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14B1 - 생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14B1
KR101084714B1 KR1020097025840A KR20097025840A KR101084714B1 KR 101084714 B1 KR101084714 B1 KR 101084714B1 KR 1020097025840 A KR1020097025840 A KR 1020097025840A KR 20097025840 A KR20097025840 A KR 20097025840A KR 101084714 B1 KR101084714 B1 KR 10108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living body
tip
contac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765A (ko
Inventor
토시마사 사카가미
히로시 카라수노
히사시 쿠로다
마코토 사사키
와타루 오리토
Original Assignee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생체측정장치는, 생체의 근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조직 경도계와,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압통계가 겸용된 것으로서 생체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면(40a)을 가지며 생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접촉부(40)와, 생체에 접촉된 제 2 접촉면(26a)를 가지며 제 2 접촉면(26a)이 제 1 접촉면(40a)에 대하여 거의 동일평면에 배치된 동일평면위치와 제 1 접촉면(40a)에 대하여 후퇴한 후퇴위치와의 사이에 왕복운동을 실시하도록 지지를 받는 보조부(26)와 제 2 접촉면(26a)이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부(26)를 록킹하는 록킹기구(32,33)를 포함한다.
생체측정장치, 접촉부, 보조부, 록킹기구

Description

생체 측정장치{LIVING BODY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생체의 근조직의 경도 및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6월 13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07-15638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생체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근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육조직 경도계(硬度計)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근조직 경도계는 생체에 접촉시키는 주 바늘과, 그 주 바늘을 덮는 보조통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보조통은 주 바늘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탄성부재에 의해 선단 측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피 측정부위의 주변을 보조통의 선단면으로 누르게 되면 피부에 텐션이 걸린 상태에서 피부에 대하여 주 바늘을 밀어 넣는다.
이때, 주 바늘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생체의 근조직 경도가 측정된다.
생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압통계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통계는 피 측정자의 피부에 주 바늘을 접촉시킨 후 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주 바늘을 밀어 넣어 간다.
피 측정자가 통증을 느낄 때에 피 측정자에게 의사 표시를 받는다. 이때 주 바늘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생체의 통각의 정도가 측정된다.
특허문헌 1: 특개평 10-17952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근조직 경도계 및 압통계는 각각 독립되어 있다. 그 때문에 두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의 관리 부담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근조직 경도계를 압통계로서 이용하려고 하여도 통각의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근조직의 경도를 측정할 때에는 보조통에 의해 피 측정부위 주변에 텐션을 걸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할 때에는 주 바늘의 선단면만의 작은 영역으로 압력을 가하지 못하면 피 측정자가 어디에서 통증을 느끼는지를 알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되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서 근조직의 경도나 통각의 정도를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생체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체측정장치는, 생체의 근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조직 경도계와, 상기한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압통계가 겸용되어 있고, 상기 생체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생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생체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접촉면이 상기 제 1 접촉면에 대하여 거의 동일평면으로 배치된 동일 평면위치와 상기 제 1 접촉면에 대하여 후퇴한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지지되는 보조부와, 상기 제 2 접촉면이 상기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부를 록킹시키는 록킹기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록킹기구에 의해 보조부를 록킹시킴으로써 제 2 접촉면을 후퇴위치에 두어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측정장치는, 상기 제 2 접촉면이 왕복운동을 실시하도록 상기 보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특히 제 2 접촉면의 왕복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장홈과,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특히 상기 제 1 장홈에서 상기 왕복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장홈과,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방향에 형성되고, 특히 상기 제 1 장홈 및 상기 제 2 장홈의 어느 한쪽으로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조부를 확실하게 록킹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생체 측정장치는,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응답조작부와, 상기 응답신호의 출력을 알려주는 알림부와, 상기 응답조작부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알림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 측정자의 통각의 정도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교환 가능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 측정부위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접촉부를 장착함으로써 더욱 고정밀도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록킹기구에 의해서 보조부를 록킹시킴으로써 제 2 접촉면을 후퇴위치에 두어 유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근조직의 경도나 통각의 정도를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체측정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프로브의 일부를 측면에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보조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보조통부가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프로브 일부를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를 기능마다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보조통부가 동일 평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근조직 경도계로 사용할 때의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보조통부가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압통계로서 사용할 때의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선단 팁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생체측정장치의 선단 팁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체측정장치 6 : 표시부(알림부)
10 : 응답스위치(응답 조작부) 16 : 지지통부(지지부)
26 : 보조통부(보조부) 26a : 선단 면(제 2 접촉면)
22 : 돌기부(돌부, 록킹기구) 32 : 제 1 장홈(록킹기구)
33 : 제 2 장홈(록킹기구) 40 : 선단 팁(접촉부)
40a : 선단 면(제 1 접촉면) 57 : 제어부
P1 : 동일평면위치 P2 : 후퇴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생체측정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의 생체측정장치를 나타낸다.
생체측정장치(1)는 직방체 형상의 장치본체부(2)와, 이 장치본체부(2)에 케이블(8)로 접속된 프로브(3)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본체부(2)의 천면(天面)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사각 형상의 표시부(알림부)(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6)는 예를 들어, 액정이다.
장치본체부(2)의 천면(天面)에는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본체조작부(7)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본체부(2)에는 온,오프의 절환이 가능한 응답스위치(응답조작부)(10)가 케이블(1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응답스위치(10)는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프가 되어 응답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응답스위치(10)는 눌려지면 온이 되어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프로브(3)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부(把持部)(14)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부(14)는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손잡이부(14)의 선단부에는 밑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프로브 본체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브 본체부(15)는 손잡이부(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로브 본체부(15)의 축선 방향은 손잡이부(1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프로브 본체부(15)의 개방단에는 원통형의 지지통부(지지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통부(16)의 후단부(基端部)에는 프로브 본체부(15)의 개방단과 동일한 지름의 후단 플랜지(21)가 설치되어 있다. 후단 플랜지(21)는 지지통부(16)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통부(16)의 후단 플랜지(21)가 프로브 본체부(15)의 개방단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지지통부(16)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지름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부(돌부, 록킹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2)는 지지통부(16)의 중심부(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부(16)의 선단부에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선단 플랜지(2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통부(16)의 통공(25)내에는 원통형의 보조통부(보조부)(26)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보조통부(26)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통부(2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장홈(록킹기구)(3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장홈(32)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보조통부(26)의 중심부 사이에 끼워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보조통부(26)의 외주면에는 제 1 장홈(32)의 길이방향의 중간위치(L1)로부터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장홈(록킹기구)(3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장홈(33)은 보조통부(26)의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홈(33)의 원주방향 중간위치(L2)에 있고, 한 쌍의 제 1 장홈(32) 끼리의 중간위치에는 보조통부(26)의 후단측에 오목하게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요홈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요홈부(36)는 보조통부(26)의 중심부 사이에 끼워져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장홈(32)내에는 돌기부(22)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 부(22)가 제 1 장홈(32)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보조통부(26)는 지지통부(16)의 축선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게 된다.
이 보조통부(26)의 왕복운동의 왕복방향은 제 1 장홈(32)의 길이방향이다.
보조통부(26)의 후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플랜지(30)의 외경은 선단 플랜지(27)의 내경 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후단 플랜지(30)가 선단 플랜지(27)에 접촉하게 되므로, 보조통부(26)가 지지통부(16)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보조통부(26)의 선단부에는 선단 플랜지(31)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통부(16) 및 보조통부(26)의 내측에는, 이러한 지지통부(16) 및 보조통부(26)와 동일한 축상으로 주 바늘부(37)이 설치되어 있다. 주 바늘부(37)의 길이방향 치수는 지지통부(16) 및 보조통부(26)의 각각의 길이방향 치수 보다도 길다.
따라서, 주 바늘부(37)의 선단부는 지지통부(16)의 선단 플랜지(2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주 바늘부(37)는 지지통부(16)의 내측에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 바늘부(37)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의 외곽부(45)와 원주형의 심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외곽부(45)의 내측을 심부(46)가 삽입 관통하고 있다. 심부(46)는 축선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곽부(45)는 소경부(45a)와 그 소경부(45a)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대경부(45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경부(45a)와 대경부(45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45a)의 내주면에는 단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심부(46)의 외주면에는 단차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50,51) 끼리 접촉함으로써 심부(46)가 외곽부(45)의 선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심부(46)의 선단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그 후단측을 향해 형성된 미도시된 암나사부가 있다. 주 바늘부(37)의 선단에는 원주형태의 선단 팁(접촉부)(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 팁(40)의 후단면에는 미도시된 숫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숫나사부가 심부(46)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 되어있다.
이에 따라, 선단 팁(40)은 주 바늘부(37)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진다. 선단 팁(40)은 사이즈가 같은 다른 선단 팁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선단 팁과의 교환을 통해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경부(45b)의 내측에는 예를 들어, 반도체로 된 제 2 압력센서(53)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 팁(40)이 눌려지면 외곽부(45)에 대하여 심부(46)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심부(46)의 압력을 제 2 압력센서(53)가 측정한다. 제 2 압력센서(53)의 후방에 있는 대경부(45b)의 외부 저면에는 제 1 압력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통부(26)와 선단 팁(40)이 눌려지면 주 바늘부(37)가 지지통부(16)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의 주 바늘부(37)의 압력을 제 1 압력센서(54)가 측정한다.
주 바늘부(37)의 외주에는 코일스프링(43)이 설치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43)의 내측을 주 바늘부(37)가 삽입되어 관통하고 있다. 코일스프링(43)의 길이방향 치수(탄성이 변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치수)는 소경부(45a)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길다.
코일스프링(43)의 내경은 대경부(45b)의 외경 및 선단 플랜지(31)의 내경보다도 크다. 즉, 코일스프링(43)은 대경부(45b)의 선단면과 선단 플랜지(31)의 내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조통부(26)는 선단측을 향해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후단 플랜지(30)가 선단 플랜지(27)에 접촉함으로써 보조통부(26)가 지지 통부(16)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외력을 가하지 않은 자연상태에 있어서는 보조통부(26)의 선단면(제 2 접촉면)(26a)은 선단 팁(40)의 선단면(제 1 접촉면)(40a)과 동일 평면에 있다. 이때의 보조통부(26)의 배치된 위치를 동일평면위치(P1) 이라고 한다.
보조통부(26)를 후단측을 향해 누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통부(26)가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지지통부(16)내에서 밀어 넣어질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돌기부(22)가 제 1 장홈(32)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돌기부(22)가 중간위치(L1)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통부(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보조통부(26)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부(22)가 제 2 장홈(33)내에 배치되고 제 2 장홈(33)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돌기부(22)가 중간위치(L2)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통부(26)를 해제한다.(손을 뗀다)
그러면,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통부(26)가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통부(26)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돌기부(22)가 요홈부(36)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보조통부(26)가 지지통부(16)내에 밀려 들어 간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때, 보조통부(26)의 선단면(26a)은 선단 팁(40)의 선단면(40a)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의 보조통부(26)의 배치된 위치를 후퇴위치(P2) 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체측정장치(1)를 기능마다 설명한다.
도 6은 생체측정장치(1)를 기능마다 나타낸 블럭도 이다.
장치본체부(2)는 장치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7)에는 표시부(6) 및 본체 조작부(7)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7)에는 프로브(3)내의 제 2 압력센서(53) 및 제 1 압력센서(5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7)에는 응답스위치(10)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7)에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8)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58)에는 제 1 압력센서(54)의 누름압력에 대한 임계치가 미리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2 압력센서(53) 및 제 1 압력센서(54)로부터 측정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7)는 그 측정신호를 읽어낸다. 이 측정신호로부터 소정의 연산에 의해 측정값 정보를 표시부(6)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게다가, 제어부(57)는 소정의 측정값 정보를 메모리(58)에 저장한다.
응답스위치(10)로부터 응답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7)는 그 응답신호를 읽어내어 표시부(6)를 구동한다. 즉, 제어부(57)는 표시부(6)에 응답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체측정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58)에는 사용자가 본체조작부(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 1 압력센서(54)의 임계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생체측정장치(1)를 근조직 경도계로서 사용하는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통부(26)를 동일평면위치(P1)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선단 팁(40)의 선단면(40a)과 보조통부(26)의 선단면(26a)을 피 측정부위에 접촉시키고, 생체측정장치(1)를 밀어 넣는다. 그러면, 보조통부(26)의 선단면(26a)이 피부에 텐션을 준다. 그 상태에서 선단 팁(40)이 피부에 밀어 넣어진다. 이때, 반작용에 의해서 선단 팁(40) 및 보조통부(26)에 대해서 후방측으로 압압력이 가해진다.
선단 팁(40)에 대한 압압력은 주 바늘부(37)에 직접적으로 가해진다. 즉, 선단 팁(40)에 대한 압압력은 심부(46)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심부(46)는 외곽부(45)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 2 압력센서(53)에 선단 팁(40)에 대한 압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제 2 압력센서(53)는 상기 압압력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압력센서(53)에 대한 압압력은 외곽부(45)에 가해진다. 그것과 동시에, 보조통부(26)에 대한 압압력은 코일스프링(43)을 통해 주 바늘부(37)에 간접적으로 가해진다.
그 때문에, 주 바늘부(37)가 지지통부(16)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1 압력센서(54)에 압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제 1 압력센서(54)는 상기 압압력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7)는 제 2 압력센서(53) 및 제 1 압력센서(54)로부터 출력된 측정신호를 수신한 후 각각의 측정값 정보를 표시부(6)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57)는 메모리(58)에 저장된 임계치 정보를 읽어내어 그 임계치 정보와 제 1 압력센서(54)의 측정값 정보를 비교한다.
제어부(57)는 제 1 압력센서(54)의 측정값 정보가 임계치 정보를 초과된 것으로 판정하면, 그때의 제 2 압력센서(53)의 측정값 정보를 메모리(58)에 저장한다. 이에따라 근조직의 경도가 측정되어 저장된다.
한편, 생체측정장치(1)를 압통계로 사용할 때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통부(26)를 후퇴위치(P2)에 배치하여 록킹한다.
이에따라, 선단 칩(40)이 보조통부(26)의 선단면(26a)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응답스위치(10)를 피 측정자가 잡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선단 팁(40)을 피 측정부위에 접촉시키고, 생체 측정장치(1)를 밀어 넣어 간다. 그러면, 반작용에 의해 선단 팁(40)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압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선단 팁(40)에 대한 압압력은 심부(46)에 직접적으로 가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심부(46)는 외곽부(45)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2 압력센서(53)에 압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제 2 압력센서(53)는 상기 압압력에 대응하여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57)는 상기 측정신호를 수신한 후 그 측정값 정보를 표시부(6)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피 측정자는 통증을 느끼는 시점에 응답스위치(10)를 누른다. 그러면, 응답스위치(10)로부터 응답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57)는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응답정보를 표시부(6)에 표시한다. 상기 응답정보의 표시는 문자나 도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와 동시에, 제어부(57)는 응답신호를 수신할 때의 측정값 정보를 메모리(58)에 저장한다. 이에따라 통각의 정도가 측정되어 저장된다.
보조통부(26)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것은, 우선 보조통부(26)를 후방측으로 밀어 넣어 돌기부(22)를 중간위치(L2)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보조통부(26)를 보조통부(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부(22)가 제 2 장홈(33)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돌기부(22)가 중간위치(L1)에 위치된 때에, 상기 보조통부(26)를 해제시킨다. 그러면,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통부(26)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상기 돌기부(22)가 제 1 장홈(32)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보조통부(26)는 동일평면위치(P1)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측정장치(1)에 의하면, 보조통부(26)를 후퇴위치(P2)에서 록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장치로써 근조 직의 경도나 통각의 정도를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근조직 경도계와 압통계가 겸용 되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장홈(32), 제 2 장홈(33) 및 돌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조통부(26)를 확실하게 록킹시킬 수 있다.
요홈부(3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응답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험자가 통증을 느끼는 순간을 측정자에게 직접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피 측정자의 통각의 정도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답스위치(10)의 응답신호에 따라 측정값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므로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피 측험자가 통증을 느낀 때에 구두로 전달받은 경우, 통증을 느낀 순간과 구도로 말하는 순간과의 갭이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동작에 의해 전달받는 경우 측정자가 그 동작을 보고 나서 표시부(6)의 표시를 볼 때까지의 사이에 갭이 생긴다. 그러므로, 고정밀도의 측정이 곤란한 것은 변함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측정장치(1)에 의하면, 응답스위치(10)의 압압이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피 측정자에게 타이밍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 팁(40)이 한 종류로 되어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즈가 다른 여러 종류의 선단 팁을 미리 준비해 두고, 그러한 사이즈가 다른 선단 팁을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사이즈란 치수만이 아니라 형상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형의 대경부(60) 선단에 소경부(61)가 설치된 선단 팁(40b)을 장착할 수가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형의 소경부(63) 선단에 대경부(원판부)(64)가 설치된 선단 팁(40c)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피 측정부위의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선단 팁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더욱 고정밀도로 측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통부(26)에 제 1 장홈(32) 및 제 2 장홈(33)을 형성하고, 지지통부(16)에 돌기부(22)를 형성했다.
이에 대신하여, 상기 보조통부(26)에 돌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통부(16)에 제 1 장홈(32) 및 제 2 장홈(33)을 형성하여도 좋다. 요홈부(36)를 형성한다고 하였지만 이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즉, 상기 돌기부(22)를 제 2 장홈(33)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보조통부(26)를 록킹할 수 있다. 다만, 요홈부(36)를 형성하는 것이 록킹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응답스위치(10)을 설치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응답스위치(10)를 설치하는 것이 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응답스위치(10)의 응답을 표시부(6)에 표시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성이나 진동 등에 의해 알려도 좋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생체의 근조직의 경도 및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생체측정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서 근조직의 경도나 통각의 정도를 고 정밀도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Claims (4)

  1. 생체의 근조직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조직 경도계와, 상기 생체의 통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압통계가 겸용된 생체측정장치이고,
    상기 생체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생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생체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접촉면이 상기 제 1 접촉면에 대하여 동일평면으로 설치된 동일평면위치와 상기 제 1 접촉면에 대하여 후퇴한 후퇴위치와의 사이에 왕복운동을 실시하도록 지지되는 보조부와,
    상기 근조직 경도계로 사용되는 생체측정장치를 압통계로 전환시켜 생체의 통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접촉면이 상기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부를 록킹시키는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생체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면이 상기 왕복운동을 실시하도록 상기 보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어느 한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면의 상기 왕복운동의 왕복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장홈과,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어느 한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홈으로부터 상기 왕복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장홈과,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홈 및 상기 제 2 장홈의 어느 한쪽으로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생체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응답조작부와,
    상기 응답신호의 출력을 알려주는 알림부와,
    상기 응답조작부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알림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교환이 가능한 생체측정장치.
KR1020097025840A 2007-06-13 2007-10-15 생체 측정장치 KR101084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6380A JP4922075B2 (ja) 2007-06-13 2007-06-13 生体測定装置
JPJP-P-2007-156380 2007-06-13
PCT/JP2007/070100 WO2008152751A1 (ja) 2007-06-13 2007-10-15 生体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765A KR20100017765A (ko) 2010-02-16
KR101084714B1 true KR101084714B1 (ko) 2011-11-22

Family

ID=4012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840A KR101084714B1 (ko) 2007-06-13 2007-10-15 생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8730B2 (ko)
JP (1) JP4922075B2 (ko)
KR (1) KR101084714B1 (ko)
CN (1) CN101711128B (ko)
WO (1) WO2008152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2075B2 (ja) 2007-06-13 2012-04-25 伊藤超短波株式会社 生体測定装置
JP2011120727A (ja) * 2009-12-10 2011-06-23 Ito Chotanpa Kk 生体データ測定器及び生体データ測定システム、並びに、筋力計及び筋力測定システム
US8712512B2 (en) * 2010-07-27 2014-04-29 Cerebral Diagnostics Canada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ting force on a subject tissue
CN102125436B (zh) * 2011-04-15 2012-07-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皮肤肌张力测量装置
US8876735B2 (en) * 2011-05-26 2014-11-04 Southern Taiwan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tissue inside a living body
CN102217928B (zh) * 2011-06-06 2015-01-21 邹最 电子痛觉测定笔
JP6179763B2 (ja) * 2013-10-17 2017-08-16 株式会社井元製作所 生体組織硬度計
CN103860144A (zh) * 2014-02-23 2014-06-18 高中领 自动体表知觉检测器
US20150272440A1 (en) * 2014-03-25 2015-10-01 Ruth Smith Tissue Tonometer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674917B2 (en) * 2015-04-24 2020-06-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vice for the mechanical detection of underlying tissues
JP6829065B2 (ja) * 2016-12-19 2021-02-10 マクセル株式会社 硬度計および硬度測定方法
DE102017202796A1 (de) 2017-02-21 2018-08-23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r gewebeelastizit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818A (ja) * 1999-05-06 2000-11-21 Shiseido Co Ltd 皮膚の粘弾性特性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9407A (en) * 1981-04-30 1982-11-05 Kawasaki Heavy Ind Ltd Fluid actuator
JPS61205507A (ja) 1985-03-07 1986-09-11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JPH0246321Y2 (ko) * 1985-06-15 1990-12-06
JP2562352B2 (ja) 1988-07-30 1996-12-11 カー・テー・エル・クップルングステヒニー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軸方向運動および角度運動する差込み式噛み合い接手
US5027828A (en) * 1989-11-21 1991-07-02 N. K. Biotechnical Engineering Company Sensory discriminator having body-contacting prongs
JPH0690240A (ja) 1992-09-09 1994-03-29 Yokokawa Denshi Kiki Kk 多重伝送システム
JPH06313752A (ja) * 1993-04-30 1994-11-08 Imada:Kk 軟質材用硬度計
US5579783A (en) * 1993-08-28 1996-12-03 Sony Corporation O-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uscular strength
JPH1085191A (ja) * 1996-09-17 1998-04-07 Imoto Seisakusho:Kk 筋硬度計
JP3951257B2 (ja) * 1996-11-08 2007-08-01 株式会社井元製作所 筋硬度計
US6063044A (en) * 1999-04-20 2000-05-16 Leonard; Charles T. Apparatus for measuring muscle tone
CN2439841Y (zh) * 2000-08-31 2001-07-25 张家良 医用痛、触觉检测器
CN2564111Y (zh) * 2002-09-04 2003-08-06 董福慧 软组织张力仪
CN2688230Y (zh) * 2004-04-07 2005-03-30 步召德 腹肌紧张度测量仪
JP4352022B2 (ja) * 2005-05-30 2009-10-28 樋渡 勝吾 筋硬度計
JP4922056B2 (ja) * 2007-05-01 2012-04-25 伊藤超短波株式会社 筋組織硬度計
JP4922075B2 (ja) * 2007-06-13 2012-04-25 伊藤超短波株式会社 生体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818A (ja) * 1999-05-06 2000-11-21 Shiseido Co Ltd 皮膚の粘弾性特性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2075B2 (ja) 2012-04-25
US8328730B2 (en) 2012-12-11
JP2008307172A (ja) 2008-12-25
CN101711128A (zh) 2010-05-19
CN101711128B (zh) 2011-07-13
KR20100017765A (ko) 2010-02-16
US20100174208A1 (en) 2010-07-08
WO2008152751A1 (ja)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714B1 (ko) 생체 측정장치
JP2011120727A (ja) 生体データ測定器及び生体データ測定システム、並びに、筋力計及び筋力測定システム
KR101048043B1 (ko) 근조직 경도계
EP2243427B1 (en) Puncture tool with mechanism for relieving needle puncture pain and tool for relieving needle puncture pain
US6066145A (en) Multi-ligator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when a ligation ring is released
KR20140001878A (ko) 치과 임플란트용 체결 장치
KR101844736B1 (ko) 압통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10448275B (zh) 痛觉敏感度定量测试设备及方法
CN111766008A (zh) 一种缝合线张力测量装置
KR20150109039A (ko)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JP2009273697A (ja) 生体用硬度計
NO882749L (no) Dental-sonde.
CN110897609A (zh) 联合刺激的痛觉测试装置
CN213606490U (zh) 一种神经内科医生检查用叩诊装置
JP5784386B2 (ja) 湾曲操作装置
CN110353740B (zh) 医用压板装置
JPH10165425A (ja) 歯周ポケット測定装置
CN213724284U (zh) 一种胃肠治疗器材长度提示装置
JP2007202922A (ja) 舌圧測定装置
CN115372478A (zh) 一种超声弹性成像压力校准装置
KR101057154B1 (ko) 두께 측정용 지그
RU178067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педикулярное шило
CN219109568U (zh) 用于手术器械的治具
JP5015699B2 (ja) 穿刺装置
CN117179677B (zh) 一种拨动组件、内窥镜手柄和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