 제제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제제예 1: 수화제
하기의 성분들을 완전히 혼합하고 액체 계면활성제를 고체성분들 위에 분무하면서 혼합하였다. 햄머 밀에서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00 ㎛ 이하가 되게 하였다.
유효 화합물 20 중량 %
도데실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2 중량 %
나트륨 리그린 설포네이트 4 중량 %
나트륨 실리콘 알루미네이트 6 중량 %
몬트모릴로나이트 68 중량 %
제제예 2: 수화제
하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입자크기가 25 ㎛ 이하가 될 때까지 햄머 밀에서 분쇄한 후 포장하였다.
유효 화합물 80 중량 %
나트륨 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2 중량 %
나트륨 리그린 설포네이트 2 중량 %
합성 무정형 실리카 3 중량 %
카오리나이트 13 중량 %
제제예 3: 유제
하기의 성분들을 섞고 균일하게 용해하여 유제로 하였다.
유효 화합물 30 중량 %
싸이클로헤사논 20 중량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11 중량 %
알킬벤젠설폰산 칼슘 4 중량 %
메틸나프탈렌 35 중량 %
제제예 4: 입제
하기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한 후,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물 20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하여 압출식 조입기를 사용 14∼32 메쉬의 입제로 가공한 후 건조하여 입제를 제조하였다.
유효 화합물 5 중량 %
나트륨 라우릴 알콜 황산 에스테르 염 2 중량 %
나트륨 리그린 설포네이트 5 중량 %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2 중량 %
황산칼륨 16 중량 %
석고 70 중량 %
본 발명의 제제는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우라실계 화합물은 저 농도로 경엽처리하여 화본과 잡초뿐 아니라 광엽잡초까지 광범위한 제초효과를 나타내므로 과수원 및 비농경지용 비선택성 경엽처리형 제초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라실계 화합물은 토양처리 시에 옥수수, 밀과 같은 재배 작물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므로 옥수수, 및 밀농사에 토양처리용 제초제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활성성분을 기준으로 헥타아르(ha)당 10 g 내지 1 kg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10 g 내지 400 g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약량의 선택은 잡초 발생량이나 생육정도, 제제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도 농약으로서 활성을 가지는 통상의 활성성분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 억제제(ACC),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 억제제(ALS), 아미드, 옥신 제초제, 옥신 수송 억제제, 카로테노이드 생합성 억제제, 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 3-포스페이트 신타제 억제제(ESPS), 글루타민 신테타제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유사분열 억제제,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옥시다제 억제제, 광합성 억제제, 상승작용제, 성장 물질, 세포벽 생합성 억제제, 및 기타 제초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초 활성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유용하다.
상기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 억제제(ACC)로는 시클로헥세논 옥심 에테르로서 알록시딤, 클레토딤, 클로프록시딤, 시클록시딤, 세톡시딤, 트랄콕시딤, 부트록시딤, 클레폭시딤, 또는 테프랄옥시딤,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에스테르로서 메타미포프, 시할로포프-부틸, 디클로포프-메틸,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P-에틸, 펜티아프로프-에틸, 플루아지포프-부틸, 플루아지포프-P-부틸, 할록시포프-에톡시에틸, 할록시포프-메틸, 할록시포프-P-메틸, 이속사피리포프, 프로파퀴즈아포프, 퀴즈알로포프-에틸, 퀴즈알로포프-P-에틸, 또는 퀴즈알로포프-테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 억제제(ALS)로는 이미다졸리논로서 이마자피르, 이마자퀸,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 이마자픽, 이마제타피르, 또는 이마자메타피르, 피리미딜 에테르로서 피리티오박-산, 피리티오박-나트륨, 비스피리박-나트륨, 또는 피리벤즈옥심, 술폰아미드로서 플로라술람, 플루메트술람, 또는 메토술람, 술포닐우레아로서 아미도설퓨론, 아짐설퓨론, 벤설퓨론-메틸,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르설퓨론, 시노설퓨론, 시클로설파무론, 에타메트설퓨론-메틸, 에톡시설퓨론, 플라자설퓨론, 할로설퓨론-메틸, 이마조설푸론, 메트설퓨론-메틸, 니코설퓨론, 프리미설퓨론-메틸, 프로설퓨론, 피라조설퓨론-에틸, 림설퓨론, 설퓨메투론-메틸, 티오펜설퓨론-메틸, 트리아설퓨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플루설퓨론-메틸, 술포설퓨론, 플루세토설퓨론, 또는 아이오도설퓨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신 제초제로는 피리딘 카르복실산으로서 클로피랄리드, 또는 피클로람, 2,4-D, 또는 베나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신 수송 억제제로는 나프탈람, 또는 디플루펜조피르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카로테노이드 생합성 억제제로는 벤조페나프, 클로마존, 디플루페니칸,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리돈,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족시펜, 이속사플루톨, 이속사클로르톨, 메소트리온, 술코트리온 (클로르메술론), 케토스피라독스, 플루르타몬, 노르플루라존, 또는 아미트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 3-포스페이트 신타제 억제제(ESPS)로는 글리포세이트, 또는 술포세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글루타민 신테타제 억제제로는 빌라나포스(비알라포스), 또는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질 생합성 억제제로는 아닐리드로서 아닐로포스, 또는 메페나세트,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로서 디메텐아미드, S-디메텐아미드,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부타클로르, 부텐아클로르, 디에타틸-에틸, 디메타클로르, 메타자클로르, 메톨아클로르, S-메톨아클로르, 프레틸아클로르, 프로프아클로르, 프린아클로르, 테르부클로르, 테닐클로르, 또는 크실아클로르, 티오우레아로서 부틸레이트, 시클로에이트, 디-알레이트, 디메피페레이트, EPTC, 에스프로카르브, 몰리네이트, 페불레이트, 프로술포카르브, 티오벤카브 (벤티오카브), 트리-알레이트, 또는 베르놀레이트, 벤푸레세이트, 또는 퍼플루이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사분열 억제제로는 카르바메이트로서 아술람, 카르베타미드, 클로르프로팜, 오르벤카르브, 프론아미드 (프로피자미드), 프로팜, 또는 티오카르바질, 디니트로아닐린로서 베네핀, 부트랄린, 디니트라민, 에탈플루랄린, 플루클로랄린, 오리잘린, 펜디메탈린, 프로디아민, 또는 트리플루랄린, 피리딘으로서 디티오피르, 또는 티아조피르, 부타미포스, 클로르탈-디메틸 (DCPA), 또는 말레산 히드라지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옥시다제 억제제는 디페닐 에테르로서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 아클로니펜, 비페녹스, 클로르니트로펜 (CNP), 에톡시펜, 플루오로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포메사펜, 푸릴옥시펜, 락토펜, 니트로펜, 니트로플루오르펜, 또는 옥시플루오르펜, 옥사디아졸로서 옥사디아르길, 또는 옥사디아존, 시클릭 이미드로서 아자페니딘, 부타펜아실, 카르펜트라존-에틸, 시니돈-에틸,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미프로핀, 플루프로파실, 플루티아세트-메틸, 술펜트라존, 또는 티디아지민, 피라졸로서 피라플루펜-에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합성 억제제는 프로파닐, 피리데이트 피리다폴, 벤조티아디아지논을서 벤타존, 디니트로페놀으로서 브로모페녹심, 디노셉, 디노셉-아세테이트, 디노테르브, 또는 DNOC, 디피리딜렌으로서 시페르쿼트-클로라이드, 디펜조쿼트-메틸술페이트, 디쿼트, 또는 파라쿼트-디클로라이드, 우레아로서 클로르브로무론, 클로로톨루론, 디페녹수론, 디메푸론, 디우론, 에티디무론, 페누론, 플루오메투론,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리누론,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타졸, 메토벤주론, 메톡수론, 모노리누론, 네부론, 시두론, 또는 테부티우론, 페놀로서 브로목시닐, 또는 이옥시닐, 클로리다존, 트리아진으로서 아메트린, 아트라진, 시아나진, 데스메트린, 디메타메트린, 헥사지논,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진, 시마진, 시메트린, 테르부메톤, 테르부트린, 테르부틸아진, 또는 트리에타진, 트리아지논으로서 메타미트론, 또는 메트리부진, 우라실으로서 브로마실, 레나실, 또는 테르바실, 비스카르바메이트로서 데스메디팜, 또는 펜메디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승작용제로는 옥시란으로서 트리디판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성장 물질로는 아릴옥시알칸산으로서 2,4-DB, 클로메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P(2,4-DP-P), 플루오르옥시피르, MCPA, MCPB, 메코프로프, 메코프로프-P, 또는 트리클로피르, 벤조산으로서 클로르암벤, 또는 디캄바, 퀴놀린카르복실산으로서 퀸클로락, 또는 퀸메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세포벽 합성 억제제 이속사벤, 또는 디클로베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제초제로는 디클로로프로피온산으로서 달라폰, 디히드로벤조푸란으로서 에토푸메세이트, 페닐아세트산으로서 클로르페낙(페낙), 또는 아지프로트린, 바르반, 벤술리드, 벤즈티아주론, 벤조플루오르, 부미나포스, 부티다졸, 부투론, 카펜스트롤, 클로르부팜, 클로르펜프로프-메틸, 클로르옥수론, 신메틸린, 쿠밀루론, 시클루론, 시프라진, 시프라졸, 디벤질루론, 디프로페트린, 딤론, 에글리나진-에틸, 엔도탈, 에티오진, 플루카바존, 플루오르벤트라닐, 플루폭삼, 이소카르바미드, 이소프로팔린, 카르부틸레이트, 메플루이디드, 모누론, 나프로파미드, 나프로파닐리드, 니트랄린, 옥사시클로메폰, 페니소팜, 피페로포스, 프로시아진, 프로플루랄린, 피리부티카르브, 섹부메톤, 술팔레이트(CDEC), 테르부카르브, 트리아지플람, 트리아펜아미드, 또는 트리메투론, 및 이들의 환경친화적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단자엽(화본과 잡초), 및 쌍자엽(광엽 잡초)의 유해 식물에 대해 현저한 제초 활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해 방제될 수 있는 잡초 식물의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들 수 있으나, 특정 종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초제에 의해 살초될 수 있는 잡초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화본과 잡초(단자엽 잡초) 종으로는 바랭이, 개밀, 피, 미국개기장, 민바랭이, 왕바랭이, 강아지풀, 수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드렁새, 비노리, 큰비노리, 가락지조, 포아풀, 왕포아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광엽 잡초(쌍자엽 잡초) 종으로는 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너도방동사니, 쇠털골, 올방개, 매자기 등으로 대표되는 사초과 잡초; 한련초, 털진득찰, 중대가리풀, 개쑥갓, 쑥, 미국가막사리, 서양민들레, 개망초, 망초, 털별꽃아재비, 지칭개, 보리뺑이, 사철쑥, 도깨비바늘, 진득찰, 단풍잎돼지풀, 씀바귀,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미국쑥부쟁이, 조뱅이, 민들레, 돼지풀, 뚱딴지, 붉은서나물 등의 국화과 잡초; 향유, 석잠풀, 들깨풀, 익모초 등의 꿀풀과 잡초, 깨풀, 큰땅빈대, 애기땅빈대 등의 대극과 잡초; 주름잎, 밭뚝외풀 등의 현삼과 잡초; 까마중, 미국까마중 등의 가지과 잡초; 개비름, 가는털비름 등의 비름과 잡초; 괭이밥, 선괭이밥 등의 괭이밥과 잡초; 유럽쥐손이풀, 이질풀 등의 쥐손이풀과 잡초; 수박풀, 어저귀 등의 아욱과 잡초; 환삼덩굴, 삼 등의 삼과 잡초; 여뀌바늘, 겹달맞이꽃 등의 바늘꽃과 잡초; 쇠비름 등의 쇠비름과 잡초; 쇠뜨기 등의 속새과 잡초; 반하 등의 천남성과 잡초; 사상자 등의 산형과 잡초; 석류풀 등의 석류풀과 잡초; 닭의장풀 등의 닭의장풀과 잡초; 돌나물 등의 돌나물과 잡초; 애기똥풀 등의 양귀비과 잡초; 박주가리 등의 박주가리과 잡초; 제비꽃 등의 제비꽃과 잡초; 쇠별꽃 등의 석죽과 잡초; 모시물통이 등의 쐐기풀과 잡초; 꽃마리 등의 지치과 잡초; 질경이 등의 질경이과 잡초; 개소시랑개비 등의 장미과 잡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실험예]
다음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나타내는 잡초방제 효과를 시험한 예이다.
시험예 : 토양 및 경엽처리 시험
멸균된 사질토양 (pH 6.1, 유기물 1.0%, clay 21%, silt 17%, sand 52%)에 원예용복비(N:P:K=11:10:11)를 폿트(350 cm2)당 1 g씩 혼합시킨 다음 사각 플라스틱 폿트에 충진하여 옥수수, 미국개기장, 및 바랭이 등 화본과 식물과 까마중,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등 광엽식물, 또는 메꽃 근경을 줄파하여 복토하였다. 토양처리는 파종 1일 후, 경엽처리는 파종 8일 내지 12일 후에 조제된 시험 약제를 살포하였다. 시험 약제는 시험 약제 1 중량부와 아세톤 5 중량부, 및 유화제 1 중량부의 혼합물에 녹이고 물로 희석하여 조제한 수화제를 헥타아르당 2000 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활성화합물의 양은 원하는 특정 량이 되도록 선택하였다.
약제처리 후 온실조건(주간온도 25∼35℃/야간온도 20∼25℃, 14시간 광주기)에서 2주 동안 생육시킨 하기, 각 식물에 대한 제초활성을 잡초에 대해서는 0(무방제) ∼ 100(완전방제), 작물에는 0(무해) ∼ 10(완전고사) 등급표에 준하여 달관 조사하여 무 처리구에 대한 방제가로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7에 각각 나타낸 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경엽처리 시 낮은 약량에서도 광엽 잡초와 화본과 잡초에서 탁월한 제초활성을 나타내며, 토양처리 시에는 밀과 옥수수에는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고, 광엽 잡초, 및 화본과 잡초에 고루 강력한 제초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화합물은 일본공개특허 제2000-302764호 및 제2001-172,265호에 나타난 화합물로서, 그 구조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5
,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6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7
대조화합물과의 경엽처리 제초활성 비교시험(8 g a.i./ha)
시험물질 잡 초
화본과 잡초 광엽 잡초
돌피 바랭이 도꼬마리
대조화합물 1 55 30 98
대조화합물 2 65 25 70
대조화합물 3 30 10 95
화합물번호 1 100 100 100
경엽처리 제초 활성시험(I) (8 g a.i./ha)
시험물질 화본과 잡초 광엽 잡초
너도방동사니 바랭이 수수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화합물번호 1 100 100 97 100 100 100
화합물번호 36 100 100 100 100 100 100
경엽처리 제초 활성시험(II) (8 g a.i./ha)
시험물질 화본과 잡초 광엽 잡초
돌피 바랭이 미국개기장 까마중 어저귀 자귀풀
화합물번호 1 100 100 100 100 100 100
화합물번호 24 98 99 99 100 100 100
경엽처리 제초활성 시험(III) (16 g a.i./ha)
시험물질 화본과 잡초 광엽 잡초
돌피 바랭이 미국개기장 까마중 어저귀 자귀풀
화합물번호 22 100 85 100 100 100 100
화합물번호 23 100 100 100 100 100 100
화합물번호 25 90 100 96 100 100 100
화합물번호 26 90 95 90 100 100 100
토양처리 제초활성시험 (32 g a.i./ha)
시험물질 작 물 화본과 잡초 광엽 잡초
옥수수 수수 바랭이 까마중 어저귀 자귀풀
화합물번호 1 2 3 100 100 100 100 100
화합물번호 36 0 0 100 100 100 100 100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확인되듯이, 대조화합물 1, 2 및 3은 도꼬마리 대한 제초활성은 갖고 있으나 완벽하지 않고, 단자엽 잡초에 대한 제초활성이 극히 낮으므로, 다수의 문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고약량을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β-아미노산 골격의 아미드 화합물로서 경엽처리 시에는 화본과 잡초(단자엽 식물), 및 광엽 잡초(쌍자엽 식물)에 대하여 광범위한 제초활성을 나타내므로 경엽처리형 비선택성 제초제로 유용하고, 토양처리 시에는 재배 작물에 대한 약해가 거의 없으면서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한 제초활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작물재배용 선택성 제초제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고성능 제초제로서 약량을 크게 감소시켜 환경오염의 문제까지도 해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6 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C1∼C8 알콕시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할로알케닐기,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또는 C6∼C10 아릴 C1∼C6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4는 수소원자, C1∼C6의 알킬기, C1∼C6의 할로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카르보닐 C1∼C6 알킬기를 나타내며;
    R5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C2∼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할로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C1∼C6 알콕시카르보닐 C1∼C6 알킬기, C6∼C10 아릴 C1∼C6 알킬기, C6∼C10 아릴 C1∼C6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는 O, S, SO, SO2, NH, 또는 N(C1∼C6 알킬)를 나타내며;
    Y는 C1∼C6 알킬렌기, 또는 C1∼C6 할로알킬렌기를 나타내며;
    W는 O, S, NH, 또는 N(C1∼C6 알킬)를 나타내며;
    Z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CONH2, 또는 CSNH2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비닐기, 알릴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4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5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 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비닐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벤질기, 펜에틸기,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메톡시카르보닐에틸기, 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벤질옥시기, 또는 펜에틸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X는 O, S, SO2,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상기 Y는 CH2, CH(CH3), CH2CH2, CH2CH2CH2, CH(CF3), CH(CH2F), CH(CHF2), CH2CHF, 또는 CH2CF2를 나타내며;
    상기 W는 O,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상기 Z는 클로로원자, 시아노기, CONH2, 또는 CSNH2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3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R5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메톡시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벤질기, 벤질옥시기, 또는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를 나타내며;
    상기 X는 O, S, SO2, 또는 NH를 나타내며;
    상기 Y는 CH2, CH(CH3), CH2CH2, CH2CH2CH2, 또는 CH(CH2F)를 나타내며;
    상기 W는 O, 또는 NH를 나타내며;
    상기 Z는 클로로원자, 시아노기, 또는 CSNH2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메톡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4);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벤질옥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하이드록시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6);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4-플루오로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9);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2-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0);
    4-[{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1);
    5-[{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펜타노익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 스테르(화합물번호 13);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아미노]-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에틸}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6);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1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벤질에스테르(화합물번호 20);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n-프로필에스테르(화합물번호 21);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오닐옥시 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 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n-부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3);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4);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알릴에스테르(화합물번호 25);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로파질에스테르(화합물번호 26);
    4-[{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부티릭산 에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28);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티오]-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36);
    3-[{2-[2-시아노-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46);
    3-[{2-[2-아미노티오카르보닐-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녹시]-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52);
    3-[{2-[2-클로로-5-(3,6-다이하이드로-3-메틸-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4-플루오로페닐술포닐]-1-옥소프로필}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61); 및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이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
    [화학식 1]
    Figure 112009058860550-pat0001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화본과 잡초와 광엽 잡초 제거를 위한 경엽처리용 제초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재배작물에 대한 선택성을 가지며, 화본과 잡초와 광엽 잡초 제거를 위한 토양처리용 제초제.
  8.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의 농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 0.1 중량% 내지 99.9 중량%와,
    계면활성제, 및 고체 또는 액체 희석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0.1 중량% 내지 9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112011048490258-pat0002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입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로 제제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제 억제제(ACC),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 억제제(ALS), 아미드, 옥신 제초제, 옥신 수송 억제제, 카로테노이드 생합성 억제제, 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 3-포스페이트 신타제 억제제(ESPS), 글루타민 신테타제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유사분열 억제제,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옥시다제 억제제, 광합성 억제제, 상승작용제, 성장 물질, 세포벽 생합성 억제제, 및 공지 제초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을 염소화 반응시켜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 후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우라실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
    [화학식 2]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1
    [화학식 3]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2
    [화학식 1]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3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2.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라실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
    [화학식 4]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4
    [화학식 5]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5
    [화학식 1]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6
    상기 화학식 1, 4, 또는 5에서, R1, R2, R3, R4, R5, X, Y, Z, 및 W는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이탈기(leaving group)를 나타낸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을 염소화 반응시켜 카르복시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 후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라실 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6]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09058860550-pat00028
    상기 화학식 3, 또는 6에서, R1, R2, R3, R4, R5, Y, 및 W는 각각 상기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이탈기(leaving group)를 나타낸다.
KR1020090090692A 2008-10-02 2009-09-24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KR101103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108 2008-10-02
KR1020080097108 200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052A KR20100038052A (ko) 2010-04-12
KR101103840B1 true KR101103840B1 (ko) 2012-01-06

Family

ID=4207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92A KR101103840B1 (ko) 2008-10-02 2009-09-24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193198B2 (ko)
EP (1) EP2343284B1 (ko)
JP (1) JP5291197B2 (ko)
KR (1) KR101103840B1 (ko)
CN (1) CN102203071B (ko)
AU (1) AU2009300571B2 (ko)
BR (1) BRPI0913829B1 (ko)
CA (1) CA2739347C (ko)
CL (1) CL2011000656A1 (ko)
CO (1) CO6362000A2 (ko)
CR (1) CR20110183A (ko)
EA (1) EA019009B1 (ko)
EC (1) ECSP11010924A (ko)
ES (1) ES2530540T3 (ko)
MY (1) MY158047A (ko)
PL (1) PL2343284T3 (ko)
WO (1) WO201003895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96A1 (en) 2012-04-12 2013-10-17 Dongbu Farm Hannong Co., Lt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uraci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20200132479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창발켐텍 3-(2-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061347T (pt) * 2013-10-23 2018-12-27 Ishihara Sangyo Kaisha Composição herbicida
US11723365B2 (en) * 2016-08-09 2023-08-15 Basf Se Method for controlling PPO resistant weeds
KR20180081276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팜한농 5-(3,6-다이하이드로-2,6-다이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1(2h)-피리미디닐)페닐싸이올 화합물의 제조 방법
CA3085244A1 (en) 2017-12-19 2019-06-2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Substituted thiophenyl uracils, salts thereof and the use thereof as herbicidal agents
WO2019121543A1 (de) 2017-12-19 2019-06-27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thiophenyl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WO2019121547A1 (de) 2017-12-19 2019-06-27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thiophenyl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KR102057445B1 (ko) * 2018-03-06 2020-01-14 주식회사 팜한농 피리미딘다이온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KR102130043B1 (ko) * 2018-07-10 2020-07-03 주식회사 경농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US11109588B2 (en) 2019-02-19 2021-09-07 Gowan Company, L.L.C. Stable liquid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21013799A1 (de) 2019-07-22 2021-01-28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n-phenyl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AU2020318682A1 (en) 2019-07-22 2022-03-03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ted N-phenyl-N-aminouarcils and salts thereof and use thereof as herbicidal agents
US20220274946A1 (en) * 2019-08-01 2022-09-01 Basf Se Herbicidal uracilpyridines
WO2021151741A1 (en) 2020-01-31 2021-08-05 Basf Se Herbicide combinations comprising glufosinate and tiafenacil
CN115996638A (zh) 2020-08-24 2023-04-21 拜耳股份有限公司 取代的n-苯基尿嘧啶及其盐和其作为除草活性物质的用途
RU2760474C1 (ru) * 2020-10-01 2021-11-25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еспублики Башкортостан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гербицидов и регуляторов роста растений с опытно-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м производством Академии наук Республики Башкортостан" Гербицидная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23161172A1 (de) 2022-02-22 2023-08-31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n-benzoesäure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EP4230621A1 (de) 2022-02-22 2023-08-23 Bayer AG Substituierte n-benzoesäure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EP4230620A1 (de) 2022-02-22 2023-08-23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n-amino-n´-benzoesäure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WO2023222831A1 (en) 2022-05-20 2023-11-23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GB202209303D0 (en) 2022-06-24 2022-08-10 Redag Crop Prot Ltd Agricultural chemicals
WO2024078906A1 (de) 2022-10-10 2024-04-18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n-phenyluracile sowie deren salz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irkstoff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764A (ja) 1999-04-26 2000-10-31 Sumitomo Chem Co Ltd フェニルウラシ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66887A (da) * 1986-07-31 1988-05-13 Hoffmann La Roche Pyrimidinderivater
CA2225756C (en) * 1995-06-29 2008-09-09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ted cyanophenyl uracils
CN1194638A (zh) * 1995-06-29 1998-09-30 拜尔公司 取代的氰基苯基尿嘧啶
JPH10291983A (ja) * 1997-02-19 1998-11-04 Sumitomo Chem Co Ltd ピリダジン−3−オ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EP1087664B1 (de) * 1998-06-16 2003-05-28 Basf Aktiengesellschaft Herbizide mischungen mit synergistischer wirkung
JP2001172265A (ja) * 1999-12-15 2001-06-26 Sumitomo Chem Co Ltd ヒドロキサム酸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IL167957A (en) 2000-02-04 2009-07-20 Sumitomo Chemical Co Hydroxypyridine compounds
DE10016893A1 (de) 2000-04-05 2001-10-18 Bayer Ag Substituierte Phenyluracile
US6403534B1 (en) * 2000-06-28 2002-06-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Uracil compounds and use thereof
WO2003029226A1 (en) 2001-09-26 2003-04-10 Basf Aktiengesellschaft Heterocyclyl substituted phenoxyalkyl-, phenylthioalkyl-, phenylaminoalkyl- and phenylalkyl-sulfamoylcarboxamides
RU2478619C2 (ru) * 2006-12-11 2013-04-10 Ривайва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Инк. Композиции, синтез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ингибиторов холинэстеразы на основе инданона
JP2008302764A (ja) * 2007-06-06 2008-12-18 Toyota Motor Corp 体重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764A (ja) 1999-04-26 2000-10-31 Sumitomo Chem Co Ltd フェニルウラシ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96A1 (en) 2012-04-12 2013-10-17 Dongbu Farm Hannong Co., Lt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uraci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20200132479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창발켐텍 3-(2-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노)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170524A1 (ru) 2011-10-31
US20110224083A1 (en) 2011-09-15
JP2012504599A (ja) 2012-02-23
ECSP11010924A (es) 2011-07-29
JP5291197B2 (ja) 2013-09-18
BRPI0913829B1 (pt) 2018-02-06
CN102203071A (zh) 2011-09-28
US8193198B2 (en) 2012-06-05
EA019009B1 (ru) 2013-12-30
KR20100038052A (ko) 2010-04-12
WO2010038953A2 (ko) 2010-04-08
WO2010038953A3 (ko) 2010-07-01
BRPI0913829A2 (pt) 2016-07-26
MY158047A (en) 2016-08-30
AU2009300571A1 (en) 2010-04-08
ES2530540T3 (es) 2015-03-03
CL2011000656A1 (es) 2011-08-19
CN102203071B (zh) 2014-07-30
PL2343284T3 (pl) 2015-08-31
AU2009300571B2 (en) 2012-09-13
EP2343284A2 (en) 2011-07-13
EP2343284A4 (en) 2011-12-28
EP2343284B1 (en) 2014-12-03
CA2739347C (en) 2014-05-27
CR20110183A (es) 2011-09-05
CA2739347A1 (en) 2010-04-08
CO6362000A2 (es)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40B1 (ko)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KR20110110420A (ko) 제초성 우라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ES2627263T3 (es) Azinas herbicidas
KR100884933B1 (ko) 광활성 (r)-알릴옥시프로피온산 아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WO2016120116A1 (en) Herbicidal phenylpyridines
BR112019010732A2 (pt) feniltriazolinonas,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feniltriazolinonas, composições herbicidas,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composições ativas de herbicida, método para controlar vegetação indesejada e uso
KR102014320B1 (ko) 이속사졸린 고리를 포함하는 피리딘계 화합물 및 제초제로서의 이의 용도
WO2019121374A1 (en) Herbicidal pyrimidine compounds
CN112441993B (zh) 一种取代的噻二嗪酮二氧化物及其制备方法、除草组合物和应用
KR100398083B1 (ko) 고선택성 제초제 페녹시프로피온산 알콕시카보닐 아니리드 화합물
JPS6229433B2 (ko)
KR100545784B1 (ko) 제초활성을 가지는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계화합물
KR100419856B1 (ko) 제초성 페녹시프로피온 아미드 화합물
WO2019121352A1 (en) Herbicidal pyrimidine compounds
JP2004115431A (ja) 5−ビニル及び5−エチニル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除草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