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02B1 -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02B1
KR101087602B1 KR1020117007953A KR20117007953A KR101087602B1 KR 101087602 B1 KR101087602 B1 KR 101087602B1 KR 1020117007953 A KR1020117007953 A KR 1020117007953A KR 20117007953 A KR20117007953 A KR 20117007953A KR 101087602 B1 KR101087602 B1 KR 10108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ethylene
ether
composition
xanthan gum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585A (ko
Inventor
카즈노부 스즈키
나오키 토미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04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함으로써 발생되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억제하여 촉촉하고 흡수가 좋은 사용감을 갖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트라넥삼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B) 0.01∼0.5질량%의 잔탄검과, (C)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00mPa·s 이하이며,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D)를 특정의 조건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은 (E)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 및/또는 (F) 액상 유분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부에의 흡수나 촉촉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하고, 또한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squeaky feel)을 발생시키지 않고 촉촉하고 흡수가 좋은 사용감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라넥삼산류와 잔탄검을 함유하고, 조성물 전체의 점도를 소정값 이하로 조정한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트라넥삼산류는 항플라스민 작용을 갖고, 피부 거칠음 개선이나 미백 등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여러가지 화장품에 배합되어 있다. 또한, 트라넥삼산류를 다른 물질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한 상승 효과나 새로운 효과도 발견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트라넥삼산, 알부틴, 트리메틸글리신 및 비타민E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가 기재되며, 상기 피부 외용제가 여러가지 발생 요인에 의한 피부의 칙칙함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자작나무 등의 자작나무속 식물의 수액과 트라넥삼산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가 우수한 소염 효과를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및 4에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또는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트라넥삼산을 중화제 또는 유화 안정제로서 배합함으로써 보습효과가 높고 피부에의 흡수가 좋은 겔 조성물이 얻어지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추가 배합하지 않고 장기간 안정된 유화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피부에 적용했을 때에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5에는 트라넥삼산 등의 미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 겔화능을 갖는 친수성 화합물을 물 또는 수성성분에 용해, 냉각해서 겔화시킨 후, 소정 입경으로 분쇄해서 얻은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증점제(다당류, 친수성 합성 고분자, 점도 광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이 없는 또는 점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미백성분을 고배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대표적인 보습성분인 글리세린의 배합에 의해 발생되는 끈적거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에리스리톨, 트라넥삼산 및 피부 피복성 성분의 조합을 배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트라넥삼산에 의한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검토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653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910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248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635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3421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215839호 공보
화장수 등의 저점도 액상 조성물에 트라넥삼산류를 배합했을 경우,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했을 때에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고, 이 현상은 약 0.5질량%를 초과하는 양의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했을 때에 특히 현저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4 및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다당류나 점도 광물 등의 증점제에 의한 고점도 조성물의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은 인식되어 있었지만, 트라넥삼산류 배합에 기인하는 저점도 조성물의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에 착안한 연구는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함으로써 생기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억제하여 촉촉하고 흡수가 좋은 사용감을 갖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소정량의 잔탄검을 배합하고,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특정의 조건으로 함유하여 조성물 전체의 점도를 소정값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트라넥삼산류에 기인하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정성이 우수하고, 촉촉하고 흡수가 좋은 사용감을 갖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1.0∼5.0질량%의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염, 및 트라넥삼산의 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0.01∼0.3질량%의 잔탄검과, (C) 글리세린과, (E)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을 함유하고,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00mPa·s 이하이며,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특정의 조건 하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트라넥삼산류, 또한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있어도 이들에 기인하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이 소정량의 잔탄검에 의해 억제되어 촉촉한 사용감이며 피부에의 흡수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라넥삼산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성분A)을 함유하고 있다. 트라넥삼산(트랜스-4-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는 항플라스민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 용도에서는 안전성이 특히 높은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트라넥삼산류로서는 종래부터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이외에도 그 유도체로서 트라넥삼산염(마그네슘염, 칼슘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금속 염류, 인산염, 염산염, 브롬화 수소염, 황산염 등), 트라넥삼산의 에스테르류(비타민A산 에스테르, 비타민A 에스테르, 비타민E 에스테르, 비타민C 에스테르, 비타민D 에스테르 등의 비타민 에스테르류, 페닐 에스테르류, 하이드로퀴논 에스테르류, 겐티신산 에스테르류 등), 트라넥삼산의 아미드류(메틸아미드 또는 그 염 등), 트라넥삼산의 2량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트라넥삼산류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6질량% 이상 함유했을 경우에는 트라넥삼산류에 의거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이나 미백 작용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유리한 효과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6∼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6∼3.0질량%의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트라넥삼산류에 추가해서 잔탄검(성분B)을 0.01∼0.5질량% 함유하고 있다. 잔탄검은 포도당 등의 탄화수소를 산토모나스속균을 사용해서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천연 검질이며, 산성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알려진다. 화장품에 있어서도 수용성 증점성분 또는 보습성분 등으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잔탄검은 종래부터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켈코사 제의 켈트롤(상품명),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사 제의 산에이스(상품명), 또는 닛신 세이유사 제의 노무코트ZZ(상품명) 등이라는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잔탄검의 함유량으로서는 0.01∼0.5질량%, 바람직하게는 0.03∼0.3질량%이다. 함유량이 0.01질량%보다 적으면 트라넥삼산에 의해 생기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할 수 없고, 0.5질량%를 초과해서 함유하면 잔탄검에 의한 미끈거림이나 끈적거림이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보습성분인 글리세린(성분C)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세린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수분을 부여하여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글리세린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0.1∼20질량%, 바람직하게는 1∼10질량% 정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점도가 500mPa·s 이하인 것을 필수로 하고 있다. 점도가 500mPa·s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피부에의 흡수가 나빠져 침투감이라는 기호성의 저하가 생겨 버린다. 점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mPa·s 이상 등이면 좋다.
점도는 VDA형 점도계(시바우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DIGITAL VISMETRON VDA)를 사용하고, 로터 No.1 또는 No.2를 사용하고, 회전수 12rpm, 1분간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증점성분으로서 잔탄검만을 함유할 경우, 잔탄검의 함유량을 본원 특정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500mPa·s 이하의 점도를 달성할 수 있다(하기 실시예 1∼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잔탄검 이외의 다른 증점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증점성분」이란 수용성 증점성분 뿐만 아니라, 지용성(수불용성) 증점성분도 포함하지만, 그러한 지용성 증점성분은 적절한 유분과 조합되어 증점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상기와 같은 증점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형태의 증점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다른 증점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500mPa·s 이하가 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소정량의 잔탄검에 추가해서 다른 증점성분(성분D)을 특정의 조건으로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른 증점성분으로서는 종래부터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프로필렌글리콜, 한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숙시노글루칸, 덱스트란, 만난, 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 펙틴, 젤란검, 카라기난, 히알루론산, 폴리비닐알콜, 고중합도 폴리에틸렌글리콜,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수용성 증점성분, 적절한 유분과 조합한 지용성 증점성분 등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특정의 조건」이란 다른 증점성분으로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을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이하 또한 잔탄검 함유량에 대하여 500질량%(5배량) 이하로 하는 것이다. 한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이외의 다른 증점성분을 배합할 경우는,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500mPa·s 이하로 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잔탄검에 추가해서 다른 증점성분을 함유해도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이 없고, 촉촉함이나 피부에의 흡수가 더욱 개선된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배합할 때, 그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의 0.1질량%를 초과하거나, 또는 0.1질량% 이하이어도 잔탄검 함유량에 대하여 5배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도리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에 의한 뻑뻑한 느낌이나 끈적거림이 생겨 버린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성분E)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함유함으로써 조성물을 적용했을 때의 피부에의 흡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상 유분(성분F)을 배합할 때에는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로서도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로서는 종래부터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N-아실글루탐산염, 아실타우린염, 아실알킬타우린염,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N-아실사르코신산염, 고급 지방산 아미드술폰산염, 인산 에스테르염, 술포숙신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에테르디메티콘 등이 있다.
이 중 특히,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3질량%이다. 함유량이 0.01질량%보다 적으면 피부에의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불충분하며, 1.0질량%를 초과해서 함유하면 도리어 끈적거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온에서 액상의 유분(성분F)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적용했을 때의 피부에의 흡수나 촉촉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되는 액상 유분으로서는 종래부터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유지, 지방산,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고급 알콜, 실리콘유 등의 종래부터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마인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홍화씨유, 행인유, 시나몬유, 호호바유, 포도유, 해바라기유, 아몬드유, 유채씨유, 참깨유, 밀배아유, 미배아유, 미강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달맞이꽃유 등이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헵탄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펜타데칸산, 헵타데칸산, 노나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등이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 세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옥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팔미트산 옥틸, 올레인산 이소데실, 에틸헥산산 세틸 등이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파라핀, 이소파라핀, 옥탄, 데칸, 도데칸, 이소도데칸, 헥사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이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옥틸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등이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실리콘,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등이 있다.
또한, 액상 유분을 함유할 경우에는 상기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 및/또는 유화능을 갖는 고분자 등을 공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을 공존시킴으로써 액상 유분의 가용화 안정성 또는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다.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유화를 행할 경우는 유적(油滴)의 평균 유화 입자지름을 작게(예를 들면 300nm 이하) 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도 더욱 촉촉하게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액상 유분의 배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2.0질량%이다. 함유량이 0.01질량%보다 적으면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불충분하며, 5.0질량%를 초과해서 함유하면 그 안정 배합을 위해 첨가해야 할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 및/또는 유화능을 갖는 고분자 등의 양이 증가해서 끈적거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투명, 반투명, 백탁을 포함함), 에센스(미용액), 시트상 마스크의 함침액, 2층 타입 미용액 등의 액상 화장료로서 사용하는데에 적합하다. 또한, 트라넥삼산류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거칠음 개선 또는 미백을 목적으로 한 화장료로서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화장료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리세린 이외의)보습제, 알콜류, 친유성 양친매성 물질, 반고형 유분, 고형 유분, 약제, 완충제, 향료, 방부제, 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분말 등이 있다.
실시예
이하,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처방예에 있어서의 처방량은 모두 질량%이다.
(실시예 1∼7, 비교예 1∼9)
하기의 표 1∼표 4에 기재한 조성을 갖는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들 조성물에 대해서 30℃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하고, 액상 유분을 유화물로서 함유하는 것에 대해서는 분산된 유적의 평균 유화 입자지름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표 4에 나타낸다.
이어서 이들 조성물을 사용해서 2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한 실사용 시험을 행했다. 시험 항목은 촉촉함, 피부에의 흡수, 건조시의 끈적거림의 없음, 건조시의 뻑뻑한 느낌의 없음이다. 각 시험 항목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점 기준에 의거해서 각 전문 패널이 평가하고, 그 평가점의 합계에 따라 4단계로 분류했다. 분류된 결과를 표 1∼표 4에 아울러 나타낸다.
평가점 기준: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
2점: 뒤떨어진다.
1점: 매우 뒤떨어진다.
평가 랭크:
◎: 합계점이 80점 이상
○: 합계점이 60점 이상 80점 미만
△: 합계점이 40점 이상 60점 미만
×: 합계점이 40점 미만
Figure 112011028387453-pct00005
Figure 112011028387453-pct00006
Figure 112011028387453-pct00007
Figure 112011028387453-pct00008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필수성분인 트라넥삼산류 및 잔탄검은 종래부터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 2 및 5에는 양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표 3) 및 특허문헌 5(실시예 12)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크림 및 젤이라는 고점도의 조성물이다. 또한, 특허문헌 2(실시예 11)에는 양자를 함유하는 에센스의 예가 기재되어 있지만, 본 에센스는 트라넥삼산의 함유량이 0.5질량%이기 때문에 트라넥삼산에 기인하는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이라는 사용감을 배려할 필요가 없고, 또한 0.3질량%의 잔탄검에 추가해서 0.2질량%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나트륨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에의 흡수나 촉촉함의 점에 있어서는 상기 비교예 3에 있어서의 물의 일부를 자작나무 수액으로 치환한 조성물에 거의 상당한다라고 생각되며, 본원 특정의 범위 내의 조성물과는 다른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3 및 4에는 트라넥삼산과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또는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지만, 잔탄검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비교예 5와 마찬가지로 끈적거림이나 뻑뻑한 느낌 및 피부에의 흡수의 점에서 뒤떨어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6(표 3)에는 글리세린 및 트라넥삼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끈적거림이 글리세린을 에리스리톨로 치환함으로써 개선되었다라는 실험 결과가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소정량의 잔탄검을 배합함으로써 글리세린 및 트라넥삼산을 함유하고, 에리스리톨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끈적거림 및 뻑뻑한 느낌이 없는 피부 외용제가 얻어지는 것을 처음으로 찾아낸 것이다.
(처방예 1)
화장수:
배합성분…처방량(질량%)
트라넥삼산…1.0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2.0
글리세린…8.0
부틸렌글리콜…4.0
히알루론산…0.01
잔탄검…0.05
PEG/PPG-17/4 디메틸에테르…3.0
PEG-13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24…0.2
PEG-10 메틸에테르디메티콘…0.5
구연산…적량
구연산 나트륨…적량
메타인산 나트륨…적량
피로아황산 나트륨…적량
페녹시에탄올…적량
향료…적량
이온 교환수…잔여
제조 방법:
상법에 따라서 이온 교환수에 수용성 성분을 순차 용해하고, 수상을 조제했다. 수불용성 성분은 양친매성 성분과 혼합후에 수상에 첨가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처방예 2)
백탁 화장수:
배합성분…처방량(질량%)
트라넥삼산…3.0
에틸 비타민C…1.5
글리시리진산 디칼륨…0.05
글리세린…1.0
디프로필렌글리콜…4.0
폴리에틸렌글리콜20000…1.0
에탄올…10.0
잔탄검…0.1
POE 경화 피마자유…0.3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0.4
트리에틸헥산산 글리세릴…0.2
스쿠알란…0.05
구연산…적량
구연산 나트륨…적량
메타인산 나트륨…적량
피로아황산 나트륨…적량
메틸파라벤…적량
향료…적량
염료…적량
이온 교환수…잔여
제조 방법:
상법에 따라서 이온 교환수에 수용성 성분을 순차 용해하고, 수상을 조제했다. 수불용성 성분은 양친매성 성분과 가열 혼합후에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백탁 화장수를 얻었다.
(처방예 3)
에센스:
배합성분…처방량(질량%)
트라넥삼산 메틸아미드 염산염…1.0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2.0
글리시리진산 디칼륨…0.05
글리세린…10.0
프로필렌글리콜…5.0
말티톨…3.0
자일리톨…2.0
아세틸화 히알루론산…0.03
잔탄검…0.2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0.05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C10-30)) 코폴리머…0.05
메틸페닐폴리실록산…2.0
옥탄산 세틸…1.0
이소스테아릴알콜…1.0
구연산…적량
구연산 나트륨…적량
에데트산염…적량
페녹시에탄올…적량
향료…적량
이온 교환수…잔여
제조 방법:
상법에 따라서 이온 교환수에 수용성 성분을 순차 용해하고, 수상을 조제했다. 수불용성 성분은 혼합후에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지나이저 처리를 행하여 에센스를 얻었다.
(처방예 4)
에센스:
배합성분…처방량(질량%)
트라넥삼산 메틸아미드 염산염…2.5
4-메톡시살리실산 칼륨…0.5
니코틴산 아미드…4.0
아세트산 토코페롤…0.05
글리세린…1.0
PEG/PPG-17/4 디메틸에테르…5.0
폴리에틸렌글리콜1500…1.0
에리스리톨…1.0
트리메틸글리신…2.5
에탄올…3.0
잔탄검…0.08
폴리아크릴산 나트륨…0.03
아르긴산 나트륨…0.02
POE 피토스테롤…0.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0.1
트리헤틸헥산산 글리세릴…0.1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0.1
구연산…적량
구연산 나트륨…적량
메타인산 나트륨…적량
살리실산…적량
향료…적량
염료…적량
이온 교환수…잔여
제조 방법:
상법에 따라서 이온 교환수에 수용성 성분을 순차 용해하고, 수상을 조제했다. 수불용성 성분은 양친매성 성분과 가열 혼합후에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에센스를 얻었다.

Claims (6)

  1. (A) 1.0∼5.0질량%의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염, 및 트라넥삼산의 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0.01∼0.3질량%의 잔탄검과,
    (C) 글리세린과,
    (E)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을 함유하고;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00mPa·s 이하이며;
    상기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A) 1.0∼5.0질량%의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염, 및 트라넥삼산의 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0.01∼0.3질량%의 잔탄검과,
    (C) 글리세린과,
    (D)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과,
    (E)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양친매성 물질을 함유하고;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00mPa·s 이하이며;
    상기 잔탄검 이외의 증점성분으로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이하이며 또한 잔탄검 함유량에 대하여 50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F) 액상 유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 개선 또는 미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 개선 또는 미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삭제
KR1020117007953A 2008-10-15 2009-10-14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87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5965 2008-10-15
JP2008265965 2008-10-15
JPJP-P-2009-234521 2009-10-08
JP2009234521A JP4726151B2 (ja) 2008-10-15 2009-10-08 皮膚外用剤組成物
PCT/JP2009/005355 WO2010044261A1 (ja) 2008-10-15 2009-10-14 皮膚外用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585A KR20110046585A (ko) 2011-05-04
KR101087602B1 true KR101087602B1 (ko) 2011-11-29

Family

ID=4210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953A KR101087602B1 (ko) 2008-10-15 2009-10-14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22160A1 (ko)
JP (1) JP4726151B2 (ko)
KR (1) KR101087602B1 (ko)
CN (1) CN102186454B (ko)
TW (1) TWI459969B (ko)
WO (1) WO20100442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2955B2 (en) 2013-04-04 2019-05-21 Hyundai Pharm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preparation with improved transdermal perme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9252A (ja) * 2008-12-12 2010-07-22 Daiichi Sankyo Healthcare Co Ltd メラノソーム輸送抑制剤及びその方法
JP5227471B2 (ja) * 2011-08-05 2013-07-03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皮膚外用剤組成物
JP5999903B2 (ja) * 2012-01-17 2016-09-28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
JP5651133B2 (ja) * 2012-01-17 2015-01-07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
CN103565743B (zh) * 2012-07-23 2016-06-22 上海市徐汇区中心医院 氨甲环酸皮肤外用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6049178B2 (ja) * 2012-09-20 2016-12-21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皮膚外用剤組成物
JP6456582B2 (ja) * 2012-09-24 2019-01-23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
JP6273117B2 (ja) * 2012-11-27 2018-01-31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
WO2014163338A1 (ko) * 2013-04-04 2014-10-09 현대약품 주식회사 피부투과가 개선된 외용제 조성물
JP6353649B2 (ja) * 2013-12-18 2018-07-04 花王株式会社 美白化粧料
JP6324770B2 (ja) * 2014-03-14 2018-05-16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可溶化化粧料
CN110678166B (zh) * 2017-04-04 2024-01-09 抗纤溶酶科技有限责任公司 增强非手术医学治疗的方法
JP2018177763A (ja) * 2017-04-19 2018-11-15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トラネキサム酸類配合製剤
US11666532B2 (en) 2018-01-19 2023-06-06 Hyloris Developments Sa Tranexamic acid oral solution
WO2019230579A1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 資生堂 温感化粧料
MX2021000665A (es) * 2018-07-18 2021-03-25 Atg 20 S R L Composicion que comprende glicirrina y usos cosmeticos y farmaceuticos de la misma.
JP7488667B2 (ja) 2019-02-28 2024-05-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マスク製剤
DE102019206576A1 (de) * 2019-05-08 2020-11-12 Beiersdorf Ag Dünnflüssige kosmetische Zubereitung
WO2021084760A1 (ja) * 2019-11-01 2021-05-06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での活性型par-2を指標とした皮膚状態評価方法、par-2活性化促進剤又は抑制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par-2活性化抑制剤
WO2021162074A1 (ja) * 2020-02-14 2021-08-19 株式会社コーセー 水性化粧料
JP2022117477A (ja) * 2021-01-29 2022-08-10 花王株式会社 外用剤組成物
US11642324B1 (en) * 2022-03-01 2023-05-09 Bio 54, Llc Topical tranexam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7342971B (zh) * 2023-09-28 2024-03-19 上海优斐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类脂肪酰凝血酸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630A (ja) 2004-06-29 2006-01-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7238521A (ja) 2006-03-09 2007-09-20 Shiseido Co Ltd 包接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834B2 (ja) * 1995-07-12 2005-01-12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9291012A (ja) * 1996-04-25 1997-11-11 Sunstar Inc 消炎性皮膚化粧料
JP2006008550A (ja) * 2004-06-23 2006-01-12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JP2007106694A (ja) * 2005-10-13 2007-04-26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5328090B2 (ja) * 2006-10-04 2013-10-3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630A (ja) 2004-06-29 2006-01-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7238521A (ja) 2006-03-09 2007-09-20 Shiseido Co Ltd 包接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2955B2 (en) 2013-04-04 2019-05-21 Hyundai Pharm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preparation with improved transdermal perme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2160A1 (en) 2012-01-26
CN102186454B (zh) 2013-09-25
JP2010116392A (ja) 2010-05-27
KR20110046585A (ko) 2011-05-04
CN102186454A (zh) 2011-09-14
WO2010044261A1 (ja) 2010-04-22
TW201014609A (en) 2010-04-16
JP4726151B2 (ja) 2011-07-20
TWI459969B (zh)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60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480056B (zh) Flake Cosmetics
EP241545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JP5766337B2 (ja) 化粧料
US10493013B2 (en) Liquid skin-conditioning composition
WO2013108513A1 (ja) 液状化粧料
JP2014118400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JP6847827B2 (ja) ナノエマルション乳化用組成物、両連続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49624A (ja) 皮膚用化粧料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US20170348553A1 (en)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a cold cream
JP6133618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6116966B2 (ja) 油性組成物
JP2013159605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5483869B2 (ja) 皮膚用乳化化粧料
JP5164179B2 (ja) 液状化粧料
JP6630506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1118050A1 (ja) 乳化組成物
JP6856857B2 (ja) 水中油型化粧水
KR101816548B1 (ko)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17088835A (ja) ナノエマルション乳化用組成物、両連続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99903B2 (ja) 液状化粧料
JP2022037433A (ja) ポリダチン含有安定組成物
KR20230124615A (ko) 수성 에멀젼
JP2013256449A (ja) 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