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11B1 -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11B1
KR101851611B1 KR1020170098666A KR20170098666A KR101851611B1 KR 101851611 B1 KR101851611 B1 KR 101851611B1 KR 1020170098666 A KR1020170098666 A KR 1020170098666A KR 20170098666 A KR20170098666 A KR 20170098666A KR 101851611 B1 KR101851611 B1 KR 10185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ork
circular steel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오
Original Assignee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는,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호 양분되어 선택되는 일측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형강관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해상작업판과, 상기 해상작업판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하천 및 해양에서 교량의 설치를 위한 기초를 시공시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물막이로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상부를 밀폐시켜 원형강관을 감압에 의해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시키고,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면에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작업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원형강관의 내측에서 작업을 위해 상면이 이중구조로 구비되어 필요한 위치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Rotating Workbench For Marine Bridge Groundwork}
본 발명은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물막이로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상부를 작업대로 이용함으로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원형강관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밀폐시켜 해상의 바닥면에 원형강관의 내측을 감압시켜 삽입이 가능하며, 원형강관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방 가능한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해양에서 교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조물의 기초를 설치함으로 외수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중장비 및 작업자들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원형강관 등을 이용해 가물막이 공사를 시행한다.
이러한 교량을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지선에 크레인을 적재한 후 해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우물통 기초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수중에 설치하게 되는데, 해상 교량기초 시공을 위한 가물막이 공법으로는 국내외적으로 강널말뚝 공법과 셀식 가물막이 공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셀식, 강널말뚝, 지오튜브(Geotube), PC 하우스, 벽강관말뚝 등 다양한 가물막이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설치 위치의 지형 조건, 지반 조건, 환경 조건 등에 따라 기존 공법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 변경하여 적용하고 있다.
벽강관말뚝 공법은 육상에서 가이드프레임을 제작한 후 다수개의 핀파일을 가이드 파일(guide pile)내부로 항타 관입하여 고정해 가물막이를 완성하는 공법인데, 수밀성을 위한 이음부 지수공의 시공이 다소 까다로우며, 인발후 재사용이 어렵고, 가이드프레임 및 강관말뚝이 전도되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며, 핀파일 및 강관 시공시 진동 및 소음 등의 환경 문제와 높은 공사비의 문제가 있다.
강널말뚝 공법은 철재 널말뚝을 연속해서 삽입하여 차수성 흙막이벽을 형성하여 띠장, 버팀대로 지지하는 방법으로 모래지반과 같은 연약지반에 대표적인 공법인데, 내외부 수압차로 인한 차수벽 형성이 어려우며, 공사비 및 공사 난이도 측면에서 불리하고, 굴착면 내부로 토사가 밀려들어오면서 지반의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강결이 어려워 시공불량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영구케이싱 공법은 강관을 풍화암층 상단까지 관입 후 강관 내부의 토사를 굴착하고, 케이싱 내부에 철근망을 근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공법인데, 강관 케이싱이 구조부재의 역할을 하지 않으며, 강관 케이싱의 자재비가 전체 공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문제가 있다.
셀식 가물막이 공법은 원형과 아크(Arc)형, 두 가지 타입으로 형틀(template)을 만들고, 임시 가조립 후 파일을 원형으로 연결시켜 원형셀을 형성하면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임시 물막이 공법인데,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형틀의 자재비 및 조립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조립 및 운반시 안정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지오튜브(geotube) 공법은 공기 및 공종이 단순하며, 별도의 사면보호공이 필요 없어 철거가 용이하나 초기 시공비가 많이 투입되고, 부분적인 파손, 하부 원지반 세굴, 구체의 높이를 설계값 정도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케이슨 튜브(C.T.) 공법은 외부 유입수를 차단하여 건조상태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가물막이 공법으로 유속이 작고 세굴이 잘 일어나지 않는 하상재료를 갖는 교량에 적합하나 선단 하부측으로 안정성 확보 및 차수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공법이 필요하고, 공사비가 고가인 문제가 있다.
그런데 현재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의 기초공사 시공시 원형강관의 내부를 감압시켜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시키도록 원형강관의 상부를 밀폐시키며,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면을 작업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상면의 부분적 개방이 가능해 원형강관의 내측에서 작업이 가능한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598호(2014.09.17)를 통해 강관을 석션압에 의해 해저 지반에 관입할 수 있어 강관의 단면 크기를 더욱 확대할 수 있고, 관 접속부재를 이용해 상,하부 관부재를 서로 수밀한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은 석션압을 이용해 원형강관을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시키도록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에만 그칠 뿐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의 상면을 작업대로 이용할 수 없어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가 필요하고, 상면의 부분적 개방이 어려워 원형강관의 내측에서 작업하기 위해서는 원형강관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추가적 작업대가 필요한 문제로 인해 비효율 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물막이로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상부를 밀폐시켜 원형강관을 감압에 의해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시키고, 상면을 작업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원형강관의 내측에서 작업을 위해 상면의 부분적 개방이 가능한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기초 시공을 위해 펌프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 있어서,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호 양분되어 선택되는 일측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형강관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해상작업판과, 상기 해상작업판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 상호 직교되게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관을 고정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이 회전되어 외측과 연통되는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 상부를 분할하여 구분시키는 한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상작업판은, 상기 결합관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작업판과, 상기 제1작업판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관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개방된 내부 타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작업판과,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이 외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호 직교되는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작업판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이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을 폐쇄시키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회동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판은, 상기 제1작업판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및 틸팅되면서 다단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힌지프레임과, 상기 힌지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이 밀폐되도록 상기 힌지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작업판의 상면에 긴밀하게 인접되는 제1패킹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선택되는 일측에 외력이 작용되도록 걸림을 제공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원형강관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일측이 결합되는 펌프결합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해상작업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한 자기력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의 수직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작업판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을 밀폐시키는 제2패킹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낙하방지수단은, 상기 결합관의 상측 단부를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수직되게 구비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홀을 통과하여 연장되면서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및 해양에서 교량의 설치를 위한 기초를 시공시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물막이로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상부를 밀폐시켜 원형강관을 감압에 의해 해상의 바닥면에 삽입시키고,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면에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작업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바지선과 같은 추가 작업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원형강관의 내측에서 작업을 위해 상면이 이중구조로 구비되어 필요한 위치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회동판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밀폐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회동판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밀폐수단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서 낙하방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1)는, 교량의 기초 시공을 위해 펌프(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관(100)과, 상기 결합관(100)의 개방된 내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호 양분되어 선택되는 일측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형강관(3)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밀폐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교량의 기초 시공을 위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외수를 차단하도록 원형강관(3)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관(100)이 결합되는데, 이 결합관(100)은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면서 상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이 구비되는데, 이 지지프레임(110)은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에 상호 직교되게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3)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관(1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200)이 회전되어 외측과 연통되는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 상부를 분할하여 구분시키는 것으로, 외측과 연통되는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분할하여 상기 해상작업판(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이 개방되는 구간을 구분지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하기의 도면에서 상호 직교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을 4 분할되도록 구비되었지만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 상부 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게 구비되어 상기 해상작업판(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이 개방되는 구간을 복수 개로 구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 공간을 양분하도록 해상작업판(200)이 구비되는데, 이 해상작업판(200)은 상기 결합관(100)의 개방된 내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호 양분되어 선택되는 일측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형강관(3)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원형강관(3)이 상기 펌프(4)의 흡입압력에 의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상면을 작업 공간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해상작업판(200)은 상면을 작업 공간으로 형성하면서 회전되도록 제1작업판(210), 제2작업판(220) 및 회전축(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에는 제1작업판(210)이 구비되는데, 이 제1작업판(210)은 상기 결합관(10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100)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강관(3)의 내부 일측을 커버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하기의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작업판(210)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 입접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과 이격되어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에 제2작업판(220)이 구비되는데, 이 제2작업판(220)은 상기 제1작업판(210)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관(10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100)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개방된 내부 타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작업판(210)이 커버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 공간에서 개방된 나머지 내부 타측을 커버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하기의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상기 제2작업판(220)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각각 회전되도록 회전축(230)이 구비되는데, 이 회전축(230)은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외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이 상호 직교되는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상기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관(100)의 내측에서 회전되어 외측과 상호 연통되는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 상부 공간이 가변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의 단부 일측에는 회동판(211)이 구비되는데, 이 회동판(211)은 상기 제1작업판(210)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을 폐쇄시키면서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펌프(4)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원형강관(3)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자업판이 상호 이격된 사이 공간을 커버하면서 밀폐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동판(211)은 상기 제1작업판(210)의 일측 단부에서 회동되도록 힌지프레임(211-1) 및 제1패킹부(2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의 단부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힌지프레임(211-1)이 구비되는데, 이 힌지프레임(211-1)은 상기 제1작업판(210)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및 틸팅되면서 다단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작업판(210)의 단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제1작업판(210)과 제2작업판(220)이 상호 이격된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힌지프레임(211-1)의 단부에는 제1패킹부(211-2)가 구비되는데, 이 제1패킹부(211-2)는 상기 힌지프레임(21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이 밀폐되도록 상기 힌지프레임(211-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작업판(220)의 상면에 긴밀하게 인접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프레임(211-1)이 회동되면서 상기 제2작업판(220)의 상면에 상기 제1패킹부(211-2)가 긴밀하게 인접되어 상기 원형강관(3)의 내측이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의 상면에는 연결구(240)가 구비되는데, 이 연결구(240)는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선택되는 일측에 외력이 작용되도록 걸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240)의 선택되는 일측에 외력을 전달하는 일측이 걸려 상기 제1작업판(210) 또는 제2작업판(220)이 회전되기 위한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작업판(210)의 일측에는 펌프결합구(212)가 구비되는데, 이 펌프결합구(212)는 상기 펌프(4)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원형강관(3)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2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4)의 일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상기 원형강관(3)을 관입시키도록 흡입 압력을 발휘하는 펌프(4)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는 밀폐수단(300)이 구비되는데, 이 밀폐수단(300)은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원형강관(3)이 상기 펌프(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결합관(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차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회전시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밀폐수단(300)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서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우징(310), 스프링(320), 전자석(330) 및 제2패킹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에는 밀폐수단(300)을 구성하는 하우징(310)이 구비되는데, 이 하우징(310)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기의 스프링(320) 및 전자석(330)을 내측에 포함하며, 하기의 전자석(330)이 수직 이동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스프링(320)이 구비되는데, 이 스프링(320)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상기 스프링(320)이 하기의 전자석(330) 사이에 개재되어 일측 전자석(330)이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전자석(330)이 구비되는데, 이 전자석(330)은 상기 스프링(3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한 자기력과 상기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전자석(330)은 상기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의 전자석(330)이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고, 전력의 인입에 의해 자기력이 발휘되어 인력이 작용된 전자석(330)이 상호 당기면서 스프링(320)을 수축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회전시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자석(330)의 일측에는 제2패킹부(340)가 구비되는데, 이 제2패킹부(340)는 상기 전자석(33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330)의 수직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결합관(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차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3)이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관(1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낙하방지수단(400)이 구비되는데, 이 낙하방지수단(400)은 상기 결합관(10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관(100)의 상측 단부에 복수 개가 결합되면서 하기의 와이어(430)로 상호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수단(400)은 상기 해상작업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작업공간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도록 고정부(410), 수직프레임(420) 및 와이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관(100)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낙하방지수단(400)을 구성하는 고정부(410)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부(410)는 상기 결합관(100)의 상측 단부를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관(100)의 상측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410)의 상부에는 수직프레임(420)이 구비되는데, 이 수직프레임(420)은 상기 고정부(410)의 상면에 수직되게 구비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고정부(410)의 상부에 각각 수직되게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와이어(430)가 구비되는데, 이 와이어(430)는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측면에 구비되는 홀을 통과하여 연장되면서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4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420)을 상호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관(100)은 내측이 개방되어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교량의 기초 시공을 위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원형강관(3)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내측에 상호 직교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0)이 원형강관(3)의 상면과 인접하여 고정되고, 외측과 연통되 원형강관(3)의 내측 상부 공간을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작업판(200)은 결합관(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원형강관(3)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원형강관(3)의 내측을 밀폐시키면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 교량 기초 시공을 위해 작업공간이 구비되는 바지선을 운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의 연속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해상작업판(200)은 제1작업판(210), 제2작업판(220) 및 회전축(230)으로 구성되어 결합관(100)의 내측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축(230)이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의 일측을 관통하면서 상호 직교되는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회전되는 중심을 형성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결합관(100)의 내주면에서 회전되어 원형강관(3)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는 부분을 가변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제1작업판(210) 또는 제2작업판(220)의 연결구(240)에 선박(미도시) 또는 외력을 발휘하는 장비에서 연장되는 로프(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이 선택적으로 걸려 외력을 발휘하면서 제1작업판(210) 또는 제2작업판(220)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작업판(210)의 일측 단부에는 회동판(211)이 구비되어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을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것으로, 제1작업판(210)의 일측 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힌지프레임(211-1)이 회동되고, 힌지프레임(211-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패킹부(211-2)가 힌지프레임(211-1)의 회동에 의해 제2작업판(220)의 상면과 긴밀하게 인접되어 제1작업판(210) 및 제2작업판(220)이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을 밀폐한다.
상기 제1작업판(210)의 상부 일측에는 펌프결합구(212)가 구비되어 흡입 압력에 의해 원형강관(3)을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시키는 펌프(4)가 연결되는 것으로, 펌프(4)가 연결되어 밀폐된 원형강관(3)의 내측에 흡입 압력을 발휘하기 위한 이동경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수단(300)은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고, 밀폐수단(300)의 상승시 해상작업판(200)의 단부와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차를 긴밀하게 막아 원형강관(3)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펌프(4)의 흡입 압력이 원활하게 발휘되도록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결합관(100)의 사이를 막아 원형강관(3)의 내측을 긴밀하게 밀폐한다.
상기 밀폐수단(300)을 구성하는 하우징(310)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을 따라 해상작업판(200)과 상기 결합관(100)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320)과 전자석(330) 및 제2패킹부(340)가 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해상작업판(200)과 결합관(100)의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해상작업판(200)을 구성하는 제1작업판(210) 또는 제2작업판(220)의 회전시 밀폐수단(300)의 스프링(320)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전자석(330)에 전력이 인입되고, 전력의 인입에 의해 자기력이 발휘되어 인력이 작용되면서 전자석(330)이 상호 당겨져 스프링(320)을 수축시키고, 해상작업판(200)에서 밀폐수단(300)이 이격되면 제1작업판(210) 또는 제2작업판(220)이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결합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낙하방지수단(400)은 고정부(410)가 결합관(100)의 상측 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고 고정부(410)의 상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420)이 상부로 연장되며 와이어(430)가 각각의 수직프레임(420)을 통과하면서 체결되어 상호 연결함으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1)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 원형강관 4 : 펌프
100 : 결합관 110 : 지지프레임
200 : 해상작업판 210 : 제1작업판
211 : 회동판 211-1 : 힌지프레임
211-2 : 제1패킹부 212 : 펌프결합구
220 : 제2작업판 230 : 회전축
240 : 연결구 300 : 밀폐수단
310 : 하우징 320 : 스프링
330 : 전자석 340 : 제2패킹부
400 : 낙하방지수단 410 : 고정부
420 : 수직프레임 430 : 와이어

Claims (10)

  1. 교량의 기초 시공을 위해 펌프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에 있어서,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원형강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관;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에 결합되어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을 밀폐시키고, 상호 양분되어 선택되는 일측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형강관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해상작업판;
    상기 해상작업판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밀폐수단; 및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 상호 직교되게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관을 고정시키고, 상기 해상작업판이 회전되어 외측과 연통되는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 상부를 분할하여 구분시키는 한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작업판은,
    상기 결합관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작업판;
    상기 제1작업판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관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관의 개방된 내측을 양분하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개방된 내부 타측을 폐쇄시켜 상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작업판;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이 외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호 직교되는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작업판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이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을 폐쇄시키면서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을 밀폐시키는 회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은,
    상기 제1작업판의 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및 틸팅되면서 다단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힌지프레임; 및
    상기 힌지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형강관의 내측이 밀폐되도록 상기 힌지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작업판의 상면에 긴밀하게 인접되는 제1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판 및 제2작업판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선택되는 일측에 외력이 작용되도록 걸림을 제공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원형강관이 하천 및 해상의 바닥면에 관입되도록 상기 제1작업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일측이 결합되는 펌프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해상작업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전력의 인입에 의한 자기력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의 수직 이동에 의해 상기 해상작업판의 단부와 상기 결합관(100)의 내주면 사이를 긴밀하게 막아 상기 원형강관을 밀폐시키는 제2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수단은,
    상기 결합관의 상측 단부를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수직되게 구비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홀을 통과하여 연장되면서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KR1020170098666A 2017-08-03 2017-08-03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KR10185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66A KR101851611B1 (ko) 2017-08-03 2017-08-03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66A KR101851611B1 (ko) 2017-08-03 2017-08-03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611B1 true KR101851611B1 (ko) 2018-04-25

Family

ID=6208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66A KR101851611B1 (ko) 2017-08-03 2017-08-03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94Y1 (ko) * 2001-12-19 2002-03-23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교각 수중 우물통 기초 암반발파용 이동식 드릴 천공장치
KR101246665B1 (ko) * 2010-04-01 2013-03-25 홍경국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443598B1 (ko) * 2014-04-07 2014-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KR101603759B1 (ko) * 2015-02-03 2016-03-15 김덕수 회전식 받침대 일체형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94Y1 (ko) * 2001-12-19 2002-03-23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교각 수중 우물통 기초 암반발파용 이동식 드릴 천공장치
KR101246665B1 (ko) * 2010-04-01 2013-03-25 홍경국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443598B1 (ko) * 2014-04-07 2014-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압을 이용한 수중 가시설물 시공방법
KR101603759B1 (ko) * 2015-02-03 2016-03-15 김덕수 회전식 받침대 일체형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7223B2 (ja) 鋼製セグメントを用いた仮締切壁の施工方法
AU2011328226B2 (en) Subsea anchor
US9428876B2 (en) Multi-suction-pile anchor and flat plate anchor having suction piles
BRPI1105774B1 (pt) Estrutura offshore para perfuração e/ou produção de um poço submarino e método
CN103270221B (zh) 用于钻探和/或开采海底井的海上结构及其方法
ES2438189T3 (es) Draga retroexcavadora marina
US8066449B2 (en) Method for dry isolation of a water passage of a dam
US3380256A (en) Underwater drill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190031868A (ko) 내부 격벽을 이용한 석션버켓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20200081143A (ko) 스퍼드캔 기초를 이용한 프리파일링 템플리트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JP6768611B2 (ja) 防潮堤
JP5024943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底面構造
CA1086514A (en) Scissor well template
KR101851611B1 (ko) 해상 교량 기초 시공용 회전식 작업대
JP2003268791A (ja) 浮き基礎の浮体を沈下させる方法
JP3065927B2 (ja) 乾式作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作業函
JP2014190073A (ja) 浮体式仮締切り工の施工方法
KR20140146846A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JP2020128672A (ja) 洋上風力発電用のモノパイル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用のモノパイル基礎
JP2003278137A (ja) 浮体式ゲート装置
CN200972009Y (zh) 海底管道维修施工箱
US4510985A (en) Stacked open bottom temporary guide base for offshore drilling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JP4465808B2 (ja) 水中基礎の構築工法
KR20190031867A (ko) 고무막을 이용한 석션버켓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