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210B1 -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210B1
KR102563210B1 KR1020200148640A KR20200148640A KR102563210B1 KR 102563210 B1 KR102563210 B1 KR 102563210B1 KR 1020200148640 A KR1020200148640 A KR 1020200148640A KR 20200148640 A KR20200148640 A KR 20200148640A KR 102563210 B1 KR102563210 B1 KR 10256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ody
tunnel
ground
seabed
moor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903A (ko
Inventor
박우선
서지혜
원덕희
이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4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 지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침매터널로서, 상기 해저 지반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싸면서 결합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시키는 계류선; 및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싼 상기 계류선이 결합되며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을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Floating Immersion Tunnel Installed In The Submarine Groun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부유식 침매터널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개량없이 해저 지반에 매입 설치되고 앵커에 의해 지지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매터널은 해저를 굴착하여 트렌치를 만든 후, 육상에서 제작한 침매함체를 물에 띄워서 운반하고 트렌치에 침설시키고, 되메워 만드는 터널로, 부산과 거제도를 있는 거가대교에서 이 침매터널 공법을 적용하여 해저터널을 시공한 바 있다.
해저지반이 연약한 경우, 침매함체가 놓이는 트렌치 하부 지반의 보강이 필요하고, 설치된 침매함체 상부는 선박충돌 등으로부터 함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공이 설치가 필요하다. 설치 해역의 파고가 높아질수록, 수심이 낮아질수록 해저면에서의 동수압이 증가하여 함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큰 자중이 필요하게 되고, 자중이 증대되면 더 강하게 지반보강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침매함체를 계획된 위치에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침설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앵커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존 침매터널의 침매함 하부 지반보강, 침설을 위한 별도의 앵커를 설치하는 것 등은 건설공사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9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336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지반보강공사 없이 침매터널을 해저 지반에 설치하고 함체를 앵커로 지지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체를 지중에 고정하는 앵커케이블의 장력을 계측하여 발라스트 탱크의 물을 제어함으로써 요구되는 장력을 맞출 수 있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저 지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침매터널로서, 상기 해저 지반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싸면서 결합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시키는 계류선; 및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싼 상기 계류선이 결합되며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을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본체와 상기 해저 지반 사이에 사석을 포설하여 상기 터널본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자중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지중앵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석션 파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지중앵커; 및 상기 지중앵커와 함께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석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본체 하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평형수를 수용하며, 상기 평형수의 출입 제어를 통해서 상기 터널본체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정하는 침매함체 부력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부유식 침매터널을 해저 지반에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저 지반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의 설치를 위해 상기 해저 지반을 준설하는 지반준설단계; 상기 지반준설단계를 거친 후 준설된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부재 설치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가 놓이는 상기 해저 지반에 사석을 포설하여 완층부를 형성하는 완층부 형성단계; 상기 완충부 형성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에서 제작된 터널본체를 상기 완충부 위에 침설하는 터널본체 침설단계; 및 상기 터널본체 침설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계류선에 연결하며, 상기 터널본체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고 상기 계류선을 설정된 강도로 당겨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완충부에 밀착하는 계류선 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선 연결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에 형성된 침매함체 부력챔버의 평형수 출입을 제어하여 상기 계류선에 설정된 장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하는 장력조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지중앵커; 및 상기 지중앵커와 함께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석션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이 자중보다 큰 터널본체를 해저지반에 설치하고, 해저 지반 내에 설치된 지중앵커 등의 고정부재로 이를 고정하여 연약한 지반이 깊게 형성된 해역에 지반보강없이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력이 자중보다 큰 터널본체와 이에 부가된 부력챔버, 이 터널본체를 지반에 연결하는 계류선 및 지중앵커나 석션 파일인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터널본체의 부력을 자중과 상재토압보다 크게 하고, 이를 고정부재로 지지하여 지반개량이 필요없어 경제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에 석션파일이 설치된 입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석션파일이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지중앵커가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입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지중앵커가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석션파일과 지중앵커가 같이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에 석션파일이 설치된 입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석션파일이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지중앵커가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입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지중앵커가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석션파일과 지중앵커가 같이 설치된 부유식 침매터널의 입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나 하저 지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침매터널로서, 본 발명은 터널본체(100), 계류선(200) 및 고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본체(100)는 해저 지반(30)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계류선(200)은 터널본체(100)를 에워싸면서 결합되어 터널본체(100)를 해저 지반(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터널본체를 에워싼 계류선(200)이 결합되며 해저 지반(30)에 매설되어 터널본체(100)를 해저 지반(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해저 지반(30)에 매설되며 터널본체(100)에 결합된 계류선(200)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지중앵커(310)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00)는 해저 지반(30)에 매설되며 터널본체(100)에 결합된 계류선(200)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석션 파일(320)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00)는 전술한 지중앵커(310)와 석션 파일(320)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석션 파일(320)은 앵커설치시는 부력통으로 이용하고 터널본체(100) 연결 후는 물, 그라우팅제 등으로 채워 앵커 자중을 증대시키는 석션앵커 부력챔버(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은 완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400)는 터널본체(100)와 해저 지반(30) 사이에 사석을 포설하여 터널본체(100)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자중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은 부력챔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력챔버(120)는 터널본체(100) 하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평형수를 수용하며, 평형수의 출입 제어를 통해서 터널본체(100)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력챔버(120)는 일부분에 개폐 가능한 개폐커버(미도시)가 형성되어 개폐를 통해서 평형수의 입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폐커버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개폐의 제어가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개폐커버는 랙과 피니언의 방식을 이용하여 피니언을 컨트롤러에 연결된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랙에 연결된 개폐커버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부력챔버(120)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 연결된 압력계나 부력계를 통해서 부력챔버(120) 내의 압력을 모니터링하면서 개폐커버를 작동시켜서 평형수의 입수나 출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유식 침매터널을 해저 지반에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지반준설단계(S100), 고정부재 설치단계(S200). 완층부 형성단계(S300), 터널본체 침설단계(S400) 및 계류선 연결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반준설단계(S100)는 해저 지반(30)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100)의 설치를 위해 해저 지반(30)을 준설하는 단계이다.
고정부재 설치단계(S200)는 지반준설단계(S100)를 거친 후 준설된 해저 지반(30)에 고정부재(3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고정부재(300)는 지중앵커(310) 및 석션 파일(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중앵커(310)는 해저 지반(30)에 매설되며 터널본체(100)에 결합된 계류선(200)이 연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석션 파일(320)은 지중앵커(310)와 함께 해저 지반(30)에 매설되며 터널본체(100)에 결합된 계류선(200)이 연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완층부 형성단계(S300)는 고정부재 설치단계(S200)를 거친 후 터널본체(100)가 놓이는 해저 지반(30)에 사석을 포설하여 완층부(4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터널본체 침설단계(S400)는 완충부 형성단계(S300)를 거친 후 터널본체(100)를 완충부(400) 위에 침설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터널본체 침설단계(S400)는 완충부 형성단계(S300)를 거친 후 부유식 도크 등에서 제작된 터널본체(100)를 완충부(400) 위에 침설하여 터널본체(100)가 받는 자중이나 터널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다.
계류선 연결단계(S500)는 터널본체 침설단계(S400)를 거친 후 터널본체(100)를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계류선(200)에 연결하며, 터널본체(10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고 계류선(200)을 설정된 강도로 당겨 터널본체(100)를 완충부(400)에 밀착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부유식 침매터널 시공방법은 장력조정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장력조정단계(S600)는 계류선 연결단계(S500)를 거친 후 터널본체에 형성된 침매함체 부력챔버(120)의 평형수 출입을 제어하여 계류선(200)에 설정된 장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부유식 침매터널 시공방법은 파지력조정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력조정단계(S700)는 계류선 연결단계(S500)를 거친 후 터널본체에 형성된 침매함체 부력챔버(120)의 평형수 출입을 제어하여 계류선(200)에 설정된 장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하고, 석션앵커의 파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석션앵커 부력챔버(321)내에 물 또는 그라우팅제로 충진하는 단계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전술한 부유식 침매터널의 발명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에 자중보다 큰 터널본체(100)를 해저지반에 설치하고, 해저 지반 내에 설치된 지중앵커(310) 등의 고정부재(300)로 이를 고정하여 연약한 지반이 깊게 형성된 해역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력이 자중보다 큰 터널본체(100)와 이에 부가된 부력챔버(120), 이 터널본체(100)를 지반에 연결하는 계류선(200) 및 지중앵커(310)나 석션 파일(320)인 고정부재(300)로 구성되며, 터널본체(100)의 부력을 자중과 상재토압보다 크게 하고, 이를 고정부재(300)로 지지하여 지반개량이 필요없어 경제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침매터널
30 : 해저 지반
100 : 터널본체
120 : 침매함체 부력챔버
200 : 계류선
300 : 고정부재
310 : 지중앵커
320 : 석션 파일
321 : 석션앵커 부력챔버
400 : 완충부

Claims (9)

  1. 해저 지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침매터널로서,
    상기 해저 지반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싸면서 결합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시키는 계류선; 및
    상기 터널본체를 에워싼 상기 계류선이 결합되며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어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을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석션 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석션 파일은,
    물 또는 그라우팅제로 충진되어 자중을 증대시키는 석션앵커 부력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본체 하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평형수를 수용하며, 상기 평형수의 출입 제어를 통해서 상기 터널본체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정하는 침매함체 부력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매함체 부력챔버는 일부분에 개폐 가능한 개폐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커버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평형수의 출입을 제어가능하며,
    상기 터널본체와 상기 해저 지반 사이에 사석을 포설하여 상기 터널본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자중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해저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터널본체에 결합된 상기 계류선이 연결되면서 고정되는 지중앵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랙과 피니언 방식을 이용하여 피니언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시켜 랙에 연결된 개폐커버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침매함체 부력챔버의 일부분에 설치된 압력계나 부력계를 통해 침매함체 부력챔버 내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개폐커버를 작동시킴으로써 평형수의 입수나 출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따른 부유식 침매터널을 해저 지반에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저 지반에 놓여지며 부력이 자중 이상이고, 운송수단의 운송 통로를 제공하는 터널본체의 설치를 위해 상기 해저 지반을 준설하는 지반준설단계;
    상기 지반준설단계를 거친 후 준설된 상기 해저 지반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단계;
    상기 고정부재 설치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가 놓이는 상기 해저 지반에 사석을 포설하여 완층부를 형성하는 완층부 형성단계;
    상기 완충부 형성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에서 제작된 터널본체를 상기 완충부 위에 침설하는 터널본체 침설단계; 및
    상기 터널본체 침설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계류선에 연결하며, 상기 터널본체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고 상기 계류선을 설정된 강도로 당겨 상기 터널본체를 상기 완충부에 밀착하는 계류선 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선 연결단계를 거친 후 상기 터널본체에 형성된 침매함체 부력챔버의 평형수 출입을 제어하여 상기 계류선에 설정된 장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하고, 석션 파일의 파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석션 파일에 형성된 석션앵커 부력챔버 내에 물 또는 그라우팅제로 충진하는 파지력조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의 시공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00148640A 2020-11-09 2020-11-09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56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640A KR102563210B1 (ko) 2020-11-09 2020-11-09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640A KR102563210B1 (ko) 2020-11-09 2020-11-09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03A KR20220062903A (ko) 2022-05-17
KR102563210B1 true KR102563210B1 (ko) 2023-08-03

Family

ID=8180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640A KR102563210B1 (ko) 2020-11-09 2020-11-09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42A (ja) * 2002-02-15 2003-08-27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パイル基礎を用いる防波堤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300B1 (ko) * 2007-10-29 2010-07-20 박정일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 및 상기 잠수식부유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103365A (ko) 2008-03-28 2009-10-01 박정일 대운하의 하저를 통과하는 침매터널과 그 터널의 시공방법
KR101059297B1 (ko) * 2009-03-27 2011-08-24 김준모 수저 터널의 시공 방법
KR101181971B1 (ko) 2009-11-24 2012-09-11 주식회사 케이엔티 침매터널 시공용 침매폰툰 및 이를 이용한 침매터널의 시공방법
KR101211486B1 (ko) * 2010-10-25 2012-12-18 한국해양연구원 현수식 해중터널
KR101572723B1 (ko) * 2013-11-08 2015-11-27 현대건설주식회사 가변형 블레이드와 스커트부를 구비한 그룹형 하이브리드 석션 기초 및 그 설치방법
KR101924697B1 (ko) * 2016-11-21 2019-02-21 현대건설주식회사 자체 부력 조절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심해 터널 구조물과 그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42A (ja) * 2002-02-15 2003-08-27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パイル基礎を用いる防波堤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03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109B1 (ko) 부유식 풍력 터빈용 계선 부표
NL2008625C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installing foundation elements in an underwater ground formation.
BR0311168B1 (pt) Método para posicionar um conjunto operacional submarino em um local desejado fora da costa em águas profundas
CN107109815B (zh) 噪声减除系统
US3380256A (en) Underwater drill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9909274B2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KR102563210B1 (ko) 해저 지반에 설치되는 부유식 침매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N115823351B (zh) 一种浅滩段海底管道安装方法及安装参数设计方法
US4360291A (en) Subsea foundation
JP2012127097A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6068944A (ja) 水上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3278137A (ja) 浮体式ゲート装置
JP4776694B2 (ja) 港湾構造物及びこのような構造物の建設方法
EP3053231A2 (en) Method of laying a pipe under water
CN100360377C (zh) 半潜式水下施工挡流装置
AU2011271793B2 (en) Submersible vehicle for dumping rocks
DK2860314T3 (en) Gravity fundering
JP2005207220A5 (ko)
JPH05132913A (ja) 大波に対する防護装置の設置方法
JP2012117354A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851611B1 (ko)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JP2590044B2 (ja) 水中構造物の建造設備
EP2189576A1 (en) Foundation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in deep water
NL1005464C1 (nl) De werkwijze voor de installatie en de uitvoering van een zelfdrijvende boorputbeschermingsconstructie welke overvisbaar 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