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09A -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709A
KR20210041709A KR1020190124266A KR20190124266A KR20210041709A KR 20210041709 A KR20210041709 A KR 20210041709A KR 1020190124266 A KR1020190124266 A KR 1020190124266A KR 20190124266 A KR20190124266 A KR 20190124266A KR 20210041709 A KR20210041709 A KR 2021004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innamon
silkworm
thyme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송영선
Original Assignee
김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권 filed Critical 김태권
Priority to KR102019012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709A/ko
Publication of KR2021004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구취제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여,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기능을 통해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BAD BREATH SCAVENG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후천적인 전신질환에 의하거나,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잔사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효소나 아미노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되는데, 이 중 마늘이나 고추 등의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의 분해시 발생되는 구취가 매우 역겨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로 약칭한다)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선의 경우 그 신선도가 떨어짐에 따라 생선 비린내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CH3)3N] 또는 δ- 아미노발레린산(δ-Aminovaleric acid) 등이 형성되며, 이들 휘발성 아민화합물 특히, 트리메틸아민이 악취성분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 외의 구취 유발물질로는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또는 피리딘 등이 있다.
최근 사회생활의 중요한 대인관계의 장애가 되는 구취에 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구취의 원인으로는, 크게 구강내 원인, 구강외 원인, 심인적 원인으로 분류되고 그 중 구취원인의 80∼90% 정도를 차지하는 구강내 원인으로 타액량 감소, 타액점조도 증가, 수소이온농도 완충능력 감소, 구강 미생물의 양과 활동성 증가 및 혀의 배면에 부착된 설태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병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설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구취의 주요원인 중 하나인 치면세균막 내에 서식하면서 치아우식, 치주질환 및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들 세균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치수 및 치근단 감염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항생제 등의 구취 치료제는 인체 전반에 대한 부작용과 함께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여 단지 치료제만으로 이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으면서도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고 구취 억제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체내에도 안전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1787호 (2011.03.07)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2476호 (2011.12.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소염 효과가 우수하여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은,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여,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기능을 통해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단풀 추출물 : 계피 추출물 : 백리향 추출물의 비율은 4∼7중량% : 1∼3중량% : 1∼7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단풀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은 각각 메탄올 추출로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계피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단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한 비단풀 1㎏을 세절 한 후, 물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는 단계; 건조한 비단풀 열매 1㎏을 세절 한 후, 메탄올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를 넣은 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재추출 한 후, 그 추출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계피 1 kg를 쇄절하고, 100% 헥산으로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한 계피를 70% 에탄올로 3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에탄올 추출액을 6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농축액을 2 L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상기 증류수에 현탁시킨 에탄올 추출물은 0.1 노르말 수산화나트륨 적당량을 가하여 염을 생성한 후 2 L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액상층을 분리한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가용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0.1 노르말 염산으로 중화시킨 후 2 L의 에틸아세테이트 첨가하고 진탕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계피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리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백리향의 지상부를 상온에서 공기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재료를 분쇄하여 고운 파우더(fine powder)로 제조하는 단계; 분쇄된 재료를 메탄올에 24시간 동안 적신 후 ultrasonic bath를 이용하여 55℃에서 1h씩 3회 소닉케이션하는 단계; 여과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이를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동일 부피의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n-부탄올 (water-saturated buOH)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구취제거 및 구강질환에 항생제 등의 치료제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물질인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소염 효과가 우수하여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물질에서 특정 성분만을 추출한 것이 아닌, 천연물질 자체를 그대로 혼합함으로써,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었으며, 부작용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의 세포 독성검사 결과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의 TNF-α 생산억제능에 대한 결과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의 IL-6 생산억제능에 대한 결과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피 추출물의 pro-IL-1β 생산억제능에 대한 결과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 추출물의 NO 억제능에 대한 결과표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Interleukin-6(IL-6)는 치은염에서 치주염으로의 진행에 관여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염증성 치은에서 IL-6의 축적은 치주질환의 진행에 중요한 인자로 제안되었다. IL-6의 농도는 치주질환이나 난치성 부위의 병인론에서 후기에 상승한다. IL-6는 치주염과 치조골 소실의 잠재성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cytokine은 이 질환에 특징적인 조직파괴와 관련된다. 치은열구액이나 치주조직에서 IL-6 수준은 잠재적인 난치성 부위나 환자에서 유용한 지표가 될 것이며, IL-6의 생물학적 활성은 재발성 부착소실의 기전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상 치은섬유모세포에 TNF-α를 처리하면 치은염에서와 같이 IL-1β와 IL-6의 발현이 증가한다. 여기에 비단풀을 각각 0.01%와 0.1% 농도로 제조하여 1일간 배양한 결과 IL-1β의 발현은 0.1% 농도의 비단풀에서 가장 높게 억제되었고, IL-6의 발현은 0.1% 농도의 비단풀 모두에서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재료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비단풀은 쌍떡잎식물로 대극과의 한해살이 풀이고, 땅 위에 퍼진 잎 모양이 빈대같이 보여 땅빈대라고 불리운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및 남북미 등 온대와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야생 잡초이며, 모양은 쇠비름과 비슷하지만 훨씬 작고, 풀밭이나 마당, 길바닥에 더러 자라지만 작아서 별로 눈에 띄지는 않는다. 줄기는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면 흰 즙이 제법 많이 나온다. 밑동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땅을 덮으면 줄기에 털이 약간 있고, 가지는 보통 두 개씩 갈라지고 붉은빛이 돈다.
이러한 비단풀의 종류로는 애기비단풀(애기땅빈대), 비단풀(땅빈대), 큰비단풀(큰땅빈대)이 있으며, 모두 약용할 수 있지만 애기비단풀을 약재로 많이 사용한다. 비단풀의 맛은 맵고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는 특징이 있으며,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고, 피가 나는 것을 멈추며, 젖을 잘 나오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을 한다. 즉, 항암, 해독, 항균, 진정 및 이뇨작용 등이 뛰어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은 한초원 영농조합에서 재배된 비단풀을 사용하였다.
2)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 푸른 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나무껍질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잎맥의 가운데 주맥과 양쪽의 측맥이 도드라져 보여 규(圭)자를 연상하게 해서 식물명에 사용하게 되었는데 규(圭)란 홀기(笏記) 즉, 제사의 차례를 적은 부채모양의 도구로 여러 갈래의 잎맥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육계나무가 규(圭)를 들고 있는 관리처럼 모든 약을 총괄하기 때문에 규(圭)라는 글자를 쓰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육계나무를 침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다른 나무를 침범해서 해를 끼친다는 뜻으로 육계나무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나무로 다른 나무 뿌리에 못질을 하면 나무가 바로 죽는 다고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반관상 또
는 말려 들어간 관상을 이루고, 바깥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꺽은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엷은 갈색의 엷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다른 이름으로 육계피(肉桂皮), 관계(官桂), 대계(大桂), 목계(木桂), 자계(紫桂), 통계(筒桂), 옥계(玉桂), 랄계(辣桂), 균계(菌桂), 계(桂) 등이 있다.
3)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 TQC)은 꿀풀과(Lamiaceae)의 Thymus 속에 속하는 방향성 허브이다. 고대 중국 의학에서, 백리향은 그 진통 효과로 인해 항염증 치료에 이용되었다 (Jia et al., 2012). 시멘(cymene)의 천연 모노테르펜(monoterpene) 페놀 유도체인 티몰(Thymol)이 TQC의 활성 화합물로 보고되었으며 (Shin and Kim, 2004), 티몰이 강력한 항미생물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진다고 제안한 바 있다. 티몰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서도 생체내 및 세포 모델에서 이미 알려진 바 있다 (Yanishlieva et al., 1999; Braga et al., 2006; Undeger et al., 2009; Tsai et al., 2011). 그러나, 티몰 자체의 활성 이외에 백리향 추출물 자체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단풀, 계피 및 백리향을 각각 메탄올추출법 또는 에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후에, 그 추출액을 혼합하여 구취제거제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단풀 추출액과 백리향 추출액은 메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계피 추출액은 에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취제거제 조성물로서의 가장 최적의 혼합비율은 비단풀 추출물 : 계피 추출물 : 백리향 추출물의 비율이 4∼7중량% : 1∼3중량% : 1∼7중량% 인 것이 바람직한다.
이는, 하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단풀의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월등하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많이 하고, 계피와 백리향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비단풀 추출물 제조방법>
1. 비단풀 추출물
1) 비단풀 물 추출물
건조한 비단풀 1㎏을 세절 한 후, 물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었다.
2) 비단풀 유기용매 추출물
건조한 비단풀 열매 1㎏을 세절 한 후, 메탄올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2. 비단풀 추출물의 분리
상기 1의 2)에서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를 넣은 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재추출 한 후, 그 추출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의 수를 확인하고, 실리카(silica), C18 및 NH2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활성분획을 정제하였다.
<계피 추출물 제조방법>
1. 한약제상에서 구입한 계피 1 kg를 쇄절하고, 100% 헥산으로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하였다.
2.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한 계피를 70% 에탄올로 3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었다.
3. 상기 에탄올 추출액을 6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농축액을 2 L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4. 상기 증류수에 현탁시킨 에탄올 추출물은 0.1 노르말 수산화나트륨 적당량을 가하여 염을 생성한 후 2 L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액상층을 분리한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가용부를 제거하였다.
5. 상기 용액을 0.1 노르말 염산으로 중화시킨 후 2 L의 에틸아세테이트 첨가하고 진탕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계피 추출물을 얻었다.
<백리향 추출물 제조방법>
1. 백리향의 지상부를 상온에서 공기로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재료를 분쇄하여 고운 파우더(fine powder)로 만들었다.
2. 분쇄된 재료 (22g)을 메탄올 (메탄올 ml에 대한 1:10의 건중량으로)에 24시간 동안 적신 후 ultrasonic bath (Power sonic 520, Hwashin Co., Korea)를 이용하여 55℃에서 1h씩 3회 소닉케이션하였다.
3. 그 후, 여과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이를 농축하였다.
4. 농축한 메탄올 추출물 (2.86g)을 물에 현탁한 후, 동일 부피의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n-부탄올 (water-saturated buOH)로 분획하였다.
남은 수용성 추출물 부분은 수용성 분획으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분획은 진공농축기로 농축되었다. 각각의 분획의 수율은 헥산 분획 0.55 g, 27% w/w; EtOAc 분획 0.63 g, 31% w/w; BuOH 분획 0.22 g, 11% w/w 및 수용성 분획 0.63 g, 31% w/w이다.
<실시예 1>
건조한 비단풀 1㎏을 세절 한 후, 물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었다. 건조한 비단풀 열매 1㎏을 세절 한 후, 메탄올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를 넣은 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재추출 한 후, 그 추출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의 수를 확인하고, 실리카(silica), C18 및 NH2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활성분획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2>
한약제상에서 구입한 계피 1 kg를 쇄절하고, 100% 헥산으로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하였다.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한 계피를 70% 에탄올로 3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액을 6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농축액을 2 L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상기 증류수에 현탁시킨 에탄올 추출물은 0.1 노르말 수산화나트륨 적당량을 가하여 염을 생성한 후 2 L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액상층을 분리한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가용부를 제거하였다. 상기 용액을 0.1 노르말 염산으로 중화시킨 후 2 L의 에틸아세테이트 첨가하고 진탕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계피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백리향의 지상부를 상온에서 공기로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재료를 분쇄하여 고운 파우더(fine powder)로 만들었다. 분쇄된 재료 (22g)을 메탄올 (메탄올 ml에 대한 1:10의 건중량으로)에 24시간 동안 적신 후 ultrasonic bath (Power sonic 520, Hwashin Co., Korea)를 이용하여 55℃에서 1h씩 3회 소닉케이션하였다. 그 후, 여과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이를 농축하였다. 농축한 메탄올 추출물 (2.86g)을 물에 현탁한 후, 동일 부피의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n-부탄올 (water-saturated buOH)로 분획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에 대한 각종 실험을 통해 실험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독성검사(MTT)를 진행하였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샘플(sample)들의 RAW264.7에 대한 독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샘플이 100ug/ml에서도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에 대하여 TNF-α 생산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계피와 비단풀의 모든 추출물이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 생산을 줄이는 것을 알 수 있고, 백리향은 억제는이 없다. 그리고, 이중에서 계피의 TNF-α 생산억제능이 가장 강하였다.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에 대하여 IL-6 생산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계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비단풀의 메탄올추출물, 백리향의 메탄올 추출물이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IL-6 생산능을 줄이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중에서 계피의 IL-6 생산억제능이 가장 강하였다.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계피 추출물에 대하여 pro-IL-1β 생산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계피의 에탄올 추출물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pro-IL-1β 생산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비단풀 추출물에 대하여 NO 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단풀의 메탄올 추출물이 염증 매개 인자인 NO 생산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강력한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항균기능을 가짐으로써,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로 활용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여, 탈취,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기능을 통해 구취 및 구강질환 개선에 효능이 있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풀 추출물 : 계피 추출물 : 백리향 추출물의 비율은 4∼7중량% : 1∼3중량% : 1∼7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3.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비단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단풀 추출물과 백리향 추출물은 각각 메탄올 추출로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계피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한 비단풀 1㎏을 세절 한 후, 물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는 단계;
    건조한 비단풀 열매 1㎏을 세절 한 후, 메탄올로 24시간씩 5회 반복하여 교반 추출한 다음 여과지에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추출물에 증류수를 넣은 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재추출 한 후, 그 추출잔사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계피 1 kg를 쇄절하고, 100% 헥산으로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기름성분의 물질을 제거한 계피를 70% 에탄올로 3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에탄올 추출액을 6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농축액을 2 L 증류수에 현탁하는 단계;
    상기 증류수에 현탁시킨 에탄올 추출물은 0.1 노르말 수산화나트륨 적당량을 가하여 염을 생성한 후 2 L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액상층을 분리한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가용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0.1 노르말 염산으로 중화시킨 후 2 L의 에틸아세테이트 첨가하고 진탕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계피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리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백리향의 지상부를 상온에서 공기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재료를 분쇄하여 고운 파우더(fine powder)로 제조하는 단계;
    분쇄된 재료를 메탄올에 24시간 동안 적신 후 ultrasonic bath를 이용하여 55℃에서 1h씩 3회 소닉케이션하는 단계;
    여과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이를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동일 부피의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n-부탄올 (water-saturated buOH)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90124266A 2019-10-08 2019-10-08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1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66A KR20210041709A (ko) 2019-10-08 2019-10-08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66A KR20210041709A (ko) 2019-10-08 2019-10-08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09A true KR20210041709A (ko) 2021-04-16

Family

ID=7574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266A KR20210041709A (ko) 2019-10-08 2019-10-08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7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787B1 (ko) 2009-11-26 2011-03-17 (주)아모레퍼시픽 잇몸질환과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KR101102476B1 (ko) 2009-06-16 2012-01-05 (주)아세아나제약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76B1 (ko) 2009-06-16 2012-01-05 (주)아세아나제약 구취제거용 기능성 치약조성물
KR101021787B1 (ko) 2009-11-26 2011-03-17 (주)아모레퍼시픽 잇몸질환과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dayachee et al. An overview of the medicinal importance of Moringacea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KR20150045036A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iddleditch Kuwaiti Plants: Distribution, Traditional Medicine, P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Economic Value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34454B2 (en) Anti-cigarette herbal formulation as an antidote to tobacco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JP4961715B2 (ja) 老臭改善用経口組成物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88538A (ko)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210041709A (ko) 구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CN111642786B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KR20230081343A (ko)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20130052414A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CN105145657A (zh) 一种环保驱蚊剂制备方法
KR101077119B1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