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869B1 -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 Google Patents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869B1
KR101085869B1 KR1020100105731A KR20100105731A KR101085869B1 KR 101085869 B1 KR101085869 B1 KR 101085869B1 KR 1020100105731 A KR1020100105731 A KR 1020100105731A KR 20100105731 A KR20100105731 A KR 20100105731A KR 101085869 B1 KR101085869 B1 KR 10108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car
rack assembly
ho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 레드벤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 레드벤쳐 filed Critical (주) 한국 레드벤쳐
Priority to KR102010010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869B1/ko
Priority to PCT/KR2011/001690 priority patent/WO201205741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일정 구간 이격되어 형성되는 풀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카가 그 위치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케이블카를 각각의 케이블카가 별도의 동력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정 구간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자체 동력으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카에 있어서;
케이블카는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전면과 배면 일부는 인접한 레크조립체와 밀착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와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좁아져 기어홈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크조립체가 결합되어 인접한 레크조립체의 사이 공간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홈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The transfer-wire for cable car}
본 발명은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존에 일정 구간 이격되어 형성되는 풀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카가 그 위치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케이블카를 각각의 케이블카가 별도의 동력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카는 공중에 걸친 와이어에 반송용 객실을 매달고 사람이나 물품을 운송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산을 오르내리거나 계곡을 건널 때 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도 8은 종래 일반적인 케이블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 양측의 지주 위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풀리(5, 6)와, 상기 제1 풀리(5)와 제2 풀리(6)를 연결 장착되는 와이어(1)와, 상기 제1 풀리(5) 또는 제2 풀리(6)를 회전시키는 모터(7)와, 상기 와이어(1)에 고정되는 케이블카(2)로 구성된다.
이의 작동은 상기 모터(7)가 구동하면 와이어(1)는 상기 제1 및 제2 풀리(5, 6)의 사이를 왕복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운동에 따라 케이블카(2)가 와이어(1)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상기 구조의 경우 와이어(1)와 다수의 케이블카(2)의 움직임을 하나의 모터(7)로 대용량의 것을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와 케이블카(2)는 그 구조상 단단히 결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에 우천이나 결빙시에는 와이어(1)에서 케이블카(2)가 미끄러져 이송오류가 자주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송을 해야하는 사람 또는 물품의 양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2)를 이송하기 위하여 장비 전체를 가동해야하기에 상당한 에너지의 낭비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이어는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케이블카가 자체 동력원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카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송될 수 있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구간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자체 동력으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카에 있어서;
케이블카는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과 인접한 전면과 배면 일부는 인접한 레크조립체와 밀착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와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좁아져 기어홈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크조립체가 결합되어 인접한 레크조립체의 사이 공간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홈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는 한 쌍이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삭제
상기 레크조립체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의 사이에 기어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3개가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레크조립체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의 사이 중앙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의 사이에 기어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카가 자체동력으로 안정적으로 미끄러짐없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을 가진 모터가 장착된 각각의 케이블카가 독립적으로 이송하도록 하여 이송에 따른 전력의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이송과 이송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케이블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밀착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종래 일반적인 케이블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일정 구간 연결되는 와이어(1)를 구비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1)와 연결되어 자체 동력으로 상기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카(2)에 있어서;
케이블카(2)는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21)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1)에는 다수의 레크조립체(3)가 조립하게 결합되어 인접한 레크조립체(3)의 사이 공간이 상기 구동기어(21)와 맞물리는 기어홈(31)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기존의 대부분의 케이블카의 경우 와이어가 왕복운동을 하고 이에 연결된 케이블카가 이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본원과 같이 케이블카에 독립적인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와이어가 고정된 경우 단순히 다수의 폴리의 조합으로 와이어와 연결된 후 하나 이상의 폴리가 회전할 때 케이블카가 이송되는 것도 있었다.
하지만 단순히 와이어와 연결된 경우에는 우천이나 결빙의 상황에서 와이어에서 미끄러질 우려가 많으며 특히 경사지게 오르내리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은 레크와 피니언과 같은 형태의 동력전달구조는 미끄러짐이 없고 정확한 이송 및 이송속도를 제어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한 것이다.
이에 와이어(1)를 가공하는 것은 중량체를 지지해야하기 때문에 불가하고 와이어(1)에 다수의 레크조립체(3)를 장착하여 레크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상기 레크조립체(3)의 구조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관통홀(32)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32)과 인접한 전면과 배면 일부는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하는 평면부(33)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3)와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좁아져 기어홈(3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평면부(33)는 상기 레크조립체(3)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밀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레크조립체(3)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빈틈없이 조립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평면부(33)는 조립이 완료되면 와이어(1)가 자중에 의하여 휘어지지 않고 직선의 경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와이어(1)는 한 쌍이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레크조립체(3)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34)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35)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35)의 사이에 기어홈(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크조립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와이어(1)는 3개가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레크조립체(3)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36)의 사이 중앙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37)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36)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35)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35)의 사이에 기어홈(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두 개의 실시 예는 와이어(1)를 포함하는 일련의 레크 역할을 하는 부분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2개 및 3개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와이어(1)를 형성하거나 직경이 상호 다른 주 와이어와 보조 와이어를 구분하여 연결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밀착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와이어(1)의 일 끝단 또는 양끝단의 와이어(1)가 지지고정되는 와이어지지부(41)와, 상기 와이어지지부(41)와 레크조립체(3)에 각각 밀착되는 지지판넬(42)과, 상기 지지판넬(42)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된 다수의 레크조립체(3)를가압하여 상호 밀착하게 하는 스프링(43)으로 구성되는 탄성밀착부(4)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와이어의 장력에는 한계가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크조립체(3)가 일정간격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어려울 경우에 스프링(43)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 계절에 따른 와이어(1)의 길이 변화에도 별도의 작업 없이도 일정한 힘에 의하여 상기 레크조립체(3)가 밀착되어 안정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1 : 와이어
2 : 케이블카
21 : 구동기어
3 : 레크조립체
31 : 기어홈 32 : 관통홀
33 : 평면부 34 : 제1 관통홀
35 : 기어이 36 : 제2 관통홀
37 : 제3 관통홀
4 : 탄성밀착부
41 : 와이어지지부 42 : 지지판넬
43 : 스프링
5 : 제1 풀리
6 : 제2 풀리
7 : 모터

Claims (5)

  1. 삭제
  2. 일정 구간 연결되는 와이어(1)를 구비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1)와 연결되어 자체 동력으로 상기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카(2)에 있어서;
    케이블카(2)는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21)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1)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관통홀(32)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32)과 인접한 전면과 배면 일부는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하는 평면부(33)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3)와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좁아져 기어홈(3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레크조립체(3)가 결합되어 인접한 레크조립체(3)의 사이 공간이 상기 구동기어(21)와 맞물리는 기어홈(31)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는 한 쌍이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레크조립체(3)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34)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35)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35)의 사이에 기어홈(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는 3개가 소폭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레크조립체(3)는 양측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36)의 사이 중앙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37)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36)의 사이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어이(35) 및 인접한 레크조립체(3)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이(35)의 사이에 기어홈(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5. 삭제
KR1020100105731A 2010-10-28 2010-10-28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KR10108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731A KR101085869B1 (ko) 2010-10-28 2010-10-28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PCT/KR2011/001690 WO2012057414A1 (ko) 2010-10-28 2011-03-10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731A KR101085869B1 (ko) 2010-10-28 2010-10-28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869B1 true KR101085869B1 (ko) 2011-11-23

Family

ID=4539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731A KR101085869B1 (ko) 2010-10-28 2010-10-28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5869B1 (ko)
WO (1) WO201205741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87B1 (ko) * 2015-05-29 2017-11-30 한국기계연구원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CN107901924A (zh) * 2017-12-11 2018-04-13 程丽丽 一种利用计算机进行安全控制的缆车系统
KR20180062525A (ko) 2016-11-30 2018-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블 수송수단의 충돌 방지 구조
CN110884504A (zh) * 2019-12-06 2020-03-17 西安科技大学 一种智能化井下猴车运输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R20130003A1 (it) * 2013-04-19 2014-10-20 Ciam Servizi Spa Sistema di cremagliera flessibile e componi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206A (en) 1916-02-23 1916-10-10 John A Lewis Delivery apparatus.
JPS6015395A (ja) 1983-07-08 1985-01-26 横河工事株式会社 自走式荷役台車の駆動装置
US4882998A (en) 1987-05-13 1989-11-28 Xaver Lipp Car for traveling along a sheathed cable
KR200285546Y1 (ko) 2002-05-16 2002-08-13 정종구 수영장의 코스로프용 부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516221A (en) * 1895-08-29 1895-10-19 Artur Duffe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Transmission of Power by Means of Ropes.
JPS6383430A (ja) * 1986-09-24 1988-04-14 Haruhiko Hirasawa 数珠型ノンスリツプ伝動ベルト
JPH06117496A (ja) * 1992-07-30 1994-04-26 Onishi Raito Kogyosho:Kk 巻掛け伝動用線材
JPH06255478A (ja) * 1993-03-03 1994-09-13 Shimizu Corp ロープウェイの乗降装置
US7294078B2 (en) * 2002-05-21 2007-11-13 Delphi Technologies, Inc. Over-molded beaded cable for driving applications
JP3643105B2 (ja) * 2003-02-06 2005-04-2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螺旋状歯付きロー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206A (en) 1916-02-23 1916-10-10 John A Lewis Delivery apparatus.
JPS6015395A (ja) 1983-07-08 1985-01-26 横河工事株式会社 自走式荷役台車の駆動装置
US4882998A (en) 1987-05-13 1989-11-28 Xaver Lipp Car for traveling along a sheathed cable
KR200285546Y1 (ko) 2002-05-16 2002-08-13 정종구 수영장의 코스로프용 부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87B1 (ko) * 2015-05-29 2017-11-30 한국기계연구원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KR20180062525A (ko) 2016-11-30 2018-06-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블 수송수단의 충돌 방지 구조
CN107901924A (zh) * 2017-12-11 2018-04-13 程丽丽 一种利用计算机进行安全控制的缆车系统
CN107901924B (zh) * 2017-12-11 2023-12-08 程丽丽 一种利用计算机进行安全控制的缆车系统
CN110884504A (zh) * 2019-12-06 2020-03-17 西安科技大学 一种智能化井下猴车运输装置
CN110884504B (zh) * 2019-12-06 2020-09-11 西安科技大学 一种智能化井下猴车运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14A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69B1 (ko)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CN105253507A (zh) 一种立体仓库用堆垛机结构
JP2014118281A (ja) チェーン搬送装置
CN205366780U (zh) 一种智能立体仓库用顶升移载装置
CN111547503A (zh) 一种家电制造用转运装置
CN104762706A (zh) 筒纱搬运转向机构
WO2009093894A1 (en) Sor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ieces of luggage
KR20120124172A (ko)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CN105197581B (zh) 地下自行车库中心输送台总成
CN104274985B (zh) 能实现三维空间运动的飞行装置
CN212394852U (zh) 输送设备及餐具清洗系统
CN204211032U (zh) 具有反向丝杆组件的三连片输送机构
CN204210064U (zh) 三连片移动机构
CN204300257U (zh) 一种带链传动自动张紧装置
CN203469491U (zh) 能实现三维空间运动的飞行装置
CN102588423A (zh) 一种链式柔性推杆
CN207511249U (zh) 一种积放式输送机平稳翻转机构
JP2011144895A5 (ko)
KR101432010B1 (ko)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CN205260628U (zh) 一种用于滑块精度移动的导轨
CN202403505U (zh) 用于冻干机的出料组件
CN207288684U (zh) 一种独立工件物料翻转机构
JP2012020830A (ja) コンベヤベルト
KR101274666B1 (ko) 모빌랙의 기어비 가변장치
ATE479615T1 (de) Ausziehbare tragvorrichtung und damit ausgestattetes lebensmitteltrag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