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433B1 -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 Google Patents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433B1
KR101095433B1 KR1020110070709A KR20110070709A KR101095433B1 KR 101095433 B1 KR101095433 B1 KR 101095433B1 KR 1020110070709 A KR1020110070709 A KR 1020110070709A KR 20110070709 A KR20110070709 A KR 20110070709A KR 101095433 B1 KR101095433 B1 KR 10109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core material
forming
pair
polym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택
Original Assignee
심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택 filed Critical 심성택
Priority to KR102011007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8Side-members reinforc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으로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텐 또는 양백의 소재로부터 다수의 심재(10)를 동시에 생성하고, 일단에 경첩(15)을 부착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를 거친 심재(10)에 대한 연마, 샌딩, 도포, 건조를 거쳐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S20); 상기 전처리 단계(S20)를 거친 심재(10)에 적어도 경첩(15)을 제외한 부분에 실리콘층(31)(35)(38)을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단계(S30); 및 상기 성형단계(S30)를 거친 심재(10)에 대한 실리콘층(31)(35)(38)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칼날을 통해 절단하거나 실리콘제거액를 통해 녹여 성형단계(S30)에 의해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하는 완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촉감이 부드러운 실리콘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뚜렷한 경계부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면서 제조시 발생하는 플래쉬를 최소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The using silicon eyeglasses-legs manufacturing method and this eyeglasses-legs}
본 발명은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으로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촉감이 부드러운 실리콘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뚜렷한 경계부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면서 제조시 발생하는 플래쉬를 최소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직접 혹은 간접적인 원인으로 인한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이상을 교정하여 사물을 보다 선명하게 보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안경에 사용되는 안경테와 다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과 수지를 복합한 다양한 안경테와 다리가 공급되고 있다. 이때, 안경의 디자인은 그 형상을 다양화하는 방법 외에도 다리를 포함한 안경테에 칠이나 전사, 코팅 등을 이용하여 무늬를 표현하여 모양에 의한 디자인을 완성하고 있다. 한편, 안경의 디자인은 변화를 가할 수 있는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므로 무늬의 변형 외에는 새로운 디자인을 가하는 것이 어려웠고, 이에 따라 항상 새로운 디자인을 추구하는 실정이다.
특히, 안경다리의 경우에는 형상과 색채를 통한 디자인을 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디자인의 다양화가 요구되는 추세에서 안경다리의 내부에 철재 등의 재질로 된 심재(보강재)를 구비하고 외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투톤을 띄도록 형성하여 디자인의 변화를 꾀하기도 하였다. 이때, 심재의 외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의 수지재는 환경호르몬을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어 내수 및 수출에 규제가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착용시 미끄러짐이나 흘러내림이 없어 착용감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는 실리콘을 주로 이용하는 추세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심재를 구비하면서 외부에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안경다리는 사출금형 상으로 심재를 인서트 시킨 상태에서 실리콘을 주입하는 사출성형방법을 통하여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성형방법은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면서 정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불량율의 상당히 높아 안경다리의 가치가 떨어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즉, 심재와 실리콘이 결합되는 부위로 플래쉬(버어 또는 이바리)의 발생율이 심각하면서 실리콘이 심재 상에 구비하는 경첩부위까지 도달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가공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61665호의 "안경다리에 실리콘을 코팅하는 방법 및 실리콘이 코팅된 안경다리"에 의하면,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양백을 비롯한 각종 금속소재로 되며, 표면에는 음각이나 양각, 또는 천공방식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도형, 로고,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한 문양부(10')를 형성하고, 일측면 선단에 안경테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경첩(10a)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켜 안경다리의 골조(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10)를 골조(10)의 일측면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홈(31)을 가지되 그 깊이가 골조(10) 두께의 1/2이내 로 형성된 골조지지금형(3)에 삽입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노출된 골조(10)의 타측면부위에 결합시켜 실리콘코팅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1차 코팅금형(1)의 성형홈(11)에 소정 색상의 실리콘 소정량을 투입시킨뒤 이를 골조지지금형(3)에 결합시켜 골조(10)의 일측면에 실리콘 코팅을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골조(10)의 일측 표면에 결합되어 있던 골조지지금형(3)을 분리시킨 뒤 1차 코팅금형(1)의 표면으로 노출된 골조(10) 표면에 성형홈(21)에 상기 단계에서와 동일색상 또는 다른 색상의 실리콘 소정량을 충진시킨 2차 코팅금형(1)을 결합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에 실리콘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71574호의 "안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연질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 및 물건"에 의하면, "1차사출을 통하여 반제품의 안경다리를 얻고 금형을 교환하여 2차사출공정에서 수지의 종류 및 색상을 변경하여 사출함으로서 내, 외면이 이종수지 또는 이종색상을 갖는 완성된 안경다리를 얻는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에 있어서; 암금형(2)의 내측에 사출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1차사출홈(201)을 형성하고 관통공(101)을 가진 심재(1)의 표면이 1차숫금형의 내면과 밀착하게 1차사출홈 (201)에 장치하며 1차숫금형(3)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도형홈(301)을 심재(1)의 관통공(101)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암금형(2)의 1차사출홈(201)에 투입된 수지가 심재(1)의 관통공(101)을 통하여 1차숫금형(3)의 도형홈(301)에 투입되게 하여 심재(1)의 하면에 안경다리의 두께를 반분하는 수지층을 형성하고 심재(1)의 상면에 돌부(501)가 심재(1)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는 1차사출물(5)를 얻고, 2차숫금형(4)의 내측에 돌부(501)의 돌출폭의 깊이로 일체로 형성되는 2차사출홈(401)을 형성하여 암금형(2)에 1차사출물(5) 인서트하여 암금형(2)과 2차숫금형(4)을 밀착하여 1차수지와 색상을 달리하는 2차수지를 2차사출홈(401)에 주입하여 완성된 안경다리인 2차사출물(6)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1차와 2차로 나누어 사출하는 이중사출방법을 통하여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사출성형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전혀 개선시킨 사항이 없고 단순히 때문에 여전히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전자와 같이 이중사출방법을 통하여 제조하면서 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사출금형을 개선시켜 종래의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소하였지만, 성형시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61665호 "안경다리에 실리콘을 코팅하는 방법 및 실리콘이 코팅된 안경다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71574호 "안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연질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 및 물건"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촉감이 부드러운 실리콘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뚜렷한 경계부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면서 제조시 발생하는 플래쉬를 최소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으로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텐 또는 양백의 소재로부터 다수의 심재를 동시에 생성하고, 일단에 경첩을 부착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를 거친 심재에 대한 연마, 샌딩, 도포, 건조를 거쳐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심재에 적어도 경첩을 제외한 부분에 실리콘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심재에 대한 실리콘층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칼날을 통해 절단하거나 실리콘제거액를 통해 녹여 성형단계에 의해 형성된 버어를 제거하는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처리 단계의 실리콘폴리머액은 심재를 침지법 또는 분사법을 이용하여 표면으로 도포하고, 실리콘폴리머액이 도포된 심재를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완전히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형단계는 심재의 일면에 1차적으로 실리콘층을 형성함과 함께 타면에 2차적으로 실리콘층을 각각 형성하면서 일면에 3차적으로 실리콘층을 부가하여 형성하거나, 심재의 양면에 실리콘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통해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을 형성하는 안경다리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촉감이 부드러운 실리콘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뚜렷한 경계부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면서 제조시 발생하는 플래쉬를 최소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단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로부터 제조된 안경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으로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안경다리에 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S10)는 스텐 또는 양백의 소재로부터 다수의 심재(10)를 동시에 생성하고, 일단에 경첩(15)을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준비단계(S10)는 단계 S12(도 1a), S14(도 1b)의 2단계로 세분할 수 있다. 단계 S12는 소재 상에 다수의 심재(10)를 인쇄하고 프레스 상에서 다수의 심재(10)를 동시에 블랭킹한다. 금속재의 소재는 가공성, 내구성, 경제성 측면에서 스텐 또는 양백이 좋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단계 S14는 각각의 심재(10)에서 안경테와 연결되는 일단에 경첩(15)을 부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심재(10)의 타단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는 과정을 더 거친다.
여기서, 경첩(15)은 안경다리의 재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데, 즉 경첩(15)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등으로 택일하여 사용한다. 이는 경첩(15)의 재질을 안경다리의 재질과 동일, 즉 안경다리를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사용하면 경첩(15)도 이와 동일하게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재질을 안경다리의 재질과는 달리 사용, 즉 안경다리를 금속재로 사용하면 경첩(15)은 합성수지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당업자가 안경다리와 경첩(15)을 동일감 또는 이질감을 선택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단계(S20)는 준비단계(S10)를 거친 심재(10)에 대한 연마, 샌딩, 도포, 건조를 거쳐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전처리 단계(S20)는 단계 S22(도 2), 단계 S24(도 3), 단계 S26(도 4)의 3단계로 세분할 수 있다. 단계 S22는 준비단계(S10)의 블랭킹, 용접 과정에서 생성된 버어나 열변색부를 제거하도록 연마하고, 후속된 단계의 피착이 원활하도록 샌딩하여 적절한 표면조도를 유지한다. 단계 S24는 심재(10)의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시키고, 단계 S26은 심재(10) 표면으로 도포된 실리콘폴리머액(21)을 경화되도록 건조를 수행한다. 한편, 심재(10)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폴리머액(21)은 후술하는 단계에서 원활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처리 단계(S20)의 실리콘폴리머액(21)은 심재(10)를 침지법 또는 분사법을 이용하여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을 도포하고, 실리콘폴리머액이 도포된 심재(10)를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완전히 경화시켜 형성된다. 심재(10)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폴리머액(21)은 후술하는 단계에서 원활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실리콘폴리머액을 이용한다. 즉, 단계 S22를 거친 심재(10)의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을 도포하는 단계 S24를 거치게 되는데, 여기서 단계 S24는 침지법 또는 분사법을 통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침지법은 실리콘폴리머액이 수용된 욕조 상에 심재(10)를 담가 도포하는 것으로, 수작업을 통해 개별적으로 침지하는 것도 가능하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도 3a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심재(10)를 침지시켜 실리콘폴리머액을 표면으로 도포한다. 분사법은 실리콘폴리머액을 미세한 입자로 분사시켜 도포하는 것으로, 수작업을 통해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도 3b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수의 심재(10)로 분사시켜 실리콘폴리머액을 표면으로 도포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심재(10)의 일면을 1차 도포한 후, 타면을 2차 도포하는 별도의 과정을 더 거치거나 양면을 동시에 도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 단계 S24를 거쳐 심재(10) 표면에 도포된 실리콘폴리머액을 경화시키는 단계 S26을 거치게 되는데, 여기서 단계 S26은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자연건조는 인공적인 열을 가하지 않고 대기 상태의 온도와 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걸이부를 지니는 건조대(도면 미도시)로 심재(10)를 거치시켜 도포된 실리콘폴리머액을 경화시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한다. 열풍건조는 인공적으로 발생된 열을 강제적으로 송풍시켜 건조하는 것으로 도 4a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밀폐된 터널상으로 이송시키고 다수의 심재(10)로 열풍을 가하여 도포된 실리콘폴리머액을 경화시켜 도 4b와 같이, 심재(10)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한다.
이때, 열풍건조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면으로 도시된 터널형 이외에도 상자형, 분무형 등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자연건조는 별도의 설비 및 유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경화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열풍건조는 경화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지만 설비 및 유지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어느 경우에나 실리콘폴리머액을 경화시켜 심재(10)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하기 위한 비용과 효율성에 의거하여 건조방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형단계(S30)는 상기 전처리 단계(S20)를 거친 심재(10)에 적어도 경첩(15)을 제외한 부분에 실리콘층(31)(35)(38)을 일체로 형성하는 과정이다. 성형단계(S30)는 실리콘폴리머액(21)이 형성된 심재(10)의 표면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지닌 각각의 실리콘층(31)(35)(38)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심재(10)의 일단에 구비하는 경첩(15)을 제외한 전체 또는 부분으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한다.
여기서, 심재(10)의 일단에 구비하는 경첩(15)으로는 실리콘층(31)(35)(38)이 형성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첩(15)으로 실리콘층(31)(35)(38)을 형성하게 되면 이를 다시 제거하는 후가공 단계를 더 거쳐야 된다. 또한, 심재(10) 상에 실리콘층(31)과 실리콘층(35) 및 실리콘층(38)이 나뉘는 경계선이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계선이 불규칙적으로 형성하게 되면 디자인에 악영향을 주어 상품성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형단계(S30)는 심재(10)의 일면에 1차적으로 실리콘층(31)을 형성함과 함께 타면에 2차적으로 실리콘층(35)을 각각 형성하면서 일면에 3차적으로 실리콘층(38)을 부가하여 형성하거나, 심재(10)의 양면에 실리콘층(31)(35)(38)을 동시에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한다. 이러한 성형단계(S30)는 심재(10)의 표면으로 실리콘층(31)(35)(38)을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심재(10)에 대한 실리콘층(31)(35)(38)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사출금형(50)(50')(50")(도 5) 또는 실리콘층(31)(35)(38)을 동시에 형성하는 사출금형(55)(도 6)을 이용한다.
즉, 도 5에서 실리콘층(31)(35)(38)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사출금형(50)(50')(50")을 이용하게 되면 먼저, 사출금형(50)의 코어부에 심재(10)를 인서트한 상태에서 용융된 실리콘을 주입하여 심재(10)의 일면에 1차적으로 실리콘층(31)을 형성한다. 이어서 실리콘층(31)이 형성된 심재(10)를 사출금형(50')의 코어부에 인서트 시켜 용융된 실리콘을 주입하여 심재(10)의 타면을 2차적으로 실리콘층(35)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 일면의 실리콘층(31)과 타면의 실리콘층(35)에 3차적으로 실리콘층(38)을 부가하여 형성한다.
이때, 일면의 실리콘층(31)과 타면의 실리콘층(35)을 형성할 때에는 실리콘층(38)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시킨 상태에서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는 실리콘층(38)은 다양한 형상이나 문양 등으로 표현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다색상을 형성하는 안경다리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출금형(50)(50')(50")은 심재(10)를 인서트 시켜주는 코어부와 용융된 실리콘의 색상을 제외한 모든 구조는 동일하다.
그리고 도 6에서, 실리콘층(31)(35)(38)을 동시에 형성하는 사출금형(55)을 이용하게 되면 사출금형(55)의 코어부에 심재(10)를 인서트한 상태에서 용융된 실리콘을 주입하여 심재(10)의 양면에 실리콘층(31)(35)(38)을 동시에 형성한다. 즉, 사출금형(55)의 코어부에 심재(10)를 인서트하게 되면 가이드가 작동하여 심재(10)를 코어부의 중간으로 떠있는 상태를 유지시켜 일면과 양면의 공간부위에 공간을 만들어 주고, 이 상태에서 용융된 실리콘을 동시에 주입하여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때, 실리콘이 코어부의 공간으로 약 90~95% 정도로 채워지는 과정에서 가이드가 원위치하여 실리콘층(31)(35)(38)의 형상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5의 성형단계(S30)에서 사출금형(50)(50')(50")을 이용하게 되면 보다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 공수가 증대되어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고, 도 6의 사출금형(55)을 이용하게 되면 작업 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은 있지만, 정밀성이 떨어져 불량률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전처리 단계(S20)에 의해 심재(10)의 표면으로 형성된 실리콘폴리머액(21)은 실리콘층(31)(35)(38)과 함께 융화되어 일체로 된다. 즉, 실리콘폴리머액(21)으로 인해 실리콘이 심재(10) 표면으로 고르게 도포되면서 접착력이 증대되어 불량률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완성단계(S40)는 거친 심재(10)에 대한 실리콘층(31)(35)(38)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칼날을 통해 절단하거나 실리콘제거액를 통해 녹여 성형단계(S30)에 의해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완성단계(S40)는 성형단계(S30)에 서 실리콘층(31)(35)(36)에 발생할 수 있는 버어, 미성형, 크랙, 백화, 이물, 긁힘, 밀림, 흑출, 흑점 등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불량을 판단하고 제거하여 도 7처럼 안경다리를 완성한다. 이때, 버어는 성형단계(S30)에서 실리콘의 주입에 의해 필수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칼날을 이용하여 버어가 발생된 부위를 절단하거나 실리콘제거액를 이용하여 버어가 발생된 부위를 녹여 완벽하게 제거한다.
도 7처럼,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안경다리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을 지녀 우수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면서 착용감을 보다 향상되게 구현할 수 있고 공정의 정밀화에 의한 가격 경쟁력을 향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촉감이 부드러운 실리콘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뚜렷한 경계부로 다색상을 지니도록 하여 우수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안경다리를 제공하면서 제조시 발생하는 플래쉬를 최소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심재 15: 경첩
21: 실리콘폴리머액 31,35,38: 실리콘층
50,50',50",55: 사출금형 S10: 준비단계
S20: 전처리 단계 S30: 성형단계
S40: 완성단계

Claims (4)

  1.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으로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텐 또는 양백의 소재로부터 다수의 심재(10)를 동시에 생성하고, 일단에 경첩(15)을 부착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를 거친 심재(10)에 대한 연마, 샌딩, 도포, 건조를 거쳐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21)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S20);
    상기 전처리 단계(S20)를 거친 심재(10)에 적어도 경첩(15)을 제외한 부분에 실리콘층(31)(35)(38)을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단계(S30); 및
    상기 성형단계(S30)를 거친 심재(10)에 대한 실리콘층(31)(35)(38)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칼날을 통해 절단하거나 실리콘제거액를 통해 녹여 성형단계(S30)에 의해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하는 완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S20)의 실리콘폴리머액(21)은 심재(10)를 침지법 또는 분사법을 이용하여 표면으로 실리콘폴리머액을 도포하고, 실리콘폴리머액이 도포된 심재(10)를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완전히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30)는 심재(10)의 일면에 1차적으로 실리콘층(31)을 형성함과 함께 타면에 2차적으로 실리콘층(35)을 각각 형성하면서 일면에 3차적으로 실리콘층(38)을 부가하여 형성하거나, 심재(10)의 양면에 실리콘층(31)(35)(38)을 동시에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통해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색상을 형성하는 안경다리.
KR1020110070709A 2011-07-16 2011-07-16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KR10109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09A KR101095433B1 (ko) 2011-07-16 2011-07-16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09A KR101095433B1 (ko) 2011-07-16 2011-07-16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433B1 true KR101095433B1 (ko) 2011-12-16

Family

ID=4550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709A KR101095433B1 (ko) 2011-07-16 2011-07-16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4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17B1 (ko) 2012-05-22 2014-10-06 권중기 카본시트를 이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26100A1 (ko) * 2013-08-21 2015-02-26 Lee Young-Jun 안경테 및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2394982B1 (ko) * 2021-05-11 2022-05-04 김춘락 코르크가루를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17B1 (ko) 2012-05-22 2014-10-06 권중기 카본시트를 이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26100A1 (ko) * 2013-08-21 2015-02-26 Lee Young-Jun 안경테 및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2394982B1 (ko) * 2021-05-11 2022-05-04 김춘락 코르크가루를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817B2 (en) 3-D printed master model
KR101095433B1 (ko) 실리콘을 이용한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다리
CN103760686B (zh) 一种覆膜在外侧的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CN105603487B (zh) 阳极氧化金属壳体的制备方法、金属壳体及电子设备
CN109435215A (zh) 一种阴模真空成型模具及其制造工艺
KR20100071574A (ko) 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연질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 및 물건
CN107107491B (zh) 用于眼镜的透镜的制造方法、由该方法生产的用于眼镜的透镜和包括该透镜的眼镜
KR101244143B1 (ko) 안경테 표면에 돌출되는 문양의 두께 조절이 가능한 양각도금방법
CN103522827A (zh) 一种雕漆工艺品的制造方法
CN103085298A (zh) 一种眼镜脚的制作方法
KR20100071575A (ko) 금속장식면을 가진 합성수지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물건
KR101284123B1 (ko) 안경테의 외측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한 안경테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방법
TW200918294A (en) Method and die for forming contact lens
JP4979927B2 (ja) 摘み部付きプラスチック製検眼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0971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244060B1 (ko) 후가공이 필요한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
CN112026421A (zh) 应用在眼镜架上的刀具内雕工艺及由该工艺制作的眼镜架
KR100686348B1 (ko) 다중 색상층이 형성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701B1 (ko) 투톤 색상을 지닌 안경테의 제조방법
JP5430229B2 (ja)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フロント枠の製造方法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CN217293319U (zh) 一种镜片注塑模具
KR20080061665A (ko) 안경다리에 실리콘을 코팅하는 방법 및 실리콘이 코팅된안경다리
CN105824132B (zh) 金属眼镜框架无焊接压铸一次性成型模具及其成型工艺
KR200445964Y1 (ko)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