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759B1 -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 Google Patents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759B1
KR101101759B1 KR1020090063057A KR20090063057A KR101101759B1 KR 101101759 B1 KR101101759 B1 KR 101101759B1 KR 1020090063057 A KR1020090063057 A KR 1020090063057A KR 20090063057 A KR20090063057 A KR 20090063057A KR 101101759 B1 KR101101759 B1 KR 10110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simmon vinegar
hangover
herbal medicin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74A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식초와 한약재 같은 순수 천연물질들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천연차를 제공함으로써, 합성의약품을 원료로 이용한 숙취제거용 음료가 가질 수 없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를 음용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혈중 알콜 농도를 낮추고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증상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헛개나무 30중량%, 오리나무 30중량%, 마가목 5중량%, 오미자 5중량%, 갈근 5중량%, 대추 16중량%, 감초 5중량%, 황기 1중량%, 구기자 2중량%, 숙지황 1중량%를 잘게 쪼개서 혼합하는 단계; 위 혼합물에 혼합물 총 중량 대비 30배의 물을 첨가하여 50℃의 저온추출조건에서 8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 100중량%에 벌꿀 8중량%, 배 농축액 2중량%, 자일리톨 4중량%, 정제염 0.01중량%를 더 가하는 단계; 및 산도 2.6 내지 3.0의 감식초를 추가로 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숙취 해소, 감식초, 한약재

Description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The 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having eliminatory effect of Ethanol-Induced Hangover and containing persimmon vinegar etc, and the beverage}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식초와 한약재 등과 같은 천연물질만을 주원료로 함유하여 신체 안전성에 부작용이 없고 숙취기능은 우수한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 회원국 가운데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나라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주 등 독주의 소비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 소비량의 5~6배에 이르며, 음주 때문에 발생하는 연간 경제 사회적 손실 규모 또한 수조 원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이러한 음주문화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숙취증상의 주된 원인은 알콜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혈압이 저하되고 뇌로의 혈액순환이 나빠져 두통을 일으키거나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탈수로 인한 갈증, 설사, 호르몬의 변조 및 근육통 등을 야기시킨다.
술의 주된 성분인 에탄올은 위장에서 빠르게 흡수되며 주로 간에서 대사된다. 간에는 alcohol dehydrogenase(ADH) pathway,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및 카탈라아제(catalase)와 같은 에탄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계가 존재하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주로 ADH 경로(ADH pathway)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으로 섭취된 에탄올은 cytosolic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대사되며 이것은 다시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산화된다고 한다.
에탄올 섭취 후 혈중 에탄올의 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낮출 수 있는 약물은 에탄올로 인해 야기되는 숙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구를 통해 섭취된 에탄올은 생체 내에서 그 대사를 촉진시키거나 위장관계를 통한 흡수를 저해하는 두 가지 기전에 의해 혈중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음주문화의 부정적인 사회적 추세와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부응하여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를 감소 또는 제거시키고자 하는 몇몇 의약품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약품은 그 자체의 독성이나 부작용을 보여, 보다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식초와 한약재 같은 순수 천연물질들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천연차를 제공함으로써, 합성의약품을 원료로 이용한 숙취제거용 음료가 가질 수 없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를 음용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혈중 알콜 농도를 낮추고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숙취 증상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 종류의 천연 추출물을 다양한 조성과 비율로 조합하고 가공하여 시험해 본 결과 상기 목적에 유용한 본 발명을 안출하고 그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은,
헛개나무 30중량%, 오리나무 30중량%, 마가목 5중량%, 오미자 5중량%, 갈근 5중량%, 대추 16중량%, 감초 5중량%, 황기 1중량%, 구기자 2중량%, 숙지황 1중량%를 잘게 쪼개서 혼합하는 단계;
위 혼합물에 혼합물 총 중량 대비 30배의 물을 첨가하여 50℃의 저온추출조건에서 8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 100중량부에 벌꿀 8중량부, 배 농축액 2중량부, 자일리톨 4중량부, 정제염 0.01중량부를 더 가하는 단계; 및
산도 2.6 내지 3.0의 감식초를 추가로 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식초를 추가로 더하는 비율은 한약재 추출액 100중량부에 감식초 7.5중량부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 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한약재 성분의 선택과 그들 간의 혼합비율은 발명자의 노하우와 다양한 측면에서의 시험을 통해 안출된 것임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에서 50℃의 낮은 온도에서 저온추출을 하는 것은 한약재의 유효활성을 잘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식초와 다른 한약재를 적절한 성분과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숙취해소라는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합성의약품을 원료로 이용하여 만든 숙취제거용 음료가 가질 수 없는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으며, 감식초의 혼합비율에 따라서는 소비자의 입맛에 거부감이 없고 오히려 좋은 느 낌으로 어필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음료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례를 설명한다.
1. 한약재 추출조건
본 실험에 사용한 재료는 숙취해소와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난 헛개나무, 오리나무, 마가목, 오미자, 갈근, 감초, 대추, 갈근, 황기, 구기자, 숙지황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 농축기에 시료 중량에 대하여 30배의 물을 첨가하여 50℃에서 8시간 열수추출 하였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1
2. 감식초를 첨가한 시제품 제조공정
추출한 한약재 100중량%에 벌꿀 8중량%, 배 농축액 2중량%, 자일리톨 4중량%, 정제염 0.01%로 하여 당을 보정하고, 감식초 농도를 0중량%, 2.5중량%, 5중량%, 7.5중량%, 10중량%, 12.5중량%로 다양화하여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통하여 최적 음용조건을 분석하고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3. 감식초를 첨가한 건강기능음료의 품질특성 검증
가. pH 및 총산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 음료의 pH 및 총산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 시 pH에 있어서는 0% 첨가구간이 3.91±0.0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12.5% 첨가구간이 3.69±0.01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감식초를 첨가할수록 pH는 낮아졌다. 총산의 경우 감식초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12.5% 첨가구간이 2.47±0.0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2
나. 당도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 음료의 당도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당 도 측정 결과 6 구간 모두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음료의 당도가 대체적으로 10∼12 Brix 정도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당도는 일반인들이 가장 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당도로 생각되며,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 제조 시 비슷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3
다. 색도
감식초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색도 측정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음료의 L, a, b값에 있어서 L값은 6개구간 모두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적색도인 a값에 있어서는 감식초 12.5% 첨가구간이 0.62±0.0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0% 첨가구간이 0.30±0.06의 값을 나타내어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의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4
라. 탁도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색도 측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음료의 탁도에서는 감식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12.5% 첨가구간이 0.102±0.00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0% 첨가구간이 0.006±0.00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5
마. 환원당 함량
감식초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환원당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음료의 환원당은 감식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는데 0% 첨가구간이 12.9±0.3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12.5% 첨가구간은 9.92±0.4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감식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6
바. 총탄닌 함량
감식초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총 탄닌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음료의 총 탄닌은 감식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탄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12.5% 첨가구간이 0.190±0.004m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0% 첨가구간이 0.091±0.001mg%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탄닌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7
사. 무기질 함량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무기질 측정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의 Ca은 Control 구간이 14.74±0.2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12.5% 첨가구간이 21.37±2.1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Cu의 경우 7.5% 첨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7.5%이상 첨가구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10% 첨가구간이 0.098±0.039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K은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보여 주고 있으며 12.5% 첨가구간이 208.60±3.4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g, Zn도 K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주었는데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는데 12.5% 첨가구간이 각각 17.21±0.74, 0.386±0.10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ontrol 구간이 각각 8.03±0.25, 0.274±0.00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Mo, Na의 경우에는 Control 구간이 각각 0.0110±0.002, 116.16±0.94의 값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감식초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서는 큰 변화 없이 각 구간의 값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무기질함량은 특히 Ca, K, Mg, Zn의 경우 감식초의 첨가량의 증가할수록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8
아. ALD 및 ALDH 활성 측정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알콜분해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 측정 결과를 그래프 1에 나타내었다. 알콜분해효소의 경우 감식초 첨가량을 각각 0%, 2.5%, 5%, 7.5%, 10%, 12.5%에서 상대적인 효소 활성 증가는 각각 90.12%, 95.06%, 97.53%, 103.70%, 105.76%, 111.93%로 감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데하이드분해효소의 활성은 감식초 첨가량을 각각 0%, 2.5%, 5%, 7.5%, 10%, 12.5%에서 상대적인 효소 활성 증가는 각각 96.97, 98.66, 101.51, 106.72, 113.78, 117.14%로 추출물이 증가할수록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09
자. 호흡측정기를 이용한 알코올분해능 조사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호흡기 알코올분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는 알코올만 섭취한 경우 섭취 후 15분 이내 측정한 알코올농도가 0.055%로서 매우 빠르게 혈액 속으로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1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68% 높아졌으며, 2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51%, 3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37%, 4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30%, 5시간 후 0.012%로 나타났다. 실험군은 감식초를 7.5중량% 첨가한 숙취해소음료를 섭취 1시간 후 알코올섭취 후 15분 이내 측정한 알코올농도가 0.037%, 1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34%, 2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27%, 3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20%, 4시간 후 알코올농도는 0.011%, 5시간 후 0.006%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알코올섭취 15분 후 대조군의 알코올농도는 0.055%, 감식초음료를 섭취 후 알코올섭취 경우 알코올농도 0.037%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알코올만 섭취한 경우는 5시간 후 알코올농도 0.011%로 감소하였으나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를 섭취한 경우는 5시간 후 알코올농도 0.006%로 대조군에 비해 알코올 분해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10
차. 관능평가
감식초를 첨가한 숙취해소음료의 관능평가 측정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감식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식초음료의 각 구간별 관능평가 결과 색에 있어서는 감식초 7.5% 첨가구간 모두 3.45±0.74로 가장 높은 값을 얻었으며, 맛에 있어서는 7.5% 첨가구간이 4.36±1.00로 가장 높은 값을 얻었으며, 향에 있어서는 7.5% 첨가구간이 3.32±0.7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입안의 느낌에 있어서는 7.5% 첨가구간이 3.45±0.96로 가장 높은 값을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를 조사한 결과는 7.5% 첨가구간이 3.50±1.01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 결과 감식초를 7.5% 첨가한 구간이 소비자들이 먹기에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09042140464-pat00011

Claims (3)

  1. 헛개나무 30중량%, 오리나무 30중량%, 마가목 5중량%, 오미자 5중량%, 갈근 5중량%, 대추 16중량%, 감초 5중량%, 황기 1중량%, 구기자 2중량%, 숙지황 1중량%를 잘게 쪼개서 혼합하는 단계;
    위 혼합물에 혼합물 총 중량 대비 30배의 물을 첨가하여 50℃의 저온추출조건에서 8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위 한약재 추출액 100중량부에 벌꿀 8중량부, 배 농축액 2중량부, 자일리톨 4중량부, 정제염 0.01중량부를 더 가하는 단계; 및
    산도 2.6 내지 3.0의 감식초를 추가로 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식초를 추가로 더하는 비율은 한약재 추출액 100중량부에 감식초 7.5중량부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
KR1020090063057A 2009-07-10 2009-07-10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KR10110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57A KR101101759B1 (ko) 2009-07-10 2009-07-10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57A KR101101759B1 (ko) 2009-07-10 2009-07-10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74A KR20110005474A (ko) 2011-01-18
KR101101759B1 true KR101101759B1 (ko) 2012-01-05

Family

ID=4361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57A KR101101759B1 (ko) 2009-07-10 2009-07-10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7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6B1 (ko) * 2013-09-27 2015-07-29 상주시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02922A (ko) 2016-06-29 2018-01-0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비엔케어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9950B (zh) * 2011-10-20 2013-05-22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308146B1 (ko) * 2012-12-17 2013-09-13 김계웅 측백 열매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백 고차, 측백 환
KR101539864B1 (ko) * 2013-01-30 2015-07-28 이항종 숙취해소 음료
KR101479160B1 (ko) * 2014-03-21 2015-01-05 이창호 처방 한약을 이용한 한방 발효 식초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5497A (ko) 2014-12-01 2016-06-09 이항종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숙취 해소용 음료
KR101958439B1 (ko) * 2018-11-19 2019-03-15 태웅식품 주식회사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KR102289438B1 (ko) * 2021-02-17 2021-08-12 강주영 헛개나무, 마가목, 오리목 및 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5520A (ko) * 2005-05-06 2006-11-09 (주) 주당천연음료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5520A (ko) * 2005-05-06 2006-11-09 (주) 주당천연음료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146B1 (ko) * 2013-09-27 2015-07-29 상주시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02922A (ko) 2016-06-29 2018-01-0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비엔케어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19502721A (ja) * 2016-08-09 2019-01-31 ジョン ヒュン ナム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US10993468B2 (en) 2016-08-09 2021-05-04 Jong-Hyun Nam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74A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759B1 (ko)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US20110280977A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and preventing hangover and beverage comprising composition
CN101919553A (zh) 刺梨果味饮料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02450714A (zh) 一种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US20180103670A1 (en) Composition, drink,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11065722A (zh) 加富酒精饮料
KR100999312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CN101305827A (zh) 一种红景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347254A (zh) 一种益气补血饮料及其制作方法
CN101336671A (zh) 一种低脂的冷冻饮品及其制备方法
CN100455218C (zh) 醒酒、醒脑液的制备方法及用该方法制备的醒酒、醒脑液
CN112931734B (zh) 刺梨高果汁气泡饮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45192B1 (ko) 에너지 음료액
KR100426925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N107397091B (zh) 一种抗疲劳的苣荬菜运动饮料
KR20090091653A (ko)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KR100813338B1 (ko)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274099B1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30910B1 (ko) 생오미자 과즙액이 함유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kpoghelie et al. Evaluation and consequences of the pH and caffeine content of energy drinks marketed in Delta State, Nigeria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WO2002091845A1 (en) Lingering intoxication aquaous tea comprising puerh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RU2765133C1 (ru) Композиция чая
CN107259010A (zh) 一种凉茶植物饮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