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369B1 - 파이프 부설 선박 - Google Patents

파이프 부설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369B1
KR101086369B1 KR1020090089739A KR20090089739A KR101086369B1 KR 101086369 B1 KR101086369 B1 KR 101086369B1 KR 1020090089739 A KR1020090089739 A KR 1020090089739A KR 20090089739 A KR20090089739 A KR 20090089739A KR 101086369 B1 KR101086369 B1 KR 10108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ull
front opening
pipe lay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310A (ko
Inventor
전광헌
조영학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3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4Cable-lay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5Pipe-laying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7Pipe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파이프 부설 선박이 개시된다. 이 파이프 부설 선박은 파이프 부설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으로서, 선체; 상기 선체의 선수부 외판에 마련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된 후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후방 개구부까지 연장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 관통부; 및 상기 전방 개구부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방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가 평소 전방개구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파이프 관통부 또는 선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 부설, 파이프 부설 시스템, 파이프 관통부

Description

파이프 부설 선박{Pipe laying vessel}
본 발명은 파이프 부설 선박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파이프를 부설하기 위해 파이프 부설 선박이 사용된다. 파이프 부설 선박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 부설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부설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부설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이프 부설 선박(10)은 선체(11)에 마련된 파이프 부설 시스템(미도시)을 이용하여 파이프(12)를 부설한다. 이 경우, 파이프(12)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방향으로 연장되며 부설된다.
한편, 파이프(12)를 부설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으로 인해 갑작스런 반력이 파이프(12)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력은 부설된 파이프(12)를 R2방향으로 밀게된다.
반력에 의해 선체(11)의 내부로 밀린 파이프(12)는 선체(11)의 내부에 충격을 가하여 선체(11) 및 파이프(12) 자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파이프 부설 선박(10)은 선체(11)의 선수부에 파이프 관통부(15)를 구비한다. 이러한 파이프 관통부(15)는 일명 파이프 오버슈팅 영역(pipe overshooting area)이라고도 한다.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부설 선박의 선수부의 단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관통부(15)는 선체(11)의 선수부 내부에 선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이다.
반력에 의해 밀린 파이프(12)는 파이프 관통부(15)를 통해 선체(11)와 간섭됨이 없이 선체(11)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선체(11) 및 파이프(1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이프 관통부(15)는 선체(11)의 외부로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 관통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부설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 부 설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으로서, 선체; 상기 선체의 선수부 외판에 마련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된 후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후방 개구부까지 연장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 관통부; 및 상기 전방 개구부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방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후방 개구부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후방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내측으로 개폐되는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의 후단부에 마련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 및 상기 보조 커버의 후단부 각각에 마련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커버 또는 보조 커버가 평소 전 방개구부 또는 후방 개구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파이프 관통부 또는 선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의 선수부의 단면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선체(110)와, 파이프 관통부(120)와, 메인 커버(130)를 포함한다.
선체(110)의 선수부에 파이프 관통부(120)가 마련된다. 파이프 관통부(120)는 선체(110)의 외판(110a)에 마련된 전방 개구부(122)와, 전방 개구부로부터 선체(1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된 후방 개구부(124)를 구비하고, 전방 개구부(122)로부터 후방 개구부(124)까지 연장 형성된 중공부이다.
이 경우, 후방 개구부(124)는 선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격벽(110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관통부(120)는, 선체(110)에 마련된 파이프 부설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부설되는 파이프(190)가 반력에 의해 선체(110)의 선수부 측으로 밀리는 경우, 밀린 파이프(190)가 선체(110)와 아무런 간섭없이 관통되는 통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커버(130)는 전방 개구부(122)와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고, 선체(110)의 외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커버(130)는 평소에는 전방 개구부(122)를 폐쇄시키고, 파이프(190)가 반력에 의해 파이프 관통부(120)를 경유하여 선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회동하여 전방 개구부(122)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메인 커버(130)가 평소에 전방 개구부(122)를 폐쇄시킴으로써 해수가 전방 개구부(122)를 통해 파이프 관통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후방 개구부를 개폐 시키는 보조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커버(140)는 후방 개구부(124)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고, 파이프 관통부(120)의 내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커버(140)는 앞서 설명한 메인 커버(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커버(140)가 평소에 후방 개구부(124)를 폐쇄시킴으로써 해수가 후방 개구부(124)를 통해 선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에 포함된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전방 개구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메인 커버(130)가 전방 개구부(122)를 폐쇄할 때 해수가 전방 개구 부(122)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메인 커버(130)의 후단부에 마련된 완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6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60)는 파이프 관통부(120)(도 3 참조)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파이프(미도시)가 메인 커버(130)에 전달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에 포함된 파이프 관통부의 후방 개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후방 개구부(124)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5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보조 커버(140)가 후방 개구부(124)를 폐쇄할 때 해수가 후방 개구부(124)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100)은 보조 커버(140)의 후단부에 마련된 완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6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60)는 파이프(미도시)가 보조 커버(140)에 전달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부설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부설 선박의 선수부의 단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의 선수부의 단면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에 포함된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설 선박에 포함된 파이프 관통부의 후방 개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선체 120 : 파이프 관통부
130 : 메인 커버 140 : 보조 커버
150 : 실링부 160 : 완충부

Claims (8)

  1. 파이프 부설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으로서,
    선체;
    상기 선체의 선수부 외판에 마련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된 후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후방 개구부까지 연장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 관통부; 및
    상기 전방 개구부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방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개폐되는 메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개구부에 인접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후방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내측으로 개폐되는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관통부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의 후단부에 마련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 및 상기 보조 커버의 후단부 각각에 마련된 완충부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설 선박.
KR1020090089739A 2009-09-22 2009-09-22 파이프 부설 선박 KR10108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39A KR101086369B1 (ko) 2009-09-22 2009-09-22 파이프 부설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39A KR101086369B1 (ko) 2009-09-22 2009-09-22 파이프 부설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10A KR20110032310A (ko) 2011-03-30
KR101086369B1 true KR101086369B1 (ko) 2011-11-23

Family

ID=4393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39A KR101086369B1 (ko) 2009-09-22 2009-09-22 파이프 부설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50B1 (ko) * 2012-02-24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부설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3793A (ja) 1983-11-25 1985-06-20 Hitachi Zosen Corp 船舶のサ−チライト装置
JPS61110689A (ja) 1984-11-06 1986-05-28 Nippon Kokan Kk <Nkk> 投揚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3793A (ja) 1983-11-25 1985-06-20 Hitachi Zosen Corp 船舶のサ−チライト装置
JPS61110689A (ja) 1984-11-06 1986-05-28 Nippon Kokan Kk <Nkk> 投揚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50B1 (ko) * 2012-02-24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부설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10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571B1 (ko) 해양 선박
KR101275997B1 (ko) 시추용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문풀부 저항 저감을 위한 개방형 도어
KR101086369B1 (ko) 파이프 부설 선박
KR20160031789A (ko) 드릴쉽의 라이저 프로텍팅 시스템
KR20160022536A (ko) 해양구조물 문풀의 해류저항 저감구조
WO2019061804A1 (zh) 船舶锚链舱及船舶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KR101205269B1 (ko) 해상시추선용 머드탱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해상시추선
KR20170003491U (ko) 문풀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070044851A (ko) 선박 건조용 드라이도크 구조물
CN108025800B (zh) 包括流动衰减结构的海上结构
AU2020215190B2 (en) Device for cladding an underwater sound receiver
KR102505245B1 (ko) 잠수함
KR20170007515A (ko) 문풀 내부 유동 감쇄구조체
KR100977585B1 (ko) 방수형피스톤식 저수갑문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교량통과방법
KR20170039362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구조
KR102563210B1 (ko)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836901B1 (ko) 라이저 범퍼를 가진 문풀 플랩
KR101623126B1 (ko) 해양 시추 설비
KR200485054Y1 (ko) 선박의 체인 보관 장치
KR20160012442A (ko) 드릴쉽
KR20170025822A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170020991A (ko) 드릴쉽 문풀 구조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210063799A (ko) 횡 요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드릴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