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92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5924B1 KR101085924B1 KR1020050055611A KR20050055611A KR101085924B1 KR 101085924 B1 KR101085924 B1 KR 101085924B1 KR 1020050055611 A KR1020050055611 A KR 1020050055611A KR 20050055611 A KR20050055611 A KR 20050055611A KR 101085924 B1 KR101085924 B1 KR 1010859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oor
- paper stacking
- fram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8—Linearly moving set of developing units, one at a time adjacent the recording memb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용지스태킹 커버의 분리시 본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측벽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부; 측벽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 및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를 구비하므로,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도어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원차단부에 의해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용지스태킹 커버를 위한 별도의 전원차단부가 필요없게 되어 제작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다.
용지스태킹 커버, 분리, 도어, 오픈, 전원, 차단,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전원차단유닛을 예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1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스태킹 커버와 커버분리 감지센서의 배치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용지스태킹 커버와 커버분리 감지센서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스태킹 커버와 커버록킹유닛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한 용지스태킹 커버와 커버록킹유닛의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한 도어록킹유닛의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레이저 프린터 112: 상면프레임
114: 용지스태킹 커버 115: 전면도어
120: 측면도어유닛 140: 전원차단유닛
210: 커버록킹유닛 211, 261: 록킹돌기
215, 251: 돌기수용부 221: 록킹차단부
222: 차단판 225: 탄성스프링
250: 도어록킹유닛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스태킹 커버의 분리시 본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레이저 프린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1), 후면프레임(13) 및 상면프레임(12)을 구비하는 프린터본체(10), 전면프레임(11)에 형성되는 개구(10a)를 통해 프린터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30), 프린터본체(20)의 측면을 개폐시키도록 프린터본체(10)의 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측면도어유닛(20)을 구비한다.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은 인쇄를 완료한 용지가 배지되는 용지스태킹(stacking) 커버(14)를 구비한다. 용지스태킹 커버(14)는 프린터본체(10) 내부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상면프레임(12)에 착탈 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현상유닛(30)은 감광드럼(31) 등을 구비하는 현상기본체(33)로 구성되고, 토너카트리지(17)와 함께 프린터본체(10)에 장착 가능하다. 현상유닛(30)은 감광드럼(31) 등의 수명이 다할 경우, 통상적으로 유닛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해주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측면도어유닛(20)은 잼(jam) 용지를 제거하거나 기타 부품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개폐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레이저 프린터(1)는, 현상유닛(30)을 프린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 측면도어유닛(20)을 개방시킨 상태, 및/또는 용지스태킹 커버(14)를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오동작에 의해 프린터(1)가 구동될 경우, 프린팅 동작시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에 필요한 고압의 전원이나 레이저스캐닝유닛(도시하지 않음)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20) 및/또는 전면도어(15)가 개방될 때 메인전원(도시하지 않음)에서 본체프레임(10)내의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각종 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안전스위치(23)를 구비하는 전원차단유닛(40)을 본체프레임(10) 내부에 측면도어유닛(20) 및/또는 전면도어(15)에 관하여 설치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20) 및/또는 전면도어(15)가 닫혀질 때,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조작부(61)는 누름 돌출부(50)에 의해 아래로 눌러 진다. 이에 따라,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스위치 접촉부(63)는 스프링(6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힌지부(6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안전스위치(23)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는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면도어(15) 및/또는 측면도어유닛(20)가 열려질 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돌출부(50)는 조작부(61)로부터 이격됨으로, 스위치 접촉부(63)는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부(62)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23)를 해제한다. 따라서,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는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스태킹 커버(14)가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될 때 메인전원으로부터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용지스태킹 커버(14) 근처의 프린터본체(10)에는 커버분리 감지센서(7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분리 감지센서(70)는 센싱액츄에이터(71), 탄성스프링(78), 및 센서부(75)로 구성된다. 센싱액츄에이터(71)는 상면프레임(12)의 고정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왕복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스태킹 커버(14)의 작동돌기(85)와 대향하게 위치한 제1단부(71a)와 센서부(75) 쪽으로 돌출된 제2단부(71b)를 구비한다. 탄성스프링(78)은 센싱액츄에이터(71)의 스프링지지부(71C)와 상면프레임(12)의 고정브라켓의 스프링지지부(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고, 센싱액츄에이터(71)의 제1단부(71a)를 작동돌기(85)쪽으로 돌출시키도록 센싱액츄에이터(71)를 가압한다. 센서부(75)는 상면프레임(12)의 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용지스태킹 커버(14)가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될 때, 센싱액츄에이터(71)는 탄성스프링(78)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센서부(75)는 '온'된다. 그 결과, 커버분리 감지센서(70)는 '온'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커버분리 감지센서(70)의 '온'신호에 따라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차단유닛(40)과 커버분리 감지센서(70)를 구비하는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전면도어(15) 및/또는 측면도어유닛(20)을 개방시키거나, 용지스태킹 커버(14)를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사용자가 프린터(1)의 동작시 정착유닛 등의 구동에 필요한 고압의 전원이나 레이저스캐닝유닛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노출되어 신체적 손상을 입는 문제는 방지되었으나, 전원차단유닛(40)과 커버분리 감지센서(70)를 각각 전면도어(15) 및/또는 측면도어유닛(20)과 용지스태킹 커버(14)에 관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프린터제작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용지스태킹 커버(14)를 프린터본체(10)의 상면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현상유닛(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커버분리 감지센서(70)의 동작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므로, 소프트웨어상의 오류 등으로 인해 각종 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커버분리 감지센서(7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분리 감지센서(70)를 프린터본체(10) 내부의 구동부의 전선 및 단자들과 격리시켜야 하므로, 상면프레임(12)에 센서를 보호하는 별도의 커버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설치공간이 커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커버분리 감지센서(70)의 센서부(75)가 센싱액츄에이터(71)에 의해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제작치수 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고 보다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전원차단 메카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스태킹 커버의 분리시 본체의 전원을 보다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전원차단 메카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측벽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부; 측벽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 및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록킹부는 도어부에 형성된 제1록킹돌기, 용지스태킹 커버에 형성되고 제1록킹돌기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제1돌기수용부, 및 상면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1록킹돌기가 제1돌기수용부에 록킹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록킹차단부로 구성된다. 이 때, 록킹차단부는 제1돌기수용부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프레임에 지지된 차단판, 및 차단판을 제1돌기수용부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전면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제1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전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도어부; 제2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도어부;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제2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제1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 및 제1도어부와 제2도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2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제1도어부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록킹부는 제2도어부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 및 제1도어부에 형성되고 제2록킹돌기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제2돌기수용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화상형성장치는 PC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양면인쇄 레이저 프린터(100)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100)는, 프린터본체(110), 프린터본체(1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유닛(120), 프린터본체(110) 내외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130), 및 측면도어유닛(120)의 개폐시 프린터본체(110)의 각종장치, 즉 현상유닛(130), 정착유닛(도시하지 않음) 및 레이저스캐닝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유닛(140)을 구비한다.
프린터본체(110)는 전면프레임(111), 후면프레임(113),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19, 128), 및 상면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전면프레임(111)에는 제1개구 (110a)가 미도시된 힌지부에 지지된 전면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 개구(110a)를 통해 현상유닛(130)이 프린터본체(110) 내외로 출입가능하다. 또, 제1개구(110a)를 통해 현상유닛(13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117)가 현상유닛(130)과 함께 착탈가능하게 된다.
상면프레임(112)은 인쇄를 완료한 용지가 배지되는 용지스태킹 커버(114)를 구비한다. 용지스태킹 커버(114)는 프린터본체(110) 내부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상면프레임(112)에 착탈 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용지스태킹 커버(114)와 상면프레임(112)의 결합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프린터본체(110)의 하측에는 인쇄용지가 수용되는 용지카세트(118)가 설치된다.
제1측면프레임(119)에는 제2개구(119a)가 측면도어유닛(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측면도어유닛(120)은 프린터본체(11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프린터본체(1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브라켓(121), 및 도어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123) 및 용지이송롤러(125)를 구비한다. 전사롤러(123)는 현상유닛(130)을 프린터본체(110) 내에 장착시, 그 현상유닛(130)에 설치된 감광드럼(131)에 접촉되며, 그 사이로 인쇄용지를 통과시킨다.
현상유닛(130)은 토너카트리지(117)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므로 제1개구(110a)를 통해 프린터본체(110) 내에 결합된다. 이러한 현상유닛(130)은 미도시된 레이저 스캐닝유닛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131), 및 감광드럼(1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본체(133)를 구비한다.
전원차단유닛(140)은 후면프레임(113)에 설치되는 안전스위치(123), 스위치 작동부재(160), 및 측면도어유닛(120)의 도어브라켓(121)에 설치된 누름 돌출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안전스위치(123)는 미도시된 메인전원에서 프린터본체(110)의 현상유닛(130), 정착유닛 및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보조스위치이다.
전원차단유닛(140)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전원차단부(4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원차단유닛(140)은 종래의 전원차단부(40)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측면도어유닛(120)의 개폐동작과 연동하는 공지의 다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100)는, 종래의 프린터(1)와 같이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감지하여 프린터본체(110)의 현상유닛(130), 정착유닛 및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기위한 커버분리 감지센서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록킹유닛(210)과 도어록킹유닛(250)을 더 포함한다.
커버록킹유닛(210)은 전면도어(115)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115)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록킹돌기(211), 제1돌기 수용부(215), 및 록킹차단부(221)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록킹돌기(211)는 전면도어(115)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어 프린터본체(110)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 수용부(215)는 제1록킹돌기(211)와 수직으로 용지스태킹 커버(114)에 형성되고, 제1록킹돌기(211)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수용홈 또는 홀(216)을 구비한다. 록킹차단부(221)는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1록킹돌기(211)가 제1돌기 수용부(215)의 수용홀(216)에 록킹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프레임(112)의 지지홀(112a)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록킹차단부(221)는 제1돌기수용부(215)에 의해 화살표 방향(C, D)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프레임(112)의 지지홀(112a)에 지지된 차단판(222), 및 차단판(222)을 제1돌기 수용부(215)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25)으로 구성된다. 탄성스프링(225)은 차단판(222)의 스프링지지부(226)와 상면프레임(112)의 차단판 지지브라켓(227) 사이에 지지된다.
따라서,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에 결합되어 있을 때, 제1 돌기 수용부(215)는 차단판(222)을 탄성스프링(22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방향(C)으로 밀어서 도 6 및 도 7a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결과, 전면도어(115)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록킹돌기(211)는 제1돌기수용부(215)의 수용홀(216)에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면도어(115)는 방해없이 닫혀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차단판(222)은 탄성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D)으로 이동하여 도 7b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된다. 그 결과, 차단판(222)은 전면도어(115)가 닫히더라도 전면도어(115)의 제1 록킹돌기(211)의 이동을 블록킹하게 되어 전면도어(115)가 닫혀지지 못하게 한다.
또한,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에 결합된 경우, 용지스태킹 커버(114)는, 전면도어(115)가 닫혀 있을 때는 제1 록킹돌기(211)가 제1돌기수용부(215)의 수용홀(21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고, 전면도어(115)가 열려 있을 때만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된다.
도어록킹유닛(250)은 측면도어유닛(120)이 열려있을 때만 전면도어(115)가 열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도어(115)와 측면도어유닛(120) 사이에 설치된다.
도어록킹유닛(250)는 측면도어유닛(120)에 설치된 제2록킹돌기(261), 및 전면도어(115)에 설치된 제2돌기수용부(251)를 구비한다.
제2록킹돌기(261)는 본체 프레임(110)내부쪽으로 돌출하도록 측면도어유닛(120)의 도어브라켓(121)에 형성된다. 제2 돌기수용부(251)는 전면프레임(111)에 형성된 삽입홀(111a; 도 5)을 통해 본체프레임(110) 내부로 돌출하도록 전면도어(115)에 형성되고, 중앙에 제2록킹돌기(261)를 수용하는 수용홈 또는 홀(253)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120)이 닫혀있을 때, 측면도어유닛(120)의 도어브라켓(121)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261)가 제2 돌기수용부(251)의 수용홀(253)에 삽입 및 록킹되어 있으므로, 전면도어(115)는 열 려지지 않는다.
반대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120)이 열려있을 때, 제2록킹돌기(261)가 제2 돌기수용부(251)의 수용홀(253)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면도어(115)는 자유롭게 열려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100)는 전면도어(115)와 측면도어유닛(120)이 도어록킹유닛(250)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도어록킹유닛(250)를 사용하여 전면도어(115)와 측면도어유닛(120)을 서로 록킹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전면도어(115)가 열려질 때 현상유닛(130), 정착유닛 및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차단유닛(14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별도의 전원차단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전면도어(115)에 관하여 추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100)는 전면도어(115)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유닛(210), 및/또는 측면도어유닛(120)이 열려있을 때만 전면도어(115)가 열려지도록 하는 도어록킹유닛(250)을 구비하므로,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나 전면도어(115)가 열려질 경우, 측면도어유닛(120) 및/또는 전면도어(115)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원차단유닛(140)에 의해 현상유닛(130), 정착유닛 및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스태킹 커버(114) 및/또는 전면도어(115)를 위한 별도의 전원차단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제작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프린터(1)와 같이 용지스태킹 커버(114)가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커버분리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커버분리 감지센서의 설치에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 및 커버분리 감지센서 등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전원차단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100)의 용지스태킹 커버(114)의 분리 및 결합동작을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지스태킹 커버(114)을 분리하여 프린터본체(110) 내부의 특정장치를 수리 및 교체하기 위해, 측면도어유닛(120)이 도 8a에 도시한 위치에서 도 8b에 도시한 위치로 열려진다.
측면도어유닛(120)이 열려지면, 전원차단유닛(140)의 누름 돌출부는 스위치 작동부재(160)로부터 이격됨으로, 안전스위치(123)는 스위치 작동부재(160)로부터 눌림이 해제되어 '오프'된다. 따라서, 현상유닛(130),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는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이 중지된다.
이어서, 전면도어(115)가 열려진다. 이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록킹돌기(261)가 제2 돌기수용부(251)의 수용홀(253)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면도어(115)는 자유롭게 열려진다.
전면도어(115)가 열려짐에 따라, 전면도어(115)에 형성된 제1 록킹돌기(211)는 제1 돌기수용부(215)의 수용홀(216)로부터 빠지게 되며, 그 결과, 제1 돌기수용 부(215)를 형성한 용지스태킹 커버(114)는 어디에도 록킹되는 부분이 없이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스태킹 커버(114)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E)으로 당겨져 상면프레임(11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제1 돌기수용부(215)가 용지스태킹 커버(114)와 함게 제거됨에 따라, 차단판(222)은 탄성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D)으로 이동하여 도 7b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차단판(222)은 전면도어(115)가 닫히더라도 전면도어(115)의 제1 록킹돌기(211)의 이동을 블록킹하게 되어 전면도어(115)가 닫혀지지 못하게 한다.
프린터본체(110) 내부의 특정장치가 수리 및 교체된 후, 용지스태킹 커버(114)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F)으로 밀려져서 상면프레임(112)에 결합된다. 이때, 용지스태킹 커버(114)에 형성된 제1 돌기수용부(215)는 차단판(222)을 탄성스프링(22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방향(C)으로 밀어서 도 7a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전면도어(115)가 닫혀지면, 전면도어(115)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록킹돌기(211)는 제1 돌기수용부(215)의 수용홀(216)에 삽입되어 용지스태킹 커버(114)를 록킹한다.
그 다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120)이 닫혀지면, 측면도어유닛(120)의 도어브라켓(121)에 형성된 제2 록킹돌기(261)는 제2 돌기수용부(251)의 수용홀(253)에 삽입되어 전면도어(115)를 록킹하고, 용지스태킹 커버(14)의 결합작업은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전면도어가 열려있을 때만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 및/또는 측면도어유닛이 열려있을 때만 전면도어가 열려지도록 하는 도어록킹부를 구비하므로,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나 전면도어가 열려질 때 전면도어 및/또는 측면도어유닛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원차단부에 의해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현상유닛, 정착유닛, 레이저스캐닝유닛 등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용지스태킹 커버 및/또는 전면도어를 위한 별도의 전원차단부가 필요없게 되어 제작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프린터에서와 같이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커버분리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커버분리 감지센서의 설치에 따른 제작상의 어려움 및 커버분리 감지센서 등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전원차단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상기 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측벽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부;상기 측벽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 및상기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기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를 포함하며,상기 커버록킹부는, 상기 도어부가 열릴 때 상기 도어부의 열림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와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를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상기 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측벽프레임에 설치된 도어부;상기 측벽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 및상기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기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를 포함하며,상기 커버록킹부는,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제1록킹돌기;상기 용지스태킹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제1록킹돌기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제1돌기 수용부; 및상기 상면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록킹돌기가 상기 제1돌기수용부에 록킹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록킹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차단부는,상기 제1돌기수용부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프레임에 지지된 차단판; 및상기 차단판을 상기 제1돌기수용부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전면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상기 제1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도어부;상기 제2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도어부;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상기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기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 및상기 제1도어부와 상기 제2도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제1도어부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록킹부를 포함하며,상기 커버록킹부는, 상기 제1도어부가 열릴 때 상기 제1도어부의 열림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도어부와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를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전면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프레임, 및 용지스태킹 커버를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한 상면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상기 제1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도어부;상기 제2개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도어부;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부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내에서 프린팅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차단부;상기 용지스태킹 커버와 상기 상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용지스태킹 커버가 상기 상면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커버록킹부; 및상기 제1도어부와 상기 제2도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도어부가 열려있을 때만 상기 제1도어부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록킹부를 포함하며,상기 도어록킹부는,상기 제2도어부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 및상기 제1도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록킹돌기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제2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611A KR101085924B1 (ko) | 2005-06-27 | 2005-06-27 | 화상형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611A KR101085924B1 (ko) | 2005-06-27 | 2005-06-27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6084A KR20060136084A (ko) | 2007-01-02 |
KR20070000114A KR20070000114A (ko) | 2007-01-02 |
KR101085924B1 true KR101085924B1 (ko) | 2011-11-23 |
Family
ID=3786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5611A KR101085924B1 (ko) | 2005-06-27 | 2005-06-27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592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31497B2 (ja) * | 2016-12-26 | 2020-01-1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993889B2 (ja) * | 2018-01-26 | 2022-01-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23056150A (ja) * | 2021-10-07 | 2023-04-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開閉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2005
- 2005-06-27 KR KR1020050055611A patent/KR1010859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114A (ko) | 2007-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653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device for detecting when cover of the apparatus are all closed | |
EP1197978B1 (en) | Open/close switch mechanism having simple configuration | |
JP5446041B2 (ja) | トナーホッパ、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07374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2169449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交換ユニット | |
KR101085924B1 (ko) | 화상형성장치 | |
KR20020016389A (ko) | 레이저 프린터 | |
CN111308874B (zh) | 成像装置 | |
US5311253A (en) | Image-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maging unit | |
KR19990067965A (ko) | 특정한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을 수납가능한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 |
KR20060136084A (ko) | 화상형성장치 | |
JPS62215278A (ja) | 電子写真装置 | |
CN105988349B (zh) | 安装装置及图像形成装置 | |
CN108333892B (zh) | 开闭构件检测装置和成像设备 | |
US7002615B2 (en) | Laser beam isolation apparatus of a laser printer | |
US20080308398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H11202725A (ja) | 前カバー固定機構 | |
JP291097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334347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112533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1129600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7443686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395523B1 (ko) | 레이저 프린터 | |
JP200828695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317704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