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476B1 -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476B1
KR101102476B1 KR1020090053274A KR20090053274A KR101102476B1 KR 101102476 B1 KR101102476 B1 KR 101102476B1 KR 1020090053274 A KR1020090053274 A KR 1020090053274A KR 20090053274 A KR20090053274 A KR 20090053274A KR 101102476 B1 KR101102476 B1 KR 10110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extract
weight
bad breath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913A (ko
Inventor
진승관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나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나제약 filed Critical (주)아세아나제약
Priority to KR102009005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4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추출물과 쑥추출물을 함유한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자와 다종의 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원인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갖고 천연성분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맑은대쑥(개제비쑥, 암려), 바닷가쑥, 사철쑥(더위지기, 인진), 산쑥, 산토닌쑥(마리티마쑥), 시나쑥(시멘시나), 비단쑥, 비쑥, 쑥, 잔잎쑥(개똥쑥, 초고, 향고), 큰꽃사철쑥(개사철쑥, 큰사철쑥), 털산쑥, 황해쑥 또는 흰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0.05 내지 0.5 중량%의 쑥추출물과 0.01 내지 1.5 중량%의 유자추출물을 함유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구취, 기능성 치약조성물, 유자추출물, 쑥추출물, 메틸머캅탄, 환경친화적

Description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Functional Toothpaste Composition for Removal of Oral Odor}
본 발명은 유자추출물과 쑥추출물을 함유한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자와 다종의 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원인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갖고 천연성분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후천적인 전신질환에 의하거나,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잔사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효소나 아미노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되는데, 이 중 마늘이나 고추 등의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의 분해시 발생되는 구취가 매우 역겨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로 약칭한다)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 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선의 경우 그 신선도가 떨어짐에 따라 생선 비린내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CH3)3N] 또는 δ- 아미노발레린산(δ-Aminovaleric acid) 등이 형성되며, 이들 휘발성 아민화합물 특히, 트리메틸아민이 악취성분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 외의 구취 유발물질로는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또는 피리딘 등이 있다.
종래에는 일반적인 치약조성물을 사용하여 양치함으로 구강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취를 제거하거나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같은 불소화합물이나 트리클로산, 염산클로로헥사딘 등의 구강용 항균제를 사용하여 구취유발 원인 미생물을 제거하여 구취를 예방 또는 억제하여 왔다. 그러나, 일반적인 치약조성물을 사용하여 양치함으로 구강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단기적으로 구취를 예방 및 억제할 수는 있지만 장시간 효과를 지속할 수 없으며, 트리클로산 및 염산클로로헥사딘, 불화나트륨과 일불소인산나트륨은 화학적합성품으로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불화나트륨과 일불소인산나트륨 같은 불소화합물을 과량 사용할 경우에는 반상치와 같은 부작용이 있어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도 치약조성물에 들어갈 수 있는 불소함량을 1000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구강에 적용되는 구취제거성분들은 구강점막을 통하여 생체에 유입되거나 위장관에 흘러 들어갈 수 있으므로, 특히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유자와 다종의 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원인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갖고 천연성분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맑은대쑥(개제비쑥, 암려), 바닷가쑥, 사철쑥(더위지기, 인진), 산쑥, 산토닌쑥(마리티마쑥), 시나쑥(시멘시나), 비단쑥, 비쑥, 쑥, 잔잎쑥(개똥쑥, 초고, 향고), 큰꽃사철쑥(개사철쑥, 큰사철쑥), 털산쑥, 황해쑥 또는 흰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쑥추출물과 유자추출물을 함유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상기 유자추출물은 0.005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쑥추출물은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상기 유자추출물은 0.01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쑥추출물은 0.05 내지 0.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2 내지 20 중량%의 함수이산화규소와 2 내지 40중량%의 침강탄산칼슘을 택일 또는 함께 사용하는 연마제와;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피이지-75 중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 한 1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2 내지 20 중량%의 함수이산화규소와 2 내지 40중량%의 침강탄산칼슘을 택일 또는 함께 사용하는 연마제와;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피이지-75 중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1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유자와 다종의 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원인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갖고 천연성분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자 및 쑥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구강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 중 대표적인 메틸머캅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유자열매와 쑥으로부터 유자추출물과 쑥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수증기 증류법이나, 알코올이나 부틸렌글리콜 같은 극성 및 비극성 유기용매를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으며 수율은 보통 70%정도로 생산된다.
유자는 쥐손이풀목 운향과 식물이며 한방과 민간에서 탱자 대용으로서 건위건담의 치료에 사용된다. 주요 성분으로 비타민 C가 레몬보다 3배나 많이 들어 있어 감기와 피부미용에 좋고, 노화와 피로를 방지하는 유기산이 많이 들어있다. 그밖에 비타민B와 당질단백질 등이 다른 감귤류 과일보다 많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헤스페리딘이 들어 있어 뇌혈관 장애와 풍을 막아 준다. 또 배농(排膿) 및 배설작용을 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쑥은 지구 북반구에 200여종이 있고 국내에는 38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쑥의 종류로는 맑은대쑥(개제비쑥, 암려), 바닷가쑥, 사철쑥(더위지기, 인진), 산쑥, 산토닌쑥(마리티마쑥), 시나쑥(시멘시나), 비단쑥, 비쑥, 쑥, 잔잎쑥(개똥쑥, 초고, 향고), 큰꽃사철쑥(개사철쑥, 큰사철쑥), 털산쑥, 황해쑥, 흰쑥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쑥 중 1종 또는 2종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쑥추출물을 사용한다.
쑥의 성분으로는 독특한 향기를 발휘하는 주성분이 치네올(59%)인 정유성분을 비롯해 무기질인 철, 칼슘, 인, 나이아신, 섬유소가 있으며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와 다량의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
쑥의 효능을 살펴보면 탈취효과(나쁜 냄새를 없앰), 위장강화작용, 정혈효과, 면역기능강화, 해독작용, 복통·토사·지혈제로 쓰이며, 불면증 해소효과, 체내의 노폐물 제거효과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유자와 쑥은 음용 시 인체에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데, 본 출원 인은 이들의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조성물을 제조한 결과, 구강 내에서 악취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음을 아래의 실험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추출예1)
유자열매껍질 1.0kg을 깨끗이 세척하여 정제수 5.0kg과 부틸렌글라이콜 5.0kg을 넣고 50℃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 약 9.0kg을 얻는다.
(추출예2)
유자열매껍질 대신 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추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실험예1): 유자추출물, 쑥 추출물의 구취억제효과 평가
전술한 방법으로 얻은 유자 및 쑥 추출물이 구취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할리미터(Halimeter)를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머캅탄 표준용액(1㎍/㎕ in benzene)을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희석시켜 할리미터 측정값이 500-600ppb가 되도록 한 후 그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유자추출물, 쑥추출물은 각각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7.5)에 녹여 1% 용액으로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뚜껑이 달린 시험관에 완충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으며, 실험군으로는 각각 추출물 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다. 각 시험관은 36.5℃ 수조에 5분간 정치한 후 할리미터(Halimeter)를 이용하여 시험관의 Head-space 내의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의 실험은 각각 4회 반복하여 각 할리미터 측정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각 약효성분의 1% 용액에 대한 구취 성분 억제 정도는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표 1. 대조군과 비교한 실험균의 구취억제정도(%)
회수 대조군 유자추출물 쑥추출물
1 331 122 139
2 329 122 139
3 330 121 139
4 330 122 139
합계 1,320 487 556
평균 330.00 121.75 139.00
표 1을 참조하면, 유자추출물과 쑥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각각 63.10%와 57.88% 에 해당하는 매우 강력한 구취억제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내지 6 및 비교예1)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09036258445-pat00001
일반적으로 치약의 연마제로는 이산화규소, 함수이산화규소, 덴탈타입실리카,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침강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2 내지 20 중량%의 함수이산화규소와 2 내지 40 중량%의 침강탄산칼슘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한다. 상기 함수이산화규소와 침강탄산칼슘 은 2 중량% 미만에서는 연마효과가 미미하여 치태제거효과가 적고, 20중량% 이상의 함수이산화규소와 40 중량% 이상의 침강탄산칼슘은 연마력이 강하여 치아와 잇몸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습윤제로는 D-소르비톨액,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피이지-4, 피이지-6, 피이지-8, 피이지-20, 피이지-75, 피이지-150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피이지-75 중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치약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가 바람직하다.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예방으로는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치석침착예방으로는 피로인산나트륨이 사용되며, 기포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보존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이 사용되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초추출물 등이 사용된다.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산탄검, 구아검 등이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1의 조성물로 마늘냄새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늘냄새 휘산 억제 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
본 실험은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대상 제품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 측정값이 350-450ppb가 되도록 하였으며, 그 희석액을 음식물에 의한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1 내지 6의 제품 500mg와 마늘분 희석액 500㎕를 혼합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대조군으로는 비교예 1의 제품과 마늘분 희석액을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입안에 머금고 혀로 구강 내에 60초간 도포한 후 할리미터로 측정하였다. 측정 전 1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을 하였으며, 측정시에는 빨대를 약 1.5cm 정도 입 안으로 넣은 상태에서 약 15초 정도 유지했다. 이때 빨대가 혀에 닿지 않도록 하였으며, 입술은 약 3-4mm 정도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고, 호흡은 코로만 하였다.
표 3. (단위 :마늘냄새 정도(ppb))
구분 양치 후 1분
비교예 1 329.15
실시예 1 320.00
실시예 2 213.60
실시예 3 173.50
실시예 4 130.65
실시예 5 117.65
실시예 6 112.30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으로 실시예의 제품과 비교예의 제품을 사용한 후 할리미터로 측정한 결과, 비교예1은 실시예1과 유사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 외의 실시예의 경우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6은 실시예5와 유사값 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6에서 첨가한 유자추출물과 쑥추출물의 함량이상을 넣어 조성물을 만드는 것은 증가하는 함유량만큼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치약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본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의 사용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대상 제품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하였다. 맹검을 기초로 미감, 착향 및 전반적인 사용감 정도를 100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비교예1을 0점으로 하는 상대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표4. 비교예 1을 기준으로 사용감 향상 평가(%)
구분 미감(%) 착향(%) 전반적인 사용감(%)
비교예 1 0 0 0
실시예 1 12.00 11.25 13.25
실시예 2 72.25 74.75 73.50
실시예 3 82.00 84.50 83.00
실시예 4 70.00 68.25 68.50
실시예 5 16.00 17.75 17.00
실시예 6 10.75 10.50 11.00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1과 실시예6은 비교예1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미감과 착향 및 전반적인 사용감이 좋은 것으로는 실시예 2, 3, 4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유자와 다종의 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원인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갖고 천연성분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치약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맑은대쑥(개제비쑥, 암려), 바닷가쑥, 사철쑥(더위지기, 인진), 산쑥, 산토닌쑥(마리티마쑥), 시나쑥(시멘시나), 비단쑥, 비쑥, 쑥, 잔잎쑥(개똥쑥, 초고, 향고), 큰꽃사철쑥(개사철쑥, 큰사철쑥), 털산쑥, 황해쑥 또는 흰쑥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쑥추출물과 유자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쑥추출물과 유자추출물은 각각 1.0kg을 깨끗이 세척하여 정제수 5.0kg과 부틸렌글라이콜 5.0kg을 넣고 50℃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 약 9.0kg이 되도록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추출물은 0.005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쑥추출물은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추출물은 0.01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쑥추출물은 0.05 내지 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2 내지 20 중량%의 함수이산화규소와 2 내지 40중량%의 침강탄산칼슘을 택일 또는 함께 사용하는 연마제와;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피이지-75 중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1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2 내지 20 중량%의 함수이산화규소와 2 내지 40중량%의 침강탄산칼슘을 택일 또는 함께 사용하는 연마제와;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피이지-75 중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1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KR1020090053274A 2009-06-16 2009-06-16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KR10110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274A KR101102476B1 (ko) 2009-06-16 2009-06-16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274A KR101102476B1 (ko) 2009-06-16 2009-06-16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13A KR20100134913A (ko) 2010-12-24
KR101102476B1 true KR101102476B1 (ko) 2012-01-05

Family

ID=4350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274A KR101102476B1 (ko) 2009-06-16 2009-06-16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40A (ko)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잔잎쑥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수렴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175730A (zh) * 2018-03-05 2018-06-19 弘美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的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20210041709A (ko) 2019-10-08 2021-04-16 김태권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694B1 (ko) * 2018-09-17 2020-07-31 김정현 분말형 치약 조성물
KR102469323B1 (ko) * 2022-02-09 2022-11-22 주식회사 고차원 클로브 오일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36A (ja) * 1993-07-20 1995-02-03 Kyodo Nyugyo Kk ヨモギの抽出方法及びその抽出物並びにその抽出物を利用した製品
JPH08310931A (ja) * 1995-05-19 1996-11-26 Maruzen Pharmaceut Co Ltd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および口腔清浄化剤
JPH10152426A (ja) * 1996-11-22 1998-06-09 Toshichika Kuga 漢方薬入り口腔衛生剤
KR20050029905A (ko) * 2003-09-24 2005-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36A (ja) * 1993-07-20 1995-02-03 Kyodo Nyugyo Kk ヨモギの抽出方法及びその抽出物並びにその抽出物を利用した製品
JPH08310931A (ja) * 1995-05-19 1996-11-26 Maruzen Pharmaceut Co Ltd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および口腔清浄化剤
JPH10152426A (ja) * 1996-11-22 1998-06-09 Toshichika Kuga 漢方薬入り口腔衛生剤
KR20050029905A (ko) * 2003-09-24 2005-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40A (ko)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잔잎쑥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수렴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175730A (zh) * 2018-03-05 2018-06-19 弘美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的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20210041709A (ko) 2019-10-08 2021-04-16 김태권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13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85B1 (ko) 구강 청결 조성물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02476B1 (ko)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JP5033605B2 (ja) 口腔ケア用組成物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JP2021502325A (ja) 口腔洗浄用発泡性固形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7327A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KR20120117387A (ko) 잇몸질환예방 및 완화를 위한 구강 조성물
KR10053783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20110129046A (ko) 기능성 치약조성물
JP2020040944A (ja) ニッパヤシ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口腔用組成物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KR100765907B1 (ko) 해양 심층수의 무기 이온을 활용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KR101154500B1 (ko) 구강 조성물
KR102328978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구강 조성물
CN209241693U (zh) 含有乳香的牙膏用容器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1824801B1 (ko) 황금추출물, nos(유황),라타니아추출물, 식용금박, 식용은박이 함유되고, 방부제(파라벤)와 화학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는 구강건강치약의 제조방법
KR20050029905A (ko) 구취 억제 및 제거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필름형성용 조성물
KR102610236B1 (ko)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125752A (ko)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