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87B1 -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87B1
KR101098487B1 KR1020100014054A KR20100014054A KR101098487B1 KR 101098487 B1 KR101098487 B1 KR 101098487B1 KR 1020100014054 A KR1020100014054 A KR 1020100014054A KR 20100014054 A KR20100014054 A KR 20100014054A KR 101098487 B1 KR101098487 B1 KR 10109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witchgear
grounding
fixed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944A (ko
Inventor
겐이치 쇼다
다쿠야 구로기
겐지 츠치야
다쿠미 이시카와
나오키 나카츠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9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8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75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반 측의 주회로의 접속부의 높이에 변경이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접지 접속 가능한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동 가능한 대차(102) 상에 설치한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을 구비한 개폐기부와, 개폐기부를 동작시키는 조작부와,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도체를 거쳐 접속되는 전압 검출장치(113)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101)에 있어서, 개폐기부는,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접속하는 상부 도체(122)와,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다른쪽과 접속하는 하부 도체(126)와, 이 하부 도체(126)를 스위치 기어의 접지용 단자에 접속하는 접지선(127)과, 스위치 기어의 모선측 단로부 및 케이블측 단로부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도체(122)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어댑터 도체(128)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EARTHING EQUIPMENT FOR SWITCH GEAR AND SWITCH GEAR}
본 발명은,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 적층 형식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회로에 나도체(裸導體)를 사용하는 스위치 기어에서는, 주회로의 도체가 나도체이기 때문에, 보수 점검 작업 시, 도체의 임의의 부분에서 접지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충전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감전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전력설비가 모두 무전압상태, 소위, 모두 정지인 경우에는, 감전의 위험성은 없으나, 주회로의 모선이 활선상태에서 부하측을 정지하여(부분 정전상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활선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작업이 되어, 매우 위험하다.
한편, 에폭시 등의 절연물에 덮여진 절연모선을 사용하는 스위치 기어에서는, 모선이 활선상태이어도, 감전의 위험성은 배제되어, 반 내의 주회로 접점인 내장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접지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연모선을 사용하는 스위치 기어라도, 반 내에 신체를 넣어 접지작업을 행하는 것은, 위험하고, 작업성도 양호하지 않다. 그래서, 차단기 등의 착탈과 동일한 순서에 의하여 장치 본체를 배전반(스위치 기어)의 단에 탑재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주회로 모선의 접지가 가능해지는 인출형의 접지 대차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69518호 공보
상기한 인출형의 접지 대차에서는, 배전반의 사양 변경에 대한 대응성 향상의 관점에서, 접지 대차를 전후동시키는 기구를 각 단의 차단기와 공통화하는 방책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스위치 기어의 주회로를 접지하는 접지부분(스위치 기어의 단)의 차이에 의하여, 주회로의 모선에 대한 접속부의 위치가, 접지 대차의 접지단자의 위치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회로의 모선에 대한 접속부에 합치하는 접지용 접점, 및 접지 조작기구가 각각 다른 복수의 접지 대차를, 제조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설비 설치 비용이 고가가 된다.
또, 각 접지 대차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접지 대차 상의 기기가 고장난 경우, 구성부품, 그 배치의 공통화가 손상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제작도 필요하게 되어, 교환작업에 막대한 시간과 경비가 소요된다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항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지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반 측의 주회로의 접속부의 높이에 변경이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접지 접속 가능한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대차와, 이 대차 상에 설치한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을 구비한 개폐기부와, 상기 개폐기부를 동작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도체를 거쳐 접속되는 전압 검출장치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부는,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접속하는 상부 도체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다른쪽과 접속하는 하부 도체와, 이 하부 도체를 스위치 기어의 접지용 단자에 접속하는 접지선과, 스위치 기어의 모선측 단로부 및 케이블측 단로부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도체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어댑터 도체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기는, 진공 밸브인 것으로 한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검출장치는, 2개의 단상 변압기로 형성되고, 당해 2개의 단상 변압기가 상기 프레임의 정면 안쪽에 병설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반 측의 주회로의 접속부의 높이에 변경이 있는 경우라도, 접지장치의 주회로 접속부의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접지장치 상의 기기, 및 그 배치구성을 바꾸지 않고, 공통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 설치 비용의 고가격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교환 등의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후면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전면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상단에 구비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하단에 구비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후면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전면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의 박스체(1)는, 고체 절연모선을 지지하는 접지된 칸막이판(2)에 의해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칸막이되고, 배면측(도 1의 좌측)에 모선실(5)이 구획 형성되고, 정면측(도 1의 우측)의 상하에는, 밀폐 커버(3)에 의하여 3개의 기기실(4, 4, 4)이 더 구획 형성되어 있다. 박스체(1)의 전면측에는, 개폐 가능한 정면 도어(1A)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배면측에는, 개폐 가능한 배면 도어(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기실(4, 4, 4)과 정면 도어(1A)의 뒷쪽과의 사이에는, 제어실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각 기기실(4, 4, 4)의 바닥부에는, 칸막이판(2)과 박스체(1)의 양 측면 안쪽에 바깥 둘레의 3변을 고정한 대략 직사각형의 지지판(7, 7, 7)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7)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6)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기 유닛(8)이 각각에 탑재되어 있다. 또, 각각의 지지판(7)의 상면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대차(14)의 차륜의 진행을 정지하여, 개폐기 유닛(8)의 적정한 삽입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스토퍼(1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개폐기 유닛(8)은, 상중단에 주회로의 전류 차단을 행하는 진공차단기(VCB)(9)가, 하단에 진공단로기(VDS)(10)가 배치되어 있다.
3개의 개폐기 유닛(8, 8, 8)은, 각각의 전면측(도 1의 우측)에 정면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면 커버에는, 그 상하방향 대략 중앙에 막대형상의 인출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개폐기 유닛(8, 8, 8)은 각각 대차(14)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대차(14)의 후면측(도 1의 좌측)의 하부에는, 이동방향으로 돌출한 가압 바(12)가 설치되어 있다.
기기실(4)에서, 개폐기 유닛(8)의 뒷부분 공간에는, 상단의 진공차단기(9)의 고정 전극측(하측)에 접속하는 하측 단자(18)와, 진공차단기(9)의 가동 전극측(상측)에 접속하는 상측 단자(1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18, 19)는, 뒤에서 설명하는 모선실(5) 내의 주모선(20)에 접속한 연락 모선(21), 인출 모선(22, 23), 보조 연락 모선(24)에 기중 단로용 부싱부를 거쳐 접촉 이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기기실(4) 내의 고압 주회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하측 단자(18), 상측 단자(19)를 폐지(閉止)하는 양쪽 개방 셔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대차(14)의 가압 커버(12)가 셔터(13)를 가압함으로써, 셔터는 밀어서 개방된다.
도 1에서, 모선실(5) 내에는, 고체 절연된 주모선(20)이, 상단의 기기실(4)의 배면측과 중단의 기기실의 배면측의 대략 중앙부에서, 박스체(1)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주모선(20)에는, 고체 절연된 연락 모선(21)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이 연락 모선(21)의 다른쪽 끝은, 한쪽 측의 접속단자(21a)와 다른쪽 측의 접속단자(21b)로 분기되어 있다. 한쪽 측의 접속단자(21a)는, 상단의 하측 단자(18)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어 있다. 다른쪽 측의 접속단자(21b)는, 중단의 상측 단자(19)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어 있다. 또, 보조 연락 모선(24)의 한쪽 측의 접속단자(24a)는, 중단의 하측 단자(18)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고, 다른쪽 측의 접속단자(24b)는, 하단의 상측 단자(19)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어 있다. 이들 접속단자(21a, 21b, 24a, 24b)는, 각각, 기중 단로용 부싱부에 의하여, 칸막이판(2)에 고정되어 있다.
모선실(5) 내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는, 각각 고체 절연된 인출 모선(22, 23)이 배치되어 있다. 상측의 인출 모선(22)의 한쪽 끝에는, 접속단자(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22a)는, 상기한 상측의 단자(19)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고, 기중 단로용 부싱부에 의해, 칸막이판(2)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의 인출 모선(22)의 다른쪽 끝은, 케이블 헤드(28)에 접속되어 있다.
하측의 인출 모선(23)의 한쪽 끝에는, 접속단자(2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23a)는, 상기한 하측의 단자(18)와 접촉 이탈 가능하도록 기기실(4) 내로 도입되고, 기중 단로용 부싱부에 의해, 칸막이판(2)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의 인출 모선(23)의 다른쪽 끝은, 케이블 헤드(28)에 접속되어 있다. 각 케이블 헤드(28, 28)에는, 케이블(29)의 한쪽 끝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블(29)의 다른쪽 끝은 박스체(1)의 윗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스위치 기어의 전기회로의 개략은, 케이블(29)로부터 인출 모선(23), 하단의 진공단로기(10), 보조 연락 모선(24), 중단의 진공차단기(9)를 거쳐, 주모선(2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주모선(20)은, 열반(列盤) 구성되어 있는 인접한 반의 모선과 접속함과 동시에, 상단의 진공차단기(9), 인출 모선(22), 케이블(29)을 거쳐 부하에 전력 공급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접지장치(101)는, 4개의 차륜을 가지는 이동 가능한 대차(102)에 탑재되어 있고, 대차(102)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부와, 그 뒷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3개의 절연통(104)으로 이루어지는 개폐기부와, 조작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103)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차(102)의 후면측(도 2의 좌측)의 하부에는, 이동방향으로 돌출한 가압 바(109)가 설치되어 있다. 또, 대차(102) 좌우의 뒷부분 차륜의 뒷쪽에 2개의 위치 결정 아암(110)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기부의 절연통(104)의 상부측 내부에는, 고정 전극이 상측, 가동 전극이 하측이 되도록 진공 밸브(120)가 배치되어 있다. 진공 밸브(120)의 고정 전극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도출한 고정 도체(121)에, 배면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상부 도체(122)의 한쪽 끝이 접속되고, 이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에는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의 어댑터 도체(128)를 거쳐 콘택트(123)가 연결되어 있다. 어댑터 도체(128)의 한쪽 끝의 면은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향시킨 후, 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한다. 접지장치를 스위치 기어의 상측 단자(19)와 접속시키는 경우는, 어댑터 도체(128)를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의 상면에 대향시키고, 하측 단자(18)와 접속시키는 경우는, 어댑터 도체(128)를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의 하면에 대향시킨다. 또, 고정 도체(121)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전압 검출장치(113)의 1차 단자에 다른쪽 끝을 접속하는 접속도체(129)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콘택트(123)는, 예를 들면 스위치 기어 본체의 기중 단로용 부싱부를 거쳐, 모선 등의 전원측 도체나 부하측 도체 등이, 접촉 이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한편, 진공 밸브(120)의 가동 전극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도출한 가동 도체(124)에는, 플렉시블 도체(125)를 거쳐 배면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된 하부 도체(126)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이 하부 도체(126)의 다른쪽 끝은, 다른 2개의 상의 하부 도체(126, 126)와 단락 도체(130)를 거쳐 절연통(104)의 배면 하부에 볼트로 조여 고정되어 있다. 또, 이 하부 도체(126)의 다른쪽 끝에는, 예를 들면, 반 박스체(1)의 어스판 등의 접지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설치부재(131)를 다른쪽 끝에 구비한 접지선(127)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대차(102) 상의 정면측(도 2의 우측)에는, 조작부로서의 전자조작기 등을 수납한 박스형 형상의 조작기 수납 케이스(107)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기 수납 케이스(107)의 전면에는 착탈 자유로운 정면 커버(108)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 대략 중앙에는 막대 형상의 인출 손잡이(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커버(108)의 대략 중앙에는, 접지하는 주회로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램프(111)가 설치되고, 정면 커버(108)의 우측 하부에는, 접지장치(101)의 개폐기의 투입 차단 조작을 행하는 조작 스위치(112)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03)은, 전압 검출장치(113)가 볼트로 조여 고정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정면판부(103a)와, 이 정면판부(103a)의 양 측부에서 조작기 수납 케이스(107)의 상부에 볼트로 조여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의 지지판부(103b, 103b)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재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섬유강화 플라스틱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나 강판 이외의 금속판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전압 검출장치(113)는, 예를 들면 계기용 변압기의 경우, 단상 변압기(113a) 2개를 병설하고, 상측의 고정 전극단자와 V/V 결선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단상 변압기(113a, 113a)는 수지 몰드형으로, 그 본체의 상부에는, 주회로 단자(1차측 단자)(113b), 1차측 보호 퓨즈(113c)를, 본체의 측부에는 2차 단자를 구비하고, 대좌(113e)를 거쳐 정면판부(10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으나, 전압 검출장치(113)의 2차 단자가 접속되고, 주회로의 충전의 유무를 표시 램프(111)에 표시하는 표시회로와, 충전 시에는 접지 개폐기의 투입을 저지하는 인터록 회로를 구성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하나의 제어 기판으로서 조작기 수납 케이스(107)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상단에 구비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하단에 구비하는 고체 절연모선 스위치 기어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장치(101)에서의 상부 도체(122)가, 인출 모선(2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서의 스위치 기어의 수전상태는, 케이블(29)로부터 인출 모선(23), 하단의 진공 단로기(10), 보조 연락 모선(24), 중단의 진공차단기(9)를 거쳐, 주모선(20)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로서, 주모선(20)과 열반 구성되어 있는 인접하는 반의 모선이 충전되어 있다. 상단의 진공차단기(9)가 인출되고, 인출 모선(22), 케이블(29)을 거친 부하의 주회로를 접지하는 것이다.
부하의 주회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기어의 상단의 상측 단자(19)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장치(101)의 콘택트(123)를 상측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장치(101)에서, 어댑터 도체(128)를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의 상면에 대향시킨 후, 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스위치 기어 상단의 진공차단기(9)를 인출한 후, 접지장치(101)를, 대차(102)가 상단의 지지판(7)의 가이드 레일(6)을 따르도록 탑재한다.
다음에, 접지장치(101)를 스위치 기어에 밀어 넣어 가면, 대차(102)에 설치된 가압 바(109)가, 기기실(4) 정면의 셔터(13)를 가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셔터(13)가 양쪽 열기로 밀어 개방된다. 이 결과, 기기실(4) 내의 고압 주회로인 상측 단자(19)와 접지장치(101)의 콘택트(123)가 대향한다.
흔히, 접지장치(101)를 밀어 넣으면, 대차(102)에 설치된 위치 결정 아암(110)의 선단이, 지지판(7)의 상면에 세워 설치한 스토퍼(11)에 맞닿아, 더 이상의 밀어 넣음이 방해된다. 이 결과, 스위치 기어 상단의 상측 단자(19)와 접지장치(101)의 콘택트(123)와의 적절한 접속이 확보된다.
다음에, 접지장치(101)의 정면 커버(108)의 표시 램프(111)에 의해 주회로의 충전의 유무를 확인한다. 주회로가 비충전 상태인 것을 확인 후, 조작 스위치(112)에 의하여, 접지장치(101)의 개폐기의 투입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부하의 주회로는, 케이블(29), 케이블 헤드(28), 인출 모선(22), 상측 단자(19), 콘택트(123), 어댑터 도체(128), 상부 도체(122), 고정 도체(121), 고정 전극, 가동 전극, 가동 도체(124), 하부 도체(126), 접지선(127), 설치부재(131)의 경로로 스위치 기어의 박스체 어스와 접속된다.
이에 의하여 부분 정전상태에서의 보수 점검 작업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장치(101)에서의 상부 도체(122)가, 인출 모선(23)보다 윗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에서의, 스위치 기어의 수전상태는, 하단의 진공단로기(10)가 인출되고, 공급측의 케이블(29), 인출 모선(23)을 거쳐 공급측의 주회로를 접지하는 것이다. 주모선(20)은, 인접하는 반의 모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로서, 중단의 진공차단기(9), 보조 연락 모선(24)이 충전되고, 상단의 진공차단기(9), 인출 모선(22), 케이블(29)을 거쳐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부하의 주회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기어의 하단의 하측 단자(18)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장치(101)의 콘택트(123)를 하측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장치(101)에서, 어댑터 도체(128)를 상부 도체(122)의 다른쪽 끝의 하면에 대향시킨 후, 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도 5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지장치(101)를 스위치 기어의 하단에 삽입하고, 접지장치(101)의 개폐기의 투입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공급측의 주회로는, 케이블(29), 케이블 헤드(28), 인출 모선(23), 하측 단자(18), 콘택트(123), 어댑터 도체(128), 상부 도체(122), 고정 도체(121), 고정 전극, 가동 전극, 가동 도체(124), 하부 도체(126), 접지선(127), 설치부재(131)의 경로로 스위치 기어의 박스체 어스와 접속된다. 이에 의하여 부분 정전 상태에서의 보수 점검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반 측의 주회로의 접속부의 높이에 변경이 있는 경우라도, 접지장치(101)의 주회로 접속부인 콘택트(123)의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접지장치 상의 기기, 및 그 배치구성을 바꾸지 않고, 공통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 설치 비용의 고가격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 교환 등의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접지장치(101)에 주회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장치(113)를 설치하고, 정면 커버(108)에 주회로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램프(111)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주회로의 충전상태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터록 회로에 의하여, 충전 중의 주회로에 대한 접지 개폐기의 오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1 : 박스체 4 : 기기실
5 : 모선실 8 : 개폐기 유닛
18 : 하측 단자 19 : 상측 단자
20 : 주모선 101 : 접지장치
102 : 대차 113 : 전압 검출장치
120 : 진공 밸브 122 : 상부 도체
123 : 콘택트 126 : 하부 도체
127 : 접지선 128 : 어댑터 도체
129 : 접속 도체 130 : 단락 도체
131 : 설치부재

Claims (4)

  1. 이동 가능한 대차와, 이 대차 상에 설치한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을 구비한 개폐기부와,
    상기 개폐기부를 동작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도체를 거쳐 접속되는 전압 검출장치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부는,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접속하는 상부 도체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다른쪽과 접속하는 하부 도체와, 이 하부 도체를 스위치 기어의 접지용 단자에 접속하는 접지선과, 스위치 기어의 모선측 단로부 및 케이블측 단로부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도체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어댑터 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진공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장치는, 2개의 단상 변압기로 형성되고,
    당해 2개의 단상 변압기가 프레임의 정면 안쪽에 병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4. 이동 가능한 대차와, 이 대차 상에 설치한 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을 구비한 개폐기부와,
    상기 개폐기부를 동작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도체를 거쳐 접속되는 전압 검출장치와,
    상기 개폐기부는,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한쪽과 접속하는 상부 도체와,
    상기 가동 전극 또는 고정 전극 중 어느 다른쪽과 접속하는 하부 도체와, 이 하부 도체를 접지용 단자에 접속하는 접지선과,
    모선측 단로부 및 케이블측 단로부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도체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어댑터 도체를 구비한 접지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KR1020100014054A 2009-02-19 2010-02-17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 KR10109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6872A JP4727736B2 (ja) 2009-02-19 2009-02-19 スイッチギヤ
JPJP-P-2009-036872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44A KR20100094944A (ko) 2010-08-27
KR101098487B1 true KR101098487B1 (ko) 2011-12-26

Family

ID=4255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054A KR101098487B1 (ko) 2009-02-19 2010-02-17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83023B2 (ko)
JP (1) JP4727736B2 (ko)
KR (1) KR101098487B1 (ko)
CN (1) CN101814706B (ko)
SG (1) SG164343A1 (ko)
TW (1) TWI385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1464A1 (en) * 2008-02-15 2009-08-20 Abb Technology Ag A configurable circuit breaker
JP4866949B2 (ja) * 2009-09-07 2012-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102751664B (zh) * 2012-06-29 2015-08-05 武汉华源电气设备有限责任公司 断路器手车插入式导向定位接地结构
CN102882147A (zh) * 2012-09-24 2013-01-16 无锡双力电力设备有限公司 高压开关柜导轨式接地装置
CN103247951A (zh) * 2013-04-18 2013-08-14 国家电网公司 中置柜母线检修专用接地线头
CN103401159A (zh) * 2013-07-19 2013-11-20 万能亿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防漏电开关柜
CN103594949B (zh) * 2013-09-29 2015-10-28 安徽鑫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压开关柜的接地系统及其加工方法
US9362723B2 (en) * 2014-04-29 2016-06-0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CN106415960B (zh) 2014-05-21 2019-03-29 三菱电机株式会社 带灭弧器的断路器以及应用该断路器的受配电设备
CN104218487A (zh) * 2014-10-08 2014-12-17 四川合创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设置自动手车的开关柜
JP6661324B2 (ja) * 2015-10-16 2020-03-11 関西電力株式会社 配電盤
KR20170003305U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DE102016205519A1 (de) * 2016-04-04 2017-10-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biles Messsystem zum dreidimensionalen optischen Vermessen von Fahrzeugen und Fahrzeugteilen
KR101873801B1 (ko) * 2017-01-31 2018-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 대차의 접지 구조
US10050420B1 (en) * 2017-02-14 2018-08-1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version system for a switchgear assembly
CN106911086B (zh) * 2017-03-21 2019-05-14 江苏华冠电器集团有限公司 核电反应堆主泵开关柜
US20200154594A1 (en) * 2018-10-09 2020-05-14 Uncharted Power, Inc.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stributing power
KR102394195B1 (ko) * 2020-11-17 2022-05-09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용 접지 장치
CN112750650B (zh) * 2021-01-07 2022-11-11 余姚市超力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户外隔离开关的接地装置
CN113103253A (zh) * 2021-04-16 2021-07-13 神华北电胜利能源有限公司 一种低压配电柜操作机器人及控制系统
KR102574727B1 (ko) * 2023-02-28 2023-09-06 네오피스 주식회사 배전반 방전 및 접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518A (ja) 1997-08-08 1999-03-09 Toko Electric Co Ltd 配電盤用引出形接地装置
JP2008283734A (ja) 2007-05-08 2008-11-20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915Y2 (ko) * 1974-11-12 1979-08-08
JPS5162025A (ja) * 1974-11-27 1976-05-29 Fujitsu Ltd Ritokukirikaekairo
US4154993A (en) * 1977-09-26 1979-05-15 Mcgraw-Edison Company Cable connected drawout switchgear
JPS589009A (ja) * 1981-07-10 1983-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板検査装置
JPS589009U (ja) * 1981-07-10 1983-01-20 株式会社東芝 閉鎖配電盤
CA1201705A (en) * 1982-08-05 1986-03-11 M. Bruce Welch Olefin polymerization
JPS604205B2 (ja) * 1982-09-10 1985-02-02 工業技術院長 多座配位子をペンダント型に含むキレ−ト樹脂の製造方法
JPS5966308A (ja) * 1982-10-04 1984-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体透過複合膜
JPS5966308U (ja) * 1982-10-23 1984-05-04 株式会社明電舎 引出形しや断器の接続補助装置
US5450280A (en) * 1994-01-18 1995-09-12 Powell Electrical Manufacturing Company Voltage transformer disconnect grounding system
JP3820809B2 (ja) * 1999-07-27 2006-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の断路装置
JP4304776B2 (ja) * 1999-07-2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電気機器の引出装置
TWI228339B (en) * 2002-11-06 2005-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Metal-enclosed switchgear
JP4455066B2 (ja) * 2004-01-08 2010-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接点部材とその製法及びそれを用いた真空バルブ並びに真空遮断器
TW200814480A (en) * 2006-07-10 2008-03-16 Hitachi Ltd Distribution switchgear
US7790994B2 (en) * 2006-10-19 2010-09-0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raw-out power cell disconnect and isolation mechanism with rack-out guide tray
JP4691000B2 (ja) * 2006-11-15 2011-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
TW200916792A (en) * 2007-10-08 2009-04-16 Shin-Ming Yang Wireless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grounding mechanism of operator at workplace
TWI416830B (zh) 2007-12-18 2013-11-21 Hitachi Ltd Switch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518A (ja) 1997-08-08 1999-03-09 Toko Electric Co Ltd 配電盤用引出形接地装置
JP2008283734A (ja) 2007-05-08 2008-11-20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5884B (zh) 2013-02-11
TW201044730A (en) 2010-12-16
CN101814706A (zh) 2010-08-25
CN101814706B (zh) 2012-06-27
SG164343A1 (en) 2010-09-29
JP4727736B2 (ja) 2011-07-20
US7983023B2 (en) 2011-07-19
KR20100094944A (ko) 2010-08-27
US20100208416A1 (en) 2010-08-19
JP2010193655A (ja)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487B1 (ko) 스위치 기어의 접지장치 및 스위치 기어
KR101030290B1 (ko) 고체 절연 모선 스위치 기어
KR20080005869A (ko) 배전용 개폐장치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EP2474991B1 (en) Switch unit and switchgear
KR101633567B1 (ko) 스위치 기어
KR102163626B1 (ko) Mcsg 용 인출 모듈
KR101203912B1 (ko) 스위치 기어
KR20110026377A (ko)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JP5275263B2 (ja) スイッチギヤシステム
US8379373B2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including a bus recovery member
JP2011078273A (ja) 配電盤の作業台車および配電盤
JP2008043181A (ja) 配電用開閉装置
KR102208227B1 (ko) 메탈 클레드 스위치기어
JP5657149B2 (ja) 真空遮断器
WO2012101766A1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及びモールドスイッチの交換方法
JP4876469B2 (ja) 配電盤
JP2008011582A (ja) 配電盤の誘導電圧低減装置
US20110068635A1 (en)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apparatus and method of earthing
JPH11341614A (ja) 母線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