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75B1 -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75B1
KR101083275B1 KR1020057010544A KR20057010544A KR101083275B1 KR 101083275 B1 KR101083275 B1 KR 101083275B1 KR 1020057010544 A KR1020057010544 A KR 1020057010544A KR 20057010544 A KR20057010544 A KR 20057010544A KR 101083275 B1 KR101083275 B1 KR 10108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kin
whitening ag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714A (ko
Inventor
겐이치 나가미네
미키 하야시
가오리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05009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폐기 처리 되던 카무카무 종자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안전성이 우수하고, 화장료 등에 이용 가능한 미백 작용을 갖는 미백제, 이 미백제 등을 배합한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제는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는 상기 미백제 등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57010544
카무카무, 화장료, 미백제, 피부 외용제, 추출물

Description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WHITENING AGENT,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본 발명은,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백제, 이것을 사용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업계나 식료품업계에서는 동물 유래 원료에의 인체에 미치는 불안이나 규제가 강해져, 식물 유래 원료에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또한, 생체외로부터 받아들이거나, 생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 등의 산화 반응의 영향에 의한 노화 촉진이나,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착색이나 발암 작용의 문제도 심각하게 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장료나 식료품의 제조, 가공 또는 저장·보존 중에서, 각종 소재 중에 포함되는 유지류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 및 과산화 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유지 중에 포함되는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용이하게 과산화 되어서 과산화 지질이나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고, 게다가 발암성 물질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산화 및 과산화가 일어나면, 제품이 착색, 변색, 변성, 악취 등의 외적 변화 또는 영양가나 유효성의 저하 등의 질적 변화가 생긴다. 더욱이, 변성이 진행되면 독물의 생성 등 이 일어나 제품 그 자체의 품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그래서, 전술한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및 과산화를 억제하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여러 항산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항산화제는 산화시에 생기는 퍼옥시드 라디칼에 작용하여, 산화의 연쇄 반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자유 라디칼에 작용하여 산화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면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인체에의 영향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소비자의 거부 반응이 강해져 가고 있다. 또한, 이들 합성 항산화제는 유용성 때문에 수용액에의 사용이 곤란하다.
한편, 안정성이 높은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면 천연 비타민 E(α-토코페롤)나 비타민 C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는 극단적인 지용성 또는 수용성이라는 양극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이용에는 자연히 한도가 생긴다. 또한, 그 활성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지속되지 않는 등의 결점도 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강하고, 물에의 용해성이 우수하며, 게다가 항산화 활성이 장시간 안정한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피부의 착색이나 얼룩 등의 색소 침착의 요인으로는 생체내에서의 대사 장해 등의 내인적 요소와, 자외선 등에 의한 외인적 요소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보여지는 것은 후자의 외인적 요소에 의한 것이며, 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가 자극을 받고,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됨으로써 티로시나제 효소가 작용하여 피부 에의 색소 침착이 생긴다. 이 멜라노사이트의 활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효소 및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착색이나 얼룩 등의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화장품업계에서는 미백 작용을 갖는 물질의 개발이 종래부터 중요시 되고 있고, 여러 미백제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오존층의 파괴 등에 의해 자외선의 양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자외선 대책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져서 안전하고 유효한 미백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피부의 수분 유지, 유연성, 탄력성에 작용하는 물질로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에서는 진피의 90%를 차지하고, 진피 전체에 분포되어 있어 피부에 적당한 탄성 및 강도를 보유하게 한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피부, 관절액, 초자체, 인대 등 생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피부에서, 세포의 접착, 세포의 보호, 피부 조직의 형성, 조직의 수분 유지, 유연성의 유지 등을 담당하고 있다. 생체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콜라게나제,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히알루로니다제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에 의해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이 분해되어 그 양이 감소하면, 피부의 촉촉함, 탱탱함이 없어지고, 피부의 노화현상인 주름이나 처짐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래서, 피부 외용제나 각종 화장료에, 피부의 노화 방지나 주름 방지 작용 등을 기대하여 이들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 등을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종래, 여러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나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카무카무 열매는 아세롤라 과실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비타민 C를 함 유하는 식물로서 인식되어 있다. 그리고, 카무카무 과실은 남미에서 화장품이나 식료품으로서 시판되고 있고, 최근에서는 일본에서도 식료품용 소재로서 수입·판매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카무카무의 과실에 많이 포함되는 성분이 비타민 C이기 때문에, 그 추출물에서 항산화제, 보습제, 미백제로서의 용도가 발견되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9-221429호 공보, 일본 특개평11-246336호 공보, 일본 특개 2000-327549호 공보, 일본 특개 2000-327550호 공보, 일본 특개 2001-31558호 공보).
그러나, 카무카무 열매에서 화장품이나 식료품에 이용되고 있는 것은 비타민 C를 많이 포함하는 과육뿐이고, 그 종자는 비타민 C를 극미량밖에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그 유효 이용의 길이 발견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폐기 처리되고 있던 카무카무 종자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 외용제나 화장료 등에 이용 가능한 미백 작용을 갖는 미백제, 이 미백제를 배합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한 항산화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이나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의 노화 방지나 주름 방지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종래에 과즙의 압착후 폐기되던 카무카무 종자의 유용성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카무카무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 화장료 용도 등에 이용 가능한, 강력한 항산화 작용, 미백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 게다가 노화 방지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미백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미백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가 제공된다.
도 1은 참고예 1에서 행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참고예 2∼4에서 행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참고예 5에서 행한 리놀레산 자동 산화 억제능 측정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참고예 5에서 행한 리놀레산 자동 산화 억제능 측정 시험에서의 각 샘플의 7일째의 산화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행한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행한 각 배지에서의 총 단백질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참고예 6에서 행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참고예 7에서 행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백제는,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며, 이 추출물은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도 유효하다. 이 추출물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카무카무 종자는 후토모모과(Myrtaceae) 쟈보티카바속(Myrciaria)의 과수인 카무카무(CAMU CAMU, 학명 Myrciaria dubia)의 종자이다.
상기 카무카무는 중남미 열대 우림지역의 하류 부근의 습지대에 생육하고, 높이 2∼3 m이며, 직경 2∼3 cm인 빨간 열매를 맺는 관목이다. 카무카무 열매는, 풍부한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는데, 카무카무 종자는 비타민 C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그 용도를 찾아낼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 폐기 처리 되어 왔다.
실험 결과, 카무카무 과실의 추출물 중에는, 통상, 비타민 C가 1789 mg/100 g(환원형 비타민 C: 1485 mg/100 g + 산화형 비타민 C: 295 mg/100 g) 함유되는 것에 반하여,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 중에는, 통상, 비타민 C가 1 mg/100 g(환원형 비타민 C: 0 mg/100 g + 산화형 비타민 C: 1 mg/100 g)이 함유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미백제, 게다가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및 노화 방지제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은 카무카무 종자를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추출액이어도 추출액을 농축, 건조 등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 고형물이어도 좋다. 추출은 1회의 추출 조작으로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조작을 복수회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은 갈산 및 그 염을 포함하도록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는, 예를 들면 물, 유기 용매를 들 수 있고, 이 유기 용매는, 친수성 유기 용매, 소수성 유기 용매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친수성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메틸알콜,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알콜;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피리딘,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등의 공지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소수성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디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벤젠, 톨루엔 등의 공지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사용시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 용매, 특히 메탄올, 에탄올, 1,3-부틸렌 글리콜, 물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이나 조합이 바람직하 다.
추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온도는 5∼95℃, 바람직하게는 1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5℃이고, 상온에서도 적합하게 추출할 수 있다. 온도가 높은 쪽이 추출 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추출 시간은 수 시간∼수 일간이고, 또한,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량은 원료에 대해 중량비로 통상 1∼50 배량, 바람직하게는 5∼25 배량이다.
추출 조작도 특별히 한정적은 아니고, 상법에 따라서 행하면 좋다.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탕 추출이나, 교반기 등을 구비한 추출기를 사용해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무카무 종자를 추출 용매에 침지하거나, 또는 침지하지 않고, 추출 용매와 함께 교반, 진탕하는 추출 처리를 행하여 처리액을 여과, 원심분리 또는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추출액과 추출 잔류물로 분리함으로써 추출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추출 잔류물은 동일한 추출 처리를 더 행하여도 좋다. 얻어지는 추출액은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더욱 농축 처리 및/또는 분획·정제 처리 할 수도 있다.
상기 농축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매 제거,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한 가용분 회수 처리, 불용분 회수 처리, 물-소수성 유기 용매에서의 액액 분배 처리, 재결정 처리, 재침전 처리, 냉각에 의해 발생한 석출물을 회수하는 처리 등,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처리를 조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획·정제 처리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순상 및/또는 역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제, 게다가 항산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의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은 갈산 및/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을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 추출물에 갈산 및/또는 그 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미백제, 게다가,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에서, 유효 성분인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상기 본 발명의 미백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노화 방지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도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팩, 세정료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두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또한, 피부 외용제로는 연고, 각종 피부용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백제, 게다가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의 배합 비율은, 그 종류 및 배합되는 다른 성분의 종류나 양,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건조물 환산으로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료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물, 유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알콜류, 수용성 고분자제, 겔화제, 보습제, 완충제, 방부제, 항염증제, 증점제, 향료, 비타민류, 본 발명의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 이외의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사용시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의 종류나 다른 목적, 게다가 그 형태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제를 배합하여 항산화 작용을 갖는 식료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식료품은 상기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식료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엿, 음료, 잼, 추잉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상기 식료품에서, 상기 항산화제의 배합 비율은 식료품의 종류 및 이 식료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의 종류나 양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 식료품 전량에 대해,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건조 고형분으로서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8 중량%이다.
상기 식료품에는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식료품 원료로서 사용되는 여러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콜류, 감미료, 산미료, 착색료, 보존료, 향료, 부형제 등을 들 수 있고, 사용시에는, 식료품의 종류나 다른 목적, 게다가 그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제, 게다가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및 노화 방지제는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므로, 강력한 항산화 활성,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 및 노화 방지 작용을 보이는 동시에 안전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미백 효과나 항노화 작용을 기대하여 피부 외용제나 화장품에, 또한 활성 산소에 기인하는 식료품의 품질 유지나 산화방지 작용을 기대하여 식료품에의 이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종래의 산업 폐기물이었던 카무카무 종자의 유효 이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처방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예 1
분쇄한 카무카무 종자에 메탄올을 넣고, 25℃, 하룻밤 교반 추출을 행하였다. 5℃, 4000 rpm, 45 분간의 원심분리를 행하고, 거친 여과 후, 0.22 ㎛ 필터 여과를 하였다. 얻어진 카무카무 종자 메탄올 추출액을 감압 증류하여 증발 건고시키고, 건고물을 정제수로 용해시켰다. 이것에 n-헥산을 가하여 5 분간 진탕과 정치를 반복하고, n-헥산과 수용성 분획으로 나누고, n-헥산 분획이 착색되지 않게 될 때 까지 행하였다. 얻어진 수용성 분획에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하고, n-헥산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을 행하여 아세트산 에틸 분획과 수용성 분획으로 나누었다. 아세트산 에틸 분획을 감압 증류에 의해 농축하고,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에 의해 분획을 행하였다. 용출은 농도 비율을 11 단계(10:0∼0:10)로 조정한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에 의해 행하였다. 농도 비율이 5:5∼0:10인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으로 용출된 분획을 모으고, 감압 증류에 의해 증발 건고시키고, 건고물을 정제수로 용해시켰다.
다음에 이 수용물을, C18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정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수용물을 C18 컬럼에 첨가하고, 또한 정제수로 컬럼 세정하여 얻은 미흡착의 분획을 증발 건고시키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미흡착의 분획은 처음에 착색한 분획이 얻어지고, 이어서 투명한 분획, 2 타입의 분획이 얻어졌다. 각각 감압 증류에 의해 증발 건고시키고, 물에 이용성인 샘플 (A) 및 물에 난용성인 샘플 (B)를 얻었다.
LCMS 분석은 LCT 질량분석계(micromass사제)를 사용하여 이온화법(ESI)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NMR 분석은, UNITY plus 500형(Varian사제)을 사용하고, 관측 주파수를 1H: 500.2 MHz, 13C: 125.8 MHz로 하고, 용매는 샘플 (A)에서는 D2O를, 샘플 (B)에서는 CD3OD를 사용하였다.
샘플 (A)의 LCMS 분석의 결과, 탈프로톤화 분자((M-H)-)로 생각되는 이온이 m/z 169에 관측되고, 분자량은 170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NMR 분석의 결과, 1H-NMR 스펙트럼에서는 7.062 ppm에 싱글 피크와 3.5∼3.9 ppm에 수 종류의 피크가 관측되고, 13C-NMR 스펙트럼에서는 110∼146 ppm에 4 종류의 이중 결합 탄소, 175.8 ppm에 카르보닐 탄소가 관측되었다. 이것들을 갈산(Gallic Acid) 표품의 스펙트럼과 비교한 결과, 분자량은 일치했지만, COOH와 COOH가 결합하는 탄소의 화학 쉬프트가 상이하므로, 이 물질은 갈산염이라고 동정되었다.
한편, 샘플 (B)의 LCMS 분석의 결과, 탈프로톤화 분자((M-H)-)로 생각되는 이온이 m/z 169에 관측되고, 분자량은 170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NMR 분석의 결과, 1H-NMR 스펙트럼에서는 7.060 ppm에 싱글 피크가 관측되고, 13C-NMR 스펙트럼에서는 5 종류의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것들을 갈산 표품의 스펙트럼과 비교한 결과, 화학 쉬프트가 일치하고, 분자량도 일치했으므로 이 물질은 갈산이라고 동정되었다.
얻어진 추출물 (B)에 대해서 항산화 활성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
시험관에 추출물 (B) 400 ㎕, 99.5% 에탄올 1200 ㎕, 0.25 M 아세트산 완충액(pH 5.5) 1600 ㎕를 넣고, 30℃, 5 분간 프리 인큐베이트하였다. 시험관에 500 μM DPPH 용액을 800 ㎕ 가하여 교반하고, 30℃, 30 분간 반응시키고, 정확하게 30 분 후, 증류수를 대조로 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으로부터 DPPH 라디칼 소거율을 산출하고, 50% 라디칼 소거능(IC50)을 구하였다. 또한, 기지의 항산화 성분인 α-토코페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해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로부터,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50% DPPH 라디칼 소거능(이하 IC50)은 증발 잔류물값 환산으로부터 IC50=0.06 mg/g이고, 기지의 항산화 성분인 α-토코페롤의 IC50=0.13 mg/g과 비교하여,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참고예 2
카무카무 종자 1 kg을 파쇄하고, 물 4 kg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이상 교반 추출하였다.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행하여 상청액과 굵은 잔류물로 분리하고, 잔류물을 제거하고 상청액만을 채취하였다. 더욱 청등화하기 위해 다단계의 필터 여과를 행하고, 작은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청등한 수용성의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을 약 4 kg(고형분 1%) 얻었다. 이 추출물을 추출물 (C)라고 한다.
얻어진 추출물 (C)에 대해, 참고예 1과 동일하게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기지의 항산화 성분인 α-토코페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해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추출물 (C)의 IC50은 0.10 mg/g이었다. α-토코페롤의 IC50은 0.13 mg/g이었다.
참고예 3
카무카무 종자 1 kg을 파쇄하고, 물 1.17 kg과 1,3-부틸렌 글리콜 0.5 kg의 혼합 용매를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이상 교반 추출하였다.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행하여 상청액과 굵은 잔류물로 분리하고, 잔류물을 제거하고 상청액만을 채취하였다. 또한, 청등화하기 위해서 다단계의 필터 여과를 행하여, 작은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30%의 1,3-부틸렌 글리콜 추출에 의한 청등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을 약 1.3 kg(고형분 3%) 얻었다. 이 추출물을 추출물 (D)라고 한다. 얻어진 추출물 (D)에 대해서, 참고예 1과 동일하게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추출물 (D)의 IC50은 0.07 mg/g이었다.
참고예 4
카무카무 종자 200 g을 파쇄하고, 에탄올 2 kg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이상 교반 추출하였다. 교반 추출 후, 필터에 의한 거친 여과를 행하여 잔류물을 제거하고 상청액만을 채취하였다. 다음에, 감압 증류를 행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건고시킨 것에 물 500 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청등화하기 위해 다단계의 필터 여과를 행하였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에탄올 추출에 의한 수용성의 청등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을 약 500 g(고형분 2.5%) 얻었다. 이 추출물을 추출물 (E)라고 한다.
얻어진 추출물 (E)에 대해, 참고예 1과 동일하게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추출물 (E)의 IC50은 0.10 mg/g이었다.
참고예 5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를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리놀레산 자동 산화 억제능 측정 시험을 행하였다.
<리놀레산 자동 산화 억제능 측정 시험>
2.5%(w/v) 리놀레산을 포함하는 에탄올 2 ㎖와, 0.05 M 인산 완충액(pH 7.0) 4 ㎖를 혼합하여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추출물 (D)가 임의량 포함되도록 99.5% 에탄올 2 ㎖ 및 증류수 2 ㎖를 사용하여 희석 조정하였다. 조정한 희석물을 상기 반응액에 첨가하여 합 10 ㎖로 하고, 혼화 후, 갈색 나사식 주둥이 병에 넣어서 샘플로 하였다.
또한, 음성 콘트롤로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99.5% 에탄올 2 ㎖ 및 증류수 2 ㎖만을 반응액에 첨가한 샘플을 사용하였다. 양성 콘트롤로는 α-토코페롤 및 BHA를 추출물 (D)와 동일한 조작 방법에서 동일 농도로 조제한 샘플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출물 (D)의 항산화 작용이 상기한 카무카무 종자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갈산에 의한 것만이 아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갈산을 추출물 (D)와 동일한 사용 방법에서 이하에 나타내는 농도로 조제한 샘플을 사용하였다.
갈산의 농도는 추출물 (D)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최대량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즉, 추출물 (D) 중의 폴리페놀량을 포린데니스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추출물 (D)에 대해, 폴리페놀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라는 결과가 얻어졌다. 갈산은 폴리페놀의 일종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추출물 (D)중의 폴리페놀의 전체량이 갈산이었다고 해도, 추출물 (D)에 차지하는 최대값은 약 20%라는 것으로 되어, 이것 이상 높은 농도로 갈산이 포함될 가능성은 한없이 낮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추출물 (D) 중에 포함되는 갈산의 농도를 20%로 추정하였다.
조제한 각 샘플을 40℃, 암소에서 보존한 것을 본검, 4℃, 암소에서 보존한 것을 맹검으로 하여 경시적으로 7 일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으로는 샘플 0.1 ㎖, 75% 에탄올 9.7 ㎖, 30% 로단암모늄 용액 0.1 ㎖를 혼합하고, 2×10-2 M 염화제일철(3.5% 염산용액) 0.1 ㎖를 가하고, 정확하게 3 분 후에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으로부터 흡광도차 및 7 일째의 자동 산화율을 구하였다. 맹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측정하고, △흡광도=(본검의 흡광도)-(맹검의 흡광도)로 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샘플의 산화가 시작되면 흡광도는 상승하고, 최고점에 달한 후, 산화될 샘플이 적어짐에 따라서 흡광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흡광도의 피크가 빨리 생기기 시작할수록 항산화 활성은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측정한 산화율을 사용하여 각 샘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산화율은 시험 개시로부터 7 일간 경과하였을 때의 콘트롤의 산화(△흡광도)를 100%로 하여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리놀레산 자동 산화율(%)=([샘플의 △흡광도]÷[콘트롤의 △흡광도])×100
도 4에서, 산화율은 수치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추출물 (D)는 대단히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실시예 1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를 사용하고,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 레벨에서의 미백 효과의 확인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법은 동물 세포를 사용함으로써 생체내에 보다 가까운 환경 하에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작용 및 세포 증식에 주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샤알레에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를 1×105 세포/디시 뿌려 넣고, 37℃, 5% CO2 조건 하에서 2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 후, 각 시험 배지(블랭크 배지(10%FBS/DME), 기지의 미백 성분을 비교 대조로 한 코지산 조정 배지,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인 추출물 (D) 조정 배지)를 각각 10 ㎖/디시 씩 가하고, 37℃, 5% CO2 조건 하에서 3 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 후, 트립신 용액으로 세포를 벗겨내어 원심분리를 행하고, PBS에 현탁 후, 다시 원심분리를 행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한 세포 펠렛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고, 가열 처리를 행하여, 멜라닌 색소를 용해시키고, 또한 세포 유래의 섬유상 물질을 필터 제거하였다. 흡광도계에서 용해한 멜라닌 색소의 측정과 BIO-RAD사 DC-단백질 분석 키트를 사용한 단백질량의 측정을 행하였다.
블랭크 배지를 콘트롤로서 사용하고, 그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율을 0%로 했을 때의 각 샘플의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율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율(%)=100-([샘플의 총단백 1 mg 당의 멜라닌량의 평균값]÷[콘트롤의 총단백 1 mg 당의 멜라닌량의 평균값])×100
도 5에서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율은 수치가 높을수록 미백 활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인 추출물 (D)는, 대단히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단백질량은 세포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각 시험 배지의 총단백질 중량을 측정하고,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확인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으로부터, 각 샘플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현미경 관찰하에서도 문제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1997년 3월 26일자 후생성령 제21호 「의약물의 안전성에 관한 비임상시험의 실시의 기준에 관한 성령」에 따라서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의 안전성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래트를 사용하는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시험
래트 2군(대조군, 투여군)에 대하여 자웅 각 5 마리/군으로 시험을 행하고, 투여군에는 체중당 2 g/kg 투여하였다.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모르모트 3 마리의 건강한 피부에 24 시간 폐색 첩부를 행하고, 투여 후 24 시간, 48 시간 및 72 시간에 각각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14 일간 피부 누적 자극성 시험
모르모트 3 마리의 건강한 피부에 14 일간 연속된 개방계에서 1일 1회 도포를 행하고, 시험 기간 중 매일, 도포 전 및 도포 후 24 시간에 각각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감작성 시험
모르모트 3군(대조군, 도포군, DNCB군)에 대하여 5 마리/군으로 애쥬번트 패치 테스트(Adjuvant and Patch Test) 법에 준해서 시험을 행하고, 도포 후 24 시간 및 48 시간에 각각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광독성 시험
모르모트 10 마리의 등부 피부에 모리카와 후지오토리 등의 방법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고, 자외선 조사 후 24 시간, 48 시간 및 72 시간에 각각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광감작성 시험
모르모트 3군(대조군, 투여군, TCSA군)에 대해 5 마리/군으로 애쥬번트 스트립(Adjuvant and Strip) 법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고, 자외선 조사 후24 시간 및 48 시간에 각각 피부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정을 행하였다.
토끼를 사용하는 안점막 자극성 시험
토끼 2군(비세안군, 세안군)에 대해, 3 마리/군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점안 후, 비세안군은 그대로 하고, 세안군은 미온의 생리식염수로 약 1 분간 세정하고, 그 후 1 시간, 24 시간, 48 시간 및 72 시간 후에, 각막, 홍채 및 결막의 상태에 대해 관찰하고, AFNOR의 구분으로부터 판정을 행하였다.
세균을 사용하는 복귀 돌연변이 시험
프레인큐베이션법에 의해, S9mix 무첨가와 S9mix 첨가의 경우에 대해 측정을 행하였다.
·사용균주: Salonella typhimurium TA100, TA98, TA1535, TA1537
·사용균주: Escherichia coli WP2uvrA
유류의 배양 세포를 사용하는 염색체 이상 시험
포유류의 배양 세포(CHL/IU 세포)를 사용하여 3군(음성 대조군, 피검 물질군, 양성 대조군)에 대해, 단시간 처리법(6 시간 처리: S9mix 무첨가 및 S9mix 첨가) 및 연속 처리법(24 시간 및 48 시간 처리)에서 검토를 행하였다.
안전성 시험 항목 결과
1) 래트를 사용하는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시험 독성 없음
2)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자극성 없음
3)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14 일간 피부 누적 자극성 시험 자극성 없음
4)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감작성 시험 감작성 없음
5)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광독성 시험 광독성 없음
6) 모르모트를 사용하는 피부 광감작성 시험 광감작성 없음
7) 토끼를 사용하는 안점막 자극성 시험 안자극성 없음
8) 세균을 사용하는 복귀 돌연변이 시험 변이원성 없음
9) 포유류의 배양 세포를 사용하는 염색체 이상 시험 이상 없음
참고예 6
참고예 2에서 조제한 추출물 (C),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 및 참고예 4에서 조제한 추출물 (E)에 대하여 비교 대조로 갈산1수화물을 채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을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
[시약의 조제]
기질용액: Pz-펩티드(BACHEM사제) 0.39 mg을, 0.1 M 트리스 염산 완충액(pH 7, 20 mM 염화칼슘 함유) 1 ㎖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0.5 mM에 상당).
효소 용액: 콜라게나제(TYPEIV, 시그마사제) 5 mg을 증류수 1 ㎖에 용해시키고 100 ㎕씩 나누어 붓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사용시에 증류수로 50 배로 희석하여 반응에 사용하였다.
추출물 (C), 추출물 (D) 및 추출물 (E)는 용액이므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이 건조 고형물로서 100 ㎍/㎖의 농도가 되도록 각각의 추출 용매(증류수, 30중량% 1,3-부틸렌 글리콜)로 희석을 행하여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 50 ㎕에 효소 용액 50 ㎕ 및 기질 용액 400 ㎕를 혼합하고, 37℃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25 mM 시트르산 용액 1 ㎖로 반응을 정지하고, 아세트산에틸 5 ㎖로 추출하였다. 원심분리(3000 rpm, 10 분간) 후, 아세트산에틸층을 분취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대조로 하여 3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콘트롤에는 샘플 대신에 각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고, 블랭크에는 효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때,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가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에 포함되는 갈산에 의한 것만이 아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갈산 1수화물을 각 추출물과 동일한 100 ㎍/㎖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농도 조정을 행하고 샘플로 하였다.
이들 값으로부터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율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율(%)=(1-[샘플의 흡광도-샘플 블랭크의 흡광도]÷[콘트롤의 흡광도-콘트롤 블랭크의 흡광도])×100
참고예 7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에 대하여 비교 대조로 갈산 1수화물을 사용하고 이하의 방법에 의해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을 측정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측정은 Morgan-Elson법을 응용한 마에다 유미에 등의 방법(쇼쿠에시, 31권, 233-237, 1990년)에 준하여 행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
[시약의 조제]
효소 용액: 소정소 히알루로니다제(와코쥰야쿠고교(주)제)를 0.1 M 아세트산 완충액(pH=4.0)에 용해시키고, 최종 효소 활성을 400 유닛/㎖로 조정하였다.
효소 활성화 용액: 컴파운드(compound) 48/80(시그마사제)을 0.1 M 아세트산 완충액(pH=4.0)에 용해시키고 최종 농도를 0.1 mg/㎖로 조정하였다.
기질 용액: 히알루론산 칼륨(와코쥰야쿠고교(주)제)을 0.1 M 아세트산 완충액(pH=4.0)에 용해시키고, 최종 농도를 0.4 mg/㎖로 조정하였다.
붕산 용액: 붕산 4.95 g에 물 50 ㎖를 가하고, 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9.1로 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100 ㎖로 조정하였다.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P-DAB) 시약: 10 N 염산 12.5 ㎖와 아세트산 87.5 ㎖의 혼합액에 p-DAB(와코쥰야쿠고교(주)제)를 10 g 용해시키고, 냉장 보존한다. 사용 직전에 아세트산으로 10 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참고예 3의 추출물 (D)는 용액이므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이 건조 고형물로서 1 mg/㎖의 농도가 되도록 추출 용매인 30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으로 희석한 것을 상한으로 하고, 추출 용매로 더 희석하여 농도 조정을 행하여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 0.2 ㎖에 효소 용액 0.1 ㎖를 가하고, 37℃에서 20 분간 가온하였다. 다음에 효소 활성화 용액 0.2 ㎖를 가하여 37℃에서 20 분간 가온하고, 또한 기질 용액 0.5 ㎖를 가하여 37℃에서 40 분간 반응시킨 후, 0.4 N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0.2 ㎖ 가하는 동시에 빙냉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붕산 용액 0.2 ㎖를 가하여 핫 블록 배스(TOYO SEISAKUSHO, MODEL TPB-32)에서 5 분간 가열 후 빙냉하고, p-DAB 시약 6 ㎖를 가하여 37℃에서 20 분간 가온하여 발색시키고, 증류수를 대조로 하여 58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콘트롤에는 샘플 대신에 추출 용매를 사용하고, 블랭크에는 효소 용액 대신에 0.1 M 아세트산 완충액(pH=4.0)을 가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때, 추출물 (D)의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가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에 포함되는 갈산에 의한 것만이 아닌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갈산 1수화물을 추출물 (D)와 동일한 조작 방법에서 농도 조정을 행하였다. 이때의 갈산 1수화물의 농도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건조 고형분량의 20%라고 추정하였다.
이들 값으로부터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율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율(%)=(1-[샘플의 흡광도-샘플 블랭크의 흡광도]÷[콘트롤의 흡광도-콘트롤 블랭크의 흡광도]×100
도 8로부터, 추출물 (D)는 농도 의존적으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능을 갖는 것이 판명되었다.
처방예 1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20 중량부, 시트르산 0.10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30 중량부,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 5.00 중량부 및 1,3-부틸렌 글리콜 5.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고 전체량을 80.0 중량부로 하여 5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추출물 (D)함유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테트라올레산 POE(60) 소르비톨 0.90 중량부, 모노올레산소르비탄 0.10 중량부, 적당량의 방부제 및 에탄올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을, 최초에 조제한 추출물 (D)함유 수용액에 소량씩 가하고, 50℃에서 혼화 교반하였다. 균일하게 혼화되면, 더욱 교반하면서 50℃로부터 30℃로 액온을 내리고, 30℃로 된 시점에서 교반을 멈추고, 적당량의 향료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량을 100.00 중량부로 하였다. 다시, 혼화 교반하고, 균일하게 혼화시켜서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처방예 2
스쿠알렌 10.00 중량부 및 적당량의 방부제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량을 70.00 중량부로 조정하고, 80℃로 가온하여 용액 (1)을 조제하였다. 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중량부 및 크산탄검 0.20 중량부를 적당량의 정제수에 상온에서 교반 용해하여 용액 (2)를 조제하였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부 및 1,3-부틸렌 글리콜 5.00 중량부를 적당량의 정제수에 상온에서 교반 용해시키고 용액(3)을 조제하였다. 더욱이 또한, 히알루론산 나트륨 2.00 중량부 및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 5.00 중량부를 적당량의 정제수에 상온에서 교반 용해하여 용액(4)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적당량의 정제수에 용액 (1)을 소량씩 가하고, 80℃에서 혼화 교반하고, 더욱 교반하면서 용액(2)을 가하고, 이어서 용액(3)을 가하였다. 균일하게 혼화하면, 교반하면서 용액을 50℃로 내리고, 50℃로 된 시점에서, 용액 (4)를 가하고, 더욱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조정하였다. 용액이 30℃로 될 때까지 디시 교반하고, 30℃로 된 시점에서 교반을 멈추고, 균일하게 혼화된 유액을 조제하였다.
처방예 3
POE(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POE 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0.50 중량부,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0.50 중량부, 스테아르산 7.00 중량부, 세틸알콜 3.00 중량부, 팔미트산세틸 3.00 중량부, 호호바유 7.00 중량부, 파라핀 3.00 중량부 및 적당량의 방부제를 혼합하고, 8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용액 (1)을 조제하였다. 한편,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추출물 (D) 5.00 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7.00 중량부 및 정제수 62 중량부를 혼합하고, 8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용액 (2)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용액 (2)에 용액 (1)을 소량씩 가하고, 유화하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40℃로 된 내린 시점에서 교반을 멈추어, 균일하게 혼화된 크림을 조제하였다.
처방예 4
그래뉴 당 54.00 중량부를 적당량의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이 용해물을 물엿 41.70 중량부에 혼합하고 가열하여 바짝 졸였다. 이어서,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면서, 시트르산 1.00 중량부 및 향료 0.30 중량부를 조금씩 가하고, 교반하면서 90℃까지 냉각 후, 참고예 2에서 조제한 추출물 (C) 3.00 중량부를 가하여 교반하였다. 얻어진 균일 혼화물을 상법에 의해 성형하여 캔디를 조제하였다.
처방예 5
딸기 과실 65.00 중량부에 설탕 32.00 중량부를 조금씩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바짝 졸였다. 당 농도가 65% 이상으로 된 시점에서 가열을 멈추고, 참고예 2에서 조제한 추출물 (C) 2.50 중량부, 시트르산 0.15 중량부 및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화하였다. 얻어진 농축액이 뜨거운 상태로 병에 채워 살균하고, 급속 냉각함으로써 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3
시트르산나트륨 0.1 중량부,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1.0 중량부 및 1,3-부틸렌 글리콜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정제수를 가하고, 전체량을 50.0 중량부로 하고 5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용액 (1)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POE(30) POP(6)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0.6 중량부, 에탄올 10.0 중량부, 메틸파라벤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5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용액 (2)를 조제하였다.
용액 (1)을 용액 (2)에 소량씩 가하면서 50℃에서 혼화 교반하고, 더욱 교반하면서 30℃까지 온도를 내리고, 30℃로 된 시점에서, 참고예 3에서 조제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 5.0 중량부를 가하여 혼화하였다.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조제하고, 균일하게 혼화 교반하여, 5 중량% 배합 화장수로 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1,3-부틸렌 글리콜을 4.7 중량부,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를 1.0 중량부로 하여 조제한 것을 1 중량% 배합 화장수로 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1,3-부틸렌 글리콜 5.0 중량부,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를 무첨가한 물건을 블랭크 화장수로 하였다.
얻어진 화장수 제제에 대해,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을 사용하여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배합 화장수의 항산화 활성에 대해 평가를 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시험>
(시험 방법)
상기에서 조제한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를 1 중량% 및 5 중량% 배합한 화장수 제제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블랭크 화장수를 콘트롤로 하여 참고예 1에 준하여 측정을 행하고, 그 측정값으로부터 DPPH 라디칼 소거율을 산출하였다.
(시험 결과)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 (D)를 배합한 화장수 제제의 DPPH 라디칼 소거율은 5 중량% 배합 화장수에서 87.2%, 1 중량% 배합 화장수에서 26.8%였다. 이것에 의해 카무카무 종자 추출물의 배합 농도가 높은 화장수 제제일수록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Claims (4)

  1. 카무카무(Myrciaria dubia) 종자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2. 제1항에 있어서, 카무카무(Myrciaria dubia) 종자의 추출물이 갈산 및 그 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3. 제1항의 미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4. 제1항의 미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57010544A 2002-12-13 2003-12-08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101083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2507A JP3635081B2 (ja) 2002-12-13 2002-12-13 美白剤、抗酸化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老化防止剤、皮膚外用剤、化粧料及び食料品
JPJP-P-2002-00362507 2002-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14A KR20050091714A (ko) 2005-09-15
KR101083275B1 true KR101083275B1 (ko) 2011-11-15

Family

ID=3258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544A KR101083275B1 (ko) 2002-12-13 2003-12-08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92617B2 (ko)
EP (1) EP1582195B1 (ko)
JP (1) JP3635081B2 (ko)
KR (1) KR101083275B1 (ko)
CN (1) CN100415206C (ko)
AU (1) AU2003289233B2 (ko)
DE (1) DE60333391D1 (ko)
WO (1) WO20040545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3B1 (ko) * 2012-09-25 2014-11-20 우익중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3219B2 (en) * 2003-05-15 2016-09-27 Mello Biotech Taiwan Co., Ltd. Cosmetic designs and products using intronic RNA
JP4532257B2 (ja) * 2004-12-22 2010-08-25 株式会社ニチレイバイオサイエンス アセロラ由来の新規ポリフェノール配糖体
WO2006090935A1 (ja) * 2005-02-28 2006-08-31 Nichirei Foods Inc. アセロラ果実由来ペクチンおよびその用途
US20100158842A1 (en) * 2008-10-09 2010-06-24 Spectrum Dynamics Llc Natural skin whitener: 4-hydroxy-oxindole-3-acetic acid
FR2949065B1 (fr) * 2009-08-17 2011-10-21 Natura Cosmeticos Sa Complexe eclaircissant la peau, utilisation dudit complex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ledit complexe et procede pour son application
JP5415216B2 (ja) * 2009-10-02 2014-02-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1219365A (ja) * 2010-04-02 2011-11-04 Osaka Yakuhin Kenkyusho:Kk 黒砂糖エキスと小豆種皮抽出物を含有する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220494B1 (ko) * 2010-10-11 2013-01-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맥문동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CSP11011303A (es) 2011-09-03 2013-03-28 Pharmabrand S A Composición antioxidante, antigripal natural
KR102348045B1 (ko) * 2015-02-27 2022-01-11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성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방법
JP6811520B2 (ja) * 2015-03-31 2021-01-13 株式会社東洋新薬 プロテアーゼ活性促進用物
JP7292568B2 (ja) * 2015-10-08 2023-06-19 福岡県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並びに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組成物及び機能性食品
WO2018065918A1 (en) 2016-10-04 2018-04-12 Mary Kay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triae distensae
EP3638276A4 (en) 2017-06-13 2020-11-25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SKIN FIRMING
KR102589946B1 (ko) * 2021-01-25 2023-10-17 주식회사 셀아이콘랩 α-MSH 경쟁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신규의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0111B1 (ko) * 2021-09-17 2022-09-07 인천광역시 신선편이 농산물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한 갈변 방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54A (ja) 1999-05-06 2000-11-21 Nippon Menaade Keshohin Kk 光毒性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3713A (ja) 1989-12-25 1991-08-23 Maremitsu Izumitani タンニン含有組成物
CN1111958A (zh) * 1994-05-16 1995-11-22 华南师范大学 螺旋藻片的制造方法
JP3431383B2 (ja) * 1996-02-14 2003-07-28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メラニン抑制剤
JPH11246336A (ja) 1998-02-27 1999-09-14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及び美肌化粧料組成物
JP2000327549A (ja) * 1999-05-17 2000-11-28 Nichirei Corp カムカムエキスを含む化粧料
JP2000327553A (ja) * 1999-05-19 2000-11-2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0327550A (ja) 1999-05-19 2000-11-2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1031558A (ja) 1999-05-19 2001-02-06 Kose Corp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54A (ja) 1999-05-06 2000-11-21 Nippon Menaade Keshohin Kk 光毒性抑制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3B1 (ko) * 2012-09-25 2014-11-20 우익중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9233B2 (en) 2008-10-16
JP2004189698A (ja) 2004-07-08
WO2004054520A1 (ja) 2004-07-01
US7192617B2 (en) 2007-03-20
AU2003289233A1 (en) 2004-07-09
US20060104926A1 (en) 2006-05-18
CN100415206C (zh) 2008-09-03
DE60333391D1 (de) 2010-08-26
EP1582195B1 (en) 2010-07-14
KR20050091714A (ko) 2005-09-15
EP1582195A1 (en) 2005-10-05
JP3635081B2 (ja) 2005-03-30
EP1582195A4 (en) 2009-08-12
CN1744879A (zh)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75B1 (ko) 미백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585B1 (ko) 고농도의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로에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염 및/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US5916576A (en) Method of scavenging free radicals using orange extract
KR101014219B1 (ko) 항산화제, 피부외용제, 화장료 및 식료품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7074907B2 (en)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5144362B2 (ja) 皮膚外用剤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264456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
KR101680806B1 (ko) 아마란스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93A (ko) 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01211B2 (ja)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KR20190081171A (ko) 프리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254B1 (ko) 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9577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3597067B2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10008657A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160001094A (ko) 댕댕이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