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87B1 -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87B1
KR101802187B1 KR1020150076494A KR20150076494A KR101802187B1 KR 101802187 B1 KR101802187 B1 KR 101802187B1 KR 1020150076494 A KR1020150076494 A KR 1020150076494A KR 20150076494 A KR20150076494 A KR 20150076494A KR 101802187 B1 KR101802187 B1 KR 10180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ondola
building
strut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92A (ko
Inventor
함영복
김홍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1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돌라의 승강, 하강 및 수평방향 움직임을 위한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유연성 지주를 이용한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로서,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주와 접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Flexible Support Type Gondola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돌라의 승강, 하강 및 수평방향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유연성 지주를 이용한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고층건물 또는 고층구조물 외벽의 도장(塗裝), 청소, 미장, 견출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람이나 화물을 건물의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곤돌라(Gondola)가 이용된다.
곤돌라(Gondola)는 운반구, 승강장치, 기타 장치 및 이들에 부속된 기계부품에 의하여 구성되고 와이어로프 또는 기타 강선에 의하여 운반구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설비를 말한다.
곤돌라는 고층건물의 외벽작업에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점 때문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와 활용 또한 다양하다.
곤돌라의 종류로서 크게 구동방식에 따라 전동식과 수동식, 그리고 특수형 곤돌라로 분류되고, 세부적으로는 작동방식에 따라, 윈치형(Winch type), 엔드리스 와인더형(Endless winder type), 레일형(rail type)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산업발전에 따라 곤돌라의 구동방식도 진화하고 있으며 작업효율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안전성이 더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곤돌라가 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봇 탑재형 곤돌라가 개발되는 추세로서 건물외벽 작업의 자동화가 화두에 오르고 있다.
그러나, 곤돌라가 주로 사용되는 고소환경에서는 풍(風) 하중을 비롯한 각종 외란이 곤돌라 사용에 있어서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되며, 지속적인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곤돌라 운용에 있어서 여전히 큰 제약으로 작용되고 있다. 안전장치로서 곤돌라가 로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비상정지장치, 자동 수평 조절장치(Auto leveling system), 블록스탑(Block stop)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돌풍 등의 외란의 위험에 자유롭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다수의 곤돌라는 주로 와인더에 의해 작동되는 승, 하강장치로서 이에 의하면 비록 동일한 고도일지라도 수평방향 이동이 불가능하여 곤돌라의 작업범위를 벗어나는 건물외벽을 청소할 수 없다. 따라서 곤돌라의 작업범위를 벗어나는 건물외벽을 청소하려면, 건물의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1차 승강을 통한 작업을 한 후에 건물 상단이나 하단에서 곤돌라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2차 승강을 통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전혀 상이한 구조의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유연성 지주 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하여 강풍 및 돌풍이 부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표면에 수직인 방향(중력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의 구동이 자유로운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로서,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트러스(truss)구조이거나 비계(scaffold) 또는 동바리(floor post)가 결속된 구조로서,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어 건물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지지구조체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주와 접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건물외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유연성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로서, 건물 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행거부의 단부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주와 접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고, 건물외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유연성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주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래크기어파이프-와이어(Rack Gear Pipe-Wire)이고, 상기 파이프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하여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양단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곤돌라 승강장치와 전혀 상이한 방식에 따른 곤돌라 이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강풍 및 돌풍이 부는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곤돌라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장소 및 시간 등의 제약에서 자유롭게 된다.
아울러, 수직이동 및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한 곤돌라를 제공함으로써, 곤돌라의 작업범위의 자유도를 높이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브레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죠(Jaw)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하는 승강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1)는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지지구조체(5); 지지구조체(5)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6); 돌출부(6)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10); 수평을 유지하면서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3); 및 가이드프레임(3)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지주(10)와 접하여 가이드프레임(3)을 지주(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곤돌라 이동장치(1)는 곤돌라(2)의 승강, 하강 및 수평방향 움직임을 위한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구조체(5)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5)는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는 한 쌍의 지지구조체(5)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지지구조체(5)가 마련되어 곤돌라(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 쌍의 지지구조체(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지지구조체(5)의 건물외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는 곤돌라가 건물외벽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당한 소정의 거리이면 족하다.
지지구조체(5)는 통상의 트러스(truss)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비계(scaffold) 또는 동바리(floor post) 등이 결속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풍 하중을 비롯한 각종 외란에 쓰러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돌출부(6)는 지지구조체(5)의 외측으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된 것처럼 지지구조체(5)의 상, 하부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도면과 달리 어느 일부에서만 돌출될 수도 있고, 3개 이상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구조체(5)와 구분되는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고, 지지구조체(5)와 일체를 이루면서 지지구조체(5)의 일부가 연장되어 돌출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주(10)가 설치되고, 지주(10)에 걸리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돌출부(6)는 캔틸레버(외팔보)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연성 지주(10)는 돌출부(6)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곤돌라(2)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버팀대를 말한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건물의 높이방향, 지표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중력방향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연성 지주(10)는 지지구조체(5) 전체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참고로, 여기서의 '설치'는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연결하거나, 일 부재를 타부재에 장치, 장착, 부착, 결합, 탑재하는 것 등의 의미와 동일하게 해석되고 실시 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6)에 고정 풀리(pulley)가 형성되고 지주(10)가 매달려 늘어뜨린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유연성 지주(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프레임(3)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재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가이드프레임(3)은 한 쌍의 지지구조체(5) 사이에 게재되고 중앙측에 곤돌라(2)를 탑재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는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3)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가이드프레임(3)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가이드프레임(3) 자체의 자중과 곤돌라(2)의 하중에 의한 굽힘모멘트 등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견고한 부재로 제작된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곤돌라 이동장치(1)는 가이드프레임(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곤돌라(2)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프레임(3)은 수평이동 가능한 곤돌라(2)가 탑재될 때 수평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 또는 레일구조 등이 형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곤돌라(2)에는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바퀴등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와인더(winder) 방식의 곤돌라는 건물이 높을수록 와이어가 많이 수용되어야 하므로 와이어를 감는 와인더(winder)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곤돌라 플랫폼 자체의 하중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곤돌라(2) 플랫폼에는 와인더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플랫폼이 간단해 지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다시 참조하면, 승강부(100)는 가이드프레임(3)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주(5)와 접하며, 승강부(10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이 지주(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100)는 지주(1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의 스프로켓(sprocket, 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스프로켓(110)은 피니언(pinion)과 같은 통상의 기어구조를 포함하여 지주(10)와 치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해당할 수 있다.
승강부(100)에는 스프로켓(110)을 구동하는 있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프로켓(110)의 상,하 방향설정 및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강부(100)는 지주(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1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주(10)와의 슬립을 방지하는 죠(Jaw)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설명은 이하 제4실시예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차이는 주로 지주(10)와 스프로켓(110)의 형상적 차이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각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주(10)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RackGear, 11)가 형성된 파이프(10a)와, 상기 파이프(10a)에 삽입되는 와이어(200)로 이루어진 래크기어파이프-와이어(Rack Gear Pipe-Wir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래크기어(RackGear, 11)는 긴 막대형상에 직선(막대의 길이방향)상으로 기어이가 형성된 것으로,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꾼다. 여기서의 피니언은 본 발명의 스프로켓(110)가 해당될 수 있다. 도1에서 래크기어(11)는 잇줄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지만, 경우에 따라 잇줄이 나선형인 헬리컬(helical), 이중헬리컬(double-helical)형상 등 중력방향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기어구조라도 해당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1과 함께 도5를 미리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파이프(10a)는 축방향으로 중공부(12)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11)가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10a')이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외주의 전체에 래크(1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도5는 외주의 일측에 래크(1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 파이프(10a)의 형상은 래크(11)가 형성되고, 래크(11)에 스프로켓(110)이 접하여 구동될 수 있는 형상이면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중공부(12)에는 와이어(200)가 내삽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10a')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구조인 중공부(12)가 형성되는데, 여기의 중공부(12)에는 와이어(200)가 내삽되어 지주(10) 전체의 안정성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어(200)에 강한 인장력을 주어 지주(10)를 상하방향에서 지탱할 때 지주(10)의 수평방향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지주(10)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의 와이어(200)는 여러가닥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강철 케이블(cable)일 수 있다.
그리고, 블록(10a')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블록의 일단과 타단에 체결구조(13, 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실시예에 따른 곤돌라 이동장치(1)는 블록(10a')의 양단에 블록(10a') 적층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패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10a')의 적층방법은 지지구조체(5)가 마련되고, 지주(10)를 돌출부(6)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200)의 일 측 방향에서 블록(10a')을 끼워넣는 방식이 해당될 수 있는데, 블록(10a')의 적층 시 충격완화패드(14)가 접촉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주(10)는 체인(chain, 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로켓(110)의 톱니가 체인의 사슬(또는 궤도)과 맞물리면서 상,하 방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지주(10)는 다수의 롤러 링크와 핀 링크를 연결하여 마찰을 최소화한 롤러-체인(Roller-chain)이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체인의 형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스프로켓(110)과 맞물려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주(10)는 와이어(200)와, 와이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형상의 볼(Ball, 16)로 이루어진 볼-와이어(Ball-Wire)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로켓(110)은 스프로켓(110)에 형성된 톱니의 피치사이에 지주(10)의 래크(11) 또는 체인(15) 또는 볼(16)이 긴밀하게 수용되면서 곤돌라(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기재된 래크기어파이프, 체인(15) 및 볼(16)은 고강도의 강재로 이루어져야 하며, 풍하중 및 지표면진동 등 각종 외란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른 적정한 치수의 길이와 두께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는 지주(10)의 텐션을 조절하는 인장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장기는 지지구조체(5)의 상단 또는 하단이나 건물의 옥상 등에 구비하고, 사용환경에 따라 지주(10)의 텐션을 적절히 조절하여 곤돌라(2)에 작용하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지지구조체(5)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개시되는 유연성 지주(10) 등을 이용하여 풍 하중 등 각종 외란에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곤돌라 이동장치(1)를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 이동장치(1)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곤돌라에 사용되는 행거시스템, 와인더 및 석션팬과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여 곤돌라 플랫폼에 관한 구조가 심플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외벽에서 곤돌라(2)의 위치를 종래의 기술보다 더욱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는 건물 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부(7); 행거부(7)에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100; 수평을 유지하면서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3); 및 가이드프레임(3)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지주(10)와 접하여 가이드프레임(3)을 지주(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달리 지지구조체(5)를 구비하지 않으며, 건물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부(7)를 통해 직접 지주(10)를 설치하는 방식을 취한다.
여기서의 행거부(7)는 통상의 행거, 크레인 또는 건물 옥상의 파라펫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조물일 수 있다. 도4에서는 일례로 한 쌍의 행거부(7)를 도시한다. 행거부(7)는 행거부(7)로부터 건물 외측으로 연장되는 긴 아암(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암(8)의 단부에 지주(1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지주(10)는 축방향으로 중공부(12)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11)가 형성된 파이프(10a)와, 파이프(10a)에 삽입되는 와이어(200)로 이루어진 래크기어파이프-와이어(Rack Gear Pipe-Wire)일 수 있다. 아울러, 파이프(10a)는 축방향으로 중공부(12)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11)가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연성 지주(10)는 건물외벽과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지표면과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대략 폴(pole)형상의 직립(直立) 구조물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승강부(100)는 지주(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스프로켓(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의 형상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와, 곤돌라 이동장치(1)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내용은 어떤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6은 제4실시예를 바탕으로 한 도면이지만 반드시 제4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브레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죠(Jaw)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하는 승강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지주(10)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지주(10)의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도5를 참조하면, 블록(10a')은 내부에 중공부(12)가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 체결구조(13,13')가 형성되며, 일측에 래크(11)가 형성된 것이면 원통형(도 4(a)), 사각기둥형(도 4(b)), 단면이 반원형(도 4(c))을 비롯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체결구조(13,13')는 블록(10a')의 일단에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른 블록(10a')의 결합돌출부와 정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유연성 지주(10)는 외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안정하게 고정되는데, 지주(10) 자체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것일 수 있고, 도6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고정부재(20)가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더 안정적인 직립을 위해 임의의 높이에서 지주(10)의 측면으로 브레이스(brace, 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20)는 플레이트, 철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주(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지표면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브레이스(30) 또한 철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주(10)의 측면과 건물외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여기서의 "연결"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부착, 장착, 접촉, 인접, 접합, 결합 등의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부(100)는 지주(10)와의 슬립(Slip)을 방지하는 죠(Jaw)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지주(10)의 레크(11)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죠부재(120)가 스프로켓(110)과는 별개로 맞물려 승강부(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죠부재(120)는 지주(1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함으로써 지주(10)의 레크(11)와의 맞물림을 On/Off 하게된다.
본 발명의 승강부(100)는 지주(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40)이 지주(10)를 둘러싸면서 승강되므로 승강부(100)와 지주(10) 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하우징(140)에는 승강부(100)와 지주(10)가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안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8을 참조하면 지주(10)와 스프로켓(110)이 접하는 측과 다른 측에 수직이동롤러(150) 및 탄성스프링(160)이 구비되어 승강 작동 시 구름운동을 함과 동시에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항력을 제공하여 승강부(100)와 지주(10)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곤돌라 이동장치(1)에는 지주(10)의 텐션을 조절하는 인장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텐션을 가한 상태에서 곤돌라 이동장치(1)를 사용하면 고소환경에서 각종 외란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곤돌라 이동장치(1)에는 가이드프레임(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곤돌라(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곤돌라(2)의 플랫폼에는 엑츄에이터가 장착되어 건물외벽과의 벽면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물외벽을 따라 상, 하, 좌, 우 방향 능동적인 구동을 하면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1)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 이동장치의 설치방법은 지지구조체(5) 또는 행거부(7)를 마련하는 단계; 지지구조체(5) 또는 행거부(7)에 지주(1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하는 단계에서 와이어(200)의 일 측 방향에 블록(10a')을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1실시예 또는 제4실시예가 해당될 수 있다.
이와 다른 곤돌라 이동장치의 설치방법은 준비된 지관에 구성요소가 미리 결합된 지주(10)를 권취하는 준비단계; 현장으로 권취된 지주(10)를 이송하는 단계; 지지구조체(5) 또는 행거부(7)를 마련하는 단계; 지지구조체(5) 또는 행거부(7)에 지주(1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지주(10)는 상당한 길이와 무게를 가지므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직접 끌어올리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모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타워크레인의 설치방법처럼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이용하여 지지구조체(5) 또는 지주(10)를 세울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곤돌라 승강장치 20: 고정부재
2: 곤돌라 30: 브레이스
3: 가이드프레임 100: 승강부
10: 유연성 지주 110: 스프로켓
10a: 파이프 120: 죠부재
10a': 블록 140: 하우징
11: 래크 150: 수직이동롤러
12: 중공부 160: 탄성스프링
13, 13': 체결구조 200: 와이어
14: 충격완화패드
15: 체인
16: 볼

Claims (17)

  1.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로서,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트러스(truss)구조이거나 비계(scaffold) 또는 동바리(floor post)가 결속된 구조로서,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어 건물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지지구조체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주와 접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고, 건물외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유연성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래크기어파이프-와이어(Rack Gear Pipe-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체인(ch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진 볼-와이어(Ball-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곤돌라를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텐션을 조절하는 인장기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양단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양단에 상기 블록 적층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와의 슬립을 방지하는 죠(Jaw)부재를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3. 건물외벽 작업을 위한 곤돌라 이동장치로서,
    건물 상부에 위치하는 행거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행거부의 단부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연성 지주;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주와 접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고, 건물외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유연성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주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래크기어파이프-와이어(Rack Gear Pipe-Wire)이고,
    상기 파이프는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이 적층하여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양단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임의의 높이에서 상기 지주의 측면을 고정하는 브레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KR1020150076494A 2015-05-29 2015-05-29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KR10180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94A KR101802187B1 (ko) 2015-05-29 2015-05-29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94A KR101802187B1 (ko) 2015-05-29 2015-05-29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92A KR20160140192A (ko) 2016-12-07
KR101802187B1 true KR101802187B1 (ko) 2017-11-30

Family

ID=5757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94A KR101802187B1 (ko) 2015-05-29 2015-05-29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869B1 (ko) * 2010-10-28 2011-11-23 (주) 한국 레드벤쳐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869B1 (ko) * 2010-10-28 2011-11-23 (주) 한국 레드벤쳐 케이블카용 이송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92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3391B1 (en) Lift unit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scaffold
ES2369925T3 (es) Dispositivo para erigir una torre de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ompuesta de segmentos de torre individuales.
ES2796333T3 (es) Sistema que comprende una plataforma de trabajo giratoria
CN105384035A (zh)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CN103303771A (zh) 建造电梯的方法和电梯配置
CN206606977U (zh) 一种液压升降机
KR20190028510A (ko) 타워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공급 비계, 비계 모듈, 타워, 풍력 발전 설비 및 공급 비계를 건설 및/또는 작동하기 위한 및 타워를 건설하기 위한 방법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CN113006500A (zh) 全装配式混凝土节点减隔震装置的安全施工安装装置
JP5584674B2 (ja) 鉄塔補修システム
KR101802187B1 (ko) 유연성 지주방식의 곤돌라 이동장치
WO2012006694A1 (en) Lift system for use in a scaffold
CN115749237B (zh) 一种高层装配式建筑整体作业平台
EP3326959B1 (en) Lifting arrangement for a mast, a mast divided into elements, and methods for assembling, dismantling and servicing of a mast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CN213927385U (zh) 一种便于上料的脚手架
CN212742234U (zh) 铝合金移动跨桥式吊篮架系统
KR200416865Y1 (ko)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CN217478823U (zh) 一种加装电梯用支撑架
CN215710942U (zh) 一种电力电网输电设施钢结构塔架
CN218758646U (zh) 一种建筑施工用吊篮
KR102294360B1 (ko) 일정한 높낮이 조절 반발력을 갖는 중량물 지지용 핀지그
CN103711299A (zh) 建筑外墙可升降脚手架
KR102457959B1 (ko)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